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716B1 - 연결식 축조식생블록 - Google Patents

연결식 축조식생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716B1
KR100878716B1 KR1020050010366A KR20050010366A KR100878716B1 KR 100878716 B1 KR100878716 B1 KR 100878716B1 KR 1020050010366 A KR1020050010366 A KR 1020050010366A KR 20050010366 A KR20050010366 A KR 20050010366A KR 100878716 B1 KR100878716 B1 KR 100878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 body
protrusion
coupling
vege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0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9367A (ko
Inventor
송호영
Original Assignee
합명회사 남부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명회사 남부산업 filed Critical 합명회사 남부산업
Priority to KR1020050010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716B1/ko
Publication of KR20060089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9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몸체, 지지대, 상기 블록몸체의 일측면의 상단부에서 상기 블록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상측 돌출부, 상기 블록몸체의 타측면의 하단부에서 상기 블록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하측 돌출부, 상기 상측 돌출부의 하측 표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결합돌기, 그리고 상기 하측 돌출부의 상측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식생블록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블록과 블록의 연결이 상측 돌출부의 결합돌기와 하측 돌출부의 결합홈의 맞물림에 의해 연결되므로, 종래에 비해 훨씬 견고한 연결을 달성할 수 있고 'S'자 굴곡 등 어느 형태의 지형에서도 블록과 블록간의 틈새없이 그 지형에 맞게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블록간 틈새가 전혀 없으므로 토사유출을 방지하여 보강토의 침하작용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Figure 112005006716302-pat00001
축조식생, 블록, 돌출부, 결합돌기, 결합홈.

Description

연결식 축조식생블록{Coupling Block for Revetment Construction with Vegetation}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식 축조식생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2a, 도2b, 도2c, 및 도2d의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식 블록의 정면도, 후면도, 우측면도, 및 평면도,
도3은 도1의 연결식 블록 2개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4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5는 종래의 축조식생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6은 도5의 축조식생블록을 이용한 옹벽의 축조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블록 2 : 상측 돌출부
3,12 : 결합돌기 4 : 하측 돌출부
5,13 : 결합홈 6,11 : 블록몸체
7 : 전면이탈방지턱 8 : 수평턱
9,14 : 지지대 15 : 배수구
본 발명은 성토지, 절개지 등의 보호를 위한 조적식 축조식생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우 굴곡이 심한 지형에서도 블록과 블록간의 사이사이에 틈새가 없고 견고하게 연결가능한 연결식 축조식생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적식 축조식생블록은 성토지(흙이 쌓여진 부분), 절토지(흙이 깎여진 부분)에 토사의 유실로 인한 변형이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옹벽을 축조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축조식생블록은 아파트 단지조성, 도로절성토부 시공, 사면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시공, 교량교대 날개벽 시공, 그 밖에 수로 및 제방공사 등에서 옹벽축조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종래의 축조식생블록은 도5에 도시된 구조를 가진다. 축조식생블록(10)은 일정 크기로 이루어져 시공을 통해 옹벽을 형성하는 블록몸체(11), 블록몸체(11)의 후면에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블록(10) 뒷쪽 보강토의 흙속에 파묻힘으로써 보강토에 의해 블록(10)이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대(14)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몸체(11)의 상부측에는 상방으로 개방된 식생공간이 형성되어 있어서, 블록몸체(11)의 상부측에 초목류를 심을 수도 있다. 도6은 도5에 도시된 것과 같은 블록(10)들을 쌓음으로써 옹벽을 축조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축조식생블록(10)에 있어서는, 옹벽을 축조할 시에 블록과 블록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블록몸체(11)의 양 측면에 결합돌기(12)와 결합홈(13)이 형성되어 있었다. 즉 블록몸체(11)의 일측면에 결합돌기(12)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결합홈(13)이 형성되어 있어서, 옹벽의 축조시 서로 이웃하는 블록(10)은 상호 대향면 상에 형성된 결합돌기(12)와 결합홈(13)이 맞물리면서 결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성에 의할 경우, 좌,우 굴곡이 심한 공사현장에서 옹벽을 축조할 때에는 지형의 굴곡형태로 인해 이웃하는 블록끼리 측면이 서로 완전히 접촉하지 않고, 지형의 굴곡형태에 따라 블록이 약간씩 벌어져서 축조되게 된다. 즉 굴곡부분의 블록 연결부위마다 틈새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옹벽이 축조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틈새를 따라 토사유출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지형의 좌,우 굴곡이 심한 현장이라도 블록과 블록 사이의 틈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그 지형에 맞게 블록을 시공할 수 있는 축조식생블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별도의 볼트나 핀에 의해 블록사이를 고정시키던 종래방식과 달리 블록과 블록 사이를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연결함으로써 자재비, 인건비, 시간 등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축조식생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식 축조식생블록(1)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축조식생블록(1)은 블록몸체(6)의 좌우측면에 원기둥 형태의 상측 돌출부(2) 및 하측 돌출부(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측 돌출부(2)의 아래쪽에는 결합돌기(3)가 돌출되어 있고 하측 돌출부(4)의 상측표면에는 결합홈(5)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웃하는 블록(1)의 결합돌기(3)가 이 결합홈(5)내로 삽입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5에 도시된 종래의 블록(10)과 마찬가지로 상기 블록몸체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방이 개방된 식생공간이 블록몸체(6)에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실시예에 따라서는 블록몸체(6)의 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일정한 패턴의 무늬를 형성해 놓을 수도 있다. 전면의 무늬 패턴은 블록(1)이 시공될 수 있는 몇가지 지형의 특성에 맞추어 다양한 디자인으로 미리 제작해 놓게 되면, 특정 시공지역의 지형과 조화되는 패턴을 갖는 블록을 사용하여 옹벽을 축조함으로써 옹벽과 전체 지형지물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블록(1)을 도2a 내지 도2d에 각각 도시된 정면도, 후면도, 우측면도, 및 평면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a 내지 도2d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블록(1)은 블록의 정면에서 바라볼 때 블록몸체(6)의 좌측면 상단에 상측 돌출부(2)가 형성되고 블록몸체(6)의 우측면 하단에는 하측 돌출부(4)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시예에서, 상측 및 하측 돌출부(2,4)는 각각 원기둥 형상을 하고 있으며 블록몸체(6)와 일체로 성형되고, 각각의 원기둥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블록몸체(6) 높이의 1/2 정도이다.
본 발명의 상측 돌출부(2)의 하측 표면에는 결합돌기(3)가 하방으로 돌출되 어 있고, 반면 하측 돌출부(4)의 상측 표면에는 이 결합돌기(3)가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홈(5)이 마련되어 있다.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결합돌기(3)는 직경이 하방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원기둥 형태를 하고 있다. 그러나 결합돌기(3)의 형태는 실시예에 따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부와 하부의 직경이 동일한 원기둥 형태일 수 있고, 6각기둥, 8각기둥 등과 같이 그 단면이 다각형 모양을 갖는 다각기둥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결합홈(5)은 상기 결합돌기(3)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의 홈을 가진다. 따라서 결합돌기(3)가 원기둥, 다각기둥 등의 형태를 가질 경우 결합홈(5)은 이러한 형상의 결합돌기(3)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블록에서는, 바람직하게는, 블록몸체(6)의 상단 전방측에 블록몸체(6)의 상측 표면보다 약간 높은 높이의 전면이탈 방지턱(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전면이탈 방지턱(7)은 블록(1)이 1단 이상 축조될 시에 상단에 놓이는 블록이 전면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옹벽 축조시에 이 전면이탈 방지턱(7)에 맞추어 상단 블록들이 시공되므로, 상단 블록들이 하단 블록들의 최전방 라인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규칙적으로 축조될 수 있다. 또한 블록몸체(6)의 상단 후방측에는 블록몸체의 중앙부로부터 뻗어있는 수평턱(8)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도1 참조). 수평턱(8)의 단부는 전면이탈 방지턱(7)과 같은 높이를 갖는 수직 둘출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블록을 1단 이상 축조할 시에, 상단 블록이 하단 블록의 전면이탈 방지턱(7)과 수평턱(8) 사이에 시공되므로 상단 블록이 앞뒤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축조식생블록(1)은 또한 지지대(9)를 포함한다. 지지대(9)는 블록몸체(6)의 후면 하단부에 일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어 있다. 지지대(9)는 블록(1)이 시공되었을 때 블록 뒷쪽의 보강토의 흙속에 파묻히게 되므로 블록(1)과 보강토 사이의 밀착성을 증가시켜서 블록(1)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대(9)는 2개의 긴 막대 형상을 하고 있으나, 지지대의 개수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5의 종래기술에서의 지지대(14)와 같이 선단부가 'ㄱ'자 모양으로 구부러진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ㅜ'자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축조식생블록(1)의 후면에는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수구(15)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구(15)는 초목류의 식물과 흙으로 채워진 식생공간으로 빗물 등이 들어올 경우 빗물 등이 식생공간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블록(1) 후면 하단부에 가로로 긴 직사각형 형태의 배수구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나, 선택적으로는 다수개의 작은 구멍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3은 도2a 내지 도2d에 도시된 상기 구성을 갖는 블록(1)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우측 블록(1)의 결합돌기(3)를 좌측 블록(1)의 결합홈(5)에 삽입함으로써, 도시된 것과 같이 블록(1)을 간단히 연결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블록의 블록몸체 및 이웃하는 블록의 블록몸체의 사이는 우측 블록의 상측 돌출부(2)와 좌측 블록의 하측 돌출부(4)의 결합에 의해 채워지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상측 돌출부(2)와 하측 돌출부(4)는 결 합돌기(3)와 결합홈(5)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맞물리기 때문에, 본 발명의 블록을 시공할 때에는 종래기술의 블록 시공시에서와 같이 별도의 볼트나 핀에 의해 두 블록의 연결을 고정시킬 필요가 없고, 결합돌기(3)와 결합홈(5)만을 연결시킴으로써 두 블록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할 경우, S자형의 좌,우 굴곡이 심한 지형에 블록을 시공할 경우에도 블록(1)과 블록(1) 사이의 틈새없이 그 지형에 맞게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측 돌출부(2) 및 하측 돌출부(4)가 원기둥 형태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돌출부(2,4)의 형태는 실시예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 단면이 8각형을 갖는 8각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결합돌기(3)과 결합홈(5)의 경우도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그 단면이 원모양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결합돌기(3)와 결합홈(5)의 단면이 다각형을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더욱이,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4b에 도시된 것처럼 결합돌기(3)와 결합홈(5)을 그 단면이 톱니바퀴와 같은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도4b에는 정확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좌측의 결합돌기(3)의 형태는 우측의 톱니바퀴 형상의 결합홈(5)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4a와 도4b가 동시에 구현되는 형태, 즉 돌출부(2,4)가 다각형 기둥형상을 함과 동시에 결합돌기(3)와 결합홈(5)도 그 단면이 다각형이거나 톱니바퀴 형태를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돌출부(2,4) 혹은 결합돌기(3)/결합홈(5)을 그 단면이 다각형 또는 톱니바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하게 하면 그 다각형 혹은 톱니바퀴 형상에 따라 돌출부(2,4) 및 결합돌기(3)/결합홈(5)이 결합하게 되 므로 블록(1)간의 연결이 한층 더 견고해질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좌,우 굴곡진 지형을 따라 옹벽을 축조한 경우 옹벽 뒷편의 흙더미에 의해 옹벽 일부분의 블록들이 압력을 받더라도 블록과 블록들이 다각형 형태의 모서리나 기어의 맞물림 등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밀착하고 있으므로 블록의 이탈을 방지하고 블록이 확실히 고정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블록과 블록의 연결이 상측 돌출부(2)의 결합돌기(3)와 하측 돌출부(4)의 결합홈(5)의 맞물림에 의해 연결되므로, 종래에 비해 훨씬 견고한 연결을 달성할 수 있고 'S'자 굴곡 등 어느 형태의 지형에서도 블록과 블록간의 틈새없이 그 지형에 맞게 시공할 수 있고, 또한 블록간의 틈새가 전혀 없으므로 토사유출을 방지하여 보강토의 침하작용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결합돌기(3)와 결합홈(5)의 맞물림에 의해 블록간을 간단하면서도 견고히 연결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별도의 볼트나 핀에 의해 블록사이를 고정시키던 종래방식에 비해 자재비, 인건비, 시간 등을 절약할 수 있다.
지금까지 구체적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연결식 축조식생블록에 있어서,
    블록몸체; 상기 블록몸체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방이 개방된 식생공간; 상기 블록몸체의 후면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 상기 블록몸체의 일측면의 상단부에서 상기 블록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의 상측 돌출부; 상기 블록몸체의 타측면의 하단부에서 상기 블록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의 하측 돌출부; 상기 상측 돌출부의 하측 표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결합돌기; 상기 하측 돌출부의 상측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홈; 상기 블록몸체의 후면 하단부에 형성된 하나이상의 배수구멍; 상기 블록몸체의 상단 전방측에 상기 블록몸체의 상측 표면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된 전면이탈 방지턱; 및 상기 블록몸체의 상단 후방측에 상기 블록몸체로부터 뻗어있고, 그 단부에는 상기 전면이탈 방지턱의 높이와 같은 높이의 수직돌출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턱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결합돌기 및 상기 결합홈의 수평 단면 형태는 다각형 또는 톱니바퀴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식 축조식생블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50010366A 2005-02-04 2005-02-04 연결식 축조식생블록 KR100878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366A KR100878716B1 (ko) 2005-02-04 2005-02-04 연결식 축조식생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366A KR100878716B1 (ko) 2005-02-04 2005-02-04 연결식 축조식생블록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785U Division KR200387146Y1 (ko) 2005-02-12 2005-02-12 연결식 옹벽축조용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9367A KR20060089367A (ko) 2006-08-09
KR100878716B1 true KR100878716B1 (ko) 2009-01-14

Family

ID=37177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0366A KR100878716B1 (ko) 2005-02-04 2005-02-04 연결식 축조식생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871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132B1 (ko) * 2009-06-25 2011-05-23 김영두 호안 보호 블록 지지용 기초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10612B1 (ko) 2010-08-20 2015-05-12 민승기 법면 보강용 블럭의 고정구
KR101937703B1 (ko) * 2018-07-16 2019-01-14 이진영 부토 비산 방지 장치
KR102086591B1 (ko) 2019-10-10 2020-03-09 주식회사 이랩 힌지 연결 반원형 단부를 갖는 힌지블록
KR20220094870A (ko) 2020-12-29 2022-07-06 주식회사 유진이노베이션 절개지용 식생블록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1889A (ja) * 1995-05-17 1996-11-26 Paritei Jipangu:Kk 可撓連結型擁壁ブロック
KR200275161Y1 (ko) 2001-12-10 2002-05-13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녹화용 옹벽블럭
KR200335073Y1 (ko) 2003-09-16 2003-12-01 합명회사 남부산업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1889A (ja) * 1995-05-17 1996-11-26 Paritei Jipangu:Kk 可撓連結型擁壁ブロック
KR200275161Y1 (ko) 2001-12-10 2002-05-13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녹화용 옹벽블럭
KR200335073Y1 (ko) 2003-09-16 2003-12-01 합명회사 남부산업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132B1 (ko) * 2009-06-25 2011-05-23 김영두 호안 보호 블록 지지용 기초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10612B1 (ko) 2010-08-20 2015-05-12 민승기 법면 보강용 블럭의 고정구
KR101937703B1 (ko) * 2018-07-16 2019-01-14 이진영 부토 비산 방지 장치
KR102086591B1 (ko) 2019-10-10 2020-03-09 주식회사 이랩 힌지 연결 반원형 단부를 갖는 힌지블록
KR20220094870A (ko) 2020-12-29 2022-07-06 주식회사 유진이노베이션 절개지용 식생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9367A (ko) 200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8716B1 (ko) 연결식 축조식생블록
KR101103142B1 (ko) 옹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135594B1 (ko)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KR200393052Y1 (ko)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
KR100665022B1 (ko) 보강토 옹벽 블록 및 연결구
KR200387146Y1 (ko) 연결식 옹벽축조용 블록
KR100505127B1 (ko) 보강토 옹벽용 조립체
KR101311257B1 (ko) 옹벽용 블록 구조
KR100803788B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20180106715A (ko)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KR200238747Y1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앵커 블록
US7326000B2 (en) Block for embankment
KR100392590B1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KR20170034280A (ko) 토목구조물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758601B1 (ko) 보강토 옹벽 블럭
KR101308822B1 (ko) 식생용 블록 및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US20060096180A1 (en) Retaining wall block and grid system
KR200354766Y1 (ko) 옹벽블럭
KR200398132Y1 (ko) 배수로용 블록
KR200436440Y1 (ko) 사다리형 금속 보강재 옹벽 블록
KR102124342B1 (ko) 식생이 가능한 절토부 조립형 중력식 녹식생 판넬
KR20200142308A (ko)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100593181B1 (ko)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135475B1 (ko) 스토퍼가 구비된 옹벽 블록 및 그 시공 방법
KR100770559B1 (ko) 옹벽축조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