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0033B1 - 산수형 축조 옹벽블록과, 산수형 축조방식이 적용된옹벽구조물 - Google Patents

산수형 축조 옹벽블록과, 산수형 축조방식이 적용된옹벽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0033B1
KR100720033B1 KR1020060056891A KR20060056891A KR100720033B1 KR 100720033 B1 KR100720033 B1 KR 100720033B1 KR 1020060056891 A KR1020060056891 A KR 1020060056891A KR 20060056891 A KR20060056891 A KR 20060056891A KR 100720033 B1 KR100720033 B1 KR 100720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fixing
wall block
groov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6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협
Original Assignee
합자회사 동서콘크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자회사 동서콘크리트 filed Critical 합자회사 동서콘크리트
Priority to KR1020060056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00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수형 축조 옹벽블록과, 산수형 축조방식이 적용된 옹벽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전면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양측단에는 각각 결합홈과 이 결합홈과 맞물릴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돌부를 갖는 전면부; 상기 전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중심과 상기 전면부의 중심을 연결하여, 상기 전면부와 더불어 H 형상의 평면 모습을 갖도록 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대, 중심대 및 전면부로 둘러쌓인 공간 하단을 폐구하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산수형 축조 옹벽블록과, 산수형 축조방식이 적용된 옹벽구조물{A planting breast block and a breast wal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의 제1실시예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의 저면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의 측면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상기 제1실시예의 옹벽블록을 이용해 축조된 옹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의 제2실시예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제2실시예의 옹벽블록을 이용해 축조된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제2실시예의 옹벽블록을 이용해 축조된 다른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0, 100', 101 ; 옹벽블록 110, 110' ; 전면부
111 ; 결합홈 112 ; 결합돌부
113 ; 고정홈 114, 114' ; 펜스
115 ; 식재공 116 ; 끼움홈
117, 117' ; 고정편 118 ; 관통홈
119 ; 채움부재 120 ; 지지부
121 ; 지지대 122 ; 중심대
123 ; 바닥면 124; 고정돌부
125 ; 고정홈 126 ; 공간
127 ; 개구부 200 ; 결속핀
본 발명은 산수형 축조 옹벽블록과, 산수형 축조방식이 적용된 옹벽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옹벽블록은 땅깍기나 흙쌓기를 한 비탈면이 토양으로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해 축조해주는 것으로, 자체 하중을 크게 한 중력식과, 웅벽블록 자체를 상호 연결하여 옹벽블록 간의 결속을 통해 지지하는 반중력식이 있다. 한편, 중력식 또는 반중력식의 구분없이 옹벽블록은 자체하중을 충분히 하기 위해 밀도가 큰 석재로 되며, 다양한 형상에 대한 표현을 위해 시멘트와 같은 석분을 성형틀에 넣어 생산한다.
그런데, 반중력식 옹벽블록의 경우, 자중만으로 토압을 충분히 지탱할 수 없으므로, 부족한 지지력을 보완하기 위해 이웃하는 다른 옹벽블록과의 긴밀하면서 견고한 결합이 요구된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옹벽블록은 시멘트를 성형틀에 넣어 굳히는 방법으로 제작되므로, 생산성을 위해 주로 건식공법이 이용되면서 견고하거나 섬세한 형상으로의 성형에 한계가 있다. 결국, 이러한 한계성은 옹벽블록 간의 견고한 결합에 장애가 되어 이상적인 옹벽구조물의 제작에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근래 옹벽블록은 자연친화적인 모습을 보이면서 보다 천연의 옹벽구조물을 이루기 위해, 옹벽블록 내에 식생을 위한 식재공간을 형성한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옹벽블록은 건식공법을 이용한 제작이 일반적이므로, 옹벽블록 내에 충분한 체적의 식재공간을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식재공간의 한계성은 식생환경을 열악하게 하여, 식재된 식물들의 성장에 어려움을 주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건식공법으로 제작되는 옹벽블록들 간의 견고한 맞물림을 통해, 상기 옹벽블록으로 제작되는 옹벽구조물을 보다 견고하게 축조할 수 있고, 충분한 식생공간을 확보하여 식재된 식물의 성장에 유익함을 주는 동시에, 옹벽구조물 전체의 분위기가 천연의 모습으로 드러날 수 있도록 하는 산수형 축조 옹벽블록과, 산수형 축조방식이 적용된 옹벽구조물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양측단에는 각각 결합홈과 이 결합홈과 맞물릴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돌부를 갖는 전면부;
상기 전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중심과 상기 전면부의 중심을 연결하여, 상기 전면부와 더불어 H 형상의 평면 모습을 갖도록 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대, 중심대 및 전면부로 둘러쌓인 공간 하단을 폐구하는 바닥면;
을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블록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보강토 옹벽블록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및 중심대의 상면 소정위치에 다수의 고정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은 그 저면에 상기 고정돌부와 대응하는 위치로 고정홈을 갖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보강토 옹벽블록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부는 상기 지지대 및 중심대의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대칭되는 다수의 쌍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은 서로 쌍을 이루는 고정돌부의 배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보강토 옹벽블록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의 전방에 식재를 위한 소정 체적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밑면이 폐구된 펜스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보강토 옹벽블록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양측단에는 소정크기로 절개된 개구부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양측단에는 각각 결합홈과 이 결합홈과 맞물릴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결합돌부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돌부에는 고정홈이 형성된 전면부; 상기 전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중심과 상기 전면부의 중심을 연결하여, 상기 전면부와 더불어 H 형상의 평면 모습을 갖도록 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대, 중심대 및 전면부로 둘러쌓인 공간 하단을 폐구하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것을 보강토 옹벽블록이, 이웃하는 보강토 옹벽블록과 상기 결합홈 및 결합돌부의 맞물림으로 결합되며, 상기 결합돌부에 형성된 고정홈을 관통하는 결속핀에 의해 상호 고정되면서 한 층씩 이루며 축조되는 옹벽구조물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옹벽구조물에 있어 서,
상기 지지대 및 중심대의 상면 소정위치에 다수의 고정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은 그 저면에 상기 고정돌부와 대응하는 위치로 고정홈을 갖되, 상기 고정돌부는 상기 지지대 및 중심대의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대칭되는 다수의 쌍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은 서로 쌍을 이루는 고정돌부의 배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하층을 이루는 옹벽블록과 상층을 이루는 옹벽블록이 엇 쌓기로 맞물려도, 상기 고정홈과 고정돌부가 상호 맞물리면서 상하층의 옹벽블록을 상호 결합시키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옹벽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의 하단에는 소정깊이로 절개된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하부를 폐구하는 바닥판을 구비하면서 소정의 공간부를 갖도록 형성된 펜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펜스는 상기 고정홈에 대응하는 관통홈을 갖춘 고정편을 양측단에 각각 구비하면서, 상기 결속핀이 상기 관통홈 및 고정홈을 순차 관통하여 이웃하는 상기 옹벽블록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바닥판의 일단이 상기 끼움홈과 맞물려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편으로부터 돌출되는 옹벽블록이 포함ㆍ축조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옹벽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에 대응하는 관통홈을 갖춘 고정편을 양측단에 각각 구비하면서 상기 결속핀이 상기 관통홈 및 고정홈을 순차 관통하여 이웃하는 상기 옹벽블록이 고정하고, 상기 끼움홈에 맞물려 전방으로 돌출되는 채움부재를 갖춘 옹벽블록이 포함ㆍ축조되되;
상기 채움부재의 상면은 양단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진 형상을 하고, 상기 채움부재를 갖춘 옹벽블록이 위치한 하층에는 상기 채움부재의 일단 또는 양단의 직하방에 상기 펜스를 갖춘 옹벽블록이 위치되도록 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의 제1실시예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의 저면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의 측면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구조물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종류의 옹벽블록(100, 100')의 결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옹벽구조물은 상기 옹벽블록(100, 100')들 중 하나만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나, 보다 바람직한 옹벽구조물은 상기 옹벽블록(100, 100')의 결합이 될 것이다.
도 1(a)에 도시된 옹벽블록(100)은 전면부(110)와, 상기 전면부(110)에 대향하면서 나란하게 배치되는 지지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전면부(110)와 나란한 지지대(121)와, 상기 전면부(110)와 지지대(121)를 상호 연결하는 중심대(122)로 구성된다.
상기 중심대(122)는 상기 전면부(110)와 지지대(121) 사이 중심에 위치하면서 H 형상의 평면을 갖도록 되고, 이를 기준으로 중심대(122)와 전면부(110) 및 지지대(121)로 둘러쌓인 한 쌍의 공간(126)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공간(126)의 바닥에는 바닥면(123)이 형성되면서, 옹벽구조물 축조 시 상기 공간(126)으로 토사를 유입시켜 지지력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다수의 옹벽블록(100, 100')을 다층으로 축조할 시에, 상기 공간(126)에 토사를 주입하여 옹벽블록(100, 100')의 고정성을 보완하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전면부(110)의 양측단에는 각각 결합돌부(112)와 결합홈(11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홈(111) 및 결합돌부(112)는 이웃하는 다른 옹벽블록이 갖는 결합홈 및 결합돌부와 상호 맞물려 긴밀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엇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11) 및 결합돌부(112)는 하나 이상의 고정홈(113)을 갖는다. 상기 고정홈(113)은 이웃하는 옹벽블록과 맞물릴 경우 서로 연통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며, 옹벽구조물 축조 시 결속핀(200)이 상기 고정홈(113)을 관통하면서 옹벽블록(100, 100')이 상호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전면부(110)의 전면 형상은 중심으로 갈수록 안쪽으로 들어가는 오목한 형상으로, 옹벽구조물의 외관미를 향상시킴은 물론 식생공간의 체적을 넓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옹벽구조물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한다.
상기 지지대(121) 및 중심대(122)의 상면에는 다수의 고정돌부(124)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부(12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옹벽블록(100, 100')의 저 면에 형성된 고정홈(125)과 맞물리면서 축조된 옹벽블록(100, 100')이 받게 되는 수평방향으로의 토압에 저항하여 옹벽구조물의 내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고정홈(125)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125)의 개수에 상응하는 만큼 구비된다. 이는 상기 옹벽블록(100, 100')이 정축조 또는 엇쌓기로 축조됨에 구분없이, 상기 고정돌부(124)와 고정홈(125)이 항시 맞물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100, 100')의 경우, 상기 고정돌부(124)는 옹벽블록(100, 100')의 상면에, 상기 고정홈(125)는 옹벽블록(100, 100')의 저면에 형성된 것으로 하였지만, 이와는 반대로, 상기 고정돌부(124)를 옹벽블록(100, 100')의 저면에, 상기 고정홈(125)을 옹벽블록(100, 100')의 상면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상기 옹벽블록(100, 100')을 후퇴축조할 수 있어 옹벽구조물을 계단식으로 쌓을 수 있을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지지대(121)의 양측단에는 소정 크기로 절개된 개구부(127)가 구비된다. 상기 개구부(127)는 공간(126)이 옹벽블록(100, 100')이 축조되는 경사면의 토사쪽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공간(126)에 주입된 토사가 경사면의 토사와 분리되는 것을 막고, 이를 통해 식물의 뿌리와 더불어 상기 토사가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100, 100')과 뒤엉키면서 긴밀한 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도 1(b)는 다른 옹벽블록(100')의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전면부(110')에 펜스(114)가 구비되어, 상기 펜스(114) 사이로 소정의 식재공(115)이 형성되도록 한 다.
상기 펜스(114)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서, 전면이 오목한 전면부(110')와 맞물려 비교적 넓은 공간의 식재공(115)을 이룬다. 즉, 상기 전면부(110')가 오목하여 종래보다 훨씬 넓은 공간을 이루게 되고, 이를 통해 현실적인 식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상기 제1실시예의 옹벽블록을 이용해 축조된 옹벽을 도시한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 있는 옹벽블록(100, 10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조된다. 즉, 옹벽구조물의 층마다 도 1(a)의 옹벽블록(100) 및 도 2(b)의 옹벽블록(100') 만이 각각 배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구조물은 오목한 전면부(110)와 식재공(115)을 형성시키는 펜스(114)에 의해 비교적 넓은 상면부를 갖는 식재공(115)을 갖는다. 즉, 상기 오목한 전면부(110)로 인해 종래 식재공에 보다 넓은 공간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식재된 식물들의 생장이 유리한 것이다.
한편, 옹벽블록(100, 100')의 상면 및 저면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돌부(124) 및 고정홈(125) 간의 상호 맞물림으로 인해 상하층의 옹벽블록(100, 100')이 견고히 결합되고, 상기 결합홈(111)과 결합돌부(112) 간의 맞물림과 고정홈(113)을 관통하는 결속핀(200)을 통해 좌우 옹벽블록(100, 100')이 견고히 결합된다.
도 4에 도시한 옹벽구조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층이 도 1(a)의 옹벽블록(100)과 도 1(b)의 옹벽블록(100')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구조물의 일실시예로, 두 옹벽블록(100, 100')이 혼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의 제2실시예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보면, 제1실시예인 옹벽블록(100)에 끼움홈(116)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홈(116)은 전면부(110')의 하단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111)과 결합돌부(112)의 범위 내에 형성된다.
도 6은 상기 제2실시예의 옹벽블록을 이용해 축조된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제2실시예의 옹벽블록을 이용해 축조된 다른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끼움홈(116)은 옹벽블록(101')과 별품으로 제작된 펜스(114')의 돌부(114b)가 맞물리는 곳으로, 상기 옹벽블록(101')과 별도로 제작됨으로서 충분한 면적의 식재공(115)을 갖는 펜스(114')를 상기 옹벽블록(101')과 견고하고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돌부(114b)는 펜스(114')의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판(114a)의 일부로, 상기 바닥판(114a) 내에 철근을 내설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식재공(115)을 이루면서도, 중심이 전방으로 기울어져서 불안정하게 되는 펜스(114')의 결합구조를 안정하게 한다.
계속해서, 상기 펜스(114')의 양단에는 각각 상기 옹벽블록(101)의 양측단에 형성된 결합홈(111) 및 결합돌부(112)에 맞대어지는 고정편(11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편(117)에는 상기 고정홈(113)에 대응하는 관통홈(118)이 형성되어 서, 상기 결속핀(200)이 상기 관통홈(118) 및 고정홈(113)을 순차 관통하여, 펜스(114)'가 옹벽블록(101)에 고정되도록 하는 동시에, 이웃하는 옹벽블록(101) 간의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록(101)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옹벽블록(100, 100')과 더불어 옹벽구조물을 이룰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옹벽구조물은 펜스(114)가 없는 옹벽블록(100)만이 도시되고 있지만, 펜스(114)가 있는 옹벽블록(100')이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계속해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움홈(116)이 형성된 옹벽블록(101)으로 펜스(114') 이외에 채움부재(119)가 더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채움부재(119)는 끼움홈(116)을 갖는 옹벽블록(101)으로 이루어진 옹벽구조물에서 상기 펜스(114')와 결합하지 않는 옹벽블록(101)의 끼움홈(116)을 매꿔 외관상 빈공간이 드러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이웃하는 옹벽블록(100, 100', 101) 간의 결속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채움부재(119)의 양단에는 고정편(117')이 형성되어서, 상기 옹벽블록(100, 100', 101)의 결합홈(111) 및 결합돌부(112)에 맞대어져서 결속핀(200)을 매개로 상호 맞물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채움부재(119)의 두께를 상기 끼움홈(116)의 깊이보다 두껍게 하여 상기 채움부재(119)가 전면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채움부재(119)가 중심이 볼록하게 되어 그 상면이 양단부에서 기울어지도록 한다.
이는 도 8(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층에 위치하는 옹벽블록(101)의 채움부재(119) 단부가 하층에 위치하는 옹벽블 록(101)의 펜스(114')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전면부(110)를 타고 흐르는 우수가 상기 채움부재(119)에 안내되어 상기 펜스(114')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옹벽구조물은 상기 채움부재(119)에 의해 펜스(114') 내 식물들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식재된 식물의 원활한 성장을 도모한다.
도 8에 도시한 옹벽구조물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구조물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앞서 설명한 옹벽블록(100, 100', 101)의 조합을 통해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전면이 오목한 전면부를 갖는 옹벽블록에 의해 식재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펜스 내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이웃하는 옹벽블록 및 상하층에 있는 옹벽블록 간의 결속을 강화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옹벽블록의 축조로 건설된 옹벽구조물은 식재된 식물의 성장환경을 이롭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전면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양측단에는 각각 결합홈과 이 결합홈과 맞물릴 수 있는 형상의 결합돌부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돌부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소정깊이로 절개된 끼움홈을 구비한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중심과 상기 전면부의 중심을 연결하여 상기 전면부와 더불어 H 형상의 평면 모습을 갖도록 하는 중심대로 이루어진 지지부 및 상기 지지대, 중심대 및 전면부로 둘러쌓인 공간 하단을 폐구하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블록이;
    이웃하는 보강토 옹벽블록과 상기 결합홈 및 결합돌부의 맞물림으로 결합되며, 상기 결합돌부에 형성된 고정홈을 관통하는 결속핀에 의해 상호 고정되면서 한 층씩 이루며 축조되고;
    상기 전면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하부를 폐구하는 바닥판을 구비하면서 소정의 공간부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 대응하는 관통홈을 갖춘 고정편을 양측단에 각각 구비하면서, 상기 결속핀이 상기 관통홈 및 고정홈을 순차 관통하여 이웃하는 상기 옹벽블록이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바닥판의 일단이 상기 끼움홈과 맞물려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편으로부터 돌출된 돌부를 갖는 펜스를 더 포함하는 한편;
    상기 고정홈에 대응하는 관통홈을 갖춘 고정편을 양측단에 각각 구비하면서 상기 결속핀이 상기 관통홈 및 고정홈을 순차 관통하여 이웃하는 상기 옹벽블록이 고정하고, 상기 끼움홈에 맞물려 전방으로 돌출되는 채움부재를 갖춘 옹벽블록이 포함ㆍ축조되되, 상기 채움부재의 상면은 양단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진 형상을 하고, 상기 채움부재를 갖춘 옹벽블록이 위치한 하층에는 상기 채움부재의 일단 또는 양단의 직하방에 상기 펜스를 갖춘 옹벽블록이 위치되도록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및 중심대의 상면 소정위치에 다수의 고정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은 그 저면에 상기 고정돌부와 대응하는 위치로 고정홈을 갖되, 상기 고정돌부는 상기 지지대 및 중심대의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대칭되는 다수의 쌍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은 서로 쌍을 이루는 고정돌부의 배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하층을 이루는 옹벽블록과 상층을 이루는 옹벽블록이 엇 쌓기로 맞물려도, 상기 고정홈과 고정돌부가 상호 맞물리면서 상하층의 옹벽블록을 상호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블록.
  8. 삭제
  9. 삭제
KR1020060056891A 2006-06-23 2006-06-23 산수형 축조 옹벽블록과, 산수형 축조방식이 적용된옹벽구조물 KR100720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891A KR100720033B1 (ko) 2006-06-23 2006-06-23 산수형 축조 옹벽블록과, 산수형 축조방식이 적용된옹벽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891A KR100720033B1 (ko) 2006-06-23 2006-06-23 산수형 축조 옹벽블록과, 산수형 축조방식이 적용된옹벽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0033B1 true KR100720033B1 (ko) 2007-05-18

Family

ID=38277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6891A KR100720033B1 (ko) 2006-06-23 2006-06-23 산수형 축조 옹벽블록과, 산수형 축조방식이 적용된옹벽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00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45734A (zh) * 2013-05-15 2014-11-19 青岛天力建筑加固工程有限公司 快速绿化挡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1210A (en) 1997-03-12 1999-09-14 Nicolock Of Long Island Concrete block
KR200396205Y1 (ko) 2005-06-24 2005-09-21 대영산업(주) 친환경 식생블럭
KR200404262Y1 (ko) 2005-09-21 2005-12-20 이강협 식생 보강토 옹벽블록
KR100620572B1 (ko) 2006-06-09 2006-09-06 대영산업(주) 식생형 축조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1210A (en) 1997-03-12 1999-09-14 Nicolock Of Long Island Concrete block
KR200396205Y1 (ko) 2005-06-24 2005-09-21 대영산업(주) 친환경 식생블럭
KR200404262Y1 (ko) 2005-09-21 2005-12-20 이강협 식생 보강토 옹벽블록
KR100620572B1 (ko) 2006-06-09 2006-09-06 대영산업(주) 식생형 축조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45734A (zh) * 2013-05-15 2014-11-19 青岛天力建筑加固工程有限公司 快速绿化挡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5747B2 (en) Multi-component retaining wall block
US9951490B2 (en) Block, flood protection barrier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barrier of this type
CA2755333C (en) Multi-component retaining wall block with natural stone appearance
MX2010006059A (es) Bloque de concreto para pared, paredes que tienen tales bloques, y metodos.
KR101116393B1 (ko) 보강토 옹벽용 블럭
KR200381301Y1 (ko) 옹벽 축조용 조립식 블록
KR100654625B1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100538186B1 (ko) 전면 구배 조정수단이 구비된 식재 옹벽블록
KR101193330B1 (ko) 식생경관 연출용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KR100720033B1 (ko) 산수형 축조 옹벽블록과, 산수형 축조방식이 적용된옹벽구조물
KR101215838B1 (ko)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101225070B1 (ko) 전면판이 결합되는 옹벽 축조용 블록
KR20160109206A (ko) 콘크리트 구조물과 철망조립체의 경합으로 이루어진 개비온
KR20060059409A (ko) 옹벽 축조용 조립식 블록
KR101168859B1 (ko) 조형석 옹벽 및 그에 이용되는 조형석
KR20150107437A (ko) 수직 옹벽 축조용 블록 유닛
JP3559250B2 (ja) 土留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200461055Y1 (ko) 조형석 옹벽 및 조형석
KR200461591Y1 (ko) 조형석 옹벽 및 조형석
KR20060082388A (ko) 옹벽 축조용 조립식 블록
KR101204308B1 (ko) 통나무 돌바구니
KR100593181B1 (ko)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979005B1 (ko) 식생 축조 기초블록
KR200376593Y1 (ko) 옹벽 축조용 조립식 블록
KR100778066B1 (ko) 옹벽을 이루는 단위 블록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