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083B1 -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으로 이루어진 보강토 옹벽 - Google Patents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으로 이루어진 보강토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083B1
KR102088083B1 KR1020170044369A KR20170044369A KR102088083B1 KR 102088083 B1 KR102088083 B1 KR 102088083B1 KR 1020170044369 A KR1020170044369 A KR 1020170044369A KR 20170044369 A KR20170044369 A KR 20170044369A KR 102088083 B1 KR102088083 B1 KR 102088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taining wall
planar
stepped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3106A (ko
Inventor
공학봉
Original Assignee
공학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학봉 filed Critical 공학봉
Priority to KR1020170044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083B1/ko
Publication of KR20180113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차 블록과 단차가 없는 평면 블록을 구비하여 옹벽의 축조시 전면의 모양, 형태와 칼라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이루고 미관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에 있어서, 일 측에 결합을 위한 높은 단이 형성되고, 타 측에는 결합을 위한 낮은 단이 형성된 제1 단차 블록과, 중앙에 결합을 위한 높은 단이 형성되고, 상기 높은 단의 양측으로는 결합을 위한 낮은 단이 형성되는 제2 단차 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높은 단과 낮은 단의 전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높은 단의 전면이 상기 낮은 단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단차형 블록과; 상기 제1 단차 블록과 제2 단차 블록 사이에 위치하도록 결합 되는 제1 평면 블록과 제2 평면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평면형 블록; 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단차 블록과 제2 단차 블록은 중간을 기준으로 전방 부분은 백시멘트(white cement)로 형성되고 후방 부분은 포틀랜드 시멘트(Portland cement)에 의해 하나의 블록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전방 부분은 색상(color) 안료를 혼합한 백시멘트(white cement)에 의해 형성되고 후방 부분은 포틀랜드 시멘트(Portland cement)에 의해 하나의 블록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중간을 기준으로 전방 부분은 색상(color) 안료를 혼합한 포틀랜드 시멘트(Portland cement)로 형성되고 후방 부분은 포틀랜드 시멘트(Portland cement)에 의해 하나의 블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으로 이루어진 보강토 옹벽{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of different thickness, shape and size blocks}
본 발명은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차 블록과 단차가 없는 평면 블록을 구비하여 옹벽의 축조시 전면의 모양, 형태와 칼라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이루고 미관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사면과 절개지 및 하천변에는 토사의 유실이나 붕괴 등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토 옹벽이 설치되고, 또 보강토 옹벽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블록이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보강토 옹벽 블록은 동일한 크기와 모양을 이룸과 동시에 전면형태가 평편한 직선을 이루므로 옹벽 축조시 다양한 모양과 형태를 형성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주변환경과 어울리지 않게 되어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보강토 옹벽 블록은 축조시 결합력(조립력)을 강화하기 위해 대부분 복잡한 요철형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제작이 어렵고, 비용이 증가하며, 시공시간이 오래 걸려 공사기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옹벽 블록은 견고한 결합력만을 발휘하도록 결합구조에만 치중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주변 경관과의 조화나 미관향상을 위한 부분은 등한시(等閑視) 되어 흉물스러운 옹벽을 형성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옹벽 블록은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하나의 옹벽이 폭이나 높이가 다르게 축조되어야 하는 경우, 블록을 절단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블록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17877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양과 크기, 두께가 상호 상이한 단차 블록을 통해 신속하고 원활한 결합 작업을 이룸과 동시에 주변 경관에 따라 다양한 형상, 모양, 칼라로 옹벽을 축조할 수 있는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에 있어서, 일 측에 결합을 위한 높은 단이 형성되고, 타 측에는 결합을 위한 낮은 단이 형성된 제1 단차 블록과, 중앙에 결합을 위한 높은 단이 형성되고, 상기 높은 단의 양측으로는 결합을 위한 낮은 단이 형성되는 제2 단차 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높은 단과 낮은 단의 전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높은 단의 전면이 상기 낮은 단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단차형 블록과; 상기 제1 단차 블록과 제2 단차 블록 사이에 위치하도록 결합 되는 제1 평면 블록과 제2 평면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평면형 블록; 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단차 블록과 제2 단차 블록은 중간을 기준으로 전방 부분은 백시멘트(white cement)로 형성되고 후방 부분은 포틀랜드 시멘트(Portland cement)에 의해 하나의 블록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전방 부분은 색상(color) 안료를 혼합한 백시멘트(white cement)에 의해 형성되고 후방 부분은 포틀랜드 시멘트(Portland cement)에 의해 하나의 블록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중간을 기준으로 전방 부분은 색상(color) 안료를 혼합한 포틀랜드 시멘트(Portland cement)로 형성되고 후방 부분은 포틀랜드 시멘트(Portland cement)에 의해 하나의 블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제1 단차 블록과 제2 단차 블록의 상, 하면 일 측에는 각 블록을 견고하게 결합, 연결하기 위한 연결핀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핀 결합구멍이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제1 평면 블록은, 상기 제2 평면 블록에 비해 좌, 우 폭이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평면 블록은 제1 평면 블록에 비해 좌, 우 폭이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단차 블록과 평면 블록에 의해 블록과 블록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결합 및 연결하여 주변경관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모양의 옹벽을 축조함과 동시에 전면도 다양한 입체감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전면과 후면으로 상호 색상이 다른 시멘트를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옹벽의 미관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안료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이 평면인 제1 단차 블록의 조립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이 돌출된 제1 단차 블록의 조립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이 평면인 제2 단차 블록의 조립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이 돌출된 제2 단차 블록의 조립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차형 블록의 전면 모서리 부분에 경사부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평면형 블록의 전면 모서리 부분에 라운드, 경사부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이 평면인 제1 단차 블록과 제2 단차 블록 및 평면형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이 돌출된 제1 단차 블록과 제2 단차 블록 및 평면형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한 전면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이 돌출된 제1 단차 블록과 제2 단차 블록 및 평면형 블록을 이용하여 모서리 또는 돌출 면을 갖는 옹벽을 축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100)은 단차형 블록(110)과 평면형 블록(120)으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단차형 블록(110)은 일 측에 결합을 위한 높은 단(111a)이 형성되고, 타 측에는 결합을 위한 낮은 단(111b)이 형성된 제1 단차 블록(111)과, 중앙에 결합을 위한 높은 단(112a)이 형성되고, 상기 높은 단(112a)의 양측으로는 결합을 위한 낮은 단(112b)이 형성되는 제2 단차 블록(11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단차 블록(111)과 제2 단차 블록(112)은 높은 단(111a), (112a)과 낮은 단(111b), (112b)의 전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높은 단(111a), (112a)의 전면이 상기 낮은 단(111b), (112b)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옹벽의 축조시 전면이 평면과, 돌출형태 및 홈 형태와 같이 다양한 형상과 모양의 옹벽을 축조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입체감을 나타냄과 동시에 주변경관에 따라 블록의 조합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미관 향상을 이룰 수 있다.
또, 상기 제1 단차 블록(111)과 제2 단차 블록(112)의 상, 하면 일 측에는 각 블록을 견고하게 결합, 연결하기 위한 연결핀(p)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핀 결합구멍(h)이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100)은 핀 결합 구멍(h)이 상호 동일한 축을 이루도록 상, 하, 좌, 우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각 블록이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축조시 상기 핀 결합구멍(h)으로 연결핀(p)을 삽입함으로써, 신속하고 용이하며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차 블록(111)과 제2 단차 블록(112)은 높은 단(111a), (112a)과 낮은 단(111b), (112b)이 상면에 위치하도록 상부에서 시멘트를 공급하여 가압 성형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단차 블록(111) 또는 제2 단차 블록(112)은 옹벽 축조시, 어느 하나는 성형 제작시와 같이 높은 단(111a), (112a)과 낮은 단(111b), (112b)이 상면에 위치하도록 바로 안착시키고, 다른 하나는 높은 단(111a), (112a)과 낮은 단(111b), (112b)이 밑면에 위치하도록 뒤집어 2개의 블록이 상호 마주하도록 하여 각 블록의 높은 단이 낮은 단과 상호 엇갈리도록 결합 된다.
즉, 상기 제1 단차 블록(111) 또는 제2 단차 블록(112)은 각층 마다 어느 하나는 높은 단(111a), (112a)과 낮은 단(111b), (112b)이 상면에 위치하도록 바로 안착시키고, 다른 하나는 높은 단(111a), (112a)과 낮은 단(111b), (112b)이 밑면에 위치하도록 뒤집어 각 블록의 높은 단(111a), (112a)이 낮은 단(111b), (112b)과 긴밀하게 결합하여 다단으로 적층하여 옹벽을 축조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동일한 형태의 블록을 상, 하로 대향 시킨 후, 각 블록의 높은 단이 낮은 단과 요철형태로 상호 엇갈려 결합 적층 되도록 함으로써, 수직 하중이 각 블록에 고르게 전달되므로 긴밀한 결합을 이루어 블록 간의 결합이 해제되거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이뿐 아니라, 동일한 형태의 블록을 상, 하로 대향 시킨 후, 각 블록의 높은 단이 낮은 단과 요철형태로 상호 엇갈려 적층 시킴으로써, 종래에 비해 훨씬 견고하고 신속한 옹벽 축조 작업을 이룰 수 있으므로 옹벽 시공기간의 단축과 내구성 향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차형 블록(110)은 제1 단차 블록(111)만으로 조립되거나, 제2 단차 블록(112)만으로 조립되거나 또는 제1 단차 블록(111)과 제2 단차 블록(112)이 혼합 조립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 단차 블록(111)과 제2 단차 블록(112)은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이 상호 다른 시멘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단차 블록(111)과 제2 단차 블록(112)은 중간을 기준으로 전방 부분은 백시멘트(white cement)로 형성되고 후방 부분은 포틀랜드 시멘트(Portland cement)에 의해 하나의 블록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전방 부분은 색상(color) 안료를 혼합한 백시멘트(white cement)에 의해 형성되고 후방 부분은 포틀랜드 시멘트(Portland cement)에 의해 하나의 블록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중간을 기준으로 전방 부분은 색상(color) 안료를 혼합한 포틀랜드 시멘트(Portland cement)로 형성되고 후방 부분은 포틀랜드 시멘트(Portland cement)에 의해 하나의 블록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포틀랜드 시멘트와 색상(color)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블록 전체를 컬러 블록으로 형성하지 않으므로 색상 안료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비용절감으로 인해 경제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다양한 색상의 블록을 제공하여 주변경관과의 조화로 미관 향상을 이룰 수 있다.
또, 상기 단차형 블록(110)과 평면형 블록(120)은 예컨대, 공기압을 이용하여 쇠구슬을 외면 전체로 발사하여 모서리는 라운드 또는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전면은 불규칙한 요철 모양으로 형성되어 예날 고정의 성곽같은 느낌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모양의 옹벽을 축조할 수 있으므로 주변경관과의 조화를 이룰 수 있다.
상기 평면형 블록(120)은 상기 제1 단차 블록(111) 또는 제2 단차 블록(112) 사이에 위치하도록 결합 되는 제1 평면 블록(121)과 제2 평면 블록(1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평면 블록(121)은, 상기 제2 평면 블록(122)에 비해 좌, 우 폭이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평면 블록(122)은 제1 평면 블록(121)에 비해 좌, 우 폭이 좁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평면 블록(121)은 개략 사다리꼴로 형성되고 상, 하면 일 측에는 각 블록을 견고하게 결합, 연결하기 위한 연결핀(p)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핀 결합구멍(h)이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평면 블록(121)은 좌, 우 폭이 상기 단차형 블록(110)의 핀 결합구멍(h)과 동일한 축을 이루도록 핀 결합구멍(h)이 3개로 형성되거나, 또는 좌, 우 폭이 상기 단차형 블록(110)의 핀 결합구멍(h)과 동일한 축을 이루도록 핀 결합구멍(h)이 2개로 형성된다.
또, 상기 제2 평면 블록(122)은 좌, 우 폭이 상기 단차형 블록(110)의 낮은 단(111b), (112b)의 폭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길이는 단차형 블록(110)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옹벽의 축조시 상기 제1 단차 블록(111) 또는 제2 단차 블록(112) 사이에 삽입되어 단차형 블록(110)과 조화를 이룰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상과 모양의 옹벽을 축조하여 미관 향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평면 블록(120)은, 옹벽 축조시 최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단차형 블록(110)이나 또는 제1 평면 블록(121)의 상면에 위치하여 결합 되는 마감 블록(123)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마감 블록(123)은 사다리꼴로 이루어지고 설치시 하나가 폭이 넓은 면이 전면으로 향하게 되면 다른 하나는 폭이 좁은 면이 전면으로 향하도록 설치되거나, 폭이 넓은 면이 전면으로 향하도록 설치되거나 또는 폭이 좁은 면이 전면으로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직선형 옹벽과 오목형 옹벽 또는 볼록형 옹벽과 같이 다양한 선형의 옹벽을 마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100)을 이용하여 옹벽(200)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터파기를 하여 그 위에 시멘트 콘크리트 또는 잡석기초를 사용하여 기초면을 구축한다.
다음, 구축된 기초면 위에 상기 제1 단차 블록(111) 또는 제2 단차 블록(112)을 하나는 바로 위치시키고 다른 하나는 뒤집어 상호 마주하도록 하여 각 블록의 높은 단(111a), (112a)이 낮은 단(111b), (112b)과 상호 엇갈리도록 적층 결합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100)은 제1 단차 블록(111)만으로 조립되거나, 제2 단차 블록(112)만으로 조립되거나 또는 제1 단차 블록(111)과 제2 단차 블록(112) 및 상기 제1 평면 블록(121)과 제2 평면 블록(122)이 혼합 조립된다.
또, 상기 제1 단차 블록(111), 제2 단차 블록(112), 제1 평면 블록(121), 제2 평면 블록(122)은 요구되는 옹벽 길이에 따라 좌, 우 및 상, 하로 각 블록의 일부분이 교차 적층된다.
이때, 상기 각 블록에 형성된 핀 결합구멍(h)에 연결핀(p)을 삽입하여 각 블록을 상, 하, 좌, 우로 견고하게 고정한다.
즉, 상기 각 블록(100)의 상부에 다른 블록(100)을 다단으로 적층 하되, 적층된 높이가 일정하도록 단차형 블록(110)을 단독 또는 단차형 블록(110)과 평면형 블록(120)을 하나 이상 선택 조합하고, 각 블록(110), (120)에 형성된 핀 결합구멍(h)에 연결핀(p)을 삽입하여 상, 하 블록을 축조하여 옹벽(200)을 형성한다.
그리고 요구되는 길이와 높이로 옹벽(200)이 축조되면 최상부에 축조된 블록의 상면에 마감블록(123)을 연결하여 마무리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블록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축조함으로써 주변경관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모양의 옹벽을 형성하여 미관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비용절감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보강토 옹벽 블록 110 : 단차형 블록
111 : 제1 단차 블록 111a, 112a : 높은 단
111b, 112b : 낮은 단 112 : 제2 단차 블록
120 : 평면형 블록 121 : 제1 평면 블록
122 : 제2 평면 블록 123 : 마감블록
200 : 옹벽 h : 핀 결합구멍
p : 연결핀

Claims (10)

  1.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보강토 옹벽으로서,
    일 측에 결합을 위한 높은 단이 형성되고,
    타 측에는 결합을 위한 낮은 단으로 형성되어 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이 상호 다른 시멘트로 형성되고,
    상기 후방 부분에서 상기 높은 단과 낮은 단에는 각각 높이방향으로 핀 결합구멍이 형성되는 제1 단차 블록과,
    중앙에 결합을 위한 높은 단이 형성되고,
    상기 높은 단의 양측으로는 결합을 위한 낮은 단이 형성되어 ㅗ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이 상호 다른 시멘트로 형성되고,
    상기 후방 부분에서 상기 높은 단과 낮은 단에는 각각 높이방향으로 핀 결합구멍이 형성되는 제2 단차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차 블록 및 제2 단차 블록의 어느 일방이나 양방에서 상기 높은 단의 전면이 상기 낮은 단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 상기 제1 단차 블록과 제2 단차 블록은 상하방향으로 적층 되고,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지는 상기 제1 단차 블록과 제2 단차 블록을 높이 방향으로 적층함으로 발생하는 빈 공간에 설치되는 평면형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평면형 블록은,
    보강토 옹벽을 전방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채워진 사각형상이 되도록 상기 빈 공간의 발생가능한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이 상호 다른 시멘트로 형성되며,
    상기 후방 부분에서 상기 제1 단차 블록이나 제2 단차 블록의 핀 결합구멍과 높이방향으로 일치하도록 핀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연결핀을 제1 단차 블록, 제2 단차 블록 및 평면형 블록의 핀 결합구멍에 삽입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보강토 옹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형 블록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형상이 상이한 제1 평면 블록과 제2 평면 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평면 블록은, 상기 제2 평면 블록에 비해 좌, 우 폭이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평면 블록은 제1 평면 블록에 비해 좌, 우 폭이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보강토 옹벽.
  9. 삭제
  10. 삭제
KR1020170044369A 2017-04-05 2017-04-05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으로 이루어진 보강토 옹벽 KR102088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369A KR102088083B1 (ko) 2017-04-05 2017-04-05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으로 이루어진 보강토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369A KR102088083B1 (ko) 2017-04-05 2017-04-05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으로 이루어진 보강토 옹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106A KR20180113106A (ko) 2018-10-15
KR102088083B1 true KR102088083B1 (ko) 2020-03-11

Family

ID=63866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369A KR102088083B1 (ko) 2017-04-05 2017-04-05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으로 이루어진 보강토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0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52272B (zh) * 2020-10-31 2022-04-15 扬州大学 俄罗斯方块系列空心生态砖及其应用方法
KR102581114B1 (ko) * 2022-04-04 2023-09-20 이양석 다양한 형태의 축조가 가능한 성벽형 보강토 블럭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7696A (ja) * 2002-06-27 2004-01-29 Takuo Yukimoto 水辺の保全ブロックおよびその敷設方法
KR100810912B1 (ko) * 2006-12-21 2008-03-10 주식회사 태성 옹벽축조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JP2008537512A (ja) * 2005-01-13 2008-09-18 ネス インベン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メーソンリブロックおよび重なる面を有するメーソンリブロックを作成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173B1 (ko) * 2000-09-27 2003-10-10 주식회사 월테크 옹벽용 블록
KR20050117877A (ko) 2004-06-11 2005-12-15 이정수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 축조된 조립식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KR20070029313A (ko) * 2005-09-09 2007-03-14 김선희 블럭식 보강토 옹벽의 구축 구조
KR100999185B1 (ko) * 2009-04-22 2010-12-08 나라앤텍 주식회사 성벽 이미지 연출이 가능한 축조블록과 축조구조
KR101219570B1 (ko) * 2010-11-23 2013-01-08 문관회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7696A (ja) * 2002-06-27 2004-01-29 Takuo Yukimoto 水辺の保全ブロックおよびその敷設方法
JP2008537512A (ja) * 2005-01-13 2008-09-18 ネス インベン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メーソンリブロックおよび重なる面を有するメーソンリブロックを作成する方法
KR100810912B1 (ko) * 2006-12-21 2008-03-10 주식회사 태성 옹벽축조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106A (ko) 201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92950A (zh) 带有锁合装置的地板
KR101903460B1 (ko) 전면 천연 대리석 또는 안료가 섞인 백시멘트 또는 포틀랜드 시멘트로 만든 전면부재와 결합하는 보강토 블럭
KR102088083B1 (ko)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으로 이루어진 보강토 옹벽
KR100718801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인코너 폼
KR101116393B1 (ko) 보강토 옹벽용 블럭
CN207332109U (zh) 轻质墙板
KR102316529B1 (ko) 합성수지 거푸집용 폼패널 어셈블리
KR20200007335A (ko)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
KR101225070B1 (ko) 전면판이 결합되는 옹벽 축조용 블록
CN103850263A (zh) 预制砖胎膜
US20150033660A1 (en) Interlocking masonry unit
KR101117176B1 (ko) 기초 콘크리트 제작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 방법
JP2002013226A (ja) ブロック体
KR100401121B1 (ko) 조립식 옹벽 블록
CN209538677U (zh) 一种倾斜圆柱三维不规则梁、柱节点模板
CN209194832U (zh) 一种装配式柱体
CN210917925U (zh) 一种新型建筑用砖
JP3930016B2 (ja) 建築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1676469B1 (ko) 토목 및 건축구조물 내,외벽용 합성수지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한 토목 콘크리트 패널 제작방법 그리고 토목 및 건축구조물 내,외벽 시공방법
KR200396206Y1 (ko) 축조블럭
KR102139025B1 (ko) 유도 크랙 보강토 블럭을 축조하여 형성된 유도 크랙 보강토 옹벽
KR200376797Y1 (ko) 축조블럭
CN210712917U (zh) 一种劈裂挡土砌块
KR102146634B1 (ko) 코너 블럭이 적용된 보강토 옹벽
KR20030028787A (ko) 건축용 중공블록 및 그를 이용한 블록 벽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