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8801B1 - 각도조절이 용이한 인코너 폼 - Google Patents

각도조절이 용이한 인코너 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8801B1
KR100718801B1 KR1020060119045A KR20060119045A KR100718801B1 KR 100718801 B1 KR100718801 B1 KR 100718801B1 KR 1020060119045 A KR1020060119045 A KR 1020060119045A KR 20060119045 A KR20060119045 A KR 20060119045A KR 100718801 B1 KR100718801 B1 KR 100718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angle
corner
angle holding
side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9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태현
Original Assignee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119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88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80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2011/067Integrated forms comprising shuttering skin, 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workplatforms and ra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형성하고자 하는 모서리의 각도에 따라 다양한 각도 변형이 가능한 패널부와, 패널부에 장착되면서 각도가 변형된 패널부를 콘크리트 양생이 끝날 때 까지 변형된 각도를 유지하게 하는 각도 유지부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각도를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부위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널부의 탄성에 의해서 용이하게 탈형이 가능하여 인코너 폼의 파손 및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인코너 폼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코너 폼은 하나의 강판을 절곡하여 일측면들이 직각을 이루도록 마주보는 제 1 패널 및 제 2 패널과, 통상의 벽면 유로폼의 벽면 측판과 연결을 위해 제 1 패널의 일단 및 제 2 패널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 1 코너 측판 및 제 2 코너 측판을 가지는 패널부; 및 제 1 패널의 일측면 상부 및 하부에 일단이 장착되면서 타단은 제 2 패널 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 1 각도유지패널과, 제 2 패널의 일측면 상부 및 하부에 일단이 장착되면서 타단은 제 1 각도유지패널에 간섭되지 않게 제 1 패널 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 2 각도유지패널을 가지는 각도 유지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각도조절이 용이한 인코너 폼{IN-CORNER FORM EASY TO ADJUSTMENT AN ANG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이 용이한 인코너 폼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코너 폼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결합상태도이며, 그리고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인코너 폼의 사용상태를 보인도면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각도조절이 용이한 인코너 폼 110 : 패널부
112a : 제 1 패널 112b : 제 2 패널
114a : 제 1 코너 측판 114b : 제 2 코너 측판
116a : 제 1 코너 결합공 116b : 제 2 코너 결합공
120 : 각도 유지부 122a : 제 1 각도유지패널
122b : 제 2 각도유지패널 124a : 제 1 각도유지공
124b : 제 2 각도유지공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 형틀공사에 사용되는 인코너 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형성하고자 하는 모서리의 각도에 따라 다양한 각도 변형이 가능한 패널부와, 패널부에 장착되면서 각도가 변형된 패널부를 콘크리트 양생이 끝날 때 까지 변형된 각도를 유지하게 하는 각도 유지부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각도를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부위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널부의 탄성에 의해서 용이하게 탈형이 가능하여 인코너 폼의 파손 및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인코너 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면과 벽면이 만나는 즉, 벽면과 벽면, 기둥과 천장 또는 바닥이 만나는 부분에는 모서리부위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모서리부위에는 모서리용 유로폼(이하;“인코너 폼”이라 함)이 장착된다.
전술한 종래 인코너 폼은 직각으로 고정된 철재 플레이트를 용접 또는 리벳팅의 결합방법으로 부착하고 각 플레이트 사이에 철재편의 보강재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화하여 제작된다.
그런데, 종래 인코너 폼은 각도 조절기능이 없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직각부위 이외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며, 또한 콘크리트 타설 후 직각으로 인하여 해체가 어렵고, 강제 해체로 인하여 인코너 폼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형성하고자 하는 모서리의 각도에 따라 다양한 각도 변형이 가능한 패널부와, 패널부에 장착되면서 각도가 변형된 패널부를 콘크리트 양생이 끝날 때 까지 변형된 각도를 유지하게 하는 각도 유지부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각도를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부위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널부의 탄성에 의해서 용이하게 탈형이 가능하여 인코너 폼의 파손 및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인코너 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 형틀공사에 사용되는 인코너 폼에 있어서,
인코너 폼은;
하나의 강판을 절곡하여 일측면들이 직각을 이루도록 마주보는 제 1 패널 및 제 2 패널과, 통상의 벽면 유로폼의 벽면 측판과 연결을 위해 제 1 패널의 일단 및 제 2 패널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 1 코너 측판 및 제 2 코너 측판을 가지며, 제 1 코너 측판 및 제 2 코너 측판에는 벽면 측판에 형성된 다수의 벽면 결합공과 마주보는 제 1 코너 결합공 및 제 2 코너 결합공이 형성되어 벽면 결합공과 통상의 웨지핀, 플랫타이를 매개로 연결되는 패널부; 및
제 1 패널의 일측면 상부, 중앙부 및 하부에 일단이 장착되면서 타단은 제 2 패널 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 1 각도유지패널과, 제 2 패널의 일측면 상부, 중앙부 및 하부에 일단이 장착되면서 타단은 제 1 각도유지패널에 간섭되지 않게 제 1 패널 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 2 각도유지패널을 가지며, 다수의 제 1 각도유지패널 및 다수의 제 2 각도유지패널은 부채꼴 형상을 가지며, 제 1 각도유지패널 및 제 2 각도유지패널에는 제 1 각도유지패널 및 제 2 각도유지패널의 원호를 따라 다수의 제 1 각도유지공 및 제 2 각도유지공이 형성되고, 제 1 각도유지공 및 제 2 각도유지공은 제 1 패널 및 제 2 패널의 각도조절에 따라 서로 연통하면서 서로 연통된 제 1 각도유지공 및 제 2 각도유지공은 통상의 웨지핀, 플랫타이를 매개로 연결되는 각도 유지부로 이루어진 각도조절이 용이한 인코너 폼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형성하고자 하는 모서리의 각도에 따라 다양한 각도 변형이 가능한 패널부와, 패널부에 장착되면서 각도가 변형된 패널부를 콘크리트 양생이 끝날 때 까지 변형된 각도를 유지하게 하는 각도 유지부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각도를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부위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널부의 탄성에 의해서 용이하게 탈형이 가능하여 인코너 폼의 파손 및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이 용이한 인코너 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이 용이한 인코너 폼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코너 폼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결합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이 용이한 인코너 폼(100)은 다양한 각도 탄성 변형이 가능한 패널부(110)와, 패널부(110)의 장착되 어 탄성 변형된 패널부(110)의 각도를 유지하는 각도 유지부(120)를 구비한다.
먼저, 패널부(110)는 하나의 강판을 절곡하여 형성된 제 1 패널(112a) 및 제 2 패널(112b)을 구비한다. 즉, 제 1 패널(112a)의 타단과 제 2 패널(112b)의 일단은 서로 연결되고, 제 1 패널(112a)의 일측면과 제 2 패널(112b)의 일측면은 직각을 이루면 마주보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패널(112a) 및 제 2 패널(112b)은 동일한 폭을 가지거나, 또는 서로 다른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패널(112a)의 일단 및 제 2 패널(112b)의 타단에는 벽면을 형성하는 벽면 유로폼(10)의 벽면 측판(12)과의 연결을 위해서 제 1 코너 측판(114a) 및 제 2 코너 측판(114b)이 일체로 형성되는데, 제 1 코너 측판(114a) 및 제 2 코너 측판(114b)에는 벽면 측판(12)에 형성된 다수의 벽면 결합공(16)과 마주보는 제 1 코너 결합공(116a) 및 제 2 코너 결합공(116b)이 형성된다. 누구나 알 수 있듯이 제 1 코너 결합공(116a)과 인접한 벽면 결합공(16) 그리고 제 2 코너 결합공(116b)과 인접한 또 다른 벽면 결합공(16)에는 통상의 웨지핀(wedge pin; 도시되지 않음), 플랫타이(flat tie; 도시되지 않음) 등을 매개로 연결된다.
한편, 각도 유지부(120)는 제 1 패널(112a)의 일측면 상부, 중앙부 및 하부에 일단이 장착되면서 타단은 제 2 패널(112b) 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 1 각도유지패널(122a)과, 마찬가지로 제 2 패널(112b)의 일측면 상부, 중앙부 및 하부에 일단이 장착되면서 타단은 제 1 각도유지패널(122a)에 간섭되지 않게 제 1 패널(112a) 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 2 각도유지패널(122b)을 구비한다. 즉, 제 1 각도유지패널(122a) 및 제 2 각도유지패널(122b)은 서로 교차되는데, 제 1 각도유 지패널(122a)의 하부면측으로는 제 2 각도유지패널(122b)의 상부면이 슬라이딩 된다.
전술한 다수의 제 1 각도유지패널(122a) 및 다수의 제 2 각도유지패널(122b)은 부채꼴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제 1 각도유지패널(122a) 및 제 2 각도유지패널(122b)에는 제 1 각도유지패널(122a) 및 제 2 각도유지패널(122b)의 원호를 따라 다수의 제 1 각도유지공(124a) 및 다수의 제 2 각도유지공(124b)이 형성되는데, 제 1 각도유지공(124a) 및 제 2 각도유지공(124b)은 제 1 패널(112a) 및 제 2 패널(112b)의 각도조절에 따라 서로 연통하며, 서로 연통된 제 1 각도유지공(124a) 및 제 2 각도유지공(124b)은 통상의 웨지핀(wedge pin; 도시되지 않음), 플랫타이(flat tie; 도시되지 않음) 등을 매개로 연결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이 용이한 인코너 폼(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인코너 폼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콘크리트 구조물(C)의 모서리 부위 각도가 둔각을 이룰 때, 그리고 도 4는 콘크리트 구조물(C)의 모서리 부위 각도가 예각을 이룰 때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둔각 또는 예각을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물(C)의 모서리 부위 각도에 맞추어 제 1 패널(112a) 및 제 2 패널(112b)을 펼치거나 또는 굽혀 제 1 패널(112a) 및 제 2 패널(112b)의 각도를 변형 시킨다.
제 1 패널(112a) 및 제 2 패널(112b)의 각도가 변형되면, 제 1 각도유지패널(122a) 및 제 2 각도유지패널(122b)은 서로 슬라이딩되면서 어느 하나의 제 1 각 도유지공(124a)과 어느 하나의 제 2 각도유지공(124b)은 서로 연통되는데, 이때, 제 1 패널(112a) 및 제 2 패널(112b)의 변형된 각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연통하는 제 1 각도유지공(124a) 및 제 2 각도유지공(124b)에 웨지핀, 플랫타이를 이용하여 제 1 각도유지패널(122a)과 제 2 각도유지패널(122b)을 연결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패널(112a) 및 제 2 패널(112b)의 각도가 변형되면, 인코너 폼(100)을 모서리 부위에 배치시키고, 인코너 폼(100)과 벽면 유로폼(10)을 서로 연결시킨다. 인코너 폼(100)과 벽면 유로폼(10)은 건축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일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렇게, 인코너 폼(100)과 벽면 유로폼(10)이 결합된 후 콘크리트의 타설이 완료되면, 벽면 유로폼(10)을 타형시킨 후 인코너 폼(100)을 타형 시키는데, 이때, 인코너 폼(100)을 타형 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제 1 각도유지공(124a) 및 제 2 각도유지공(124b)에 결합된 웨지핀, 플랫타이를 제거한다. 이렇게 제 1 각도유지패널(122a) 및 제 2 각도유지패널(122b)이 분리되면, 제 1 패널(112a) 및 제 2 패널(112b)은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려는 탄성에 의해 용이하게 콘크리트 구조물(C)에서 탈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이 용이한 인코너 폼(100)은 형성하고자 하는 모서리의 각도에 따라 다양한 각도 변형이 가능한 제 1 패널(112a) 및 제 2 패널(112b)을 갖는 패널부(110)와, 패널부(110)에 장착되면서 각도가 변형된 제 1 패널(112a) 및 제 2 패널(112b)을 콘크리트 양생이 끝날 때 까지 변형된 각도를 유지하게 하는 다수의 제 1 각도유지패널(122a) 및 다수의 제 2 각도유지패널(122b)을 갖는 각도 유지부(120)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각도를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물(C)의 모서리부위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널부(110)의 탄성에 의해서 용이하게 탈형이 가능하여 인코너 폼(100)의 파손 및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 형틀공사에 사용되는 인코너 폼에 있어서,
    상기 인코너 폼은;
    하나의 강판을 절곡하여 일측면들이 직각을 이루도록 마주보는 제 1 패널(112a) 및 제 2 패널(112b)과, 통상의 벽면 유로폼(10)의 벽면 측판(12)과 연결을 위해 상기 제 1 패널(112a)의 일단 및 상기 제 2 패널(112b)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 1 코너 측판(114a) 및 제 2 코너 측판(114b)을 가지며, 상기 제 1 코너 측판(114a) 및 상기 제 2 코너 측판(114b)에는 상기 벽면 측판(12)에 형성된 다수의 벽면 결합공(16)과 마주보는 제 1 코너 결합공(116a) 및 제 2 코너 결합공(116b)이 형성되어 상기 벽면 결합공(16)과 통상의 웨지핀, 플랫타이를 매개로 연결되는 패널부(110); 및
    상기 제 1 패널(112a)의 일측면 상부, 중앙부 및 하부에 일단이 장착되면서 타단은 상기 제 2 패널(112b) 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 1 각도유지패널(122a)과, 상기 제 2 패널(112b)의 일측면 상부, 중앙부 및 하부에 일단이 장착되면서 타단은 상기 제 1 각도유지패널(122a)에 간섭되지 않게 상기 제 1 패널(112a) 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 2 각도유지패널(122b)을 가지며, 다수의 상기 제 1 각도유지패널(122a) 및 다수의 상기 제 2 각도유지패널(122b)은 부채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각도유지패널(122a) 및 상기 제 2 각도유지패널(122b)에는 상기 제 1 각도유지패널(122a) 및 상기 제 2 각도유지패널(122b)의 원호를 따라 다수의 제 1 각도유지공(124a) 및 제 2 각도유지공(124b)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각도유지공(124a) 및 상기 제 2 각도유지공(124b)은 상기 제 1 패널(122a) 및 상기 제 2 패널(122b)의 각도조절에 따라 서로 연통하면서 서로 연통된 상기 제 1 각도유지공(124a) 및 상기 제 2 각도유지공(124b)은 통상의 웨지핀, 플랫타이를 매개로 연결되는 각도 유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인코너 폼.
  2. 삭제
  3. 삭제
KR1020060119045A 2006-11-29 2006-11-29 각도조절이 용이한 인코너 폼 Expired - Fee Related KR100718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045A KR100718801B1 (ko) 2006-11-29 2006-11-29 각도조절이 용이한 인코너 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045A KR100718801B1 (ko) 2006-11-29 2006-11-29 각도조절이 용이한 인코너 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8801B1 true KR100718801B1 (ko) 2007-05-16

Family

ID=38277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045A Expired - Fee Related KR100718801B1 (ko) 2006-11-29 2006-11-29 각도조절이 용이한 인코너 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8801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191B1 (ko) 2007-02-15 2008-01-02 (주)베이스테크 코너용 콘크리트 거푸집
KR101127053B1 (ko) * 2009-04-03 2012-03-23 주식회사 스틸이엔씨 곡면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338601B1 (ko) * 2012-08-23 2013-12-06 현대건설주식회사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
KR102095725B1 (ko) * 2018-10-25 2020-04-01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다목적 합성수지 거푸집
KR102095726B1 (ko) * 2018-10-29 2020-04-01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다목적 합성수지 거푸집
CN111550034A (zh) * 2019-03-05 2020-08-18 广西良创建筑铝模科技有限公司 一种异性结构的铝合金模板
WO2022047267A1 (en) * 2020-08-29 2022-03-03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Scissor action stripping corner
WO2023124243A1 (zh) * 2021-12-30 2023-07-06 上海建工七建集团有限公司 混凝土圆形结构的模板加固体系及其安装方法
CN118241855A (zh) * 2024-05-30 2024-06-25 河北中铸爱军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核心筒剪力墙转角处模板支撑加固结构
CN119593574A (zh) * 2025-02-10 2025-03-11 陕西首铝模架科技有限公司 一种高强合金模板组件及其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0142A (ja) * 1983-11-30 1985-06-27 Natl House Ind Co Ltd 太陽熱集熱用の屋根
KR200386934Y1 (ko) * 2005-04-01 2005-06-16 전승남 폭조절이 가능한 코너부 거푸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0142A (ja) * 1983-11-30 1985-06-27 Natl House Ind Co Ltd 太陽熱集熱用の屋根
KR200386934Y1 (ko) * 2005-04-01 2005-06-16 전승남 폭조절이 가능한 코너부 거푸집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191B1 (ko) 2007-02-15 2008-01-02 (주)베이스테크 코너용 콘크리트 거푸집
KR101127053B1 (ko) * 2009-04-03 2012-03-23 주식회사 스틸이엔씨 곡면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338601B1 (ko) * 2012-08-23 2013-12-06 현대건설주식회사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
KR102095725B1 (ko) * 2018-10-25 2020-04-01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다목적 합성수지 거푸집
KR102095726B1 (ko) * 2018-10-29 2020-04-01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다목적 합성수지 거푸집
CN111550034A (zh) * 2019-03-05 2020-08-18 广西良创建筑铝模科技有限公司 一种异性结构的铝合金模板
CN111550034B (zh) * 2019-03-05 2021-08-17 广西良创建筑铝模科技有限公司 一种异性结构的铝合金模板
WO2022047267A1 (en) * 2020-08-29 2022-03-03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Scissor action stripping corner
US12168880B2 (en) 2020-08-29 2024-12-17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Scissor action stripping corner
WO2023124243A1 (zh) * 2021-12-30 2023-07-06 上海建工七建集团有限公司 混凝土圆形结构的模板加固体系及其安装方法
CN118241855A (zh) * 2024-05-30 2024-06-25 河北中铸爱军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核心筒剪力墙转角处模板支撑加固结构
CN119593574A (zh) * 2025-02-10 2025-03-11 陕西首铝模架科技有限公司 一种高强合金模板组件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8801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인코너 폼
KR100812551B1 (ko)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지지바
KR101901240B1 (ko) 건축물용 조립식 거푸집 패널
KR200436231Y1 (ko) 보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JP5389854B2 (ja) 土台用スペーサ
KR101203298B1 (ko) 건설공사용 거푸집
KR100750997B1 (ko) 슬라브보 시공용 거푸집 설치부재
KR20150088049A (ko) 비정형 콘크리트구조물 성형용 스틸폼 구조체
KR20110126399A (ko) 다양한 형태를 갖는 체결패널 및 원터치 방식의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거푸집 체결구조
KR101247837B1 (ko) 철근 배근이 용이한 건설공사용 거푸집
KR200403876Y1 (ko) 사각 맨홀 거푸집
KR102181071B1 (ko) 곡면형 벽체 형성용 거푸집 체결장치
KR20080057278A (ko) 지지 부재 조립체
KR100515915B1 (ko) 데크플레이트 연결부
JP4512513B2 (ja) 土台用スペーサ及び土台構造
JP5300644B2 (ja) 端部閉塞フラットデッキプレートを用いた建築構造物のrcスラブ構築方法
KR101803487B1 (ko) 거푸집 연결용 보강재
KR200437154Y1 (ko) 유로폼형 거푸집
KR100639158B1 (ko) 모따기용 거푸집 패널
KR200241690Y1 (ko) 거푸집용 인코너틀
KR101587838B1 (ko) 연통된 공기 통로 성형이 가능한 마감재 일체형 블록 성형장치
KR101691624B1 (ko) 절곡형 데크플레이트에의 고정 설치를 위한 중공재 및 이를 이용한 경량 슬래브 구조의 시공방법
JP4705365B2 (ja) 基礎構築用の支持具及びその取付構造
KR102559866B1 (ko) 프리캐스트 구조물 하면거푸집, 이를 이용한 철근 조립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KR200352403Y1 (ko) 옹벽 모서리 마감용 패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5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