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866B1 - 프리캐스트 구조물 하면거푸집, 이를 이용한 철근 조립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구조물 하면거푸집, 이를 이용한 철근 조립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866B1
KR102559866B1 KR1020220112050A KR20220112050A KR102559866B1 KR 102559866 B1 KR102559866 B1 KR 102559866B1 KR 1020220112050 A KR1020220112050 A KR 1020220112050A KR 20220112050 A KR20220112050 A KR 20220112050A KR 102559866 B1 KR102559866 B1 KR 102559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entral
upper plate
formwork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2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석
조지훈
정원찬
김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Priority to KR1020220112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8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8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34Foundations for sinking or earthquake territ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29Moulds or moulding surfaces not covered by B28B7/0058 - B28B7/36 and B28B7/40 - B28B7/465, e.g. moulds assembled from several parts
    • B28B7/0055Mould pallets; Mould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4Unitary mould structures with a plurality of moulding spaces, e.g. moulds divided into multiple moulding spaces by integratable partitions, mould part structures providing a number of moulding spaces in mutual co-operation
    • B28B7/241Detachable assemblies of mould parts providing only in mutual co-operation a number of complete moulding sp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 시 하면에 설치되는 하면거푸집의 구성을 기존의 각목과 철판을 이용하는 방법에서 반영구적 반복 사용이 가능한 상하 분리형 플라스틱 파렛트로 대체하여, 거푸집의 설치 용이성 및 경제성 증대와 이후 공정인 철근조립의 편의성과 거푸집의 부등침하 저항력을 증대시킨 프리캐스트 구조물 하면거푸집, 이를 이용한 철근 조립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을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한 하면거푸집에 있어서, 상판과 하판으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구조가 적용되어 개당 중량이 감소하여 현장에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결합 시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이 엇갈림 배치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하면거푸집 간 부등침하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되며, 상기 결합 시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이 돌출부 및 이와 대응되는 홈에 의해 결합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프리캐스트 구조물 하면거푸집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구조물 하면거푸집, 이를 이용한 철근 조립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THE PRECAST STRUCTURE BOTTOM-FORMWORK, REINFORCING BARS ASSEMBLY STRUCTURE USING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구조물 하면거푸집, 이를 이용한 철근 조립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공사현장에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방법은 먼저 바닥을 평평하게 다진 후 각목을 적층 구조로 설치 및 그 위에 철판을 덮어 하면거푸집을 형성하고, 이후 철근 조립, 측면거푸집 설치와 콘크리트 타설 순으로 진행하게 된다. 그런데 이는 다수의 각목 운반에 따른 불편함과 설치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사용 각목은 특정 횟수 이상 반복 사용이 불가능하여 비경제적이며, 철판은 중량이 무거워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다. 또한 철근 조립은 철근과 지반 사이에 임시 지지대를 설치하여 진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4833호(선행문헌 1)과 같이 관통공이 형성된 받침대를 이용한 방법이 제시되었다. 상기 선행문헌 1의 도면과 상기 선행문헌 1이 적용된 현장 사진은 도 2에 도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 1이 현장에서 적용되는 경우, 받침대의 개당 중량이 무겁고, 종방향 길이조절이 어려우며, 철근조립 시 임시 지지대의 설치와 솔플레이트(받침연결판) 설치 부분의 각목 사용에 따른 불편함 여전히 해소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받침대가 종방향으로 분리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받침대간 부등침하의 우려가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프리캐스트 구조물 하면거푸집 설치에 있어서, 중량을 감소시켜 작업자가 이를 현장에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부등침하 저항력이 향상되며, 종방향 길이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하면거푸집에 철근조립이 용이하고, 솔플레이트 설치 부분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하면거푸집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프리캐스트 구조물 하면거푸집 설치에 있어서, 중량을 감소시켜 작업자가 이를 현장에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부등침하 저항력이 향상되며, 종방향 길이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하면거푸집에 철근조립이 용이하고, 솔플레이트 설치 부분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구조물 하면거푸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한 하면거푸집에 있어서, 상판과 하판으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구조가 적용되어 개당 중량이 감소하여 현장에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결합 시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이 엇갈림 배치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하면거푸집 간 부등침하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되며, 상기 결합 시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이 돌출부 및 이와 대응되는 홈에 의해 결합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프리캐스트 구조물 하면거푸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면거푸집의 개당 중량을 감소시켜 현장에 프리캐스트 구조물 하면거푸집 설치 시 작업자가 용이하게 설치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면거푸집상판과 하면거푸집하판의 엇갈림 배치를 적용하여 하면거푸집의 부당침하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면거푸집의 재질로 강화플라스틱을 적용해 반영구적 반복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면거푸집에 철근조립지그를 설치할 수 있는 인서트 및 이에 체결되는 철근조립지그를 구성하여 현장에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철근조립을 진행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솔플레이트 부분을 상판이 개방된 플라스틱 파렛트 구조로 구성하여 목재의 사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연결판을 적용하여 하면거푸집의 종방향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면거푸집을 나타낸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조립 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조립 구조물의 제작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내용을 더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또는 '하부' 라는 용어는 관찰자의 시점에서 설정된 상대적인 개념으로, 관찰자의 시점이 달라지면, '상부' 가 '하부'를 의미할 수도 있고, '하부'가 '상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길이방향'은 본 발명의 하면거푸집이 연장되는 방향을 지칭하고, '두께방향'은 상기 '길이방향'에 수직 방향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프리캐스트 구조물 하면거푸집의 제작에 있어서 목재를 사용하는 종래 기술은 특정횟수 이상 반복사용이 불가하여 경제성이 떨어지고, 다수의 목재설치 작업 및 중량이 큰 철판의 사용으로 인해 작업성이 저감되는 문제가 있음을 인식하였다. 또한, 프리캐스트 구조물 하면거푸집을 제작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들은 모두 하면거푸집 설치 후 철근 조립을 위해 별도의 임시지지대를 설치해야 하고, 솔플레이트 부분은 목재를 이용하여 별도로 구성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한편, 종래에 반복사용이 불가하여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통공이 형성된 받침대를 사용하는 종래 특허(제10-1614833호)가 제시되었으나, 이러한 기술을 적용하면 하면거푸집을 구성하는 받침대의 개당 중량이 크고, 종방향으로 서로 분리되는 구조를 채택하여 구조물 제작 시 부등침하가 발생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현장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작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하면거푸집의 설치편의성, 경제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 위해 관련된 연구와 시행착오 끝에, 상·하 분리형 플라스틱 파렛트 구조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이하, 도면을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면거푸집을 나타낸 것이다.
하면거푸집(1)은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판과 하판으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구조가 적용되어 개당 중량이 감소하여 현장에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결합 시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이 엇갈림 배치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하면거푸집(1)의 부등침하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되며, 상기 결합 시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이 돌출부 및 이와 대응되는 홈에 의해 결합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판은 중앙부상판(120), 단부상판(220), 및 연결부제1유닛(3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판은 중앙부하판(110) 및 단부하판(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면거푸집(1)은, 중앙부(100), 단부(200), 및 연결부(300)를 포함한다. 중앙부(100)는 하면거푸집(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또는 단속되어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단부(200)는 중앙부(100)의 말단에 설치되어 하면거푸집(1)의 말단을 구성할 수 있다. 연결부(300)는 하면거푸집(1)의 길이방향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양 말단 사이의 어느 위치에도 설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중앙부(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중앙부상판(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각 구성의 상세한 구조와 배치 형태를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중앙부하판(110) 상부에 복수의 중앙부상판(120)이 설치되되, 중앙부하판(110)과 중앙부상판(120)이 엇갈림 배치되는 구조를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중앙부하판(110)은, 중앙부하판본체(115), 중앙부하판제1돌출부(111), 중앙부하판제2돌출부(112), 및 중앙부하판인서트(114)를 포함한다.
중앙부하판본체(115)는 평판 형태를 갖고, 일 면은 바닥을 지지하며 타 면에는 중앙부하판제1돌출부(111)가 형성된다.
중앙부하판제1돌출부(111)는 복수 개가 형성되며,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직육면체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중앙부하판제2돌출부(112)는 복수 개의 중앙부하판제1돌출부(111) 각각에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일부의 중앙부하판제1돌출부(111)에 형성될 수도 있다.
중앙부하판인서트(114)는 중앙부하판제1돌출부(111)에서 길이방향으로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를 가져 후술하는 체결부재(450)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중앙부하판(110)은, 중앙부하판본체(115)의 말단에서 중앙부하판제1돌출부(111)로 굴곡지어 연장되는 중앙부하판단차부(113)가 형성되어, 하나의 중앙부하판(110)의 일 말단은 이와 인접하여 배치된 다른 하나의 중앙부하판(110)의 중앙부하판단차부(113)에 삽입되어 하면거푸집(1)을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설치하고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중앙부상판(120)은, 중앙부상판본체(121), 중앙부상판돌출부(122), 중앙부상판돌출부홈(123), 및 중앙부상판인서트(125)가 형성된다.
중앙부상판본체(121)는 평판 형태를 갖고, 일 면은 하면거푸집(1)의 상면을 구성하고 타 면에는 중앙부상판돌출부(122)가 형성된다.
중앙부상판돌출부(122)는 복수 개가 형성되며,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직육면체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부상판돌출부(122)는 중앙부하판제1돌출부(111)와 맞닿도록 중앙부상판(120)이 중앙부하판(110)에 안착되는데, 이때 중앙부상판돌출부(122)의 말단 면과 중앙부하판제1돌출부(111)의 말단 면은 서로 대응되는 형태를 가져 상호 안정적인 체결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복수의 중앙부상판돌출부(122) 사이로 두께방향의 간극(130)이 형성될 수 있다.
중앙부상판돌출부홈(123)은 복수 개의 중앙부상판돌출부(122) 각각에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일부의 중앙부상판돌출부(122)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중앙부상판(120)은, 중앙부상판본체(121)의 말단에서 중앙부상판돌출부(122)로 굴곡지어 연장되는 중앙부상판단차부(124)가 형성되어, 하나의 중앙부상판(120)의 일 말단은 이와 인접하여 배치된 다른 하나의 중앙부상판(120)의 중앙부상판단차부(124)에 안착되어 하면거푸집(1)을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설치하고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중앙부하판(110)과 중앙부상판(120)의 상기 엇갈림 배치는, 하나의 중앙부하판(110)에 형성된 복수의 중앙부하판제1돌출부(111)의 일부가 하나의 중앙부상판(120)에 형성된 중앙부상판돌출부(122)와 맞닿고, 중앙부하판제1돌출부(111)의 나머지 일부는 다른 하나의 중앙부상판(120)에 형성된 중앙부상판돌출부(122)와 맞닿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프리캐스트 구조물의 하면거푸집(1)에서 발생했던 부등침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하나의 중앙부하판(110)에 형성된 복수의 중앙부하판제2돌출부(112)의 일부는 하나의 중앙부상판(120)에 형성된 중앙부상판돌출부홈(123)에 삽입되고, 하나의 중앙부하판(110)에 형성된 복수의 중앙부하판제2돌출부(112)의 나머지 일부는 다른 하나의 중앙부상판(120)에 형성된 중앙부상판돌출부홈(123)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하면거푸집(1)이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으로 분리되는 구조를 가져도 체결 작업성 및 체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단부(200)의 내부 구조가 투영된 형태를 사시도로 바라본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단부(200)를 길이방향으로 절취하여 바라본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단부(200)는, 단부하판(210), 단부상판(220), 솔플레이트 받침목재(230), 및 솔플레이트(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부하판(210)은, 단부하판본체(218), 단부하판제1돌출부(211), 단부하판제2돌출부(212), 단부하판마감부(215), 단부하판마감부돌출부(216), 솔플레이트 받침목재 안착부(217), 및 단부하판인서트(214)를 포함한다.
단부하판본체(218)는 평판 형태를 갖고, 일 면은 바닥을 지지하며 타 면에는 단부하판제1돌출부(211)가 형성된다.
단부하판제1돌출부(211)는 복수 개가 형성되며,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직육면체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단부하판제2돌출부(212)는 복수 개의 단부하판제1돌출부(211) 각각에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일부의 단부하판제1돌출부(211)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단부하판마감부(215)는 단부하판(210)의 일 말단에 형성되어 단부하판(210)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하면거푸집(1)의 말단을 구성하는 것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직육면체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단부하판마감부돌출부(216)는 단부하판마감부(215)에서 돌출되는 것으로 복수 개의 단부하판마감부돌출부(216) 각각에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일부의 단부하판마감부돌출부(216)에 형성될 수도 있다.
솔플레이트 받침목재 안착부(217)는 후술하는 솔플레이트 받침목재(230)가 안착되기 위한 것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며,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직육면체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단부하판인서트(214)는 단부하판제1돌출부(211)에서 길이방향으로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를 가져 후술하는 체결부재(도 15의 450)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단부하판(210)은, 단부하판본체(218)의 말단에서 단부하판제1돌출부(211)로 굴곡지어 연장되는 단부하판단차부(213)가 형성되어, 중앙부하판(110)의 일 말단이 이와 인접하여 배치된 단부하판(210)의 단부하판단차부(213)에 삽입되어 단부하판(210)과 중앙부하판(110)을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설치하고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솔플레이트 받침목재(230)가 단부하판(210)에 안착될 수 있고, 솔플레이트 받침목재(230)는 복수의 목재가 설치된 구조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솔플레이트 받침목재(230)는 두께방향과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솔플레이트 받침목재(230) 중 두께방향으로 배치된 목재는 단부하판마감부(215)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안착되는 것과 단부하판제1돌출부(211)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안착되는 것을 포함하고, 그 사이에 솔플레이트 받침목재(230) 중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목재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목재 사이에 다시 두께방향으로 배치된 목재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부상판(220)은 단부하판(210)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단부상판본체(221), 단부상판돌출부(222), 단부상판마감부(224), 단부상판마감부홈(225), 단부상판인서트(223)을 포함할 수 있다.
단부상판본체(221)는 평판 형태를 갖고, 일 면은 하면거푸집(1)의 상면을 구성하고 타 면에는 단부상판돌출부(222)가 형성한다. 또한, 단부상판본체(221)는 내부에 개구부(226)가 형성되도록 그 테두리를 정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226)에는 솔플레이트(240)가 설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개구부(226)에 솔플레이트(240)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솔플레이트(240)는 개구부(226)에 삽입되어 단부하판(210)에 안착된 솔플레이트 받침목재(23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단부상판돌출부(222)는 복수 개가 형성되며,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직육면체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부상판돌출부(222)는 단부하판제1돌출부(211)와 맞닿도록 단부상판(210)이 단부하판(220)에 안착되는데, 이때 단부상판돌출부(222)의 말단 면과 단부하판제1돌출부(211)의 말단 면은 서로 대응되는 형태를 가져 상호 안정적인 체결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복수의 단부상판돌출부(222) 사이로 두께방향의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단부상판돌출부홈(미도시)은 단부상판돌출부(222)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 개의 단부상판돌출부(222) 각각에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일부의 단부상판돌출부(222)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단부상판마감부(224)는 단부상판(220)의 일 말단에 형성되어 단부상판(220)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하면거푸집(1)의 말단을 구성하는 것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직육면체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단부상판마감부홈(225)은 단부상판마감부(224)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 개의 단부상판마감부(224) 각각에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일부의 단부상판마감부(224)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단부상판인서트(223)는 단부상판돌출부(222) 또는 단부상판마감부(224)에서 길이방향으로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를 가져 후술하는 체결부재(450)가 체결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단부하판(210)과 단부상판(220)의 상기 엇갈림 배치는, 단부하판(210)에 형성된 복수의 단부하판제1돌출부(211)의 일부가 단부상판(220)에 형성된 단부상판돌출부(222)와 맞닿고, 단부하판(210)에 형성된 복수의 단부하판제1돌출부(211)의 나머지 일부가 중앙부상판(120)에 형성된 중앙부상판돌출부(122)와 맞닿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프리캐스트 구조물의 하면거푸집(1)에서 발생했던 부등침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단부하판(210)에 형성된 복수의 단부하판제2돌출부(212)는 중앙부상판(120)에 형성된 중앙부상판돌출부홈(123)에 삽입되고, 단부하판(210)에 형성된 복수의 단부하판마감부돌출부(216)는 단부상판(220)에 형성된 복수의 단부상판마감부홈(225)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하면거푸집(1)이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으로 분리되는 구조를 가져도 체결 작업성 및 체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하면거푸집(1)은 연결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연결부제1유닛(310), 연결부제2유닛(320), 및 연결부제3유닛(3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제1유닛은(310), 연결부제1유닛본체(311)의 양 말단에 연결부제1유닛단차부(312)를 갖고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부제1유닛돌출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제1유닛(310)은 중앙부하판(110) 상에 체결될 수 있고, 일 예로, 연결부제1유닛돌출부(313)가 중앙부하판제1돌출부(111)에 맞닿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제1유닛돌출부(313)는 오목한 홈 형상을 갖는 연결부제1유닛돌출부홈(314)이 형성되어 전술한 중앙부하판제2돌출부(112)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제1유닛단차부(312)에는, 인접한 중앙부상판(120)의 일 말단 및 연결부제3유닛(3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안착되어 하면거푸집(1)을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설치하고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제2유닛(320, 320a, 320b)은 평판 형상을 갖는 것으로, 전술한 간극 내지 후술하는 복수의 연결부제3유닛(330, 330a, 330b) 사이에 끼워져 하면거푸집(1)의 하중에 저항할 수 있다.
연결부제3유닛(330, 330a, 330b)은 H형상을 갖는 것으로, 그 자체로 하판과 상판을 모두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제3유닛(330, 330a, 330b)은 상이한 길이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조립 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철근 조립 구조물은 하면거푸집(1) 상에 전단철근(2)을 거치하기 위해 하면거푸집(1) 상부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철근조립지그(400)를 포함할 수 있다.
철근조립지그(400)는 내측면에 고정핀삽입홀(410)이 형성되어, 2 이상의 고정핀(420)에 의해 고정판(430)이 철근조립지그(400)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판(430)과 철근조립지그(400) 내측면 사이에 배치된 철근거치대(440)가 압착되어 철근조립지그(400)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핀삽입홀(410)이 높이 별로 복수 개가 형성되어 철근거치대(440)의 설치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철근조립지그(400)는 전술한 인서트 구조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면거푸집(1)의 중앙부(100)에서, 중앙부하판제1돌출부(111)의 측면에 형성된 중앙부하판인서트(114)와 중앙부상판돌출부(122)의 측면에 형성된 중앙부상판인서트(125)에 철근조립지그(400)의 하부가 체결부재(450)로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면거푸집(1)의 말단부를 구성하는 단부(200)에서, 단부하판(210)의 말단을 구성하는 단부하판마감부돌출부(216)의 측면에 형성된 단부하판인서트(214)와 단부상판(220)의 말단을 구성하는 단부상판마감부(224)의 측면에 형성된 단부상판인서트(223)에 철근조립지그(400)의 하부가 체결부재(450)로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후, 전단철근(2)을 철근거치대440)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게 되어 하면거푸집(1) 상에 전단철근(2)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조립 구조물의 제작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15를 들어 전술한 각 구성의 구체적인 형태, 배치구조, 및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목표 길이에 따라 중앙부하판(110)과 연결부(300)를 설치하고 그 양 말단에 단부하판(210)을 설치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단부하판(210) 상에 솔플레이트 받침목재(230)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중앙부상판(120) 및 단부상판(220)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상기 엇갈림 배치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단부상판(220)에 솔플레이트(240)를 설치할 수 있고, 이때, 솔플레이트(240)가 전술한 상기 개구부(226)에 삽입 설치되어 솔플레이트 받침목재(23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철근조립지그(400)를 중앙부하판인서트(114)와 중앙부상판인서트(125) 및 단부하판인서트(214)와 단부상판인서트(223) 중 적어도 어느 한 쌍에 체결하고, 철근조립지그(400)에 철근거치대(440)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철근거치대(440)에 전단철근(2)을 거치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철근조립지그(440)를 해체하고, 하면거푸집(1)의 길이방향을 따라 측면거푸집(3)을 설치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후 선택적으로 추가의 철근(미도시)를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면거푸집(1)은, 상하 분리형 플라스틱 파렛트가 적용되어 반영구적 반복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은 이해를 돕기 위해 각각의 구성요소를 주체로 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각 구성요소의 두께, 길이, 개수 등은 도면 작성의 진행상,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각 구성요소의 재질이나 형상, 치수 등은 한 예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효과에서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1: 하면거푸집
2: 전단철근
3: 측면거푸집
100: 중앙부
110: 중앙부하판
111: 중앙부하판제1돌출부
112: 중앙부하판제2돌출부
113: 중앙부하판단차부
114: 중앙부하판인서트
115: 중앙부하판본체
120: 중앙부상판
121: 중앙부상판본체
122: 중앙부상판돌출부
123: 중앙부상판돌출부홈
124: 중앙부상판단차부
125: 중앙부상판인서트
130: 간극
200: 단부
210: 단부하판
211: 단부하판제1돌출부
212: 단부하판제2돌출부
213: 단부하판단차부
214: 단부하판인서트
215: 단부하판마감부
216: 단부하판마감부돌출부
217: 솔플레이트 받침목재 안착부
218: 단부하판본체
220: 단부상판
221: 단부상판본체
222: 단부상판돌출부
223: 단부상판인서트
224: 단부상판마감부
225: 단부상판마감부홈
226: 개구부
230: 솔플레이트 받침목재
240: 솔플레이트
300: 연결부
310: 연결부제1유닛
311: 연결부제1유닛본체
312: 연결부제1유닛단차부
313: 연결부제1유닛돌출부
314: 연결부제1유닛돌출부홈
320, 320a, 320b: 연결부제2유닛
330, 330a, 330b: 연결부제3유닛
400: 철근조립지그
410: 고정핀삽입홀
420: 고정핀
430: 고정판
440: 철근거치대
450: 체결부재

Claims (15)

  1.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한 하면거푸집에 있어서,
    상판과 하판으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구조가 적용되어 개당 중량이 감소하여 현장에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결합 시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이 엇갈림 배치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하면거푸집 간 부등침하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되며,
    상기 결합 시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이 돌출부 및 이와 대응되는 홈에 의해 결합의 안정성이 향상되고,
    상기 하판은 중앙부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하판은, 중앙부하판본체 및 상기 중앙부하판본체에서 일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중앙부하판제1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중앙부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상판은, 중앙부상판본체 및 상기 중앙부상판본체에서 일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중앙부상판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하판제1돌출부와 상기 중앙부상판돌출부가 맞닿도록 상기 중앙부하판과 상기 중앙부상판이 결합하여, 복수의 상기 중앙부상판돌출부 사이로 두께방향의 간극이 형성되며,
    상기 엇갈림 배치는, 하나의 상기 중앙부하판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중앙부하판제1돌출부의 일부가 하나의 상기 중앙부상판에 형성된 상기 중앙부상판돌출부와 맞닿고, 상기 중앙부하판제1돌출부의 나머지 일부는 다른 하나의 상기 중앙부상판에 형성된 상기 중앙부상판돌출부와 맞닿는 구조를 갖고,
    상기 중앙부하판은, 상기 중앙부하판본체의 말단에서 상기 중앙부하판제1돌출부로 굴곡지어 연장되는 중앙부하판단차부가 형성되어, 하나의 상기 중앙부하판의 일 말단은 이와 인접하여 배치된 다른 하나의 상기 중앙부하판의 상기 중앙부하판단차부에 삽입되는 것; 및
    상기 중앙부상판은, 상기 중앙부상판본체의 말단에서 상기 중앙부상판돌출부로 굴곡지어 연장되는 중앙부상판단차부가 형성되어, 하나의 상기 중앙부상판의 일 말단은 이와 인접하여 배치된 다른 하나의 상기 중앙부상판의 상기 중앙부상판단차부에 안착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하면거푸집을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설치하고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프리캐스트 구조물 하면거푸집.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하판은 복수의 상기 중앙부하판제1돌출부 상에 돌출된 복수의 중앙부하판제2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상판은 복수의 상기 중앙부상판돌출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복수의 중앙부상판돌출부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엇갈림 배치는, 하나의 상기 중앙부하판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중앙부하판제2돌출부의 일부는 하나의 상기 중앙부상판에 형성된 상기 중앙부상판돌출부홈에 삽입되고, 하나의 상기 중앙부하판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중앙부하판제2돌출부의 나머지 일부는 다른 하나의 상기 중앙부상판에 형성된 상기 중앙부상판돌출부홈에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 프리캐스트 구조물 하면거푸집.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면거푸집은 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부는,
    단부하판;
    상기 단부하판 상부에 설치되는 단부상판;
    상기 단부하판에 안착되는 솔플레이트 받침목재; 및
    솔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상판은, 단부상판본체 및 상기 단부상판본체가 테두리를 정의하여 형성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로 상기 솔플레이트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 프리캐스트 구조물 하면거푸집.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단부하판은, 단부하판본체, 및 상기 단부하판본체에서 일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단부하판제1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상판은, 단부상판본체, 및 상기 단부상판본체에서 일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단부상판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엇갈림 배치는, 상기 단부하판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단부하판제1돌출부의 일부가 상기 단부상판에 형성된 상기 단부상판돌출부와 맞닿고, 상기 단부하판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단부하판제1돌출부의 나머지 일부가 상기 중앙부상판에 형성된 상기 중앙부상판돌출부와 맞닿는 구조를 갖는, 프리캐스트 구조물 하면거푸집.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단부하판은, 상기 단부하판본체의 단부에서 상기 단부하판제1돌출부로 굴곡지어 연장되는 단부하판단차부가 마련되고,
    상기 단부하판단차부로 상기 중앙부하판의 일 말단이 삽입되어 상기 단부하판과 상기 중앙부하판이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프리캐스트 구조물 하면거푸집.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면거푸집은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연결부제1유닛본체의 양 말단에 연결부제1유닛단차부를 갖고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부제1유닛돌출부를 포함하는 연결부제1유닛;
    평판 형상의 연결부제2유닛; 및
    H형상의 연결부제3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중앙부하판 사이에 설치되어 길이방향 길이의 제어가 가능한, 프리캐스트 구조물 하면거푸집.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제1유닛단차부에는, 인접한 상기 중앙부상판의 일 말단 및 상기 연결부제3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안착되는, 프리캐스트 구조물 하면거푸집.
  11. 청구항 6에 따른 프리캐스트 구조물 하면거푸집; 및
    상기 하면거푸집 상에 전단철근을 거치하기 위해 상기 하면거푸집 상부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철근조립지그;
    를 포함하고,
    상기 철근조립지그는,
    상기 하면거푸집의 중앙부를 구성하는 중앙부에서, 상기 중앙부하판제1돌출부의 측면에 형성된 중앙부하판인서트와 상기 중앙부상판돌출부의 측면에 형성된 중앙부상판인서트; 및
    상기 하면거푸집의 말단부를 구성하는 상기 단부에서, 상기 단부하판의 말단을 구성하는 단부하판마감부돌출부의 측면에 형성된 단부하판인서트와 상기 단부상판의 말단을 구성하는 단부상판마감부의 측면에 형성된 단부상판인서트;
    중 적어도 어느 한 쌍에 그 하부가 체결되어 고정되어, 상기 하면거푸집 상에 상기 전단철근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철근 조립 구조물.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철근조립지그의 측면에 철근거치대가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철근거치대에 상기 전단철근이 거치되는, 철근 조립 구조물.
  13. 청구항 11에 따른 상기 철근 조립 구조물의 제작 방법에 있어서,
    목표 길이에 따라 상기 중앙부하판과 연결부를 설치하고, 양 말단에 상기 단부하판을 설치하고;
    상기 단부하판 상부에 상기 솔플레이트 받침목재를 설치하고;
    상기 중앙부상판 및 상기 단부상판을 설치하고;
    상기 단부상판에 상기 솔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상기 철근조립지그를 상기 중앙부하판인서트와 상기 중앙부상판인서트 및 상기 단부하판인서트와 상기 단부상판인서트 중 적어도 어느 한 쌍에 체결하고;
    상기 철근조립지그에 철근거치대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철근거치대에 전단철근을 거치하고;
    상기 철근조립지그를 해체하고; 및
    상기 하면거푸집의 길이방향을 따라 측면거푸집을 설치하는 것;
    을 포함하는, 철근 조립 구조물의 제작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상판을 설치하기 전 복수의 상기 중앙부하판 사이에 연결부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연결부제1유닛본체의 양 말단에 연결부제1유닛단차부를 갖고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부제1유닛돌출부를 포함하는 연결부제1유닛;
    평판 형상의 연결부제2유닛; 및
    H형상의 연결부제3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로 상기 하면거푸집의 길이방향 제어가 가능한, 철근 조립 구조물의 제작 방법.
  15. 청구항 1, 청구항 4, 및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거푸집은, 상하 분리형 플라스틱 파렛트가 적용되어 반영구적 반복 사용이 가능한, 프리캐스트 구조물 하면거푸집.
KR1020220112050A 2022-09-05 2022-09-05 프리캐스트 구조물 하면거푸집, 이를 이용한 철근 조립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KR102559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050A KR102559866B1 (ko) 2022-09-05 2022-09-05 프리캐스트 구조물 하면거푸집, 이를 이용한 철근 조립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050A KR102559866B1 (ko) 2022-09-05 2022-09-05 프리캐스트 구조물 하면거푸집, 이를 이용한 철근 조립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9866B1 true KR102559866B1 (ko) 2023-07-26

Family

ID=87427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2050A KR102559866B1 (ko) 2022-09-05 2022-09-05 프리캐스트 구조물 하면거푸집, 이를 이용한 철근 조립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8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582B1 (ko) * 2008-09-19 2009-01-07 (주)명인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거푸집
KR20160041897A (ko) * 2013-07-10 2016-04-18 폴리테크 게엠베하 콘크리트 거푸집용 거푸집 패널
KR102420418B1 (ko) * 2021-12-10 2022-07-14 주식회사 성현테크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한 바닥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582B1 (ko) * 2008-09-19 2009-01-07 (주)명인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거푸집
KR20160041897A (ko) * 2013-07-10 2016-04-18 폴리테크 게엠베하 콘크리트 거푸집용 거푸집 패널
KR102420418B1 (ko) * 2021-12-10 2022-07-14 주식회사 성현테크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한 바닥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940B1 (ko) 들뜸방지 탈형 데크 플레이트
KR102118401B1 (ko) 체결형 데크플레이트
KR101645462B1 (ko) 프리캐스트 가로보 제작방법 및 프리캐스트 가로보 시공방법
KR101683196B1 (ko)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
KR101279811B1 (ko) 패널지지 어셈블리
US9359757B1 (en) Concrete weldment
KR102559866B1 (ko) 프리캐스트 구조물 하면거푸집, 이를 이용한 철근 조립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US10280619B2 (en) Adjustable dap assembly
KR102071872B1 (ko) 데크결합체를 이용한 개량형 보거푸집 설치공법
KR100736380B1 (ko) 트러스 거푸집
US7331560B2 (en) Concrete form systems
JP6770771B1 (ja) 梁底型枠
JP6401883B1 (ja) デッキプレートとそれに用いられるデッキプレート固定金具
KR101648071B1 (ko) 슬래브 타설용 데크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01131U (ko) 단열재 일체형 외줄 트러스거더 구조
KR102245168B1 (ko) 용접없이 단면구성이 가능한 강판성형 비탈형 보 거푸집
KR102429962B1 (ko) 폭변동부를 갖는 강판거푸집보 및 폭변동부를 갖는 강판거푸집보와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를 적용한 건식화 공법
KR102397960B1 (ko)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슬래브용 패널 및 그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슬래브용 패널의 제작방법
US20080142678A1 (en) Concrete form and system
KR102619660B1 (ko) 다점 접합 구속근을 갖는 보 거푸집
KR101888870B1 (ko) 단열재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
KR102209501B1 (ko) 건축용 데크 플레이트의 단차 방지판 및 그 시공방법
KR100769044B1 (ko) 건축물 높이 조절용 유로폼
KR20110070944A (ko) 판넬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보 거푸집 지지시스템
KR101876141B1 (ko) 재활용 가능한 보 설치를 위한 유로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