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807B1 - 소파형 일반 콘크리트 현장 타설식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소파형 일반 콘크리트 현장 타설식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807B1
KR102239807B1 KR1020200104123A KR20200104123A KR102239807B1 KR 102239807 B1 KR102239807 B1 KR 102239807B1 KR 1020200104123 A KR1020200104123 A KR 1020200104123A KR 20200104123 A KR20200104123 A KR 20200104123A KR 102239807 B1 KR102239807 B1 KR 102239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sofa
concrete
seawater
constru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화
박원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영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영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영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104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8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5/00Handling building or like materials for hydraulic engineering or foundations
    • E02D15/02Handling of bulk concrete specially for foundation or hydraulic engineering purposes
    • E02D15/06Placing concrete under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5/00Handling building or like materials for hydraulic engineering or foundations
    • E02D15/10Placing gravel or light material under water inasmuch a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파형 일반 콘크리트 현장 타설식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타설방식과 수중 콘크리트보다 가격이 저렴한 일반 콘크리트의 사용을 통해 구조물(물양장 등)을 시공하고 또한 소파의 부가를 통해 항내정온 향상과 저면반력균등저감 효과를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소파형 일반 콘크리트 현장 타설식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은, 해저면을 굴착하고 기초를 시공하는 제1단계와; 기초 위에 해상 구조물의 형태에 맞춰 거푸집을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거푸집 안에 상기 기초와 합성되도록 수중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이후 상기 수중 콘크리트 위에 일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조물을 시공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를 통해 시공된 구조물의 배면을 시공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계는 일정 높이로 1단 이상이면서 차수판에 의해 개폐되는 해수 유입홀을 갖는 거푸집을 설치하며, 상기 제4단계는 해수의 수위 변화에 따라 해수가 상기 해수 유입홀 이상으로 차오르는 경우 상기 차수판을 통해 상기 해수 유입홀을 개방하여 해수가 상기 거푸집 안에 유입되도록 하는 제4-1단계, 상기 제4-1단계에서 해수의 유입이 종료되면 상기 차수판을 통해 상기 해수 유입홀을 폐쇄하고 상기 거푸집 안의 해수를 외부로 양수하는 제4-2단계, 상기 제4-2단계 후 상기 거푸집 안에 일반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4-3단계를 1회 이상 반복하여 구조물을 시공하고, 상기 구조물은 해상을 향하는 전면에 철부의 헤드부와 요부의 소파부가 폭방향을 따라 교대로 반복하는 소파형 피복부를 포함하여 파랑을 감쇄한다.

Description

소파형 일반 콘크리트 현장 타설식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A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Wave dissipating Offshore Structures Using Cast in place General Concrete}
본 발명은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블록 조적식 대신 콘크리트 타설방식과 일반 콘크리트의 사용을 통해 구조물(물양장 등)을 시공하고 또한 소파의 부가를 통해 항만 내의 안정과 구조물의 안정성을 향상하는 소파형 일반 콘크리트 현장 타설식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은 본 출원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선행기술이 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해상 구조물 중 일 예인 물양장은 소형 선박이 접안하기 위한 부두를 지칭하는 것으로, 어선, 관광 유람선, 소형 화물선 등이 접안하여 사람의 승,하선 및 화물의 선적, 하역 등을 수행하게 되는 데, 이때 물양장에 접안하는 모든 선박은 물양장의 길이 방향으로 선반의 측면을 접안하는 횡접안을 원칙으로 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 적용되는 부두축조 기술은 대부분 기초굴착 후 사석마운드를 설치하고 마운드 위에 외부 제작장에서 제작한 대형콘크리트 블록을 운반/거치한 후 사석 전면에 보호피복석을 거치한다. 블록 상단에 상부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 블록 배면에 토압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배면사석으로 뒷채움을 한다. 배면 매립토사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필터석과 필터매트를 설치한 후 토사로 매립하고 표면을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로 포장하는 방법을 일반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공종이 복잡하여 시공이 어렵고 공기가 많이 소요되며 공사비가 고가인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2097580호는 해저면을 굴착하고 기초를 시공하는 제1단계와; 기초 위에 해상 구조물의 형태에 맞춰 거푸집을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거푸집 안에 상기 기초와 합성되도록 수중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이후 상기 수중 콘크리트 위에 일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조물을 시공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를 통해 시공된 구조물의 배면을 시공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계는 일정 높이로 1단 이상이면서 차수판에 의해 개폐되는 해수 유입홀을 갖는 거푸집을 설치하며, 상기 제4단계는 해수의 수위 변화에 따라 해수가 상기 해수 유입홀 이상으로 차오르는 경우 상기 차수판을 통해 상기 해수 유입홀을 개방하여 해수가 상기 거푸집 안에 유입되도록 하는 제4-1단계, 상기 제4-1단계에서 해수의 유입이 종료되면 상기 차수판을 통해 상기 해수 유입홀을 폐쇄하고 상기 거푸집 안의 해수를 외부로 양수하는 제4-2단계, 상기 제4-2단계 후 상기 거푸집 안에 일반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4-3단계를 1회 이상 반복하여 부두 본체를 시공하는 일반 콘크리트를 이용한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으로 종래 블록식에 비해 시공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으나 소파 효과가 약하여 항만 내 해수면의 불안정이 있고 저면반력의 저감 효과가 약하여 구조물이 불안정하다.
등록특허 제10-209758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 타설방식과 수중 콘크리트보다 가격이 저렴한 일반 콘크리트의 사용을 통해 구조물(물양장 등)을 시공하고 또한 소파의 부가를 통해 항내정온 향상과 저면반력균등저감 효과를 향상하는 소파형 일반 콘크리트 현장 타설식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소파형 일반 콘크리트 현장 타설식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은, 해저면 위에 해상 구조물의 형태에 맞춰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거푸집 안에 일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조물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거푸집에 일정 높이로 1단 이상이면서 차수판에 의해 개폐되는 해수 유입홀을 형성하며, 상기 구조물을 시공하는 단계는 해수의 수위 변화에 따라 해수가 상기 해수 유입홀 이상으로 차오르는 경우 상기 차수판을 통해 상기 해수 유입홀을 개방하여 해수가 상기 거푸집 안에 유입되도록 하는 단계, 해수의 유입이 종료되면 상기 차수판을 통해 상기 해수 유입홀을 폐쇄하고 상기 거푸집 안의 해수를 외부로 양수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 안에 일반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1회 이상 반복하여 구조물을 시공하며, 상기 구조물은 해상을 향하는 전면에 철부의 헤드부와 요부의 소파부가 폭방향을 따라 교대로 반복하는 소파형 피복부를 포함하여 파랑을 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소파형 일반 콘크리트 현장 타설식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에 의하면, 종래 블록 조적식의 시공 방법에 비해 시공 공정이 단순하여 공기를 단축하는 효과가 있고, 블록 제작 및 운반 거치를 위하여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제작장과 적출장이 필요없으며 운반 거치를 위한 대형장비인 크레인과 트레일러 및 해상 바지선이 필요없어짐으로 공정이 단순하고 비용도 절감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전면의 소파형 피복부를 통해 항내정온 향상으로 항만의 해수면을 안정화함으로써 해상 구조물의 신뢰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고 아울러 저면반력균등저감으로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소파형 일반 콘크리트 현장 타설식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에 의해 시공된 구조물의 시공 상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소파형 일반 콘크리트 현장 타설식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에 의한 구조물에 적용된 소파형 피복부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소파형 일반 콘크리트 현장 타설식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에 의한 소파형 피복부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의 예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소파형 일반 콘크리트 현장 타설식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에 의한 소파형 피복부의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의 다른 예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소파형 일반 콘크리트 현장 타설식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에 따른 거푸집의 설치 상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소파형 일반 콘크리트 현장 타설식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에 따른 거푸집의 설치 상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소파형 일반 콘크리트 현장 타설식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에 따른 거푸집에 적용된 해수유입홀과 차수판의 동작을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소파형 일반 콘크리트 현장 타설식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에 따라 피복부를 먼저 시공하고 구조물 본체를 후시공하는 예를 보인 도면.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소파형 일반 콘크리트 현장 타설식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은, 기초 시공 - 거푸집 설치 - 수중 콘크리트 타설 - 일반 콘크리트 타설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방법에 의해 시공된 해상 구조물은 구조물 본체(10)와 소파형 피복부(20) 및 배면부(30)로 이루어지고, 구조물 본체(10)와 소파형 피복부(20)는 콘크리트 구조물이며 배면부(30)는 사석 등의 매립에 의한 매립층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인 구조물 본체(10)와 소파형 피복부(20)는 수중 콘크리트 타설과 일반 콘크리트 타설의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구조물 본체(10)와 소파형 피복부(20)는 단일 시공, 분리 시공 모두 가능하고, 분리 시공의 경우 도 8과 같이, 소파형 피복부(20)를 먼저 시공한 후 그 뒤쪽에 구조물 본체(10)를 후시공하는 것 및 반대로 구조물 본체(10)를 먼저 시공한 후 그 앞쪽에 소파형 피복부(20)를 후시공하는 것 모두가 가능하다. 분리 시공의 경우 소파형 피복부(20)와 구조물 본체(10)를 합성 철근 등을 매개로 하여 일체로 합성한다.
또한, 분리 시공에서 소파형 피복부(20)를 선시공한 후 구조물 본체(10)를 후시공하는 경우 소파형 피복부(20) 위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11)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조물 본체(10)를 시공할 수 있다.
도 8에서 보이는 것처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11)은 소파형 피복부(20)의 공간에 설치되는 거푸집의 기능을 하며, 구조물 본체(10)와 일체로 합성되도록 스터드(12)(철근형이나 볼트형 등 다양한 형태 가능)를 포함한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11)은 평평한 판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가장자리에 상부를 향해 돌출되는 벽을 갖는 형태도 가능하다.
소파형 피복부(20)는 철부의 헤드부(21)와 요부의 소파부(22)가 구조물 본체(10)의 폭방향을 따라 교대로 반복되는 형태이다.
헤드부(21)는 구조물 본체(10)의 앞쪽으로 돌출되는 형태이며 평면에서 볼 때 전면이 평평한 대략 6각형이면서 연결부(23)를 통해 구조물 본체(10)와 연결된다. 연결부(23)는 헤드부(21)의 후방에 헤드부(21)보다 작은 단면적을 유지하면서 동일한 단면으로 연장되다가 단면적이 넓어지면서 구조물 본체(10)와 연결되는 형태이다.
소파부(22)는 헤드부(21)들의 사이에 형성되고, 헤드부(21)의 형태에 맞춰 입구가 좁고 안쪽이 넓은 공간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의 헤드부(21)와 소파부(22)를 형성하기 위한 피복부측 거푸집은 다음과 같다.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피복부측 거푸집(40)은 바람직하게 좌우 대칭인 좌측 거푸집(40-1)과 우측 거푸집(40-2)으로 이루어지며, 좌측 거푸집(40-1)과 우측 거푸집(40-2)이 폭방향을 따라 교대로 반복하여 배치되면 이웃하는 좌측 거푸집(40-1)와 우측 거푸집(40-2)에 의해 헤드부(21)의 타설 공간이 형성되고, 자연스럽게 소파부(22)가 만들어진다.
좌측 거푸집(40-1)과 우측 거푸집(40-2)은 헤드부(21)와 연결부(23)의 형상에 맞는 구조이며 이웃하는 것들의 상호 결합을 위하여 가장자리에 플랜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에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구(41)가 체결된다.
좌측 거푸집(40-1)과 우측 거푸집(40-2)은 체결구(41)에 의해 결합되는 것과 별도로 간격유지대(40-4)를 통해 상호 간의 간격이 유지될 수도 있다.
간격유지대(40-4)는 예를 들어 이웃하는 좌측 거푸집(40-1)과 우측 거푸집(40-2)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양단이 좌측 거푸집(40-1)과 우측 거푸집(40-2)에 각각 연결되는 형태이고 바람직하게 턴버클의 형태이다.
좌측 거푸집(40-1)과 우측 거푸집(40-2)은 동일한 물건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사용되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또한, 도 4처럼, 중간에 다양한 크기의 필러 거푸집(40-3)을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헤드부를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좌측 거푸집(40-1)과 우측 거푸집(40-2)은 각각 헤드부(21)의 절반에 해당하는 크기로 제작되지만, 헤드부(21)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다수의 판재가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관절식도 가능하고, 관절식의 경우 피복부(20)의 곡선형 시공이 매우 용이하다.
좌측 거푸집(40-1)과 우측 거푸집(40-2)은 해수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 강재 등을 재질로 하며, 차수를 위한 처리나 차수부재들이 적용된다.
피복부측 거푸집(40)의 반대쪽은 일반적인 평판의 거푸집이나 다른 거푸집의 사용이 가능하고 즉, 피복부측 거푸집(40)과 동일한 형태가 아닌 거푸집이 사용되는 것이다.
이하 구체적인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기초 시공(도 1 참고).
기초 시공 공정은 해저면 이하로 지반을 굴착하여 해저면에 굴착부(1)만을 시공하거나, 또는 지반을 굴착하고 굴착부(1)에 사석을 포설한 사석마운드형의 기초부(2)를 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의 차이는 지반 상태를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 전자는 연질토 지반이며 후자는 암반 또는 경질토 지반이다.
이 때, 기초부(2)는 상부에 시공될 구조물(예를 들어 부두 본체)와 대향되는 면을 배면을 향해 하형 경사지는 역경사형 또는 전면 상향 계단형이 가능하다.
사석 마운드형의 기초부(2)가 시공되는 경우 기초부(2)의 전면쪽에 보호피복석을 포설할 수 있다.
한편, 구조물의 소요수심 가까운 심도의 기초 지반이 암반 또는 경질 지반으로 구성되어 있어 구조물 하부의 연직과 수평합성력이 작용할 때 지반의 지지력이 충분하고 침하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별도의 사석치환형식의 지내력보강 마운드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사석 마운드형의 기초부(2)를 생략하고 굴착부(1)만을 시공한다.
굴착부(1)만 시공하는 경우 굴착부(1)의 바닥면도 역경사형 또는 전면상향계단형으로 시공된다.
굴착부(1)는 내해와 외해를 향하는 부분이 상향 경사지는 홈의 형태이다.
2. 거푸집 설치(도 5, 도 6).
도 5와 도 6은 피복부(20)를 시공하는 예라 할 수 있다.
피복부측 거푸집(40)과 배면의 일반 거푸집(50)을 설치한다.
피복부측 거푸집(40)과 배면의 일반 거푸집(50)은 4면을 형성하도록 설치되고, 간격유지대(51)(도 5에서는 간격유지대 생략)가 조립된다.
상기 거푸집(40,50)은 수중 콘크리트와 일반 콘크리트의 구분없이 단일형이거나, 수중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과 일반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으로 구분되는 구분형 모두 가능하다. 즉, 후자의 경우 수중 콘크리트 전용 거푸집을 설치한 후 수중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수중 콘크리트의 타설 후에 일반 콘크리트 전용 거푸집을 설치하고 일반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석마운드형 기초부(2) 위에 거푸집(40,50)을 설치하고 하부에 수중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내부의 물을 펌핑하여 드라이 상태로 만든 후 일반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법을 적용한 것으로, 거푸집(40,50)은 내외 수위차에 의한 수압, 외측에 작용하는 파압, 타설 직후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유동성에 따른 측압에 저항할 수 있는 강성을 유지해야 하며, 또한, 통상의 거푸집과 차별화된 구성으로, 차수띠, 차수패드, 턴버클 또는 유압잭 등 액추에이터, 해수 유입홀(차수판), 배수홀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 구성은 본 발명 출원인의 선 등록특허 제10-2097580호를 실시 가능하다.
차수띠 : 본 발명은 거푸집 조립과 하부 수중콘크리트가 타설 후 양생된 상태에서 상부에 일반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까지 해수가 수중 타설된 콘크리트와 거푸집(40,50) 사이를 통해 침투가 발생하지 않도록 차수 성능을 유지해야 하며, 즉, 1차 타설된 수중 콘크리트와 거푸집 사이의 누수 방지 방법은 수중 콘크리트가 수축되어 거푸집(40,50)과 양생된 수중 콘크리트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더라도 해수가 수중 콘크리트의 상부 즉 일반 콘크리트의 타설 공간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차수띠가 적용된다.
상기 차수띠는 수중 콘크리트의 타설 시 타설압력에 의해 압축되고 수중 콘크리트가 양생으로 수축될 때 수평방향으로 탄성 복원되는 고무나 우레탄 등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수중 콘크리트의 타설 공간과 대응하는 거푸집(40,50)의 타설면에 접착 등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차수띠는 그 목적 달성을 위하여 수중 콘크리트를 향하는 부분이 볼록한 형태가 바람직하고, 1열 이상(도면에는 2열로 도시됨)으로 적용된다.
차수패드 : 거푸집(40,50)은 다수의 단위 거푸집의 조립으로 구성되며, 단위 거푸집들의 마주하는 부분에는 차수패드가 부착되어 서로 조립되며, 이 때 차수패드가 단위 거푸집들 사이의 간극 발생을 막아 차수한다. 즉, 차수패드는 단위 거푸집들의 조립에 의해 압축 변형되는 고무나 우레탄 등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해수 유입홀(차수판)은 다음과 같다.
재료비가 고가인 하부의 수중콘크리트 수량을 줄이기 위하여 저조위 하부까지 건조 상태로 유질 필요가 있다. 이 때 조위차가 큰 경우 거푸집(40,50) 내외 수위에 위한 부력으로 거푸집(40,50)이 부상할 수 있고 과도한 수압으로 거푸집(40,50)이 파손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거푸집(40,50)의 저조위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해수유입홀을 형성하여 조위변화가 반복되는 조간대의 내외 수류가 통하도록 하여 콘크리트 타설 전에 거푸집(40,50) 내외 수위차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 타설시 해수 유입홀을 차수판으로 막아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누출을 방지한다.
도 7은 피복부 거푸집(40)을 예로 들어 도시한 것이며, 해수 유입홀(42)은 피복부 거푸집(40)에 형성되는 구멍이고, 차수판(43)은 해수 유입홀(42)을 막는 모든 형태가 가능하며, 해수 유입홀(42)을 차수판(43)의 설치홀로 하는 한편, 차수판(43)을 박스형태로 구성하면서 내부와 외부가 통하는 홀(43a)을 형성하는 것이며, 해수 유입 시 차수판(43)을 도 7의 우측처럼 이동시키면 해수가 차수판(43)의 내부에 유입된 후 둘레부에 형성되는 홀(43a)을 통해 피복부 거푸집(40) 내부로 유입된다.
차수판(43)을 해수 유입홀(42)의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에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핀(44)이 적용된다.
해수 유입홀(42)과 차수판(43)의 구성은 일반 거푸집(50)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3. 수중 콘크리트 타설.
거푸집(40,50) 안에 수중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수중 콘크리트의 타설 최소높이는 상부에 일반콘크리트 타설을 위하여 거푸집 내부에 물을 펌핑한 상태에서 부력으로 수중 콘크리트와 거푸집이 분산되지 않는 자중을 갖는 높이가 요구된다.
4. 일반 콘크리트 타설.
수중 콘크리트 위에 일반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수중부와 육상작업이 원활한 조간대 하부까지 수중상태의 거푸집(40,50) 내부에 비닐 등 주머니형 차수시트를 설치(일반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한 곳에 자유롭게 설치 가능)하여 주머니 내부에 타설된 액체 콘크리트가 어떠한 혼화재 없이도 수중에서도 물과 완전 분리되어 양생함으로써 수중에 일반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단, 차수시트 주머니 위치는 거푸집 내부에 배수파이프, 인장바 등 장애물 위치를 회피하여 배치한다.
이 과정에서 전술한 것처럼, 해수 유입홀(42)을 개방하여 해수를 유입하여 거푸집(40,50)을 보호하고 거푸집(40,50) 안의 해수를 외부로 양수하여 건조 상태로 한 후 일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한다.
이와 같은 특징은 피복부(20)와 구조물 본체(10)의 단일 시공은 물론, 분리 시공 시 피복부(20)와 구조물 본체(10)의 시공 공정에 각각 적용될 수 있다.
이상의 공정을 통해 수중 콘크리트와 일반 콘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부두 본체를 시공하며, 본 발명은 수중 콘크리트타설없이 일반 콘크리트 타설만으로 시공하는 것도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공정만을 통해 해상 구조물을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물양장의 경우 본 발명에 의해 시공되는 콘크리트체를 부두 본체로 하고 이 부두 본체의 뒤에 배면부(30)가 함께 진행된다. 이 때의 배면부(30) 처리는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배면 사석층 - 필터 사석층 - 필터 매트층 - 토사 매립층 - 포장층으로 처리될 수 있고, 또는 사질 매립층 - 토사 매립층 - 포장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10 : 구조물 본체, 20 : 소파형 피복부
21 : 헤드부, 22 : 소파부
23 : 연결부,
30 : 배면부, 40 : 피복부 거푸집
40-1 : 좌측 거푸집, 40-2 : 우측 거푸집
40-3 : 필러 거푸집, 40-4 : 간격유지대
41 : 체결구, 42 : 해수 유입홀
43 : 차수판, 44 : 고정핀
50 : 일반 거푸집,

Claims (5)

  1. 해저면에 기초를 시공하는 제1단계와;
    상기 기초 위에 해상 구조물의 형태에 맞춰 거푸집을 설치하는 제2단계와;
    상기 거푸집 안에 상기 기초와 합성되도록 수중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이후 상기 수중 콘크리트 위에 일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조물을 시공하되, 구조물 본체 및 상기 구조물 본체의 전면에 시공되는 소파형 피복부를 개별 시공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계는 일정 높이로 1단 이상이면서 차수판에 의해 개폐되는 해수 유입홀을 갖는 거푸집을 설치하며,
    상기 제4단계는 해수의 수위 변화에 따라 해수가 상기 해수 유입홀 이상으로 차오르는 경우 상기 차수판을 통해 상기 해수 유입홀을 개방하여 해수가 상기 거푸집 안에 유입되도록 하는 제4-1단계, 상기 제4-1단계에서 해수의 유입이 종료되면 상기 차수판을 통해 상기 해수 유입홀을 폐쇄하고 상기 거푸집 안의 해수를 외부로 양수하는 제4-2단계, 상기 제4-2단계 후 상기 거푸집 안에 일반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4-3단계를 1회 이상 반복하여 구조물을 시공하고,
    상기 소파형 피복부는 피복부 거푸집을 통해 철부의 헤드부와 요부의 소파부 및 연결부가 상기 구조물 본체의 폭방향을 따라 교대로 반복 시공되는 것으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구조물 본체의 앞쪽으로 돌출되는 형태이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헤드부의 후방에 상기 헤드부보다 작은 단면적을 유지하면서 동일한 단면으로 연장되다가 단면적이 넓어지면서 상기 구조물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소파부는 상기 헤드부의 형태에 따라 입구가 좁고 안쪽이 넓은 공간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피복부 거푸집은 좌우 대칭인 좌측 거푸집과 우측 거푸집이 폭방향을 따라 교대로 반복하여 배치되어 이웃하는 좌측 거푸집과 우측 거푸집에 의해 상기 헤드부와 연결부의 타설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좌측 거푸집과 우측 거푸집은 상기 헤드부와 연결부의 형상에 맞는 구조로 구성되어 서로 조립되는 한편 이웃하는 것들이 간격유지대를 통해 지지되어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헤드부와 소파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소파형 일반 콘크리트 현장 타설식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파형 피복부와 구조물 본체를 분리 시공하는 경우 합성부재를 매개로 하여 선시공된 것과 후시공된 것을 일체로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소파형 일반 콘크리트 현장 타설식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소파형 피복부를 시공한 후 상기 구조물 본체를 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소파형 피복부 위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의 타설로 상기 구조물 본체를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소파형 일반 콘크리트 현장 타설식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
  5. 삭제
KR1020200104123A 2020-08-19 2020-08-19 소파형 일반 콘크리트 현장 타설식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 KR102239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123A KR102239807B1 (ko) 2020-08-19 2020-08-19 소파형 일반 콘크리트 현장 타설식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123A KR102239807B1 (ko) 2020-08-19 2020-08-19 소파형 일반 콘크리트 현장 타설식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807B1 true KR102239807B1 (ko) 2021-04-13

Family

ID=75482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123A KR102239807B1 (ko) 2020-08-19 2020-08-19 소파형 일반 콘크리트 현장 타설식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8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847A (ja) * 1997-07-04 1999-01-26 Soichi Maeda 護岸防波堤等の波返部補強工法
KR200279944Y1 (ko) * 2002-03-20 2002-07-02 원 회 양 소파기능을 가진 옹벽식 호안구조
KR101338601B1 (ko) * 2012-08-23 2013-12-06 현대건설주식회사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
KR102097580B1 (ko) 2019-07-31 2020-04-06 주식회사 대영엔지니어링 일반 콘크리트를 이용한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847A (ja) * 1997-07-04 1999-01-26 Soichi Maeda 護岸防波堤等の波返部補強工法
KR200279944Y1 (ko) * 2002-03-20 2002-07-02 원 회 양 소파기능을 가진 옹벽식 호안구조
KR101338601B1 (ko) * 2012-08-23 2013-12-06 현대건설주식회사 비정형 구조물용 조립식 거푸집
KR102097580B1 (ko) 2019-07-31 2020-04-06 주식회사 대영엔지니어링 일반 콘크리트를 이용한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7580B1 (ko) 일반 콘크리트를 이용한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
KR101256265B1 (ko) 임시 물막이공정이 생략된 교각의 수중설치공법.
JP2012246670A (ja) 抗揚圧力地中構造
Rasmussen Concrete immersed tunnels—Forty years of experience
KR102239807B1 (ko) 소파형 일반 콘크리트 현장 타설식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
CN113047215B (zh) 一种中板桩高桩码头结构
KR101874955B1 (ko)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및 시공방법
JP7389893B2 (ja) 海上構造及び建設方法
JP2000265450A (ja) 通水可能な函体からなる人工地盤とその施工方法
JP7396331B2 (ja) 既存岸壁の改良構造及び該改良構造の施工方法
Cochrane et al. DUBAI DRY DOCK: DESIGN AND CONSTRUCTION.
JP4320972B2 (ja) 岸壁・護岸の埋立土流出防止構造
Christiansen et al. Marieholmstunnel
JPS62237983A (ja) 廃棄物の漏失防止壁体
JP2668922B2 (ja) 掘割道路の耐震構造
CN115233533A (zh) 一种高桩码头钢栈桥水陆衔接结构及施工方法
CN115492013A (zh) 深厚软土地基隔仓式船筏涵洞结构及连接结构
JPS5931772Y2 (ja) 重力式構造物
JP2004011142A (ja) 海域環境共生型岸壁構造物
Court Medway Tunnel—construction
JPH06264424A (ja) 柱状または柱列状水域構造物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115492193A (zh) 一种临岸取排水管道系统及其施工方法
KR0184968B1 (ko) 폰툰을 이용한 교량의 우물통기초 시공방법
WEINREB et al. Underwater construction techniques using Reinforced Earth
JPH08113935A (ja) 人工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