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8859B1 - 조형석 옹벽 및 그에 이용되는 조형석 - Google Patents

조형석 옹벽 및 그에 이용되는 조형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8859B1
KR101168859B1 KR1020120030119A KR20120030119A KR101168859B1 KR 101168859 B1 KR101168859 B1 KR 101168859B1 KR 1020120030119 A KR1020120030119 A KR 1020120030119A KR 20120030119 A KR20120030119 A KR 20120030119A KR 101168859 B1 KR101168859 B1 KR 101168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stone
sculpture
fixing groov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규
Original Assignee
한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터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터건설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7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4Geogr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블록으로 가공한 조형석으로써 손쉽게 성토부 또는 절토부의 벽체를 형성하도록 개선한 조형석 옹벽을 개시하며, 상기 조형석 옹벽은, 성토부의 전면 또는 절토부의 전면의 하부에 연약 지반을 보강하기 위하여 타설되는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 상기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 상에 다수의 조형석들이 수직 적층 및 수평 연결되어서 이루어지는 벽체; 및 상기 벽체의 최상단을 이루는 상기 조형석들의 윗면을 커버하는 마감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조형석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홈이 윗면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과 삽입 가능하게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키가 아랫면에 형성되며 장방형상의 연결홈이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에 삽입가능하게 돌출된 연결키가 상기 연결홈이 형성된 반대 측면에 형성되며 수직 방향으로 관통된 드레인 홈이 후면에 하나 이상 형성됨으로써 적층된 상부의 상기 조형석의 아랫면의 상기 고정키와 하부의 상기 조형석의 윗면의 상기 고정홈이 결합되고 수평으로 인접한 상기 조형석들의 상기 연결홈과 상기 연결키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형석 옹벽 및 그에 이용되는 조형석{Retaining wall with formative stone and formative ston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형석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블록으로 가공한 조형석으로써 손쉽게 성토부 또는 절토부의 벽체를 형성하도록 개선한 조형석 옹벽과 그에 이용되는 조형석에 관한 것이다.
토목 또는 건축 현장은 일반적으로 암반부 또는 대지를 절개함에 따라 형성되는 절토부의 절개면이나, 지반을 성토하는 과정에서 고도가 다른 영역 간에 발생되는 절토부에 대한 성토부의 경사면에 대한 보강이 고려되어야 한다.
절토부는 임의적인 절개에 의하여 형성된 경사를 갖는 절개면에 대한 구조물이며, 성토부는 성토하는 과정에서 고도차로 형성되는 경사면에 대한 구조물이다.
여기에서 상기 절개면 및 경사면은 다양한 방법으로 보강을 위한 시공 방법이 제시될 수 있다. 이 중 절토부에는 특히 안전성과 경제성 뿐만 아니라 외적 미관을 고려한 조경이 고려된 보강 시공 방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절토부의 경사면을 보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설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또는 발파석(자연석)을 이용한 돌벽 구조물이 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타설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은 설치대상 경사지 및 암반 등의 형태에 대응한 유연성 및 가변성이 부족하다. 그리고, 유연성 및 가변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지기반이 필요한데 지지기반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공간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공간의 확보는 뒤 채움 작업 등을 많이 필요로 하며, 그에 따라서 공사기간이 연장되고, 공사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그리고, 차후 옹벽 구조물의 부분적인 파손이 발생된 경우, 이의 보수가 곤란하며, 미관을 고려한 조경적인 측면을 충족시키기 어렵다.
또한, 자연석을 이용한 돌벽 구조물의 경우 조경적인 측면이 충족되고, 경사면에 대응한 유연성 및 가변성이 확보될 수 있으나, 돌을 쌓는 경우 자연석이 지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특히 다단으로 쌓는 경우 고도로 숙련된 시공기술이 필요하다. 특히, 자연석은 일반적으로 암반에서 채취한 발파석 등이 이용되는데 이는 자연환경을 훼손하는 문제점과 산지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양이 충분하지 않은 문제점 등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블록화된 조형석을 이용하여 벽체를 설치함에 따라서 설치 환경에 대한 유연성과 가변성을 확보하고, 조형석의 전면에 조형미를 가미함으로써 조경적인 측면을 충족하며, 조형석을 조립 시공 가능하여서 시공성이 개선될 수 있는 조형석 옹벽 및 그에 이용되는 조형석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 옹벽은, 성토부의 전면 또는 절토부의 전면의 하부에 연약 지반을 보강하기 위하여 타설되는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 상기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 상에 다수의 조형석들이 수직 적층 및 수평 연결되어서 이루어지는 벽체; 및 상기 벽체의 최상단을 이루는 상기 조형석들의 윗면을 커버하는 마감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조형석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홈이 윗면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과 삽입 가능하게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키가 아랫면에 형성되며 장방형상의 연결홈이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에 삽입가능하게 돌출된 연결키가 상기 연결홈이 형성된 반대 측면에 형성되며 수직 방향으로 관통된 드레인 홈이 후면에 하나 이상 형성됨으로써 적층된 상부의 상기 조형석의 아랫면의 상기 고정키와 하부의 상기 조형석의 윗면의 상기 고정홈이 결합되고 수평으로 인접한 상기 조형석들의 상기 연결홈과 상기 연결키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조형석은 하나의 배수로가 형성된 제1 조형석과 두 개의 배수로가 형성된 제2 조형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조형석은 상기 제1 조형석이 길이 방향으로 두 개가 연결되어서 일체화된 것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형석의 윗면의 고정홈은 상기 아랫면의 고정키를 기준으로 후면쪽으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벽체는 상기 성토부에 대하여 설치되고, 상기 성토부 내에 다층으로 배치되는 지오그리드 단부가 적층되는 상기 조형석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홈과 상기 고정키의 결합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형석의 윗면과 아랫면에 제1 키홈과 제2 키홈이 형성되고 적층되어서 이어지는 상부의 상기 조형석의 상기 제2 키홈과 하부의 상기 조형석의 상기 제1 키홈에 키가 삽입되고 상기 키는 적층된 상기 조형석들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지오그리드의 단부를 관통하여서 상기 지오그리드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벽체는 상기 절토부에 대하여 설치되며, 상기 조형석의 뒷면에 셋 앙카가 설치되고 상기 셋 앙카와 상기 절토부의 절토면에 설치된 소일 네일이 와이어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 옹벽은, 성토부의 전면 또는 절토부의 전면의 하부에 연약 지반을 보강하기 위하여 타설되는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 상기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 상에 다수의 조형석들이 수직 적층 및 수평 연결되어서 이루어지는 벽체; 및 상기 벽체의 최상단을 이루는 상기 조형석들의 윗면을 커버하는 마감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조형석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홈이 윗면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과 삽입 가능하게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키가 아랫면의 양쪽에 분리 형성되며 장방형상의 연결홈이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에 삽입가능하게 돌출된 연결키가 상기 연결홈이 형성된 반대 측면에 형성되며 수직 방향으로 관통된 드레인 홈이 후면에 두 개 형성됨으로써 적층된 상부의 상기 조형석의 아랫면의 상기 고정키와 하부의 상기 조형석의 윗면의 상기 고정홈이 결합되고 수평으로 인접한 상기 조형석들의 상기 연결홈과 상기 연결키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조형석은 드레인 홈을 하나 갖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형석의 윗면의 고정홈은 상기 아랫면의 고정키를 기준으로 후면쪽으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벽체는 상기 성토부에 대하여 설치되고, 상기 성토부 내에 다층으로 배치되는 지오그리드 단부가 적층되는 상기 조형석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홈과 상기 고정키의 결합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형석의 윗면과 아랫면에 제1 키홈과 제2 키홈이 형성되고 적층되어서 이어지는 상부의 상기 조형석의 상기 제2 키홈과 하부의 상기 조형석의 상기 제1 키홈에 키가 삽입되고 상기 키는 적층된 상기 조형석들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지오그리드의 단부를 관통하여서 상기 지오그리드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벽체는 상기 절토부에 대하여 설치되며, 상기 조형석의 뒷면에 셋 앙카가 설치되고 상기 셋 앙카와 상기 절토부의 절토면에 설치된 소일 네일이 와이어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 옹벽은, 성토부의 전면 또는 절토부의 전면의 하부에 연약 지반을 보강하기 위하여 타설되는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 상기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 상에 다수의 조형석들이 수직 적층 및 수평 연결되어서 이루어지는 벽체; 상기 벽체를 이루도록 적층되는 상기 조형석들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키; 및 상기 벽체의 최상단을 이루는 상기 조형석들의 윗면을 커버하는 마감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조형석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홈이 윗면과 아랫면에 형성되며 장방형상의 연결홈이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에 삽입가능하게 돌출된 연결키가 상기 연결홈이 형성된 반대 측면에 형성되며 수직 방향으로 관통된 드레인 홈이 후면에 하나 이상 형성됨으로써 적층되어 마주하는 상부와 하부의 상기 조형석의 상기 고정홈에 상기 수평키가 배치되어 결합되고 수평으로 인접한 상기 조형석들의 상기 연결홈과 상기 연결키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조형석은 하나의 배수로가 형성된 제1 조형석과 두 개의 배수로가 형성된 제2 조형석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조형석은 상기 제1 조형석이 길이 방향으로 두 개가 연결되어서 일체화된 것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형석의 윗면의 고정홈은 상기 아랫면의 고정홈을 기준으로 후면쪽으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벽체는 상기 성토부에 대하여 설치되고, 상기 성토부 내에 다층으로 배치되는 지오그리드 단부가 적층되는 상기 조형석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홈과 상기 수평키의 결합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형석의 윗면과 아랫면에 제1 키홈과 제2 키홈이 형성되고 적층되어서 이어지는 상부의 상기 조형석의 상기 제2 키홈과 하부의 상기 조형석의 상기 제1 키홈에 키가 삽입되고 상기 키는 적층된 상기 조형석들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지오그리드의 단부를 관통하여서 상기 지오그리드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벽체는 상기 절토부에 대하여 설치되며, 상기 조형석의 뒷면에 셋 앙카가 설치되고 상기 셋 앙카와 상기 절토부의 절토면에 설치된 소일 네일이 와이어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은, 전면에 형성된 조경면;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채널 형상의 고정홈;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며 상기 고정홈보다 앞면에 가깝게 형성되며 자신에 맞닿는 상기 고정홈과 교합되는 고정키; 상기 고정홈 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접착홈들; 일 측면에 상기 고정홈이 형성된 위치부터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게 형성된 연결키; 다른 측면에 상기 고정홈이 형성된 위치부터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된 연결홈; 후면으로 돌출되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포크부; 서로 이격된 상기 포크부 사이에 형성되는 드레인홈;을 포함하며, 성토부 또는 절토부의 옹벽을 이루기 위하여 상하로 적층되어서 상기 고정홈과 상기 고정키 간의 결합으로 적층 상태가 지지되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서 상기 연결키와 상기 연결홈 간의 결합으로 배치 상태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은, 전면에 형성된 조경면;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채널 형상의 제1 고정홈;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며 상기 제1 고정홈보다 앞면에 가깝게 형성되며 자신에 맞닿는 상기 제1 고정홈과 대응되는 제2 고정홈; 상기 제1 고정홈 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접착홈들; 일 측면에 상기 제1 고정홈이 형성된 위치부터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게 형성된 연결키; 다른 측면에 상기 제1 고정홈이 형성된 위치부터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된 연결홈; 후면으로 돌출되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포크부; 및 서로 이격된 상기 포크부 사이에 형성되는 드레인홈;을 포함하며, 성토부 또는 절토부의 옹벽을 이루기 위하여 상하로 적층되는 다른 조형석의 길이 방향 단부에 배치 및 적층되어서 상기 옹벽의 길이 방향 단부의 마감을 이룸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은, 전면과 측면에 형성된 조경면; 상기 측면을 이루는 블럭체; 상기 블럭체와 이격되어 다른 측면을 이루는 포크부; 상기 블럭체와 포크부 사이에 형성되는 드레인홈;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단이 상기 블럭에의 일정 위치에서 중지된 형상을 갖도록 상부에 형성되는 제1 고정홈; 상기 제1 고정홈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홈보다 앞면에 가깝게 형성되는 제2 고정홈; 상기 제1 고정홈 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접착홈들; 및 상기 포크부의 측면에 상기 제1 고정홈이 형성된 위치로부터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게 형성된 연결키;를 포함하며, 성토부 또는 절토부의 옹벽을 이루기 위하여 상하로 적층되는 다른 조형석의 길이 방향 단부에 배치 및 적층되어서 상기 옹벽의 길이 방향 단부의 마감을 이룸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은, 전면에 형성된 조경면;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채널 형상의 고정홈;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며 상기 고정홈보다 앞면에 가깝게 형성되며 자신에 맞닿는 상기 고정홈과 교합되는 고정키; 상기 고정홈 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접착홈들; 일 측면에 상기 고정홈이 형성된 위치부터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게 형성된 연결키; 다른 측면에 상기 고정홈이 형성된 위치부터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된 연결홈; 후면으로 돌출되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포크부; 및 서로 이격된 상기 포크부 사이에 형성되는 드레인홈;을 포함하며, 상기 포크부로 이루어지는 측면에 테이핑면이 형성됨으로써 성토부 또는 절토부의 옹벽을 이루기 위하여 상하로 적층되어서 상기 고정홈과 상기 고정키 간의 결합으로 적층 상태가 지지되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서 상기 연결키와 상기 연결홈 간의 결합으로 배치 상태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은, 전면에 형성된 조경면;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채널 형상의 제1 고정홈;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며 상기 고정홈보다 앞면에 가깝게 형성되며 자신에 맞닿는 상기 고정홈과 교합되는 고정키; 일 측면에 상기 제1 고정홈이 형성된 위치부터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게 형성된 연결키; 다른 측면에 상기 제1 고정홈이 형성된 위치부터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된 연결홈; 후면으로 돌출되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포크부; 상기 포크부의 상면에 상기 제1 고정홈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고정홈; 상기 제1 및 제2 고정홈 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접착홈들; 서로 이격된 상기 포크부 사이에 형성되는 드레인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키의 하부에 하층을 이루는 제1 옹벽이 대응되게 적층되고 상기 제2 고정홈의 상부에 상층을 이루는 제2 옹벽이 대응되게 적층되며, 상기 고정홈과 상기 고정키 간의 결합으로 적층 상태가 지지되고 상기 연결키와 상기 연결홈 간의 결합으로 수평 방향 배치 상태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블럭화된 조형석로써 옹벽의 벽체를 설치함에 따라 설치 환경에 대한 유연성과 가변성이 확보될 수 있어서 옹벽 공사의 시공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블럭으로 제작되는 조형석의 전면은 다양한 방법으로 표면 처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문양을 구현하거나 자연석 효과를 얻도록 조형석을 제작함으로써 조경적인 측면을 충족하는 옹벽을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정형화된 조형석을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작업을 단순히 반복하여 시공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성토부의 지오그리드 또는 절토부의 소일네일과 적층되는 조형석이 손쉽고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으므로 구조체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 옹벽의 실시예에 이용되는 조형석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2-2 부분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 옹벽의 실시예에 이용되는 다른 조형석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조형석 옹벽의 실시예에 이용되는 마감 블록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우측면도.
도 8은 도 6의 마감 블록과 도 1 및 도 4의 조형석들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적층되는 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의 방법으로 적층되는 조형석들 사이에 지오그리드가 결합되는 상태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방법으로 지오그리드가 조형석들 사이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 옹벽의 실시예가 성토부에 실시된 상태를 예시하는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 옹벽의 실시예가 절토부에 실시된 상태를 예시하는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 옹벽의 전면을 표시하는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 옹벽의 다른 실시예에 이용되는 조형석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15-15 부분의 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16-16 부분의 단면도.
도 17은 도 14의 정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 옹벽의 다른 실시예에 이용되는 다른 조형석의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정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 옹벽의 또다른 실시예에 이용되는 조형석의 사시도.
도 21는 도 20의 21-21 부분의 단면도.
도 22은 도 20의 정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 옹벽의 또다른 실시예에 이용되는 다른 조형석의 사시도.
도 24는 도 23의 정면도.
도 25는 수평키의 사시도.
도 26는 도 6의 마감 블록과 도 20 및 도 24의 조형석들이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로 적층되는 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27은 도 26의 방법으로 적층되는 조형석들 사이에 지오그리드가 결합되는 상태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
도 28은 도 27의 방법으로 지오그리드가 조형석들 사이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29은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 옹벽의 또다른 실시예가 성토부에 실시된 상태를 예시하는 측면도.
도 30는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 옹벽의 또다른 실시예가 절토부에 실시된 상태를 예시하는 측면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의 실시예가 성토부에 실시된 상태를 예시하는 측면도.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의 실시예가 절토부에 실시된 상태를 예시하는 측면도.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4는 도 33의 평면도.
도 35는 도 33의 측면도.
도 36은 도 33의 정면도.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8 내지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1은 도 40의 평면도.
도 42는 마감 블럭의 사시도.
도 43은 도 42의 측면도.
도 44는 보조 블럭의 사시도.
도 45는 조형석 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6은 조형석들을 수평으로 배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
도 47은 도 33의 조형석과 마감 블럭 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8는 도 39의 조형석과 마감 블럭 및 보조 블럭 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9는 보강 조형석을 이용한 성토부의 옹벽의 측면도.
도 50은 보강 조형석을 이용한 절토부의 옹벽의 측면도.
도 51은 보강 조형석의 사시도.
도 52는 보강 조형석의 측면도.
도 53은 보강 조형석의 평면도.
도 54는 보강 조형석을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조형석을 이용하며, 조형석은 콘크리트 블록으로 제작된다.
조형석은 벽체를 형성할 때 전면에 드러나는 조경감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전면이 문양을 구현하거나 자연석 효과를 얻도록 표면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조형석(1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홈(11)이 윗면에 형성되고 고정홈(11)과 삽입 가능하게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키(12)가 아랫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조형석(10)은 장방형상의 연결홈(14)이 일측면에 형성되고 연결홈(14)에 삽입가능하게 돌출된 연결키(13)가 연결홈(14)이 형성된 반대 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조형석(10)은 수직 방향으로 관통된 드레인 홈(17)이 후면에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 두 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조형석(10)은 적층될 때 위층의 조형석의 아랫면의 고정키(12)와 하래층의 조형석의 고정홈(11)이 결합되어서 벽체를 이룬다. 그리고, 조형석(10)은 수평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인접한 조형석의 연결홈(14)과 연결키(13)가 결합되되어서 수평으로 배열된 상태가 지지된다.
그리고, 조형석(10)의 윗면과 아랫면에 키홈(18)이 각각 형성되며, 키홈(18)은 조형석(10)의 후면에 드레인홈(17)이 형성된 사이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윗면의 키홈(18)이 아랫면의 것보다 후면에 가깝도록 서로 소정 거리(t1) 엇갈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윗면의 고정홈(11)도 아랫면의 고정키(12)보다 후면에 가깝도록 서로 소정 거리(도 10의 t2) 엇갈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하 엇갈리게 키홈(18)과 고정홈(11) 및 고정키(12)를 형성하는 것은 조형석(10)이 후면으로 일정각 경사져서 다층으로 적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면의 고정홈(11)은 자신에 삽입되는 고정핀(12)보다 폭이 넓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들 간의 간극은 시멘트나 모르타르 또는 고착제 등으로 충진되어 접착력이 부가될 수 있다.
그리고, 측면의 연결홈(14)도 자신에 삽입되는 연결핀(13)보다 폭이 넓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그에 따라 조형석(10)은 유격에 의하여 수평으로 조립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와 같이 도 1과 다른 조형석(10a)이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의 조형석은 도 1의 조형석(10a)을 이등분하면서 일측면에 연결홈(14)이 구성된 것에 해당된다. 즉, 도 4 및 도 5의 조형석(10a)은 하나의 배수로가 형성된 것이며 도 4 및 도 5의 조형석(10a)을 길이 방향으로 두개 연결하여 일체화하면 도 1의 조형석(10)과 동일한 형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의 조형석(10a)의 고정홈(11), 고정키(12), 연결홈(14), 연결키(13)의 구성은 도 1의 조형석(10)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구성된 마감 블록(20)이 이용되며, 마감 블록(20)은 아랫면에 조형석(10, 10a)의 윗면에 형성된 고정홈(11)에 삽입되는 돌출부(22)가 형성되며 조형석(10, 10a)을 종방향으로 커버할 수 있는 면적을 갖는 장방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마감 블록(20)의 돌출부(22)는 조형석(10, 10a)의 고정키(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마감 블록(20)은 도 1 내지 도 5의 조형석(10, 10a)으로 벽체가 설치된 최상단에 배치되어서 마감처리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으며 시멘트나 모르타르 또는 고착제 등으로 아래의 조형석(10, 10a)과 접착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7의 조형석(10, 10a) 및 마감 블록(20)은 도 8과 같이 적층되어 조립될 수 있으며, 도 8은 키(24)가 키홈에 삽입됨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의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 옹벽은 도 9와 같은 적층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수평 방향으로 조형석(10, 10a)가 배열되고 다층으로 조형석(10, 10a)이 적층된다.
이때 적층되는 조형석(10, 10a) 사이에는 지오그리드(3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고, 지오그리드(30)의 단부는 조형석의 고정홈(11)과 고정키(12)의 결합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부와 하부의 조형석(10, 10a)이 서로 적층되면서 서로 이어지는 키홈(18)에 키(24)가 삽입되며, 키(24)는 지오그리드(30)의 단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지오그리드(30)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키(24)는 철근 또는 부식성에 강한 다양한 소재의 파이프나 빔으로 제작되어서 이용될 수 있다.
즉, 도 10과 같이 지오그리드의 단부가 적층되는 조형석(10, 10a) 사이에 삽입되어서 설치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과 같이 지오그리드를 고정하는 방법은 도 11과 같이 성토부에 대하여 조형석 옹벽이 설치됨으로써 이용될 수 있다.
즉, 터파기한 지반(100) 상에 기초 콘크리트(102)를 지반 보강을 위하여 타설하고, 기초 콘크리트(102) 상에 조형석(10, 10a)이 다층으로 적층되어 벽체를 구성할 수 있다.
최하층의 조형석(10, 10a)은 기초 콘크리트(102)와 결합되며 앞채움(104) 및 뒷채움(106)에 의하여 일부 매립될 수 있다. 조형석(10, 10a)의 후면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층(108)이 성토부(120)와 더불어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수층(108)의 하부에는 유공관(109)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11의 성토부에 대하여 실시된 조형석 옹벽은, 성토부의 전면의 하부에 연약 지반을 보강하기 위하여 타설되는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 상에 다수의 조형석들(10, 10a)이 수직 적층 및 수평 연결되어서 이루어지는 벽체, 및 벽체의 최상단을 이루는 조형석들(10, 10a)의 윗면을 커버하는 마감블록들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 옹벽은 절토부의 전면에 대하여 도 12와 같이 실시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 옹벽을 이루는 벽체는 절토면(202)이 형성된 절토부(200)에 대하여 설치될 수 있다.
즉, 터파기한 지반(100) 상에 기초 콘크리트(102)를 지반 보강을 위하여 타설하고, 기초 콘크리트(102) 상에 조형석(10, 10a)이 다층으로 적층되어 벽체를 구성할 수 있다.
최하층의 조형석(10, 10a)은 기초 콘크리트(102)와 결합되며 앞채움(104)에 의하여 일부 매립될 수 있다. 조형석(10, 10a)의 후면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층(108)이 성토부(120)와 더불어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수층(108)의 하부에는 유공관(109)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조형석(10, 10a)의 후면에는 셋 앙카(204)가 삽입 설치되어서 콘픽스로 고정되고, 절토부(200)의 절토면(202)에는 소일 네일(208)이 설치된다. 그리고, 소일 네일(208)의 절토면(202) 상으로 노출되는 단부와 셋 앙카(204)의 단부는 와이어(206)로 연결될 수 있으며, 와이어(206)는 겹이음, 용접 또는 클립 등의 방법으로 양단이 셋 앙카(204)의 단부 및 소일 네일(208)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셋 앙카(204)는 턴 버클을 포함한 구조가 선택될 수 있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12와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 옹벽은 도 1의 조형석(10)과 도 4의 조형석(10a)이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치됨으로써 도 13과 같은 패턴을 이루도록 전면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 옹벽을 이룸에 있어서 조형석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그 일예로 도 14 내지 도 17과 같이 도 1 내지 도 3에 대응하는 조형석(10b)의 아랫면에 형성되는 고정핀(12b)이 길이 방향 양단으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조형석(10b)는 도 1 내지 도 3의 조형석(10)과 고정핀(12b)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18 및 도 19와 같이 도 4 및 도 5에 대응하는 조형석(10c)은 도 14 내지 도 17의 조형석(10b)과 동일하게 분리된 일측 고정핀(12c)만 구성될 수 있다. 조형석(10c)는 도 4 및 도 5의 조형석(10a)과 고정핀(12c)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 내지 도 19와 같이 조형석(10b, 10c)은 고정핀(12b, 12c)이 분리됨으로써 적층시 고정홈(11)과 고정핀(12b)간의 결합이 더 유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조형석 옹벽의 시공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 옹벽을 실시하는데 이용되는 도 1 내지 도 3에 대응되는 조형석(10d)은 도 20 내지 도 22과 같이 윗면과 아랫면에 각각 고정홈(11, 11d)이 형성될 수 있다. 조형석(10d)는 도 1 내지 도 3의 조형석(10)과 고정홈(11d)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23 및 도 24와 같이 도 4 및 도 5에 대응하는 조형석(10e)은 도 20 내지 도 22의 조형석(10d)과 동일하게 윗면과 아랫면에 각각 고정홈(11, 11e)이 형성될 수 있다. 조형석(10e)는 도 4 및 도 5의 조형석(10a)과 고정홈(11e)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 내지 도 24의 경우 적층되는 조형석들(10d, 10e)은 도 25의 수평키(4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수평키(40)는 상하 적층되는 조형석들(10d, 10e)의 고정홈(11, 11d 또는 11, 11e)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장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20 내지 도 24의 조형석들(10d, 10e)는 도 26과 같이 수평키(40)를 개재하여 적층되며, 수평 키(40)에 의하여 적층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도 26는 키(24)가 키홈에 삽입됨을 도시하고 있다.
도 26의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형석 옹벽은 도 27과 같은 적층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수평 방향으로 조형석(10d, 10e)가 배열되고 다층으로 조형석(10d, 10e)이 적층된다.
이때 적층되는 조형석(10d, 10e) 사이에는 지오그리드(3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고, 지오그리드(30)의 단부는 조형석의 고정홈들(11, 11d, 11e)과 수평키(40)의 결합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부와 하부의 조형석(10d, 10e)이 서로 적층되면서 서로 이어지는 키홈(18)에 키(24)가 삽입되며, 키(24)는 지오그리드(30)의 단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지오그리드(30)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28과 같이 지오그리드의 단부가 적층되는 조형석(10, 10a) 사이에 삽입되어서 설치될 수 있다.
도 27 및 도 28과 같이 지오그리드(30)를 고정하는 방법은 도 29와 같이 성토부에 대하여 조형석 옹벽이 설치됨으로써 이용될 수 있다.
도 29의 조형석 옹벽은 도 11의 성토부와 대비하여 조형석(10d, 10e) 및 수평키(40)의 구성만 달라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조형석 옹벽은 절토부의 전면에 대하여 도 30과 같이 실시될 수 있으며, 이 경우도 도 12의 절토부와 대비하여 조형석(10d, 10e) 및 수평키의 구성만 달라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31 및 도 32와 같이 실시될 수 있으며, 도 31은 성토부 옹벽이고, 도 32는 절토부 옹벽이다.
도 31의 성토부 옹벽과 도 32의 절토부 옹벽은 도 33 내지 도 44의 조형석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1과 도 32는 단차를 갖는 복수의 층을 이루는 옹벽을 구성하며 단차를 갖는 옹벽은 연결 콘크리트(103)에 의하여 옹벽의 각 층이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먼저, 도 31의 성토부 옹벽은 지반(100) 상에 기초콘크리트(102)가 타설되고 기초 콘크리트(102) 상에 최하층을 이루는 조형석(300)이 설치된다. 여기에서, 기초콘크리트(102)는 연약 지반을 위한 보강구조로 역할을 하며, 통상적으로 앞채움(104)과 뒷채움에 의하여 매립될 수 있다.
기초콘크리트(102)의 상부에는 다층으로 조형석(300)이 적층되어서 옹벽을 이루며, 다층으로 적층된 조형석(300) 사이에는 지오그리드(30)의 일단이 삽입된다. 여기에서, 지오그리드(30)는 상하로 맞물리는 조형석(300)에 의하여 고정됨과 동시에 석재용 접착제(400)에 의하여 접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석재용 접착제(400)는 에폭시 수지(Epoxy Resin)과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수지 재질의 접착제가 이용될 수 있다. 석재용 접착제(400)는 경화제와 혼합하여 접착을 원하는 면에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조형석(300)이 다층으로 적층된 최상부에는 마감블록(500)이 배치되며, 마감블록(500)도 조형석(300)과 석재용 접착제(400)를 이용하여 접착될 수 있다.
그리고, 조형석(300)이 다층으로 적층된 후면에는 성토부(120)가 구성되며, 조형석(300)에 의한 옹벽과 성토부(120) 사이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층(108)이 형성될 수 있고, 배수층(108)의 하부에는 배수를 안내하기 위한 유공관(109)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층을 갖는 조형석(300)으로 구성되는 옹벽은 도 31과 같이 단차를 갖는 다단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상부와 하부 간에 단차를 갖는 옹벽은 연결 콘크리트(103)에 의하여 옹벽의 각 층이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하부 층을 이루는 옹벽과 상부 층을 이루는 옹벽 사이에는 단차를 갖는 평편한 면이 존재하게 되며, 이 영역에 식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식생되는 수목은 조형석(300)의 뒷 면에 형성되는 후술되는 드레인홈과 식생홈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을 따라 뿌리내림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드레인홈은 배수에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각 구성의 설명에서 후술한다.
그리고, 하부 층을 이루는 옹벽의 최 상부에 위치한 조형석(300)의 내부에는 연결 콘크리트(103)가 일정 영역 타설되며, 연결 콘크리트(103)의 상부에 상부 층을 이루는 옹벽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연결 콘크리트(103)는 하부에 성토된 성토부(120)를 보강하여 상부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옹벽을 지지하기 위한 보강 구조물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1과 같이 성토부의 전면에 조형석(300)을 이용한 옹벽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 32와 같이 절토부의 전면에 조형석(300)을 이용한 옹벽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2의 옹벽은 도 31과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32의 옹벽은 절토부(200)의 절토면(202)과 옹벽을 이루는 조형석(300)을 연결하기 위하여 조형석(300)에 셋 앙카(204)가 설치되고 절토면(202)에 소일 네일(208)이 설치되며 셋 앙카(204)와 소일 네일(208)은 와이어(206)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도 31의 성토부 옹벽과 도 32의 절토부 옹벽을 이루는 조형석(300)은 도 33 및 도 44과 같은 구성을 갖는 것들이 이용될 수 있다.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여 조형석(30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본다.
도 33 내지 도 36은 도 31 및 도 32의 성토부를 이루는 조형석(300)이며, 도 33은 조형석(300)의 배면을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4는 조형석(300)의 평면도이며, 도 35는 조형석(300)의 측면도이고, 도 36은 조형석(300)의 정면도이다.
조형석(300)은 전면에 옹벽을 이루어서 조경미를 갖도록 조경면(312)이 형성될 수 있고, 조경면(312)은 자연석과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한 표면 처리 등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형석(300)의 상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채널 형상의 고정홈(314)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고정키(314)가 형성되며, 고정홈(316)과 고정키(314)는 서로 교합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갖는다.
여기에서, 조형석(300)의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홈(316)이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키(314)보다 앞면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옹벽이 뒷 쪽의 성토부 또는 절토부 쪽으로 일정각 경사져서 기울어지도록 조형석(300)을 적층하여 구조적 안정을 이루기 위한 것이다.
조형석(310)의 적층에 의하여 상하로 적층되는 조형석들(300)의 하부의 고정키(314)와 상부의 고정홈(316)이 교합된다. 조형석(300)의 고정키(314)와 고정홈(316)은 상하로 교합되어서 옹벽을 이루기 위하여 적층되는 조형석들(300)의 적층 상태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고정홈(316)에는 일정 각격 이격되어 형성된 접착홈들(318)이 형성되며, 접착홈들(318)은 석재용 접착제(400)를 도포하는 위치를 표시하는 역할을 하며 도포되는 석재용 접착제(400)를 일정 용량 내부에 수용하는 역할도 한다.
*즉, 하층을 이루는 조형석(300)의 상부의 고정홈(316) 내의 접착홈들(318)이 형성된 위치에 일정 용량의 석재용 접착제(400)가 도포된다. 석재용 접착제(400)는 접착홈(318)을 기준으로 도포되며 접착홈(318)을 충전하는 이상의 양으로 접착홈(318)보다 넓은 면적에 분포되도록 도포됨이 바람직하다.
즉, 옹벽은 석재용 접착제(400)를 도포한 후 지오그리드(30)의 단부를 하층을 이루는 조형석(300)의 상부에 배치하고 지오그리드(30)의 상부에 상층을 이루는 조형석(300)을 배치하는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석재용 접착제(400)는 경화되어서 상부와 하부의 조형석(300)의 서로 마주하는 면을 접착하고 상부와 하부의 조형석(300)들의 배치는 고정홈(316)과 고정키(314)의 교합으로 지지되고, 상부와 하부의 조형석(300)들 사이에 배치되는 지오그리드(30)의 단부는 석재용 접착제(400)의 접착력과 고정홈(316)과 고정키(314) 간의 맞물림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조형석(300)의 일 측면에는 고정홈(316)이 형성된 위치부터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된 연결키(320)가 형성되고 반대 측면에는 고정홈(316)이 형성된 위치부터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된 연결홈(322)이 형성된다.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서 연결키(320)와 연결홈(322)은 반대로 바뀌어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조형석(300)의 연결키(320)와 연결홈(322)은 수평으로 배치되는 인접한 조형석(300)들을 수평으로 일정하게 배치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조형석(300)들은 연결키(320)와 연결홈(322) 간의 결합에 의하여 배치 상태가 지지될 수 있다. 연결키(320)와 연결홈(322) 사이에는 석재용 접착제(400) 또는 모르타르 등이 개재되어서 접착력이 제공될 수 있고, 따라서 인접한 조형석(300) 간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조형석(300)에는 후면으로 돌출되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 개의 포크부(324)가 형성되며, 서로 이격된 포크부(324) 사이에는 드레임홈(326)이 형성되고, 각 포크부(324)의 중앙에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연통되는 식생홈(328)이 형성된다.
드레인홈(326)은 상하로 적층되는 조형석(300)들 간에 서로 연결되며 빗물이나 지하수를 드레인하는 경로를 제공하면서 상부에 심어진 식생들의 뿌리가 하부로 뻣어나갈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식생홈(328)은 드레인홈(326)에 의하여 하부로 뻗어나가는 식생들의 뿌리가 좌우로 자연스럽게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여기에서, 조형석(300)의 드레 홈(326)에는 고리(329)가 설치될 수 있으며, 식생홈(328)의 특정 위치에 돌기바(330)가 설치될 수 있다. 고리(329)와 돌기바(330)는 조형석(300)에 일정 깊이 형성된 홈에 설치한 후 홈에 고착제 등을 충진하여서 설치된 상태가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고리(329)는 체인이나 와이어와 같은 연결부재와 결합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고리는(329)는 조형석(300)을 들어올리는 장치와 체결되는 체인이나 와이어에 체결됨으로써 조형석(300)을 들어올리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돌기바(330)에는 무게추(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조형석(300)을 도 31 및 도 32와 적층하기 위하여 들어올릴 때, 체인이나 와이어가 고리(329)에 체결되어서 조형석(300)을 들어올려서 이동할 수 있고, 돌기바(330)에 설치되는 무게추에 의하여 조형석(300)의 무게중심이 안정되어서 안전하게 조형석(300)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여 고리(329)와 돌기바(330)의 구성에 의하여 조형석(300)을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작업을 단순히 반복하여 옹벽을 시공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조형석은 옹벽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 33 내지 도 36의 구성과 다른 것이 이용될 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 조형석은 도 37 내지 도 43과 같이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먼저, 도 37의 조형석(340)은, 도 33 내지 도 36의 조형석(300)과 같이,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홈(316)이 형성되고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키(314)가 구성되며 뒷면에 포크부(324)와 이들 사이의 드레인홈(326)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조형석(340)은 양 측면에 연결키(320)와 연결홈(322)이 조형석(300)과 같이 구성되며, 고정홈(316)의 내부에는 다수의 접착홈(318)이 형성된다. 그리고, 조형석(340)은 조형석(300)과 동일하게 정면에 옹벽을 이루어서 조경미를 갖도록 조경면이 형성될 수 있고, 조경면은 자연석과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한 표면 처리 등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형석(340)도 옹벽의 구조적 안정을 위하여 조형석(300)과 같이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홈(316)이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키(314)보다 앞면에 가깝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37의 조형석(340)은 도 33 내지 도 36의 조형석(300)과 비교하여 높이가 낮도록 설계되고 길이가 짧으며 포크부(324)에 식생홈이 형성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조형석(340)은 조형석(3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적층될 수 있으며 상하 적층되는 구조는 고정홈(316)과 고정키(314)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고 수평으로 연결되는 구조는 연결키(320)와 연결홈(322)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조형석(340)은 성토부에 구성되는 경우 상부와 하부에 도 31과 같이 지오그리드가 설치될 수 있고 절토부에 구성되는 경우 뒷면에 셋앙카가 고정되어서 절토면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조형석(340)은 도 33 내지 도 36의 조형석(300)보다 부피가 작기 때문에 무게 중심을 조절할 필요성이 크지 않으므로 고리(329)만 설치되고 돌기바가 구성되지 않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돌기바가 조형석(300)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도 37의 조형석(340)은 도 33 내지 도 36의 조형석(300)을 이용하여 옹벽을 쌓는 과정에서 높이를 조절할 필요성이 있을 때 중간에 층을 이루도록 적층되어 이용될 수 있다.
도 37의 조형석(340)을 수직 방향으로 적층하고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방법은 도 33 내지 도 36의 조형석(30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38과 같은 구조의 조형석(350)이 이용될 수 있다.
도 38의 조형석(350)은 상부와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홈(316, 316a)이 형성되고 뒷면에 포크부(324)와 이들 사이의 드레인홈(326)이 형성되며 양측면에 각각 연결키(320)와 연결홈(322)이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여기에서, 조형석(350)도 옹벽의 구조적 안정을 위하여 조형석(300)과 유사하게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홈(316)이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홈(316a)보다 앞면에 가깝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38의 조형석(350)은 도 33 내지 도 36의 조형석(300)과 비교하여 하부에 고정키(314) 대신 고정홈(316a)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 즉 폭이 좁게 설계되고 포크부(324)에 식생홈이 형성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8의 조형석(350)은 두 개의 포크부(324)와 이들 사이의 하나의 드레인홈(326)을 갖는다. 그리고, 조형석(350)은 조형석(300)과 동일하게 정면에 옹벽을 이루어서 조경미를 갖도록 조경면이 형성될 수 있고, 조경면은 자연석과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한 표면 처리 등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8의 조형석(350)은 도 33 내지 도 36 또는 도 37의 조형석(300)을 이용하여 옹벽을 쌓는 과정에서 수평 방향의 단부의 마감을 위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조형석(350)은 측면에 연결되는 조형석(300, 340)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측면에 배치되는 조형석(300, 340)과 결합되어서 옹벽의 모서리를 마감한다.
여기에서, 조형석(350)은 상하로 적층될 때 서로 마주하는 고정홈(316, 316a) 사이에 바형키(도시되지 않음)를 삽입하고 석재용 접착제(400) 또는 모르타르 등을 개재하여서 접착력을 제공받으며 적층 상태를 지지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8의 조형석(350)은 도 33 내지 도 36의 조형석(300)보다 부피가 작기 때문에 하중을 조절할 필요성이 없으므로 고리(329)만 설치되고 돌기바가 구성되지 않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제작자의 선택에 따라 돌기바가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9와 같은 구조의 조형석(360)이 이용될 수 있다.
도 39의 조형석(360)은 도 38의 조형석(350)과 같이 조형석(300)을 이용하여 옹벽을 쌓는 과정에서 수평 방향의 단부의 마감을 위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일 측면에 배치되는 조형석(300)과 결합되어서 옹벽의 모서리를 마감한다.
이를 위하여 도 39의 조형석(360)은 뒷면에는 포크부(324)와 블럭체(362)가 드레인홈(326)을 형성하도록 이격된 공간을 이루며 형성되고, 포크부(324)에는 식생홈(328)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조형석(360)의 전면과 블럭체가 형성된 측면은 옹벽을 이루어서 조경미를 갖도록 조경면이 형성될 수 있고, 조경면은 자연석과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한 표면 처리 등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형석(360)의 포크부(324)가 형성된 측면에는 연결키(320)가 형성된다.
또한, 도 39의 조형석(360)은 도 38의 조형석(350)과 같이 상부와 하부에 고정홈(316, 316a)이 형성되며, 고정홈(316, 316a)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단부가 블럭체(362)의 일정 위치에서 중지된 형상을 가지며, 상부의 고정홈(316)에는 다수의 접착홈(318)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조형석(360)도 옹벽의 구조적 안정을 위하여 조형석(300)과 유사하게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홈(316)이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홈(316a)보다 앞면에 가깝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조형석(360)의 상하 구조에 의하여 조형석(360)은 수직으로 적층될 때 상하로 마주하는 조형석(360)의 고정홈(316, 316a) 사이에 바형 키(도시되지 않음)를 삽입함으로써 적층 상태를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바형 키가 삽입되는 조형석(360)의 고정홈(316, 316a)에는 석재용 접착제(400) 또는 모르타르 등이 개재되어서 적층 상태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9의 조형석(360)은 도 38의 조형석(350)과 같이 옹벽의 수평 방향 단부의 마감을 위하여 이용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조형석(360)의 포크부(324)가 형성된 측면에는 고정홈(316)에 연장되는 위치에 연결키(320)가 돌출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39의 조형석(360)은 도 33 내지 도 36 또는 도 37의 조형석(300)을 이용하여 옹벽을 쌓는 과정에서 수평 방향의 단부의 마감을 위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조형석(360)은 측면에 연결되는 조형석(300, 340)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측면에 배치되는 조형석(300, 340)과 결합되어서 옹벽의 모서리를 마감한다.
그리고, 도 39의 조형석(360)은 도 33 내지 도 36의 조형석(300)보다 부피가 작기 때문에 하중을 조절할 필요성이 많지 않아서 고리(329)만 설치되고 돌기바가 구성되지 않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제작자의 필요에 따라서 돌기바가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옹벽은 수평 방향으로 이어지면서 필요한 경우에 곡면을 이루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즉, 옹벽이 라운드진 형상을 갖도록 조립될 수 있는 조형석의 구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조형석이 도 40 및 도 41과 같이 도시될 수 있으며, 도 40 및 도 41의 조형석(370)은 조형석(300)을 이용하여 옹벽을 쌓는 과정에서 수평으로 굴곡진 면을 형성하거나 라운드진 면을 처리하기 위하여 앞면의 길이가 뒷면의 길이보다 짧은 역사다리꼴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결국 조형석(379)의 앞면의 양단은 뒷면과 각각 D 만큼 더 길고 각 측면은 테이핑지게 형성된다.
도 40 및 도 41의 조형석(370)도 조립을 위하여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홈(316)이 형성되고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키(314)가 형성되며 양측면에 각각 연결키(320)와 연결홈(322)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조형석(370)도 옹벽의 구조적 안정을 위하여 조형석(300)과 유사하게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홈(316)이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홈(316a)보다 앞면에 가깝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조형석(370)의 뒷면에는 외측으로 테이핑 면을 갖는 포크부(324)가 형성되고 한 쌍의 포크부(324) 사이에 드레인홈(326)이 형성되고, 그리고, 각 포크부(324)에는 식생홈(328)이 형성된다.
그리고, 조형석(370)의 앞면에는 옹벽을 이루어서 조경미를 갖도록 조경면이 형성될 수 있고, 조경면은 자연석과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한 표면 처리 등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0 및 도 41의 조형석(370)은 상부의 고정홈(316)과 하부의 고정키(318)의 결합으로 적층 상태가 고정되며 양측면의 연결키(320)와 연결홈(322)의 결합으로 수평으로 연결된 상태가 고정된다.
이때 연결키(320)는 인접하는 조형석(370)의 고정홈(316)이 포크부(324)의 테이핑 면에 의하여 틀어져서 이어지기 때문에 돌출된 형상이 틀어져서 인접하는 조형석(370)의 연결홈(3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 길이와 형상이 조절되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0 및 도 41의 조형석(370)도 부피가 작기 때문에 하중을 조절할 필요성이 없으므로 고리(329)만 설치되고 돌기바가 구성되지 않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결국, 상술한 바와 같이 조형석(370)은 테이핑진 면을 양측에 구비하기 때문에 다수의 조형석(370)을 수평 방향으로 접하여 배치하면 단차(D)에 의하여 앞면이 라운드지도록 옹벽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조형석(370)을 이어서 원하는 반경을 갖는 옹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단차 D를 다양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면 조형석(370)을 이용하여 다양한 반경의 굴곡을 갖는 옹벽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도 33 내지 도 41의 조형석은 적층된 후 최 상측에 도 42 및 도 43과 같이 장방체 형상을 가지며 하부에 고정키(314)가 형성된 마감 블럭(500)이 배치되어 마감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9과 같이 수평방향 단부를 마감하는 조형석(360)의 상부에는 도 42 및 도 43의 마감블럭(500)과 더불어 도 44와 같이 장방형상을 갖는 보조블럭(502)이 배치되어 마감될 수 있다.
도 42 내지 도 44의 마감블럭(500)과 보조블럭(502)은 앞면과 윗면 및 측면에 옹벽을 이루어서 조경미를 갖도록 조경면이 형성될 수 있고, 조경면은 자연석과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한 표면 처리 등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3 내지 도 44의 조형석들 간의 결합에 대하여 도 45 내지 도 4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5는 도 33 내지 도 36의 조형석(300)이 수직으로 적층되면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도 31 및 도 32와 같은 구조로 옹벽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높이를 맞추기 위하여 도 37의 조형석(340)을 이용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도 45와 같이 옹벽은 조형석(300)을 길이 방향으로 이어서 배치하고 수직 방향으로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높이를 완충하는 구조가 필요한 경우 조형석(340)을 이용하여 중간의 완충층을 형성하여 형성할 수 있다.
성토부에 대응하여 도 45와 같이 조형석(300)의 길이 방향 층과 조형석(340)의 길이 방향 층이 적층되는 경우 이들 조형석(300, 340) 사이에 지오그리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절토부에 대응하여 도 45와 같이 조형석(300)의 길이 방향 층과 조형석(340)의 길이 방향 층이 적층되는 경우 이들 조형석(300, 340)의 뒷면에 셋앙카가 설치되어 절토면과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도 46은 조형석(300)을 수평 방향으로 배치하여 옹벽을 형성하는 경우에 단부의 마감을 위하여 도 38의 조형석(350)과 도 39의 조형석(360)이 양단을 이루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도 46과 같이 마감을 위하여 수평으로 배치되는 조형석(300)의 양단에 조형석(350) 또는 조형석(360)이 배치될 수 있고, 조형석(350, 360)에 의하여 옹벽의 수평 방향 단부의 마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조형석(300, 350, 360)에는 도 31 또는 도 32와 같이 지오그리드 또는 셋앙카를 이용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47은 조형석(300)의 상부에 마감 블럭(500)을 배치하는 방법을 예시한 것으로서, 조형석(300)의 상부의 고정홈(316)과 마감블럭(500)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키(314)가 교합되도록 배치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마감블럭(500)은 조형석(300) 상부의 길이 방향을 커버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8은 조형석(360)의 상부에 마감 블럭(500)과 보조 블럭(502)을 배치하는 방법을 예시한 것으로서, 조형석(360)의 상부의 고정홈(316)과 마감블럭(500)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키(314)가 교합되도록 보마감 블럭(500)을 조형석(360) 상부에 배치하고, 조형석(360)의 나머지 공간 상에 보조 블럭(502)을 배치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여기에서, 보조 블럭(502)은 적어도 윗면과 전면 및 측면에 자연석 효과를 갖도록 표면 처리된 조경면을 가질 수 있으며, 마감 블럭(500)도 전면과 상면에 자연석 효과를 갖도록 표면 처리된 조경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은 도 49 및 도 50과 같이 단차진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보강 조형석(380)을 이용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49는 도 31과 같은 성토부에 옹벽이 구성된 것이며 단차진 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 31의 연결 콘크리트 대신 보강 조형석(380)으로 단차면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 50은 도 32와 같은 절토부에 옹벽이 구성된 것이며 단차진 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 32의 연결 콘크리트 대신 보강 조형석(380)으로 단차면을 형성하고 있다.
보강 조형석(380)은 도 51 내지 도 53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보강 조형석(380)은 조형석(300)과 비교하여 포크부(324)가 더 길게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즉, 포크부(324)는 고정홈(316)과 일정거리 수평으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홈(316b)이 더 형성된 구성을 가지며, 고정홈(316b)에는 접착홈(318a)이 형성된다. 그리고, 포크부(324) 사이에는 드레인홈(326)이 형성된다. 또한, 보강 조형석(380)은 수평 방향 연결을 위하여 연결키(320)와 연결홈(322)이 구성된다.
도 51 내지 도 53과 같이 구성되는 보강 조형석(380)은 도 54와 같이 조립됨으로써 도 49 또는 도 50과 같이 옹벽의 단차진 구성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4를 참조하면, 보강 조형석(380)은 앞쪽의 단차가 형성되는 영역의 고정홈(316) 상에는 마감 블럭(500)이 배치되고, 마감 블럭(500)이 배치된 뒷 쪽 영역의 고정홈(316b) 상에는 상부의 옹벽을 형성하기 위한 조형석(3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서 보강 조형석(380)은 도 49 또는 도 50과 같이 단차진 옹벽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블럭화된 다양한 조형석로써 옹벽의 벽체를 설치함에 따라 설치 환경에 대한 유연성과 가변성이 확보될 수 있어서 옹벽 공사의 시공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블럭으로 가공할 수 있는 조형석은 전면을 다양한 방법으로 표면 처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문양을 구현하거나 자연석 효과를 얻도록 형성할 수 있어서 조경적인 측면을 충족하는 옹벽을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정형화된 조형석을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작업을 단순히 반복하여 시공할 수 있으므로 옹벽의 시공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조형석이 성토부의 지오그리드 또는 절토부의 소일네일과 적층되는 조형석이 손쉽고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으므로 구조체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10e, 300, 340, 350, 360, 370 : 조형석
11, 11d, 11e, 316, 316a, 316b : 고정홈
12, 12b, 12c, 314 : 고정키 13, 320 : 연결키
14, 322 : 연결홈 17, 326 : 드레인홈
18 : 키홈 20, 500 : 마감 블록
24 : 키 30 : 지오그리드
40 : 수평키 100 : 지반
102 : 기초콘크리트 104 : 앞채움
106 : 뒷채움 108 : 배수층
109 : 유공관 120 : 성토부
200 : 절토부 202 : 절토면
204 : 셋앙카 206 : 와이어
208 : 소일네일 318 : 접착홈
324 : 포크부 328 : 식생홈
329 : 고리 330 : 돌기바

Claims (9)

  1. 전면에 형성된 조경면;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채널 형상의 고정홈;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며 상기 고정홈보다 앞면에 가깝게 형성되며 자신에 맞닿는 상기 고정홈과 교합되는 고정키;
    상기 고정홈 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접착홈들;
    일 측면에 상기 고정홈이 형성된 위치부터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게 형성된 연결키;
    다른 측면에 상기 고정홈이 형성된 위치부터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된 연결홈;
    후면으로 돌출되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수평 방향으로 연통되는 식생홈이 형성된 다수의 포크부;
    서로 이격된 상기 포크부 사이에 형성되는 드레인홈;을 포함하며,
    성토부 또는 절토부의 옹벽을 이루기 위하여 상하로 적층되어서 상기 고정홈과 상기 고정키 간의 결합으로 적층 상태가 지지되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서 상기 연결키와 상기 연결홈 간의 결합으로 배치 상태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석.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홈에 설치된 고리와 상기 식생홈에 설치되는 돌기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형석.
  3. 전면과 측면에 형성된 조경면;
    상기 측면을 이루는 블럭체;
    상기 블럭체와 이격되어 다른 측면을 이루는 포크부;
    상기 블럭체와 포크부 사이에 형성되는 드레인홈;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단이 상기 블럭에의 일정 위치에서 중지된 형상을 갖도록 상부에 형성되는 제1 고정홈;
    상기 제1 고정홈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홈보다 앞면에 가깝게 형성되는 제2 고정홈;
    상기 제1 고정홈 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접착홈들; 및
    상기 포크부의 측면에 상기 제1 고정홈이 형성된 위치로부터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게 형성된 연결키;를 포함하며
    성토부 또는 절토부의 옹벽을 이루기 위하여 상하로 적층되는 다른 조형석의 길이 방향 단부에 배치 및 적층되어서 상기 옹벽의 길이 방향 단부의 마감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석.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통되는 식생홈이 더 형성되는 조형석.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홈에 설치된 고리와 상기 식생홈에 설치되는 돌기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형석.
  6. 전면에 형성된 조경면;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채널 형상의 고정홈;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며 상기 고정홈보다 앞면에 가깝게 형성되며 자신에 맞닿는 상기 고정홈과 교합되는 고정키;
    상기 고정홈 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접착홈들;
    일 측면에 상기 고정홈이 형성된 위치부터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게 형성된 연결키;
    다른 측면에 상기 고정홈이 형성된 위치부터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된 연결홈;
    후면으로 돌출되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수평 방향으로 연통되는 식생홈이 형성된 한 쌍의 포크부; 및
    서로 이격된 상기 포크부 사이에 형성되는 드레인홈;을 포함하며,
    상기 포크부로 이루어지는 측면에 테이핑면이 형성됨으로써 성토부 또는 절토부의 옹벽을 이루기 위하여 상하로 적층되어서 상기 고정홈과 상기 고정키 간의 결합으로 적층 상태가 지지되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서 상기 연결키와 상기 연결홈 간의 결합으로 배치 상태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석.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홈에 설치된 고리와 상기 식생홈에 설치되는 돌기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형석.
  8. 전면에 형성된 조경면;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채널 형상의 제1 고정홈;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며 상기 고정홈보다 앞면에 가깝게 형성되며 자신에 맞닿는 상기 고정홈과 교합되는 고정키;
    일 측면에 상기 제1 고정홈이 형성된 위치부터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게 형성된 연결키;
    다른 측면에 상기 제1 고정홈이 형성된 위치부터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된 연결홈;
    후면으로 돌출되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포크부;
    상기 포크부의 상면에 상기 제1 고정홈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고정홈;
    상기 제1 및 제2 고정홈 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접착홈들;
    서로 이격된 상기 포크부 사이에 형성되는 드레인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키의 하부에 하층을 이루는 제1 옹벽이 대응되게 적층되고 상기 제2 고정홈의 상부에 상층을 이루는 제2 옹벽이 대응되게 적층되며, 상기 고정홈과 상기 고정키 간의 결합으로 적층 상태가 지지되고 상기 연결키와 상기 연결홈 간의 결합으로 수평 방향 배치 상태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석.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홈에 고리가 더 설치되는 조형석.
KR1020120030119A 2011-07-20 2012-03-23 조형석 옹벽 및 그에 이용되는 조형석 KR1011688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739 2011-07-20
KR20110071739 2011-07-2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0316 Division 2011-09-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8859B1 true KR101168859B1 (ko) 2012-07-27

Family

ID=46717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119A KR101168859B1 (ko) 2011-07-20 2012-03-23 조형석 옹벽 및 그에 이용되는 조형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88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113B1 (ko) * 2013-05-02 2013-11-20 매일이엔씨(주) 중력식 보강토 블록과 이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2237699B1 (ko) * 2020-12-21 2021-04-08 주식회사 구마에스앤씨(S&C) 띠형 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460B1 (ko) 1999-05-28 2003-05-12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블록식 보강토 앵커공법과 이에 사용되는 옹벽 축조용 블록
KR200345937Y1 (ko) 2003-12-17 2004-03-24 이용희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KR100821946B1 (ko) 2007-05-08 2008-04-15 주식회사 오륙개발 보강토 블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460B1 (ko) 1999-05-28 2003-05-12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블록식 보강토 앵커공법과 이에 사용되는 옹벽 축조용 블록
KR200345937Y1 (ko) 2003-12-17 2004-03-24 이용희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KR100821946B1 (ko) 2007-05-08 2008-04-15 주식회사 오륙개발 보강토 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113B1 (ko) * 2013-05-02 2013-11-20 매일이엔씨(주) 중력식 보강토 블록과 이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2237699B1 (ko) * 2020-12-21 2021-04-08 주식회사 구마에스앤씨(S&C) 띠형 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77695B (zh) 一种互嵌式生态砌块挡土墙及其施工方法
AU2013249333B2 (en) Wall block and wall block system
KR20140047924A (ko) 거푸집이 필요없는 pc 판넬을 이용한 사면보강용 현장타설 계단식옹벽 대체시공법
US20040237445A1 (en) Material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 block wall
KR101278326B1 (ko) 조형석 및 그를 이용한 조형석 옹벽
KR101397432B1 (ko) 보강토 옹벽 패널
KR101168859B1 (ko) 조형석 옹벽 및 그에 이용되는 조형석
KR200461591Y1 (ko) 조형석 옹벽 및 조형석
KR200461055Y1 (ko) 조형석 옹벽 및 조형석
KR20160050226A (ko) 절토 사면 보강공법
CN201891130U (zh) 预制块柔性挡土墙结构
US10889980B2 (en) Method for constructing a multi-stage block wall
CN211312554U (zh) 一种挡锁砌砖、挡墙、护坡
KR20120078565A (ko) 절토부의 옹벽
KR101088477B1 (ko) 다양한 보강재의 적용이 가능한 멀티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 공법
KR102263958B1 (ko) 옹벽용 조립식 블록 시공방법
KR20150135659A (ko)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사면보강벽 및 그 공법
JP4812135B2 (ja) 補強土擁壁を積層するための施工具
KR100751585B1 (ko) 축조블록의 설치구조
KR200440047Y1 (ko) 옹벽용 블록
KR101146757B1 (ko) 적층식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797766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블록구조
KR20060026098A (ko) 옹벽 블럭 구조
KR200448481Y1 (ko) 식재 가능한 절토사면 옹벽 구조
KR101065726B1 (ko) 조립식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