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7837B1 - 철근 배근이 용이한 건설공사용 거푸집 - Google Patents

철근 배근이 용이한 건설공사용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7837B1
KR101247837B1 KR1020120057688A KR20120057688A KR101247837B1 KR 101247837 B1 KR101247837 B1 KR 101247837B1 KR 1020120057688 A KR1020120057688 A KR 1020120057688A KR 20120057688 A KR20120057688 A KR 20120057688A KR 101247837 B1 KR101247837 B1 KR 101247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s
fixing
formwork
panels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스스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스스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스스틸
Priority to KR1020120057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78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공사용 거푸집은 대향 배치되는 제1,2 패널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부재와, 상기 제1,2 패널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2 패널에 조립되는 연결유닛 및 상기 연결유닛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2 패널에 설치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유닛은 X자 형상을 가지도록 결합되고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1,2 웨브와, 상기 제1,2 웨브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2 웨브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2 웨브가 고정되도록 상기 제1,2 웨브가 삽입 배치되는 상기 고정홈이 저면에 형성되는 결합부재 바디와, 상기 결합부재 바디의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나사부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철근 배근이 용이한 건설공사용 거푸집{FORM FOR CONSTRUCTION WORK}
본 발명은 철근 배근이 용이한 건설공사용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철근 세트(鐵筋組)나 철골(鐵骨)을 에워싸 서로 마주하여 설치된 형틀(formwork) 패널 사이에 구성되는 콘크리트 타설(打設) 공간부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철골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는 건설공사용 거푸집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콘크리트 건축물의 형성 공법은, 일반적으로, 철근을 조립하는 배근(配筋) 공정과, 배근을 에워싸 소정 간격을 두고 거푸집판을 대향시켜 설치하는 거푸집 조립 공정과, 거푸집 사이에 구성한 공간부 내에 콘크리트를 충전하는 콘크리트 타설 공정을 행하고, 소정의 양생(養生) 기간을 거친 후에 거푸집판을 해체하는 공정을 거쳐, 기둥, 보, 벽 또는 바닥 등의 각 콘크리트 골조 부위를 형성한다. 종래 공법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각 콘크리트 골조 부위를 형성할 때 조립된 거푸집판을 해체하고, 공사 현장에서 반출(搬出)하는 작업이 행해지므로, 거푸집 해체기간 이 필요하고, 거푸집의 조립 전 또는 거푸집 해체 후에 거푸집이나 부속자재를 일시 보관하는 야적장 등이 필요했다.
또한, 종래의 콘크리트 건축물의 형성 공법에 있어서는, 전술한 콘크리트 골조 부위에 대하여 건물 준공 후 사용자의 쾌적한 사용을 위하여 단열, 방음, 방습 등을 위한 별도의 내장공사를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콘크리트 골조의 표면에 각재나 강재 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별도의 단열,방음,방습재를 부착 또는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 공법에 있어서는, 단열, 방음, 방습 등의 공정이 행해지므로 공사기간이나 공사비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전술한 종래의 콘크리트 건축물의 형성 공법의 문제를 해결하는 공법으로서, 발포 합성 수지제의 거푸집판을 사용하고, 이 거푸집판을 콘크리트 골조 부위의 표면에 남기고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는 공법이 채용되고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이러한 콘크리트 건축물의 형성 공법에 의하면, 거푸집판의 해체 공정이 불필요해지고, 또한 콘크리트 골조 부위의 표면과 일체화된 발포 합성 수지제의 거푸집판이 전술한 단열, 방염, 방습 기능을 얻을 수 있었다.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은, 연결 기구가, 중앙부에서 결합함으로써 X자형으로 조합된 한쌍의 웨브와, 거푸집판의 외측면에 각각 조합되어 각 웨브의 선단부를 연결하는 연결편이 형성된 한쌍의 플레이트에 의해 구성된다.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은, 한쌍의 웨브가 중앙부에 있어서 회동(回動) 가능하게 결합되고, 선단부가 거푸집판이 관통된 플레이트의 장착편과 연결 위치가 조정되어 연결되는 것에 의해 거푸집판의 대향 간격이 적당히 설정되어 거푸집의 조립이 행해진다.
이러한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에 있어서는, 전술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거푸집판 일체형의 콘크리트 골조 부위를 형성하는 동시에, 연결 기구를 통하여 거푸집판의 대향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두께의 사양을 달리하는 콘크리트 골조 부위를 형성할 수 있다.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에 있어서는, 간단한 구조의 연결 기구가 거푸집판을 유지하는 동시에 콘크리트 골조 부위의 내부에 남아 철근과 함께 그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는 보강재로서도 기능한다.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에 있어서는, 공간부 내에 연결 기구를 설치해도 철근의 배근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하고, 콘크리트의 흐름이 확보되는 것에 의해 쟝카(콘크리트 타설시 골재만 모인 결함부분, 즉 자갈등만 많고 모래나 시멘트가 적은 결함부분)의 발생이 없는 고정밀도의 콘크리트 골조 부위를 형성한다.
전술한 각종의 특징을 가지는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이지만, 거푸집판 사이에 구성된 좁은 공간부 내에 있어서 각각에 형성한 장착공을 위치맞춤한 후에 연결핀 등의 연결 부재를 끼워넣어 각 웨브와 플레이트를 결합하므로, 조립 시의 작업성이 약간 악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에 있어서는, 각 웨브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함께 전술한 각 웨브와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많은 연결핀을 사용하므로, 종래 공법과의 비교에서 부품 절약화가 도모되지만 아직 부품수가 많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에 있어서는, 각 웨브에 철근의 조립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정밀도가 높은 배근이 행해지도록 했지만, 그 조립이 오히려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더하여,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을 지지하는 연결구가 거푸집판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연결구가 배치된 영역에서는 돌출부 높이만큼 별도의 마감공사를 추가하던가, 아니면 돌출물을 제거한 후 마감공사를 해야 하므로 작업성 및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즉, 연결구로 인하여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자체를 벽체로 사용하는데 제한이 뒤따르는 문제가 있다.
더하여, 웨브의 조립이 용이하지 않으며, 콘크리트 타설시 웨브가 틀어지거나 변형되어 거푸집판이 손상되거나 거푸집판을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웨브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배근되는 철근과 웨브가 간섭되어 철근의 배근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제1,2 웨브의 조립작업이 용이하며, 보다 견고하게 제1,2 웨브를 결합시킬 수 있는 건설공사용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철근 배근 작업이 용이한 건설공사용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공사용 거푸집은 대향 배치되는 제1,2 패널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부재와, 상기 제1,2 패널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2 패널에 조립되는 연결유닛 및 상기 연결유닛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2 패널에 설치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유닛은 X자 형상을 가지도록 결합되고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1,2 웨브와, 상기 제1,2 웨브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2 웨브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2 웨브가 고정되도록 상기 제1,2 웨브가 삽입 배치되는 상기 고정홈이 저면에 형성되는 결합부재 바디와, 상기 결합부재 바디의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나사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부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후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부재 바디를 향하여 직경이 증가하는 구조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홈은 제1 웨브가 삽입되는 제1 고정홈과, 제2 웨브가 삽입되는 제2 고정홈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2 고정홈은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 고정홈은 상기 제1,2 웨브의 결합시 상기 제1,2 웨브가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2 웨브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 웨브에는 배근되는 철근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철근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철근 고정부는 배근되는 철근이 안착되는 철근 고정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2 패널의 외부면에 상기 고정부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외부면은 상기 제1,2 패널의 외부면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을 규정하는 벽면은 상기 제1,2 웨브가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도록 끝단으로부터 상기 결합부재 바디를 향하여 폭이 감소되는 구조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건설공사용 거푸집.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부재를 통해 제1,2 웨브의 조립작업이 용이하며, 보다 견고하게 제1,2 웨브를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철근 고정부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배근되는 철근의 배근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공사용 거푸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를 나타내는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공사용 거푸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공사용 거푸집에 구비되는 연결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공사용 거푸집에 구비되는 연결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공사용 거푸집에 구비되는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한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공사용 거푸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를 나타내는 확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공사용 거푸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공사용 거푸집에 구비되는 연결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공사용 거푸집에 구비되는 연결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공사용 거푸집에 구비되는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공사용 거푸집(100)은 일예로서, 패널부재(110), 연결유닛(140) 및 고정부재(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패널부재(110)는 대향 배치되는 제1,2 패널(120,130)로 구성되며, 복수개가 조립될 수 있다. 한편, 제1 패널(120)과 제2 패널(130)은 대향하여 설치하도록 사용되는 동일 형상의 패널재이다.
여기서, 건설공사용 거푸집(100)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건설공사용 거푸집(100)은,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철근(10)을 배근간격에 맞춰 설치한 바닥슬래브(B) 위에 제1단 패널부재(110)가 규준목(20)에 의해 위치결정되어 설치되어 콘크리트 벽 등의 콘크리트 골조(50)의 베이스부를 형성하고, 이 제1단 패널부재(110) 상에 제2단 패널부재(110)와 수평철근(20)이 설치되어 콘크리트 골조(50)의 상부를 형성한다.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100)은, 차례로 이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소정 높이의 콘크리트 골조(50)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공사용 거푸집(100)은 패널부재(110)의 해체 공정을 불필요하게 하고, 콘크리트 골조(50)와 일체화한 제1,2 패널(120,130)에 의해 단열성, 차음성, 고기밀성, 내화성, 환기성, 내구성 또는 내진성의 향상을 도모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공사 기간의 대폭 단축화를 도모하여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제1,2 패널(120,130)은 발포 폴리스티렌 수지, 발포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발포 폴리우레탄 수지 등의 발포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국, 제1,2 패널(120,130)이 콘크리트보다는 연질재료인 발포 합성 수지재를 소재로 함으로써 콘크리트가 발포 합성 수지재 내측으로 파고 들어가서 경화되어 콘크리트 골조(50)와 발포 합성 수지재가 견고하게 일체화될 수 있다.
더하여, 제1,2 패널(120,130)은 전술한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간단하고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는 동시에 경량이기 때문에 운반이나 설치 등 취급이 간편하고, 또한 콘크리트 골조(50)의 표면과 일체화됨으로써 전술한 단열성 등의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2 패널(120,130)은 대향하여 설치되고, 제1,2 패널(120,130)이 대향 설치되는 경우 마주보는 내부면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내부공간(102)을 형성하는 동일 형상의 패널재이다.
그리고, 제1,2 패널(120,130)의 외부면에는 고정부재(18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길이방향이라 함은 도 1의 Y 방향을 의미하며, 폭방향이라고 함은 X 방향을 의미하며, 높이방향이라 함은 도 1의 Z 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1,2 패널(120,13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정부재(180)에 각각 연결유닛(140)이 조립되는 것에 의해 유지되어 건설공사용 거푸집(100)을 형성한다.
즉, 제1,2 패널(120,130)에 연결유닛(140)을 결합하여 콘크리트 타설 시에 있어서, 기계적 강도가 유지되는 동시에 형성한 콘크리트 골조(50)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결유닛(140)의 제1,2 웨브(150,160)에 의해 기계적 강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1,2 패널(120,130)에 형성되는 삽입홈(122)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제1 패널(120)에 형성되는 삽입홈(122)과, 제2 패널(130)에 형성되는 삽입홈(132,도 3 참조)은 동일한 구성이므로, 여기서는 제1 패널(120)에 형성되는 삽입홈(122)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제2 패널(130)에 형성되는 삽입홈(132)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삽입홈(122)은 고정부재(180)가 삽입 배치될 수 있는 깊이, 즉 제1 패널(120)의 외부면으로부터 폭방향(즉, 도 1의 X 방향)으로 만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부재(180)가 삽입홈(122)에 설치되는 경우 고정부재(180)는 제1 패널(120)의 외부면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고정부재(180)의 외부면은 제1 패널(120)의 외부면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으로부터 X 방향으로 유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삽입홈(122)은 고정부재(180)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홈(122)에는 만입부(122a)와, 만입부(122a)에 형성되는 제1,2 개구부(122b,122c) 및 만입부(122a)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는 나사머리 고정부(122d)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삽입홈(122)의 가장자리에는 고정부재(180)의 설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122e)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만입부(122a), 제1,2 개구부(122b,122c), 나사머리 고정부(122d) 및 가이드부(122e)에 대해서는 후술할 고정부재(180)의 설명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1,2 패널(120,130)의 상,하면과 두 측면에는 연결되는 다른 제1,2 패널(120,130)의 측면에 맞대어져 상하 좌우에 조합 설치될 수 있도록 조립부(124,134)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도면에는 제1,2 패널(120,130)의 상,하면에만 조립부(124,134)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조립부(124,134)는 상,하면과 두 측면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조립부(124,134)도 동일한 구성이므로, 여기서는 제1 패널(120)에 형성되는 조립부(124)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조립부(124)는 요철 형상을 가지며, 2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1열에 형성된 요철과 2열에 형성된 요철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조립부(124)는 2열로 이루어지며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되는 요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의 누출이 생기게 하는 간극의 발생을 방지하며, 단차가 생기는 일 없이 복수개의 제1 패널(120)이 평탄한 외측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2 패널(120,130)의 상,하면과 두 측면에 조립부(124,134)가 구비되므로, 복수개의 제1,2 패널(120,130)이 연속하여 조립되더라도 제1,2 패널(120,130)이 평탄한 외측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의 누출이 생기게 하는 간극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연결유닛(140)은 제1,2 패널(120,13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102)에 배치되도록 제1,2 패널(120,130)에 조립된다.
한편, 연결유닛(140)은 X자 형상을 가지도록 결합되는 제1,2 웨브(150,160)와, 상기 제1,2 웨브(150,160)가 고정되도록 제1,2 웨브(150,160)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7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2 웨브(150,160)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여기서는 제1 웨브(150)에 대한 설명으로 제2 웨브(160)에 대한 설명을 갈음하기로 한다.
제1 웨브(150)는 기계적 강도가 큰 금속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 웨브(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바(bar) 형상을 가지는 웨브 바디(152)와, 웨브 바디(152)의 양 끝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결합부(154)를 구비할 수 있다.
웨브 바디(152)는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웨브(160)와 교차되어 X 자 형상을 가지도록 조립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관통홀(152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관통홀(152a)에 결합부재(170)가 결합되어 제1,2 웨브(150,160)가 일체로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웨브 바디(152)에는 수평 방향으로 배근되는 철근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철근 고정부(152b)가 형성될 수 있다. 철근 고정부(152b)는 철근이 삽입 배치되는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철근 고정부(152b)에 의해 웨브(150)와 수평 방향으로 배근되는 철근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어 철근의 배근작업이 용이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철근 고정부(152b)가 홈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철근 고정부(152b)는 웨브 바디(152)에 형성되는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수평 방향으로 배근되는 철근은 웨브 바디(152)를 관통한다.
한편, 웨브 바디(152)의 양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결합부(154)는 제1 패널(120)에 조립되는 제1 결합부(154a)와, 제2 패널(130)에 조립되는 제2 결합부(154b)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154)에는 고정부재(180)가 끼워지는 끼움홈(154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2 패널(120,130)에 제1 웨브(150)가 설치되는 경우 끼움홈(154c)은 제1 패널(120)을 관통하여 삽입홈(12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재(180)가 끼움홈(154c)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결합부(154)에는 결합부(154)가 제1 패널(120)의 제2 개구부(122c)를 관통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판(154d)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부(154)가 과도하게 제1 패널(120)의 외부면으로 돌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지지판(154d)은 결합부(154)로부터 절개된 부분이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판(154d)은 보다 넓은 면적이 제1 패널(120)에 접촉될 수 있도록 결합부(154)의 상면으로부터 'ㄴ'자 형상을 가지도록 절개된 상태에서 제1 패널(120) 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하여, 결합부(154)의 끝단부는 고정부재(180)가 보다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부(154)의 끝단 상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고정부재(180)가 라운드지게 형성된 결합부(154)의 끝단 상단부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결합부재(170)는 제1,2 웨브(150,160)가 고정되도록 제1,2 웨브(150,160)가 삽입 배치되는 고정홈(172)이 저면에 형성되는 결합부재 바디(174)와, 결합부재 바디(174)의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나사부(176)로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 바디(174)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저면에 고정홈(172)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172)은 제1 웨브(150)가 삽입되는 제1 고정홈(172a)과, 제2 웨브(160)가 삽입되는 제2 고정홈(17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2 고정홈(172a,172b)은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2 웨브(150,160)는 서로 포개어지도록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제1 웨브(150)가 제1 고정홈(172a)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웨브(160)가 제2 고정홈(172b)에 삽입될 수 있다.
더하여, 제1,2 고정홈(172a,172b)은 제1,2 웨브(150,160)의 결합시 제1,2 웨브(150,160)가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도록 제1,2 웨브(150,16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2 패널(120,130)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2 웨브(150,160)는 결합시 미세하지만 서로 각도를 가지도록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2 고정홈(172a,172b)은 제1,2 웨브(150,160)가 소정 각도 회동될 수 있도록 제1,2 웨브(150,16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다.
나사부(176)는 결합부재 바디(174)의 중앙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나사부(176)가 관통홀(152a,162a)을 관통하도록 결합부재(170)가 제1,2 웨브(150,160)에 설치된다.
이후, 나사부(176)의 톱니형 나사에 제1,2 웨브(150,160)가 고정되어 너트 없이도 제1,2 웨브(150,160)가 결합부재(170)에 고정되도록 조립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부재(170)를 통해 제1,2 웨브(150,160)를 조립함으로써, 제1,2 웨브(150,160)의 조립작업이 용이하며, 더하여 제1,2 웨브(150,160)가 보다 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2 웨브(150,160)가 고정홈(172)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제1,2 웨브(150,160)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연결유닛(140)은 복수개가 제1,2 패널(120,130)에 조립될 수도 있다.
고정부재(180)는 연결유닛(140)에 결합되도록 제1,2 패널(120,130)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180)도 방청성이나 기계적 강도가 큰 스테인레스재 등의 금속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직사각형의 판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재(18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2 패널(120,130)의 외부면에 형성된 삽입홈(122,13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제1,2 패널(120,130)에 설치시 삽입홈(122,132)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재(180)는 제1,2 패널(120,130)의 외부면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180)도 제1,2 패널(120,130)에 설치되도록 한 쌍을 이루며, 연결유닛(140)과 함께 연결구를 구성한다.
한편, 제1,2 패널(120,130)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180)도 동일한 구성이므로, 여기서는 제1 패널(120)에 설치되는 고정부재(18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부재(180)는 플레이트 형상의 바디(182)와, 바디(182)로부터 삽입홈(122) 측으로 만입 형성되는 오목부(184)와, 오목부(184)에 형성되되 수직 방향(즉, 높이방향)을 따라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제1,2 슬릿(186,188) 및 바디(182)의 중앙부에 오목부(184)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나사홀(190)을 구비할 수 있다.
더하여, 고정부재(180)의 양단부에는 삽입홈(122)에 형성되는 가이드부(122e)에 삽입되는 가이드바(19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고정부재(180)의 가이드바(192)가 삽입홈(122)의 가이드부(122e)에 삽입되어 고정부재(180)가 제1 패널(120)의 일정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바디(182)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패널(120)에 설치시 삽입홈(122)의 내부에 배치된다.
한편, 오목부(184)는 바디(182)의 일측으로 치우쳐서 형성되며, 오목부(184)는 제1 웨브(150)의 결합부(154)가 바디(18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는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하여, 오목부(184)의 바닥면에는 제1,2 웨브(150,160)의 결합부(154,164)가 관통될 수 있도록 제1,2 슬릿(186,188)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릿(186)은 상부에 배치되어 제2 웨브(160)의 결합부(164)가 관통되며, 제2 슬릿(188)은 하부에 배치되어 제1 웨브(150)의 결합부(154)가 관통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슬릿(188)은 수직 방향(즉,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슬릿(186)의 연장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나사홀(190)은 바디(182)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오목부(184)로부터 길이방향(즉, 도 1의 Y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오목부(184)가 바디(182)의 일측에 형성되며, 나사홀(190)은 바디(182)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나사홀(190)에는 나사부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104)가 설치될 수 있으며, 나사홀(190)에 대응되도록 삽입홈(122)에는 나사머리 고정부(122d)가 형성될 수 있다.
나사머리 고정부(122d)도 만입부(122a)와 같이 삽입홈(122)의 바닥면으로부터 폭방향으로 만입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나사머리 고정부(122d)에 나사머리가 삽입된 상태에서 나사(104)가 결합되므로, 고정부재(180)가 보다 정확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고정부재(18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나사(104)의 일측에는 복수개의 제1 패널(120)을 일직선으로 정렬하기 위한 고정구(F)가 설치될 수 있으며, 고정구(F)를 통해 보강재를 설치하여 콘크리트의 타설시 제1 패널(12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부재(170)를 통해 제1,2 웨브(150,160)의 조립작업이 용이하며, 보다 견고하게 제1,2 웨브(150,160)를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철근 고정부(152b,162b)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배근되는 철근의 배근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100 : 건설공사용 거푸집
110 : 패널부재
120 : 제1 패널
130 : 제2 패널
140 : 연결유닛
150 : 제1 웨브
160 : 제2 웨브
170 : 결합부재
180 : 고정부재

Claims (8)

  1. 대향 배치되는 제1,2 패널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부재;
    상기 제1,2 패널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2 패널에 조립되는 연결유닛; 및
    상기 연결유닛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2 패널에 설치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유닛은 X자 형상을 가지도록 결합되고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1,2 웨브와, 상기 제1,2 웨브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2 웨브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2 웨브가 고정되도록 상기 제1,2 웨브가 삽입 배치되는 상기 고정홈이 저면에 형성되는 결합부재 바디와, 상기 결합부재 바디의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나사부로 구성되는 건설공사용 거푸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후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부재 바디를 향하여 직경이 증가하는 구조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건설공사용 거푸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제1 웨브가 삽입되는 제1 고정홈과, 제2 웨브가 삽입되는 제2 고정홈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2 고정홈은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건설공사용 거푸집.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고정홈은 상기 제1,2 웨브의 결합시 상기 제1,2 웨브가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2 웨브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건설공사용 거푸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웨브에는 배근되는 철근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철근 고정부가 형성되는 건설공사용 거푸집.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고정부는 배근되는 철근이 안착되는 철근 고정홈으로 구성되는 건설공사용 거푸집.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2 패널의 외부면에 상기 고정부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외부면은 상기 제1,2 패널의 외부면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건설공사용 거푸집.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을 규정하는 벽면은 상기 제1,2 웨브가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도록 끝단으로부터 상기 결합부재 바디를 향하여 폭이 감소되는 구조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건설공사용 거푸집.
KR1020120057688A 2012-05-30 2012-05-30 철근 배근이 용이한 건설공사용 거푸집 KR101247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688A KR101247837B1 (ko) 2012-05-30 2012-05-30 철근 배근이 용이한 건설공사용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688A KR101247837B1 (ko) 2012-05-30 2012-05-30 철근 배근이 용이한 건설공사용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7837B1 true KR101247837B1 (ko) 2013-03-26

Family

ID=48182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688A KR101247837B1 (ko) 2012-05-30 2012-05-30 철근 배근이 용이한 건설공사용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78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860B1 (ko) * 2014-09-05 2015-03-12 최승만 내축압형 브라켓이 구비되는 단열콘크리트 거푸집
KR20200046701A (ko) 2018-10-25 2020-05-07 다하텍(주) 단열재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CN112900843A (zh) * 2021-01-25 2021-06-04 廊坊市勤创建筑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固定架的保温模板的墙体的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2090A (ja) 2004-10-13 2006-04-27 Tadashi Saihara 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
JP2006307604A (ja) 2005-05-02 2006-11-09 Tadashi Saihara 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
JP2011117241A (ja) 2009-12-07 2011-06-16 Tadashi Saihara 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2090A (ja) 2004-10-13 2006-04-27 Tadashi Saihara 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
JP2006307604A (ja) 2005-05-02 2006-11-09 Tadashi Saihara 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
JP2011117241A (ja) 2009-12-07 2011-06-16 Tadashi Saihara 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860B1 (ko) * 2014-09-05 2015-03-12 최승만 내축압형 브라켓이 구비되는 단열콘크리트 거푸집
KR20200046701A (ko) 2018-10-25 2020-05-07 다하텍(주) 단열재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CN112900843A (zh) * 2021-01-25 2021-06-04 廊坊市勤创建筑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固定架的保温模板的墙体的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55320B2 (ja) 支保部材、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およ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建造方法
KR101203298B1 (ko) 건설공사용 거푸집
KR100850862B1 (ko) 건물의 벽체 패널 설치용 프레임 구조체를 사용한 벽체 패널 설치 장치
JP5450016B2 (ja) 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
KR101247837B1 (ko) 철근 배근이 용이한 건설공사용 거푸집
JP4018740B2 (ja) 内外装材下地兼用型枠パネル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型枠工法
KR100682310B1 (ko) 콘크리트 거푸집
KR200405441Y1 (ko) 이동이 가능한 내화벽체 시스템
JP4845226B2 (ja) せき板取付枠及び型枠工法
KR20110040493A (ko) 철근콘크리트 영구 거푸집
JP5901675B2 (ja) 鋼・コンクリート合成床版
JP6655319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建造方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
KR101476665B1 (ko) 단열재와 거푸집이 일체화된 건설공사용 양면단열 거푸집
KR101901240B1 (ko) 건축물용 조립식 거푸집 패널
JP2011089382A (ja) 住宅用基礎パネルユニット、住宅用基礎構造及び住宅用基礎形成方法
JP4703226B2 (ja) 型枠の施工方法
KR20140013485A (ko) 철근 배근이 용이한 건설공사용 거푸집
KR20140013526A (ko) 건설공사용 거푸집
JP6871808B2 (ja) 補強材、補強構造
KR101473099B1 (ko)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KR20150054016A (ko) 단열 성능이 우수한 건설공사용 거푸집
KR20100011504U (ko) 면취부를 갖는 콘크리트기둥형성용 판넬 조립구
JP6789152B2 (ja) 建物ユニ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140674U (ja) タイバー保持具
JP4702717B2 (ja) 間仕切り壁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