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870B1 - 단열재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단열재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870B1
KR101888870B1 KR1020170145296A KR20170145296A KR101888870B1 KR 101888870 B1 KR101888870 B1 KR 101888870B1 KR 1020170145296 A KR1020170145296 A KR 1020170145296A KR 20170145296 A KR20170145296 A KR 20170145296A KR 101888870 B1 KR101888870 B1 KR 101888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ss girder
insulating material
heat insulating
deck plate
out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아뉴매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아뉴매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아뉴매틱
Priority to KR1020170145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8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8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plane ceilings of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상된 내구성과 단열 성능을 확보한 단열재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열재와, 상부에 외줄 프레임이 병렬로 배치된 외줄 트러스거더를 준비하고, 단열재 내부에 상기 외줄 트러스거더의 상부를 제외한 영역을 매립하여, 외줄 트러스 거더와 일체로 형성된 단열재를 형성하는 단열재 형성단계; 상기 외줄 프레임의 상면에 삼각 트러스거더를 안착하여 데크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데크플레이트 제조단계; 및 복수의 데크 플레이트를 병렬로 배치하여 양단부를 이음하는 데크플레이트 조립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열재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Method of insulation integrated deck plate}
본 발명은 데크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크 플레이트와 단열재를 일체로 형성되어, 슬래브(Slab) 시공시 단열재의 별도 부착 공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구현한 단열재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은 압축재인 콘크리트와 인장재인 철근이 함께 사용되어지는 복합 구조물로서 거푸집을 가설한 후 철근을 배근하고 이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 및 거푸집을 해체하는 과정의 반복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방안으로 먼저, 합판이나 각재 또는 강재 등으로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에 철근 등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 그리고 거푸집을 해체하는 과정이 소요됨에 따라 공기가 길어지고, 콘크리트의 타설 및 거푸집을 설치와 해체하는 과정 등에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고 있으며, 또한 단열성이 저하되고, 공사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한 구조체인 보 사이에 가설되어 그 위에 타설되어지는 콘크리트 및 콘크리트가 양생되어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콘크리트 자체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트러스 거더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가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트러스 거더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는 통상 소정 넓이를 갖는 거푸집널의 상부에 트러스 거더가 구비되고 상기 트러스 거더의 하부에 연결구가 구비되어 거푸집 널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지며, 상기 트러스거더는 상부철근, 하부철근 및 래티스재로 이루어고 양측 단부에는 지지구가 결합되어 구성되어진다.
그러나 상기의 트러스 거더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하게 될 경우,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보나 빔 사이에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고, 이어 거푸집널을 해체한 후 별도의 단열재를 후시공함에 따라 추가공정의 발생으로 인하여 시공비가 상승됨과 동시에 공기가 더 길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일부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상기 데크 플레이트 자체가 트러스 거더와, 아연도금강판 등과 같은 금속판재로 이루어져 트러스 거더가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있어 별도의 거푸집 설치 및 해체에 따른 문제점은 해결할 수 있다.
이에 관련된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5549호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공장에서 복수의 고정수단 설치공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천공시켜 운송해온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들을 슬래브를 시공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지주 상면에 순차적으로 연결/설치하는 공정과; 각각의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 저면에 소정 두께와 면적을 갖는 단열재를 위치시키고 복수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각각의 단열재를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에 일체로 부착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들의 상면에 정해진 두께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면 고르기를 한 다음 양생하여 단열재가 일체로 부착된 슬래브를 성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단열재가 부착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이에 관련된 또 다른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1066호에서는 저항력 향상을 위한 데크 플레이트 유닛에 관하여 개시되고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데크 플레이트 유닛은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슬래브용 거푸집을 이루는 데크 플레이트(Deck Plate); 그리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에 일체로 구비되어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시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휨강성을 보강하는 에프알피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트러스 거더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는, 데크 플레이트에 단열재를 부착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추가공정으로 인한 시공비나 공기의 연장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단열재와의 부착성이 견고하지 못할 경우 단열 성능이 저하되는 추가적인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554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1066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열재와 데크 플레이트가 완벽한 일체형을 이루어 내구성 및 단열 성능이 향상된 단열재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단열재와, 상부에 외줄 프레임이 병렬로 배치된 외줄 트러스거더를 준비하고, 단열재 내부에 상기 외줄 트러스거더의 상부를 제외한 영역을 매립하여, 외줄 트러스 거더와 일체로 형성된 단열재를 형성하는 단열재 형성단계; 및 상기 외줄 프레임의 상단에 삼각 트러스거더를 안착하고 상기 외줄 프레임의 상면과 삼각 트러스거더의 하면을 접합하여 데크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데크플레이트 제조단계를 포함하는 단열재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은, 상술한 상기 단열재 형성단계 이전에, 상기 외줄 트러스거더 하부의 절곡된 부위 또는 평평한 부위에, 상기 외줄 프레임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보강판을 접합하는 보강판 접합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보강판 접합단계는, 상기 외줄 트러스 거더의 절곡된 부위에 그 곡률에 대응하도록 절곡된 보강판을 접합하는 절곡형 보강판 접합단계; 상기 외줄 트러스 거더의 직선형 부위에 수직 교차하도록 직선형 보강판을 접합하는 직선형 보강판 접합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데크 플레이트 제조단계는, 상기 외줄 프레임의 상단에 삼각 트러스거더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외줄 프레임의 상면과 삼각 트러스거더의 하면의 접합 부위를 용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단열재 형성단계에서, 단열재의 양단에 'ㄱ' 또는 'ㄴ' 형상의 단차를 주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에 따르면, 외줄 트러스거더와 단열재가 일체를 이루어 별도의 단열재 부착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단열재가 견고하게 고정된 구조로서 보다 향상된 내구성과 단열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더불어, 외줄 트러스거더가 단열재의 거푸집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이후에 설치되는 삼각 트러스거더의 하현재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여, 트러스거더 구조물과 단열재의 일체화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단열재의 끼움 홈부와 끼움 돌부를 끼워 맞추어 결합시키는 구조로서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도 조립 가능하며, 단열재 사이의 이음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시켜 상측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 타설액이 아래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단열재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데크 플레이트의 시공을 위한 데크플레이트 조립단계가 추가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설명한 보강판 접합단계의 세부적인 단계를 설명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설명한 보강판 접합단계에 의하여 준비된 외줄 트러스거더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서 설명한 단열재 형성단계에 의하여 형성된 단열재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서 설명한 데크플레이트 제조단계에 의하여 제조된 데크플레이트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도 5에 나타낸 단열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절단면도이다.
도 8a는 도 6에서 나타낸 데크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절단면도이다.
도 9a는 종래의 데크플레이트의 삼각 트러스거더의 접합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는 도 6, 도 8a 및 도 8b에서 나타낸 외줄 트러스거더와 삼각 트러스거더의 접합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열재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 이하,"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라고 함)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단열재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데크 플레이트의 시공을 위한 데크플레이트 조립단계가 추가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은, 단열재 형성단계(S200) 및 데크플레이트 제조단계(S30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은 상술한 단열재 형성단계(S200) 이전에, 보강판 접합단계(S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은 상술한 데크플레이트 제조단계(S300) 이후에, 시공을 하는 과정에서 데크플레이트 조립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서 설명한 보강판 접합단계(S100)의 세부적인 단계를 설명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설명한 보강판 접합단계(S100)에 의하여 준비된 외줄 트러스거더(100)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외줄 트러스거더(100) 하부의 절곡된 부위 또는 평평한 부위에, 보강판(140)을 접합한다(S100). 여기서 상기 외줄 트러스거더(100)는 상부에, 간격을 두고 배근된 복수의 외줄 프레임(110)을 형성되도록 준비되며, 상기 보강판(140)은 상기 외줄 프레임(110)과 직교를 이루도록 결합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보강판 접합단계(S100)는, 상기 외줄 트러스 거더(100)의 절곡된 부위에 곡률에 대응하도록 절곡된 보강판을 접합하는 절곡형 보강판 접합단계(S110)와, 상기 외줄 트러스거더(100)의 직선형 부위에 수직 교차하도록 직선형 보강판을 접합하는 직선형 보강판 접합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줄 트러스거더(100)는, 도 4와 같이 상호 등간격으로 병렬 배치된 복수의 외줄 프레임(110)과, 웨이브(Wave)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외줄 프레임(110)의 각 하면에 결합하는 래티스재(120)와, 상기 래티스재(120)의 각 하단에 결합하여, 상기 래트스재(120)를 지지하는 지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줄 프레임(110)의 하면과 상기 래트스재(120)는 상향으로 굴곡진 지점이 접합할 수 있으며, 상기 래티스재(120)의 하향 굴곡진 지점과 상기 지지재(130)의 상면이 접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절곡형 보강판 접합단계(S110)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140)은 상호 병렬로 배치된 래티스재(120)의 하부 절곡지점을 연결하도록 상기 래트스재(120)와 격자로 결합하는 절곡된 판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강판(140)의 단면 형상은 'U' 자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판(140)의 곡률은 상기 래트스재(120) 하부 절곡지점의 곡률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직선형 보강판 접합단계(S120)에 있어서, 상기 병렬 배치된 지지재(130)에 평평한 직선형 판재를 격자로 접합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보강판 접합단계(S100)는, 상기 외줄 프레임(110)과 격자를 이루는 보강판(140)을 접합하여, 후술(後述)할 단열재 형성단계(S200)에서 상기 외줄 트러스거더(100)가 단열재(200) 내에 매립되는 동안, 상기 래티스재(120) 또는 지지재(130)의 움직임 고정하여 그 상단에 결합된 외줄 프레임(110)이 상기 단열재(200)의 상측으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단열재(200)에 매립된 래트스재(120) 또는 지지재(130)는, 일방향 정렬된 상태로서 그 고정구조가 견고하지 못하여 상기 단열재(200)로부터 이탈될 위험이 있으므로, 상기 래티스재(120) 또는 지지재(130)에 상에 보강판(140)을 격자로 접합하여 수직 방향의 고정구조 더해줌으로써, 상기 외줄 트러스거더(100)가 단열재(200) 내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열재(200)와, 상기 외줄 트러스거더(100)를 준비하고, 단열재(200) 내부에 상기 외줄 트러스거더(100)의 상부를 제외한 영역을 매립하여, 외줄 트러스 거더(100)와 일체로 형성된 단열재(200)를 형성한다(S200).
도 5는 상술한 단열재 형성단계(S200)에 의하여 형성된 단열재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단열재 형성단계(S200)에 있어서, 도 5와 같이 상기 단열재(200)의 외부로 상기 외줄 트러스거더(100)의 래티스재(120) 상부와, 병렬 배치된 복수의 외줄 프레임(100)이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단열재(200)는 스티로폼(styrofoam)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단열재 형성단계(S200)는, 단열재(200)의 양단에 'ㄱ' 또는 'ㄴ' 형상의 단차(200a.200b)를 주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단열재(200)의 양단 중 선택된 어느 한 방향에는, 'ㄱ'형상의 단차를 주고 다른 한 방향에는 'ㄴ' 형상의 단차를 준다.
도 7a는 도 5에 나타낸 단열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절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단열재 형성단계(S200)는, 단열재(200)의 일단에는 파여진 끼움 홈부(200h)를 형성하는 단계와, 타단에는 상기 끼움 홈부(200h)에 대응하는 끼움 돌부(200s)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외줄 프레임(110)의 상면에 삼각 트러스거더(300)를 안착하고 상기 외줄 프레임의 상면과 삼각 트러스거더의 하면을 접합하여 데크 플레이트를 제조한다(S300).
도 6은 상술한 데크 플레이트 제조단계(S300)에 의하여 제조된 데크 플레이트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데크 플레이트 제조단계(S300)에 있어서, 상기 외줄 프레임(110)의 상단에 삼각 트러스거더(300)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외줄 프레임의 상면과 삼각 트러스거더의 하면의 접합 부위를 용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줄 프레임(110)은 통상의 삼각 트러스거더(300)의 하현재와 동일 기능을 수행한다. 이처럼 상기 외줄 트러스거더(100)가 단열재(200)의 거푸집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이후에 설치되는 삼각 트러스거더(300)의 하현재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여, 트러스거더 구조물과 단열재(200)의 일체화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8a는 도 6에서 나타낸 데크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절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데크 플레이트 제조단계(S300)에 의하여 제조된 데크 플레이트는, 상기 단열재(200)의 일단면에 상기 외줄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으로 파여진 끼움 홈부(200h)가 형성되고, 타단면에 상기 끼움 홈부(200h)의 형상에 대응하여 끼움 돌부(200s)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데크 플레이트 제조단계(S300)에 의하여 제조된 데크 플레이트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상기 단열재(200)는 일단면에 복수의 끼움 홈부가 이격되어 형성되고, 타단면에 상기 끼움 홈부의 형상과 배치에 대응하여 복수의 끼움 돌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복수의 데크 플레이트를 병렬로 배치하여 양단부를 이음한다(S400).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데크플레이트 조립단계(S400)에 있어서, 도 6과 같이 양단에 단차가 형성된 데크플레이트를 조립하는 경우, 복수의 데크플레이트를 병렬 배치하고, 인접한 데크플레이트의 단부에 형성된 단차(200a.200b)를 끼워서 이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데크플레이트 조립단계(S400)에 있어서, 도 8a 및 8b과 같이 양단에 끼움 홈부(200h) 및 끼움 돌부(200s)가 형성된 데크 플레이트를 조립하는 경우, 복수의 데크플레이트를 병렬 배치하되, 각각의 데크플레이트의 끼움 홈부(200h)와 끼움 돌부(200s)가 마주보도록 배치하고, 일 데크플레이트의 끼움 돌부(200s)를 타 데크플레이트의 끼움 홈부(200h)에 내삽하여 이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음 구조는 결합부재 없이도 조립 가능하며, 내열재(200) 사이를 보다 견고하게 이음하여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상측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 타설액이 아래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단열재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의 외줄 프레임(110)과 삼각 트러스거더(300)의 접합 구조를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9a는 종래의 삼각 트러스거더의 접합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9b는 도 6, 도 8a 및 도 8b에서 나타낸 외줄 트러스거더와 삼각 트러스거더의 접합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종래의 데크플레이트의 삼각 트러스거더 구조는,'∧' 형상의 부재가 일방향으로 반복되어 연장되는 래티스재(2)와, 상기 래티스재(2)의 상단에 상기 래티스재(2)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현재(3)가 접합되고, 상기 래티스재(2)의 측면 하측부에 두 개의 하현재(1)가 접합되도록 구성된다.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단열재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는, 하현재를 별도로 구비하지 아니하고 단열재(200)로부터 연장된 외줄 프레임(110)이 종래의 하현재 역할을 하는 구조로서, 상기 외줄 프레임(110)이 삼각 트러스거더의 래티스(310)의 양 하단에 각각 접합된다. 즉, 상기와 같이 삼각 트러스거더(300)를 시공하는 경우, 상기 삼각 트러스거더(300)를 외줄 프레임(110)에 안착시킨 후에, 안착된 부위를 용접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종래의 방법보다 빠르고 간편한 시공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외줄 트러스거더
110: 외줄 프레임
120: 래티스재
130: 지지재
140: 보강판
200: 단열재
200a, 200b: 단차
200h : 끼움 홈부
200s : 끼움 돌부
300 : 삼각 트러스거더
310 : 삼각 트러스거더 래티스
320 : 삼각 트러스거더 상현재
S100: 보강판 접합단계
S110: 절곡형 보강판 접합단계
S120: 직선형 보강판 접합단계
S200: 단열재 형성단계
S300: 데크 플레이트 제조단계
S400: 데크 플레이트 조립단계

Claims (5)

  1. 단열재와, 상부에 외줄 프레임이 병렬로 배치된 외줄 트러스거더를 준비하고, 단열재 내부에 상기 외줄 트러스거더의 상부를 제외한 영역을 매립하여, 외줄 트러스 거더와 일체로 형성된 단열재를 형성하는 단열재 형성단계; 및
    상기 외줄 프레임의 상단에 삼각 트러스거더를 안착하고 상기 외줄 프레임의 상면과 삼각 트러스거더의 하면을 접합하여 데크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데크플레이트 제조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열재 형성단계 이전에,
    상기 외줄 트러스거더 하부의 절곡된 부위에, 상기 외줄 프레임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보강판을 접합하는 보강판 접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판 접합단계는,
    상기 외줄 트러스 거더의 절곡된 부위에 곡률에 대응하도록 절곡된 보강판을 접합하는 절곡형 보강판 접합단계;
    상기 외줄 트러스 거더의 직선형 부위에 수직 교차하도록 직선형 보강판을 접합하는 직선형 보강판 접합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데크 플레이트 제조단계는,
    상기 외줄 프레임의 상단에 삼각 트러스거더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외줄 프레임의 상면과 삼각 트러스거더의 하면의 접합 부위를 용접하되,
    상기 외줄 트러스거더는,
    상호 등간격으로 병렬 배치된 복수의 외줄 프레임과, 웨이브(Wave)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외줄 프레임의 각 하면에 결합하는 래티스재와, 상기 래티스재의 각 하단에 결합하여, 상기 래티스재를 지지하는 지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줄 프레임의 하면과 상기 래티스재는 상향으로 굴곡진 지점이 접합할 수 있으며, 상기 래티스재의 하향 굴곡진 지점과 상기 지지재의 상면이 접합되며,
    상기 삼각 트러스거더가 외줄 프레임에 용접될 시에 삼각 트러스거더에 하현재가 생략되고 상기 외줄 프레임이 삼각 트러스거더의 래티스의 양 하단에 각각 접합됨에 따라 삼각 트러스거더를 시공하는 경우 빠르고 간편한 시공이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 형성단계는,
    단열재의 양단에 'ㄱ' 또는 'ㄴ' 형상의 단차를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열재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
KR1020170145296A 2017-11-02 2017-11-02 단열재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 KR101888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296A KR101888870B1 (ko) 2017-11-02 2017-11-02 단열재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296A KR101888870B1 (ko) 2017-11-02 2017-11-02 단열재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8870B1 true KR101888870B1 (ko) 2018-09-20

Family

ID=63719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296A KR101888870B1 (ko) 2017-11-02 2017-11-02 단열재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8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017B1 (ko) * 2009-08-19 2010-10-29 공정두 데크 플레이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017B1 (ko) * 2009-08-19 2010-10-29 공정두 데크 플레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9516B1 (ko) 조립식 영구 거푸집 및 그 시공 방법
KR101384609B1 (ko) 측판 강성이 보강된 조립식 보 거푸집
KR101834006B1 (ko)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재 조립보와 이를 이용한 철골골조
KR100967734B1 (ko)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
KR200448085Y1 (ko) 거푸집패널 조립식 프레임
KR102104382B1 (ko) 철골 보, 합성 기둥, 및 이들의 접합 구조
KR20100043731A (ko) 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KR101779449B1 (ko) 중공박스형 강재 조립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0870068B1 (ko) 층고절감형 강-콘크리트 합성보-슬래브용 성형강판 조립 보
KR101888870B1 (ko) 단열재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
KR101425008B1 (ko) 건축용 슬래브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216632B1 (ko) 벽면 타설용 폼 블록 구조물을 이용한 벽면 시공방법
KR102071872B1 (ko) 데크결합체를 이용한 개량형 보거푸집 설치공법
KR100990967B1 (ko) 조립형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180073201A (ko) 합성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88376B1 (ko) 프리캐스트 벽체 조립을 위한 수직 접합 시공구조
KR200383489Y1 (ko) 영구 구조체로 이용되는 frp 구조체를 사용한 복합 철근콘크리트 보 구축 시스템
JP4657993B2 (ja) 柱梁接合部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190001131U (ko) 단열재 일체형 외줄 트러스거더 구조
KR101785723B1 (ko) 단열재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KR101781492B1 (ko) 조립형강과 데크 플레이트를 활용한 일체화 구조를 갖는 수벽
KR102021120B1 (ko) 개구부를 구비하는 하프 pc슬래브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pc슬래브의 개구부 시공방법
KR101385556B1 (ko) Pc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및 그 조립공법
KR101078292B1 (ko) 슬래브 거푸집 조립체 및 슬래브 시공 방법
KR200405361Y1 (ko) 슬라이딩 엔드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