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570B1 -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 - Google Patents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570B1
KR101219570B1 KR1020100116990A KR20100116990A KR101219570B1 KR 101219570 B1 KR101219570 B1 KR 101219570B1 KR 1020100116990 A KR1020100116990 A KR 1020100116990A KR 20100116990 A KR20100116990 A KR 20100116990A KR 101219570 B1 KR101219570 B1 KR 101219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mbined
retaining wall
combined block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5315A (ko
Inventor
김정섭
문관회
Original Assignee
문관회
김정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관회, 김정섭 filed Critical 문관회
Priority to KR1020100116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570B1/ko
Publication of KR20120055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42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 E04B2/44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E04B2/46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4Geogr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보강토 옹벽블럭으로 구성되는 구조물의 안전성을 향상하고,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조합형 보강토 옹벽블럭을 서로 연결하여 벽면에 나타는 패턴의 형태가 종래에 비해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게 되어 옹벽 구조물의 주변 경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는, 다수개의 보강토 옹벽블럭을 축조할 때 인접한 보강토 옹벽블럭을 상호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에 있어서, 소정의 높이를 갖는 블럭몸체부가 형성되어 상기 블럭몸체부의 상부면에는 몸체의 전방에서 횡방향으로 양측 말단 부분까지 이어진 횡방향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횡방향요홈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어져 상기 블럭몸체부의 후방 말단 부분까지 형성된 종방향요홈이 형성된 요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횡방향요홈에는 상하 방향으로 천공된 핀삽입공이 구비되며, 상기 블럭몸체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핀삽입공과 수직한 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핀고정홈이 구비된 제1조합형블럭과, 상기 제1조합형블럭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조합형블럭 상하방향의 높이보다 소정 길이만큼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2조합형블럭과, 상기 제1조합형블럭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조합형블럭 상하방향의 높이보다 소정 길이만큼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3조합형블럭과, 상기 제1조합형블럭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방향의 높이가 상기 제2조합형블럭 상하방향의 높이와 합산되어 상기 제3조합형블럭 상하방향의 높이와 동일해지도록 형성된 제4조합형블럭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조합형블럭, 제2조합형블럭, 제3조합형블럭 및 제4조합형블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형블럭을 상호간에 측방향과 상하방향으로 인접하게 축조하여 축조된 블럭층 사이에는 적어도 2단 이상의 적층 간격을 갖도록 수평 방향으로 개재된 그리드가 설치되되, 상기 핀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그리드를 고정시키고,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조합형블럭 서로가 일체로 고정되도록 상단부가 상부층에 적층된 조합형블럭의 핀고정홈에 걸리는 그리드고정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PLANTABLE RETAINING WALL BLOCK LAYING STRUCTUREUSING THE BLOCK}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보강토 옹벽블럭으로 구성되는 구조물의 안전성을 향상하고,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조합형 보강토 옹벽블럭을 서로 연결하여 벽면에 나타는 패턴의 형태가 종래에 비해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게 되어 옹벽 구조물의 주변 경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경사진 지반을 평평하게 만들 때, 성토 부위에 축조되는 영구적인 흙막이 구조물을 일컫는 것으로, 산지와 구릉이 많은 국내 지형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옹벽은 토압 및 수압에 대한 저항 능력이 커야 한다. 하지만, 옹벽 내에 성토되는 흙은 고체이지만 입자 상호간에 결합력이 약해 외력과 자중에 의해 쉽게 흩어져 파괴된다. 이러한 문제에 의하여 옹벽 높이가 증가할수록 구조적인 취약점 및 시공비 상승 등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보강토 옹벽 공법이 개발되었다. 보강토 옹벽 공법은 흙을 주체로 한 성토층에 인장력이 강한 스트립 형태 또는 판 형태의 보강재를 일정한 간격으로 매설하는 공법인 것으로, 이러한 공법은 보강재를 포함한 토체가 자립에 의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때문에, 옹벽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고 연약한 지반에서도 옹벽을 축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주로 사용되는 토목용 블럭식 옹벽의 축조된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이 블럭(B)은 구조적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기하학적 단면형상을 가지며, 부속자재인 그리드형 보강재(R)와 핀(P)을 사용하여 블럭(B) 및 블럭(B)과 보강재(R)가 상호 접합식 구조로 결속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전의 보강토 옹벽 공법은 연결구조에 있어서 보강재(R)를 각각의 블럭(B)에 개별적으로 연결시켜주어야 할 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 즉, 옹벽의 수평 방향에 대한 보강재의 조밀한 설치간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직 방향에 대한 보강재의 설치간격이 커서 결과적으로 불균일한 보강재 배치간격을 이룸으로써 상·하 블럭 간의 결속력 결핍과 블럭의 보강재 연결 밀도가 낮아지게 되어 블럭의 배부름 현상과 국부적 변위 및 블럭의 전후 길이 증대 등으로 인한 재료의 낭비와 각종 외력에 대한 변형이 발생되는 것이었고, 이러한 공법은 옹벽의 외관이 단순하고 딱딱한 분위기만을 연출할 수 있어 보는이로 하여금 무의미함을 주게 하였고, 그에 따른 싫증을 느끼게 함으로서, 국민정서에도 좋은 영향을 주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인접한 블럭들간의 결합이 수평과 수직방향으로 견고하게 결합되어짐과 동시에 보강재를 안정되게 고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보강토 옹벽블럭 자체에서 동적 하중을 흡수하는 안전한 구조체를 이루도록 결합되고, 동일한 형태를 갖되 각각 높이방향의 규격이 다른 다수개의 조합형블럭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단조로운 기존 보강토 옹벽의 형태를 개선하여 옹벽 구조물 벽체의 외관이 보다 다양한 형태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는, 다수개의 보강토 옹벽블럭을 축조할 때 인접한 보강토 옹벽블럭을 상호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에 있어서, 소정의 높이를 갖는 블럭몸체부가 형성되어 상기 블럭몸체부의 상부면에는 몸체의 전방에서 횡방향으로 양측 말단 부분까지 이어진 횡방향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횡방향요홈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어져 상기 블럭몸체부의 후방 말단 부분까지 형성된 종방향요홈이 형성된 요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횡방향요홈에는 상하 방향으로 천공된 핀삽입공이 구비되며, 상기 블럭몸체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핀삽입공과 수직한 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핀고정홈이 구비된 제1조합형블럭과, 상기 제1조합형블럭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조합형블럭 상하방향의 높이보다 소정 길이만큼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2조합형블럭과, 상기 제1조합형블럭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조합형블럭 상하방향의 높이보다 소정 길이만큼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3조합형블럭과, 상기 제1조합형블럭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방향의 높이가 상기 제2조합형블럭 상하방향의 높이와 합산되어 상기 제3조합형블럭 상하방향의 높이와 동일해지도록 형성된 제4조합형블럭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조합형블럭, 제2조합형블럭, 제3조합형블럭 및 제4조합형블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형블럭을 상호간에 측방향과 상하방향으로 인접하게 축조하여 축조된 블럭층 사이에는 적어도 2단 이상의 적층 간격을 갖도록 수평 방향으로 개재된 그리드가 설치되되, 상기 핀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그리드를 고정시키고,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조합형블럭 서로가 일체로 고정되도록 상단부가 상부층에 적층된 조합형블럭의 핀고정홈에 걸리는 그리드고정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는, 상기 제1조합형블럭, 제2조합형블럭, 제3조합형블럭 및 제4조합형블럭 중 어느 하나의 블럭을 이용하여 블럭몸체부의 폭 중간에서 전후방 길이 방향으로 절단되어 형성된 각각의 반블럭이 더 구성되되, 상기 각각의 반블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블럭과 상기 제1조합형블럭, 제2조합형블럭, 제3조합형블럭 및 제4조합형블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형블럭을 측방향과 상하방향으로 인접하게 축조하고, 상기 반블럭과 측방으로 이웃하는 조합형블럭 사이에는 상호간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각각의 횡방향요홈에 걸쳐지게 삽입되는 블럭고정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는, 상기 그리드가 설치된 사이사이의 층에는 보강토 옹벽블럭이 시공되는 후면의 절토부에 고정되는 앵커가 구비되고, 일측이 상기 블럭몸체부의 종방향요홈에 안착되어 상기 블럭고정바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앵커에 연결되어 각각의 조합형블럭 몸체를 지지하는 블럭지지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는 보강토 옹벽블럭 자체에서 동적 하중을 흡수하는 안전한 구조체를 이루도록 결합되고, 동일한 형태를 갖되 각각 높이방향의 규격이 다른 다수개의 조합형블럭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단조로운 기존 보강토 옹벽의 형태를 개선하여 옹벽 구조물 벽체의 외관이 보다 다양한 형태의 패턴을 갖도록 형성되어 종래에 비하여 주변 경관이 향상되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럭의 축조상태 및 그리드형 보강재의 부설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의 축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축조된 상태를 투시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에 사용되는 보강토 옹벽블럭의 규격을 도시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에 구성된 반블럭이 형성되는 과정을 보이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의 그리드가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시공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의 그리드고정핀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의 블럭고정바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의 축조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시공상태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의 보강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의 보강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상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의 축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축조된 상태를 투시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에 사용되는 보강토 옹벽블럭의 규격을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에 구성된 반블럭이 형성되는 과정을 보이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의 그리드가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시공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의 그리드고정핀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의 블럭고정바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의 축조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이며,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시공상태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의 보강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상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의 보강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는, 제1조합형블럭(10), 제2조합형블럭(20), 제3조합형블럭(30), 제4조합형블럭(40), 그리드(50), 그리드고정핀(5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보강토 옹벽블럭을 축조할 때 인접한 보강토 옹벽블럭을 상호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에 관한 것으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각각 높이방향의 폭 규격이 다른 다수개의 조합형블럭이 결합되어 종래의 단조로운 옹벽 구조물 벽체의 외관이 보다 다양한 형태의 패턴을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합형블럭(10), 제2조합형블럭(20), 제3조합형블럭(30) 및 제4조합형블럭(40)이 구비된다.
상기 제1조합형블럭(10)은 소정의 높이를 갖는 블럭몸체부(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조합형블럭(10)의 블럭몸체부(11) 상부면에는 블럭 몸체의 전방에서 횡방향으로 양측 말단 부분까지 이어진 횡방향요홈(12a)이 형성되고, 상기 횡방향요홈(12a)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어져 상기 블럭 몸체의 후방 말단 부분까지 이어진 종방향요홈(12b)이 형성된 요홈부(12)가 형성된다.
상기 제2조합형블럭(20)은 상기 제1조합형블럭(10)과 동일한 형태의 블럭몸체부(21)와 요홈부(22)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조합형블럭(10) 상하 방향의 높이보다 소정 길이만큼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3조합형블럭(30)은 상기 제1조합형블럭(10)과 동일한 형태의 블럭몸체부(31)와 요홈부(32)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조합형블럭(20) 상하방향의 폭보다 소정 길이만큼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조합형블럭(30)의 상하방향의 높이가 상기 제1조합형블럭(10)의 상하방향의 높이의 2배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조합형블럭(40)은 상기 제1조합형블럭(10)과 동일한 형태의 블럭몸체부(41)와 요홈부(42)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하방향의 높이가 상기 제2조합형블럭(20) 상하방향의 높이와 합산되어 상기 제3조합형블럭(30) 상하방향의 높이와 동일해지도록 형성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제1조합형블럭(10), 제2조합형블럭(20), 제3조합형블럭(30) 및 제4조합형블럭(40)이 상술한 바와 같은 높이 규격을 만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도 4를 참조하면, 각각의 조합형블럭 높이가 제1조합형블럭(10)은 200mm, 제2조합형블럭(20)은 250mm, 제3조합형블럭(30)은 400mm, 제4조합형블럭(40)은 150mm의 높이로 각각 형성되게 된다. 즉, 상기 제4조합형블럭(40)의 수직높이(H1)와 제2조합형블럭(20)의 수직높이(H2)의 합이 상기 제3조합형블럭(30)의 수직높이(H3)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높이 규격을 갖는 상기 제1조합형블럭(10), 제2조합형블럭(20), 제3조합형블럭(30) 및 제4조합형블럭(4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형블럭 즉, 2종류의 조합형블럭 또는 3종류의 조합형 블럭을 상호간에 측방향과 상하방향으로 인접하게 축조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가 도 10a 내지 도 10e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조합형블럭(10), 제2조합형블럭(20), 제3조합형블럭(30) 및 제4조합형블럭(40)은 각각의 조합형블럭 종류별로 열과 행을 이루게 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것으로, 상하로 위치되는 인접한 조합형블럭끼리 지그재그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적층하는 방법만으로 축조된 옹벽 벽면의 외관이 다양한 형태의 패턴을 이루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조합형블럭(10), 제2조합형블럭(20), 제3조합형블럭(30) 및 제4조합형블럭(40)은 상기 횡방향요홈(12a,22a,32a,42a)에는 상하 방향으로 천공된 핀삽입공(13,23,33,43)이 구비되고, 상기 블럭몸체부(11,21,31,41)의 하단부에는 상기 핀삽입공(13,23,33,43)과 수직한 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핀고정홈(14,24,34,44)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축조된 조합형블럭층 사이에는 적어도 2단 이상의 적층 간격을 갖고 수평 방향으로 개재되는 그리드(50)가 포설된다.
상기 그리드(50)는 축조된 조합형블럭층 사이에서 견고하게 고정되어 옹벽이 시공되는 뒷공간의 성토부에 매설됨으로써 구조물의 안전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그리드(50)에는 상기 그리드고정핀(51)이 설치되어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그리드고정핀(5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또는 다각형 형태의 헤드부를 갖는 막대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상기 그리드고정핀(51)은 상기 핀삽입공(13,23,33,43)에 삽입되어 상기 그리드(50)를 고정시키고,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조합형블럭 서로가 일체로 고정되도록 상단부분에 형성된 헤드부가 상부층에 적층된 조합형블럭의 핀고정홈(14,24,34,44)에 걸리도록 설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그리드고정핀(51)은 상기 그리드(50)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축조된 블럭들을 동시에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는 상기 제1조합형블럭(10), 제2조합형블럭(20), 제3조합형블럭(30) 및 제4조합형블럭(40) 중 어느 하나의 블럭을 이용하여 각각의 블럭몸체부(11,21,31,41)의 폭 중간에서 전후방 길이 방향으로 절단되어 형성된 각각의 반블럭(10',20',30',40')이 더 구성된다.
상기 반블럭(10',20',30',40')은 축조된 옹벽 구조물의 외관이 상술한 실시예와 또 다른 형태의 다양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반블럭(10',20',30',40')은 상기 제1조합형블럭(10), 제2조합형블럭(20), 제3조합형블럭(30) 및 제4조합형블럭(40) 각각의 가로폭의 절반 크기를 절단하여 형성된 것으로, 각각의 조합형블럭에서 양측으로 대칭되는 한 쌍의 반블럭(10',20',30',40')이 형성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에서 상기 반블럭(10',20',30',40')을 구성하여 축조된 옹벽 구조물 외관의 벽체 형태가 일정한 패턴을 이루도록 하나의 시공상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옹벽 구조물이 시공되는 장소의 기초를 조성하고 지반을 다짐하여 최하층에는 상기 제1조합형블럭(10), 제2조합형블럭(20), 제3조합형블럭(30) 및 제4조합형블럭(40)중 어느 하나의 조합형블럭을 이용하여 기초의 높이에 따라 일정 단수만큼 동일한 규격을 갖는 조합형블럭을 수평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쌓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조합형블럭(10)이 기초를 이루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각각의 반블럭(10',20',30',40') 중 상기 제1조합형블럭(10) 및 제4조합형블럭(40)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반블럭(1O',40')을 이용하여 각각의 조합형블럭들과 조합하여 일정한 패턴을 이루도록 적층시키게 되고, 최상층에는 마감블럭(60)을 설치하여 시공을 마무리하게 된다. 한편, 도 3은 도 2의 일부분인 "A"부분에 축조된 조립형블럭의 상태를 투시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3조합형블럭(30)이 중앙에 위치되어 상기 제1조합형블럭(10) 한 쌍이 제3조합형블럭(30)의 양측에 각각 이웃하게 위치되고, 상기 제1조합형블럭(10)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한 쌍의 반블럭(10')이 상기 제3조합형블럭(30)의 양측 각각에서 연접하도록 상기 제1조합형블럭(10)의 상부에 적층되게 된다. 따라서, 높이가 200mm의 크기를 갖는 상기 제1조합형블럭(10)과 반블럭(10)을 상하방향으로 조합하여 높이가 400mm의 크기를 갖는 상기 제3조합형블럭(30)과 상부면이 수평한 상태로 높이가 맞춰지게 된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는 제3조합형블럭(30)을 위치시키고, 그 양측에는 높이가 250mm로 형성된 제2조합형블럭(20) 및 높이가 150mm로 형성된 제4조합형블럭(40)을 조합하여 또 다른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또 한편으로, 상기 반블럭(10'40')의 전면에는 다양한 색상을 적용하여 포인트를 형성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로 축조된 옹벽 구조물의 외관이 독특한 미관을 창출해 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도3에서와 같이 상기 반블럭(10',40')과 상기 제3조합형블럭(30)의 상부면이 인접하게 축조된 후에는 상호간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각각의 횡방향요홈(12a,32a)에 걸쳐지게 삽입되는 블럭고정바(52)가 설치된다. 상기 블럭고정바(52)는 상기 그리드고정핀(51)과 같이 상기 그리드(50)를 고정시킬 수 있고, 측방으로 이웃하는 조합형블럭간에 서로 걸쳐지도록 길게 형성되게 된다.
상기 블럭고정바(52)는 상기 그리드(50)를 고정하도록 축조된 조합형블럭 각각의 상기 횡방향요홈(12a,22a,32a,42a)에 삽입되게 설치된다. 상기 블럭고정바(51)는 단면이 사다리꼴 또는 다각형 형태를 갖도록 길게 형성되어 측방으로 이웃하는 조립형블럭끼리 서로 일체로 고정되도록 서로의 횡방향요홈(12a,22a,32a,42a)에 걸쳐지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블럭고정바(52)는 상기 그리드고정핀(51)을 대체하여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지만, 특히 도 2에서와 같이 제1조합형블럭(10)을 포함한 각각의 조립형블럭과 반블럭(10',20',30',40')이 구성된 형태의 조합에서 각각의 블럭 상부면의 높이가 동일하게 연접하는 경우 사용되어 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는 상기 제1조합형블럭(10), 제2조합형블럭(20), 제3조합형블럭(30) 및 제4조합형블럭(40)의 적층 또는 상기의 조합형블럭들과 그 조합형블럭을 이용하여 형성된 상기 반블럭(10',20',30',40')을 상하 및 수평 방향으로 조합하여 종래의 단조로운 옹벽 구조물 벽체의 외관에 비하여 보다 다양한 형태의 패턴을 이루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 보강토 옹벽블록의 조적구조는 절토부의 경우 보강토 옹벽의 축조 높이에 따라 뒷공간의 일정 넓이가 확보되어야 하지만, 도로의 협소한 공간에 따라 넓이가 확보되지 못한 경우에 이를 극복하기 위한 구성으로 보강재(7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재(70)는, 도11 및 도12를 참조하면 상기 블록몸체부(11,21,31,41)를 절토부(C)의 후면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옹벽의 일부 또는 전체가 붕괴되지 않도록 인장력을 보강하기 위한 구성인 것으로, 상기 보강재(70)는 특수한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자재를 사용하여 부식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재질을 갖는다. 또한, 상기 보강재(70)는 상기 그리드(50)가 적어도 2단 이상의 층을 간격으로 설치된 것으로, 상기 그리드(50)가 설치된 사이사이의 층에는 보강토 옹벽블럭이 시공되는 후면의 절토부(C)에 고정되는 앵커부(71)와 일측이 상기 종방향요홈(22)에 안착되어 상기 블럭고정바(52)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앵커(71)에 연결되어 각각의 조합형블럭 몸체를 지지하는 블럭지지보강재(72)로 구성된다.
상기 앵커(71)는 쐐기부(71a)와 연결부(71b)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쐐기부(71a)는 표면에 가시형태의 쐐기가 다수 돌출되어 상기 블록몸체부(11,21,31,41)의 후면의 절토부(C)에 삽입되어 상기 앵커(71)가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부(71b)는 내부 단면에 공간이 형성되어 절토면의 밖으로 노출되게 된다.
상기 블럭지지보강재(72)는 상기 블럭몸체부(11,21,31,41)의 종방향요홈(12b,22b,32b,42b)에 안착되어 상기 횡방향요홈(12a,22a,32a,42a)에 안착된 상기 블럭고정바(52)에 고정되고, 상기 블럭몸체부(11,21,31,41)의 전방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앵커(71) 인장 시 상기 블럭몸체부(11,21,31,41) 전체의 전단력을 보강하게 된다. 상기 블럭지지보강재(72)는 상기 블럭고정바(52)와 연결되는 일단부가 「ㄴ」자 또는 「ㄱ」자의 갈고리 형태로 꺽이게 형성되어 체결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블럭지지보강재(72)는 상기 블럭고정바(52)에 일체로 연결되어 하중이 가해지는 상기 블럭몸체부(11,21,31,41) 전체에 작용하는 전단력 및 휨모멘트에 상응하는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제1조합형블럭 20 제2조합형블럭
30 제3조합형블럭 40 제4조합형블럭
10',20',30',40' 반블럭 11,21,31,41 블럭몸체부
12,22,32,42 요홈부 12a,22a,32a,42a 횡방향요홈
12b,22b,32b,42b 종방향요홈 13,23,33,43 핀삽입공
14,24,34,44 핀고정홈 50 그리드
51 그리드고정핀 52 블럭고정바
60 마감블럭 70 보강재
71 앵커 72 블럭지지보강재

Claims (3)

  1. 다수개의 보강토 옹벽블럭을 축조할 때 인접한 보강토 옹벽블럭을 상호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에 있어서, 소정의 높이를 갖는 블럭몸체부가 형성되어 상기 블럭몸체부의 상부면에는 몸체의 전방에서 횡방향으로 양측 말단 부분까지 이어진 횡방향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횡방향요홈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어져 상기 블럭몸체부의 후방 말단 부분까지 형성된 종방향요홈이 형성된 요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횡방향요홈에는 상하 방향으로 천공된 핀삽입공이 구비되며, 상기 블럭몸체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핀삽입공과 수직한 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핀고정홈이 구비된 제1조합형블럭과, 상기 제1조합형블럭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조합형블럭 상하방향의 높이보다 소정 길이만큼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2조합형블럭과, 상기 제1조합형블럭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조합형블럭 상하방향의 높이보다 소정 길이만큼 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3조합형블럭과, 상기 제1조합형블럭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방향의 높이가 상기 제2조합형블럭 상하방향의 높이와 합산되어 상기 제3조합형블럭 상하방향의 높이와 동일해지도록 형성된 제4조합형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조합형블럭, 제2조합형블럭, 제3조합형블럭 및 제4조합형블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형블럭을 상호간에 측방향과 상하방향으로 인접하게 축조하여 축조된 블럭층 사이에는 적어도 2단 이상의 적층 간격을 갖도록 수평 방향으로 개재된 그리드가 설치되되, 상기 핀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그리드를 고정시키고,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조합형블럭 서로가 일체로 고정되도록 상단부가 상부층에 적층된 조합형블럭의 핀고정홈에 걸리는 그리드고정핀이 설치되며,
    상기 제1조합형블럭, 제2조합형블럭, 제3조합형블럭 및 제4조합형블럭 중 어느 하나의 블럭을 이용하여 블럭몸체부의 폭 중간에서 전후방 길이 방향으로 절단되어 형성된 각각의 반블럭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각각의 반블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블럭과 상기 제1조합형블럭, 제2조합형블럭, 제3조합형블럭 및 제4조합형블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형블럭을 측방향과 상하방향으로 인접하게 축조하고, 상기 반블럭과 측방으로 이웃하는 조합형블럭 사이에는 상호간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각각의 횡방향요홈에 걸쳐지게 삽입되는 블럭고정바가 설치되며,
    상기 그리드가 설치된 사이사이의 층에는 보강토 옹벽블럭이 시공되는 후면의 절토부에 고정되는 앵커가 구비되고, 일측이 상기 블럭몸체부의 종방향요홈에 안착되어 상기 블럭고정바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앵커에 연결되어 각각의 조합형블럭 몸체를 지지하는 블럭지지보강재가 구비된 보강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
  2. 삭제
  3. 삭제
KR1020100116990A 2010-11-23 2010-11-23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 KR101219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990A KR101219570B1 (ko) 2010-11-23 2010-11-23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990A KR101219570B1 (ko) 2010-11-23 2010-11-23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315A KR20120055315A (ko) 2012-05-31
KR101219570B1 true KR101219570B1 (ko) 2013-01-08

Family

ID=46270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990A KR101219570B1 (ko) 2010-11-23 2010-11-23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5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620B1 (ko) * 2013-09-10 2014-04-17 문창곤 “l“자형 프레임을 이용한 조립식 식생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50107437A (ko) * 2014-03-14 2015-09-23 이해원 수직 옹벽 축조용 블록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830B1 (ko) * 2016-03-18 2017-02-01 다성기업(주) 보강토 옹벽블록과 그리드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102088083B1 (ko) * 2017-04-05 2020-03-11 공학봉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으로 이루어진 보강토 옹벽
KR102558157B1 (ko) * 2021-08-05 2023-07-20 이양석 높이가 다른 블럭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KR102581114B1 (ko) * 2022-04-04 2023-09-20 이양석 다양한 형태의 축조가 가능한 성벽형 보강토 블럭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2968A (en) * 1993-03-31 1997-07-01 Societe Civile Des Brevets Henri C. Vidal Modular block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nd components
KR200358082Y1 (ko) * 2004-04-20 2004-08-05 주식회사 민테크이엔지 조적식 옹벽블록
KR20060069805A (ko) * 2006-05-16 2006-06-22 (주)금오물산 보강 토 옹벽용 블록
KR100810912B1 (ko) * 2006-12-21 2008-03-10 주식회사 태성 옹벽축조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2968A (en) * 1993-03-31 1997-07-01 Societe Civile Des Brevets Henri C. Vidal Modular block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nd components
KR200358082Y1 (ko) * 2004-04-20 2004-08-05 주식회사 민테크이엔지 조적식 옹벽블록
KR20060069805A (ko) * 2006-05-16 2006-06-22 (주)금오물산 보강 토 옹벽용 블록
KR100810912B1 (ko) * 2006-12-21 2008-03-10 주식회사 태성 옹벽축조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620B1 (ko) * 2013-09-10 2014-04-17 문창곤 “l“자형 프레임을 이용한 조립식 식생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50107437A (ko) * 2014-03-14 2015-09-23 이해원 수직 옹벽 축조용 블록 유닛
KR101598148B1 (ko) * 2014-03-14 2016-02-26 이해원 수직 옹벽 축조용 블록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315A (ko)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570B1 (ko)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
US6416260B1 (en) Self-connecting,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masonry units therefor
CN104652671A (zh) 预制装配式混凝土外挂墙板固定装置及安装方法
RU2567578C2 (ru) Сооружение из армированного грунта
CN101346516A (zh) 模块化砌块结构
EP2694745B1 (en) Modular system of building blocks
KR101077949B1 (ko)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 방법
KR101397432B1 (ko) 보강토 옹벽 패널
KR101284122B1 (ko) 보강토 블록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287739B1 (ko) 널말뚝식 복합 모듈러 교대 및 그의 시공 방법
JP2012072650A (ja) 補強を施した土壌構造物
JP4812135B2 (ja) 補強土擁壁を積層するための施工具
KR101072286B1 (ko) 조립식 옹벽
ES2408238B1 (es) Sistema constructivo
KR101164989B1 (ko) 지반 보강 구조물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CN111511992A (zh) 薄而稳定的分段式墙块以及土壤加固系统和方法
CN210562229U (zh) 土工格栅格室边坡覆绿固土装置
JP2007314960A (ja) 補強土擁壁構造、及び、補強土擁壁を積層する施工具。
KR101065726B1 (ko) 조립식 옹벽
KR100375821B1 (ko) 옹벽용 블럭 및 그 시공 방법
JP7284617B2 (ja) 基礎構造
KR100752688B1 (ko) 조립식 옹벽블록 및 조립식 옹벽블록 결합체
KR101356816B1 (ko) 옹벽용 보강재의 고정방법
KR102558157B1 (ko) 높이가 다른 블럭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KR102391434B1 (ko) Eps 블록들을 이용한 조경 구조체 및 그의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