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8976A - 옹벽구조 및 식재 가능한 옹벽 구축법 - Google Patents
옹벽구조 및 식재 가능한 옹벽 구축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98976A KR20130098976A KR1020137000072A KR20137000072A KR20130098976A KR 20130098976 A KR20130098976 A KR 20130098976A KR 1020137000072 A KR1020137000072 A KR 1020137000072A KR 20137000072 A KR20137000072 A KR 20137000072A KR 20130098976 A KR20130098976 A KR 201300989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aining wall
- space
- filling
- block
- scour preven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증수한 하천의 유수에 의해 캐비티 충전재가 세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표면에 개구부를 가지며, 또한 내부에 캐비티 충전 공간을 갖는 복수의 옹벽 블록을 계단형태로 단 쌓기 하고, 하단에 위치하는 옹벽 블록의 개구부의 일부가 외부 공간에 직면하도록 구축하는 옹벽 구조에 있어서, 캐비티 충전 공간 내에 충전한 캐비티 충전재가 외부 공간과 직면하지 않도록, 외부 공간과 직면하는 캐비티 충전 공간의 상층부에는 세굴방지재로서의 덩어리 상태물을 넣는 것과 동시에, 덩어리 상태물의 최대지름은 외부 공간에 직면하는 옹벽 블록의 개구부의 일부의 전후 폭 보다 크게 하는 것으로, 덩어리 상태물이 개구부를 통해 외부에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옹벽 구조 및 식재(plantable) 가능한 옹벽 구축법, 상세하게는 객토재의 세굴·유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동식물 등의 생육 공간 및 작은 동물 등의 이동 공간을 갖는 옹벽의 구조와, 식재와 동시에 옹벽을 구축하는 공법에 관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옹벽 구조의 한 형태로서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즉, 특허 문헌 1에서는, 전·후벽과 양 전·후벽을 연결하는 연결체를 구비하여 상·하면 개구형태의 캐비티 충전 공간을 갖는 옹벽 블록이 개시되고 있다. 이것은 복수의 옹벽 블록을, 하단의 옹벽 블록의 상면 전부(前部)가 개구되어 외부와 연이어 통하도록 계단형태로 단 쌓기하여 옹벽을 구축하고 있다. 또한, 이들 옹벽 블록의 캐비티 충전 공간 내 상면 전부가 개구되어 외부와 연이어 통하는 전체의 공간에 객토재를 충전하는 것으로, 자연 식생에 의한 녹화(綠化)를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옹벽 구조가 호안 옹벽으로서 기능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하천이 증수했을 때에, 객토 영역에 침수한 유수에 의해서 객토가 세굴되어 다시 세굴된 객토의 유출에 의해 캐비티 충전 공간 내의 캐비티 충전재가 유출하고, 최악의 경우에는 옹벽이 붕괴하는 우려가 생기기 때문이다. 이러한 해결책으로서 여러 가지의 대책이 시도되고 있지만, 시공이 번잡하게 될 뿐, 객토재의 세굴·유출을 방지하는 것은 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간이 구조로 하여 캐비티 충전재 내지는 객토재의 세굴·유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동식물 등의 생육 공간 및 작은 동물 등의 이동 공간을 갖는 옹벽 구조 및 식재와 함께 옹벽을 구축하는 식재 가능한 옹벽 구축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는, 상면에 개구부를 가지며, 또한 내부에 캐비티 충전 공간을 갖는 복수의 옹벽 블록을 계단형태로 단 쌓기 하고, 하단에 위치하는 옹벽 블록의 상면의 일부가 외부 공간에 직면하도록 구축하는 옹벽 구조이며, 캐비티 충전 공간 내에 충전한 캐비티 충전재가 외부 공간과 직면하지 않도록, 외부 공간과 직면하는 캐비티 충전 공간의 상층부에는 세굴 방지재로서의 덩어리 상태물을 넣는 것으로, 캐비티 충전재가 세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옹벽 구조에서는, 세굴방지재로서의 덩어리 상태물, 예를 들면, 자갈이나 콘크리트 찌꺼기를 캐비티 충전 공간의 상층부에 채워 넣는 것으로, 캐비티 충전재가 외부 공간과 직면하지 않는 구조로 하고 있다. 따라서, 하천이 증수한 경우에도 세굴방지재로서의 덩어리 상태물에 의해 캐비티 충전재가 세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옹벽 구조에 있어서, 덩어리 상태물의 최대지름을 외부 공간에 직면하는 옹벽 블록의 개구부의 일부의 전후 폭 보다 커지도록 하는 것으로, 덩어리 상태물이 개구부를 통해 외부에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옹벽 구조에서는, 덩어리 상태물의 최대지름은 외부 공간에 직면하는 옹벽 블록의 개구부의 일부의 전후 폭 보다 커지도록 하는 것으로, 하천이 증수한 경우에도 덩어리 상태물이 개구부를 통해 외부에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것은, 유수에 유출되기 어려운 사이즈의 덩어리 상태물로 외부와 직면하는 캐비티 충전 공간의 상층부를 층상에 피복함으로써, 하천이 증수한 경우에도, 하천의 유수로 캐비티 충전재가 세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 결과, 상층부에 담긴 덩어리 상태물에 의해서 하층부의 캐비티 충전재가 세굴되는 것을 견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덩어리 상태물의 최대지름은 덩어리 상태물 1개의 최장축의 길이(최장지름 내지는 최대 치수)를 말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옹벽 구조에 있어서, 캐비티 충전재로서는, 보수성을 갖고 객토재로서도 기능하는 입자지름재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옹벽 구조에서는, 외부 공간과 직면하는 캐비티 충전 공간의 상층부에 세굴방지재로서의 덩어리 상태물을 채워 넣는 것으로, 입자지름재로 충전된 캐비티 충전 공간을 세굴되지 않는 공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입자지름재는 보수성을 가져 객토재로서도 기능한다. 환언하면, 옹벽으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캐비티 충전재에 보수·배수성을 갖는 입자지름재를 이용하는 것으로, 입자지름재가 캐비티 충전재로서의 역할을 완수할 뿐만 아니라, 객토재로서의 역할도 동시에 완수할 수 있다. 즉, 캐비티 충전재의 역할을 담당하는 입자지름재가 객토재의 대용재로서의 역할도 완수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옹벽 블록은 식재 블록으로서의 생육 기능을 겸비하는 고부가 가치의 호안(護岸) 블록이 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옹벽 구조에 있어서, 캐비티 충전 공간의 상층부에는 복수의 덩어리 상태물을 채워 넣는 것으로 틈새를 형성하고, 외부 공간과 캐비티 충전재가 충전된 공간을 연이어 통하는 굴곡 연통로를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옹벽 구조에서는, 캐비티 충전 공간의 상층부에 복수의 덩어리 상태물을 채워 넣는 것으로 형성되는 굴곡 연통로의 형상은, 굴곡 연통로 내에 존재하는 수목(줄기 직경)의 성장에 준하여 유연하게 대응하면서 변형할 수 있다. 즉, 수목(줄기 직경)의 성장에 준하여 유연하게 변형된다. 예를 들면, 수목이 성장해 줄기 직경이 굵어지면, 줄기 둘레의 길이의 굴곡 연통로의 틈새가 갑갑해지고, 이윽고 수목의 줄기부가 각 덩어리 상태물을 주위로 밀어내어 굴곡 연통로가 조금씩 (큰 지름으로) 변형된다. 환언하면, 굴곡 연통로는 고정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수목의 생육이 저해될 우려가 매우 낮다. 만일, 연통로를 콘크리트로 형성한 경우는, 구멍 지름이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수목의 생육이 저해될 우려가 매우 높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옹벽 구조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옹벽 구조에 있어서, 상면에 개구부를 가지며, 또한, 내부에 캐비티 충전 공간을 갖는 옹벽 블록은, 적어도 전·후벽과 양 전·후벽을 연결하는 연결체를 구비하며, 캐비티 충전 공간의 상부에는 전벽의 상부와 대향시켜 사절체를 배치하고, 사절체와 전벽의 상부와의 사이에 세굴방지 공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옹벽 구조에서는, 캐비티 충전재로서 보수성을 갖는 객토재를 이용할 때, 캐비티 충전 공간이 객토 공간이 된다. 또한, 캐비티 충전 공간을 세굴방지 공간과 객토 공간으로 나누는 사절체는, 사절체의 배후에 있어 객토 공간 내에 충전된 객토재가 세굴방지 공간의 굴곡 연통로를 통해 외부에 흡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흡출 방지 효과). 또한, 객토재에는 이룰 수 없는 단입도 쇄석(예를 들면 13㎜∼20㎜)에서는 굴곡 연통로 내에 흡출되지 않기 때문에, 시공상의 불편함을 제외하면 반드시 사절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는, 청구항 5에 기재된 옹벽 구조에 있어서, 상단의 옹벽 블록의 전벽 하단부는, 사절체상에 상하 중합 상태에 배치함과 동시에, 전벽 하단부에 의해 세굴방지 공간의 통로 상면을 일부 폐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옹벽 구조에서는, 상단의 옹벽 블록의 전벽 하단부에 의해 세굴방지 공간의 통로 상면을 일부 폐색함으로써, 이 일부 폐색한 전벽 하단부의 저면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덩어리 상태물의 상면을 덮을 수 있고, 덩어리 상태물의 유출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캐비티 충전재가 세굴·유출되는 것을 견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는, 청구항 5 또는 6 기재된 옹벽 구조에 있어서, 옹벽 블록의 전벽은, 전저 후고의 뒤쪽이 경사진 판 형태를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옹벽 구조에서는, 옹벽 블록의 전벽을, 전저 후고의 뒤쪽이 경사진 판 형태 이루고 있기 때문에, 개구 상면의 전후의 간격을 종래의 수직 형태의 전벽을 구비하는 옹벽 블록과 비교하여, 경사 판 형태를 이룬 전벽의 평면 투영 전후 폭만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세굴방지 공간을 위쪽을 향해 점차 폭이 좁아지는 공간을 이룰 수 있다. 그 결과, 세굴방지 공간 내에 담은 복수의 덩어리 상태물이 증수한 하천에 의해 세굴방지 공간의 통로 표면에서부터 유출되는 것을 더욱 견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경사 판 형태를 이룬 전벽에는 그 외면을 따라서 빗물 등이 흘러내리고, 개구 표면을 통해 세굴방지 공간 내 또 객토 공간 내에 원활하고 견실하게 유입하기 때문에, 옹벽 블록 내의 식생 기능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식재한 옹벽 블록의 바로 위쪽으로 단 쌓기 한 옹벽 블록의 전벽은, 전저 후고의 뒤쪽이 경사지고 있기 때문에, 식물이 성장하기 위해서 필요한 외부 공간이 확대되게 되며, 식물의 성장 존을 더욱 넓게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는, 청구항 5 또는 6에 기재된 옹벽 구조에 있어서, 세굴방지 공간의 개구 상면에서 유입한 빗물 등은, 세굴방지 공간을 통해 캐비티 충전 공간에 유입하고, 직하단의 옹벽 블록의 캐비티 충전 공간에 차례대로 유입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옹벽 구조에서는, 각 옹벽 블록의 세굴방지 공간 내에 유입한 빗물 등이, 캐비티 충전 공간 내→직하단의 옹벽 블록의 캐비티 충전 공간 내→다시 그 직하단의 옹벽 블록의 캐비티 충전 공간 내에 배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 결과, 캐비티 충전 공간 내의 객토는 양호한 보수·배수·환기성을 확보하여, 더욱 좋은 식생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식재 가능한 옹벽 구축법은, 청구항 5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옹벽 구조를 구축하는 식재 가능한 옹벽 구축법이며, 식물을 옹벽 블록 내에 배치하는 공정과, 식물을 배치한 상태로 객토 공간 내에 객토재를 소정의 높이까지 충전하는 공정과, 객토재상에 사절체를 배치하여 세굴방지 공간을 형성하는 공정과, 잔여의 객토 공간 내에 객토재를 충전하는 공정과, 세굴방지 공간 내에 세굴방지재로서 복수의 덩어리 상태부를 채워 넣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식재 가능한 옹벽 구축법에서는, 옹벽의 구축에서, 객토재를 충전할 때, 미리 식재용의 식물을 옹벽 블록 내에 배치함으로써, 캐비티 충전재의 충전 작업과 식재 작업을 동시에 진행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식재에 필요로 하는 시간과 제조비용을 큰 폭으로 삭감할 수 있다. 여기서, 식재용의 식물로서는, 예를 들면, 갯버들 등을 육성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식재 가능한 옹벽 구축법은, 청구항 5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옹벽 구조를 구축하는 식재 가능한 옹벽 구축법에 있어서, 객토 공간 내에 객토재를 필요한 높이까지 충전하는 공정과, 식물을 옹벽 블록 내의 객토재상에 배치하는 공정과, 식물을 배치한 상태로 잔여의 객토 공간 내에 객토재를 소정의 높이까지 충전하는 공정과, 객토재상에 사절체를 배치하여 세굴방지 공간을 형성하는 공정과, 잔여의 객토 공간 내에 객토재를 충전하는 공정과, 세굴방지 공간 내에 세굴방지재로서 복수의 덩어리 상태부를 채워 넣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식재 가능한 옹벽 구축법에서는, 식재하는 식물의 줄기의 길이(길이)가 옹벽 블록의 전벽의 높이보다 짧은 경우에는, 미리 객토 공간 내에 객토재를 필요한 높이까지 충전해 식물을 배치함으로써, (길이)의 높이가 낮은 식물의 식재와 생육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식재 가능한 옹벽 구축법은, 청구항 5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옹벽 구조를 구축하는 식재 가능한 옹벽 구축법에 있어서, 객토 공간 내에 객토재를 소정의 높이까지 충전하는 공정과, 객토재상에 사절체를 배치하여 세굴방지 공간을 형성하는 공정과, 잔여의 객토 공간 내에 객토재를 충전하는 공정과, 식재하는 식물을 객토재 중에 넣는 공정과, 세굴방지 공간 내에 세굴방지재로서 복수의 덩어리 상태부를 채워 넣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식재 가능한 옹벽 구축법에서는, 식재하는 식물의 줄기의 길이(길이)가 옹벽 블록의 전벽의 높이보다 상당히 짧은 경우라도, 식재하는 식물을 세굴방지 공간의 직하의 객토재 중에 넣는 것으로, 이들 식물의 식재와 생육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즉, 옹벽 구조를 호안 옹벽으로서 적용했을 경우에, 증수한 하천의 유수에 의해서 객토재가 세굴·유출되는 것을 덩어리 상태물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구조를 간단하고 쉽게 하여 객토재의 세굴·유출 방지 효과를 견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덩어리 상태물을 채워 넣는 것으로, 동식물 등의 생물의 생육 공간 및 작은 동물 등의 이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옹벽의 녹화를 견실하게 도모할 수 있고, 생물 환경을 양호하게 정돈할 수 있다. 이 경우, 캐비티 충전 공간 내에는 캐비티 충전재로서 보수성을 갖는 입자지름재를 충전하고, 외부 공간과 직면하는 캐비티 충전 공간의 상층부에 덩어리 상태물을 채워 넣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단면 측면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평면 설명도.
도 3은 식생용 옹벽 블록의 블록 본체의 정면도.
도 4는 식생용 옹벽 블록의 블록 본체의 배면도.
도 5는 식생용 옹벽 블록의 블록 본체의 평면도.
도 6은 식생용 옹벽 블록의 블록 본체의 측도.
도 7은 식생용 옹벽 블록의 블록 본체의 단면 측면도.
도 8은 식재 시공 설명도(1).
도 9는 식재 시공 설명도(2).
도 10은 식재 시공 설명도(3).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평면 설명도.
도 3은 식생용 옹벽 블록의 블록 본체의 정면도.
도 4는 식생용 옹벽 블록의 블록 본체의 배면도.
도 5는 식생용 옹벽 블록의 블록 본체의 평면도.
도 6은 식생용 옹벽 블록의 블록 본체의 측도.
도 7은 식생용 옹벽 블록의 블록 본체의 단면 측면도.
도 8은 식재 시공 설명도(1).
도 9는 식재 시공 설명도(2).
도 10은 식재 시공 설명도(3).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Y는, 본 발명에 따른 호안용의 옹벽이며, 어소용 옹벽 블록(A1)과 식생용 옹벽 블록(A2)을, 기초부(B)상에 계단형태로 단 쌓기함으로써 구축하고 있다. N은 식생용 옹벽 블록(A2)에 식생시킨 식물로서의 갯버들이다.
옹벽 Y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바닥(K1)의 지반 안에 기초부(B)를 배열 설치하고, 기초부(B)의 일부를 형성하는 최하단의 어소용 옹벽 블록 (A1)을 기초를 다지기 위해 부설하고, 이 옹벽 블록(A1) 위에 평상 수위 이하의 하천(K2) 중 및 강바닥(K1) 아래에 일단 내지는 복수단(본 실시 형태에서는 2단)의 어소용 옹벽 블록(A1)을 단 쌓기하고, 다시 그 위에 복수단의 식생용 옹벽 블록 (A2)을 계단형태로 단 쌓기 하여 구축하고 있다. 여기서, 각 옹벽 블록(A1, A2)은 상·하면에 상·하면 개구부(12, 13)를 가지며, 또한 내부에 캐비티 충전 공간(S1)을 갖고 있다(도 7 참조).
그리고 옹벽 Y는, 하단에 위치하는 옹벽 블록(A2)의 상면의 일부, 즉, 상면 개구부(12)의 일부가 외부 공간인 바로 위쪽 공간(S5)에 직면하도록 단 쌓기함과 동시에, 각 옹벽 블록(A2) 내에는 캐비티 충전재로서의 입자지름재(D2)를 충전하여 공적옹벽을 형성하고 있다. 이때, 바로 위쪽 공간(S5)과 직면하는 캐비티 충전 공간(S1)의 상층부에는 세굴방지재로서의 덩어리 상태물(D1), 예를 들면, 쇄석이나 잡석이나 콘크리트 찌꺼기를 넣어, 캐비티 충전 공간(S1) 내에 충전한 입자지름재(D2)가 바로 위쪽 공간(S5)과 직면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덩어리 상태물(D1)의 최대지름은 외부 공간에 직면하는 옹벽 블록(A2)의 표면의 일부의 전후폭(W1)보다 커지도록 하는 것으로, 덩어리 상태물(D1)이 외부에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것은, 유수에 의해 유출되지 않는 덩어리 상태물(D1)에 의해 바로 윗쪽 공간(S5)과 직면하는 캐비티 충전 공간(S1)의 상층부를 층상에 피복하는 것으로, 하천(K2)이 증수한 경우에도, 하천(K2)의 유수로 입자지름재(D2)가 세굴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어소용 옹벽 블록(A1)과 식생용 옹벽 블록(A2)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공통 형태의 블록 본체(1)를 갖고 있다. 어소용 옹벽 블록(A1)은 블록 본체(1)의 전벽(4)에 수생동물이 출입 가능한 구멍(18)을 적당히 형성하고, 어소 기능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식생용 옹벽 블록(A2), 블록 본체(1)의 왼쪽·우측벽(6, 7)의 상부간에 사절체(3)를 가설 형태로 조립하고, 세굴방지 공간(S2)을 형성하고 있다. 즉, 사절체(3)와 그 전방에 대향하는 전벽(4)의 상부와 왼쪽·우측벽(6, 7)의 상부에서 주위를 둘러싸고 상하면이 개구되는 공간이 세굴방지 공간(S2)이 되고 있다. 세굴방지 공간(S2)에는 복수의 덩어리 상태물(D1)을 채워 넣는 것으로, 인접하는 복수의 덩어리 상태물(D1)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여, 바로 윗쪽 공간(S5)과 입자지름재(D2)가 충전된 공간(후술하는 객토 공간(S3))을 연이어 통하는 굴곡 연통로(S4)가 되고 있다.
어소용 옹벽 블록(A1)의 캐비티 충전 공간(S1)내에는, 캐비티 충전재로서의 덩어리 상태물(D1), 예를 들면, 그 최소지름이 50㎜∼200㎜의 잡석을 충전함과 동시에, 이러한 어소용 옹벽 블록(A1)의 배후에 같은 덩어리 상태물(D1)을 뒤채움재로서 충전하고 있다. 충전된 덩어리 상태물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간격)은, 물고기나 갑각류의 생식 공간으로서 이용된다.
식생용 옹벽 블록(A2)의 세굴방지 공간(S2) 내에는, 덩어리 상태물(D1)을 채워 넣고 있다. 덩어리 상태물(D1)로서는, 예를 들면, 그 최소지름이 50㎜∼150㎜의 잡석이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여기서, 최소지름이 50㎜보다 작은 덩어리 상태물(D1)은 유출되기 쉽고 세굴방지 기능에 뒤떨어지므로 사용에 부적당하다. 또, 최소지름이 150㎜ 보다 큰 덩어리 상태물(D1)은 이들에 의해 형성되는 굴곡 연통로(S4)의 지름이 커져, 입자지름재(D2)가 굴곡 연통로(S4)를 통해 외부에 흡출될 우려가 있으므로 사용에 부적당하다.
식생용 옹벽 블록(A2)의 캐비티 충전 공간(S1) 내에는, 세굴방지 공간(S2)을 제외하고, 캐비티 충전재로서의 입자지름재(D2)를 충전하고 있다. 즉, 캐비티 충전재로서는, 보수성을 가져 객토재로서도 기능하는 입자지름재(D2), 예를 들면, 그 최소지름이 1/16㎜∼40㎜의 쇄석이 사용에 매우 적합하다. 또, 옹벽 블록(A2)의 배후에는 같은 입자지름재(D2)를 뒤채움재로서 충전하고 있다. 여기서, 최소지름이 40㎜보다 큰 입자지름재(D2)는 보수성이 극단적으로 적게 되므로 사용에 부적당하다. 또, 최소지름 내지는 입자지름이 1/16㎜ 보다 작은 것은 진흙(점토와 실트)이라고 불리는 것이며 식생에는 부적당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기초부(B)와 그 위에 재설되는 최하단의 옹벽 블록(A1)과의 사이에, 기초부용 활동저항체(23)를 배열 설치하고, 기초부용 활동저항체(23)에 의해 최하단의 옹벽 블록(A1)의 활동을 방지하고 있다. 또, 그 옹벽 블록(A1) 위에 단 쌓기 하는 옹벽 블록(A1)과의 사이에, 경계부용 활동저항체(30)를 배열 설치하고, 경계부용 활동저항체(30)에 의해 상단의 옹벽 블록(A1)의 활동저항력을 강화하고 있다. 동일하게 그 위에 단 쌓기 하는 각 옹벽 블록(A1, A1)과의 사이 및 각 옹벽 블록(A1, A2)과의 사이 및 각 옹벽 블록(A2, A2)과의 사이에, 각각 경계부용 활동저항체(30)를 배열 설치하고, 각 경계부용 활동저항체(30)에 의해 상단의 옹벽 블록(A1) 내지는 옹벽 블록(A2)의 활동저항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하에, 설명의 편의상, 우선, 블록 본체(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이후에, 활동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옹벽 Y의 구조 및 구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블록 본체(1)의 구성〕
블록 본체(1)는 도 3∼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형 판 형태 전·후벽 (4, 5)과 왼쪽·우측벽(6, 7)에서부터 상·하면 개구의 사각형 통 형태로 형성되고 있으며, 후벽(5)은 전벽(4)의 높이의 반보다 낮게 형성하고 있다.
블록 본체(1)의 하단면은, 수평 쌓기 위해 수평면으로 형성하고, 전벽(4)은 횡 길이 사각형 판 형태로 형성함과 동시에, 전벽(4)에 블록 본체(1)의 하단면에 대해서, 전저 후고의 뒤쪽이 경사진 형태가 된 구배θ를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벽(4)을 대략 균일 두께판이 되도록 외면을 2분 구배로 하고 있다. 그리고 후벽(5)도 전벽(4)에 대략 평행시켜 전저 후고의 뒤쪽이 경사진 형태가 되고 있다.
왼쪽·우측벽(6, 7)은, 후벽(5)의 전면 하단에서부터 수직 위쪽으로 일어선 가상선 위치까지 전벽(4)과 동일 높이의 전부 천단면(6a, 7a)을 형성함 동시에, 가상선 위치에서 대략 수직 후단면(6b, 7b)을 형성하고 있다. 대략 수직 후단면(6b, 7b)의 하단을 후벽(5)의 상단면과 동일 높이 위치에 배치하고, 이 동일 높이 위치에 후벽(5)과 연속하는 후부 천단면(6c, 7c)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형성하여, 후벽(5)의 위쪽에, 대략 수직 후단면(6b, 7b)과 후부 천단면(6c, 7c)에서부터 노치형태의 계단식 오목부(6d, 7d)를 형성하고 있다.
블록 본체(1)의 왼쪽·우측벽(6, 7)의 내측면에는, 도 4, 6 및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상부 위치에서, 위쪽과 안쪽이 개구하는 지지부로서의 계단식 감합용 오목부(16, 17)를 측면에서 볼 때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양 계단식 감합용 오목부(16, 17)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늘려진 횡 길이 사각형 판 형태로 형성된 사절체(3)의 좌우측 단부를 위쪽에서부터 자유롭게 빼고 꽂게 감합시키고, 사절체(3)를 가로로 걸쳐 놓고 있다. 사절체(3)는 캐비티 충전 공간(S1)의 상부에 있고, 전벽(4)의 상부와 전후 대략 평행으로 대향시켜 배치하고 있다. 사절체(3)의 상면은, 블록 본체(1)의 상면과 면일((面一) 상태가 되고 있다. 그리고 사절체(3)의 상면에는, 바로 위쪽단에 단 쌓은 블록 본체(1)의 전벽(4)의 하단면이 상하 중합 상태로 당접하도록 되어 있다. 그렇게 하는 것으로, 바로 위쪽 단의 블록 본체(1) 내의 입자지름재(D2)가 하단의 블록 본체(1)의 세굴방지 공간(S2) 내에 낙하·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캐비티 충전 공간(S1)내에는, 그 전측 상부 위치에 상기한 세굴방지 공간(S2)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세굴방지 공간(S2)의 상하폭은 사절체(3)의 상하폭(H)으로 결정된다. 세굴방지 공간(S2) 내에 덩어리진 상태물(D1)을 넣는 한편, 잔여의 캐비티 충전 공간(S1) 내에 입자지름재(D2)를 충전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잔여의 캐비티 충전 공간(S1)은 그 내부에 보수성을 갖는 입자지름재(D2)를 객토재로서 충전하는 것으로 객토 공간(S3)이 되고 있다. 여기서, 세굴방지 공간(S2)을 형성하는 사절체(3)와 전벽(4)의 내면 상단 가장자리와의 사이의 전후폭(W2)은, 덩어리 상태물(D1)의 최소지름의 2배∼4배가 되고 있다. 사절체(3)의 상하폭(H)은 덩어리 상태물(D1)의 최소지름의 2배∼4배가 되고 있다. 그렇게 하는 것으로, 세굴방지 공간(S2) 내에는, 가급적 복수의 덩어리 상태물(D1)이 전후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넣어지도록 하고, 세굴방지 공간(S2)에 있어서의 세굴방지 효과를 실현하는 것과 동시에, 굴곡 연통로(S4)의 길게 늘려진 길이 및 수를 확보하는 것으로 동식물 등의 생물의 생육 공간 및 작은 동물 등의 이동 공간을 확보해 양호한 생물 환경을 창생하고 있다.
캐비티 충전 공간(S1)을 세굴방지 공간(S2)과 객토 공간(S3)으로 나누는 사절체(3)는 사절체(3)의 배후에 있어 객토 공간(S3) 내에 충전되는 객토재가 세굴방지 공간(S2)의 굴곡 연통로(S4)를 통해 외부에 흡출되는 것을 방지한다(흡출 방지 효과). 또한, 객토재에는 완성될 수 없는 단입도 쇄석(예를 들면 13㎜∼20㎜)에 대해서는, 굴곡 연통로 내에 흡출되는 것이 없기 때문에, 시공상의 불편함을 제외하면 반드시 사절체(3)는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캐비티 충전재로서 보수성을 갖는 섬세한 입자지름재(1㎜ 이하의 비율이 50% 이상)를 객토재로서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절체(3)를 배치하고 있지만, 객토재는 아니고 캐비티 충전재로서 10㎜이상의 입자지름재를 이용하는 경우는, 반드시 사절체(3)를 배치하지 않아도 된다. 사절체(3)를 배치하지 않는 경우는, 세굴방지 공간(S2) 내에 넣는 덩어리 상태물(D1)의 층의 두께로 세굴방지 공간(S2)의 상하폭이 결정된다. 그리고, 세굴방지 공간(S2)의 전후폭은, 적어도, 하단의 블록 본체(1)의 전벽(4)의 내면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바로 윗쪽단에 재설되는 블록 본체(1)의 전벽(4)의 내면 하단 가장자리의 위치까지로 한다. 그렇게 하는 것으로, 바로 윗쪽단의 블록 본체(1) 내의 입자지름재(D2)가, 하단의 블록 본체(1)의 세굴방지 공간(S2) 내에 낙하·유입되는 불편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 본체(1)를 배후 지면에 따라 계단 형태로 단 쌓기 하여 옹벽 Y를 구축할 때, 하단의 블록 본체(1)의 전벽(4)의 내면 상단 가장자리와 상단에 단 쌓기 한 블록 본체(1)의 전벽(4)의 외면 하단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W1)을 열어, 하단의 블록 본체(1)의 상면 개구부(12)의 앞부분을 부분적으로 개방시키는 것으로, 개방부(14)를 형성한다. 여기서, 개방부 (14)의 간격(W1)은 세굴방지 공간(S2) 내에 채워 넣는 덩어리 상태물(D1)의 최대지름보다도 작은 간격이 되고, 덩어리 상태물(D1)이 개방부(14)를 통해 유출하지 않도록 한다.
이때, 각 블록 본체(1)의 전벽(4)은 구배θ를 갖는 전저 후고의 뒤쪽이 경사진 형태가 되기 때문에, 개방부(14)의 전후 간격(W1)은 종래의 수직 형태의 전벽을 구비하는 옹벽 블록과 비교하여, 구배θ를 갖는 전벽(4)의 평면 투영 전후폭(W3 ; 도 7 참조)만 작게 설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세굴방지 공간(S2)은 위쪽을 향해 점차 폭이 좁은 공간이 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세굴방지 공간(S2) 내에 넣은 복수의 덩어리 상태물(D1)이 증수한 하천(K2)에 의해 개방부(14)를 통해 블록 본체(1)의 외부에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구배θ를 갖는 전벽(4)에는, 그 외면을 따라서 빗물 등이 원활하고 견실하게 흘러내리고, 개방부(14)를 통해 세굴방지 공간(S2) 내에 유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블록 본체(1)의 세굴방지 공간(S2) 내에 유입한 빗물 등은, 객토 공간(S3) 내→직하단의 블록 본체(1)의 객토 공간(S3) 내→다시 그 직하단의 블록 본체(1)의 객토 공간(S3) 내에 유입하여, 차례대로 최하단의 블록 본체(1)의 객토 공간(S3) 내까지 유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객토 공간(S3) 내의 객토는 양호한 보수·배수·환기성을 확보하여 더욱 좋은 식생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바로 윗쪽단에 배치되는 블록 본체(1)의 전벽(4)의 하단면부는, 하단의 블록 본체(1)에 배치한 사절체(3)상에 재설됨과 동시에, 세굴방지 공간(S2)의 개방부(14)를 부분적으로 폐색하고 있다. 즉, 사절체(3)와 전벽(4)의 내면 상단 가장자리와의 사이의 전후폭(W2)>개방부(14)의 전후 간격(W1)이 되고 있다. 그리고 개방부(14)의 전후 간격(W1)<덩어리 상태물(D1)의 최대지름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상단의 블록 본체(1)의 전벽(4)의 하단 전연부(4a)에 의해 세굴방지 공간(S2)의 통로 상면을 일부 폐색함으로써, 이 일부 폐색 한 전벽(4)의 하단부의 저면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덩어리 상태물의 상면을 가릴 수 있다. 그 결과, 하천(K2)이 증수했을 경우에도, 바로 윗쪽단에 배치되는 블록 본체(1)의 전벽(4)의 하단 전연부(4a)에 의해, 세굴방지 공간(S2) 내에 넣은 덩어리 상태물(D1)이 개방부(14)로부터 블록 본체(1)의 외부에 유출되는 것을 보다 견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캐비티 충전재가 세굴·유출되는 것을 견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왼쪽·우측벽(6, 7)의 외측면의 앞부분에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간격 유지편으로서의 접합부(8, 9)를 외측쪽으로 팽출(膨出)시키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길게 늘려 형성하고 있다. 각 접합부(8, 9)의 전측과 후측에는, 각각 가는 초면(8a, 8b, 9a, 9b)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각 접합부(8, 9)의 선단부의 하부에는, 전후방향과 외측쪽과 아래쪽이 개구되는 연통부 형성 오목부(8c, 9c)를 형성하고 있다.
복수의 블록 본체(1, 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늘려진 대략 동일 직선상에서 접속 상태로 배치할 수 있고, 이때, 좌측의 블록 본체(1)의 접합부(9)와 우측의 블록 본체(1)의 접합부(8)를 대조 상태에서 접합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때, 접합한 접합부(8, 9)와 좌측의 블록 본체(1)의 우측벽(7)과 우측의 블록 본체(1)의 좌측벽(6)에 의해, 전방과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전방 공간(S6)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접합한 접합부(8, 9)에는, 연통부 형성 오목부(8 c, 9c)가 부합하고,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횡방향의 연통로(10)가 형성됨과 동시에, 연통로(10)는 전방 공간(S6)과 후방의 뒤채움 공간(S7)을 연통시킨다.
〔옹벽 Y의 구조 및 구축 방법〕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초 지반인 강바닥(K1)에, 오목부로서 옹벽 연장하여 설치 방향으로 길게 늘려진 요조부(19)를 형성하고, 요조부(19) 내에 기초부(B)를 배열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요조부(19)의 저부에는, 저부 지지재를 부설함과 동시에 전압하여 저부층(20)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저부 지지재로서는, 내부 마찰각이 상기 강바닥(K1)을 성형하는 지반재와 동등 내지는 그것보다 큰 입자지름재(D2)(예를 들면, 쇄석)를 사용한다. 저부층(20) 상에 배치한 기초부용 활동방지체(23)는 단면 종 길이 사각형으로 옹벽 연장하여 설치 방향으로 길게 늘려진 판 형태로 형성하고 있다. (24, 25)는 입자지름재를 충전·전압 형성한 전·후부 입자지름재층이다. 입자지름재로서는, 모래 섞인 조약돌, 쇄석, 잡석, 콘크리트 파쇄편 등을 사용한다.
그리고 전·후부 입자지름재층(24, 25)상에, 최하단의 옹벽 블록(A1)인 블록 본체(1)를 재치하여, 블록 본체(1)의 전·후벽(4, 5)사이에, 전·후부 입자지름재층(24, 25)의 표면에서 위쪽으로 돌출하고 있는 상기 기초부용 활동저항체(23)의 상반부를 배치하고, 블록 본체(1)의 전벽(4)과 기초부용 활동저항체(23)의 상반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구속층 형성재로서의 덩어리 상태물(D1)을 충전하여 전부 구속층(28)을 형성함과 동시에, 기초부용 활동저항체(23)의 상반부와 블록 본체(1)의 후벽(5)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덩어리 상태물(D1)을 충전하여 후부 구속층(29)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블록 본체(1)와 절토면(J)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뒤채움공간(S7) 내에 뒤채움재로서 덩어리 상태물(D1)을 충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기초부(B)의 최하단의 옹벽 블록(A1)상에, 어소용 옹벽 블록(A1)을 수단(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2단)만 배후 지면으로서의 강가(K3)의 법면 에 따라 계단형태로 단 쌓기 하고 있다. 각 캐비티 충전 공간(S1) 내 및 배후의 뒤채움공간(S7) 내에는, 캐비티 충전재 내지는 뒤채움재로서 덩어리 상태물(D1)을 충전하고 있다.
다시, 식생용 옹벽 블록(A2)을 수단(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3단)만 배후 지면으로서의 강가(K3)의 법면을 따라 계단형태로 단 쌓기 하고 있다. 각 세굴방지 공간(S2) 내에는 덩어리진 상태물(D1)을 넣어, 잔여의 캐비티 충전 공간(S1) 내 및 배후의 뒤채움 공간(S7) 내에는, 캐비티 충전재 내지는 뒤채움재로서 입자지름재(D2)를 충전하고 있다.
그리고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각 옹벽 블록(A1, A2)의 경계부의 사이에, 각각 경계부용 활동저항체(30)를 배설하여 각 옹벽 블록(A1, A2)의 활동저항력을 강화하고 있다.
〔식재 시공의 공정 설명〕
이어서, 옹벽 Y를 구축할 때에, 식생용 옹벽 블록(A2)에 식물로서의 갯버들 N을 식재하는 경우의 시공 공정을 설명한다. 여기서, 캐비티 충전재에는 보수성을 가지며, 객토재로서도 기능하는 입자지름재를 객토재로서 채용하고 있다.
도 8은 제1 식재 공정의 설명도이며, 이하의 공정을 갖는다.
(1)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객토 공간(S3) 내에 입자지름재(D2)를 충전하기 전에 갯버들 N을 전벽(4) 내지는 왼쪽·우측벽(6, 7)에 빙장에 기대어 세워 놓도록 배치하는 공정.
(2)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갯버들 N을 배치한 상태에서, 객토 공간(S3) 내 및 뒤채움공간(S7) 내에 객토재인 입자지름재(D2)를 제1 레벨(L1)까지 충전하는 공정. 여기서, 제1 레벨(L1)은 왼쪽·우측벽(6, 7)의 각 계단식 감합용 오목부(16, 17)의 하단 가장자리와 동일한 레벨(동일 지상고)이다.
(3)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레벨(L1)까지 충전한 입자지름재(D2)상의 소정의 위치에 사절체(3)를 배치하여 세굴방지 공간(S2)을 형성하는 공정.
(4)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절체(3)의 배후에 형성되는 잔여 객토 공간(S3) 내 및 뒤채움공간(S7) 내에 입자지름재(D2)를 제2 레벨(L2)까지 충전하는 공정. 여기서, 제2 레벨(L2)은 전벽(4)의 높이와 동일한 레벨(동일 지상고)이다.
(5)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굴방지 공간(S2) 내에 세굴방지재로서 복수의 덩어리 상태부(D1)를 채워 넣는 공정.
(6) 사절체(3)상에 상단의 블록 본체(1)를 갖는 전벽(4)의 하단부를 상하 중합 상태에 배치함과 동시에, 하단의 블록 본체(1) 내에 형성한 세굴방지 공간(S2)의 개방부(14)를 전벽(4)의 하단부에 의해 일부 폐색하고, 상단의 블록 본체(1)를 계단형태로 단 쌓기 하는 것으로, 세굴방지 공간(S2) 내에 담은 덩어리 상태물(D1)이 유출하지 않도록 하는 공정.
이와 같은 제1 식재 공정에서는, 옹벽 Y의 구축에서, 객토재를 충전할 때, 미리 갯버들 N을 옹벽 블록(A2) 내에 배치하는 것만으로, 입자지름재(D2)의 충전 작업과 식재 작업을 동시에 진행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식재에 필요로 하는 시간과 제조비용을 큰폭으로 삭감할 수 있다.
도 9는 제2 식재 공정의 설명도이며, 이하의 공정을 갖는다.
(1)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갯버들 N의 줄기의 길이(길이)가 옹벽 블록의 전벽의 높이보다 짧은 경우에는, 미리 객토 공간(S3) 내 및 뒤채움공간(S7) 내에 객토재인 입자지름재(D2)를 제3 레벨(L3)까지 충전하는 공정. 여기서, 제3 레벨(L3)은 갯버들 N의 상부를 블록 본체(1)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는데 적당한 레벨(필요한 지상고)이다.
(2)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객토 공간(S3) 내에 입자지름재(D2)를 충전하기 전에 갯버들 N을 전벽(4) 내지는 왼쪽·우측벽(6, 7)에 빙장에 기대어 세워 놓도록 하여 배치하는 공정.
(3)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갯버들 N을 배치한 상태에서, 잔여의 객토 공간(S3) 내 및 뒤채움공간(S7) 내에 입자지름재(D2)를 소정의 높이인 제1 레벨(L1)까지 충전하는 공정.
(4)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레벨(L1)까지 충전한 입자지름재(D2)상의 소정의 위치에 사절체(3)를 배치하여 세굴방지 공간(S2)을 형성하는 공정.
(5)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절체(3)의 배후에 형성되는 잔여의 객토 공간(S3) 내 및 뒤채움공간(S7) 내에 입자지름재(D2)를 제2 레벨(L2)까지 충전하는 공정.
(6)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굴방지 공간(S2) 내에 세굴방지재로서 복수의 덩어리진 상태부(D1)를 채워 넣는 공정.
(7) 사절체(3)상에 상단의 블록 본체(1)를 갖는 전벽(4)의 하단부를 상하 중합 상태에 배치함과 동시에, 하단의 블록 본체(1) 내에 형성한 세굴방지 공간(S2)의 개방부(14)를 전벽(4)의 하단부에 의해 일부 폐색하고, 상단의 블록 본체(1)를 계단형태로 단 쌓기 하는 것으로, 세굴방지 공간(S2) 내에 채워 넣은 덩어리 상태물(D1)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공정.
이와 같은 제2 식재 공정에서는, 옹벽 Y를 구축할 때에, 육성하는 갯버들 N의 줄기의 길이(기장)가 블록 본체(1)의 전벽(4)의 높이보다 짧은 경우에는, 미리 객토 공간(S3) 내에 입자지름재(D2)를 필요한 높이까지 충전해 두는 것으로, 갯버들 N을 옹벽 블록(A2) 내에 배치하는 것만으로 줄기의 길이(기장)에 알맞은 식재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도 10은 제3 식재 공정의 설명도이며, 이하의 공정을 갖는다.
이와 같은 공정은, 갯버들 N의 줄기의 길이(기장)가 옹벽 블록의 전벽의 높이보다 상당히 짧은 경우에 채용한다.
(1)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객토 공간(S3) 내 및 뒤채움공간(S7) 내에 객토재인 입자지름재(D2)를 제1 레벨(L1)까지 충전하는 공정.
(2)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레벨(L1)까지 충전한 입자지름재(D2)상의 소정의 위치에 사절체(3)를 배치하여 세굴방지 공간(S2)을 형성하는 공정.
(3)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절체(3)의 배후에 형성되는 잔여의 객토 공간(S3) 내 및 뒤채움공간(S7) 내에 입자지름재(D2)를 제2 레벨(L2)까지 충전하는 공정.
(4)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갯버들 N의 하단부를 객토 공간(S3) 내에 충전한 입자지름재(D2)중에 넣는 공정.
(5) 도 1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굴방지 공간(S2) 내에 세굴방지재로서 복수의 덩어리 상태부(D1)를 넣는 공정.
(6) 사절체(3)상에 상단의 블록 본체(1)를 갖는 전벽(4)의 하단부를 상하 중합 상태에 배치함과 동시에, 하단의 블록 본체(1) 내에 형성한 세굴방지 공간(S2)의 개방부(14)를 전벽(4)의 하단부에 의해 일부 폐색하고, 상단의 블록 본체(1)를 계단형태로 단 쌓기 하는 것으로, 세굴방지 공간(S2) 내에 넣은 덩어리 상태물(D1)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공정.
이와 같은 제3 식재 공정에서는, 식재하는 갯버들 N의 하단부를 세굴방지 공간(S2)을 통해 옹벽 블록(A2) 내의 입자지름재(D2)중에 넣는 것으로, 갯버들 N의 줄기의 길이(기장)가 옹벽 블록의 전벽의 높이보다 상당히 짧은 경우에서도, 간단하게 식재할 수 있다.
종래는 옹벽의 구축 작업을 완료시킨 후에 식재 작업을 실시하고 있었다. 즉, 옹벽 구축 시공과 식재 시공을 따로따로 실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의 제1∼ 제3 식재 공정과 같이, 객토재를 충전할 때에, 미리 갯버들 N을 옹벽 블록(A2) 내에 배치함으로써, 입자지름재(D2)의 충전 작업과 식재 작업을 동시에 일련의 작업으로서 진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옹벽 Y의 구축 작업을 완료시킴과 동시에 식재 작업도 완료시킬 수 있고, 식재 작업에 필요로 하고 있던 시간과 제조비용을 큰폭으로 삭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옹벽 Y의 구축 작업과 식재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식재물을 배치하는 공정의 차례를 늦추는 것으로, 식물의 길이에 알맞은 식재 환경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식재의 폭이 넓어진다. 또한, 상기 제1∼ 제3 식재 공정에서, 입자지름재(D2)를 충전한 직후에, 필요하면 입자지름재(D2)층(객토재층)을 적당히 전압해도 된다.
A1; 어소용의 옹벽 블록, A2; 식생용의 옹벽 블록,
B; 기초부, Y; 옹벽,
1; 블록 본체, 4; 전벽,
5; 후벽, 6; 좌측벽,
7; 우측벽,
B; 기초부, Y; 옹벽,
1; 블록 본체, 4; 전벽,
5; 후벽, 6; 좌측벽,
7; 우측벽,
Claims (11)
- 상면에 개구부를 가지며, 또한 내부에 캐비티 충전 공간을 갖는 복수의 옹벽 블록을 계단형태로 단 쌓기하고, 하단에 위치하는 옹벽 블록의 상면의 일부가 외부 공간에 직면하도록 구축하는 옹벽 구조에 있어서,
캐비티 충전 공간 내에 충전한 캐비티 충전재가 외부 공간과 직면하지 않도록, 외부 공간과 직면하는 캐비티 충전 공간의 상층부에는 세굴방지재로서의 덩어리 상태물을 채워 넣는 것으로, 캐비티 충전재가 세굴되는 것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덩어리 상태물의 최대지름은 외부 공간에 직면하는 옹벽 블록의 개구부의 일부의 전후 폭 보다 크게 하는 것으로, 덩어리 상태물이 개구부를 통해 외부에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옹벽 구조. - 청구항 2에 있어서,
캐비티 충전재로서는, 보수성을 가지며, 객토재로서도 기능하는 입자지름재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 -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비티 충전 공간의 상층부에는 복수의 덩어리 상태물을 넣는 것으로 틈새를 형성하고, 외부 공간과 캐비티 충전재가 충전된 공간을 연이어 통하는 굴곡 연통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 - 청구항 4에 있어서,
표면에 개구부를 가지며, 또한 내부 캐비티 충전 공간을 갖는 옹벽 블록은, 적어도 전·후벽과 양 전·후벽을 연결하는 연결체를 구비하고, 캐비티 충전 공간의 상부에는 전벽의 상부와 대향시켜 사절체를 배치하고, 사절체와 전벽의 상부와의 사이에 세굴방지 공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단의 옹벽 블록의 전벽 하단부는, 직하단의 옹벽 블록 내에 배설한 사절체상에 상하 중합 상태에 배치함과 동시에, 전벽 하단부에 의해 세굴방지 공간의 개구 상면을 일부 폐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 -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
옹벽 블록의 전벽은, 전저 후고의 뒤쪽이 경사진 형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 -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
세굴방지 공간의 통로 상면에서 유입한 빗물 등은, 세굴방지 공간을 통해 캐비티 충전 공간에 유입하고, 직하단의 옹벽 블록의 캐비티 충전 공간에 차례대로 유입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 - 청구항 5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옹벽 구조를 구축하는 식재 가능한 옹벽 구축법에 있어서,
식물을 옹벽 블록 내에 배치하는 공정과, 식물을 배치한 상태로 객토 공간 내에 객토재를 소정의 높이까지 충전하는 공정과,
객토재상에 사절체를 배치해 세굴방지 공간을 형성하는 공정과,
잔여의 객토 공간 내에 객토재를 충전하는 공정과,
세굴방지 공간 내에 세굴방지재로서 복수의 덩어리 상태부를 채워 넣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 가능한 옹벽 구축법. - 청구항 5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옹벽 구조를 구축하는 식재 가능한 옹벽 구축법에 있어서,
객토 공간 내에 객토재를 필요한 높이까지 충전하는 공정과,
식물을 옹벽 블록 내의 객토재상에 배치하는 공정과,
식물을 배치한 상태로 잔여의 객토 공간 내에 객토재를 소정의 높이까지 충전하는 공정과,
객토재상에 사절체를 배치해 세굴방지 공간을 형성하는 공정과,
잔여의 객토 공간 내에 객토재를 충전하는 공정과,
세굴방지 공간 내에 세굴방지재로서 복수의 덩어리 상태부를 채워 넣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 가능한 옹벽 구축법. - 청구항 5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옹벽 구조를 구축하는 식재 가능한 옹벽 구축법에 있어서,
객토 공간 내에 객토재를 소정의 높이까지 충전하는 공정과,
객토재상에 사절체를 배치하여 세굴방지 공간을 형성하는 공정과,
잔여의 객토 공간 내에 객토재를 충전하는 공정과,
식물을 세굴방지 공간을 통해 옹벽 블록 내의 객토재 중에 넣는 공정과,
세굴방지 공간 내에 세굴방지재로서 복수의 덩어리진 상태부를 채워 넣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 가능한 옹벽 구축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0-127894 | 2010-06-03 | ||
JP2010127894 | 2010-06-03 | ||
PCT/JP2011/062705 WO2011152495A1 (ja) | 2010-06-03 | 2011-06-02 | 擁壁構造及び植栽可能な擁壁構築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8976A true KR20130098976A (ko) | 2013-09-05 |
Family
ID=45066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00072A KR20130098976A (ko) | 2010-06-03 | 2011-06-02 | 옹벽구조 및 식재 가능한 옹벽 구축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5065527B2 (ko) |
KR (1) | KR20130098976A (ko) |
CN (1) | CN102933771A (ko) |
WO (1) | WO201115249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562271B2 (ja) * | 2016-06-07 | 2019-08-21 | 東栄商興株式会社 | 滑動抵抗板が設置された空積みブロック擁壁の施工法 |
JP2018178679A (ja) * | 2017-04-13 | 2018-11-15 | Isk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 刃金土の製造方法及び刃金土 |
JP6950944B2 (ja) * | 2017-09-29 | 2021-10-13 | 東栄商興株式会社 | 空積みブロック擁壁の基礎部構造 |
CN111188356A (zh) * | 2020-02-24 | 2020-05-22 |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一种重力挡土墙及其施工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07243A (ja) * | 1997-10-02 | 1999-04-20 | Rita Sogo Kikaku:Kk | 護岸構造物 |
JP3923449B2 (ja) * | 2002-06-07 | 2007-05-30 | 東栄商興株式会社 | 擁壁ブロック |
JP3740663B2 (ja) * | 2003-05-19 | 2006-02-01 | 共和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 擁壁用ブロック及び擁壁 |
JP2004339899A (ja) * | 2003-05-19 | 2004-12-02 | Kubota Matsushitadenko Exterior Works Ltd | 換気棟 |
JPWO2006021987A1 (ja) * | 2004-08-24 | 2008-05-08 | 東栄商興株式会社 | 植生用擁壁 |
JP2007085063A (ja) * | 2005-09-21 | 2007-04-05 | Toei Shoko Kk | 擁壁用植生ブロック及び擁壁 |
CN101297082A (zh) * | 2005-10-28 | 2008-10-29 | 东荣商兴株式会社 | 护墙砌块 |
-
2011
- 2011-06-02 WO PCT/JP2011/062705 patent/WO201115249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6-02 JP JP2011540260A patent/JP5065527B2/ja active Active
- 2011-06-02 KR KR1020137000072A patent/KR2013009897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1-06-02 CN CN2011800274379A patent/CN102933771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065527B2 (ja) | 2012-11-07 |
WO2011152495A1 (ja) | 2011-12-08 |
JPWO2011152495A1 (ja) | 2013-08-01 |
CN102933771A (zh) | 2013-0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98976A (ko) | 옹벽구조 및 식재 가능한 옹벽 구축법 | |
CN109385976B (zh) | 生态景观组合护岸插板桩 | |
EP2175071B1 (en) | Drainage device and arrangement including such drainage device | |
CN213836677U (zh) | 一种山区公路连续多级石笼挡墙生态护坡结构 | |
KR200469646Y1 (ko) | 식생용 옹벽블록 | |
KR200345937Y1 (ko) |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 |
KR200376256Y1 (ko) | 어소블록과 식생블록이 계단식 층상구조를 이루는 보강토제방구조물 | |
KR200376814Y1 (ko) | 원지반 식생용 옹벽블록유닛 | |
KR20060112129A (ko) | 하상 보호용 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0526753B1 (ko) | 생태복원을 위한 자연형 하천의 비탈면 축조구조 | |
JP3118346U (ja) | 護岸ブロック | |
JP3464620B2 (ja) | 植生用ブロック及び同ブロックの段積み工法 | |
KR20110117857A (ko) | 여울목 및 수중 도랑을 구비한 다단 생태하천 수중보와 그의 시공방법 | |
KR101055295B1 (ko) | 그리드일체형 식생철망바구니를 이용한 호안블록 시공법 및 그리드일체형 식생철망바구니 | |
JP2849634B2 (ja) | 護岸緑化用植生ブロック及び緑化護岸 | |
KR100475103B1 (ko) | 하천의 저수로 호안 식생대 및 그 시공방법 | |
CN215052674U (zh) | 预制箱型阶梯式生态护岸结构 | |
KR200274533Y1 (ko) | 하천의 생태옹벽 | |
KR20020069953A (ko) | 생태블록 | |
JPH11172703A (ja) | 法面保護用ブロック | |
KR100458721B1 (ko) | 자연친화형 식생 호안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
KR102155824B1 (ko) | 식생 및 조경용 프리캐스트 패널 옹벽 구조물 | |
JP2000170184A (ja) | 擁壁用コンクリ―トブロック及び擁壁 | |
JP5032967B2 (ja) | 連結ブロック | |
KR200420352Y1 (ko) | 식생형 옹벽블록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