KR101293652B1 - 부상방지부를 구비한 육묘포트 - Google Patents

부상방지부를 구비한 육묘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3652B1
KR101293652B1 KR1020110066101A KR20110066101A KR101293652B1 KR 101293652 B1 KR101293652 B1 KR 101293652B1 KR 1020110066101 A KR1020110066101 A KR 1020110066101A KR 20110066101 A KR20110066101 A KR 20110066101A KR 101293652 B1 KR101293652 B1 KR 101293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eedling
soil
plantation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812A (ko
Inventor
이용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녹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녹지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10066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652B1/ko
Publication of KR20130004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1Planting receptacles specially adapted for remaining in the soil afte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Abstract

본 발명은 묘종이 고사함을 방지할 수 있는 부상방지부를 구비한 육묘포트에 관한 것으로, 상면이 개구 형성되고 하면에 배수구가 형성되며 토양을 수용할 수 있는 일정한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토양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재배지에 매설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재배지에서 부상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직경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서 돌출되게 구비되는 부상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묘종의 성장을 위하여 재배지로 옮겨 심어진 육묘포트가 지상으로 부상되어 유실되거나 혹은 부상된 부위가 건조되어 묘종이 고사함을 방지함으로써 묘종이 안전하게 활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상방지부를 구비한 육묘포트{RAISING SEEDING POT HAVING LIFT PREVENTING PART}
본 발명은 부상방지부를 구비한 육묘포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육묘포트가 지상으로 돌출됨을 방지할 수 있는 부상방지부를 구비한 육묘포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묘포트는, 종이재질이나 혹은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여 상부가 개방되도록 컵 형상으로 형성되고, 저면의 중앙에는 배수구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육묘포트는 원통형 또는 상광하협의 원통형(역원뿔형)으로 형성된 포트 본체에 절개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씨앗을 틔우거나 묘종을 생육시킬 때 배수를 양호하게 하고, 묘종의 뿌리가 절개부를 통해 포트 본체에서 외부로 뻗어나가도록 하여 활성화시켜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묘종을 재배지에 이식시킬 때 생육된 어린 묘종과 함께 심어줌으로써 이식된 다른 묘종의 스트레스를 방지하고 생육과정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종이 재질로 형성된 육묘포트의 경우에는 묘종이 재배지로 옮겨져서 성장할 때 육묘포트 자체가 썩어서 소멸되도록 하여 묘종을 육묘포트에서 꺼내야 하는 번거로움을 들어주기도 한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육묘포트에 있어서는, 육묘포트를 재배지의 토양에 옮겨 심은 후에 성장시키기 위하여 다량의 물을 공급해 주거나, 재배지가 야외인 경우에 소나기나 혹은 폭우가 내려서 다량의 물이 재배지에 공급될 경우에 토양 내부의 부력이 발생함으로 인하여 육묘포트가 토양의 외부로 솟아오르게 되어 유실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육묘포트 자체가 썩어서 소멸되기 전에 다량의 물이 공급됨에 의하여 토양에 형성된 부력에 의하여 토양의 외부로 솟아오른 육묘포트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건조되어 묘종이 성장이 지연되거나 혹은 전혀 성장하지 못하고 결국에는 고사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묘종의 성장을 위하여 재배지로 옮겨 심어진 육묘포트가 부상되어 유실되거나 혹은 부상된 부위가 건조되어 묘종이 고사함을 방지함으로써 묘종이 안전하게 활착할 수 있도록 하는 부상방지부를 구비한 육묘포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부상방지부를 구비한 육묘포트는, 상면이 개구 형성되고 하면에 배수구가 형성되며 토양을 수용할 수 있는 일정한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토양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재배지에 매설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재배지에서 부상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직경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서 돌출되게 구비되는 부상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부상방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단면에서부터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직립되게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갈수록 돌출된 폭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부상방지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상방지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재배지의 상면을 따라 평탄하게 형성된 평탄면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상방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둘레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호 대향되게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부상방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단면에서부터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를 갖도록 상기 하우징의 측면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부상방지리브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상방지리브는 상기 하우징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상방지리브의 측면과 상기 하우징의 절개면의 측면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토양이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주름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부상방지리브는 상기 하우징의 둘레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호 대향되게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부상방지부는 생분해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부상방지부를 구비한 육묘포트는, 묘종의 성장을 위하여 재배지로 옮겨 심어진 육묘포트가 외부로 부상되어 유실되거나 혹은 부상된 부위가 건조되어 묘종이 고사함을 방지함으로써 묘종이 안전하게 활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상방지부를 구비한 육묘포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상방지부를 구비한 육묘포트를 내려다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상방지부를 구비한 육묘포트가 재배지에 매설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상방지부를 구비한 육묘포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상방지부를 구비한 육묘포트의 부상방지리브가 벌어진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상방지부를 구비한 육묘포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상방지부를 구비한 육묘포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상방지부를 구비한 육묘포트를 내려다본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상방지부를 구비한 육묘포트가 재배지에 매설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상방지부를 구비한 육묘포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상방지부를 구비한 육묘포트의 부상방지리브가 벌어진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상방지부를 구비한 육묘포트는, 상면이 개구 형성되고 하면에 배수구(110)가 형성되며 토양을 수용할 수 있는 일정한 수용공간(120)이 형성되어 수용공간(120)에 토양을 수용하는 하우징(100)과, 재배지에 매설된 하우징(100)이 상기 재배지에서 부상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직경 방향을 따라 하우징(100)의 외면에서 돌출되게 구비되는 부상방지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00)은 토양을 수용하는 수용공간(120)이 마련되며, 그 상면은 묘종을 심거나 물을 공급해 줄 수 있도록 개구 형성되고, 그 하면에는 공급된 물이 빠져나갈 수 있는 통로가 되는 배수구(1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은 사람이 하우징(100)을 손으로 감싸는 형태로 잡았을 경우에 사람의 손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측의 직경은 상대적으로 작고 상측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컵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100)의 상부 둘레면은 하우징(100)을 옮길 경우에 사람 손가락의 일부가 걸쳐져서 하우징(100)을 용이하게 옮길 수 있도록 걸림턱(130)이 마련되어 있다.
배수구(110)는 하우징(100) 하면의 어느 위치에 형성되더라도 무방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하면의 중앙 영역에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 크기는 수용공간(120)에 수용되는 토양이 용이하게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상방지부(200)는 하우징(100)의 하단면에서부터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직립되게 배치되며, 하우징(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갈수록 돌출된 폭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부상방지부재(210)로 구성될 수 있다.
부상방지부재(210)가 하우징(100)의 하단면과 접촉되는 영역은 뽀족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하우징(100)의 하단면의 면적이 증가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하우징(100) 하단면의 면적이 증가되면 하우징(100)에 작용하는 부력의 크기도 함께 커지기 때문에 하우징(100)의 하단면의 면적을 최대한 작도록 하여 토양에 다량의 물이 공급되더라도 하우징(100)이 토양 외측으로 최대한 밀려 올라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부상방지부재(210)의 상면에는 상기 재배지의 상면을 따라 평탄하게 형성된 평탄면(211)이 구비되는 것이 효과적인데, 이는 하우징(100)이 토양에 매설된 상태에서 부상방지부재(210)의 상측에 위치한 토양에 의하여 부상방지부재(210)가 하측으로 눌려지는 면적을 크게 하여 하우징(100)에 부력이 작용하더라도 최대한 하우징(100)이 토양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부상방지부재(210)는 하우징(100)의 둘레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호 대향되게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효과적인데, 이는 부상방지부재(210)가 하우징(100)의 일측에만 존재할 경우에 부력이 발생하여 하우징(100)을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힘이 작용함으로 인하여 하우징(100)이 일측으로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상방지부(2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하단면에서부터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를 갖도록 하우징(100)의 측면 일부가 절개되어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부상방지리브(220)로 구성할 수 있다.
부상방지리브(220)의 하단은 하우징(100)의 하단면과 연결되며, 하단을 제외한 좌, 우측과 상단이 절개 형성됨으로써, 하우징(100)이 비어 있는 상태에서는 하우징(100)의 표면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하우징(100)의 표면을 형성하도록 하고, 하우징(100)에 토양이 수용되면 부상방지리브(220)는 수용된 토양에 의하여 외측으로 밀려서 하우징(100)의 표면에 대하여 벌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부상방지리브(220)가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부상방지리브(220)의 상단과 부상방지리브(220)의 상측에 위치한 토양 사이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부상방지리브(220)는 하우징(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확장되게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부상방지리브(220)의 측면과 하우징(100)의 절개면의 측면 사이에는 하우징(100)의 수용공간(120)에 토양이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주름부재(230)가 구비될 수 있다.
주름부재(230)는 부상방지리브(220)가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충분히 벌어질 수 있을 정도의 폭을 제공함과 동시에 부상방지리브(220)가 하우징(100)의 표면과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에서는 하우징(100)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다수의 주름이 그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주름부재(230)에 의하여 부상방지리브(220)를 외측으로 밀어내는 토양이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토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주름부재(230)는 부상방지리브(220)를 안정적으로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부상방지리브(220)는 부상방지부재(210)와 마찬가지로 하우징(100)에 부력이 작용시에 하우징(100)일 일측으로만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둘레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호 대향되게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묘종이 재배지로 옮겨져서 완전히 활착된 후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토양 속에서 자연분해되어 소멸될 수 있도록 하우징(100)과 부상방지부(200)는 생분해성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부상방지부를 구비한 육묘포트는, 묘종의 활착을 위하여 재배지에 옮겨 심어지면 재배지에 다량의 수분이 공급될 경우에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상방지부(200) 상측의 토양이 부상방지부(200)를 하측으로 누르기 때문에 수분이 과다 공급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부력에 의하여 육묘포트가 토양의 외부로 부상됨을 방지함으로써, 육묘포트가 유실되거나 혹은 부상된 부위가 건조되어 묘종이 고사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하게 활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10 : 배수구
120 : 수용공간 200 : 부상방지부
210 : 부상방지부재 211 : 평탄면
220 : 부상방지리브 230 : 주름부재

Claims (9)

  1. 상면이 개구 형성되고 하면에 배수구가 형성되며 토양을 수용할 수 있는 일정한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토양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재배지에 매설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재배지에서 부상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직경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서 돌출되게 구비되는 부상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상방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단면에서부터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직립되게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갈수록 돌출된 폭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그 상면에는 상기 재배지의 상면을 따라 평탄하게 형성된 평탄면이 구비된 부상방지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방지부를 구비한 육묘포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방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둘레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호 대향되게 복수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방지부를 구비한 육묘포트.
  5. 상면이 개구 형성되고 하면에 배수구가 형성되며 토양을 수용할 수 있는 일정한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토양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재배지에 매설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재배지에서 부상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직경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서 돌출되게 구비되는 부상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상방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단면에서부터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를 갖도록 상기 하우징의 측면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확장되게 형성되며, 측면과 상기 하우징의 절개면의 측면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토양이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주름부재가 구비된 부상방지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방지부를 구비한 육묘포트.
  6. 삭제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방지리브는 상기 하우징의 둘레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호 대향되게 복수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방지부를 구비한 육묘포트.
  9. 제1항, 제4항, 제5항,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부상방지부는 생분해성 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방지부를 구비한 육묘포트.
KR1020110066101A 2011-07-04 2011-07-04 부상방지부를 구비한 육묘포트 KR101293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101A KR101293652B1 (ko) 2011-07-04 2011-07-04 부상방지부를 구비한 육묘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101A KR101293652B1 (ko) 2011-07-04 2011-07-04 부상방지부를 구비한 육묘포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812A KR20130004812A (ko) 2013-01-14
KR101293652B1 true KR101293652B1 (ko) 2013-08-22

Family

ID=47836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101A KR101293652B1 (ko) 2011-07-04 2011-07-04 부상방지부를 구비한 육묘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6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227B1 (ko) * 2015-05-28 2016-07-07 박선범 딸기재배용 사각포트를 이용한 딸기 재배 시설 및 재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4604A (ja) 2003-02-26 2004-09-16 Maruwa Biochemical Co Ltd 育苗ポット
KR200377759Y1 (ko) * 2004-12-21 2005-03-14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이탈방지 식생포트
KR20110067429A (ko) * 2009-12-14 2011-06-22 주식회사 국제프라스틱 생분해성 플라스틱 모종 포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4604A (ja) 2003-02-26 2004-09-16 Maruwa Biochemical Co Ltd 育苗ポット
KR200377759Y1 (ko) * 2004-12-21 2005-03-14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이탈방지 식생포트
KR20110067429A (ko) * 2009-12-14 2011-06-22 주식회사 국제프라스틱 생분해성 플라스틱 모종 포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227B1 (ko) * 2015-05-28 2016-07-07 박선범 딸기재배용 사각포트를 이용한 딸기 재배 시설 및 재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812A (ko) 2013-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8389B1 (ko) 저수조를 구비한 육묘포트
US8910418B2 (en) Floatable plant growth system and a floatation tray for use with the system
AU763871B2 (en) Cell and cell tray for growing seedlings
US7320197B2 (en) Floating garden device
TW445756U (en) Mat for growing plants
US5785454A (en) Protective body/cover to be placed over discharge openings on pipes for the underground supply of water and air
US8458955B2 (en) Seed and plant growth medium module
US561551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rrigating plants
NO773587L (no) Vekstbrett for planter.
US5339566A (en) Seedling container
KR101293652B1 (ko) 부상방지부를 구비한 육묘포트
US2394192A (en) Gardening device
US603881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oot growth
US1634727A (en) Means for developing and transplanting plants
KR100852893B1 (ko) 바이오 누드화분
GB2473645A (en) Growing bag tray and cane holder
KR20120001012U (ko) 잡초방지용 덮개
KR200377759Y1 (ko) 이탈방지 식생포트
EP3238530A3 (en) An irrigation device
KR101685568B1 (ko) 스크린컵이 구성된 수경재배용 베드 세트
KR20090011460U (ko) 육묘용 용기
US10136585B1 (en) In-ground seed starting apparatus and method
JP4063809B2 (ja) 園芸用簡易鉢
EP2792233A1 (en) Transplantation cone for nurseries
KR200203358Y1 (ko)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