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6113B1 - 중력식 보강토 블록과 이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중력식 보강토 블록과 이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113B1
KR101326113B1 KR1020130049266A KR20130049266A KR101326113B1 KR 101326113 B1 KR101326113 B1 KR 101326113B1 KR 1020130049266 A KR1020130049266 A KR 1020130049266A KR 20130049266 A KR20130049266 A KR 20130049266A KR 101326113 B1 KR101326113 B1 KR 101326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inforcement soil
soil block
reinforceme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9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섭
Original Assignee
매일이엔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일이엔씨(주) filed Critical 매일이엔씨(주)
Priority to KR1020130049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1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04B18/142Steelmaking slags, converter sla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1Mort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철소의 제련과정에서 발생된 고로슬래그와 시멘트, 모래 및 선별황토를 주재료로 상기 주재료에 수용성 에폭시수지 희석수를 혼합한 혼합물을 성형틀에 넣고 진동압축으로 블록을 제조하고, 이와 같이 제조된 블록을 그리드를 고정하여 대상지반에 적층설치하고, 상기 블록의 개구부에 모르타르를 충전하여 설치함으로써, 보강토 블록의 전도, 활동 및 이격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자연스러움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한 중력식 보강토 블록과 이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보강토 블록은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소정의 높이 및 폭을 갖는 보강토 블록으로, 상기 보강토 블록의 전면에는 일정한 형상을 갖는 문양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토 블록의 상부평면에는 가운데 일정구간이 평활면이 형성되며, 상기 평활면의 소정의 위치에 상면과 하면이 관통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평활면의 전후측에는 일정한 높이와 폭을 갖는 제1물림턱과 제2물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토 블록의 저면에는 가운데에 일정부분이 하향으로 일정높이가 돌출되어, 상하 블록이 덧물려서 전후 슬라이딩이 방지되며, 내외곡선 선형을 맞출 수 있도록 보강토 블록을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돌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보강토 블록 제조방법은 고로슬래그와, 시멘트와, 모래와, 선별황토를 일정비율로 수용성 에폭시수지 희석수로 배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을 성형틀에 충전하고, 일정한 진동 및 압축으로 제조한 후, 상기 블록을 일정기간 양생 후, 보강토 블록을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보강토 블록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은 대상지반을 정리하는 단계; 상기 대상지반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기초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콘크리트층 상에 보강토 블록을 적층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보강토 블록의 배면을 성토재로 성토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력식 보강토 블록과 이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Gravity Reinforced Earth block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중력식 보강토 블록과 이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철소의 부산물인 고로슬래그, 시멘트, 모래, 선별황토를 주재료로 하고, 상기 주재료에 수용성 에폭시수지 희석수를 혼합한 혼합물을 성형틀에 넣고 진동압축으로 제조한 블록과 이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하여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보강토 블록은 주로 배후공간이 충분한 성토구간에 적용되는 소형블록으로서 전도방지를 위해 그리드 매설에 의존하여 축조하고 있는데, 상기 보강토 블록은 높이에 비해서 불안정하고, 붕괴현상도 종종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배후공간이 좁은 곳에 적용하는 중형블록이 일부 사용되고 있지만 중력식 블록의 적층 높이에 비해서 블록의 크기가 작고, 상기 블록은 식재를 위한 중공블록으로서 중력식 블록으로는 만족하지 못하며, 슬라이딩 방지턱이 없는 형상이 단순하며, 노출면도 콘크리트재질을 그대로 노출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진동이 심한 철도변 호안의 파도 및 하천변의 세굴에 보다 안정적인 중력식 블록공법이 요구되며, 소요처별로 만족하는 개발소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철소의 제련과정에서 발생된 고로슬래그와 시멘트, 모래 및 선별황토를 주재료로 상기 주재료에 수용성 에폭시수지 희석수를 혼합한 혼합물을 성형틀에 넣고 진동압축으로 블록을 제조하고, 이와 같이 제조된 블록을 그리드를 고정하여 대상지반에 적층설치하고, 상기 블록의 개구부에 모르타르를 충전하여 설치함으로써, 보강토 블록의 전도, 활동 및 이격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자연스러움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한 중력식 보강토 블록과 이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보강토 블록은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소정의 높이 및 폭을 갖는 보강토 블록으로, 상기 보강토 블록의 전면에는 일정한 형상을 갖는 문양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토 블록의 상부평면에는 가운데 일정구간이 평활면이 형성되며, 상기 평활면의 소정의 위치에 상면과 하면이 관통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평활면의 전후측에는 일정한 높이와 폭을 갖는 제1물림턱과 제2물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토 블록의 저면에는 가운데에 일정부분이 하향으로 일정높이가 돌출되어, 상하 블록이 덧물려서 전후 슬라이딩이 방지되며, 내외곡선 선형을 맞출 수 있도록 보강토 블록을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돌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보강토 블록 제조방법은 고로슬래그와, 시멘트와, 모래와, 선별황토를 일정비율로 수용성 에폭시수지 희석수로 배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을 성형틀에 충전하고, 일정한 진동 및 압축으로 제조한 후, 상기 블록을 일정기간 양생 후, 보강토 블록을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보강토 블록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은 대상지반을 정리하는 단계; 상기 대상지반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기초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콘크리트층 상에 보강토 블록을 적층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보강토 블록의 배면을 성토재로 성토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보강토 블록과 이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보강토 블록의 전면에 문양을 형성함으로써, 미감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자연스러움을 연출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그리드를 사용하여 고정설치됨으로써, 전도 및 이격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보강토 블록의 전후면에 물림턱을 형성함으로써, 슬라이딩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보강토 블록의 개구부에 모르타르를 충전하여 설치됨으로써, 보강토 블록이 상하 일체로 거동하는 이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보강토 블록으로써 기상에 따른 작업에 제한을 받지 않고, 기계화작업으로 절대공기가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제철소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를 재활용함으로써, 자원절감 및 환경오염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보강토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보강토 블록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보강토 블록을 도시한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보강토 블록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보강토 블록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보강토 블록의 상부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보강토 블록의 하부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보강토 블록에 그리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보강토 블록이 절토구간에 설치된 옹벽을 도시한 측면도 1,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보강토 블록이 성토구간에 설치된 옹벽을 도시한 측면도 2.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보강토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보강토 블록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보강토 블록을 도시한 배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보강토 블록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보강토 블록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보강토 블록(B)은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소정의 높이 및 폭을 갖는 보강토 블록(B)으로, 상기 보강토 블록(B)의 전면에는 일정한 형상을 갖는 문양(10)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토 블록(B)의 상부평면에는 가운데 일정구간이 평활면(12)이 형성되며, 상기 평활면(12)의 소정의 위치에 상면과 하면이 관통하도록 개구부(14)가 형성되며, 상기 평활면(12)의 전후측에는 일정한 높이와 폭을 갖는 제1물림턱(16)과 제2물림턱(18)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토 블록(B)의 저면에는 가운데에 일정부분이 하향으로 일정높이가 돌출되는 돌출부(2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토 블록(B)은 상부블록(24)과 하부블록(26)의 한 조가 결합된 블록이다.
즉, 상부블록(24)은 평활면(12)의 소정의 위치에 상면과 하면이 관통하도록 개구부(14)가 형성되며, 상기 평활면(12)의 전후측에는 일정한 높이와 폭을 갖는 제1물림턱(16)과 제2물림턱(18)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토 블록(B)의 저면에는 가운데에 일정부분이 하향으로 일정높이가 돌출되는 돌출부(20)가 형성된다.
또한, 하부블록(26)은 상기한 상부블록(24)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블록(24)의 하면에 위치되는 블록이다.
특히, 상기 제1물림턱(16)과 제2물림턱(18)은 보강토 블록(B)의 슬라이딩을 방지한는 것으로, 덧물림을 통해 보강토 블록(B)의 배면이 최소공간에서도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토 블록(B)을 대상지반(G)에 설치한 후, 상기 보강토 블록(B)의 개구부(14)에 자갈채움 또는 필요에 따라서 모르타르(M)를 충전하여 적층된 보강토 블록(B)이 상하 일체로 거동토록 한다.
한편, 상기 중력식 보강토 블록(B)의 전면에는 환경친화적이고, 미감을 도모하기 위해 흑두부리, 고궁석벽, 석축형상 등의 일정한 형상을 갖는 문양(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강토 블록(B)의 적층 후, 전도방지하기 위해서, 보강토 블록(B)의 개구부(14)에 그리드(22)를 고정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여기서, 상기 그리드(22)는 인장력이 탁월한 섬유질을 강플라스틱으로 감싸서 제조한 매쉬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보강토 블록(B)은 보강토 블록(B)의 전, 후면에는 슬라이딩을 방지하기 위해 제1물림턱(16)과 제2물림턱(18)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토 블록(B)의 배후에는 상기 보강토 블록(B)의 개구부(14)를 통해 보강토 블록(B)을 감싸서 그리드(22) 인장재를 고정 설치하여, 매설함으로써, 보강토 블록(B)의 전도 및 이격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보강토 블록(B)의 전면에 문양(100)을 형성함으로써, 자연스러움과 환경친화성을 향상시켜 안정적인 중력식 보강토 블록(B)을 연출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보강토 블록 제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보강토 블록 제조방법은 제철소에서 발생된 고로슬래그, 시멘트, 모래, 선별황토를 일정비율로 수용성 에폭시수지 희석수로 배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을 성형틀에 충전하고, 일정한 진동 및 압축으로 제조한 후, 상기 성형틀을 일정기간 양생 후, 상기 성형틀을 탈형하여 일정한 형상을 갖는 보강토 블록(B)을 제조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토 블록(B)의 배합비는 제철소에서 발생된 고로슬래그 60∼70㎏/㎥, 시멘트 300∼320㎏/㎥, 모래 20∼30㎏/㎥, 선별황토 10∼20㎏/㎥, 수용성 에폭시수지 희석수 80∼1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철소의 제련과정에서 발생된 고로슬래그 대신에 플라이애쉬나 바텀애쉬 등의 화력발전소 부산물을 사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시멘트는 포틀랜드시멘트, 조강시멘트 등의 각종 시멘트를 사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특히, 상기 고로슬래그와 시멘트는 유사한 물성을 가지므로, 혼합하여 사용시에는 응집력이 점진적으로 증진된다.
그리고, 상기 모래는 바다모래나 강모래를 사용할 수도 있고, 쇄석분말을 사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수용성 에폭시수지 희석수 100㎏/㎥는 수용성 에폭시수지 40㎏/㎥과 물 6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성 에폭시수지는 강도증진과 침투수 억제로 내구성이 연장되고, 동파를 예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보강토 블록 제조방법은 제철소에서 발생된 고로슬래그 60∼70㎏/㎥, 시멘트 300∼320㎏/㎥, 모래 20∼30㎏/㎥, 선별황토 10∼20㎏/㎥을 배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에 수용성 에폭시수지 희석수를 80∼100㎏/㎥를 배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후, 상기 혼합물을 성형틀에 충전하고, 일정한 진동 및 압축으로 제조한 후, 상기 성형틀을 일정기간 양생 후, 상기 성형틀을 탈형하여 일정한 형상을 갖는 보강토 블록(B)을 제조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제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보강토 블록을 이용한 옹벽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보강토 블록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은 대상지반(G)을 정리하는 단계; 상기 대상지반(G)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기초콘크리트층(C)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콘크리트층(C) 상에 보강토 블록(B)을 적층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보강토 블록(B)의 배면을 성토재(S)로 성토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보강토 블록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은 먼저 제철소에서 발생된 고로슬래그 60∼70㎏/㎥, 시멘트 300∼320㎏/㎥, 모래 20∼30㎏/㎥, 선별황토 10∼20㎏/㎥을 혼합한 후, 수용성 에폭시수지 희석수를 80∼100㎏/㎥를 배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후, 상기 혼합물을 일정한 성형틀에 충전한 후, 상기 성형틀에 일정한 진동 및 압축으로 제조한 후, 상기 성형틀을 일정기간 양생 후, 상기 성형틀을 탈형하여 일정한 형상을 갖는 보강토 블록(B)을 제조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토 블록(B)은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소정의 높이 및 폭을 갖는 보강토 블록(B)으로, 상기 보강토 블록(B)의 전면에는 일정한 형상을 갖는 문양(10)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토 블록(B)의 상부평면에는 가운데 일정구간이 평활면(12)이 형성되며, 상기 평활면(12)의 소정의 위치에 상면과 하면이 관통하도록 개구부(14)가 형성되며, 상기 평활면(12)의 전후측에는 일정한 높이와 폭을 갖는 제1물림턱(16)과 제2물림턱(18)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토 블록(B)의 저면에는 가운데에 일정부분이 하향으로 일정높이가 돌출되는 돌출부(20)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토 블록(B)은 상부블록(24)과 하부블록(26)의 한 조로 구성되며, 상기 개구부(14)를 통해 상기 보강토 블록(B)를 감싸서 그리드(22)가 고정 설치된다.
이어서, 상기 보강토 블록(B)을 설치할 대상지반(G)에 적층 설치하되, 상기 대상지반(G)이 연약지반일 경우에는 먼저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기초콘크리트층(C)을 형성한 후, 상기 기초콘크리트층(C) 상에 보강토 블록(B)을 적층 설치하고, 지반이 양호한 곳에서는 쇄석골재를 포설 다짐한 후, 보강토 블록(B)을 적층 설치한다.
이어서, 상기 보강토 블록(B) 적층 설치는 보강토 블록(B)의 개구부(14)에 그리드(22)를 설치한 후, 상기 그리드(22)가 설치된 보강토 블록(B)을 대상지반(G)에 일정한 높이로 적층 설치한 후, 상기 보강토 블록(B)의 개구부(14)에 자갈을 채우고 또는 필요에 따라 모르타르(M)를 그라우팅 충전 처리한다.
이어서, 상기 보강토 블록(B)의 배면을 현지토, 각종 쇄석 등의 성토재(S)로 성토처리하여 옹벽(W)을 완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시공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보강토 블록을 이용한 옹벽시공방법은 보강토 블록(B)의 전후면에 슬라이딩방지의 제1물림턱(16)과 제2물림턱(18) 및 배후 성토면에 그리드(22)로 보강토 블록(B)을 감싸서 매설하여 적층 설치하여 옹벽(W)을 시공함으로써, 보강토 블록(B)의 전도 및 이격현상을 방지하고, 전면에 문양(10)이 형성됨으로써, 자연스러움과 미감을 도모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10: 문양 12: 평활면
14: 개구부 16: 제1물림턱
18: 제2물림턱 20: 돌출부
22: 그리드 24: 상부블록
26: 하부블록 B: 보강토 블록
C: 기초콘크리트층 G: 지반
M: 모르타르 W: 옹벽

Claims (14)

  1.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소정의 높이 및 폭을 갖는 보강토 블록(B)으로, 상기 보강토 블록(B)의 전면에는 일정한 형상을 갖는 문양(10)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토 블록(B)의 상부평면에는 가운데 일정구간이 평활면(12)이 형성되며, 상기 평활면(12)의 소정의 위치에 상면과 하면이 관통하도록 개구부(14)가 형성되며, 상기 평활면(12)의 전후측에는 일정한 높이와 폭을 갖는 제1물림턱(16)과 제2물림턱(18)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토 블록(B)의 저면에는 가운데에 일정부분이 하향으로 일정높이가 돌출되고, 내외곡선 선형을 맞춰서 쌓을 수 있도록 보강토 블록(B)을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돌출부(20)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토 블록(B)은 상부블록(24)과 하부블록(26)의 한 조로 구성되며, 상기 보강토 블록(B)은 고로슬래그 60∼70㎏/㎥, 시멘트 300∼320㎏/㎥, 모래 20∼30㎏/㎥, 선별황토 10∼20㎏/㎥, 수용성 에폭시수지 희석수 80∼100㎏/㎥로 구성되며, 상기 수용성 에폭시수지 희석수 100㎏/㎥는 수용성 에폭시수지 40㎏/㎥과 물 60㎏/㎥으로 구성되며, 상기 개구부(14)에 그리드(22)를 보강토 블록(B)을 감싸서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식 보강토 블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고로슬래그와, 시멘트와, 모래와, 선별황토를 일정비율로 수용성 에폭시수지 희석수로 배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을 성형틀에 충전하고, 일정한 진동 및 압축으로 제조한 후, 상기 성형틀을 일정기간 양생 후, 상기 성형틀을 탈형하여 일정한 형상을 갖는 보강토 블록을 제조하고, 상기 수용성 에폭시수지 희석수 100㎏/㎥는 수용성 에폭시수지 40㎏/㎥과 물 60㎏/㎥으로 구성되며, 상기 보강토 블록(B)은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소정의 높이 및 폭을 갖는 보강토 블록(B)으로, 상기 보강토 블록(B)의 전면에는 일정한 형상을 갖는 문양(10)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토 블록(B)의 상부평면에는 가운데 일정구간이 평활면(12)이 형성되며, 상기 평활면(12)의 소정의 위치에 상면과 하면이 관통하도록 개구부(14)가 형성되며, 상기 평활면(12)의 전후측에는 일정한 높이와 폭을 갖는 제1물림턱(16)과 제2물림턱(18)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토 블록(B)의 저면에는 가운데에 일정부분이 하향으로 일정높이가 돌출되고, 내외부 곡선의 선형을 맞춰서 쌓을 수 있도록 보강토 블록(B)을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돌출부(20)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4)에 그리드(22)로 보강토 블록(B)을 감싸서 고정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식 보강토 블록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대상지반(G)을 정리하는 단계; 상기 대상지반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기초콘크리트층(C)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콘크리트층(C) 상에 보강토 블록(B)을 적층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보강토 블록(B)의 배면을 성토재(S)로 성토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토 블록(B)은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소정의 높이 및 폭을 갖는 보강토 블록(B)으로, 상기 보강토 블록(B)의 전면에는 일정한 형상을 갖는 문양(10)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토 블록(B)의 상부평면에는 가운데 일정구간이 평활면(12)이 형성되며, 상기 평활면(12)의 소정의 위치에 상면과 하면이 관통하도록 개구부(14)가 형성되며, 상기 평활면(12)의 전후측에는 일정한 높이와 폭을 갖는 제1물림턱(16)과 제2물림턱(18)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토 블록(B)의 저면에는 가운데에 일정부분이 하향으로 일정높이가 돌출되고, 내외곡선 선형을 맞춰서 쌓을 수 있도록 보강토 블록(B)을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돌출부(20)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토 블록(B)은 상부블록(24)과 하부블록(26)의 한 조로 구성되며, 상기 보강토 블록(B)은 고로슬래그 60∼70㎏/㎥, 시멘트 300∼320㎏/㎥, 모래 20∼30㎏/㎥, 선별황토 10∼20㎏/㎥, 수용성 에폭시수지 희석수 80∼100㎏/㎥로 구성되며, 상기 기초콘크리트층(C) 상에 보강토 블록(B)을 적층 설치한 후, 상기 보강토 블록(B)의 개구부(14)에 모르타르(M)를 충전하여 그라우팅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식 보강토 블록 시공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30049266A 2013-05-02 2013-05-02 중력식 보강토 블록과 이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1326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266A KR101326113B1 (ko) 2013-05-02 2013-05-02 중력식 보강토 블록과 이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266A KR101326113B1 (ko) 2013-05-02 2013-05-02 중력식 보강토 블록과 이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6113B1 true KR101326113B1 (ko) 2013-11-20

Family

ID=49856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9266A KR101326113B1 (ko) 2013-05-02 2013-05-02 중력식 보강토 블록과 이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61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457B1 (ko) * 2017-12-06 2018-07-09 (주)장성산업 친환경 콘크리트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콘크리트 옹벽 시공방법
KR101924755B1 (ko) * 2018-04-03 2018-12-03 이형준 지주 설치용 기초블록
CN111087212A (zh) * 2019-12-24 2020-05-01 上海中冶环境工程科技有限公司 一种钢渣格栅的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8088A (ja) * 1993-10-15 1995-06-20 Masu Kouzou Kikaku:Kk 擁壁用ブロック及び擁壁の構築構造
KR20090068865A (ko) * 2007-12-24 2009-06-29 연제완 친환경 생태옹벽 블록
KR20110126560A (ko) * 2010-05-17 2011-11-23 (주)대맥건설산업 보강토 옹벽용 블럭
KR101168859B1 (ko) * 2011-07-20 2012-07-27 한터건설 주식회사 조형석 옹벽 및 그에 이용되는 조형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8088A (ja) * 1993-10-15 1995-06-20 Masu Kouzou Kikaku:Kk 擁壁用ブロック及び擁壁の構築構造
KR20090068865A (ko) * 2007-12-24 2009-06-29 연제완 친환경 생태옹벽 블록
KR20110126560A (ko) * 2010-05-17 2011-11-23 (주)대맥건설산업 보강토 옹벽용 블럭
KR101168859B1 (ko) * 2011-07-20 2012-07-27 한터건설 주식회사 조형석 옹벽 및 그에 이용되는 조형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457B1 (ko) * 2017-12-06 2018-07-09 (주)장성산업 친환경 콘크리트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콘크리트 옹벽 시공방법
KR101924755B1 (ko) * 2018-04-03 2018-12-03 이형준 지주 설치용 기초블록
CN111087212A (zh) * 2019-12-24 2020-05-01 上海中冶环境工程科技有限公司 一种钢渣格栅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26425A (zh) 泡沫轻质土施工方法
CN110983892A (zh) 一种泡沫轻质土及其浇筑施工工艺
KR101326113B1 (ko) 중력식 보강토 블록과 이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CN104727273B (zh) 一种采用自嵌式砌块进行直立堤岸生态修复的方法
KR102517825B1 (ko) 하드필 재료에 시멘트 그라우트액을 혼합하여 보호·차수 콘크리트, 보호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댐
CN103696339A (zh) 一种局部透水地砖的制备方法及局部透水地砖
CN106836034B (zh) 一种高填方盖板涵柔性减载体系及施工方法
CN103437353B (zh) 一种基于锚杆支护的现浇轻质泡沫混凝土加固方法
CN204385724U (zh) 一种聚氨酯砂石桩
CN107129208A (zh) 一种生物活性多孔隙粗骨料生态护岸基质工程材料
JP2007016584A (ja) 補強土工法
KR20140114711A (ko) 경량혼합토를 이용한 보도블럭의 기초지반 개량 방법 및 보도블럭의 기초지반 개량 성토층
JP6287914B2 (ja) サンドコンパクションパイル用材料、サンドコンパクションパイルおよびサンドコンパクションパイルの造成方法
CN103669340A (zh) 一种聚氨酯砂石桩及其施工工艺和应用
KR100740262B1 (ko) 어린이 놀이터 바닥 시공방법
JP2014001602A (ja) サンドコンパクションパイルおよびその造成方法
CN207812204U (zh) 深厚淤泥质软土路基加固结构
KR101266136B1 (ko) 옹벽 축조용 블럭 및 그 제조방법
CN206916688U (zh) 一种新型夯土挡土墙
KR20000008476A (ko) 발포성 폴리스티렌 블록을 포설한 매설암거의 구축방법
KR20200111986A (ko)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중력식 옹벽
JP2007077796A (ja) 補強土工法
CN110965488A (zh) 新型逆作法装配式无压涵洞及其施工方法
JP3230147B2 (ja) 流動化処理土施工構造体及びその構築方法
KR20020040015A (ko) 흙을 주재료로한 토목 및 건축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