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601B1 -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 - Google Patents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38601B1 KR101338601B1 KR1020120092200A KR20120092200A KR101338601B1 KR 101338601 B1 KR101338601 B1 KR 101338601B1 KR 1020120092200 A KR1020120092200 A KR 1020120092200A KR 20120092200 A KR20120092200 A KR 20120092200A KR 101338601 B1 KR101338601 B1 KR 1013386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base panel
- base
- connection
- panel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4—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structures of spherical, spheroid or similar shape, or for cupola structures of circular or polygonal horizontal or vertical section; Inflatable fo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62—Forms for curved walls
- E04G11/065—Forms for curved walls with mechanical means to modify the curva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제1 베이스 패널; 상기 제1 베이스 패널이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베이스 패널; 상기 제1 베이스 패널의 측면 및 상기 제2 베이스 패널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베이스 패널과 상기 제2 베이스 패널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1 베이스 패널과 상기 제2 베이스 패널이 건물의 비정형 면을 형성하도록 하는 제1 연결패널; 및 상기 제1 베이스 패널 또는 상기 제2 베이스 패널과 상기 제1 연결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베이스 패널 또는 상기 제2 베이스 패널과 상기 제1 연결패널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비정형 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비정형의 형태로 조립 제작될 수 있는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건물의 벽체를 시공하는 작업은, 다수개의 유로폼들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하면서 평면의 내벽 거푸집체와 외벽 거푸집체를 각각 형성한다. 그리고 2개의 거푸집체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하는 통상의 방법으로 벽체 구조물을 시공한다.
거푸집체를 이루는 상기 유로폼들은 일반적으로 사각 형태의 판넬과, 이 판넬 둘레를 따라 형성된 금속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넬은 합판이 널리 사용된다.
한편, 과거에는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건물의 벽체를 직선형으로만 만들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판넬과 금속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유로폼으로 거푸집체를 제작하는 것에 무리가 없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건물을 건축할 때에 디자인의 중요성이 높아져 건물의 벽체를 직선형뿐 아니라 곡선형의 벽체와 같이 비정형의 벽체로 시공하는 경우가 늘고 있어 유로폼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하는 것만으로 곡선형이나 비정형의 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체의 제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의 건물의 벽체를 시공하는 추세에 따라 곡선형 또는 비정형 면의 벽체를 시공할 수 있는 거푸집체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직선형의 건물의 벽체 뿐 아니라 곡선형 또는 비정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벽체를 시공할 수 있는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 베이스 패널; 상기 제1 베이스 패널이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베이스 패널; 상기 제1 베이스 패널의 측면 및 상기 제2 베이스 패널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베이스 패널과 상기 제2 베이스 패널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1 베이스 패널과 상기 제2 베이스 패널이 건물의 비정형 면을 형성하도록 하는 제1 연결패널; 및 상기 제1 베이스 패널 또는 상기 제2 베이스 패널과 상기 제1 연결패널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베이스 패널 또는 상기 제2 베이스 패널과 상기 제1 연결패널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직사각형 형태의 정면 플레이트와 상기 정면 플레이트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정면 플레이트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측면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복수 개가 직사각형 매트릭스 배열로 서로 측면으로 이격되어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베이스 패널들;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베이스 패널을 사이에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 배치되되, 상기 인접하는 한 쌍의 베이스 패널들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베이스 패널들이 건물의 비정형 면을 형성하게 하는 복수 개의 제1 연결패널들; 및 상기 각 제1 연결패널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한 쌍의 베이스 패널을 상기 각 제1 연결패널에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들을 포함하는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복수 개의 베이스 패널들을 매트릭스 배열로 배치시키고 베이스 패널들 사이에 연결패널들을 배치시켜 밀착시킨 후 고정부재로 고정시킴으로써 비정형 면을 시공할 수 있는 거푸집을 제작할 수 있다.
특히 베이스 패널들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패널들의 개수를 조절하기만 함으로써 베이스 패널들 간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면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패널들은 매트릭스 배열로 배치하고 베이스 패널들 사이에 연결패널들을 배치시킨 후 고정부재로 결합시키기만 함으로써 거푸집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방법이 단순하고 거푸집의 제작 중 수정이 필요하면 고정부재만 탈거하여 재배치 후 고정시키면 되므로 거푸집의 수정 제작으로 인한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의 베이스 패널이 도시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의 베이스 패널이 도시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의 연결패널이 도시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의 고정부재가 도시된 것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의 다양한 실시예가 도시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의 베이스 패널이 도시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의 연결패널이 도시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의 고정부재가 도시된 것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의 다양한 실시예가 도시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반드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할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에서 기재하는 바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하여야 한다는 것을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의 베이스 패널이 도시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의 베이스 패널이 도시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의 연결패널이 도시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의 고정부재가 도시된 것이며,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의 다양한 실시예가 도시된 것이다.
먼저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된 베이스 패널로 이루어지는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은, 제1 베이스 패널. 제2 베이스 패널, 제1 연결패널(200), 제2 연결패널(200′) 및 고정부재(3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베이스 패널과 상기 제2 베이스 패널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이하에서는 "베이스 패널(100)"로 기재하기로 한다.
상기 베이스 패널(100)은 직사각형 형태의 정면 플레이트(110)와, 상기 정면 플레이트(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정면 플레이트(110)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면 플레이트(1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측면 플레이트(130)는 상기 정면 플레이트(110)로부터 연장이 시작되어 연장이 끝나는 지점까지 상기 정면 플레이트(110)의 중심을 향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측면 플레이트(130)에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는 관통홀(13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31)은 후술될 상기 제1 연결패널(200) 또는 상기 제2 연결패널(200′)과 상기 베이스 패널(10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00)가 관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정면 플레이트(110)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정면 플레이트(110)가 정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베이스 패널(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플레이트(110′)가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전면 플레이트(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측면 플레이트(13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된 상기 베이스 패널(100)이 매트릭스 배열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크기의 베이스 패널(100)이 매트릭스 배열로 배치되어 조립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형태의 베이스 패널이되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베이스 패널들이 매트릭스 배열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연결패널(200)은 상기 베이스 패널(100) 복수 개가 매트릭스 배열로 배치될 때, 상기 베이스 패널(100)과 상기 베이스 패널(10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연결패널(200)은 상기 베이스 패널(100)과 상기 베이스 패널(100) 사이에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연결패널(200)이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측면 플레이트(130)와 밀착된다.
이렇게 상기 제1 연결패널(200)이 상기 베이스 패널(100)과 상기 베이스 패널(10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건물의 비정형 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 패널(100)과 상기 베이스 패널(100)을 연결시킨다.
상기 제2 연결패널(200′)은 상기 베이스 패널(100) 복수 개가 매트릭스 배열로 배치될 때, 상기 베이스 패널(100)과 상기 베이스 패널(100) 사이에 상기 제2 연결패널(200′)만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제1 연결패널(200)과 함께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연결패널(200′)도 상기 제1 연결패널(200)과 마찬가지로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측면 플레이트(130) 또는 상기 제1 연결패널(200)과 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연결패널(200)과 상기 제2 연결패널(200′)은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상기 측면 플레이트(130)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나, 상기 측면 플레이트(13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1 연결패널(200)과 상기 제2 연결패널(200′)은 길이 방향에 대한 횡단면이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연결패널(200)과 상기 제2 연결패널(200′)의 횡단면은 정삼각형 또는 이등변 삼각형과 같이 다양한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연결패널(200)과 상기 제2 연결패널(200′)의 횡단면이 이등변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연결패널(200)과 상기 제2 연결패널(200′)의 횡단면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다만, 상기 제1 연결패널(200)과 상기 제2 연결패널(200′)의 이등변의 크기는 같되, 바닥변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제1 연결패널(200)과 상기 제2 연결패널(200′)에는 적어도 두 면(230, 230′)을 관통하는 결합홀(231, 23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홀(231, 231′)은 전술한 상기 관통홀(131)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홀(231, 231′)은 상기 제1 연결패널(200)과 상기 제2 연결패널(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된다.
상기 결합홀(231, 231′)은 전술한 상기 관통홀(131)과 마찬가지로 후술될 고정부재(300)가 관통한다. 상기 제1 연결패널(200) 또는 상기 제2 연결패널(200′)이 상기 베이스 패널(100)과 상기 베이스 패널(100) 사이에 배치되면 상기 제1 연결패널(200) 또는 상기 제2 연결패널(200′)과 상기 베이스 패널(10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00)가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상기 측면 플레이트(130)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131)과 상기 결합홀(231, 231′)을 관통한다.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기 베이스 패널(100)과 상기 베이스 패널(100) 사이에 상기 제1 연결패널(200) 또는 상기 제2 연결패널(200′)을 배치하여 밀착시킨 후, 상기 베이스 패널(100)들과 상기 제1 연결패널(200), 상기 제2 연결패널(20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부재(300)는 케이블(cable)의 형태로 형성되어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고, 양 측이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재(300)는 케이블 형태의 몸체(310)와, 상기 몸체(310)의 양 측에 제1 착탈부(320)와 제2 착탈부(33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착탈부(320)에는 상기 제1 착탈부(320)의 길이 방향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홈(321)이 형성되어 내부에 스프링(325)이 삽입되고, 일부가 상기 제1 착탈부(32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홈(321)에 삽입된 돌기(323)가 상기 스프링(325)과 연결된다. 상기 돌기(323)는 상기 스프링(325)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스프링(325)을 압축시키면서 상기 홈(321)으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스프링(325)의 인장력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 제2 착탈부(330)는 상기 제2 착탈부(330)의 내부로 상기 제2 착탈부(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홈(3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착탈부(330)의 둘레면에 관통홀(3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착탈부(320)는 상기 돌기(323)를 상기 홈(321)의 내부로 삽입한 후, 상기 제2 착탈부(330)의 내부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331)에 삽입하고, 상기 돌기(323)가 상기 제2 착탈부(330)의 둘레면에 형성된 관통홀(333)과 정렬되면 상기 스프링(325)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 돌기(323)가 다시 돌출되면서 상기 관통홀(333)에 끼워져 상기 제1 착탈부(320)와 상기 제2 착탈부(330)가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부재(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상기 측면 플레이트(130)에 형성된 관통홀(131)과 상기 제1 연결패널(200)과 상기 제2 연결패널(200′)에 형성된 결합홀(231, 231′)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착탈부(320)와 상기 제2 착탈부(33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패널(100)들과 상기 제1 연결패널(200) 또는 상기 제2 연결패널(200′)을 연결시킨다.
건물의 비정형 면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베이스 패널(100)과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각도는 상기 베이스 패널(100)과 상기 베이스 패널(100)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연결패널(200) 또는 상기 제2 연결패널(200′)에 의해 조절된다. 즉, 상기 베이스 패널(100)과 상기 베이스 패널(100) 사이에 상기 제1 연결패널(200) 또는 상기 제2 연결패널(200′)이 배치되는 개수를 조절하여 상기 베이스 패널(1100)과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하나의 상기 베이스 패널(100)과 다른 하나의 상기 베이스 패널(100) 사이에 제1 연결패널(200)을 하나만 배치하여 상기 베이스 패널(100)들과 상기 제1 연결패널(200)을 밀착시킨 후 상기 고정부재(300)로 고정시킨 것이다. 이때 하나의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정면 플레이트(110)와 다른 하나의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정면 플레이트(110)가 이루는 각도는 180° 가 된다.
도 6은 하나의 상기 베이스 패널(100)과 다른 하나의 상기 베이스 패널(100) 사이에 제2 연결패널(200′)을 3개 배치하여 상기 베이스 패널(100)들과 상기 제2 연결패널(200′)들을 밀착시킨 후 상기 고정부재(300)로 고정시킨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연결패널(200′)들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엇갈리게 배치하여 밀착시킨다. 이와 같이 조립되면 하나의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정면 플레이트(110)와 다른 하나의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정면 플레이트(110)가 이루는 각도는 180° 이상이 된다.
도 7은 하나의 상기 베이스 패널(100)과 다른 하나의 상기 베이스 패널(100) 사이에 상기 제1 연결패널(200)과 상기 제2 연결패널(200′)을 각각 2개씩 배치하여 상기 베이스 패널(100)들과 상기 제1 연결패널(200)들과 상기 제2 연결패널(200′)들을 밀착시킨 후 상기 고정부재(300)로 고정시킨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상기 베이스 패널(100)과 다른 하나의 상기 베이스 패널(100) 사이에 상기 제2 연결패널(200′)들을 먼저 배치하여 각각 상기 베이스 패널(100)들과 밀착시킨 후, 상기 제2 연결패널(200′) 사이에 상기 제1 연결패널(200)을 배치하여 상기 제2 연결패널(200′)들과 상기 제1 연결패널(200)들을 밀착시킨다. 이와 같이 조립되면 하나의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정면 플레이트(110)와 다른 하나의 상기 베이스 패널(100)의 정면 플레이트(110)가 이루는 각도는 180° 이하가 된다.
도 8은 전술한 도 5 내지 도 7과 같은 방법으로 건물의 비정형 면을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 일부를 조립한 상태가 도시된 것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복수 개의 상기 베이스 패널(100)들을 매트릭스 배열로 배치한 후, 하나의 베이스 패널(100)과 다른 하나의 상기 베이스 패널(100) 사이에 하나의 제1 연결패널(200)과 두 개의 제2 연결패널(200′)을 배치시켜 밀착시킨 후 상기 고정부재(300)로 고정시키거나, 하나의 베이스 패널(100)과 다른 하나의 베이스 패널(100) 사이에 두 개의 제1 연결패널(200)과 두 개의 제2 연결패널(200′)을 배치시켜 밀착시킨 후 상기 고정부재(300)로 고정시킨 것이다.
이렇게 조립함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베이스 패널(100)과 다른 하나의 베이스 패널(100)의 각도가 서로 다르게 이루어진 비정형 면을 시공할 수 있는 거푸집의 일부가 제작되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는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베이스 패널을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패널(100)과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패널(100′)을 혼재하여 조립함으로써 비정형 면을 시공할 수 있는 거푸집을 제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을 적용하면, 복수 개의 베이스 패널들을 매트릭스 배열로 배치시키고 베이스 패널들 사이에 연결패널들을 배치시켜 밀착시킨 후 고정부재로 고정시킴으로써 비정형 면을 시공할 수 있는 거푸집을 제작할 수 있다.
특히 베이스 패널들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패널들의 개수를 조절하기만 함으로써 베이스 패널들 간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면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패널들은 매트릭스 배열로 배치하고 베이스 패널들 사이에 연결패널들을 배치시킨 후 고정부재로 결합시키기만 함으로써 거푸집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방법이 단순하고 거푸집의 제작 중 수정이 필요하면 고정부재만 탈거하여 재배치 후 고정시키면 되므로 거푸집 수정 제작으로 인한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100′: 베이스 패널 110, 110′: 정면 플레이트
130, 130′: 측면 플레이트 131, 131′: 관통홀
200: 제1 연결패널 200′: 제2 연결패널
231, 231′: 결합홀 300 : 고정부재
130, 130′: 측면 플레이트 131, 131′: 관통홀
200: 제1 연결패널 200′: 제2 연결패널
231, 231′: 결합홀 300 : 고정부재
Claims (10)
-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관통홀이 복수 개 형성된 제1 베이스 패널;
상기 제1 베이스 패널의 상기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관통홀이 복수 개 형성된 제2 베이스 패널;
상기 제1 베이스 패널과 상기 제2 베이스 패널의 각도가 설정 각도가 되어 상기 제1 베이스 패널과 상기 제2 베이스 패널이 건물의 비정형 면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베이스 패널의 측면 및 상기 제2 베이스 패널의 측면 사이에 밀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가 서로 적층되면서 배치되되, 동일하거나 상이한 삼각형의 횡단면을 가지며 적어도 두 면을 관통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 개의 결합홀이 형성된 제1 연결패널; 및
상기 제1 베이스 패널 및 상기 제2 베이스 패널의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 중 선택된 상기 관통홀과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상기 복수 개의 결합홀 중 선택된 상기 결합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되어, 상기 제1 베이스 패널, 상기 제2 베이스 패널 및 상기 제1 연결패널을 동시에 고정시키도록 케이블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 패널의 측면과 상기 제1 연결패널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연결패널과 함께 상기 제1 베이스 패널과 상기 제2 베이스 패널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2 연결패널을 더 포함하는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패널은,
제1 정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정면 플레이트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정면 플레이트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 정면 플레이트의 중심을 향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베이스 패널은,
제2 정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정면 플레이트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정면 플레이트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2 정면 플레이트의 중심을 향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정면 플레이트는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측면 플레이트 각각에는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측면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패널은 적어도 두 면을 관통하고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관통홀 및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비정형 건물용 조립식 거푸집.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양 측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 - 직사각형 형태의 정면 플레이트와 상기 정면 플레이트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정면 플레이트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관통홀이 복수 개 형성된 측면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복수 개가 직사각형의 매트릭스 배열로 서로 측면으로 이격되어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베이스 패널들;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베이스 패널들의 각도가 설정 각도가 되어 상기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베이스 패널들이 건물의 비정형 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베이스 패널의 측면 사이에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 서로 적층되면서 밀착되어 배치되고, 동일하거나 상이한 삼각형의 횡단면을 가지며, 적어도 두 면을 관통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 개의 결합홀이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연결패널들; 및
상기 베이스 패널들의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 중 선택된 상기 관통홀과 상기 제1 연결패널들의 상기 복수 개의 결합홀 중 선택된 상기 결합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되어,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베이스 패널과, 상기 베이스 패널들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1 연결패널들을 동시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들을 포함하는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2200A KR101338601B1 (ko) | 2012-08-23 | 2012-08-23 |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2200A KR101338601B1 (ko) | 2012-08-23 | 2012-08-23 |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38601B1 true KR101338601B1 (ko) | 2013-12-06 |
Family
ID=49987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2200A KR101338601B1 (ko) | 2012-08-23 | 2012-08-23 |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38601B1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88049A (ko) | 2014-01-23 | 2015-07-31 | 김용상 | 비정형 콘크리트구조물 성형용 스틸폼 구조체 |
KR101546212B1 (ko) * | 2015-03-06 | 2015-08-25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정형 및 비정형 구조물용 거푸집 모듈 및 거푸집 어셈블리 |
KR101678949B1 (ko) * | 2016-05-09 | 2016-11-23 | 우경기술주식회사 | 곡선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곡선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방법 |
KR101850948B1 (ko) * | 2016-01-05 | 2018-04-23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친환경 거푸집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건축물의 시공 방법 |
KR20200053740A (ko) * | 2018-11-08 | 2020-05-19 | 주식회사 블루폼 | 곡면형 벽체 형성용 거푸집 체결장치 |
KR102214700B1 (ko) * | 2020-06-22 | 2021-02-10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가변형 측면 거푸집 |
KR102239807B1 (ko) * | 2020-08-19 | 2021-04-13 | 주식회사 대영엔지니어링 | 소파형 일반 콘크리트 현장 타설식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 |
KR20230126867A (ko) | 2022-02-24 | 2023-08-31 | 권형규 | 콘크리트구조물용 가변형거푸집 및 그 시공방법 |
CN118564050A (zh) * | 2024-08-02 | 2024-08-30 | 江苏东和循环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多边形混凝土支柱的模板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8876A (ja) * | 1993-06-30 | 1995-01-20 | Daiwa Giken:Kk | 建築作業用帆布の張り方法及び器具 |
JPH1025890A (ja) * | 1996-07-10 | 1998-01-27 | Kuchiku Kogyo Kk | 軽量型枠 |
KR100718801B1 (ko) | 2006-11-29 | 2007-05-16 |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 각도조절이 용이한 인코너 폼 |
-
2012
- 2012-08-23 KR KR1020120092200A patent/KR10133860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8876A (ja) * | 1993-06-30 | 1995-01-20 | Daiwa Giken:Kk | 建築作業用帆布の張り方法及び器具 |
JPH1025890A (ja) * | 1996-07-10 | 1998-01-27 | Kuchiku Kogyo Kk | 軽量型枠 |
KR100718801B1 (ko) | 2006-11-29 | 2007-05-16 |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 각도조절이 용이한 인코너 폼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88049A (ko) | 2014-01-23 | 2015-07-31 | 김용상 | 비정형 콘크리트구조물 성형용 스틸폼 구조체 |
KR101546212B1 (ko) * | 2015-03-06 | 2015-08-25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정형 및 비정형 구조물용 거푸집 모듈 및 거푸집 어셈블리 |
KR101850948B1 (ko) * | 2016-01-05 | 2018-04-23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친환경 거푸집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건축물의 시공 방법 |
KR101678949B1 (ko) * | 2016-05-09 | 2016-11-23 | 우경기술주식회사 | 곡선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곡선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방법 |
KR20200053740A (ko) * | 2018-11-08 | 2020-05-19 | 주식회사 블루폼 | 곡면형 벽체 형성용 거푸집 체결장치 |
KR102181071B1 (ko) | 2018-11-08 | 2020-11-20 | (주)블루폼 | 곡면형 벽체 형성용 거푸집 체결장치 |
KR102214700B1 (ko) * | 2020-06-22 | 2021-02-10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가변형 측면 거푸집 |
KR102239807B1 (ko) * | 2020-08-19 | 2021-04-13 | 주식회사 대영엔지니어링 | 소파형 일반 콘크리트 현장 타설식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 |
KR20230126867A (ko) | 2022-02-24 | 2023-08-31 | 권형규 | 콘크리트구조물용 가변형거푸집 및 그 시공방법 |
CN118564050A (zh) * | 2024-08-02 | 2024-08-30 | 江苏东和循环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多边形混凝土支柱的模板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38601B1 (ko) |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 | |
JP2020501051A5 (ko) | ||
CN203947586U (zh) | 预制夹心外墙板的连接节点 | |
JP2015086594A (ja) | プレキャスト床版の接合構造およびプレキャスト床版の接合方法 | |
KR101427240B1 (ko) | 이중 마루 내진 보강장치 | |
KR101269281B1 (ko) | 거푸집용 판넬의 고정구조 | |
JP6989301B2 (ja) | パネル積載ユニット | |
KR20180072267A (ko) | 건축물용 조립식 거푸집 패널 | |
KR101431749B1 (ko) |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 | |
KR20190000957A (ko) | 거푸집 연결구 및 간격유지구를 이용한 거푸집패널 연결방법 | |
JP4767703B2 (ja) | 耐震壁およびその構築方法 | |
JP2017128952A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の接合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の接合方法 | |
JP2011214278A (ja) | 建物 | |
KR101135970B1 (ko) | 매립형 단자함체의 확장틀 구조 | |
JP5832053B1 (ja) | 耐震壁構築用型枠構造 | |
JP6499526B2 (ja) | 組積ユニット及び組積方法 | |
KR20180044741A (ko) | 조립식 칸막이 | |
JP3206684U (ja) | プレハブ式の壁組立セット | |
KR101212907B1 (ko) | 높이조절이 가능한 딥데크용 전기 배선 박스 | |
JP2008223242A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パネルの製作方法 | |
CN215630623U (zh) | 一种预制梁柱连接结构 | |
KR20130000100A (ko) | 조립식 블럭 | |
JP6128628B2 (ja) | 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接続構造 | |
JP2023183760A (ja) | 支柱装置 | |
KR101348856B1 (ko) | 조립식 칸막이용 칸막이 부재 연결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