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944Y1 - 어소 및 옹벽용 블록 - Google Patents

어소 및 옹벽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944Y1
KR200427944Y1 KR2020060019948U KR20060019948U KR200427944Y1 KR 200427944 Y1 KR200427944 Y1 KR 200427944Y1 KR 2020060019948 U KR2020060019948 U KR 2020060019948U KR 20060019948 U KR20060019948 U KR 20060019948U KR 200427944 Y1 KR200427944 Y1 KR 2004279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taining wall
grooves
present
constru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9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병무
Original Assignee
대명콘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명콘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명콘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99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9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9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9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 및 경사면에 호안용으로 축조할 수 있는 어소 및 옹벽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하려는 경사면의 상태에 따라서 직각 또는 경사지게 축조할 수 있으며, 하천에 축조할 때에도 경사면에 상태에 따라서 직각 또는 경사지게 축조함과 동시에 하부에는 어류가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어류들로 하여금 안전하게 서식 및 산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시공면의 상부로는 블록 내부에 식물이 식생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수변식물이 활착할 수 있는 어소 및 옹벽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어소 및 옹벽용 블록{A block for a retaining wall and a residences of fishe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어소 및 옹벽용 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어소 및 옹벽용 블록이 적층된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어소 및 옹벽용 블록의 적층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어소 및 옹벽용 블록의 적층된 상태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어소 및 옹벽용 블록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어소 및 옹벽용 블록 다른 실시예의 적층된 상태의 측단면도
본 고안은 하천 및 경사면에 호안용으로 축조할 수 있는 어소 및 옹벽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하려는 경사면의 상태에 따라서 수직 또는 경사지게 축조할 수 있으며, 하천에 축조할 때에도 경사면의 상태에 따라서 직 각 또는 경사지게 축조함과 동시에 하부에는 어류가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어류들로 하여금 안전하게 서식 및 산란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시공면의 상부로는 블록 내부에 식물이 식생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수변식물이 활착할 수 있는 어소 및 옹벽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경사면이나 절개지에는 토사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개면에 철근양생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사면을 보호하거나 콘크리트 블록을 적층하여 형성하고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경사면에 철근양생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식물들이 자랄 수 없고 절개지에 일일이 철근을 양생하여 작업함으로 공기가 오래걸리고 절개면에 식물이 자랄 수 없어 자연 친화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근래에 들어서는 식생공간을 갖는 블록을 경사면에 적층시켜 경사면을 보호함과 동시에 시공면에 식물이 자랄 수 있게하여 자연친화적이게 형성하고 있으나, 상기의 블록을 하천등에 시공시 어류가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이 없으며, 이로써 어류의 산란공간이 없어 하천의 생태계의 영향을 주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블록을 단순하게 변형시켜 식생공간을 하천의 바닥 부분에는 어류가 서식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형시켜 사용함으로써 어류의 서식처 및 산란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하천의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는 자연친화적인 어소 및 옹벽용 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하천 및 경사면의 상태에 따라서 수직 또는 경사지게 변형 축성이 가능한 어소 및 옹벽용 블록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으로는 블록을 제작시 형틀에서 쉽게 빠짐으로써 생산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이로서 작업의 능률을 올릴수 있는 어소 및 옹벽용 블록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어소 및 옹벽용 블록은 전면에 자연석 무늬가 형성되며 사방에 홈과 돌기가 형성되고 내측면의 상하 경사면이 만나서 돌출된 전면부, 상기 전면부의 후측에 형성되며 마름모꼴의 몸체 상부에 걸림턱과 하부에 2개의 걸림홈이 형성된 하나이상의 연결부, 상기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에 하나이상의 홈이 형성되고 내측면이 상하 경사지게 형성된 후면부, 상기 연결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식생공간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다음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어소 및 옹벽용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어소 및 옹벽용 블록이 적층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어소 및 옹벽용 블록의 적층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어소 및 옹벽용 블록의 적층된 상태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어소 및 옹벽용 블록(100)은 전면에 자연석 무늬(11)가 형성되며 사방에 홈(12, 12a, 12b)과 돌기(13)가 형성되고 내측면(14)의 상하 경사면(14a, 14b)이 만나서 돌출된 전면부(10)와, 상기 전면부(10)의 후측에 형성되며 마름모꼴의 몸체(21) 상부에 걸림턱(22)과 하부에 2개의 걸림홈(23)이 형성된 하나이상의 연결부(20) 및 상기 연결부(2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에 하나이상의 홈(31)이 형성되고 내측면(32)이 상하 경사지게 형성된 후면부(30)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20)와 연결부(20)사이에는 식생공간(40)이 형성된다.
여기서, 블록(100)의 내측면(14, 320 및 몸체(21)를 상, 하 경사지게 한 이유는 블록(100)을 제작시 형틀(미도시)을 상, 하로 벌려 원활하게 분리하기 위하여 상, 하 경사지게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블록(100)의 적층상태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블록(100)이 적층된 상태의 정면도가 도시되어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100)을 횡방향으로 적층시 블록(100)의 일측에 형성된 홈(12)에 연결되는 블록(100')의 돌기(13')가 삽입되며 동시에 상부에 형성된 홈(12)에 돌기(13)가 삽입되어 연결되며 상기와 같이 블록을 연속적으로 결합하여 1층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블록의 1층을 축조한 후 이 상단에 블록(100")을 축조하는데, 이때, 블록(100")을 1층의 블록(100, 100')과 지그재그형으로 적층하여 1층블록(100)상부의 홈(12a)과 2층 블록(100")의 하부에 형성된 홈(12b")이 연통되게 형성하며, 1층 블록에 형성된 걸림턱(22)이 2층에 안착되는 블록(100")의 걸림홈(23")에 끼워맞춤되어 결합된다.
다시 설명하면, 1층의 블록(100)과 2층의 블록(100")을 지그재그형으로 적층하면 1층의 블록의 식생공간(40)과 2층 블록의 식생공간(40")이 연결되며 또한, 1층블록(100)의 상부홈(12a)과 2층블록(100")의 하부 홈(12b")이 연통됨으로 이 사이로 식생식물이 외부로 뻗어나올 수 있는 통로가 확보된다.
한편,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블록의 다른 적층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적층과정은 상기에 설명한 바와 동일하나 1층 블록(100)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22)을 2층 블록(100") 하부에 형성된 뒷부분 걸림홈(23)에 끼워맞춤으로서 축조상태를 수직으로 형성한다.
또한, 도 5 내지 도 6에는 본 고안에 따른 어소 및 옹벽용 블록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블록(200)의 전면부 하부 중앙부분에 개구부(210)를 형성하고 외부측이 내부의 식생공간(240)과 연결되게 함으로써 하천에 시공시 어류가 변형된 식생공간에서 서식 및 산란하게 한다.
또한, 상기 변형된 블록(200)의 상부로는 개구부가 없는 블록을 이용하여 축조하여 식생공간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의 변형된 블륵을 이용하여 수직 또는 경사지게 축성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하나의 형태의 블록을 제조상에서 단순하게 변형시켜 식생부분과 어소부분을 형성함으로써 하천이나 경사면에 시공시 식생공간에 배양토를 채움으로써 다양한 식물이 자생하여 블록의 결착력을 높이고 자연친화적인 미감을 갖도록 형성하는 효과는 물론, 하천에 축성시 하부의 물에 잠기는 부 분은 어류가 원활하게 서식 및 산란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하천의 생태계를 파괴하지 않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경사면에 맞게 자유로운 경사가 가능하고 옹벽축조 가술이 없이도 기계시공으로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공사기간 및 시공비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

  1. 전면에 자연석 무늬가 형성되며 사방에 홈과 돌기가 형성되고 내측면의 상하 경사면이 만나서 돌출된 전면부;
    상기 전면부의 후측에 형성되며 마름모꼴의 몸체 상부에 걸림턱과 하부에 2개의 걸림홈이 형성된 하나이상의 연결부;
    상기 연결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에 하나이상의 홈이 형성되고 내측면이 상하 경사지게 형성된 후면부;
    상기 연결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식생공간;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전면부의 상하로 형성된 홈과 돌기가 블록을 적층시 식생공간을 노출되게 형성하며 연결부의 걸림턱을 하부의 2개의 홈 중 선택하여 결착함으로써 적층상태를 시공면에 맞추어 변형시켜 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소 및 옹벽용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의 하측에 개구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소 및 옹벽용 블록.
KR2020060019948U 2006-07-24 2006-07-24 어소 및 옹벽용 블록 KR2004279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948U KR200427944Y1 (ko) 2006-07-24 2006-07-24 어소 및 옹벽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948U KR200427944Y1 (ko) 2006-07-24 2006-07-24 어소 및 옹벽용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944Y1 true KR200427944Y1 (ko) 2006-10-04

Family

ID=41776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948U KR200427944Y1 (ko) 2006-07-24 2006-07-24 어소 및 옹벽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9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241B1 (ko) 2007-10-04 2008-05-14 (주)대양콘크리트 친환경 식생블럭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241B1 (ko) 2007-10-04 2008-05-14 (주)대양콘크리트 친환경 식생블럭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5925B1 (en) Landscape edging
KR200427944Y1 (ko) 어소 및 옹벽용 블록
KR100806621B1 (ko) 사면 보호용 생태블록
KR200340941Y1 (ko) 옹벽블록 겸용 어소블록
KR20130098976A (ko) 옹벽구조 및 식재 가능한 옹벽 구축법
JPH08199531A (ja) 魚巣と植生に共用し得る護岸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護岸壁
KR200447682Y1 (ko) 세굴방지용 식생블럭
KR20050052543A (ko) 유도로 형성용 블록, 유도로를 구비한 벽 구축용 패널재 및형틀
JP4494456B2 (ja) 誘導路形成用ブロック
KR200433132Y1 (ko) 조립식 호안 블럭
KR100371808B1 (ko) 하천 제방의 생태보호환경 조성용 식생구
KR200303564Y1 (ko) 옹벽식 소파 호안구조
KR200361081Y1 (ko) 축조 및 식생용 블록
KR100744990B1 (ko) 수로용 식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로 시공 방법
KR100662028B1 (ko)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KR200381308Y1 (ko)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
JP3013406U (ja) 多自然型河川護岸ブロック
JP6300270B2 (ja) 型枠及び成形体の製造方法
KR200228745Y1 (ko) 기초어상블럭
KR100720033B1 (ko) 산수형 축조 옹벽블록과, 산수형 축조방식이 적용된옹벽구조물
KR101354694B1 (ko) 생태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축조방법
KR200344106Y1 (ko) 옹벽용 블럭어셈블리
KR200358575Y1 (ko) 옹벽체의 강도 보강용 식생블록
KR200413725Y1 (ko) 친환경 생태수로 블록 및 그 성형장치
KR200353007Y1 (ko) 식생호안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