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9241B1 - 친환경 식생블럭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식생블럭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241B1
KR100829241B1 KR20070099762A KR20070099762A KR100829241B1 KR 100829241 B1 KR100829241 B1 KR 100829241B1 KR 20070099762 A KR20070099762 A KR 20070099762A KR 20070099762 A KR20070099762 A KR 20070099762A KR 100829241 B1 KR100829241 B1 KR 100829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block
eco
weight
friend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99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록
Original Assignee
(주)대양콘크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양콘크리트 filed Critical (주)대양콘크리트
Priority to KR20070099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2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28B3/02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combined with vibrating or j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017Aspects relating to th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안, 호수의 기슭 등과 같은 호안 법면에 축조되는 식생블럭에 식생공을 형성하여 법면을 보호할 뿐 아니라 상기 식생공이 식물을 식재하여 식생함에 따라 녹지면적을 현저히 확대시키고 블럭을 더욱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식생공에 수분이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수로를 형성하며, 식생블럭의 원료에 숯과 황토를 첨가하여 상기 숯과 황토의 작용으로 토양 및 수질의 정화작용을 하고, 블럭에 오랜기간 사용으로 인해 독성이 빠져나간 재활용콘크리트를 사용함에 따라 자원의 절약뿐만 아니라 유해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친환경 식생블럭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면과 하면 및 네 측면을 구비하는 육면체의 형상으로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식생공을 형성하여 식물이 식생할 공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 친환경 식생블럭은 상면의 네모서리부분에 각각 소정의 높이를 형성하여 돌출되도록 언덕부를 구비하여 돌출되지 않은 상면에 수로를 형성하고, 각각의 측면이 교차하여 형성된 모서리에 내측으로 요입된 형태의 공간부를 구비하며, 네 측면에 내측으로 요입된 형태의 요입부나 외부로 돌출된 형태의 돌출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하되, 상기 요입부와 돌출부는 평행한 면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지는 구성이며, 그 제조방법은 재활용콘크리트 25~35중량%, 모래 45~55중량%, 시멘트 5~15중량%, 석분 3~7중량%, 숯 1~5중량%, 섬유보강재 1~5중량%를 혼합하여 원료를 구비하는 단계와, 내측에 소정의 형태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금형틀을 구비하 는 단계와, 상기 금형틀의 내측면에 황토를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황토가 구비된 금형틀에 원료를 넣고 100~200kg/㎠의 프레스로 가압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스에 의해 소정의 형태로 구비된 블럭을 55~65℃의 온도에서 20~30 시간 동안 양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양생이 완료된 블럭을 자연건조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블럭, 숯, 황토, 섬유보강재, 석분, 자연정화

Description

친환경 식생블럭의 제조방법{Method to manufacture of environmental friendship type plant life block}
본 발명은 해안, 호수의 기슭 등과 같은 호안 법면에 축조되어 그 호안을 보호하는 친환경 식생블럭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안 법면에 축조되는 식생블럭에 식생공을 형성하여 법면을 보호할 뿐 아니라 상기 식생공이 식물을 식재하여 식생함에 따라 녹지면적을 현저히 확대시키고 블럭을 더욱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식생공에 수분이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수로를 형성하며, 식생블럭의 원료에 숯과 황토를 첨가하여 상기 숯과 황토의 작용으로 토양 및 수질의 정화작용을 하고, 블럭에 오랜기간 사용으로 인해 독성이 빠져나간 재활용콘크리트를 사용함에 따라 자원의 절약뿐만 아니라 유해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친환경 식생블럭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가나 해안, 호수의 기슭, 제방 또는 도로가등의 호안 법면에는 그 법면의 붕괴 또는 유실 등을 방지하여 호안을 보호하기 위한 블록이 축조됨이 주지된 사실이다. 이러한 블록은 빗물 등과 같은 외압으로부터 호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에는 판상형으로 상기 법면과 대면하며 연접면에 서로 대면하여 볼트체결을 가능하게 하는 "ㅗ"자 모양의 체결공을 갖는 판상형의 연결부재가 일체로 매설된 홈이 형성된 블록본체와, 상기 블록본체의 외표면에 서로 상이한 크기 및 모양을 갖는 호박돌 모양으로 하부가 턱지게 다수로 돌출 형성되어 발을 편히 디디게 하거나 앉을 수 있게 한 돌부를 포함하는 친환경적 호안블록을 비롯하여, 계단을 좌,우로 엇갈리게 배열하여 좌상계단, 좌하계단 및 우상계단, 우하계단으로 구성하되, 그 사이에는 2개의 맞물림 구간을 형성한 구조이다. 또한 계단의 각 수직면은 천연 암벽형의 요철면으로 구성되는 블럭리 제공된바 있지만 이와 같은 기존의 호안블록은 시공을 용이하게 하고 호안을 보호하는 데에만 역점을 두고 개량되어 왔기 때문에 축조된 외견이 딱딱하고 밋밋하여 친환경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공지된 식생블럭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형틀의 좌우측에 두 가지의 몰탈을 공급하는 몰탈공급장치를 각각 구성한 후 형틀의 위로 차례로 진입시키면서 먼저 한가지의 몰탈을 일정량 채운 다음 다시 다른 몰탈을 지지판이 높이 만큼 채우도록 하며, 형틀의 가장자리에 형틀의 상단보다 높게 몰탈을 채우기 위한 지지판을 승강하도록 구성하고, 가압과 동시에 진동을 가한 후 가압장치를 상승시키고 파레트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형틀을 뒤집어 탈형하는 블럭의 제조방법에 있어서,형틀은 식생블럭의 표면이 되는 요철부가 아래쪽으로 위치하도록 준비한 후, 먼저 표층몰탈을 일정량 채운 다음 다시 기층몰탈을 지지판이 높이 만큼 채우도록 하며,몰탈이 지지판의 높이만큼 채워진 다음에는 2개의 가압판으로 구성된 가압장치를 하강시켜 진동과 동시에 각각 회전을 가하여 압축하며,파레트의 아래에서 파레 트 받침대를 상승시켜 파레트를 받쳐준 다음 클램핑을 해제하고, 파레트 받침대에 진동을 가함과 동시에 하강시킴으로써 파레트와 성형된 몰탈이 형틀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식생블럭의 제조방법 또는 콘크리트로 성형되는 블럭 본체, 및 상기 블럭 본체의 외층에 식물 생육이 가능한 섬유 집합체를 매트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외층체를 구비한 식생 블럭이며, 상기 외층체는 상기 블럭 본체의 상면과 측면을 피복하고,상기 외층체의 상기 섬유 집합체 중에 종방향의 섬유를 많이 존재시키고, 상기 종방향의 섬유를 상기 블럭 본체 중에 넣어, 상기 블럭 본체와 결합시킨 식생 블럭과 같이 식생블럭의 소재가 대부분 콘크리트로 한정되어있고, 이외에 섬유 집합체 정도의 첨가제만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상기와 같이 그 구성이 콘크리트로만 이루어지는 경우 식생블럭에서 각종 유해물질이 배출되어 토양이나 수질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었고, 따라서 식생블럭을 친환경적인 소재로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제공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외관이 미려하고 시공이 용이하도록 하며 시공후 부분적인 토압증가 내지는 지반약화나 무리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해당부분의 식생블럭이 돌출되거나 함몰될 우려가 없는 친환경 식생블럭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법면을 보호할 뿐 아니라 식물이 식생함에 따라 녹지면적을 현저히 확대시키고 블럭을 더욱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식재된 식물에 수분이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토양 및 수질의 정화작용을 하고, 자원의 절약뿐만 아니라 유해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친환경 식생블럭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강가나 해안 등의 호안 법면에 축조되어 그 호안을 보호하는 식생블럭에 있어서, 상면과 하면 및 네 측면을 구비하는 육면체의 형상으로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식생공을 형성하여 식물이 식생할 공간을 제공하고, 상면의 네모서리부분에 각각 소정의 높이를 형성하여 돌출되도록 언덕부를 구비하여 돌출되지 않은 상면에 수로를 형성하고, 각각의 측면이 교차하여 형성된 모서리에 내측으로 요입된 형태의 공간부를 구비하며, 네 측면에 내측으로 요입된 형태의 요입부나 외부로 돌출된 형태의 돌출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하되, 상기 요입부와 돌출부는 평행한 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 는 친환경 식생블럭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요입부와 돌출부는 각각 반원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돌출부가 요입부에 끼워지는 친환경 식생블럭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언덕부와 수로 사이에는 언덕부보다 낮은 높이의 중간부를 형성하되, 상기 중간부는 언덕부에서 식생공의 테두리까지 형성되어 수로의 물을 식생공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 식생블럭을 제공한다.
또한, 강가나 해안 등의 호안 법면에 축조되어 그 호안을 보호하는 식생블럭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재활용콘크리트 25~35중량%, 모래 45~55중량%, 시멘트 5~15중량%, 석분 3~7중량%, 숯 1~5중량%, 섬유보강재 1~5중량%를 혼합하여 원료를 구비하는 단계와, 내측에 소정의 형태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금형틀을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금형틀의 내측면에 황토를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황토가 구비된 금형틀에 원료를 넣고 100~200kg/㎠의 프레스로 가압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스에 의해 소정의 형태로 구비된 블럭을 55~65℃의 온도에서 20~30 시간 동안 양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양생이 완료된 블럭을 자연건조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친환경 식생블럭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황토는 원료와 중량비로 1~5% 구비되는 친환경 식생블럭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외관이 미려하고 시공이 용이하도록 하며 시공후 부분적인 토압증가 내지는 지반약화나 무리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해당부분의 식생블럭이 돌출되거 나 함몰될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해안, 호수의 기슭 등과 같은 호안 법면에 축조되는 식생블럭에 식생공을 형성하여 법면을 보호할 뿐 아니라 상기 식생공이 식물을 식재하여 식생함에 따라 녹지면적을 현저히 확대시키고 블럭을 더욱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식생공에 수분이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수로를 형성하며, 식생블럭의 원료에 숯과 황토를 첨가하여 상기 숯과 황토의 작용으로 토양 및 수질의 정화작용을 하고, 블럭에 오랜기간 사용으로 인해 독성이 빠져나간 재활용콘크리트를 사용함에 따라 자원의 절약뿐만 아니라 유해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친환경 식생블럭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친환경 식생블럭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친환경식생블럭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친환경식생블럭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친환경식생블럭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친환경식생블럭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친환경 식생블럭(100,100')은 상면과 하면 및 네 측면을 구비하는 육면체의 형상으로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식생공(110)을 형성하여 식물이 식생할 공간을 제공하고, 상면의 네모서리부분에 각각 소정의 높이를 형성하여 돌출되도록 언덕부(120)를 구비하여 돌출되지 않은 상면에 수로(130)를 형성하고, 각각의 측면이 교차하여 형성된 모서리에 내측으로 요입된 형태의 공간부(140)를 구비하며, 네 측면에 내측으로 요입된 형태의 요입부(150)나 외부로 돌출된 형태의 돌출부(16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하되, 상기 요입부(150)와 돌출부(160)는 평행한 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친환경 식생블럭(100,100')은 상면과 하면 및 네 측면을 구비하는 육면체의 형상으로상면과 하면의 형상이 정사각형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권장하는 바이며, 네 측면은 상기 상면 또는 하면에 비해 작은 높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랍직하며, 이외 기타 다양한 입체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식생공(110)은 친환경 식생블럭(100,10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타공된 형태로 구비되므로 상기 식생공(110)에 식물을 식재하고 식물이 식생할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상기 식생공(110)의 형상을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식생공(110)은 다수개 구비되어질 수 있고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금형틀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언덕부(120)는 친환경 식생블(100,100') 상면의 네모서리부분에 각각 소정의 높이를 형성하여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언덕부(120)는 각각의 모서리에 구비되므로 상면에 총 4개가 구비되고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언덕부(120)는 친환경 식생블럭(100,100')의 미려함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구성이고, 언덕부(120) 사이에 형성된 간격은 언덕부(120)에 비해 그 높이가 낮고 언덕부(120)에 비해 상대적으로 요입되어 수로(130)를 형성하며 상기 수 로(130)는 식생공(110)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언덕부(120)와 수로(130)의 형상이나 크기는 어느 일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음을 분명히 밝혀두는 바이다.
공간부(140)는 각각의 측면이 교차하여 형성된 모서리에 내측으로 요입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공간부(140)는 본 발명 친환경 식생블럭(100,100')을 다수개 설치할 때에 공간부(140)와 공간부(140)가 또 다른 식생공(110)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따라서 상기 공간부(140)는 사분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총 4개의 친환경 식생블럭(100,100')이 설치될 경우 하나의 식생공(110)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공간부(140)의 구성으로 본 발명 친환경 식생블럭(100,100')은 더욱 미려하도록 한다.
요입부(150)는 친환경 식생블럭(100,100')의 측면에 친환경 식생블럭(100,100')의 내측으로 요입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서로 이웃하는 면에 각각 한 개씩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개의 친환경 식생블럭(100,100')에 두개의 요입부(15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부(160)는 친환경 식생블럭(100,100')의 측면에 친환경 식생블럭(100,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서로 이웃하는 면에 각각 한 개씩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개의 친환경 식생블럭(100,100')에 두개의 요입부(15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요입부(150)와 돌출부(160)는 각각 친환경 식생블럭(100,100')의 네 측면에 내측으로 요입된 형태의 요입부(150)나 외부로 돌출된 형태의 돌출부(16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하되, 상기 요입부(150)와 돌출부(160)는 사로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어 요입부(150)가 형성된 면과 평행한 면에는 돌출부(160)가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요입부(150)와 돌출부(160)는 각각 반원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돌출부(160)가 요입부(150)에 끼워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요입부(150)와 돌출부(160)는 서로 대응할 수 있도록 같은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원으로 형성될 경우 돌출부(160)가 요입부(150)에 끼워지는 것이 용이하고 분리 또한 용이하며 설치된 상태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160)와 요입부(150)는 반원뿐 아니라 요입부(150)에 돌출부(160)가 끼워져 친환경 식생블럭(100,100')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음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은 상기한 일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음을 분명히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언덕부(120)와 수로(130) 사이에는 언덕부(120)보다 낮은 높이의 중간부(170)를 형성하되, 상기 중간부(170)는 언덕부(120)에서 식생공(110)의 테두리까지 형성되어 수로(130)의 물을 식생공(110)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중간부(170)의 구성으로 언덕부(120)와 더불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친환경 식생블럭(100')의 미적 심미감은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고, 다수개 설치한 경우 상기 언덕부(120)와 중간부(170)는 다양한 무늬를 형성하여 하천 또는 강가 등의 법면을 더욱 더울 미려하게 보이도록 하며, 또한 상기 친환경 식생블럭(100')의 상면이 중간부(170)와 언덕부(120)의 구성으로 요철부가 많이 발생하여 사람이나 짐승이 하천으로 내려가고자 할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마찰력을 부여한다.
또한, 상기 중간부(170)는 언덕부(120)와 마찬가지로 친환경 식생블럭(100')에 공급된 빗물 따위의 수분을 식생공(110)에 공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구성을 하는 것이며, 삭이 주안부는 중간부(170)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모서리에 구비되므로 상면에 총 4개가 구비되고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중간부(170) 사이에 형성된 간격은 중간부(170)에 비해 그 높이가 낮고 중간부(170)에 비해 상대적으로 요입되어 수로(130)를 형성하며 상기 수로(130)는 식생공(110)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중간부(170)와 수로(130)의 형상이나 크기는 어느 일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식생블럭(100,100')의 제조방법은 재활용콘크리트 25~35중량%, 모래 45~55중량%, 시멘트 5~15중량%, 석분 3~7중량%, 숯 1~5중량%, 섬유보강재 1~5중량%를 혼합하여 원료를 구비하는 단계와, 내측에 소정의 형태의 공간을 형성하는 금형틀을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금형틀의 내측면에 황토(10)를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황토(10)가 구비된 금형틀에 원료를 넣고 100~200kg/㎠의 프레스로 가압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스에 의해 소정의 형태로 구비된 블럭을 55~65℃의 온도에서 20~30 시간 동안 양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양생이 완료된 블럭을 자연건조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친환경 식생블럭(100,100')의 원료는 재활용콘크리트 25~35중량%, 모래 45~55중량%, 시멘트 5~15중량%, 석분 3~7중량%, 숯 1~5중량%, 섬유보강재 1~5중량%를 혼합하여 구비된다.
상기 재활용콘크리트는 25~35중량% 혼합되는 것으로, 상기 재활용 콘크리트 는 콘크리트 건물 또는 구조물을 철거하면서 쓰레기로 취급되었던 폐콘크리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최근 건설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건설의 기초소재인 골재사용량이 증가하고 있고, 건축물의 폐기시 발생되는 폐건설자재의 처리문제는 국내에서 이미 심각한 상태에 와있으며, 최근 국내에서는 도시 재개발 활성화에 따라 많은 양의 건설 폐기물이 발생하고 있고, 이에, 건설폐기물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폐콘크리트의 발생량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증가 일로에 있는 폐콘크리트의 재활용은 환경보전과 완전한 자원 리싸이클 측면에서 시급한 실정이며, 향후 골재부족난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상기 재활용콘크리트의 사용으로 소중한 자원을 절약하고 환경을 보호할 수 있음과 더불어 재활용콘크리트의 경우 각종 유해물질이 대부분 배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새로운 콘크리트에서 배출되는 유해물질로 인한 토양및 수질 오염음 에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재활용콘크리트는 25중량%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재활용콘크리트를 재활용한다는 기본취지에 부합되지 못할 뿐 아니라 제조된 친환경 식생블럭(100,100')의 강도가 미약해지고 35중량%를 초과할 경우 무게가 무거워져 이송 및 설치가 용이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25~35중량%의 재활용콘크리트를 혼합하는 것이다.
모래는 45~55중량%혼합되는 것으로, 모래의 비율이 55중량%를 초과할 경우 재활용콘크리트를 재활용한다는 기본취지에 부합되지 못할 뿐 아니라 경제적이지 못하고, 이와 반대로 모래의 배합비가 45중량%이하가 되면 폐 콘크리트 골재 함유 량이 너무 많아 본래 가지고 있는 폐 콘크리트 골재의 취약한 내구성을 보강하기에는 너무 역부족이 된다.
시멘트는 5~15중량% 혼합되는 것으로, 상기 시멘트는 전체적인 원료를 혼합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접착력을 부여하기 위한 구성이며, 상기 시멘트가 5중량%이하로 혼합될 경우 원료의 접착력이 미약해질 뿐 아니라 폐 콘크리트 골재의 취약한 내구성을 보강하기에는 너무 역부족이 되고, 15중량%를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 재활용콘크리트를 재활용한다는 기본취지에 부합되지 못할 뿐 아니라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가 발생하므로 5~15중량%의 시멘트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분은 3~7중량%혼합되는 것으로, 상기 석분은 본 발명 친환경 식생블럭(100,100')에 천연석의 질감과 색상을 부여하기 위한 구성으로 천연 돌가루를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 하고, 그 재료는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석분의 혼합량을 3중량%보다 적게 구비할 경우 친환경 식생블럭(100,100')에 천연의 느낌을 주기 위한 효과가 나타나지 아니하고 7중량%보다 많은 양을 혼합할 경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와 다른 원료의 혼합비율이 감소케 되어 구성이 견고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3~7중량%의 석분을 혼합하는 것이다.
숯은 1~5중량% 혼합되는 것으로, 숯은 재료물질을 섭씨 600~900℃의 온도에서 일차적으로 태우는 것을 말하며 맛과 냄새가 없으며 탄소 85%, 수분 10%, 칼슘, 칼륨, 마그네슘, 철분 등과 같은 미네랄 3%등으로 구성된 탄소덩어리 물질이다. 숯은 언뜻 보면 검게 탄 나무일뿐이지만 전자현미경을 통해 숯을 보면 미크론(1mm의 1/1000)단위의 미세 구멍들을 볼 수 있으며, 이 구멍은 나무가 뿌리로부터 흡수한 영양분이나 물 등을 운반하던 통로로써 막힌 곳이 없다는 게 특징이고, 이것은 숯이 공기와 닿는 단면적에 영향을 미치는데, 숯은 놀랍게도 1g당 90평의 단면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탈취성을 구비하게 되는 것이고, 이 미세한 구멍은 유익한 미생물의 주거지이기도 하여 탈취와 동시에 화학물질까지 흡착하여 그 독소를 미생물이 분해하여 무해한 것으로 변화시킨다. 또한, 숯은 전자가 6개인 탄소로 구성돼 있는데 다이아몬드와 같은 강한 공유결합이 아닌, 전자가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는 구조이고, 때문에 자장을 형성, 음이온 상태로 되어 있다. 원래 목재 속에는 0.3∼0.6%의 미네랄 성분이 들어있는데 숯이 되면 4~5배로 농축되는 특징이 있고, 칼슘, 칼륨, 철, 인, 나트륨 등 5대 미네랄 외에 구리, 아연, 망간, 마그네슘, 크롬, 몰리부텐 등이 함유되어 있다.
숯의 가장 큰 특징인 탈취는 바로 이 넓은 단면적 때문이며, 또 이 미세한 구멍은 유익한 미생물의 주거지이기도 하여 탈취와 동시에 화학물질까지 흡착하여 그 독소를 미생물이 분해하여 무해한 것으로 변화시키며 상기 숯의 구성으로 본 발명 친환경 식생블럭(100,100')은 다공성 블럭이 되어 정화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숯은 1~5중량%혼합하게 되는 데 1중량%보다 적은양을 혼합할 경우 독소를 흡착하여 정화시키는 효과가 뚜렷히 나타나지 않으며, 5중량%를 초과하는 양을 혼합할경우 친환경 식생블럭(100,100')의 전체적인 밀도가 감소하여 중량감이 없고 구성이 경고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1~5중량%의 숯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보강재는 1~5중량% 혼합되는 것으로, 친환경 식생블럭(100,100')의 내부에 섬유망을 형성하여 철근과 같이 강도 증진 및 균열 방지를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그의 예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유리 섬유 등을 들 수 있으며, 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섬유보강재는 1중량% 보다 적은 양을 첨가할 경우 친환경 식생블럭(100,100')의 보강력이 약해서 전체적인 구조가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고 5중량%이상으로 혼합될 경우 비용이 증가되고 필요 이상으로 보강력이 부여되어 취성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금형틀은 내측에 소정의 형태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형상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고, 시공자가 원하는 디자인의 식생블럭이 제작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금형틀의 내측면에 황토(10)를 구비하게 되는 데 황토(10)는 금형틀 내부의 바닥에 골고루 뿌려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금형틀에 원료를 넣기 전에 구비되는 것으로 황토(10)가 구비된 금형틀에 원료를 넣고 가압하여 친환경 식생블럭(100,100')을 제조하게되면 상기 친환경 식생블럭(100,100')의 일면에는 황토(10)가 구비되게 된다.
황토(10)를 구비하는 이유는 황토(10)는 흙바닥과 같은 느낌을 주고 그 색상이 땅바닥과 별반 차이가 없어 인위적이지 않아 자연스러움을 강조할 수 있으며, 황토(10)자체로는 미세한 구성 입자가 많은 산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구조적 특성에 기인하는 탁월한 정화능력과 가열시 원적외선방사 특징, 그리고 황토(10) 속에 있는 미생물과 다양한 효소들이 복합적으로 순환작용을 일으켜 생체에 유익한 작용 을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금형틀에 황토(10)가 구비되면 원료를 넣고 100~200kg/㎠의 프레스로 가압하게 되는데 이는 원료를 소결시켜 블럭의 형태로 제작됨과 동시에 고밀도, 고강도의 친환경 식생블럭(100,100')을 제조하기 위한 구성이며, 상기 원료들이 소결됨과 동시에 황토(10) 역시 친환경 식생블럭(100,100')에 고정되도록 하고, 이를 시공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황토(10)가 구비되는 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스 압력이 100~200kg/㎠인 이유는 100kg/㎠ 미만의 힘으로 가압할 경우 친환경 식생블럭(100,100')의 구조가 견고하지 못하고, 200kg/㎠ 초과되는 힘으로 가압할 경우 오히려 친환경 식생블럭(100,100')에 균열 및 취성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100~200kg/㎠의 힘으로 압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스에 의해 소정의 형태로 구비된 친환경 식생블럭(100,100')은 55~65℃의 온도에서 20~30 시간 동안 밀폐된 공간에서 양생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프레스단계는 양생전에 이루어지므로, 탈형된 성형품을 양생실로 이동시키는데 주의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프레스과정을 파레트 상에서 수행한 후 탈형된 성형품을 파레트와 함께 양생실로 옮겨 양생 작업을 할 수 있다. 즉, 성형시 파레트상에 형틀을 탑재시킨 상태에서 성형하고 형틀을 위로 올려서 탈형한 후, 탈형된 성형품이 실린 파레트를 양생실로 이송할 수 있다.
양생은 55~65℃의 온도에서 20~30 시간 동안 밀폐된 공간에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양생 온도가 55℃보다 낮을 경우 양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원료 간의 접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65℃보다 높을 경우 제품 균열 및 강도 저하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밀폐시키는 이유는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가 심한 경우 외부의 찬공기로 인해 제품에 균열이 발생되고 제품이 변형되기 쉬우므로 제품에 온도 변화를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양생 시간 역시 20~30 시간 이루어지게 되는 데 20시간 미만으로 양생이 이루어질 경우 양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원료 간의 접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30시간보다 많이 양생할 경우 제품 균열 및 강도 저하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양생된 제품은 자연 양생을 수행하여 본 발명의 친환경 식생블럭(100,100')을 완성시킨다.
또한, 상기 황토(10)는 원료와 중량비로 1~5%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잇으며, 황토(10)의 양을 1~5wt%로 한정하는 이유는 황토(10)의 양이 1중량%보다 적은양으로 구비되는 경우 황토(10)의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고 5중량%보다 많은 양을 구비할 경우 친환경 식생블럭(100,100')의 표면이 수용할 수 있는 황토(10)의 양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1~5중량%의 황토(1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식생블럭(100,100')은 외관이 미려하고 시공이 용이하도록 하며 시공후 부분적인 토압증가 내지는 지반약화나 무리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해당부분의 식생블럭이 돌출되거나 함몰될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해안, 호수의 기슭 등과 같은 호안 법면에 축조되는 식생블럭에 식생공(110)을 형성하여 법면을 보호할 뿐 아니라 상기 식생공(110)이 식물을 식재하여 식생함에 따라 녹지면적을 현저히 확대시키고 블럭을 더욱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식생공(110)에 수분이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수로(130)를 형성하며, 식생블럭의 원료에 숯과 황토(10)를 첨가하여 상기 숯과 황토(10)의 작용으로 토양 및 수질의 정화작용을 하고, 블럭에 오랜기간 사용으로 인해 독성이 빠져나간 재활용콘크리트를 사용함에 따라 자원의 절약뿐만 아니라 유해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친환경식생블럭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친환경식생블럭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친환경식생블럭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친환경식생블럭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친환경식생블럭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황토
100, 100' : 친환경 식생블럭
110 : 식생공
120 : 언덕부
130 : 수로
140 : 공간부
150 : 요입부
160 : 돌출부
170 : 중간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강가나 해안 등의 호안 법면에 축조되어 그 호안을 보호하는 식생블럭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재활용콘크리트 25~35중량%, 모래 45~55중량%, 시멘트 5~15중량%, 석분 3~7중량%, 숯 1~5중량%, 섬유보강재 1~5중량%를 혼합하여 원료를 구비하는 단계와, 내측에 소정의 형태의 공간부(140)를 형성하는 금형틀을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금형틀의 내측면에 황토(10)를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황토(10)가 구비된 금형틀에 원료를 넣고 100~200kg/㎠의 프레스로 가압하는 단계와, 상기 프레스에 의해 소정의 형태로 구비된 블럭을 55~65℃의 온도에서 20~30 시간 동안 양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양생이 완료된 블럭을 자연건조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식생블럭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10)는 원료와 중량비로 1~5%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식생블럭의 제조방법.
KR20070099762A 2007-10-04 2007-10-04 친환경 식생블럭의 제조방법 KR100829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99762A KR100829241B1 (ko) 2007-10-04 2007-10-04 친환경 식생블럭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99762A KR100829241B1 (ko) 2007-10-04 2007-10-04 친환경 식생블럭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9241B1 true KR100829241B1 (ko) 2008-05-14

Family

ID=39650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99762A KR100829241B1 (ko) 2007-10-04 2007-10-04 친환경 식생블럭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924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237B1 (ko) 2010-12-09 2011-07-08 니켄 코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해저 마운드의 코너피복블록
KR101538831B1 (ko) * 2012-09-03 2015-07-24 장기운 통풍구조가 구비된 황토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793896A (zh) * 2018-08-28 2018-11-13 深圳市晶特智造科技有限公司 一种透水混凝土及其制备方法
KR102018847B1 (ko) * 2019-01-25 2019-09-06 서우조경건설 주식회사 폐 섬유를 함유한 콘크리트 블럭의 제조방법 및 폐 섬유를 함유한 콘크리트 블럭
KR102162616B1 (ko) * 2020-06-10 2020-10-07 주식회사 상원그린콘 숯분말을 포함하는 친환경 호안블럭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숯분말을 포함하는 친환경 호안블럭
KR102232740B1 (ko) * 2020-11-25 2021-03-26 어스그린코리아(주) 조립식 빗물 저금통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녹화 방법
CN115162272A (zh) * 2022-06-01 2022-10-11 江门市水电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防护坡及其施工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702Y1 (ko) 2002-07-09 2003-03-28 조문선 다기능 옹벽용 블록
KR100496740B1 (ko) * 2004-01-30 2005-06-22 김갑중 바이오 세라믹을 이용한 식생 및 어소용 기능성 콘크리트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콘크리트 블록
KR200427944Y1 (ko) 2006-07-24 2006-10-04 대명콘텍 주식회사 어소 및 옹벽용 블록
KR200432263Y1 (ko) 2006-09-18 2006-11-30 최슬기 식생용 호안 블럭
KR100726671B1 (ko) * 2005-01-18 2007-06-12 유한태 황토 식생블록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702Y1 (ko) 2002-07-09 2003-03-28 조문선 다기능 옹벽용 블록
KR100496740B1 (ko) * 2004-01-30 2005-06-22 김갑중 바이오 세라믹을 이용한 식생 및 어소용 기능성 콘크리트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콘크리트 블록
KR100726671B1 (ko) * 2005-01-18 2007-06-12 유한태 황토 식생블록 제조방법
KR200427944Y1 (ko) 2006-07-24 2006-10-04 대명콘텍 주식회사 어소 및 옹벽용 블록
KR200432263Y1 (ko) 2006-09-18 2006-11-30 최슬기 식생용 호안 블럭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237B1 (ko) 2010-12-09 2011-07-08 니켄 코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해저 마운드의 코너피복블록
KR101538831B1 (ko) * 2012-09-03 2015-07-24 장기운 통풍구조가 구비된 황토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793896A (zh) * 2018-08-28 2018-11-13 深圳市晶特智造科技有限公司 一种透水混凝土及其制备方法
KR102018847B1 (ko) * 2019-01-25 2019-09-06 서우조경건설 주식회사 폐 섬유를 함유한 콘크리트 블럭의 제조방법 및 폐 섬유를 함유한 콘크리트 블럭
KR102162616B1 (ko) * 2020-06-10 2020-10-07 주식회사 상원그린콘 숯분말을 포함하는 친환경 호안블럭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숯분말을 포함하는 친환경 호안블럭
KR102232740B1 (ko) * 2020-11-25 2021-03-26 어스그린코리아(주) 조립식 빗물 저금통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녹화 방법
CN115162272A (zh) * 2022-06-01 2022-10-11 江门市水电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防护坡及其施工方法
CN115162272B (zh) * 2022-06-01 2024-05-07 江门市水电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防护坡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9241B1 (ko) 친환경 식생블럭의 제조방법
CN101445340B (zh) 一种自洁式透水砖及其制备方法
CN101956357A (zh) 一种双层免烧透水砖及其制造方法
CN105859226A (zh) 一种透水仿真花岗岩板材及其制备方法
CN104402388A (zh) 一种透水保水砖及其制备方法
CN102337714B (zh) 生态环保经济耐用路面组合板块设计和组装技术
CN1936185A (zh) 一种路的基础
KR102191205B1 (ko) 코르크칩을 이용한 문양 탄성포장재 조성물 및 그의 시공공법
CN111501474B (zh) 一种基于固废再利用的露骨料陶粒透水混凝土道路结构
CN202482730U (zh) 一种渗水砖
CN111472320A (zh) 一种利用建筑垃圾回收料和淤泥的黑臭河道生态化改造方法
CN207244376U (zh) 一种渗水混凝土抗压路面结构
KR101152929B1 (ko) 발광형 보도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CN101606470A (zh) 一种花盆式绿化砌块及其垒砌的绿化体
CN205975247U (zh) 一种透水混凝土的防阻塞结构
CN2311510Y (zh) 植草地砖
KR100540160B1 (ko)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24510Y1 (ko)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CN201198621Y (zh) 一种花盆式绿化砌块及其垒砌的绿化体
CN204551867U (zh) 一种建筑垃圾制取的景观砌块
JP2000170318A (ja) 木片・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製造方法とそれによって得られた構造体及びその使用方法
CN201657663U (zh) 一种树坑的封顶
CN110668668A (zh) 一种污染降解型生态砖制作工艺
CN211112974U (zh) 一种海绵城市固废快渗型生态景观透水砖
CN201406619Y (zh) 混凝土透水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