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6560A - 보강토 옹벽용 블럭 - Google Patents

보강토 옹벽용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6560A
KR20110126560A KR1020110046343A KR20110046343A KR20110126560A KR 20110126560 A KR20110126560 A KR 20110126560A KR 1020110046343 A KR1020110046343 A KR 1020110046343A KR 20110046343 A KR20110046343 A KR 20110046343A KR 20110126560 A KR20110126560 A KR 20110126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body
retaining wall
body portion
wall block
ex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6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6393B1 (ko
Inventor
황길수
Original Assignee
(주)대맥건설산업
황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맥건설산업, 황길수 filed Critical (주)대맥건설산업
Publication of KR20110126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6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블럭은 성토지나 절개지에 적층되는 보강토 옹벽용 블럭에 있어서, 콘크리트 몸체부; 및, 상기 콘크리트 몸체부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콘크리트 몸체부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외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 몸체부의 전면부와 상기 외장부의 후면부에는 상호 결합하는 걸림홈과 걸림돌편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강토 옹벽용 블럭{BLOCK FOR RETAINING WALL OF REINFORCED EARTH}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절개면이나 경사면 등의 옹벽축조시 이용되는 보강토 옹벽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성토지나 절개지 등의 사면에는 토사의 유실에 의한 변형 및 붕괴방지를 위하여 옹벽을 축조하고 있으며, 이러한 옹벽 축조시에는 일체형 콘크리트 옹벽이나 자연석 옹벽 등에 비해 장점이 많은 콘크리트 블럭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블럭은 콘크리트가 갖는 재질의 특성상 조적시 안정감을 얻도록 하기 위하여 넓은 면적을 갖도록 크게 형성될 경우 무게가 무거워 취급 및 시공시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됨은 물론 시공기간이 늘어나 시공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외장면의 형태는 콘크리트 블럭의 성형시 탈형 가능한 범위 내로 한정되고, 외장면의 무늬모양을 달리하여 제품의 종류를 다양화할 수는 있으나, 수요자들의 선택의 폭을 넓혀 주기 위하여 제품의 종류를 다양화할수록 성형을 위한 제반비용 부담이 가중될 뿐만 아니라 재고관리에도 큰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특히 콘크리트는 질감이 떨어지고 또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외장면의 변형이 매우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성형과정에서 색상을 가미해 줄 수도 없어 이를 이용한 옹벽의 축조시 주위환경과의 조화 내지는 도시미관을 위한 미감적 가치는 크게 기대할 수가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옹벽의 축조를 위한 조적시 안정감을 얻을 수 있는 넓은 면적을 갖도록 하면서 경량화로 취급 및 시공이 용이하고, 또 저렴한 비용부담과 재고관리의 어려움 없이도 다양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외장면의 무늬모양 및 색상부여를 통하여 주위환경과 어우러진 미려한 외관을 갖도록 할 수 있는 보강토 옹벽용 블럭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성토지나 절개지에 적층되는 보강토 옹벽용 블럭에 있어서, 콘크리트 몸체부; 및, 상기 콘크리트 몸체부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콘크리트 몸체부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외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 몸체부의 전면부와 상기 외장부의 후면부에는 상호 결합하는 걸림홈과 걸림돌편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용 블럭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장부에는 전면에 곡면 또는 요철 무늬가 형성된 외장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홈은 개구영역보다 내부영역이 확장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편은 상기 걸림홈에 대응되도록 선단부가 확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몸체부는 적층시 상호 결합하는 돌기와 삽입홈이 상측면과 하측면의 전방과 후방에 횡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몸체부는, 적층 시 상호 결합하는 돌기와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돌기는 콘크리트 몸체부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 중앙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은 콘크리트 몸체부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홈은 콘크리트 몸체부의 내측영역으로 확장되고, 수직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다수의 콘크리트 몸체부가 적층된 상태에서 삽입홈의 내부로 토사 및 자갈이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하로 배치되는 두 개의 콘크리트 몸체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적층상태의 콘크리트 몸체부를 상호 고정하는 연결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 몸체부는 상측면과 하측면에 상기 연결핀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연결공과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홈은 콘크리트 몸체부 하측면에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몸체부의 전방에 합성수지나 목재, 대리석, 황토 등으로 제작된 외장부를 결합고정하여 완성된 형태의 블럭을 얻도록 함으로써, 이종재질의 외장부가 갖는 면적만큼 콘크리트의 필요량을 줄여줄 수가 있어 경량화로 취급 및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보강토 옹벽용 블럭이 제공된다.
또한, 외장부는 그 색상이나 또는 외장면이 갖는 무늬모양을 달리하는 다양한 종류로 제작하여 콘크리트 몸체부에 선택적으로 결합고정할 경우 외장부의 제작시 소요되는 저렴한 비용부담만으로 색상을 달리하거나 또는 외장부의 형태를 달리하는 다양한 종류의 블럭을 제공할 수가 있게 되므로 제품의 다양화를 위한 비용부담을 현저히 줄여줄 수가 있고 또 재고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이종재질의 외장부는 그 외장면을 원하는 다양한 무늬모양을 갖도록 제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용되는 재질에 따라 재질 자체가 갖는 특유의 질감 및 색상 등이 더해지게 되며, 합성수지의 경우 원하는 색상을 가미할 수도 있게 되므로 이를 이용한 옹벽의 축조시 주위환경과 어우러진 미려한 외관을 지니도록 할 수가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블럭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블럭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블럭의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블럭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블럭의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블럭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블럭의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블럭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블럭의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블럭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블럭의 분해사시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블럭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블럭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블럭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블럭의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보강토 옹벽용 블럭(100)은 콘크리트 몸체부(110)와, 상기 콘크리트 몸체부(110)의 전면부에 결합하는 외장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콘크리트 몸체부(110)는 전면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홈(111)과, 상면에 다수 형성되어 연결핀(130)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연결공(112)과, 하측면에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인접배치되는 콘크리트 몸체부(110)의 연결공(112)에 결합된 연결핀(130)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결합홈(113)과, 상면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돌기(114)와, 하측면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되어 인접배치되는 콘크리트 몸체부(110)의 돌기(114)가 삽입되는 삽입홈(1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장부(120)는 합성수지나 목재, 대리석, 황토 등으로 제작하되, 이용되는 재질에 따라 원하는 색상의 안료를 첨가하여 색상을 부여하고, 후면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몸체부(110)의 걸림홈(111)에 결합하는 걸림돌편(121)과, 곡면이나 원하는 요철 무늬모양을 통해 외관적 가치를 부여하도록 전면에 형성되는 외장면(1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몸체부(110)의 걸림홈(111)은 전방의 개구영역보다 내부영역이 확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장부(120)의 걸림돌편(121)은 상기 걸림홈(111)에 대응하도록 선단부가 확장 형성되어, 외장부(120)가 콘크리트 몸체부(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의 임의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블럭(100)의 결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블럭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블럭의 평단면도이다.
먼저,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보강토 옹벽용 블럭(100)은 횡방향으로 다수 배치되고, 그 상측으로 또 다른 블럭(100)들이 횡방향으로 적층 배치되면서 축조되어 옹벽을 구성하며, 상,하부에 배치되는 블럭(100)들은 연결부위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몸체부(110)의 전면에 이종재질의 외장부(120)가 결합되어 하나의 블럭(100)을 구성한다.
이러한 상,하부의 콘크리트 몸체부(110)들의 결합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하부에 배치되는 콘크리트 몸체부(110)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114)가 상부에 배치되는 콘크리트 몸체부(110)의 하측면에 형성된 삽입홈(115)에 삽입되면서 상,하부의 콘크리트 몸체부(110)간의 전후방향의 적층위치가 안내될 뿐만 아니라, 전후방향으로의 위치이동이 방지된다. 특히, 상기 돌기(114)와 삽입홈(115)이 콘크리트 몸체부(110)의 상측면과 하측면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되어 상,하부 콘크리트 몸체부(110)간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또한, 하부에 배치되는 콘크리트 몸체부(110)의 연결공(112)과 상부에 배치되는 콘크리트 몸체부(110)의 결합홈(113)에 연결핀(130)의 하단부와 상단부가 각각 삽입되면서 상,하로 배치되는 콘크리트 몸체부(110)들이 전후방향으로 위치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상측에 배치되는 콘크리트 몸체부(110)의 적층위치가 좌우방향으로 다소 이동하더라도, 상기 결합홈(113)이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핀(130)의 상단부가 결합홈(113)으로 용이하게 삽입된다.
아울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몸체부(110)의 전면에 형성된 걸림홈(111)에 이종재질의 외장부(120)의 후면에 형성된 걸림돌편(121)이 결합되면서 콘크리트 몸체부(110)의 전방에 외장부(120)가 조립된다.
특히, 상기 걸림홈(111)은 개구영역보다 내부영역이 확장형성되고, 상기 걸림돌편(121)은 상기 걸림홈(111)에 대응하도록 선단부가 확장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장부(120)가 콘크리트 몸체부(110)의 전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의 임의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몸체부(110)의 전면에 합성수지나 목재, 대리석, 황토 등 이종재질로 제작된 외장부(120)가 결합되므로 주위환경과의 조화 내지는 도시미관을 위한 미감적 가치를 부여하는 것은 물론, 이종재질의 외장부(120)가 갖는 면적만큼 콘크리트의 필요량을 줄임으로써 경량화와 함께 시공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외장부(120)를 합성수지로 제작하는 경우, 사용환경에 따라 원하는 색상의 안료를 첨가하여 색상을 부여하는 것은 물론, 입체적인 형태의 외장면(122)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형태의 옹벽의 외관을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블럭(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블럭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블럭의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블럭(200)은 콘크리트 몸체부(210)의 평면상 전,후면이 대칭되도록 형성하고, 전,후면에 각각 걸림홈(211)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외장부(120)를 콘크리트 몸체부(210)의 전,후면에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하게 한 점에서 상술한 실시예와 차이를 갖는다.
즉, 상기 콘크리트 몸체부(210)는 상기 콘크리트 몸체부(210)는 전면과 후면의 중앙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홈(211)과, 상면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214)와, 하부에 배치되는 콘크리트 몸체부(210)의 돌기(214)가 삽입되도록 양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홈(2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제2실시예에서의 콘크리트 몸체부(210)는 전,후면이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공과정에서 중량체인 콘크리트 몸체부(210)의 전면과 후면에 대한 방향을 맞추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전면 또는 후면이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한 다음, 전방으로 노출된 걸림홈(211)에 외장부(120)의 걸림돌편(121)을 결합하면 되므로, 시공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블럭(200)의 결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블럭의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블럭의 평단면도이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배치되는 콘크리트 몸체부(210)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214)가 상부에 배치되는 콘크리트 몸체부(210)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홈(215)에 삽입되면서 적층되어 결합상태를 유지하므로, 적층 위치가 안내되는 것은 물론, 상,하로 배치되는 콘크리트 몸체부(210)들이 전후방향으로 임의로 위치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삽입홈(215)은 콘크리트 몸체부(210)의 중앙 부근까지 연장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다수의 콘크리트 몸체부(210)가 적층된 상태에서 상,하부로 배치된 블럭(200)들의 삽입홈(215)가 연통된다. 따라서 이러한 삽입홈(215)의 내측으로 토사 또는 자갈 등이 채워지면서 적층된 상태의 콘크리트 몸체부(210)들의 결속력이 증대된다.
또한, 도 9와 같이 콘크리트 몸체부(210)의 전방에 형성된 걸림홈(211)에 외장부(120) 후면에 형성된 걸림돌편(121)이 결합되면서 콘크리트 몸체부(210)의 전방에 이종재질의 외장부(120)가 조립되는데, 이러한 외장부(120)와 콘크리트 몸체부(210)의 결합구조 및 이종재질의 외장부(120)에 따른 효과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첨부도면 중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블럭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블럭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서는 콘크리트 몸체부(110,210)의 전면에 하나의 걸림홈(111,211)이 형성되고, 상기 외장부(120)의 후면에 하나의 걸림돌편(121)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크리트 몸체부(110',210')가 갖는 걸림홈(111,211) 및 외장부(120')가 갖는 걸림돌편(121)을 각각 대향되게 2개 이상 형성하여 콘크리트 몸체부(110',210')와 외장부(120')의 결합이 보다 안정감 있고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1과 같이 콘크리트 몸체부(210")의 정면에 걸림돌편(121)을 형성하고, 외장부(120")의 후면에 걸림홈(211)을 형성하여 콘크리트 몸체부(210")와 외장부(120")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때 콘크리트 몸체부(210")가 갖는 걸림돌편(121)과 외장부(120")가 갖는 걸림홈(211)은 결합가능한 범위 내에서 큰 폭을 갖도록 하여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보강토 옹벽용 블럭(100)은 성토지나 또는 절개지의 사면에 옹벽축조용으로 이용될 시 종전과 같이 다단으로 조적하여 축조하면 되고, 또 조적시에는 하부에 배치되는 블럭(100)의 연결공(112)에 삽입고정되는 연결핀(130)이 상부에 배치되는 블럭(100)의 결합홈(113)에 결합되어 상,하로 배치되는 블럭(100)들을 연결지지해 주게 되므로 보강토 옹벽용 블럭(100)으로서의 기본적인 기능을 만족시켜 줄 수가 있게 된다.
다만 본 발명 보강토 옹벽용 블럭(100,200)을 구성하는 외장부(120)는 콘크리트 몸체부(110,210)와는 다른 합성수지나 목재, 대리석, 황토 등으로 제작되므로 콘크리트 몸체부(110,210)와의 결합시 평면상 블럭(100,200)의 조적을 위한 충분한 면적을 확보해 주도록 하면서 제작시 이용되는 재질에 따라 외장부(120)가 차지하는 부피만큼 경량화할 수가 있어 취급 및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콘크리트 몸체부(110,210)와 이종재질로 이루어지는 외장부(120)는 색상 또는 외장면(122)을 다양한 종류로 제작하여 콘크리트 몸체부(110,210)에 선택적으로 결합고정하면 색상이나 또는 외장면(122)을 달리하는 다양한 종류의 블럭(100,200)을 얻을 수가 있게 되므로 블럭(100,200)을 다양한 종류로 생산하기 위한 제반비용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것은 물론 재고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외장부(120)는 이용되는 재질에 따라 고유의 색상과 질감을 지니게 됨은 물론 합성수지의 경우 원하는 다양한 색상을 부여할 수 있고, 또 외장면(122)은 곡면을 갖도록 하거나 또는 원하는 다양한 요철 무늬모양을 형성해 줄 수가 있어 이를 이용한 옹벽의 축조시 주위환경과 어우러진 미려한 외관을 지닐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 보강토 옹벽용 블럭(100,200)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콘크리트 몸체부(110,210)와 외장부(120)의 결합을 위한 걸림홈(111,211) 및 결합돌편(121)은 개수와 형태를 달리할 수가 있고, 또 외장부(120)는 합성수지나 목재, 대리석, 황토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몸체부(210)는 전후면이 대칭되도록 형성하여 외장부(120)를 콘크리트 몸체부(210)의 전후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200:블럭 110,210:콘크리트 몸체부,
111,211:걸림홈 112:연결공
113:결합홈 114,214:돌기
115,215:삽입홈 120:외장부
121;걸림돌편 122:외장면
130:연결핀

Claims (8)

  1. 성토지나 절개지에 적층되는 보강토 옹벽용 블럭에 있어서,
    콘크리트 몸체부; 및,
    상기 콘크리트 몸체부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콘크리트 몸체부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외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 몸체부의 전면부와 상기 외장부의 후면부에는 상호 결합하는 걸림홈과 걸림돌편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용 블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부에는 전면에 곡면 또는 요철 무늬가 형성된 외장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용 블럭.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개구영역보다 내부영역이 확장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편은 상기 걸림홈에 대응되도록 선단부가 확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용 블럭.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몸체부는 적층시 상호 결합하는 돌기와 삽입홈이 상측면과 하측면의 전방과 후방에 횡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용 블럭.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몸체부는, 적층 시 상호 결합하는 돌기와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돌기는 콘크리트 몸체부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 중앙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은 콘크리트 몸체부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용 블럭.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콘크리트 몸체부의 내측영역으로 확장되고, 수직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다수의 콘크리트 몸체부가 적층된 상태에서 삽입홈의 내부로 토사 및 자갈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용 블럭.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하로 배치되는 두 개의 콘크리트 몸체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적층상태의 콘크리트 몸체부를 상호 고정하는 연결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 몸체부는 상측면과 하측면에 상기 연결핀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연결공과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용 블럭.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콘크리트 몸체부 하측면에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용 블럭.
KR1020110046343A 2010-05-17 2011-05-17 보강토 옹벽용 블럭 KR1011163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45891 2010-05-17
KR1020100045891 2010-05-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560A true KR20110126560A (ko) 2011-11-23
KR101116393B1 KR101116393B1 (ko) 2012-03-09

Family

ID=45395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6343A KR101116393B1 (ko) 2010-05-17 2011-05-17 보강토 옹벽용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63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113B1 (ko) * 2013-05-02 2013-11-20 매일이엔씨(주) 중력식 보강토 블록과 이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CN104120682A (zh) * 2014-08-09 2014-10-29 浙江特拉建材有限公司 烧结耐火砖砌块
CN104179151A (zh) * 2014-08-09 2014-12-03 浙江特拉建材有限公司 一种烧结耐火砖砌块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800B1 (ko) 2017-12-21 2018-07-25 김윤동 옹벽용 펜스블럭
KR102409262B1 (ko) 2020-06-01 2022-06-22 (주)엘엔드지 전면 대리석 장식패널 조립 및 교체가 가능한 보강토 옹벽블럭
KR20230129945A (ko) 2022-03-02 2023-09-11 김정태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토목용 고강도 보강토 옹벽 블록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6116B2 (ja) 1998-08-28 2003-09-16 共和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生態保全ブロック及びその積み重ね施工方法
KR100692535B1 (ko) * 2005-01-26 2007-03-09 (주)메카모아 목재 외장형 옹벽 블록
KR200418683Y1 (ko) * 2006-03-23 2006-06-14 대명수로공업 주식회사 생태블록
KR101009823B1 (ko) * 2010-05-20 2011-01-20 조문선 반분리형 노치부를 갖는 빅 스톤 옹벽블럭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113B1 (ko) * 2013-05-02 2013-11-20 매일이엔씨(주) 중력식 보강토 블록과 이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CN104120682A (zh) * 2014-08-09 2014-10-29 浙江特拉建材有限公司 烧结耐火砖砌块
CN104179151A (zh) * 2014-08-09 2014-12-03 浙江特拉建材有限公司 一种烧结耐火砖砌块
CN104179151B (zh) * 2014-08-09 2016-07-06 浙江特拉建材有限公司 一种烧结耐火砖砌块
CN104120682B (zh) * 2014-08-09 2016-07-06 浙江特拉建材有限公司 烧结耐火砖砌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6393B1 (ko) 201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6393B1 (ko) 보강토 옹벽용 블럭
JP5677965B2 (ja) 複数要素から成る擁壁ブロック
US7267321B1 (en) Wall block mold
US7367752B2 (en) Extended width retaining wall block
CA2357879C (en) Wall block with interlock
US7497646B2 (en) Extended width retaining wall block
US7396190B2 (en) Extended width retaining wall block
ES2557378T3 (es) Bloque de muro de contención
KR101903460B1 (ko) 전면 천연 대리석 또는 안료가 섞인 백시멘트 또는 포틀랜드 시멘트로 만든 전면부재와 결합하는 보강토 블럭
MX2010006059A (es) Bloque de concreto para pared, paredes que tienen tales bloques, y metodos.
KR101285266B1 (ko) 블록식 보강토 옹벽
US8562260B2 (en) Wet cast concrete segmental retaining wall block
KR20200007335A (ko)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
KR102088083B1 (ko)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으로 이루어진 보강토 옹벽
CN209129205U (zh) 一种装配式l形墙体
KR20150107437A (ko) 수직 옹벽 축조용 블록 유닛
KR101134548B1 (ko)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
KR100720033B1 (ko) 산수형 축조 옹벽블록과, 산수형 축조방식이 적용된옹벽구조물
CN209129204U (zh) 一种装配式十字形墙体
KR101168859B1 (ko) 조형석 옹벽 및 그에 이용되는 조형석
KR200461591Y1 (ko) 조형석 옹벽 및 조형석
KR200461055Y1 (ko) 조형석 옹벽 및 조형석
KR20120102442A (ko) 디자인이 가능한 완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과 그 시공방법
KR102505314B1 (ko) 가변형 옹벽 구조물
KR20090012102U (ko) 옹벽용 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