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2590B1 -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 Google Patents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2590B1
KR100392590B1 KR10-2001-0016498A KR20010016498A KR100392590B1 KR 100392590 B1 KR100392590 B1 KR 100392590B1 KR 20010016498 A KR20010016498 A KR 20010016498A KR 100392590 B1 KR100392590 B1 KR 100392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taining wall
reinforcement
connecto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8743A (ko
Inventor
이준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Publication of KR20020008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8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5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소정형상의 블록몸체 및 서로 위로 겹치게 축조되는 상하블록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옹벽 축조용 블록을 개시한다. 블록몸체는 전방 몸체부, 후방 몸체부, 이들을 연결하는 넥크부를 구비하며, 그 상면에 X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포켓과, 그 하면에 양측면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핀 수용홈을 가진다. 또한, 블록몸체는 넥크부의 양측면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보강재 걸림홈을 구비한다. 블록상호연결수단은, 외주면이 포켓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장착되는 연결구와, 이 연결구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핀 수용홈에 삽입되는 연결핀을 구비한다. 연결핀은 연결구의 중심에 대하여 전방 또는 후방의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편심되게 배치된다. 이에 의하면, 하부블록의 연결핀이 상부블록의 핀 수용홈에 전후방향으로의 유동없이 삽입되기 때문에, 토압에 의해 상부블록이 밀리는 일이 없다. 또한, 토압에 의해 연결핀에 작용하는 응력이 타원형의 연결구를 통하여 분산되기 때문에, 응력집중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블록을 뒷채움 보강토 구간에 결속시키는 수단으로써 인장강도가 크고 신율변형이 거의 없는 보강재(철근 등)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지반의 변화 등에도 쉽게 붕괴되지 않는 옹벽을 축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BLOCK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흙, 돌 등이 흘러 내리고 붕괴되는 것에 대비하여 제방, 방파제, 해안도로 등의 경사면을 구축하기 위한 보강토 옹벽을 축조하는데 사용되는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보강토 옹벽은 콘크리트, 석조, 벽돌 및 석재나 콘크리트로 된 블록 등에 의해 여러가지 형태 및 방법으로 구축될 수 있으며, 여기서, 블록은 보강토 옹벽을 구축하기 위하여 횡렬로, 그리고 서로 위로 겹치게 축조된다. 보강토 옹벽을 축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블록의 예는 여러가지 형태가 알려지고 있는데, 그 중 한 예가 키스톤리테이닝월시스템스의 대한민국 특허 제 116843 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대한민국 특허 제 116843 호에 개시된 '벽 블록 및 벽 구조물'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은, 대향한 단부들을 가지는 전면(1), 상면(2), 하면(3) 및 전면(1)의 양 단부들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측면(4)(4')을 포함하는 블록몸체(5)를 구비한다. 또한,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은, 상기 블록몸체(5)의 상면(2)과 하면(3)의 어느 하나에 개방되고 상기 측면(4)(4')으로부터 간격진 아치형상(원호형 곡선장공)의 제 1 및 제 2 포켓(6)(6')과 핀(7)을 수용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핀구멍(8)(8')을 구비하는 블록상호연결수단을 가진다. 상기 제 1 핀구멍(8)은 상기 제 1 포켓(6)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이곳으로부터 측면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열되며, 상기 제 2 핀구멍(8')은 상기 제 2 포켓(6')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이곳으로부터 측면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열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포켓(6)(6')은 블록몸체(5)의 상면(2)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핀구멍(8)(8')은 블록몸체(5)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핀(7)은 그 하단부가 핀구멍(8)(8')을 통하여 블록몸체(5)의 하부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블록은 복수개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은 형태로 축조되어 옹벽을 구축하게 되는데, 상부블록(UB)의 핀구멍(8)(8')에 삽입된 핀이 하부블록(DB)의 포켓(6)(6')에 삽입됨으로써 상하블록(UB)(DB)의 결합위치가 정해지며, 이 때, 핀(7)이 포켓(6)(6')의 범위 내에서 유동함으로써 상부블록(UB)의 하부블록(DB)에 대한 결합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블록은 직선, 오목 및 블록한 곡선, 구불구불한 사형 및 원형 등의 조경적인 활용을 고려한 여러 축조방법으로 옹벽을 구축할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블록(UB)의 핀(7)을 하부블록(DB)의 포켓(6)(6')의 전단에 접촉하도록 상부블록(UB)을 계속해서 쌓아 올리는 방법으로 직립축조 형태의 옹벽을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블록(UB)의 핀(7)을 하부블록(DB)의 포켓(6)(6')의 후단에 접촉하도록 상부블록(UB)을 계속해서 쌓아 올리면, 포켓(6)(6')의 전후방향 길이에 해당하는 만큼 상부블록(UB)이 후퇴하여 축조되므로, 계단식 후퇴축조가 가능하게된다. 같은 원리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부블록의 일측 핀을 하부블록의 일측 포켓의 전단에, 상부블록의 타측 핀을 하부블록의 타측 포켓의 후단에 각각 접촉하도록 상부블록을 계속해서 쌓아 올리는 방법으로 굴곡지거나 만곡 축조되는 형태의 옹벽을 구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은, 포켓(6)(6')의 형상이 원호형 곡선장공 형태로 블록의 전후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 포켓(6)(6')에 삽입된 핀(7)이 포켓(6)(6')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옹벽의 축조시 상부블록의 핀(7)이 하부블록의 포켓(6)(6')의 전단에 접촉되도록 축조되는 직립축조시(도 3a 참조)에는 문제가 없으나, 상부블록의 핀(7)이 하부블록의 포켓(6)(6')의 후단에 접촉되도록 축조되는 계단식 후퇴축조시(도 3b참조)나 굴곡 및 만곡축조시에는 포켓(6)(6')에 삽입된 핀(7)의 앞쪽에 여유공간(C)이 생김으로써 토압에 의해 상부블록이 밀릴 수 있고, 이에 따라 계단식 후퇴축조 및 만곡축조에 의해 구축된 조경을 고려한 옹벽의 외관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블록에 의해 축조된 옹벽은, 상부블록(UB)의 핀(7)이 하부블록(DB)의 원호형 곡선장공 형태인 포켓(6)(6')의 벽면에 접촉된 상태로 토압에 의한 하중을 지지하고 있는데, 그 접촉면적이 매우 작기 때문에, 핀(7)에 집중응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 핀(7)과 접촉되는 포켓(6)(6')의 벽면 등으로부터 크랙이 발생될 수 있는 등 안전성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종래 보강토 옹벽을 축조하기 위한 블록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다른 예에 의한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은, 전면(11), 상면(12), 하면(13), 그리고, 상기 전면(11)의 양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측면(14)(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블록몸체(15)와, 상하블록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블록상호연결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블록상호연결수단은, 상기 양 측면(14)(14')으로부터 내측으로 간격져 블록몸체(15)의 X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직선장공형 제 1 및 제 2 포켓(16)(16')과, 핀(17)을 수용하기 위한 두 쌍의 제 1 및 제 2 핀구멍(18,18')(19,19')을 구비한다. 한 쌍의 상기 제 1 핀구멍(18)(18')은 상기 제 1 및 제 2 포켓(16)(16')의 동일 축선상에 위치하도록 내측으로 간격져 형성되고, 또 다른 한 쌍의 상기 제 2 핀구멍(19)(19')은 상기 제 1 핀구멍(18)(18')의 후방측으로 소정 간격만큼 후퇴된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포켓(16)(16')은 블록몸체(15)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뚫린 개구부를 이루며, 두 쌍의 상기 제 1 및 제 2 핀구멍(18,18')(19,19')은 블록몸체(15)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깊이까지만 파여져 있는 막힌 개구부를 이룬다.
이와 같이된 종래의 다른 예에 의한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은, 앞서 설명한 일 예와 마찬가지로 횡렬로 배치된 하부블록들의 상부에 상부블록이 엇갈리게 적층 배치되는 것에 의해 옹벽을 형성하게 되는데, 도 5a 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블록(DB)의 제 1 및 제 2 핀구멍(18,18')(19,19') 중의 어느 한 열에 핀(17)이 소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고정되고, 이 핀(17)의 돌출부위가 상부블록(UB)의 포켓(16)(16')에 삽입되는 형태로 축조된다. 이 때, 도 5a에서와 같이, 하부블록(DB)의 제 1 핀구멍(18)(18')에 핀(17)이 고정되면, 직립축조 형태의 옹벽이 구축될 수 있고, 도 5b에서와 같이 하부블록(DB)의 제 2 핀구멍(19)(19')에 핀(17)이 고정되면, 계단식 후퇴축조 형태의 옹벽이 구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다른 예에 의한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은, 블록몸체(15)의 X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전후방향의 폭이 비교적 좁은 직선장공 형상의 포켓(16)(16')을 구비하기 때문에, 이 포켓(16)(16')에 삽입되는 핀(17)이 전후방향으로 유동할 정도의 공간을 만들지 않게 되므로, 앞서 설명한 원호형 곡선장공 형태의 포켓(6)(6')을 가지는 블록에서 문제로 제기되었던 토압에 의한 상부블록의 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접촉면적이 작은 핀(17)과 포켓(16)(16')간의 연결구조에 의해 상하블록이 축조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핀(17)의 응력집중 현상에 의해 포켓(16)(16')의 취약한 벽면으로부터 크랙이 발생되는 문제는 피할 수 없다.
또한, 전술한 두 종류의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은 옹벽 축조시에 블록을 뒷채움 보강토 구간에 결속시키는 수단으로써 지오그리드를 사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 블록결속수단으로 사용된 지오그리드는 인장강도가 약하고 신율변형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지오그리드를 블록결속수단으로 사용하게 되면, 블록간의 결속이 약하여 작은 지반 변화 등에도 옹벽의 축조된 상태가 쉽게 변형되거나 붕괴될 수 있는 등 보강토 옹벽의 사용년한이 급격이 짧아질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상기한 지오그리드보다 인장강도가 크고 신율변형이 거의 없는 철근 등과 같은 보강재를 블록결속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전술한 종래의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들은 상기한 바와 같은 블록결속수단으로써 보강재를 사용할 수 있는 구조가 갖추어 있지 않아,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토압에 의해 상부블록이 밀리지 않아 최초에 축조된 옹벽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핀과 포켓의 접촉면적을 넓혀 핀에 작용하는 토압에 의한 응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집중응력에 의해 발생되는 제반 문제, 예컨대 블록의 크랙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축조되는 블록을 뒷채움 보강토 구간에 결속시키는 수단으로써 지오그리드에 비하여 인장강도가 크고 신율변형이 거의 없는 철근 등과 같은 보강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강토 옹벽의 사용년한을 연장함과 아울러 지반의 변화 등에 의해 보강토 옹벽이 쉽게 변형되거나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을 제공하는 있다.
도 1은 종래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의 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블록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축조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a 및 3b는 도 1의 블록을 이용한 직립 옹벽축조 및 계단식 후퇴 옹벽축조시 하부블록의 포켓에 대한 핀의 삽입위치를 각각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종래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 및 5b는 도 4의 블록을 이용한 직립 옹벽축조 및 계단식 후퇴 옹벽축조시 핀의 삽입위치를 각각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의 저면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나타낸 블록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축조 예를 보인 사시도,
도 9a 및 9b는 도 6의 블록을 이용한 직립 옹벽축조 및 계단식 후퇴 옹벽축조시 핀의 위치를 각각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을 나타낸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블록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축조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120,220,320,420;블록몸체 20a,120a,220a,320a,420a;전방 몸체부
20b,120b,220b,320b,420b;후방 몸체부
20c,120c,220c,320c,420c;넥크부 21,121,221,321,421;몸체의 전면
22,122,222,322,422;몸체의 상면 23,123,223,323,423;몸체의 하면
24,124,224,324,424; 24',124',224',324',424';몸체의 양 측면
26,126,226,326,426; 26',126',226',326',426';포켓
27,127,227,327,427;핀 수용홈 428;보강재 걸림홈
428a;호형 안착부 30,130,230,330,430;블록상호연결수단
31,131,231,331,431; 31',131',231',331',431';연결구
32,132,232,332,432; 32',132',232',332',432';연결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은, 전방 몸체부, 후방 몸체부 및 이들을 연결하는 넥크부를 구비하며, 전면, 상면, 하면 및 전면의 양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측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블록몸체와, 서로 위로 겹치게 축조되는 상하블록을 연결하기 위한 블록상호연결수단을 구비한다.
블록몸체는 그 상면에 몸체의 X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포켓과, 그 하면에 몸체의 양측면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핀 수용홈을 가진다. 또한 블록몸체는 넥크부의 상,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넥크부의 양측면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보강재 걸림홈을 가질 수 있다. 이 보강재 걸림홈에는 옹벽 축조시 블록을 뒷채움 보강토 구간에 결속시키는 수단으로써 인장강도가 크고 신율변형이 거의 없는 철근 등과 같은 보강재가 삽입된다. 따라서, 블록간의 결속을 강화시킬 수 있고, 또 지반의 변화 등에도 옹벽이 쉽게 변형되거나 붕괴되는 일이 없다. 상기 보강재 걸림홈의 일측에는 보강재와의 접촉면적을 크게 함과 동시에 보강재가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호형 안착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블록상호연결수단은 그 외주면이 포켓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포켓에 삽입,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구와, 이 연결구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각각 돌출되며 그 돌출부위가 상부블록의 핀 수용홈에 삽입되는 연결핀을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은, 연결핀이 연결구의 중심에 대하여 전방 또는 후방의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편심되게 배치된다. 이에 의해 연결구의 포켓에 대한 장착위치를 반대로 하는 것에 의해 직립축조 또는 계단식 후퇴축조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연결핀은 연결구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 연결구에 소정깊이의 핀구멍을 형성하여 이 핀구멍에 연결핀의 단부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포켓은 블록몸체의 상면에만 개방되는 하부 막힘형 개구부로 형성될 수도 있고, 블록몸체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하부 개방형 개구부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포켓과 연결구는 타원형, 원형,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집중응력의 효과적인 분산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타원형이나 원형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첨부한 도 6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이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은, 소정 형상의 블록몸체(20)와, 서로 위로 겹치게 축조되는 상하블록(UB,DB;도 8 참조)을 연결하기 위한 블록상호연결수단(30)을 구비한다.
상기 블록몸체(20)는 전방 몸체부(20a)와 후방 몸체부(20b)가 넥크부(20c)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전면(21), 상면(22), 하면(23) 및 상기 전면(21)의 양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측면(24)(24')을 가진다. 상기 전면(21)은 직선부의 양측으로 경사부가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나, 그 구체적인 형상을 도시예의 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체적인 원호 형태를 이룰 수 있는 등 미관을 고려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전면(21)에는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하고 있으나, 여러가지 무늬가 도안될 수 있다. 상기 양 측면(24)(24')은 블록몸체(20)의 후방으로 갈수록 축소되다가 어느 지점에 이르러 직선 형태를 이루고 이로부터 다시 확장되는 형상의 프로파일을 갖는다. 이는 강도및 재료비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지는데, 같은 이유로 블록몸체(20)의 소정 부위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세로방향구멍(2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몸체(20)는 그의 양 측면(24)(24')으로부터 내측으로 간격져 형성되는 한 쌍의 타원형 포켓(26)(26')과, 그의 하면(23)에 양 측면(24)(24')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핀 수용홈(27)을 가진다. 상기 한 쌍의 타원형 포켓(26)(26')은 블록몸체(20)의 X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상기 핀 수용홈(27)은 블록몸체(20)의 하면(23)에 상기 한 쌍의 타원형 포켓(26)(26')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타원형 포켓(26)(26')은 블록몸체(20)의 상면(22)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파여지는 하부 막힘형 개구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블록몸체(20)의 상하면(22)(23)을 관통하는 하부 개방형 개구부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블록상호연결수단(30)은, 한 쌍의 타원형 연결구(31)(31')와 이들 연결구(31)(31')로부터 각각 상향 돌출되는 연결핀(32)(32')을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타원형 연결구(31)(31')는 그 외주면이 상기 한 쌍의 타원형 포켓(26)(26')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상태로 상기 포켓(26)(26')에 삽입 장착된다. 이러한 연결구(31)(31')는 콘크리트나 플라스틱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31)(31')가 포켓(26)(26')에 장착된 후 연결구(31)(31')의 상면과 블록몸체(20)의 상면(22)은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핀(32)(32')은 연결구(31)(31')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도면에서와 같이, 연결구(31)(31')의 상면에 형성된 핀구멍(31a)에 그 일단이 삽입되는것에 의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핀(32)(32')은 콘크리트, 플라스틱 합성수지 또는 철이나 강과 같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강도면에서 본다면, 철이나 강과 같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핀(32)(32')의 고정에 있어서도, 연결구(31)(31')의 상면에 핀구멍(31a)을 형성하여 이에 금속제 연결핀(32)(32')을 끼워 고정하는 방법이 강도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핀(32)(32')의 돌출부위는 상부블록(UB)의 핀 수용홈(27)에 삽입되며, 이에 의해 상하블록(UB)(DB)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핀(32)(32')은 연결구(31)(31')의 중심에 대하여 전방 또는 후방 중의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편심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구(31)(31')의 포켓(26)(26')에 대한 장착위치를 서로 반대로 하여 장착하게 되면, 상기 연결핀(32)(32')의 편심량에 상당하는 길이만큼 하부블록(DB)에 대한 상부블록(UB)의 결합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것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블록은 직립 옹벽축조는 물론 계단식 후퇴 옹벽축조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블록을 이용한 옹벽 축조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하부블록(DB)이 횡렬로 배열되고, 그 위에 다수의 상부블록(UB)이 엇갈리게 횡렬로 배열되는 과정의 반복으로 이루어지는데, 하부블록(DB)의 포켓(26)(26')에 장착된 연결구(31)(31')의 연결핀(32)(32')이 상부블록(UB)의 핀 수용홈(27)에 삽입되는 형태로 각각의 상하블록이 축조된다. 이 때, 핀 수용홈(27)이 블록몸체(20)의 X축 방향을 따라 폭이 좁은 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핀 수용홈(27) 내에서의 연결핀(32)(32')의 전후 방향으로의 유동공간이 없어, 토압에 의해 상부블록이 밀리는 일이 없다. 또한, 상하블록이 면적이 큰 타원형상의 포켓(26)(26')과 연결구(31)(31')에 의해 연결되어 지지되기 때문에, 연결핀(32)(32')에 가해지는 응력이 분산되며, 따라서, 연결핀(32)(32')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첨부한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블록에 의한 보강토 옹벽 축조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9a는 직립 옹벽축조를, 도 9b는 계단식 후퇴 옹벽축조를 각각 나타낸다.
이러한 옹벽 축조 형태는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구(31)(31')의 연결핀(32)(32')의 배치가 중심에 대하여 편심되게 배치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즉, 직립 옹벽축조의 경우는 도 9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구(31)(31')의 연결핀(32)(32')이 블록의 전방을 향하도록 연결구(31)(31')가 블록의 포켓에 장착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부블록(UB)을 계속해서 쌓아 올리면, 옹벽의 전면이 일직선을 이루는 직립축조 형태의 옹벽이 구축된다.
반대로, 도 9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31)(31')를 그의 연결핀(32)(32')이 블록의 후방을 향하도록 포켓에 장착하게 되면, 그 위에 쌓아 올려지는 상부블록(UB)들은 연결핀(32)(32')의 편심량에 상당하는 양만큼 후퇴하여 축조되게 되며, 결과적으로, 옹벽의 전면이 계단형태를 이루는 계단식 후퇴축조 형태의 옹벽이 구축되게 된다.
한편, 첨부한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블록은, 포켓(126)(126')과 이에 삽입, 장착되는 연결구(131)(131')의 형상이 원형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연관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한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을 나타낸다.
이 또한,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의한 블록과 포켓(226)(226')의 형상 및 연결구(231)(231')의 형상이 정사각형으로 달리 형성된다고 하는 점을 제외하면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여기서도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연관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한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블록은, 블록몸체(320)의 포켓(326)이 하나의 사각 장홈 형태로 블록몸체(320)의 상면으로 개방되도록 블록몸체(320)의 양 측면(324)(324')을 가로질러 형성되며, 이 포켓(326)에 삽입, 장착되는 연결구(331) 또한 상기 포켓(326)의 형상과 대응되는 하나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직사각형의 연결구(331)는 양측의 핀구멍(331a)(331a)을 중심으로 2분할 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외 다른 여타 구성 및 작용은 앞서 설명한 여러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연관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한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및 이 블록에 의해 축조되는 보강토 옹벽을 각각 나타낸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예 의한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과 기본적인 구조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의 참조부호와 연관된 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에서 특이한 점은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블록몸체(420)를 이루는 넥크부(420c)의 상면에 이 넥크부(420c)의 양 측면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보강재 걸림홈(428)이 구비되어 있다는 것이다.
상기 보강재 걸림홈(428)에는 옹벽 축조시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블록을 뒷채움 보강토 구간에 결속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인장강도가 크고 신율변형이 거의 없는 철근 등과 같은 보강재(500)가 사용될 때, 이 보강재(50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즉, 기존의 블록들에서는 블록결속수단으로써 인장강도가 비교적 약하고 신율변형이 큰 지오그리드 등을 사용함으로써 옹벽의 구조적인 취약점이 나타날 소지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블록에서는 상기와 같은 보강재(500)를 블록결속수단으로 사용하여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블록간의 결속력이 강화될 수 있고, 또 지반의 변화 등에도 쉽게 붕괴되지 않는 안전한 옹벽을 축조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옹벽 축조용 블록은 블록결속수단으로써 기존의 지오그리드와 보강재(500)를 함께 사용하면서 옹벽을 시공할 수도 있는 바, 이 경우 보다 안전한 옹벽을 구축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서는 상기 보강재 걸림홈(428)이 넥크부(420c)의 상면에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를 꼭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보강재 걸림홈(428)은 넥크부(420c)의 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또 넥크부(420c)의 상,하면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 걸림홈(428)의 일측,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강재(500)가 걸려 지지되는 면에는 보강재(500)와의 접촉면적을 크게 함과 동시에 보강재(500)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호형 안착부(428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호형 안착부(428a)에 안착되면서 상기 보강재 걸림홈(428)에 삽입된 보강재(500)는 지반의 변화 등으로 블록들이 움직인다 하더라도 보강재 걸림홈(428)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고, 블록들을 견고하게 결속시키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블록에서의 주요부인 보강재 걸림홈(428)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 2, 제 3 및 제 4 실시예에 의한 블록에도 공히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옹벽의 축조시 하부블록의 연결핀이 상부블록의 폭이 좁은 핀 수용홈에 유동하지 않도록 삽입된 상태로 상하블록이 축조되기 때문에, 서로 연결된 블록들이 토압에 의해 밀리지 않게 되며, 따라서, 계단식 후퇴축조 방식 등에 의해 축조된 옹벽의 외관 형상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옹벽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하블록이 접촉면적이 큰 타원형(또는 원형) 포켓과 연결구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지지되기 때문에, 토압에 의해 연결부에 작용하는 하중이 한 곳에 집중되지 않고 분산됨으로써, 종래와 같은 핀의 응력집중에 의한 블록의 크랙 현상 등과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옹벽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핀이 삽입되는 핀 수용홈이 블록몸체의 양측면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블록의 축조시 연결핀대 핀 수용홈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시공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블록몸체의 넥크부에 보강재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옹벽 축조시 블록을 뒷채움 보강토 구간에 결속시키는 수단으로써 인장강도가 크고 신율변형이 거의 없는 철근 등과 같은 보강재를 독자적으로 또는 지오그리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블록간의 결속력이 강화됨은 물론 지반의 변화에도 옹벽의 형태가 쉽게 변형되거나 붕괴되는 일이 없으며, 이로 인해 옹벽의 사용년한이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1)

  1. 전방 몸체부, 후방 몸체부 및 이들을 연결하는 넥크부를 구비하며, 전면, 상면, 하면 및 상기 전면의 양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측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블록몸체와, 서로 위로 겹치게 축조되는 상하블록을 연결하기 위한 블록상호연결수단을 구비하는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는 그 상면에 블록몸체의 X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포켓과, 그 하면에 블록몸체의 양 측면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핀 수용홈을 가지며;
    상기 블록상호연결수단은 그 외주면이 상기 포켓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포켓에 삽입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구와, 이 연결구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각각 돌출되며 그 돌출부위가 상기 핀 수용홈에 삽입되는 연결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은 상기 연결구의 중심에 대하여 전방 또는 후방의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편심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의 상면에는 핀구멍이 소정 깊이로 형성되고, 이 핀구멍에 상기연결핀의 단부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연결핀이 연결구에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상기 블록몸체의 상면으로만 개방되는 하부 막힘형 개구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상기 블록몸체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하부 개방형 개구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과 상기 연결구가 타원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과 상기 연결구가 원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의 넥크부의 상,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블록을 뒤채움 보강토 구간에 결속시키는 수단으로써 사용되는 보강재가 삽입되는 보강재 걸림홈이 넥크부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 걸림홈의 일측에는 상기 보강재와의 접촉면적을 크게 함과 아울러 상기 보강재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호형 안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10. 전방 몸체부, 후방 몸체부 및 이들을 연결하는 넥크부를 구비하며, 전면, 상면, 하면 및 상기 전면의 양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측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블록몸체와, 서로 위로 겹치게 축조되는 상하블록을 연결하기 위한 블록상호연결수단을 구비하는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는 그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블록몸체의 X축 방향을 따라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상면에 대하여 개방된 한 쌍의 타원형 포켓과, 그 하면에 블록몸체의 양 측면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며 하면에 대하여 개방된 핀 수용홈을 가지며;
    상기 블록상호연결수단은 그 외주면이 상기 포켓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한 쌍의 포켓에 각각 삽입 장착되는 타원형 단면을 가지는 한 쌍의 연결구와, 이 한 쌍의 연결구의 상면에 각각 돌설되되 연결구의 중심에 대하여 전방 또는 후방의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편심되게 배치되며 그 돌출부위가 상기 핀 수용홈에 삽입되는 연결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11. 전방 몸체부, 후방 몸체부 및 이들을 연결하는 넥크부를 구비하며, 전면, 상면, 하면 및 상기 전면의 양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측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블록몸체와, 서로 위로 겹치게 축조되는 상하블록을 연결하기 위한 블록상호연결수단을 구비하는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는 그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몸체의 X축 방향을 따라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상면에 대하여 개방된 한 쌍의 타원형 포켓과, 그 하면에 몸체의 양 측면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며 하면에 대하여 개방된 핀 수용홈과, 블록을 뒷채움 보강토 구간에 결속시키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보강재를 걸어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넥크부의 상,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넥크부의 양측면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홈으로써 보강재와의 접촉면적을 크게 함과 동시에 보강재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호형 안착부가 구비된 보강재 걸림홈을 가지며;
    상기 블록상호연결수단은 그 외주면이 상기 포켓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한 쌍의 포켓에 각각 삽입 장착되는 타원형 단면을 가지는 한 쌍의 연결구와, 이 한 쌍의 연결구의 상면에 각각 돌설되되 연결구의 중심에 대하여 전방 또는 후방의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편심되게 배치되며 그 돌출부위가 상기 핀 수용홈에 삽입되는 연결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KR10-2001-0016498A 2000-07-21 2001-03-29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KR1003925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1996 2000-07-21
KR1020000041996 2000-07-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8743A KR20020008743A (ko) 2002-01-31
KR100392590B1 true KR100392590B1 (ko) 2003-07-23

Family

ID=19679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498A KR100392590B1 (ko) 2000-07-21 2001-03-29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25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290B1 (ko) 2007-01-24 2008-03-13 홍석주 보강토 옹벽용 블록
KR101680199B1 (ko) 2015-09-14 2016-12-06 강영생 합성수지로 성형된 옹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88842B2 (en) 2004-02-13 2011-02-15 University Of Maine System Board Of Trustees Ultra-thin film electrodes and protective layer for high temperature device applications
WO2007004772A1 (en) * 2005-07-04 2007-01-11 Jeung Su Lee A block for constructing reinforced earth wall
KR101032476B1 (ko) * 2008-01-31 2011-05-06 (주)에스오씨산업 강봉을 이용한 블럭식 암버럭 옹벽
KR101024064B1 (ko) * 2008-09-09 2011-03-22 문광균 사면절토 옹벽용 블록 시공방법
CN108442403A (zh) * 2018-04-08 2018-08-24 胡凯燕 一种连体花池式生态挡土砌块及装配式挡土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290B1 (ko) 2007-01-24 2008-03-13 홍석주 보강토 옹벽용 블록
KR101680199B1 (ko) 2015-09-14 2016-12-06 강영생 합성수지로 성형된 옹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8743A (ko) 2002-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12591C (en) Block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setback locator therefor
KR980002478A (ko)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축조공법
JP3329737B2 (ja) 擁壁用ブロック及び同ブロックを使用した擁壁の構築方法
KR100392590B1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KR100683972B1 (ko) 블록식 보강토 옹벽
KR200393052Y1 (ko)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
KR200238747Y1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앵커 블록
KR100878716B1 (ko) 연결식 축조식생블록
KR101311257B1 (ko) 옹벽용 블록 구조
KR200339448Y1 (ko) 보강토 옹벽용 블록
KR200217586Y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20170034280A (ko) 토목구조물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0354134Y1 (ko) 블록식 보강토 옹벽
KR102273710B1 (ko) 시공성 및 지지력이 향상된 옹벽블록 조립체
KR100430530B1 (ko) 옹벽용 블록
KR100386406B1 (ko)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축조방법
KR200387146Y1 (ko) 연결식 옹벽축조용 블록
JP2880905B2 (ja) 補強土構造物
KR200496568Y1 (ko) 횡방향 물결 쌓기가 가능한 옹벽블록
KR200232404Y1 (ko) 옹벽 축조용 블록
JP3374975B2 (ja) 補強土構造体
KR200308702Y1 (ko) 다기능 옹벽용 블록
KR100506749B1 (ko) 매립물을 보강하기 위한 벽 및 상기 벽을 고정하는 고정요소
KR200235098Y1 (ko) 옹벽용 블록
KR20050041773A (ko) 보강토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