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8702Y1 - 다기능 옹벽용 블록 - Google Patents

다기능 옹벽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8702Y1
KR200308702Y1 KR20-2002-0020622U KR20020020622U KR200308702Y1 KR 200308702 Y1 KR200308702 Y1 KR 200308702Y1 KR 20020020622 U KR20020020622 U KR 20020020622U KR 200308702 Y1 KR200308702 Y1 KR 2003087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ceiving groove
retaining wall
pad
pad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6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문선
Original Assignee
조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문선 filed Critical 조문선
Priority to KR20-2002-00206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87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87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87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4Geogr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보강토 옹벽의 수직축조 및 후퇴축조가 선택적으로 가능하면서 보강재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다기능 옹벽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뒤쪽으로 갈수록 점차 그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상하 관통되게 채움구가 형성되어 있는 옹벽용 블록에 있어서, 블록 상면의 채움구 좌우에는 가로방향으로 패드수용홈을 각각 형성하고, 블록 하면의 패드수용홈 대응부위에는 패드수용홈보다는 폭이 좁은 돌기를 각각 형성하여 패드수용홈과 돌기가 서로 끼워맞춤될 수 있게 하며, 패드수용홈과 돌기의 폭 차이보다는 폭이 좁은 패드를 더 구비하여 패드수용홈과 돌기의 사이에 끼울 수 있게 구성하고, 블록 상면의 채움구 중앙으로부터 후단부까지 세로방향의 보강재수용홈을 각각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별도의 커넥터없이도 상하의 블록간 결합이 이루어져 구조적인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패드없이 그대로 시공하게 되면 수직축조가 이루어지고 패드를 볼록 상부의 패드수용홈에 삽입한 상태로 시공하게 되면 후퇴축조가 이루어져 간단한 시공이 가능해지고, 패드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어 옹벽의 각도를 지형 또는 요구되는 외관에 맞게 조정할 수 있으며, 상하의 블록 사이의 이격없이 와이어매쉬 또는 지오그리드와 같은 보강재를 결속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어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옹벽용 블록{Block having many function for breast wall}
본 고안은 다기능 옹벽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강토 옹벽의 수직축조 및 후퇴축조가 선택적으로 가능하면서 보강재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제방이나 방파제 또는 도로 측벽에 형성된 토사는 쉽게 전단되거나 외압에 의하여 쉽게 변형되므로 이를 막기 위하여 제방 등의 측벽에 석재나 콘크리트 등으로 된 옹벽용 블록(이하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 구조물을 축조하고 있다.
이러한 옹벽의 구축시에는 블록을 횡렬로, 그리고 서로 위로 겹치게 축조하게 되는데, 블록을 수직방향으로 곧게 쌓아올리는 수직축조나, 블록을 위로 갈수록 조금씩 후퇴되게 쌓아올리는 후퇴축조가 모두 가능하도록 고안된 블록이 수종 안출된 바 있다.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블록들은 대부분 비대칭의 커넥터를 구비하여 수직축조 또는 후퇴축조에 따라 커넥터의 방향을 반대방향으로 끼워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고 있으므로 구조가 복잡한 커넥터를 별도로 제조하여야 하고 이를 끼우기 위한 홈을 블록에 구성해야 하였으므로 제조원가가 증가되었고, 커넥터를 일일이 빼내어 다시 끼우는 동작이 필요하여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으며, 커넥터의 사이즈가 고정되어 있어 일정한 각으로 후퇴축조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지형에 따라 최적의 각도를 선택하여 후퇴축조하는 것은 불가능하였으므로 옹벽붕괴사고의 원인이 되고 있다.또한, 블록과 블록의 사이의 간격은 긴밀히 유지하면서도 그 사이에 와이어 매쉬 또는 지오그리드와 같은 보강재를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의 블록은 전무하여 불가분 블록과 블록의 사이가 이격될 수밖에 없었으며, 이와 같이 블록의 사이가 이격되면 지지력이 약하게 되어 오랜 시간 압력을 받게 되면 붕괴될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약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블록 상면의 채움구 좌우에는 가로방향으로 패드수용홈을 형성하고, 블록 하면의 패드수용홈 대응부위에는 패드수용홈보다는 폭이 좁은 돌기를 형성하여 패드수용홈과 돌기가 서로 끼워맞춤될 수 있게 하며, 패드수용홈과 돌기의 폭 차이보다는 폭이 좁은 패드를 구비하여 선택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패드가 없는 상태에서는 수직축조가 가능하고 패드를 끼울 경우에는 후퇴축조가 가능하며, 패드의 사이즈를 다양하게 하여 옹벽의 각도를 임의로 축조할 수 있게 하는 다기능 옹벽용 벽돌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견지로는, 블록 상면의 채움구로부터 후방으로 세로방향의 보강재수용홈을 형성하여 블록과 블록의 사이는 틈새없이 긴밀히 유지하면서도 지오그리드 또는 와이어매쉬 등의 보강재를 결속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옹벽의 구조적인 강도를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옹벽용 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옹벽용 블록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옹벽용 블록의 수직축조시 상태도로서,
(a)는 사시도.
(b)는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옹벽용 블록의 후퇴축조시 상태도로서,
(a)는 사시도.
(b)는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옹벽용 블록의 보강재 설치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블록 101, 102 : 채움구
103 : 패드수용홈 104 : 돌기
105 : 패드 106 : 보강재수용홈
107 : 보강재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옹벽용 블록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뒤쪽으로 갈수록 점차 그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상하 관통되게 2개의 채움구(101)(102)가 형성되어 있는 옹벽용 블록(100)에 있어서, 블록(100) 상면의 채움구(101) 좌우에는 가로방향으로 패드수용홈(103)을 형성하고, 블록(100) 하면의 패드수용홈 대응부위에는 패드수용홈(103)보다는 폭이 좁은 돌기(104)를 형성하여 패드수용홈(103)과 돌기(104)가 서로 끼워맞춤될 수 있게 하며, 패드수용홈(103)과 돌기(104)의 폭 차이보다는 폭이 좁은 패드(105)를 더 구비하여 패드수용홈(103)과 돌기(104)의 사이에 끼울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블록(105) 상면의 채움구(101) 중앙으로부터 후단부까지 세로방향의 보강재수용홈(106)을 각각 형성하여서 된다.
이때, 돌기(104)는 안쪽보다는 바깥쪽의 폭이 좁고 고정단측보다는 자유단측폭이 좁은 사다리꼴로 구성하여 패드수용홈(103)에 삽입하기 용이하게 구성하고, 패드(105)는 신율변형이 없는 철강을 소재로 하여 막대형태로 제작하게 되며 폭을 다르게 하여 여러개 구비함으로써 옹벽의 각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다.
아울러, 보강재수용홈(106)를 통해 결속되는 보강재(107)는 지오그리드나, 강철소재의 내신축성, 내부식성 소재로 된 와이어매쉬로 구성할 수 있으며, 블록(100)의 면과 면이 만나는 각각의 변은 라운드지게 구성하여 시공시 안전성을 도모하게 되고, 후미의 채움구(102)와 후단부 사이의 간격은 손가락 두마디 정도 두께(3cm이상)로 구성하여 블록(100)의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시공시 보다 용이하게 블록(100)을 잡을 수 있게 하여 안전성과 작업능률을 높이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옹벽용 블록은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먼저, 블록(100)을 수직축조할 경우에는 패드(105)없이 그대로 축조하면 되는데, 도 3과 같이 하부측 블록(100)의 위쪽에 상부측 블록(100)을 어긋나게 하여 올려놓게 되면 상부측 블록(100)의 하면에 형성된 돌기(104)가 하부측의 블록(100)의 상면에 형성된 패드수용홈(103)에 끼워지게 되며, 상부측 블록(100)을 하부측 블록(100)의 위쪽에 올려놓을 때 돌기(104)가 패드수용홈(103)의 앞쪽에 밀착되게 하면 각 블록(100)의 선단이 수직상으로 동일 위치가 되어 수직축조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는 달리, 블록(100)을 후퇴축조할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패드(105)를 패드수용홈(103)의 앞쪽에 밀착되게 삽입한 상태에서 그 위에 블록(100)을 올려놓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는 상부측 블록(100)을 하부측 블록(100)의 위쪽에 올려놓을 때 돌기(104)가 패드(105)의 뒤쪽에 밀착되게 하는 것이므로 상부측 블록(100)은 하부측 블록(100)보다 패드(105)의 폭만큼 후퇴될 수밖에 없는 것이며, 이를 반복하면 일정한 각도로 후퇴된 옹벽을 축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패드(105)를 삽입함에 따라 지지력이 향상되어 옹벽의 높이가 높아지더라도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블록(100)의 하중을 원활히 견딜 수 있어 구조적인 안정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고안에서는 폭이 다른 여러개의 패드(105)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원하는 폭을 가진 패드(105)를 선택하여 사용하게 되면 지형에 따라 요구되는 최적의 각도 또는 외관 향상을 위한 다양한 각도의 옹벽을 축조할 수 있다.아래 [표 1]은 패드(105)의 폭을 1cm단위로 했을 때의 본 고안에 따른 옹벽의 각도를 나타낸 것이며, 옹벽의 두께, 패드수용홈(103)으로부터 전단부까지의 길이 등은 일반적인 옹벽용 블럭과 동일하므로 표시 생략하였다.[표 1]한편, 본 고안에 따른 블록(100) 상면의 채움구(101) 중앙으로부터 후단부까지 세로방향의 보강재수용홈(106)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5와 같이 옹벽의 축조시 하부측 블록(100)과 상부측 블록(100)의 사이는 틈새없이 긴밀히 유지하면서도 가로방향의 패드수용홈(103)과 세로방향의 보강재수용홈(106)을 통해 지오그리드 또는 와이어매쉬 등의 보강재(107)를 결속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옹벽 자체의 구조적인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시공자의 의도대로 지오그리드 또는 와이어매쉬와 같은 보강재(107)를 임의로 선택하여 시공할 수 있으며, 옹벽을 높게 축조해야 하는 시공구간의 경우에는 보강재(107)로서 지오그리드와 와이어매쉬를 함께 포설할 수 있어 보강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그리고, 블록(100)의 면과 면이 만나는 각각의 변이 라운드지게 구성되어 있어 블록(100)의 이동이나 시공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블록(100)후미의 채움구(102)와 후단부 사이의 간격이 손가락 두마디 정도 두께(3cm이상)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블록의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시공시 보다 용이하게 블록(100)을 잡을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으며, 블록(100)을 적재하여 이동시킬 때 블록(100) 상면의 패드수용홈(103)에 블록(100) 하면의 돌기(104)가 삽입·밀착되면서 적재될 수 있어 이동시에 약간의 흔들림이 발생되어도 적재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물류이동이 가능한 부수적인 이점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블록의 상부에는 패드수용홈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이에 대응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별도의 커넥터없이도 상하의 블록간 결합이 이루어져 토압에 의해 절대 밀리지 않는 구조적인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패드없이 그대로 시공하게 되면 수직축조가 이루어지고 패드를 블록 상부의 패드수용홈에 삽입한 상태로 시공하게 되면 후퇴축조가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일반적인 옹벽용 블럭에서 커넥터를 빼내어 다시 끼우는 것과 같은 작업상의 번거로움없이도 간단한 시공이 가능해지는 것이고, 이러한 패드가 서로 다른 폭을 가지고 여러개 구비되므로 시공자가 최적의 패드를 선택하여 옹벽의 각도를 지형 또는 요구되는 외관에 맞게 임의로 조정할 수 있으며, 패드가 블록의 가로방향 전체에 얹혀지게 되므로 블록의 지지력이 향상되어 옹벽의 구조적인 강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블록의 세로방향으로 보강재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하의 블록 사이의 이격없이 와이어매쉬 또는 지오그리드와 같은 보강재를 결속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어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시공시 보강재를 선택하여 시공할 수도 있고, 옹벽이 높게 축조되는 경우에는 보강재로서 와이어매쉬와 지오그리드를 함께 포설할 수 있어 보강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뒤쪽으로 갈수록 점차 그 폭이 좁하지게 형성되며, 상하 관통되게 채움구(101)(102)가 형성되어 있는 옹벽용 블록(100)에 있어서,
    상기 블록(100) 상면의 채움구(101) 좌우에는 가로방향으로 패드수용홈(103)을 형성하고, 상기 블록(100) 하면의 패드수용홈 대응부위에는 상기 패드수용홈(103)보다는 폭이 좁은 돌기(104)를 형성하여 상기 패드수용홈(103)과 상기 돌기(104)가 서로 끼워맞춤될 수 있게 하며;
    상기 패드수용홈(103)과 상기 돌기(104)의 폭 차이보다는 폭이 좁은 패드(105)를 더 구비하여 상기 패드수용홈(103)과 상기 돌기(104)의 사이에 끼울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옹벽용 벽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00) 상면의 채움구(101) 중앙으로부터 후단부까지 세로방향의 보강재수용홈(106)을 각각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옹벽용 벽돌.
  3. 삭제
  4. 삭제
KR20-2002-0020622U 2002-07-09 2002-07-09 다기능 옹벽용 블록 KR2003087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622U KR200308702Y1 (ko) 2002-07-09 2002-07-09 다기능 옹벽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622U KR200308702Y1 (ko) 2002-07-09 2002-07-09 다기능 옹벽용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8702Y1 true KR200308702Y1 (ko) 2003-03-28

Family

ID=49403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622U KR200308702Y1 (ko) 2002-07-09 2002-07-09 다기능 옹벽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870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238B1 (ko) * 2004-09-02 2007-01-02 홍종백 보강토 옹벽용 블록
KR100829241B1 (ko) 2007-10-04 2008-05-14 (주)대양콘크리트 친환경 식생블럭의 제조방법
KR101468194B1 (ko) * 2014-05-12 2014-12-08 (주)솔프로이앤이 해안블록 및 해안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축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238B1 (ko) * 2004-09-02 2007-01-02 홍종백 보강토 옹벽용 블록
KR100829241B1 (ko) 2007-10-04 2008-05-14 (주)대양콘크리트 친환경 식생블럭의 제조방법
KR101468194B1 (ko) * 2014-05-12 2014-12-08 (주)솔프로이앤이 해안블록 및 해안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축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13181C (en) Connecting device
KR100862385B1 (ko) 각형 널말뚝과 그것을 이용한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80004985A (ko) Cip파일 연속벽구조
KR20100026433A (ko) 마감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20190022240A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KR100980860B1 (ko) 보강토 옹벽 고정수단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KR200308702Y1 (ko) 다기능 옹벽용 블록
KR200429718Y1 (ko)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록
KR100998502B1 (ko) 전단키와 강관을 구비한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
KR200238747Y1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앵커 블록
CN111511992A (zh) 薄而稳定的分段式墙块以及土壤加固系统和方法
KR101338376B1 (ko) 랩블록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20170034280A (ko) 토목구조물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060089367A (ko) 연결식 옹벽축조용 블록
KR100392590B1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KR101005352B1 (ko)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옹벽
JP2880905B2 (ja) 補強土構造物
KR100497796B1 (ko) 바형 그리드 및 그를 이용한 블럭옹벽의 보강구조
KR102316590B1 (ko) 결속력이 상승된 그리드가 구비된 옹벽연결구조
KR102587240B1 (ko) 흙막이 벽체용 강재 조립 엄지파일
KR20120000391A (ko) 경사판 앵커부재를 구비한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100993140B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102316592B1 (ko) 결합력을 상승시킨 옹벽연결구조
KR102112678B1 (ko) 결속블록을 구비한 보강토 옹벽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KR100991664B1 (ko) 긴장력에 의해 일체화된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