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1897A - 콘크리트 거푸집용 거푸집 패널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거푸집용 거푸집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1897A
KR20160041897A KR1020167000550A KR20167000550A KR20160041897A KR 20160041897 A KR20160041897 A KR 20160041897A KR 1020167000550 A KR1020167000550 A KR 1020167000550A KR 20167000550 A KR20167000550 A KR 20167000550A KR 20160041897 A KR20160041897 A KR 20160041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tructure
panel
formwork
skin
form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0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9560B1 (ko
Inventor
카이 홀만
Original Assignee
폴리테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121044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6004189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폴리테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폴리테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041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8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8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plane ceilings of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 E04G21/0445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with booms
    • E04G21/0463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with booms with boom control mechanisms, e.g. to automate concrete distribu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non-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8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reinforcing ribs on the undersid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 구조물과 상기 지지 구조물에 연결된 별개의 거푸집 스킨을 포함한 콘크리트공사 거푸집널용 거푸집 패널로서, 지지 구조물은 실질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고, 실질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 된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 또는 실질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 된 다수의 거푸집 스킨요소들로 구성된 거푸집 스킨은 지지 구조물에 탈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공사 거푸집널용 거푸집 패널이 제시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거푸집용 거푸집 패널{FORMWORK PANEL FOR CONCRETING FORMWORKS}
본 발명의 주제는 지지 구조물과 별개의 거푸집 스킨을 포함한 콘크리트공사 거푸집널용의 거푸집 패널로서, 상기 지지 구조물은 실질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들로 구성되고, 실질적인 플라스틱 재료로 된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 또는 실질적인 플라스틱 재료로 된 다수의 거푸집 스킨 요소들 각각에 의해 구성된 거푸집 스킨은 지지 구조물에 탈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패널이다.
지지 구조물은 하나의 플라스틱 거푸집 패널일 수 있다. 하나 또는 각각의 거푸집 스킨요소는 하나의 플라스틱 몰딩일 수 있다.
콘크리트공사 거푸집널용의 거푸집 패널은 매우 다양한 디자인으로 공지되어 있다.
편의상 "일체식 거푸집 패널" 및 "합벽 거푸집 패널" 카테고리 간에 구별이 있다. 일체식 거푸집 패널은 전부 동일한 재료로 된 하나의 구조물이다.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된 일체식 거푸집 패널, 일체식 플라스틱 거푸집 패널 및 강철 용접 구성의 일체식 거푸집 패널이 공지되어 있다.
합벽 거푸집 패널은 대개 캐리어 격자(carrier grating)(프레임)과 상기 캐리어 격자의 일측에 부착된 거푸집 스킨(formwork skin)으로 구성된다. 캐리어 격자는 거푸집 패널의 지지 구성요소로서, 목재 빔, 강철 빔, 또는 알루미늄 빔의 캐리어 격자들이 공지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거푸집 스킨은 캐리어 격자보다 수명이 더 짧고, 특히 마모, 손상 또는 피로로 인해, 거푸집 패널을 몇 번 사용한 후에 교체된다. 거푸집 스킨을 나사 또는 리벳으로 캐리어 격자에 부착하는 것이 통상적인 관례이다. 공지의 합벽 거푸집 패널로, 거푸집 스킨은 대개 다층 합판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거푸집 스킨은 합판층/플라스틱층 또는 알루미늄층/플라스틱층 또는 유리섬유매트/플라스틱층의 합벽 구성의 형태로도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합벽 거푸집 패널의 경우, 지지 구조물은 실질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고 또한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 또는 각각의 다수의 거푸집 스킨요소들은 실질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 모두 구성된다. 지지 구조물은 전체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 또는 각각의 다수의 거푸집 스킨요소들은 각각 완전히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 구조물에 관해, 강화섬유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이점적이며, "단섬유(short fiber)" 또는 "장섬유(long fiber)"가 이용될 수 있고, 단섬유는 본 출원에서 길이가 평균 1mm 이하인 것을 말하고, 장섬유는 길이가 평균 1mm 이상인 것을 말한다(길이가 평균 수 밀리미터인 섬유도 아주 가능하다).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 또는 다수의 거푸집 스킨요소들에 대해, "단섬유" 및/또는 미네랄 입자들, 가령, 칼슘 카보네이트, 탤컴(talcum), 또는 기타 공지의 입자들로 강화된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이점적이다. 지지 구조물과 거푸집 스킨에서 모두, 다른 강화수단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첫 단락에서 "별개의"라는 용어는 지지 구조물과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 또는 다수의 거푸집 스킨요소들 각각이 별개로 제조된 후 거푸집 패널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다. 아래의 진술은, 지지 구조물의 별개의 제조로 인해, 제조 용어 면에서, 가령, 일체식 플라스틱 거푸집 패널보다 상당히 더 튼튼한 지지 구조물과 따라서 거푸집 패널이 전체적으로 달성될 수 있는 거푸집 패널의 이 부분을 설계하기 위한 개방된 가능성들이 있다는 것을 더 명확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첫 단락에서 "탈착식으로"라는 용어는(이 용어는 다르게는 "탈부착식으로"로 또한 정의될 수 있음)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 또는 다수의 거푸집 스킨요소들 각각이 지지 구조물에서 다시 제거되게 하는 연결 타입이 이용되는 것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기로, 이런 제거에는 공사에 연루된 경비가 거의 들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거푸집 스킨이 제거된 지지 구조물은 새로운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 또는 다수의 새로운 거푸집 스킨요소들이 상기 동일한 지지 구조물에 부착되는 점에서 상기 동일한 지지 구조물을 더 사용하게 한다. 지지 구조물에서 제거된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 또는 지지 구조물에서 제거된 다수의 거푸집 스킨요소들은 지지 구조물의 재료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균일하기 때문에 전혀 문제 없이 각각 재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은 거푸집 스킨의 전면, 즉, 걸쭉한 콘크리와 접촉을 이루는 거푸집 스킨면은 지지 구조물에 대한 거푸집 스킨의 콘크리트 상태와 관련된 거푸집 패널 구성부들이 없게 설계될 수 있다. 이런 거푸집 패널 구성부들이 거푸집 스킨의 전면에 있었다면, 이들은 완성된 콘크리트로 나타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이 피하고 싶은 것이다. 다시 말하면, 지지 구조물에 대한 거푸집 스킨의 연결은 명백히 거푸집 스킨의 후면에만 달성된다. 예컨대, 거푸집 스킨을 지지 구조물에 연결하기 위해 나사가 이용되면, 나사가 거푸집 패널의 후면으로부터 삽입되는 설계를 이용하는 것이 이점적이다.
본 명세서의 첫 단락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 된"이라는 용어는, 지지 구조물 또는 거푸집 스킨의 전체 부피에 대해 견주어 볼 때, 다른 재료들, 가령, 플라스틱 재료 또는 금속보강 코너들에 몰딩된 금속핀들의 매우 종속적인 용도가 이런 거푸집 패널들이 청구항 1의 보호범위 밖에 있는 결과가 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선택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거푸집 패널의 거푸집 스킨은 노화를 받는다. 콘크리트 펄프가 부어지고 거푸집 패널이 경화된 콘크리트에서 제거될 때 마모가 있다; 변하는 스트레스(거푸집 패널의 제거시 콘크리트 압력/응력제거로 인한 스트레스)로 인해 재료의 소정량의 피로가 있다; 그리고, 경험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건물부지로 운송, 건물부지에서 운송, 취급 등의 동안 야기된 손상이 때때로 있다. 이것이 바로 거푸집 패널을 몇 번 사용한 후에 거푸집 스킨이 교체되어야 하는 이유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의 구조에 비추어 문제가 없는 식으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은 하기의 내용을 조합해 상당히 많은 이점들을 달성한다:
(1) 전혀 문제없이 손으로 이동될 수 있게 거푸집 패널에 대해 25kg의 무게 제한이 설정된 경우,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푸집널 또는 거푸집 시스템이 효율적으로 세워지고 해체되게 하기 적합한 상당히 큰 거푸집 패널들이 여전히 있다.
(2)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은 40kN/m2까지의 콘크리트 압력에 대해 설계될 수 있고, 더 많은 재료가 사용되면, 50kN/m2 또는 60kN/m2까지의 콘크리트 압력에 대해 설계될 수 있다. 거푸집 패널은 다른 콘크리트 제품들에 대한 평탄도의 분류에 따라 구별하는 DIN 18202에 따라 허용된 최대 설계 콘크리트 압력 하에서 더 휘어지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거푸집 패널이 단지 적은 각도로 휨으로써 전체 콘크리트 제품에서 가능한 한 평탄한 콘크리트 외관이 달성되는 것을 보장한다.
(3)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에서, 플라스틱 거푸집 스킨은 내마모성, 스크래치 방지성, 및 내진성(shock-resistant) 설계로 될 수 있다. 수분의 흡수에 관해 전혀 문제가 없다. 거푸집 스킨은 거푸집 패널의 제거시 콘크리트에서 쉽게 떨어진다.
(4)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은 인접한 거푸집 패널들이 공통면에서 잘 정렬된 전면들과 배열되고 (콘크리트 슬러기가 거의 침투하지 못하는) 양호한 밀집배치가 되게 하는 최적의 조건들을 제공한다.
(5) 플라스틱 재료는 저렴하고 가공하기 쉬우며 다른 많은 재료들보다 더 내구력이 있다.
(6) 거푸집 스킨의 간단한 교체가능성과 거푸집 스킨/지지 구조물의 콘크리트 요소들의 일부분들에 대한 마크가 눈에 안 보이는 것도 이미 상기에서 지적하였다.
지지 구조물 및/또는 거푸집 스킨 요소들의 제조시 사용될 수 있는 플라스틱 몰딩 공정들이 매우 많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에 아주 적합한 공정들로서, 플라스틱 사출몰딩, 플라스틱 가압몰딩(분할 몰드에 플라스틱 그레인 또는 또한 플레이트형 전구체 또는 소위 프리폼의 주입, 플라스틱 재료를 용융하거나 플라스틱 재료의 열경화, 열경화성 플라스틱 재료가 고형화되게 하기 위한 몰드의 냉각), 열성형(열경화성 플라스틱 재료의 플레이트 또는 박막이 냉각된 몰드 또는 몰드의 절반부에 가열 및 가압되거나 진공 압력을 이용해 상기 냉각된 몰드 또는 몰드의 절반부에 석션됨), 및 플라스틱 압출이 언급될 수 있다.
지지 구조물은 비교적 복잡한 형태를 갖는 구성요소이다. 실질적으로 또는 완전히 플라스틱 재료의 일체형 사출몰딩 구성요소로서 지지 구조물을 설계하는 것이 특히 편리하다. 하기에 더 기술된 실시예들은 특히 사출몰딩 구성요소의 경우 하중지지능력(load-bearing cakpacity), 내구성 및 지지 구조물의 외관 면에서 이점적인 지지 구조물의 구성을 달성할 수 있음을 더 명백히 입증할 것이다. 명백히 나타낸 바와 같이, 완성된 구성요소가 사출몰딩 구성요소인 경우 완성된 구성요소로부터, 특히 비교적으로 작은 벽 두께, 비교적 작은 반경, 세밀하게 몰딩된 형태, 스푸루(sprue) 등으로부터 알 수 있다. 지지 구조물은 사출몰딩 구성요소일 수 있고, 그 형태는 사출몰딩에 의해 실제로 형성된 것이란 추론을 허용한다.
대안으로, 지지 구조물은 실질적으로 또는 완전히 플라스틱 재료의 일체형 가압몰딩 구성요소이다. 지지 구조물은 가압몰딩 구성요소일 수 있고, 그 형태는 가압몰딩에 의해 제조된 것이란 추론을 허용한다.
적어도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는 실질적으로 또는 완전히 플라스틱 재료의 일체형 사출몰딩 구성요소일 경우 이점적이다. 이 거푸집 스킨요소는 구성요소일 수 있고, 그 형태는 사출몰딩에 의해 제조된 것이란 추론을 허용한다. 거푸집 스킨요소 또는 요소들은 대체로 지지 구조물보다 덜 복잡한 구성을 갖는 구성요소들이다.
더욱이, 대안으로, 실질적으로 또는 완전히 플라스틱 재료의 일체형 가압몰딩 구성요소인 적어도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가 있을 경우 이점적이다. 거푸집 스킨요소는 구성요소일 수 있고, 그 형태는 플라스틱 재료의 가압몰딩에 의해 제조된 것이란 추론을 허용한다.
특정 거푸집 스킨요소는 종종 실질적으로, 하기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특정 용도로 몰딩 익스텐션과 함께 플레이트형이나, 국소적으로 거푸집 스킨 이 휘는 것을 줄이기 위해 별개의 강화 리브를 또한 가질 수 있다.
하기의 단락(1), (2), 및 (3)은 지지 구조물에 대한 편리한, 더 구체적인 설계 가능성을 설명한다:
(1) 지지 구조물은 벽들을 포함하거나 적어도 실질적으로 벽들로 구성된 일체형 구조물일 수 있다. 지지 구조물과 상기 지지 구조물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를 포함한 거푸집 패널에 대해, 벽들은 직각으로 뻗어 있는 "높이 확장" 및 거푸집 스킨요소 후면을 따라 뻗어 있는 "길이방향 확장"뿐만 아니라 "길이방향 확장"에 직각으로 측정된 벽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거푸집 스킨 전면에 직각으로 측정된 벽 높이는 전체적으로 균일할 수 있으나, 전체적으로 균일할 필요가 없다. 무엇보다도, 길이방향 확장은 직선이거나, 사이에 각을 이루며 횡단면에서 직선이거나, 연속적으로 구배지거나 횡단면에서 구배질 수 있다. 벽을 포함하거나 적어도 실질적으로 벽으로 구성된 구조물은 4개의 외벽들(이들은 거푸집 패널의 4개 가장자리에 가장 가까운 벽들임)뿐만 아니라 거푸집 패널의 가장자리에 덜 가까이 배열된 하나 이상의 중간벽들을 가질 수 있다. 벽들 외에, 지지 구조물은 추가 재료부, 특히 지지 구조물의 후면에 뻗어 있는 플레이트형 재료부를 가질 수 있다.
(2) 지지 구조물은 하나의 이중벽 또는 복수의 이중벽들을 포함할 수 있고, 지지 구조물의 후면(거푸집 스킨으로부터 더 멀리 있는 면)에 이 중 2개의(부분) 벽들은 재료부에 의해 또는 개개의 재료부에 의한 단면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연속한 방식으로 이중벽의 길이를 따라 서로 연결되거나, 이런 이중벽들로 우세하게 구성되거나, 적어도 실질적으로 이런 이중벽들로 전체적으로 구성된다. 벽 높이 확장, 벽 높이, 벽 길이방향 확장 및 벽 두께와 관련한 앞선 단락에서 진술도 유사하게 각각의 2개의 부분벽들 및 각각의 이중벽에 대해 적용된다. "적어도 실질적으로연속적인 방식으로"라는 표현은 가령 타이 앵커들의 통로 또는 지지 구조물/거푸집 스킨 연결을 위한 기계적 연결수단의 통로를 위해 지지 구조물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연속한 채널에 대한 사소한 단절들은 각각의 이중벽의 2개의 부분벽들 간에 "실질적으로 연속한" 연결이 확립된 것이란 사실을 바꾸지 못한다. 설계는 각각의 이중벽의 횡단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기에 더 상세히 기술된, 지지 구조물의 특히 이점적인 지탱 또는 지지행동이 달성되게 하는 실질적으로 U자형 구성 또는 실질적으로 모자형 구성이 형성되도록 한 것일 수 있다. 지지 구조물의 전면에, 이들 이중벽들은 개방될 수 있어, 양호한 제조 속성들이 제공된다. 단락 (2)에 개시된 설계는 단락 (1)에 개시된 특징들 중 하나 또는 다수의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다. 특히, 4개의 외벽들과 하나 이상의 중간벽을 가진 설계가 여기서 언급되며, 외벽 및 중간벽 또는 벽들 전체 중 일부분의 개수 또는 외벽들 중 일부분의 개수 또는 모든 외벽들, 및/또는 단지 중간벽들 중 일부분의 개수가 모두 중간벽들이거나, 외벽 및 중간벽 또는 벽들의 전체 모든 벽들이 이중벽 또는 기술된 타입의 이중벽들로 설계될 수 있다.
(3) 지지 구조물은 전면에서 후면으로 연속으로 뻗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특징은 후면에 연속 플레이트형 설계를 갖는 지지 구조물을 배제한다. 이점적으로, 각각 지지 구조물과 거푸집 패널의 안정성을 위해 편리한 지지 구조물의 전체 평면도 영역을 가로지른 분포(분포는 다소 균일하거나 반드시 균일할 필요가 없다)에서 다수의 이런 개구들, 특히 5개보다 많은 또는 10개보다 많은 또는 20개보다 많은 개구들이 있다. 개구들은 하중지지능력과 지지 구조물의 중량 간의 비를 향상시킨다. 단 하나의 개구만 있을 경우, 평면도로 본 면적의 크기는 지지 구조물의 전체 평면도 면적의 적어도 20%, 더 양호하게는 적어도 30%일 수 있다. 다수의 개구들이 있는 경우, 개구들의 면적 크기의 합은 지지 구조물의 전체 평면도 면적의 40%보다 큰, 더 양호하게는 50%보다 더 클 수 있다. 상술한 개구 또는 개구들 각각은 평면도로 본 면적 크기가, 적어도 개구들이 우세한 부분에 대해, 25㎠보다 큰, 더 양호하게는 50㎠이고, 따라서 지지 구조물의 전면에서 다른 용도의, 가령, 지지 구조물/거푸집 스킨 연결을 위한 기계적 연결수단들의 통로 또는 앵커의 통로용의 지지 구조물 후면까지 뻗어 있는 채널들의 크기보다 더 크다. 상술한 개구들 중 적어도 일부는 단락 (1)에 기술된 벽 또는 단락(2)에 기술된 이중벽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둘러싸일 수 있다. 단락 (3)에 기술된 설계는 단락 (1)에 개시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 및/또는 단락 (2)에 개시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과 조합될 수 있다.
양호한 가능성은 지지 구조물을 실질적으로 격자로 형성하는데 있다. 격자 설계는 비교적 작은 "지지 간격"으로 지지 구조물로 거푸집 스킨을 지지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들을 만들어, 거푸집 스킨은 치수가 비교적 얇아질 수 있는 반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하중지지능력을 제공한다. 이점적으로 지지 거리는 전반적으로 25cm보다 작은, 더 양호하게는 20cm보다 더 작은 더욱더 양호하게는 15m보다 더 작다. 특히 이점적인 실시예에서, 벽들, 즉 4개의 외벽과 상당한 개수의 중간벽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및 편리하게는 모두) 이중벽으로 설계된다. 중간벽의 이중벽(편리하게는 모든 이중벽들)의 적어도 일부는 지지 구조물의 후면(거푸집 스킨에서 더 먼 면)에 2개(부분)의 벽들이, 각각의 이중벽의 횡단면에서 볼 때, 지지 구조물의 특히 이점적인 지지 행동을 달성되게 하는, 하기에 더 상세히 기술된, U형 구성 또는 모자형 구성이 형성되게 각각 재료부에 연결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지지 구조물의 전면에, 이들 이중벽들이 개방될 수 있고, 따라서 양호한 생산 속성이 제공된다.
중간 이중벽에 대해, 2개의 부분벽들의 언급된 연결된 상태로 인해 가능하게는 하기에 더 기술되고 거푸집 패널 전면에 직각으로 뻗어 있는 채널로부터 이격된 거푸집 패널 후면 상에 2개의 부분벽들 간의 틈 또는 공간이 각각 재료부에 의해 외부로 연속으로 폐쇄될 수 있다. 외주 이중벽의 경우, 하기에 더 명확해지는 이유로, 2개의 부분벽들의 연결은 지지 구조물의 전면 및 후면 모두에 일련의 이격된 "연결 브릿지들"에 의해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단락 (1) 및 (3)에 개시된 더 구체적인 실시예로, 지지 구조물은 실질적으로 격자로 설계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실질적으로 격자로서의 설계가 이와 더불어 명백히 개시된 권리포기각서로 배제된다.
거푸집 스킨(즉,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 또는 다수의 거푸집 스킨요소들 각각)을 지지 구조물에 연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히 이점적인 연결 타입들은: 나사 및/또는 리벳 및/또는 클립타입의 연결부 및/또는 몰딩 연결핀 상에 융합되거나 막아진 확장부 및/또는 탈착식 접착 연결부(들)에 의한 것이다. "클립타입 연결부"라는 용어는 특히 카운터요소 뒤에 래칭된 부분들을 갖는 탄성 돌기부들과의 연결부 뿐만 아니라 오목한 (이점적으로, 단지 약간 오목하게 들어간) 카운터부에 눌러 끼워지는 (이점적으로, 단지 약간 돌출한) 돌출부를 갖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들에 대해 또한 참조가 이루어진다. 통상의 전문가들은 탈착식 접착 연결로 2개의 플라스틱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방법을 안다. 접착 연결을 풀기 위해, 가령, 선별적 용매를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
명백히 강조되고 명백히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본 명세서의 제 1 단락에 언급된 그러나 "탈착가능한"이란 수식어가 없는 특징들을 갖는 콘크리트공사 거푸집널용 거푸집 패널이다. 이 거푸집 패널은 본 출원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더 구체적인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거푸집 패널이 제공된 콘크리트공사 벽 거푸집널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공사 천장 거푸집널이 가능하다. 본 출원에 개시된 제조방법도 또한 해당 방식으로 이들 거푸집 패널에 적용된다. 예컨대, 특히 용접에 의해 거푸집 스킨을 지지 구조물에 연결할 수 있다. 이런 연결은 적어도 지지 구조물이 재사용될 수 있도록 고작해야 상당한 노출로는 행해질 수 없다.
적어도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가 지지 구조물과 특별한 거푸집 스킨요소 간에(그리고 자연히 그 반대 간에) 있을 수 있는 장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 적어도 하나 또는 다수의 몰딩 확장부를 가질 때 본 발명의 범위에 이점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에서, 장력은 거푸집 스킨 전면에 직각으로 작용하는 힘들로 이해된다. 장력은 특히 제조된 콘크리트 제품의 경화된 콘크리트에서 거푸집 패널이 당겨질 때 발생한다. 언급된 장력은 또한 전체적으로 다른 방향을 갖는 힘들의 힘 성분일 수 있다. 확장(또는 확장들)은 특히 나사들이 스레드적으로 결합되게 형성된 확장일 수 있다. 확장(또는 확장들)은 특히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가 오목부에 안착되는" 타입의 연결을 위한 확장일 수 있다.
적어도 한 위치 또는 다수의 위치들에 지지 구조물과 긍정적인 요철 결합을 이용한 적어도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가 있어, 거푸집 스킨 전면에 나란히 작용하는 발생가능한 전단력들이 각각의 거푸집 스킨요소와 지지 구조물 간에(및 자연히 그 반대 간에) 전달될 경우 본 발명의 범위에 이점적이다. 요철 결합은 각각 이 거푸집 스킨요소 상에 몰딩되고 지지 구조물에 형성된 수용부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확장부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확장부가 실질적으로 측면 방향으로 유격 없이 각각의 수용부에 배열될 경우 이에 대해 편리하다.
(적어도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에 있는 적어도 한 위치에 또는 다수의 위치들에서) 긍정적인 요철결합을 구현할 편리한 가능성은 적어도 하나의 벽, 더 양호하게는 다수의 벽들 또는 지지 구조물에 연속으로, 또는 가령 치차형 랙의 치차 타입의 일련의 확장부 및 오목부들을 갖는 단면에 제공된 모든 벽들의 거푸집 스킨 면 단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경우, 지지 구조물 벽의 단부들이 거푸집 스킨과 결합되는 이들 부분에서 거푸집 스킨의 후면에 적어도. 가령, 치차형 랙의 치차 타입의 부분적으로 연속인 확장부 및 오목부가 제공된다. 결합 부에서, 지지 구조물의 각각의 벽의 확장부들은 거푸집 스킨의 오목부에 결합되고 거푸집 스킨의 확장부는 상호 보완적인 결합의 형태로 지지 구조물의 각각의 벽의 오목부에 결합된다. 여러 방향으로 뻗어 있는 벽들의 시스템의 경우, 특히 벽을 가로지르는 시스템의 경우, 지지 구조물과 거푸집 스킨 간에 결합의 전단 강도는 (거푸집 스킨 전면에 나란한 가능한 수많은 방향들 중) 단지 한 방향으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벽들은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이중벽일 수 있으나,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설계의 벽들일 수 있다.
상술한 긍정적 결합 상황 또는 상황들로 인해, 지지 구조물과 각각의 거푸집 스킨요소 사이에 및 그 반대 사이에 즉각적인 전단력 전달이 보장된다. 다시 말하면: 긍정적인 결합상황 또는 상황들로 인해, 적어도 크게 공통으로 지지 구조물을 구성하도록 각각의 거푸집 스킨요소와 지지 구조물이 통합된다. 이런 식으로, 지지 구조물에 재료를 절감할 수 있다.
2개의 앞선 단락에 언급된 거푸집 스킨요소에, 확장/오목결합을 이용한 다수의 위치들이 있고 이들 결합 확장들 중 부분적인 개수가 동시에 지지 구조물과 각각의 거푸집 스킨요소 간에 발생가능한 장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또한 갖는 확장부 또는 확장부들을 구성할 때 본 발명의 범위에서 이점적이다. 이들 이중기능 확장들로, 거푸집 스킨요소/지지 구조물을 실장하는 기능 및 직접 전단력을 전달하는 기능이 동시에 제공되며, 이는 또한 재료 밸런스를 강화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각각의 거푸집 스킨요소와 지지 구조물 간에 탈착식 연결을 위한 위치들뿐만 아니라 다른 위치들에 직접 전단력 전달 가능성에 대한 위치들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또한 가능하며, 이는 거푸집 패널의 후면으로부터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탈착식 연결을 더 쉽게 할 수 있게 하고, 이는 거푸집 스킨을 교체하기 위해 거푸집 패널이 해체될 경우 이점적으로 드러난다.
지지 구조물의 플라스틱 재료가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의 플라스틱 재료 또는 다수의 거푸집 스킨요소의 플라스틱 재료 또는 재료들보다 더 튼튼할 경우 본 발명의 범위에 이점적이다. 지지 구조물은 거푸집 패널의 전체 세기의 대부분을 형성하는 반면 거푸집 스킨은 단지 거푸집 패널내 전체 세기의 더 적은 부분만을 형성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는 세기가 덜한 플라스틱 제료로 구성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지지 구조물의 플라스틱 재료에 대해, 특히 편리한 가능성을 이루는 유리섬유 또는 탄수섬유의 강화섬유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이점적이며, (길이가 1mm 이하의)단섬유 뿐만 아니라, 가령 길이가 수 밀리미터인 장섬유가 생각될 수 있다. 비교적 단섬유를 갖는 강화섬유 또는 입자들, 특히 칼슘 카보네이트 입자 및 탤컴(talcum) 입자와 같은 미네럴 입자들을 갖는 강화섬유를 제공하는 것이 언급된 거푸집 스킨요소에 이점적이다. 언급한 거푸집 스킨요소에 대해, 이는 본 발명에 따라 가장 앞에 있는 최대 강도가 아니라, 오히려 양호한 콘크리트면들, 양호한 재활용 가능성 및 적절한 가격에 대한 양호한 표면 품질이다.
거푸집 스킨요소가 못박을 수 있게 적어도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의 플라스틱 재료가 선택될 경우 본 발명의 범위에 이점적이다. 거푸집 패널들로 가령 (또한 공동이라고 하는 오목부 또는 천공부가 콘크리트에 형성되게 하는) 블록형 부분들이나 빔형 부분들 또는 (또한 스톱엔드 또는 스톱엔드 거푸집이라고 하는 콘크리트 제푼의 종단 가장자리를 형성하기 위해) 거푸집 앵글 피스들이 못질로 부착될 수 있게 주어지는 상황들이 꽤 종종 있다. 이 단락의 처음에 언급된 못질 가능성은 직경이 3mm인 못이 못질 위치 주위에 눈에 보이는 틈이 형성되지 않게 들어갈 수 있도록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못은 나중에 다시 빼낼 수 있고, 못 구멍은 실질적으로 다음 콘크리트공사 적용 동안 콘크리트 슬러리로 다시 메워지고, 대체로 막힌 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 구조물의 플라스틱 재료보다 세기가 덜한 플라스틱 재료가 못질 가능한 설계에 더 쉽게 제공될 수 있다. 대체로 유리섬유가 못질가능성을 명백히 악화시킨다.
2개의 길이방향 측면들 및/또는 2개의 횡방향 측면들 상의 지지 구조물은 각각 벽형, 특히 다수의 벽 개구들, 특히 벽관통 개구를 갖는 이중벽형 설계를 가질 경우 본 발명의 범위에 이점적이다. 이들 개구들은 거푸집 패널의 취급 동안 개구들에 이르고 인접한 거푸집 패널들을 연결하는데 편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벽 개구들 뿐만 아니라 벽 개구 주위의 영역들은 인접한 거푸집 패널 및/또는 푸시-풀 프롭(push-pull props) 또는 거푸집 브라켓과 같은 거푸집널 악세서리를 결합시키기 위한 기계적 결합요소들이 편리한 방식으로 연결 또는 부착될 수 있게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 구조물에 충분한 안정성을 이들 위치들에 제공할 수 있다.
평면도로 보면, 거푸집 패널은 적어도 0.8㎡,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의 면적을 가질 경우 본 발명의 범위에 이점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 타입으로 인해, 거푸집 패널을 과하게 휘게 하거나 재료의 사용이 과하고 이에 따른 중량이 초과하지 않게, 40kN/㎡까지, 또한 50kN/㎡까지, 또한 60kN/㎡까지 콘크리트 압력흡수능력을 갖진 이런 크기의 이용가능한 거푸집 패널을 쉽게 만들 수 있다.
지지 구조물 및/또는 거푸집 스킨요소에 대한 플라스틱 재료로서,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를 각각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나, 열경화성 플라스틱 재료의 이용도 또한 가능하다.
여러 곳에서 앞서의 설명은 "적어도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로 구성된 거푸집 스킨의 경우, 이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라는 의미는, 거푸집 스킨이 다수의 거푸집 스킨요소들로 구성된 경우, 이들 다수의 거푸집 스킨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나타낸 바와 같이 설계되는 것을 가리킬 수 있다. 그러나, 다수의 거푸집 스킨요소들 각각 또는 거푸집 패널에 제공된 모든 거푸집 스킨요소들이 이에 따라 설계될 경우 특히 이점적이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라는 표현을 이용한 각각의 위치들에 적용된다. 전체적으로 보면,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로 거푸집 스킨이 형성되는 경우가 가장 이점적인 경우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의 즉각적인 이점은 벽 거푸집널을 세우거나 천장 거푸집널을 세우기 위해 하나 및 동일한 거푸집 패널이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게 설계될 있다는데 있다. 본 출원에서 "벽 거푸집널"이라는 용어는 또한 컬럼용 거푸집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주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결합된 거푸집 패널들을 포함한 콘크리트공사용 벽 거푸집널이다. "결합된"이라는 용어는 "각각의 결합위치에서 수평으로 서로 붙은" 및/또는 "각각의 결합위치에 수직으로 서로 붙은" 것을 말한다. 상술한 거푸집 패널들의 벽 개구들과 협력하는 결합용 결합요소를 이용할 수 있다. 결합요소들 각각은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 샤프트부를 갖는 문 손잡이와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샤프트부 상에, 2개의 플랜지들이 제공될 수 있다. 결합요소는 이들이 샤프트부의 중심축 주위로 선회운동에 의해 결합에 들어가거나 결합에서 빠져나오게 될 수 있게 설계될 수 있다. 결합요소들은 도 33 내지 도 35로 기술된 하나 이상의 구체적인 특징들을 가질 수 있다. 2개의 인접한 거푸집 패널들이 서로 접촉한 영역과 나란히, 하나의 결합요소 또는 다수의 결합요소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에 개시된 결합요소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과 별개로, 그 자체로 특허가능한 주제를 이루는 것이 강조된다.
결합요소용 이점적인 재료는 금속 및 플라스틱 재료다.
본 발명에 따른 벽 거푸집널에서, 피제조 벽의 코너에 포스트들이 제공될 수 있고, 거푸집 패널들이 "코너를 가로질러" 포스터들과 결합된다. 이는 피제조 벽의 코너 또는 컬럼 코너의 안팎에 대해 모두 적용된다. 특히, 각각의 포스트는 직사각형(폭보다 더 긴) 또는 정사각형 수평 횡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주제는 더 큰 천장 거푸집널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거푸집 패널들이 공간상의 (또한 종래 설계의 지지 구조물일 수 있는) 지지 구조물 가까이에 지탱되는 콘크리트공사 천장 거푸집널이다. 지지 구조물은 각각의 거푸집 패널들이 각각 적어도 하나의 천장 거푸집널 프롭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거푸집 패널빔에 각각 지탱되도록 설계될 수 있고, 거푸집 패널 빔은 차례로 천장 거푸집 프롭 및/또는 메인 천장 거푸집널 빔에 지탱되며, 메인 천장 거푸집널 빔은 차례로 천장 거푸집 프롭에 지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주제는 본 출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공사 거푸집널용 거푸집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지지 구조물은 플라스틱 재료, 바람직하게는 강화섬유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사출몰딩 또는 가압몰딩되고;
거푸집 스킨요소 또는 다수의 거푸집 스킨요소들이 바람직하게는 지지 구조물의 플라스틱 재료와는 다른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사출몰딩 또는 가압몰딩되며;
(a)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로 거푸집 스킨이 구성되는 경우, 이 거푸집 스킨요소는 지지 구조물에 탈착식으로 부착되거나,
(b) 복수의 거푸집 스킨요소들로 거푸집 스킨이 구성되는 경우, 이들 다수의 거푸집 스킨요소들은 지지 구조물에 탈착식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후면에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 또는 후면에 다수의 거푸집 스킨요소들 각각은 복수의 몰딩 확장부들을 갖고, 나사가 지지 구조물의 후면으로부터 확장부들 중 적어도 일부분의 개수와 스레드로 결합될 때 이 방법에서 이점적이다. 나사는 셀프-테이핑 나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로써 본 발명과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 옵션들을 하기에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공사 거푸집널용의 거푸집 패널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
도 1은 바라보는 거푸집 패널 전면에서 비스듬히 본 거푸집 패널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바라보는 거푸집 패널 후면에서 비스듬히 본 도 1의 거푸집 패널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바라보는 지지 구조물 전면에서 비스듬히 본 도 1의 거푸집 패널의 지지 구조물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바라보는 지지 구조물 후면에서 비스듬히 본 도 3의 지지 구조물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바라보는 거푸집 스킨 전면에서 비스듬히 본 도 1의 거푸집 패널의 거푸집 스킨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바라보는 거푸집 패널의 거푸집 스킨의 후면에서 비스듬히 본 도 5의 거푸집 스킨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4의 선 VII-VII를 따라 도 1의 거푸집 패널의 부분 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1의 거푸집 패널의 후면의 부분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공사 거푸집널용의 거푸집 패널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
도 9는 바라보는 거푸집 패널 전면에서 비스듬히 본 거푸집 패널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바라보는 거푸집 패널 후면에서 비스듬히 본 도 9의 거푸집 패널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바라보는 거푸집 스킨 후면에서 비스듬히 본 도 9의 거푸집 패널의 거푸집 스킨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도 11의 도면의 부분도를 확대해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지지 구조물과 거푸집 스킨의 어셈블리의 중간단계로 바라보는 거푸집 패널 후면에 비스듬히 본 도 9의 거푸집 패널의 일부분의 부분 횡단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도 13에서와 같으나 어셈블리 동작의 완료 후의 부분 횡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공사 거푸집널용의 거푸집 패널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
도 15는 바라보는 거푸집 스킨 후면에서 비스듬히 본 거푸집 패널의 거푸집 스킨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도 15의 도면의 부분도를 확대해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지지 구조물과 거푸집 스킨의 어셈블리의 중간단계로 바라보는 거푸집 패널 후면에 비스듬히 본 거푸집 패널의 일부분의 부분 횡단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도 17에서와 같으나 어셈블리 동작의 완료 후의 부분 횡단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공사 거푸집널용의 거푸집 패널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
도 19는 바라보는 거푸집 패널 전면에서 비스듬히 본 거푸집 패널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바라보는 거푸집 패널 후면에서 비스듬히 본 도 19의 거푸집 패널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바라보는 거푸집 패널 후면에서 비스듬히 본 도 19의 거푸집 패널의 거푸집 스킨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지지 구조물과 거푸집 스킨의 어셈블리의 중간단계로 바라보는 거푸집 패널 후면에 비스듬히 본 도 19의 거푸집 패널의 일부분의 부분 횡단면(도 21의 횡단면선 XXII-XXII)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3은 도 22에서와 같으나 어셈블리 동작의 완료 후의 부분 횡단면도이다.
도 24 내지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공사 거푸집널용의 거푸집 패널의 제 6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
도 24는 바라보는 거푸집 패널 후면에서 비스듬히 본 거푸집 패널의 거푸집 스킨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5는 도 24의 도면의 부분도를 확대해 도시한 것이다.
도 26은 바라보는 거푸집 패널 후면에서 비스듬히 본 거푸집 패널의 일부분의 부분 횡단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7은 도 24의 선 XXVII-XXVII를 따른 거푸집 패널의 부분 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8은 거푸집 패널의 후면의 부분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9는 바라보는 거푸집 패널 후면에서 본, 거푸집 패널의 일부분의 사시도의 형태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공사 거푸집널용의 거푸집 패널의 제 7 실시예를 도기한 것이다.
도 30은 바라보는 거푸집 패널 후면에서 본, 거푸집 패널의 일부분의 사시도의 형태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공사 거푸집널용의 거푸집 패널의 제 9 실시예를 도기한 것이다.
도 31은 벽 거푸집널에 대해 비슴히 위에서 본,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거푸집 패널들을 포함한 콘크리트공사 벽 거푸집널의 일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2는 천장 거푸집널에 대해 비스듬히 위에서 본,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거푸집 패널들을 포함한 콘크리트공사 벽 거푸집널의 일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3의 (a)와 (b)는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3의 (c)는 측면도를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용 결합요소를 도시한 것이다.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거푸집 패널에 설치 동안 2개의 다른 상태들로 도 33의 2개 결합요소들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거푸집 패널에 완성된 설치된 상태로 도 33 및 도 34의 결합요소들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6 내지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공사 거푸집널용의 거푸집 패널의 제 10 실시예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0 실시예의 변형을 도시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
도 36은 거푸집 패널과 상기 거푸집 패널의 지지 구조물의 후면의 개략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7은 도 36의 횡단면선 XXXVII-XXXVII를 따라 도 36의 거푸집 패널의 개략 횡단면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8은 도 36의 횡단면선 XXXVII-XXXVII를 따르나 변형된 도 36의 거푸집 패널의 개략 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9는 거푸집 패널과 상기 거푸집 패널의 지지 구조물의 후면의 개략 평면도의 형태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공사 거푸집널용의 거푸집 패널의 제 1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기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거푸집 패널"이라는 용어는 간략히 하기 위해 "콘크리트공사 거푸집널용의 거푸집 패널" 대신 사용된다. 거푸집 패널의 치수와 하중지지능력(load-bearing cakpacity) 면에서 예시되고 기술된 모든 거푸집 패널들은 콘크리트공사 거푸집널에 사용되는 동안 발생한 하중을 견디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거푸집 패널(2)은 2개의 구성 부분들, 즉, 지지 구조물(4)과, 예시적인 경우로,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8)로 구성된 거푸집 스킨(6)으로 이루어진다. 지지 구조물(4)과 거푸집 스킨요소(8) 모두가 예시적인 경우 전체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다.
전체적으로 보면, 거푸집 패널은 도 1에서 보이는 거푸집 스킨 전면(10)의 면에 직각으로 측정되고 동시에 거푸집 패널 전면(10)이 되는 것으로, 길이 치수(l) 및 폭 치수(b)보다 상당히 더 작은 치수 혹은 두께(d)를 갖는 직육면체 형태 또는 기하학적 모양을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길이(l)는 가령 135cm이고 폭(b)은 90cm이고, 두께(d)는 10cm이다.
도 3 및 도 4는 특히 지지 구조물(4)이 격자 구성을 갖는 것을 명확히 나타낸다. 2개의 길이방향 가장자리들 각각은 이중벽(12) 형태이고, 2개의 횡 가장자리들 각각은 이중벽(14) 형태이다. 길이방향 외벽(12)들 사이에 그리고 상기 외벽에 나란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5개의 이중벽 설계의 길이방향 중간벽(16)이 있다. 횡 외벽(14) 사이에 그리고 상기 횡 외벽에 나란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8개의 이중벽 설계의 길이방향 중간벽(18)이 있다. 길이방향 중간벽(16) 사이에 뿐만 아니라 각각의 "마지막" 길이방향 중간벽(16) 및 각각의 길이방향 외벽(12) 사이의 틈 거리는 모두 서로 유사하다. 길이방향 중간벽(18) 사이에 뿐만 아니라 각각의 "마지막" 횡 중간벽(15) 및 각각의 횡 외벽(14) 사이의 틈 거리는 모두 서로 유사하고, 더욱이, 후술된 바와 같이 다양한 길이방향 벽들(12,16) 간의 거리와 동일하다. 다양한 벽들(12,14,16,18) 사이에, 전면(도 3) 또는 후면(도 4)의 평면도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개구들(20)로 된 매트릭스형 또는 체스보드형 배열이 형성되며, 개구들은 지지 구조물(4)의 전면(22)을 향해 그리고 지지 구조물(4)의 후면(24)을 향해 개방되어 있으나, 하기에 더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다소 크기가 다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물(4)의 길이방향(l)으로 9개의 개구들(20)이 직렬로 그리고 횡방향(b)으로 6개의 개구들(20)이 직렬로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틈 개구(20)는, 전면(22)에서 측정될 때, 크기가 약 10×10cm이다.
지지 구조물(4)(도 4)의 후면(24)에서 보면, 후면 단부에서 중간벽(16,18)의 이중벽 구조는 거푸집 스킨 전면(10)에 나란히 각각 뻗어 있는 재료부(26)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지지 구조물의 후면(24)에 추가 재료를 데려온다. 도 8은 전면(22)에 인접한 단부에서 중간벽(16,18) 각각이 양면에, 말하자면 상기 중간벽(16,18)을 각각 넓힌, 플랜지(28)를 갖는 것을 나타낸다. 각각의 중간벽(16,18)을 횡단면으로 보면, 이를 모자형태의 이중벽 횡단면적이라 할 수 있다(비교. 이에 대해 또한 도 29 및 도 30에서, 다른 실시예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1 내지 도 8의 실시예에서 또한 여태까지 동일하게 나타나 있다). 플랜지(28)는 전면(22) 부근에 추가 플라스틱 재료를 데려온다; 더욱이, 거푸집 스키(6)용 접촉면 또는 안착면이 확대대고 거푸집 스킨요소(8)의 지지부들 간의 틈 거리가 감소되어 있다. 따라서, 개구(20)의 전면(22)에서 틈 횡단면은 후면(24)에서보다 더 작고, 크기가 약 12×12cm이다.
개구(20)가 길이방향 외벽(12 및 14)의 내벽에 형성된 위치들에서, 길이방향 외벽(12 및 14) 각각은 각각의 외벽(12 및 14)을 지나는 세장된 홀 형태의 타원형 벽개구(30)를 갖는다. 개구(30)는 각각 외벽(12 및 14)을 완전히 관통하고(즉, 개구는 이중벽 구조의 양쪽 부분의 벽들을 통과해 뻗어 있고) 개방형 외벽(32)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게다가, 외벽(12 및 14)에, 각각의 외부면(즉, 지지 구조물(4)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면)은 지지 구조물(4)의 외곽에서 약간 오목하게 들어간 것으로 여기서 나타나 있다. 다시 말하면, 후면(24)의 외곽은 외벽(12 및 14)의 상술한 외부면을 따른 직사각형 라인보다 약간 더 큰 직사각형을 구성한다.
각각의 중간벽(16 및 18)이 교차하는 위치뿐만 아니라 중간벽(16 및 18)이 외벽(12 및 14)에서 병합되는 위치에서, 각각, 둥근 횡단면의 채널(34)이 각각 제공되며, 상기 채널은 벽(38)에 의해 이중구조로 형성된 인접한 3 또는 4개의 틈새(36)로 묘사된다. 채널(34)은 전면(22)에서 후면(24)으로 각각 연속해 있다.
도 5 및 도 6은 거푸집 스킨요소(8)가 후면에 익스텐션(40)와 함께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것을 나타낸다. 거푸집 스킨요소(8)의 길이방향 가장자리들 부근에 위치된 도 5에서 보이는 4개의 둥근 개구들(42)의 기능은 하기에 더 상세히 언급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총 66개(즉, 70 빼기 4개의 개구(42))의 익스텐션들(40)이 있다. 익스텐션들(40) 각각은 4개의 개구(42)의 위치와는 별개로 중간벽(16 및 18)과, 외벽(12 및 14) 및 중간벽(16 및 18) 사이 T 위치에 각각 제공된다. 따라서, 익스텐션들(40)은 매트릭스 패턴 또는 체스보드 패턴으로 배열된다.
지지 구조물(4)과 거푸집 스킨요소(8)가 함께 결합되면, 각각의 익스텐션(40)이 채널(34)의 전면 단부로 들어간다. 도 7은 숄더(44)가 지지 구조물(4)의 후면(24)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각 채널(34)이, 지지 구조물(4)의 전면(22)에 인접한 단부에서, 축소된 둥근 횡단면을 갖는 것을 나타낸다. 더욱이, 도 7 및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각 익스텐션(40)은 대응하는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슬릿들(46)에 의해 익스텐션의 외주 주위로 분포된 4개의 돌기부들(48)로 서브분할된다. 각각의 돌기부들(48)은, 그 길이의 중심부에서, 외부에 약간 90°미만으로 원의 일부를 가로질러 뻗어 있는 각각의 숄더(50)를 갖고, 지지 구조물(4)과 거푸집 스킨요소(8)의 어셈블리 상태에서, 채널(34) 또는 지지 구조물(4)의 각각의 숄더(44) 뒤에서 외부로 래치된다. 중심에서, 즉, 4개의 돌기부들(48) 사이에 안쪽으로, 익스텐션(40)들 각각은 거푸집 스킨요소(8)의 플레이트 후면(54)의 수평면에서 대략 종료되는 축방향 확장공동(52)을 갖는다. 더욱이, 각각의 돌기부들(48)은, 지지 구조물(4)의 후면(24)을 향한 단부에서, 참조번호 5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테이퍼진다. 각각의 익스텐션(40)의 기술된 설계에 비추어, 지지 구조물(4)과 거푸집 스킨요소(8)의 어셈블리 동안 익스텐션(40)은 채널(34)의 더 작은 횡단면의 일부로 각각 삽입될 수 있다. 테이퍼면(56)으로 인해, 이런 삽입 동안 돌출부(48)는 확장 중심축을 향해 약간 탄성적으로 가압되고, 각각의 익스텐션(40)은 탄성적으로 외부로 복원하는 돌기부(48)로 인해 각각이 익스텐션(40)의 숄더(50)가 각각의 채널(34)의 숄더(44) 뒤에서 딸각 잠길 때까지 점점더 깊이 각각의 채널(34)로 들어간다.
각 익스텐션(40)과 채널(34)의 숄더(44)와의 상술한 결합에 의해, 지지 구조물(4)과 거푸집 스킨요소(8) 사이에는 채널(34)의 길이방향으로, 또는 다시 말하면, 거푸집 패널 전면(10)에 직각으로 작동하는 장력의 작용에 반해 지지 구조물(4)과 거푸집 스킨요소(8)를 함께 붙들고 있는 연결 또는 부착이 형성된다. 각 익스텐션(40)에서 외주의 돌기부(48)는 횡단면이 더 작은(비고, 참조번호 58) 각각의 채널(34)의 일부와 접촉하고 돌출부(48)가 충분히 큰 재료 횡단면적을 갖기 때문에, 각각의 익스텐션(40)의 이 부분과 각각의 채널(34)의 더 작은 횡단면(58) 부분 간에 요철결합으로 지지 구조물(4)의 전면(22)과 거푸집 스킨요소(8)의 플레이트 후면(54) 간의 경계면에 대해 전단력(즉, 거푸집 패널 전면(10)에 나란히 작용하는 힘)을 전달할 수 있는 연결이 생성된다. 따라서, 지지 구조물(4)과 거푸집 스킨요소(8)는 발생한 힘들에 대해 적어도 큰 공통 지지 구조물을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거푸집 스킨요소(8)는 하나의 길이방향 가장자리 부근에 2곳과 다른 길이방향 가장자리 부근에 2곳에서 각각 원형 개구(42)를 갖는다. 각각의 개구들(42)은 채널(34)이 지지 구조물(4)에 위치된 장소에 제공된다. 따라서, 각각의 (여기서 관심있는 타이 앵커의 중앙부에서, 이것은 기본적으로 막대인) 소위 타이 앵커(tie anchor)가 슬라이딩식으로 완성된 거푸집 패널(2), 즉, 지지 구조물(4)과 거푸집 스킨요소(8)를 관통할 뿐만 아니라 이격되어 있는 식으로 나란하게 설정된 거푸집 패널(2)을 완전히 관통해 삽입될 수 있는 4개의 위치들이 형성된다. 이런 타이 앵커들은 특히, 콘크리트를 패널들 사이 공간에 부어 콘크리트 벽을 형성하도록 거푸집 패널들이 떨어져 있는 식으로 설정된, 콘크리트공사 벽 거푸집널에 사용된다. 이런 패널들 사이 공간에서 멀어지게 지향된 각각의 거푸집 패널 쌍의 거푸집 패널(2)의 후면(24)에는, 가령, 너트 플레이트들이 스레드식으로 타이 앵커들과 맞물린다. 타이 앵커들은 부어진 펄프 콘크리트가 거푸집 패널 쌍의 거푸집 패널들을 떨어지게 하는 면으로 작용하는 이런 힘들을 멈추게 한다.
거푸집 스킨요소(8)를 지지 구조물(4)에 부착하는 것은 탈착식일 수 있다. 거푸집 스킨요소(8)를 지지 구조물(4)에서 제거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익스텐션의 각각의 돌기부들(48)을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이 단지 필요하다. 다른 가능성은 지지 구조물(4)에 대해 거푸집 스킨요소(8)의 회전운동을 행하는 것으로, 이는 부착을 깨어버린다.
도 6은 (하기의 도 11, 12, 15, 16에 더 명백한) 거푸집 스킨요소(8)의 플레이트형 부분(9), 즉, 익스텐션(40)이 없는 거푸집 스킨요소(8)가, 후면에 모두 4개의 가장자리들에서, 거푸집 스킨요소(8)의 두께(d) 방향으로 더 두껍고 그 위치에서 거푸집 스킨요소(8)의 내마모성과 하중지지능력뿐만 아니라 인접한 거푸집 패널(2)에 대한 거푸집 패널(2)의 기밀성을 높이는 측대(marginal strip)(11)를 갖는다. 본 출원이 거푸집 스킨요소의 플레이트 후면(54)을 언급한다면, 측대(11) 내의 후면을 말한다. 측대(11) 내부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플라스틱 재료의 "플레이트 두께"는 5mm이다.
도 9 내지 도 14로,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2)의 제 2 실시예를 하기에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따른 제 1 실시예에 비해 변경은 기본적으로 단지 지지 구조물(4)과 거푸집 스킨요소(8)를 서로 연결 또는 부착하기 위해 제공된 수단들의 설계에 관한 것이다. 하기의 설명은 이들 변경들에 집중해 있다.
도 13 및 도 14에서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 구조물(4)과 거푸집 스킨요소(8)를 서로 탈착식으로 연결 또는 부착하는데 사용된 채널(34)은 지지 구조물(4)의 전면(22)에 인접한 단부에는 축소된 횡단면이 없으나, 지지 구조물(4)의 후면(24)에 인접한 단부에서 원형 횡단면의 중공 소켓(60)을 가지며, 내부 원주와 외부 원주에서 둘 다 채널(34)의 나머지보다 횡단면이 더 작아진다.
익스텐션들(40)은 90°각도로 이격되어 있는 4개의 반경방향 확장리브(64)를 갖는 중공의 실린더형 중앙 소켓(62)으로 기술될 수 있는 횡단면을 각각 갖는다. 각 익스텐션(40)은 지지 구조물(4)의 두께의 약 1/3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거푸집 스킨요소(8)의 플레이트 후면(54)으로부터 돌출한다. 각각의 익스텐션(40)을 관통한 횡단면으로 보면, 4개의 리브들(64)은 각각의 채널(34)의 4개의 내부 코너들(6)만큼 멀리 뻗어 있는 치수로 된다. 따라서, 각각의 몰딩 익스텐션(40)과 이에 따라 요철결합에 의해 각각의 채널(34)과 협력하는 모든 익스텐션들(40) 전체가 거푸집 패널 전면(10)에 나란히 작용하는 전단력을 전달할 수 있는 거푸집 스킨요소(8)와 지지 구조물(4) 간에 상호연결을 제공한다.
지지 구조물(4)과 거푸집 스킨요소(8)의 상호 앵커링을 위해, 익스텐션(40)의 래칭 돌기부들이 더 이상 제공되지 않으나, 나사(70)가 지지 구조물(4)의 후면(24)에서 그리고 지지 구조물(4)의 소켓(60)을 관통해 각각의 익스텐션(14)의 중공 소켓(62)의 내부와 스레드로 각각 결합되는 익스텐션(40)과 협력한다(도 14에 예시된 최종 상태 참조). 나사(70)는 셀프 태핑(self-tapping)되고 자체적으로 지지 구조물(4)과 거푸집 스킨요소(8)의 어셈블리 동안 각각의 중공 소켓(62)에서 각각의 카운터-스레드가 깎여 진다. 나사(70)를 풂으로써, 지지 구조물(4)과 거푸집 스킨요소(8)의 상호연결된 상태 또는 상호 부착상태가 쉽게 해제될 수 있다. 나사(70)와 익스텐션(40) 간의 스레드 연결로, 지지 구조물(4)과 거푸집 스킨요소(8)를 분리하는 면에서, 거푸집 패널 전면(10)에 수직하게 작용하는 장력을 전달할 수 있는 상호연결이 제공한다.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보다 더 효율적인 제조를 허용하는 경향이 있고 따라서 지지 구조물(4)과 거푸집 스킨요소(8) 간에 약간 더 큰 측정 허용오차를 가능하게 한다. 명백히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채널(34)에 나사(70)를 반드시 설치할 필요가 없다. 채널들(34) 중 일부만 그 내부에 체결된 나사(70)를 가질 경우에도 연결 강도가 충분하다. 제 1 실시예의 경우보다 더 큰 휨 강도로 익스텐션(40)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채널들(34a)과 타이 앵커용의 거푸집 스킨요소 개구들(42)이 또한 있다. 개구들(42) 부근에, 거푸집 스킨요소(8)의 길이방향 가장자리에서 "통상의 익스텐션"(40a)에 비해 거푸집 스킨요소(8)의 길이방향 중심라인으로 약간 이동된 각각의 익스텐션(40b)이 있다. 이런 익스텐션(40b)에 대해, 이에 따라 지지 구조물(4)에 제공된 약간 이동된 채널들(34b)이 있다.
도 15 내지 도 18로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3 실시예는 상술한 제 2 실시예와 유사하다. 하기의 설명은 제 2 실시예와 차이에만 집중한다.
지지 구조물(4)에서 채널(34)은 둥근 횡단면을 갖고 지지 구조물 전면(22)에 인접한 단부에서의 횡단면에서도, 지지 구조물 후면(24)에 인접한 단부에서의 횡단면에서도 축소되지 않는다. 그러나, 각각의 채널(34)의 길이의 중앙부에, 중앙 홀(74)을 갖는 횡벽(72)이 제공된다. 횡벽(72)은 상기 홀(74)을 관통해 지지 구조물 후면(24)으로부터 삽입되는 각각의 나사(70)의 나사헤드(76)에 대한 받침부로서 이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거푸집 스킨요소 익스텐션(40)은 가령 제 2 실시예에서보다 반경방향으로 명백히 더 짧은 8개의 외주에 분포된 리브들(64)을 갖는 중앙 중공연결피스(62)의 형태를 갖는다. 제 2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셀프-태핑 나사(70)가 필요한 곳에서 익스텐션(14)에 스레드로 삽입된다.
하기에서, 도 19 내지 도 23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4 실시예는 지지 구조물(4) 및 거푸집 스킨요소(8)의 연결 또는 상호 부착 타입에 의해 기본적으로 앞선 실시예들과 다르다. 하기의 설명은 이들 차이에 대한 설명에 집중한다.
도 22 및 도 23에서 가장 빠르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거푸집 스킨요소(8)의 길이방향 가장자리와 횡 가장자리를 따라 원형의 중공 몰딩 익스텐션(40)이 제공되는 반면, 그렇지 않고 정사각형 횡단면의 중공 몰딩 익스텐션(40)도 제공된다. 각각의 횡단면(40)은 외부에 제 1 면에 배열된 원주방향으로 뻗어 있는 일련의 제 1 차단 돌기부들(80)을 갖는다. 상기 제 1 면에서 축방향으로 이격된 제 2 면에는, 외주에 일련의 제 2 차단 돌기부들(80)이 제공된다. 이들 원주 열들의 개수는 번갈아 2개보다 더 작거나 더 많을 수 있다.
지지 구조물(4)의 각각의 관련된 채널(34)의 내부 원주에, 또한 2 면들에서, 또는 더 많거나 더 적은 면들에서 원주방향 차단부의 형태로 오목부(82)가 제공된다. 지지 구조물(4)과 거푸집 스킨요소(8)를 약간 탄성왜곡 익스텐션(40) 및/또는 채널 벽들과 결합시, 돌기부들(80)은 내부로 돌출한 카운터부(82) 내에서 결합되고 상당한 해제 힘이나 철회 힘이 가해질 때까지 고정되도록 돌출부(80)와 오목부(82)가 위치된다. 따라서, 각 익스텐션(40)과 각각의 관련된 채널(34) 간에, 요철결합이 발생된다.
이런 약간의 돌기부들(80)과 이런 약간 내부로 돌출한 카운터부(82)는 지지 구조물(4) 및 거푸집 스킨요소(8)의 주요 확장면에 횡 방향으로 각각 슬라이딩가능한 제조 몰드에서 슬라이드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지지 구조물(4) 및 거푸집 스킨요소(8)의 형성시, 특히 플라스틱 사출몰딩 또는 플라스틱 가압몰딩에 의해 몰딩될 수 있다. 오히려, 제조 몰드는 간단히 돌기부들(80)이 형성될 위치에 대응하는 오목부들을 가질 수 있다. 제조된 거푸집 스킨요소는, 특히 몰딩 제품이 여전히 따뜻한 동안, 탄성 왜곡 하에 몰드 공동에서 빼질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지지 구조물(4) 형성시, 제조 몰드에는 오목부들(82)이 형성될 위치에 대응하는 중배(bludge)들이 제공되어야 한다. 제조 몰드로부터 빼내는 것과 관련해, 거푸집 스킨요소(8)에 대해 한 진술이 유사하게 적용된다. 대안으로, 익스텐션(40)에는 오목부들이 채널(34)에는 돌기부들이 제공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익스텐션(40)은 채널(34)의 길이의 약 1/4을 받아들인다.
제 4 실시예에서, 채널(34)은 지지 구조물 후면(24)에 인접한 단부에서 폐쇄될 수 있거나(도 23에서 좌측의 익스텐션(40) 참조) 또한 개방될 수 있다(도 23에서 우측의 채널(23) 참조).
중공의 원형 형태와 중공의 정사각형 형태의 익스텐션들(40)이 실제 적용에 적합하나, 다른 횡단면 형태들로 또한 대체될 수 있다. 도면은 2개의 다른 기하학적 형태의 익스텐션(40)의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모든 기하학적 형태들이 또한 동일할 수 있거나, 구현된 2 이상의 다른 기하학적 형태들이 있을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28로,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2)의 제 5 실시예를 하기에 설명한다. 제 5 실시예는 단지 지지 구조물(4) 및 거푸집 스킨요소(8)의 연결 또는 부착 타입에 의해 기본적으로 앞선 실시예들과 다르다. 제 1 실시예의 하기의 설명은 앞선 실시예들과의 차이 설명에 집중한다.
특히 도 24 및 도 25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거푸집 스킨요소(8)는 제 2 실시예에서 익스텐션과 같이 구성된 익스텐션(40)을 가지나(특히, 도 11 및 도 13 참조), 중앙의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공동이 없다. 지지 구조물 후면(24)으로부터 익스텐션(40)과 스레드로 결합되는 나사들도 전혀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5 실시예에서, (각각 요철결합으로) 해당 채널들(34)과 협력하는 익스텐션(40)은 단지 지지 구조물(4) 및 거푸집 스킨요소(8)의 위치를 상호 고정할 뿐만 아니라 상술한 전단력을 전달하는 기능만 갖는다.
지지 구조물(4) 및 거푸집 스킨요소(8)를 분리하는 의미로 거푸집 스킨 전면(10)에 직각으로 작용하는 힘들에 대해 장력방지 식으로 지지 구조물(4)과 거푸집 스킨요소(8)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해, 거푸집 스킨요소(8)는 후면에 몰딩된 플레이트형 익스텐션(84)을 갖는다. 지지 구조물(4)내 각 개구(20)에 대해, 본 실시예에, 가장자리들에 인접한 개구들(20)의 경우, 2개의 익스텐션(84) 또는 3개의 익스텐션(84)이 제공된다. 그러나, 다른 개수의 몰딩 익스텐션(84)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 30은 지지 구조물(4) 및 거푸집 스킨요소(8)의 어셈블리시 익스텐션(84)이 "진입"하는 지지 구조물 전면에 가까운 이 부분들에 있는 개구들(20)에 각각의 개구들(20)의 중앙을 향해 돌출한 몰딩 돌기부(86)가 제공된 것을 나타낸다. 지지 구조물 후면(24)을 바라보는 면에, 하나의 숄더(88)가 돌기부(86)에 각각 제공된다. 거푸집 스킨요소(8)의 플레이트 후면(54)에서 멀리 있는 단부에서 익스텐션(84)은 각각의 개구들(20)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2개의 돌기부들(90)을 갖는다. 돌기부들(90)은 각각의 개구들(20)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는 면을 향한 측면에서 각각 테이퍼지고(참조번호 92 참조), 플레이트 후면(54)을 바라보는 단부에서 숄더(94)를 갖는다.
거푸집 스킨요소(8)와 지지 구조물(4)을 슬라이딩식으로 결합시, 경사진 면들(92)이 돌기부(86)의 내부와 협력으로 인해 익스텐션(84)은 내부를 향해, 즉, 해당 개구(20)의 중앙을 향해 탄성적으로 휘어진다. 거푸집 스킨요소(8)와 지지 구조물(4)이 완전히 함께 가압되자마자, 익스텐션(84)은 외부로 복원되고, 익스텐션(84)의 숄더(94)는 돌기부(86)의 숄더(88)와 이제 접하게 된다. 익스텐션(84)은 기본적으로 거푸집 스킨 전면(10)에 나란한 방향으로 지지 구조물(4)에 대해 거푸집 스킨요소(8)를 고정시키는 기능도, 상술한 전단력을 떠맡는 기능도 인수하지 않는다. 도 30에, 지지 구조물(4)과 각각의 익스텐션(84)의 각각의 돌기부(86) 사이에, 도 30에서 수평으로 측정된 바와 같이, 의도적으로 다소 경미한 유격이 도시되어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각각의 개구들(20)의 중심을 향해 익스텐션(84)을 휘거나 가령 나사드라이버를 이용해 익스텐션의 제거시, 거푸집 스킨요소(8)가 지지 구조물(4)에서 제거될 수 있다.
도 29는 상술한 타입의 연결 대신 접착제 연결에 의해 지지 구조물(4)과 거푸집 스킨요소(8)가 서로 연결 또는 부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한편으로 중간벽(16 및 18)의 모자형 횡단면을 각각 가진 각각의 이중벽 구조의 플랜지들(28)과, 다른 한편으로 거푸집 스킨요소(8)의 플레이트 후면(54) 간에, 각각의 얇은 접착제 스트립(96)이 제공된다. 플랜지들(28)과 플레이트 후면(54)이 함께 만나는 모든 위치들과 전체 가능한 길이에 접착제 스트립(96)이 반드시 제공될 필요가 없다. 접착제 스트립(96)을 제공하는 정도는 소정의 연결 강도를 보장하는데 필요한 전체 접착 영역에 의해 결정된다.
기술된 접착제 연결은 전문가에 공지되고 시장에서 구매가능한 적절합 접착재료를 선택할 때 결합해제될 수 있고, 이는 가령 선택적 용매로 결합해제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 구조물(4)과 거푸집 스킨요소(8)의 결합해제가능한 연결 또는 결합해제가능한 상호부착을 구현하기 위해 2가지의 추가 가능한 종류를 도시한 것이다.
2가지 가능성들 중 첫째는 각 교차 위치 영역에 또는 중간벽(16 및 18) 사이 일부분의 교차 위치들의 영역에 그리고 각 T 위치 또는 중간벽(16 및 18)과 외주벽(12 및 14) 사이 각각에 일부분의 T 위치들의 영역에 거푸집 스킨요소(8)의 플레이트 후면(54)에 몰딩된 상대적으로 짧은, 핀형 익스텐션(40), 가령 하나의 핀형 익스텐션(40)(또는 또한 다수의 핀형 익스텐션들(40))이다. 핀형 익스텐션(40)에 의해 연결이 확립되는 이들 위치들에서,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령, 2개의 플랜지들(28)의 코너 전환부에서, 지지 구조물(4)에 각각의 홀이 제공된다. 처음에 핀형 익스텐션(40)은, 거푸집 스킨요소(8)와 지지 구조물(4)의 어셈블리시, 상술한 홀로부터 소정 길이를 내밀은 이런 길이를 갖는다. 돌기 단부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령 가열된 펀치에 의해 넓은 익스텐션 헤드(98)로 막아지거나 재성형될 수 있다. 거푸집 스킨요소(8)와 지지 구조물(4) 간에 연결을 해제시키기 위해, 적절한 플라이를 이용해 형성된 플라스틱 헤드(98)를 가령 클립오프(clip-off)시킬 수 있다.
대안은 플라스틱 재료로 된 핀형 익스텐션(40) 대신 각각의 리벳을 제공하는데 있다. 리벳 연결을 하는데 형성된 리벳 헤드는 가령 도 30에서 98로 표시된 헤드처럼 보인다. 리벳 연결을 풀기 위해, 가령, 적절한 플라이어를 이용해 클립-오프함으로써, 리벳 헤드가 제거되어야 한다.
단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8)가 거푸집 패널(2)의 전체 거푸집 스킨(6)을 구성하도록 모든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설명하였다. 이 구성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바람직한 경우를 구성한다. 그러나, 더 큰 형태의 거푸집 패널(2)의 경우, 인접한 거푸집 스킨요소들(8) 간의 경계(들)가 이 거푸집 패널(2)의 길이방향으로 또는 거푸집 패널(2)의 횡방향으로 뻗어 있어, 지지 구조물(4)에 서로 나란한 다수의 거푸집 스킨요소들(8)을 부착하는 것이 더 편리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거푸집 스킨요소(8)는 각각의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8)에 대해 상술한 예시적인 형태로 기술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지지 구조물(4)에 부착된다.
지지 구조물(4)과 거푸집 스킨(6)을 형성하기 위한 적합한 플라스틱 재료들이 전문가에 공지되어 있고 시장에서 구매가능하다. 적절한 기본 플라스틱 재료로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아미드(PA)가 여기서 언급될 것이다. 거푸집 패널(2)의 하중의 대부분을 지탱하는 지지 구조물(4)은 특히 강화섬유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유리섬유와 탄소섬유가 선호하는 예로 나타나 있다. 실제로 비교적 장섬유(1mm에서 수 cm 이상 길이)를 이용할 수 있다. 거푸집 패널(2)에 가해진 하중의 일부를 덜 지탱하고 바람직하게는 못박을 수 있는 거푸집 스킨(6)에 대해, 그래뉼러 입자들, 특히 칼슘 카보네이트 또는 탤컴으로 보강된 플라스틱 입자들을 특히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단섬유(1mm 길이 이하), 특히 (짧은) 유리섬유를 이용한, 보강제가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도시되고 기술된 모든 실시예들에서, 지지 구조물(4)의 플라스틱 재료는 못박을 수 있는 거푸집 스킨요소(8)의 플라스틱 재료보다 강도가 더 크다.
제 1 실시예에서, 길이(l)가 135cm이고, 폭(b)이 90cm이며, 두께(d)가 10cm인 거푸집 패널을 나타내었고, 거푸집 스킨요소(8)의 플레이트형 부분의 두께는 5mm였다. 치수들의 이런 예시적인 표시는 또한 다른 모든 실시예들에 적용된다. 그러나, 명백히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구성된 거푸집 패널(2)은 또한 여전히 더 큰 형태 또는 더 작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명백히 더 큰 형태가 제공되어야 할 경우, 그러나, 요구된 재료는 비례에 맞지 않게 늘어나므로 수동으로 더 이상 다룰 수 없는 비경제적인 거푸집 패널이 형성된다. 다른 한편으로, 명백히 더 작은 형태들이 사용되면, 콘크리트공사 거푸집널의 세움과 해체가 더 복잡해진다; 게다가, 각각의 인접한 거푸집 패널들 간의 조인트의 개수가 늘고, 이들 조인트들은 가능하게는 완성된 콘크리트 제품에 몰딩된 마크로서 눈에 띄게 된다.
도 1과 연계해 상기에서 이미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물(4)의 후면의 사방 가장자리는 외벽(12 및 14)의 외부면 너머로 약간 돌출한다. 거푸집 스킨요소(8)의 플레이트형 부분(9)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즉, 외벽(12 및 14)의 외부면은 거푸집 패널(2)의 전체 외곽에 대해 약간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그러나, 평행육면체의 거푸집 패널의 8개 코너들에서, 지지 구조물 후면(24)의 각각의 외부 가장자리와 거푸집 스킨요소(8)의 플레이트형 부분(54)의 외부 가장자리를 향해 각각 외벽(12 및 14)의 외부면으로부터 경사진 전환부를 각각 제공하는 작은 테이퍼들(99)이 각각 있다.
다수의 거푸집 패널들(2)이 서로 길이방향 측에 대한 길이방향측 또는 횡방향 측에 대한 횡방향측에 나란히 설정되거나 배치되면, 인접한 거푸집 스킨(6)의 플레이트형 부분(54)의 외부 가장자리들은 바람직하게는 밀접한 접촉을 이루게 되므로, 고작해야 거기에 소량의 콘크리트 슬러리 통과만 가능하다. 인접한 지지 구조물 후면(24)의 외부 가장자리들도 또한 밀접한 접촉을 이룬다. 외벽(12 및 14)의 외부면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거푸집 패널 전면과 거푸집 패널 후면에서 상술한 밀접한 접촉을 위험하게 하지 않도록 서로 약간 거리를 두고 배열된다.
예시되고 기술된 모든 실시예에서, 각각의 지지 구조물(4)과 각각의 거푸집 스킨요소(8)는 플라스틱 재료의 일체형 사출몰딩 구성요소 또는 플라스틱 재료의 일체형 가압몰딩 구성요소에 의해 각각 구성된다. 즉, 지지 구조물(4)과 거푸집 스킨요소(8)는 각각 플라스틱 사출몰딩 또는 플라스틱 가압몰딩에 의한 생산을 허용하는 구성을 갖는다.
먼저 지지 구조물(4)과 사출몰딩에 의한 제품을 보면, 지지 구조물(4)의 후면으로부터 제조 몰드의 일부분에 의해 플랜지(28)의 내부, 개구(3)까지 외주 이중벽(12 및 14)의 후면 절반부, 뿐만 아니라 후면에서 중간 이중벽(16 및 18)을 막은 재료부(26)의 후면들을 포함한 개구들(20)이 몰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중간 이중벽(16 및 18) 사이 틈 또는 공간뿐만 아니라 개구(30)까지 외벽(12 및 14) 사이 공간이 지지 구조물(4)의 전면에서 제조 몰드의 일부분에 의해 몰딩될 수 있다. 채널(34)에 대해, 지지 구조물(4)의 후면에서 몰딩이 완전히 달성되는지(가령, 제 1 실시예에서, 도 7 참조) 또는 지지 구조물(4)의 전면에서 완전히 달성되는지 여부, 또는 전면에서 채널 길이의 일부가 몰딩되는지(대표적으로 도 17의 제 3 실시예 참조) 여부는 채널 형태에 의해 결정된다. 개구(30)의 원주방향 벽(32)과 외벽(12 및 14)의 외부면을 몰딩하기 위해, 각각의 외벽(12 또는 14)의 외부면에 직각인 이동 방향을 갖는 제조 몰드의 슬라이가 이용된다.
지지 구조물(4)과 거푸집 스킨요소(8)의 모든 관련된 표면들은 소위 대표적으로 0.5 내지 2도의 드래프트 각(draft angle)을 가지므로, 제조 몰드의 절반부는 전혀 문제 없이 개방될 수 있고, 제조 몰드의 슬라이드들이 전혀 문제없이 철수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제품들이 전혀 문제없이 제조 몰드에서 빠질 수 있음이 이해된다.
플라스틱 가압몰딩에 의해 지지 구조물(4)을 제조할 가능성에 대해, 매우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플라스틱 사출몰딩과 플라스틱 가압몰딩 간에 가장 핵심적인 차이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 몰딩시, 첫번째 경우 플라스틱 재료가 압력 하에서 액체형태로 주입되는 반면, 두번째의 경우 플라스틱 재료는 고체 그레인의 형태로 몰드 공동에 주입되고 가압 하에 내부에서 용융되는 점에 있다.
플라스틱 사출몰딩 또는 플라스틱 가압몰딩에 의한 거푸집 스킨요소(8)를 제조한 다음에, 거푸집 스킨요소(8)의 플레이트형 부분(9)의 후면(54)은 한 몰드의 절반부에 자유 공간의 도움으로 익스텐션(40)이 몰딩될 수 있도록 제조 몰드의 분할면용으로 좋은 위치임이 명백하다. 이는 특히 제 2, 3, 및 4 실시예에서 간단한 방식으로 가능하다. 제 1 및 제 5 실시예의 경우, 익스텐션(40)에 "바브(barbs)"를 몰딩하기 위해 슬라이드들이 사용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술되고 예시된 모든 실시예들에서 거푸집 스킨 전면(10)과 이에 따른 전체 거푸집 패널 전면이 지지 구조물(4)과 거푸집 스킨요소(8)를 서로 연결하거나 상호 부착하기 위한 수단들과 관련된 구성부품들이 없음이 추가로 제시되어 있다. 즉, 개구(42)를 제외하고 거푸집 스킨 전면(10)은 완전히 평면("평면"이라는 용어는 엄격한 글자적 의미로 기하학적 수평면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대개 거푸집 스킨에 대해 사용되는 점에서)이므로, 피제조 콘크리트 제품의 표면은 단지 거푸집 스킨(6)의 미분포면 및 고작해야 인접한 거푸집 스킨들(6) 간에 조인트가 있었던 위치들에서 소정의 마크를 드러낸다.
완성을 위해, 예시된 실시예의 일부에 외벽(12 및 14)의 이중벽 구조를 관통해 뻗어 있는 거푸집 스킨 전면(10)에 직각으로 뻗어 있는 개구들이 도시되어 있고, 지지 구조물 후면(24)에 인접한 단부에서, (특히 도 18에서 우상단 및 도 22에 명백히 도시된) 2개의 대각선의,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신장부들과 함께 원으로 언급될 수 있는 형태를 갖는 것으로 표시된다. 개구 단부들의 이 구성은 본 출원의 청구항 특징부들과 관계없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2)을 이용해 세워진 콘크리트공사 벽 거푸집널(100)의 컷아웃을 도시한 것이다. 상세하게, 90°의 코너 주위로 뻗어 있는 벽에 대한 벽 거푸집널이 도시되어 있다. 물론 상응하는 방식으로 직선 벽들, 컬럼들, 서로 T자 형태 등으로 병합된 벽들에 대한 벽 거푸집널을 세울 수 있고, 아래에 기술된 원리들은 상응하는 방식으로 이들 모든 경우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1의 실시예에서, 모든 거푸집 패널들(22)은 "수직으로 정렬"된다. 즉, 거푸집 패널의 길이방향(l)은 수직으로 뻗어 있고 거푸집 패널의 폭방향(b) 또는 횡방향은 수평으로 뻗어 있다. 거푸집 패널 전면(10)은 모든 거푸집 패널(2)에 수직으로 뻗어 있다. "수평으로 정렬된", 즉, 길이방향(l)은 수평으로 뻗어 있고 횡방향(b)은 수직으로 뻗어 있는 거푸집 패널(2)은 모든 상황에서 또는 부분적 상황에 이용될 수 있다.
벽 거푸집널(100)의 내부 코너(102)로부터 시작해, 전체 폭으로(한 경우로, 좌상단에, 거의 전체 폭으로) 총 4개의 거푸집 패널(2)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폭의 일부가 절단된 2개의 거푸집 패널(2)이 있을 수 있다. 더욱이, 내부 코너에 정사각형 횡단면의 수직 포스트(106)가 직접 나타나 있다.
전체 폭(b)으로 도시된 거푸집 패널들(2) 중 2개는 도 1 내지 도 30에 따른 모든 실시예들에서 거푸집 패널의 치수. 즉, 8개의 횡 중간벽(18)과 5개의 길이방향 중간벽(16) 및 길이방향으로 진행시 일렬로 9개의 개구들(20) 뿐만 아니라 횡방향 진행시 일렬로 6개의 개구들(20)과 같은 치수를 갖는다. 코너 주위의 포스트(106)에 인접해, 비교적 폭(b)이 좁은 2개의 거푸집 패널들(2)이 있다. 상세하게, 그 폭(b)은 "풀 사이즈의 거푸집 패널(2)"의 폭의 1/3이다. 즉, 횡방향으로 진행시 일렬로 단 2개의 개구들(20)만 있다. 2개의 거푸집 패널의 길이(l)는 풀 사이즈의 거푸집 패널(2)의 길이(l)와 같다. 피제조 콘크리트 벽의 코너의 외부에, 포스트(106)에 대응하는 또 다른 포스트(108)를 코너에 직접 볼 수 있고 그런 후 풀 사이즈의 거푸집 패널(2)의 폭(b)에 비해 2/3 폭의 2개의 거푸집 패널들(2)이 코너 주위에 잇따를 수 있다. 2개의 거푸집 패널(2)에 이어 양 면에 풀 사이즈 거푸집 패널(2)이 잇따른다.
도 31은 벽 거푸집널 부분의 상부 절반만 언급하도록 도시한 것임이 강조된다. 더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두번째 하부 절반이 하방으로 이어진다. 그런 후 벽 거푸집널은 전체적으로 높이가 270cm가 되는데, 이는 콘크리트 바닥에서 천장의 하단면까지 건물 건축시 매우 통상적인 천장 높이다.
도 31의 우측으로 3번째에서, 하부에, 각각의 인접한 거푸집 패널들(2)이 어떻게 결합되고 마지막 거푸집 패널(2)이 포스트(108)에 어떻게 결합되는지 알 수 있다. 마지막 외부 코너 거푸집 패널(2a)에서 아래쪽으로 가면 좌측 수직 가장자리에서 4번째 개구(20)에, 결합요소(110)의 일부를 볼 수 있다. 동일한 거푸집 패널(2a)의 우측 수직 가장자리에, 동일한 타입의 4개의 결합요소들(110)을 볼 수 있다. 또한 도 1의 좌측 3번째에서, 상단부에, 동일한 타입의 결합요소(110)를 볼 수 있다. 이런 타입의 결합요소(110)는 도 33 내지 도 35로 하기에 더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외벽(12)에 있는 개구 쌍들(30)을 통해 결합한 이런 결합요소들(110)이 포스트(106 또는 108)에 각각 거푸집 패널(2)과 결합 또는 인접한 거푸집 패널(2)과 결합을 달성할 수 있게 본 명세서에 충분히 지적되어 있다.
도 31의 중간에서 좌측에, 동일한 타입의 결합요소들(110)이 2개의 거푸집 패널들(2)의 횡 외벽(14)에 있는 한 쌍의 개구들(30)을 통해 결합한 각각의 결합요소(110)를 가짐으로써 2개의 수직으로 인접한 거푸집 패널들(2)을 어떻게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된 것인지 알 수 있다.
더욱이, 도 31은 다수의 위치들에서 너트 플레이트(114)에 의해 2개의 정렬된 인접한 거푸집 패널(2)의 지지 구조물 후면(24)에 대해 고정된 (이미 상술한 타입의) 타이 앵커들(112)의 단부를 도시하고 있다. 제 1 실시예와 연계해 더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타이 앵커 로드(112)는 거푸집 스킨 전면(10)에 직각으로 뻗어 있는 단 하나의 지지 구조물(4)을 관통해 뻗어 있다. 인접한 거푸집 패널(2)은 너트 플레이트(114)를 통해 가압 동작에 포함된다.
한편으로는 지반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거푸집 패널(2)에 부착된 푸시풀 프롭(push-pull props)에 의해 거푸집 패널(2)의 수직 정렬과 부어진 콘크리트의 압력 하에서 수직 정렬의 유지가 벽 거푸집널(100)을 따라 적절한 간격으로 보장되는 것이 이해된다.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2)을 이용해 콘크리트공사 천장 거푸집널(120)이 어떻게 설계될 수 있는지를 (가능한 수많은 예들 중) 단지 일예로써 도시한 것이다.
도 32의 중앙부에, 한 줄의 천장 거푸집널 프롭(122)의 일부를 볼 수 있고, 이 줄은 도 32의 좌상단에서 우상단으로 뻗어 있고 이 줄의 매우 많은 천장 거푸집널 프롭들(122) 중 단 2개의 천장 거푸집널 프롭들(122)만 예시되어 있다. 또한 도 35의 좌상단에, 다른 줄의 천장 거푸집널 프롭들(122)에 속하는 또 다른 천장 거푸집널 프롭(122)이 좌하단에서 우상단으로 뻗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각 줄의 천장 거푸집널 프롭들(122) 내에, 거푸집 패널 빔(124)이 한 천장 거푸집널 프롭 헤드(126)에서 다음 천장 거푸집널 프롭 헤드(126)로 뻗어 있다. 처음 기술된 열의 길이방향 중심선뿐만 아니라 다음 기술된 열의 길이방향 중심선은 줄들 사이에 삽입된 거푸집 패널(2)의 길이(l)와 기본적으로 일치하는 거리 더하기 거푸집 패널 빔(124)의 폭의 절반의 2배만큼 이격되어 있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2)을 이용한 천장 거푸집널(120)의 구성 대신, 특히 천장 거푸집널(120)을 소위 메인 빔 및 소위 보조 짐의 구성으로 또한 구현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 상황에 대해, 도 32의 기반으로 거푸집 패널 빔들(124) 사이 간격은 거푸집 패널(2)에 의해서가 아니라 서로 나란히 배치된 일련의 보조빔들에 의해 가교되는 것으로 생각해야 한다(이 경우 도시된 거푸집 패널 빔들(124) 간의 거리는 통상 더 크다). 이 경우, 프롭(122)에서 프롭(122)으로 뻗어 있는 빔들을 "메인 빔"이라 하고, 이에 직각으로 뻗어 있고 메인 빔에 놓이는 빔들을 "보조 빔"이라 한다. 그런 후 거푸집 패널들이 각각 2개의 인접한 보조 빔들 사이 거리를 잇도록 거푸집 패널(2)이 배치된다. 따라서, 이 경우 보조 빔은 본 출원에서 거푸집 패널 빔이라고 하는 이러한 빔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벽 거푸집널(100)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결합요소(110)의 실시예를 도 33 내지 도 35를 통해 이제 설명하나, 다른 용도에 대한 예들은 하기에서 더 주어질 것이다.
전체적으로 나타낸 결합요소(110)는 일체형 샤프트가 달린 문 손잡이를 닮은 구성을 갖고, 결합요소(110)는 전체적으로 상기 샤프트의 중심축(144) 주위로 선회한다. 결합요소(110)는 특히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결합요소(110)는 샤프트부(140)를 갖고, 상기 샤프트부(140)와 일체로, 세장 손잡이부(142)가 샤프트부(140)의 가상 중심축(144)에 직각으로 위치된 면으로 뻗어 있다. 손잡이부(142) 그 자체는 상대적으로 샤프트부(140)에 가까운 면에서 약 45°휘어져 있다. 손잡이부(142)의 직선의 더 긴 부분(146)은 작업자의 손으로 파지될 수 있고, 파지위치/중심축(144) 거리에 의해 구축된 지레 작용의 도움으로, 그런 후 샤프트부(140)가 중심축(144) 주위로 회전될 수 있다.
손잡이부(142)는 샤프트부(140)의 제 1 단부에서 상기 샤프트부(140)와 일체러 병합된다. 이 전환위치에서 약간 떨어진 거리에서, 샤프트부(140)는 환형 외부로 돌출한 플랜지 형태로 배열된 제 1 플랜지(148)를 갖는다. 제 1 플랜지(148)로부터의 틈 거리(a)에, 샤프트부(140)의 제 2 단부에 제 2 플랜지(150)가 제공되고, 상기 제 2 플랜지(150)는 더 복잡한 형태를 가지며 이는 하기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지금 대략 말하면, 틈 거리(a)는, 벽 천장 거푸집 패널들(2)이 정렬된 방식으로 나란히 세워진 경우, 해당 개구(30) 주위 부근 영역에서 2개의 외벽(12 또는 14)의 합산된 두께 및 이에 더해 제 1 실시예와 연계해 기술된 바와 같이 외벽들(12 및 14) 쌍의 각각 외부면과 외벽들(12 및 14)의 각각 외부면의 오목한 상태 사이의 (작은) 틈 거리와 대략 일치하는 크기이다. 이는 도 31에서 볼 수 있고 도 34 및 도 35에 확대된 크기로 볼 수 있다.
제 1 플랜지(148)와 제 2 플랜지(150) 사이에, 중간 플랜지부(141)에 있는 샤프트부(140)는 단지 실질적으로 원형-실린더형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에서 샤프트부(140)는 "타원형" 또는 "타원을 닮은" 또는 "사이에 2개의 직선부들을 갖는 2개의 반원들"로 기술될 수 있는 약간 기다란 횡단면을 갖는다. 이 횡단면 형태는 최단거리 위치에서 "두께" 또는 "로컬 직경"이 대략 90°떨어진 가장 먼 위치에서보다 단지 약간 더 작기 때문에 도 33에서 시각적으로 뚜렷하지 않다. 이 횡단면 형태의 기능을 하기에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플랜지(150)가 위치된 샤프트부(140)의 단부면을 보면(도 33의 (c)의 화살표(A) 참조), 제 2 플랜지(150)는 타원 외곽과, 따라서 각 단부에서 반원부(152)와, 그 양면에 각각 사이에 직선부(154)를 갖는다. 2개의 반원부(152)들 사이 중앙부에, 반원부(152) 사이에 직선부(154)의 경로에 직각으로 측정된 바와 같이 제 2 플랜지(150)는 샤프트부(140)의 유일한 실질적인 원형-실린더형부(141)의 최소 두께 또는 최소 직경에 해당하거나 그보다 약간 더 작은 폭(c)을 갖는다. 폭(c)에 직각으로 측정된 바로서, 제 2 플랜지(150)는 상기 폭(c)보다 명백히 더 큰 치수(e)를 갖는다. 다시 말하면, 90°로 진행시, 샤프트부(140)의 유일한 실질적인 원형-실린더형부(141)의 원주면 너머로 제 2 플랜지(150)의 반경방향 돌출양은 0에서 최대량까지 증가하고, 그런 후 90°로 더 진행시, 0에서 최대량까지 증가하며, 90°로 더 진행시, 최대량에서 0으로 감소한다.
도 36(b) 및 도 36(c)는, 각각 우하단에, 제 1 플랜지(148)를 바라모는 제 2 플랜지(150)의 단부 면이 수평이 아니라 2 부분들(180°를 가로지르며 상술한 첫번째 반경방향 확장증가/반경방향 확장감소 경로에 해당하는 제 1 부분, 및 180°를 가로지르며 상술한 두번째 반경방향 확장증가/반경방향 확장감소 경로에 해당하는 제 2 부분)로 나누어진 것을 나타낸다. 이들 2 부분들 각각에서, 대략 절반의 90°부분 영역은 웨지면(156)으로 형성되고, 상기 웨지면은, 원주방향으로 진행시, 제 1 플랜지(148)의 대향 단부면으로부터 최대 거리(a+x)에서 제 1 플랜지(148)의 대향 단부면으로부터 거리(a)로 점차 감소한다.
결합요소(110)의 제 2 플랜지(150)와 함께 샤프트부(140)의 상술한 기하학적 형태를 기초로, 제 2 플랜지(150)가 2개의 인접한 거푸집 패널들(2)의 2개의 나란한 외벽들(12 또는 14)의 정렬된 개구 쌍들(30)에 이르는 샤프트부(140)를 삽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들(30)은 타원형이거나 기다란 홀 형태이며, 제 2 플랜지(150)의 상술한 타원 형태로 인해, 제 2 플랜지(150)의 더 큰 치수(e)가 타원형 개구(30)의 더 큰 길이와 일치하면, 제 2 플랜지(150)가 이르는 샤프트부(140)가 2개의 개구들(30)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이 삽입 동작의 시작을 도 34에서 우측 결합요소(110)에서 볼 수 있고, 이 삽입 동작의 마지막은 도 34에서 제 2 플랜지(150)의 측면에서 좌측 결합요소(110)에서 볼 수 있다.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제 2 플랜지(150)를 바라보는 제 1 플랜지(148)의 단부 면은 각각의 개구들(30)을 둘러싼 거푸집 패널(2)의 각각의 외벽(12 또는 14)의 부분과 접촉하게 된다.
상술한 삽입 동작의 종료시, 각각의 결합요소(110)의 제 2 플랜지(150)는 완전히 제 2 거푸집 패널(2)(개구 쌍들(30)의 제 2 개구로서 거푸집 패널의 개구(30)를 제 2 플랜지(150)가 통과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 2 거푸집 패널(2))의 각각의 외벽(12 또는 14) 내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결합요소(110)는 손잡이부(142)기 시작되는 샤프트부(140)의 단부 면에서 볼 때 반시계방향으로 중심축(144) 주위로 손잡이부(142)에 의해 회전 또는 선회될 수 있다. 도 34의 우측 결합요소(110)에서, 샤프트부(140)의 삽입이 이미 실행되었다면, 선회운동은 반시계방향으로 보일 것이다. 삽입이 이미 실행된 도 37의 좌측 결합요소(110)에서, 이 경우, 제 2 플랜지(150)가 제공된 샤프트부(140)의 단부면에 볼 때, 손잡이부(142)의 선회운동은 시계방향으로 보일 것이다.
도 35는 손잡이부(142)가 90°로 완전히 선회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 1 플랜지(148)와 같이 제 2 플랜지(150)는 중심축(144) 주위로 90°회전운동을 수행하였다. 제 2 플랜지(150)의 더 큰 치수(θ)가 거푸집 패널(2)의 외벽(12 또는 14)에 있는 인접한 개구(30)의 더 큰 치수에 직각으로 뻗어 있다. 외벽(12 또는 14)의 고려된 쌍은 제 1 플랜지(148)와 제 2 플랜지(150) 사이에 함께 클램핑된다. 인접한 거푸집 패널(2)은 이 외벽(12 또는 14) 쌍에서 서로 결합된다. 거푸집 패널(2)의 치수와 예상된 하중에 따라, 고려된 외벽(12 또는 14) 쌍을 따라 하나의 결합요소(110) 또는 다수의 결합요소들(110)을 이용할 수 있다. 더욱이, 결합요소(110)의 클램핑 위치에, 손잡이부(142)의 더 긴 직선부(146)가 각각의 거푸집 패널 후면(24)에 나란히 배열되고, 게다가, 길이의 일부가 각 외벽(12 및 14) 부근의 뒷부분에 중간벽(16 및 18)에 형성된 적절한 오목부(160)에 위치된다.
샤프트부(140)와 이에 따른 제 2 플랜지(50)의 상술한 클램핑 선회운동의 초기 단계에서, 제 2 플랜지(150)의 2개 웨지면들(156)은 각각의 개구(30)의 가장자리 부분과 접촉을 확립하므로, 2개의 참여한 외벽(12 또는 14)은 약 45°씩 선회운동의 과정에서 함께 점점더 클램핑된다. 추가로 약 45°씩 선회운동을 계속하는 과정에서, 제 2 플랜지(150)의 제 1 플랜지를 바라보는 단부면의 일부는 각각의 외벽(12 또는 14)의 내부면과 접촉을 이루고, 그 부분에서 제 1 플랜지(148)의 대향단부 면으로부터 틈 거리는 더 이상 변하는 식으로(a+x)가 아니라 a로 일정해진다. 약 90°를 가로질러 선회운동이 완료되면, 상기 위치에서 각각의 외벽(12 또는 14)의 내부면과 면-대-면 접촉이 이루어진다.
결합요소(110)의 샤프트부(140)의 유일한 실질적인 원형-실린더형부(141)의 상술한 최소 두께 또는 최소 직경은 제 2 플랜지(150)의 폭(c)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뻗어 있고 거푸집 스킨 전면(10)에 직각으로 측정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개구(30) 또는 각각의 2개의 개구들(30)의 짧은 치수보다 약간 더 작다. 제 2 플랜지(150)의 더 긴 치수(θ)와 샤프트부(140)의 부분(141)의 최대 두께 또는 최대 직경이 실질적으로 참여한 개구들(30)의 길이방향과 실질적으로 정렬될 때, 제 2 플랜지(150)와 샤프트부(140)의 부분(141)은 심지어 2개의 참여한 거푸집 패널들(2)이 거푸집 스킨 전면(10)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약간 오프세트된 경우에도 편하게 참여한 개구 쌍(30)의 틈과 함께 삽입될 수 있다. 약 90°씩 결합요소의 연이은 선회운동에서, 상기 부분(141)의 최대 두께 또는 최대 직경은 2개의 참여한 개구들(30)의 개구 원주벽(32)의 이들 중앙부와 점차 접촉을 이루며, 마주보는 개구 원주벽 부분들의 거리는 개구 길이방향에서보다 더 작다. 결합요소(110)의 선회운동은 2개의 참여한 거푸집 패널들(2)을 전면 정렬위치로 끌어당기는데 이는 단지 몇몇 플레이와 더불어 샤프트부(140)의 부분(141)의 최대 두께 또는 최대 직경은 중앙 개구부에서 측정되고 거푸집 스킨 전면(10)에 직각인 바와 같이 2개의 참여한 거푸집 패널들(2)의 개구(30)의 각 크기만큼 같기 때문이다.
2개의 참여한 거푸집 패널(2)의 2개의 외벽(12 또는 14)은 상기 외벽(12 또는 14)의 확장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오프세트와 더불어 클램핑될 수 있음이 강조된다. 상술한 삽입동작의 완료시, 외벽(12,14)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서로에 대해 2개의 참여한 외벽(12 또는 14)을 옮기고 그 후로만 각각의 결합요소(110)를 클램핑 위치로 선회시킬 수 있다.
외벽(12 및 14)에 있는 개구들(30)은 또한 거푸집널 악세서리를 결합시키는데 적합하다; 각각의 거푸집널 악세서리의 결합되는 부분의 구성에 따라, 도 33 내지 도 35에 도시되고 이들 도면들로 기술된 바와 같이 결합요소들 또는 개구들(30) 중 하나와 각각 맞물리거나 정렬된 개구 쌍들(30)과 맞물리는 변형된 결합요소들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다른 플랜지 거리(a)를 갖는 결합요소를 이용할 수 있다. 실제 적용시 특히 자주 결합되는 거푸집널 악세서리의 예시적인 경우로, 푸시풀 프롭 또는 거푸집 브라켓들이 언급될 수 있다. 그러나, 거푸집널 악세서리에 대한 지지 구조물(4)의 다른 위치들에 추가 연결 또는 부착 가능성을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제 1 플랜지(148)와 제 2 플랜지(152)와 함께 도시되고 기술된 결합요소(110)는 실제로 본 발명에 사용된 결합요소(110)의 특히 이점적인 실시예를 구성하나, 웨지면(156)과 다른 클랩핑 메카니즘을 또한 갖는 다른 설계의 결합요소들도 또한 본 발명과 함께 유용할 수 있음이 강조된다. 그러나, 각각의 거푸집 패널(2) 및 각각의 거푸집 패널의 주변부들의 외벽(12 및 14)에 기술된 개구들(30)과 협력하는 결합요소들이 이점적인데, 이는 각각의 거푸집 패널(2)의 필요한 로컬 안정성 또는 강도를 제공하는 것이 문제가 없는 식으로 가능하기 때문이다.
도 36 내지 도 38로, 거푸집 패널(2)의 변형을 포함한 거푸집 패널(2)의 제 10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6 내지 도 38에 도시된 거푸집 패널(2)은 2개의 구성부들, 즉 지지 구조물(4) 및 거푸집 스킨(6)과 함께 결합되며, 상기 거푸집 스킨은 이 경우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8)로 구성된다. 지지 구조물(4) 및 거푸집 스킨요소(8) 모두는 이 실시예에서 완전히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다.
지지 구조물(4)의 2개의 길이방향 가장자리들 각각은 이중벽(112)의 구성에 있으며, 지지 구조물(4)의 2개의 횡 가장자리들 각각은 이중벽(14)의 구성에 있다. 횡 외벽들(14) 사이에, 그리고 상기 횡 외벽들에 나란하게, 이중벽 설계의 횡 중간벽(18)이 있고, 중간벽의 부분 벽들 간의 거리는 외벽(12 및 14)의 경우에서보다 더 크다. 기술되고 둘러싼 벽들(12,14,18) 사이에, 각각 평면도에서 사각형 형태를 갖고 지지 구조물(4)의 전면(22)에서 후면(24)으로 연속한 식으로 뻗어 있는 2개의 큰 개구들(20)이 형성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유일한 하나의 횡 중간벽(18) 대신, 다수의 횡 중간벽들(18)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도 37은 이중벽(12,14,18)이 거푸집 스킨 전면(10)에 나란히 뻗어 있는 재료부(26)에 의해 지지 구조물(4)의 후면(24)에 폐쇄된 반면, 지지 구조물(4)의 전면(22)에 개방된, 즉, 부분 벽들 사이에 공간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구성을 이중벽의 U자형 횡단면이라 한다. 도 38에 따른 변형된 실시예는 지지 구조물(4)의 전면(22)에 인접한 각각의 단부에서 이중벽(12,14,18)이 각각, 도 29에 따른 제 7 실시예에 대해 이미 기술되고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개구(20)를 향해 돌출한 벽-확대 플랜지(28)를 갖는 점에서 도 37에 따른 실시예와 다르다. 이 구성을 이중벽의 모자형 횡단면이라 한다.
재료부(26)에 의해 횡 중간벽(18)의 부분 벽들 사이 공간의 후면 클로징은 실질적으로 연속이고 가능하게는, 앞선 실시예들에서 이미 기술되고 예시된 바와 같이, 지지 구조물(4)의 전면(22)에서 후면(24)까지 연속인 비교적 작은 횡단면의 채널들(34 및 42)에 의해서만 차단된다. 외벽(12,14)에서, 위치된 재료부(26)에 의해 부분 벽들 사이 공간의 클로징은 더 큰 범위로 차단되며 말하자면 앞선 실시예들에서 상세히 기술되고 예시된 바와 같이, 섹션들로 나누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패널(2)의 제 11 실시예를 도 39로 설명한다.
도 39에 도시된 거푸집 패널(2)은 2개의 구성부들, 즉 지지 구조물(4)과 거푸집 스킨(6)로부터 함께 연결되며, 상기 거푸집 스킨은 이 경우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8)로 구성된다. 지지 구조물(4) 및 거푸집 스킨요소(8) 모두는 이 실시예에서 완전히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다.
지지 구조물(4)의 2개의 길이방향 가장자리들 각각은 벽(12)의 구성을 갖고, 지지 구조물(4)의 2개의 횡 가장자리들 각각은 벽(14)의 구성을 갖는다. 길이방향 중간벽(16)은 한 횡 외벽(12)에서 다른 횡 외벽(14)까지 대략 중심으로 뻗어 있고, 두 위치에서 2개의 반원 암들(200)로 각각 분할된다. 이들 2개의 위치들 각각에서 2개의 반원 암들(200)을 함께 취하면, 원형 개구(20)를 둘러싸는 완전한 원 형태의 벽부분이 구성된다. 2개의 개구들(20) 각각은 지지 구조물(4)의 전면(22)에서 후면(24)까지 연속이다. 개구(20)가 없는 위치에서, 가능한 채널들(34 및 42)의 예외로 지지 구조물(4)의 후면은 플레이트형 재료부(202)에 의해 닫힌다. 벽(12,14,16)의 범위는 플레이트형 재료부(202) 뒤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필요하다면 다르게 확장될 수 있는 추가 중간벽들이 제공될 수 있다; 개구들의 개수는 2보다 더 적거나 더 많을 수 있다.
앞선 실시예들과 달리, 제 11 실시예에서 벽들(12,14,16)은 이중벽의 형태가 아니라, 대안으로서 이중벽의 형태일 수 있다.
간단한 이유로, 도 36 내지 도 39는 지지 구조물(4)과 거푸집 스킨요소(8)가 서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나타내지 않는다. 이에 대해, 앞선 실시예들을 참조로 상세히 예시되고 기술된 특히 이런 연결 타입이 용이할 수 있다. 벽 개구들(30)을 갖는 외벽(12,14)과, 외벽(12,14)이 이중벽이면, 단면에서 상기 외벽(12,14)의 클로징 재료부(26)의 관련된 섹션들의 설계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또한 도 36 내지 도 39에 따른 실시예에서도, 각각의 지지 구조물(4) 뿐만 아니라 각각의 거푸집 스킨요소(8)가 플라스틱 재료의 일체형 사출몰딩 구성요소 또는 플라스틱 재료의 일체형 가압몰딩 구성요소로 각각 구성된다. 즉, 지지 구조물(4) 뿐만 아니라 거푸집 스킨요소(8)는 각각 플라스틱 사출몰딩 또는 플라스틱 가압몰딩에 의한 제조를 허용하는 구성을 갖는다.

Claims (20)

  1. 지지 구조물과 상기 지지 구조물에 연결된 별개의 거푸집 스킨을 포함한 콘크리트공사 거푸집널용 거푸집 패널로서,
    지지 구조물은 실질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고,
    실질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 된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 또는 실질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 된 다수의 거푸집 스킨요소들로 구성된 거푸집 스킨은 지지 구조물에 탈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공사 거푸집널용 거푸집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 구조물은 실질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 된 일체형 사출몰딩 구성요소 또는 실질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 된 일체형 가압몰딩 구성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공사 거푸집널용 거푸집 패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 된 일체형 사출몰딩 구성요소 또는 실질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 된 일체형 가압몰딩 구성요소인 적어도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공사 거푸집널용 거푸집 패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의 이중벽을 갖고, 상기 지지 구조물의 후면 상에 이중벽의 두 벽들은 재료부에 의해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서로 연결되거나 재료부에 의해 서로 섹션들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공사 거푸집널용 거푸집 패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구조물은 실질적으로 격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공사 거푸집널용 거푸집 패널.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격자로서 설계를 제외하고 지지 구조물은 지지 구조물 전면에서 지지 구조물 후면까지 연속적으로 뻗어 있고, 평면도로 보면, 적어도 25㎠ 면적 크기를 갖는 복수의 개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공사 거푸집널용 거푸집 패널.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거푸집 스킨은 나사 및/또는 리벳 및/또는 클립 타입의 연결부 및/또는 몰딩 연결핀 상에 융합된 확장부 및/또는 탈착식 접착 연결부(들)에 의해 지지 구조물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공사 거푸집널용 거푸집 패널.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는 지지 구조물과 각각의 거푸집 스킨요소 간에 가능한 장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 몰딩 확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공사 거푸집널용 거푸집 패널.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는 거푸집 스킨요소에 나란하게 작용하는 가능한 전단력이 각각의 거푸집 스킨요소와 지지 구조물 간에 전달되도록 지지 구조물과 긍정적인 요철결합의 위치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공사 거푸집널용 거푸집 패널.
  10. 제 9 항에 있어서,
    지지 구조물에 형성된 수용부와 결합되는 상기 거푸집 스킨요소의 몰딩 확장에 의해 요철결합이 각각 구성되는 위치들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공사 거푸집널용 거푸집 패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분의 상기 결합 확장부는 동시에 지지 구조물과 각각의 거푸집 스킨요소 간에 가능한 장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또한 갖는 확장부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공사 거푸집널용 거푸집 패널.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구조물의 플라스틱 재료는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의 플라스틱 재료 또는 다수의 거푸집 스킨요소들의 플라스틱 재료 또는 재료들보다 강도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공사 거푸집널용 거푸집 패널.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의 플라스틱 재료는 거푸집 스킨요소가 못박을 수 있게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공사 거푸집널용 거푸집 패널.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길이방향 측면 및/또는 2개의 횡방향 측면 상에 지지 구조물은 일련의 벽 개구들을 각각 갖는 벽형 설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공사 거푸집널용 거푸집 패널.
  15. 제 14 항에 있어서,
    벽 개구들과 상기 벽 개구들 부근은 각각 이들 위치에서 인접한 거푸집 패널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기계적 결합요소들이 부착될 수 있고/있거나 푸시풀 프롭(push-pull props) 또는 거푸집 브라켓들과 같은 거푸집 악세서리가 부착될 수 있게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공사 거푸집널용 거푸집 패널.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면도에서 보면, 거푸집 패널은 적어도 0.8㎡ 또는 적어도 1.0㎡의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공사 거푸집널용 거푸집 패널.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의 결합된 거푸집 패널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공사용 벽 거푸집널.
  18. 적어도 하나의 천장 거푸집널 프롭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거푸집 패널 빔에 각각 지지되는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의 거푸집 패널들을 구비하고, 상기 거푸집 패널 빔은 차례로 천장 거푸집 프롭 및/또는 천장 거푸집널 메인 빔에 지지되고, 상기 천장 거푸집널 메임 빔은 차례로 천장 거푸집널 프롭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공사용 천장 거푸집널.
  19.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콘크리트공사 거푸집널용 거푸집 패널 제조방법으로서,
    지지 구조물은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사출몰딩 또는 가압몰딩되고;
    거푸집 스킨요소 또는 복수의 거푸집 스킨요소들이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사출몰딩 또는 가압몰딩되며;
    (a)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로 거푸집 스킨이 구성되는 경우, 거푸집 스킨요소는 지지 구조물에 탈착식으로 부착되거나,
    (b) 복수의 거푸집 스킨요소들로 거푸집 스킨이 구성되는 경우, 이들 다수의 거푸집 스킨요소들은 지지 구조물에 탈착식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널용 거푸집 패널 제조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하나의 거푸집 스킨요소가 후면에 또는 다수의 거푸집 스킨요소가 후면에 복수의 몰딩 확장부들을 각각 갖고,
    나사가 지지 구조물의 후면으로부터 일부분의 확장부들과 적어도 스레드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널용 거푸집 패널 제조방법.
KR1020167000550A 2013-07-10 2014-07-09 콘크리트 거푸집용 거푸집 패널 KR1021295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107303.4A DE102013107303A1 (de) 2013-07-10 2013-07-10 Schaltafel für Betonierungsschalungen
DE102013107303.4 2013-07-10
PCT/EP2014/064721 WO2015004188A1 (de) 2013-07-10 2014-07-09 Schaltafel für betonierungsschalungen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622A Division KR20200096260A (ko) 2013-07-10 2014-07-09 콘크리트 거푸집용 거푸집 패널
KR1020207018621A Division KR20200096259A (ko) 2013-07-10 2014-07-09 콘크리트 거푸집용 거푸집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897A true KR20160041897A (ko) 2016-04-18
KR102129560B1 KR102129560B1 (ko) 2020-07-03

Family

ID=5121044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622A KR20200096260A (ko) 2013-07-10 2014-07-09 콘크리트 거푸집용 거푸집 패널
KR1020207018621A KR20200096259A (ko) 2013-07-10 2014-07-09 콘크리트 거푸집용 거푸집 패널
KR1020167000550A KR102129560B1 (ko) 2013-07-10 2014-07-09 콘크리트 거푸집용 거푸집 패널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622A KR20200096260A (ko) 2013-07-10 2014-07-09 콘크리트 거푸집용 거푸집 패널
KR1020207018621A KR20200096259A (ko) 2013-07-10 2014-07-09 콘크리트 거푸집용 거푸집 패널

Country Status (30)

Country Link
US (2) US10465397B2 (ko)
EP (5) EP3019678B1 (ko)
JP (2) JP6574765B2 (ko)
KR (3) KR20200096260A (ko)
CN (2) CN113700291B (ko)
AR (3) AR096853A1 (ko)
AU (3) AU2014289215B2 (ko)
BR (1) BR112016000321B1 (ko)
CA (1) CA2917566C (ko)
CL (1) CL2016000012A1 (ko)
DE (1) DE102013107303A1 (ko)
DK (1) DK3176347T3 (ko)
EA (3) EA202090051A3 (ko)
ES (4) ES2730107T3 (ko)
HR (2) HRP20181040T1 (ko)
HU (1) HUE051324T2 (ko)
IL (3) IL243316A0 (ko)
MA (1) MA38756B1 (ko)
MX (1) MX367877B (ko)
MY (1) MY196236A (ko)
NZ (1) NZ715417A (ko)
PE (1) PE20160422A1 (ko)
PH (1) PH12016502613A1 (ko)
PL (2) PL3173546T3 (ko)
RS (1) RS59630B1 (ko)
SA (1) SA516370381B1 (ko)
SG (3) SG10201707754VA (ko)
TR (2) TR201908569T4 (ko)
WO (1) WO2015004188A1 (ko)
ZA (3) ZA20160004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9866B1 (ko) * 2022-09-05 2023-07-26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프리캐스트 구조물 하면거푸집, 이를 이용한 철근 조립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07303A1 (de) * 2013-07-10 2015-01-15 Polytech Gmbh Schaltafel für Betonierungsschalungen
CN104912319A (zh) * 2015-05-28 2015-09-16 福建海源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强度、高刚度的复合材料模板及其制作方法
DE102016204633A1 (de) * 2016-03-21 2017-09-21 Peri Gmbh Deckentisch und Deckenschalung mit einem solchen Deckentisch
EP3258033A1 (en) * 2016-06-17 2017-12-20 ULMA C y E, S. COOP. Anchor for a vertical formwork and vertical formwork
US10472823B2 (en) 2016-06-24 2019-11-12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Formwork system
US11306492B2 (en) 2016-06-24 2022-04-19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Load bearing components and safety deck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11624196B2 (en) 2016-06-24 2023-04-11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Connector end fitting for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10465399B2 (en) 2016-06-24 2019-11-05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US10415262B2 (en) 2016-06-24 2019-09-17 Apache Industrial Services, Inc. Modular ledgers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EP3438365A1 (de) * 2017-08-02 2019-02-06 DOKA GmbH Deckenschal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deckenelements
DE102018106221A1 (de) * 2018-03-16 2019-09-19 Polytech Gmbh Schalhaut aus Kunststoff für eine Rahmenschalungs-Schaltafel für das Betonieren
CN113227514B (zh) * 2018-12-17 2023-05-26 巴斯夫欧洲公司 包括至少一个成型元件附接至其后侧的模板衬砌的模板系统
DE102019002356A1 (de) * 2019-04-01 2020-10-01 Polytech Gmbh Tragstruktur in Kunststoffbauweise für Schalungspaneel
CN113431317A (zh) * 2019-09-03 2021-09-24 中建八局第一建设有限公司 一种可拆卸的混凝土施工用模板
DE202020100159U1 (de) * 2020-01-13 2021-04-14 Peri Gmbh Rahmenschalungselement und Schalungssystem
US11964408B2 (en) * 2020-03-02 2024-04-23 David Van Doren Reusable universal waffle-cavity molding form
US11174633B2 (en) * 2020-03-09 2021-11-16 Trango-Sys Ltd. Modular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CN111156035A (zh) * 2020-03-10 2020-05-15 北京市政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隧道二衬的模板支撑方法、模板支撑结构
DE102020111413A1 (de) 2020-04-27 2021-10-28 Peri Gmbh Schnellverbindungssystem
US11739525B2 (en) 2020-11-10 2023-08-29 Forma Technologies Inc. Composite column formwork and method of use
US11525260B2 (en) 2020-11-10 2022-12-13 Forma Technologies Inc. Composite subgrade formwork and method of use
US20220338632A1 (en) * 2021-04-27 2022-10-27 Charles William Burgett Construction panel with modular lattice/composite design
RU209449U1 (ru) * 2021-05-25 2022-03-16 Леонид Павлович Белов Полимерная панель для опалубки бетонных стен или перекрытий
JP7265191B2 (ja) 2021-07-09 2023-04-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システムおよび方法
DE102021126516A1 (de) * 2021-10-13 2023-04-13 Peri Se Verbindungsbuchse und Verbinder
DE102022100754A1 (de) 2022-01-13 2023-07-13 Peri Se Deckentisch zur wenigstens teilweisen Schalung einer Betondecke
BR202022011331U2 (pt) * 2022-06-09 2023-12-19 Atex Do Brasil Locacao De Equipamentos Ltda Sistema de conectores e placas modulares reutilizáveis, para construção de formas em construção civil
AT18183U1 (de) * 2022-12-07 2024-04-15 Wolf Holding Gmbh Schalungstafe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6318A (ja) * 1998-05-26 1999-12-07 Dainippon Ink & Chem Inc 合成樹脂製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
KR200426196Y1 (ko) * 2006-06-27 2006-09-19 (주)케이.와이건설 거푸집용 패널
EP2530214A1 (en) * 2011-05-30 2012-12-05 FPK Lightweight Technologies, S. Coop. Formwork panel consisting of two semi-panels
CA2917566A1 (en) * 2013-07-10 2015-01-15 Polytech Gmbh Formwork panel for concrete-work shutterings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10946B (ko) 1901-11-16 1903-02-25 Heinrich Eckert
US1502508A (en) * 1921-12-31 1924-07-22 Lester A Longley Sectional steel form for concrete constructions
US2297899A (en) * 1941-03-25 1942-10-06 Flangelock Patents Corp Structural form for concrete and locking means therefor
US2953836A (en) * 1955-09-20 1960-09-27 Acrow Eng Ltd Clips for formwork
JPS4912204Y1 (ko) * 1968-07-17 1974-03-25
JPS4912204B1 (ko) 1970-05-19 1974-03-23
JPS4912204A (ko) 1972-05-17 1974-02-02
US3877674A (en) * 1973-02-16 1975-04-15 Blaw Knox Const Equipment Spring lock means for connecting abutting form panels
US4030694A (en) * 1976-07-14 1977-06-21 Symons Corporation Composite concrete wall form unit with a special transition bolt
US4150808A (en) * 1978-01-16 1979-04-24 Sawyer Robert D Concrete construction form panel
DE3332406A1 (de) * 1983-09-08 1985-03-21 Walter Dr.-Ing. 5100 Aachen Jürgens Bauverschalungsplatten
DE3739633A1 (de) * 1987-11-23 1989-06-01 Peri Werk Schwoerer Kg Artur Schalungsvorrichtung
US5102703A (en) * 1987-12-28 1992-04-07 Kinesis, Inc. Shock relieving pad
DE3838488A1 (de) * 1988-11-12 1990-05-17 Maier Josef Schaltafel
US4971850A (en) * 1989-09-11 1990-11-20 Kuan Hong Lo Assembled sound-muffling thermal insulation board
JP3345038B2 (ja) * 1991-01-28 2002-11-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中空構造部材
US5273806A (en) * 1991-10-03 1993-12-28 Lockshaw James J Structural element with interlocking ribbing
US5487930A (en) * 1991-10-03 1996-01-30 Tolo, Inc. Three structure structural element with interlocking ribbing
US5667868A (en) * 1993-09-14 1997-09-16 The Budd Company Outer door panel and method for molding and attaching same
JPH07171886A (ja) * 1993-12-17 1995-07-11 Ube Ind Ltd 分割型枠および分割型枠用ブロー成形機
JPH07171866A (ja) 1993-12-20 1995-07-11 Mitsubishi Materials Corp カバー
US5736221A (en) * 1995-07-21 1998-04-07 Hardigg Industries, Inc. Welded plastic panels and method of making same
JPH09151602A (ja) * 1995-11-22 1997-06-10 Muramoto Kensetsu Kk 型 枠
JPH09156471A (ja) 1995-12-04 1997-06-17 Hino Motors Ltd 車両のリアワイパ格納装置
US5849393A (en) * 1997-04-17 1998-12-15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Structural element and method of making
JPH116287A (ja) * 1997-06-18 1999-01-12 Fujita Corp 合成樹脂製コンクリート型枠
JPH11324317A (ja) * 1998-05-13 1999-11-26 Sumika Plastech Kk 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
FR2803862B1 (fr) * 2000-01-18 2002-04-12 Hussor S A Dispositif de coffrage en materiau composite
KR100465263B1 (ko) * 2002-01-04 2005-01-13 안승한 폐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조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 그제조 방법 및 이를 체결하기 위한 웨지핀
US6874749B2 (en) * 2002-04-10 2005-04-05 Joel Wells Construction form system
KR100469849B1 (ko) * 2002-09-04 2005-02-02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보강 구조를 가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US20040261342A1 (en) * 2002-12-31 2004-12-30 Hatem Hannawa Re-usable non-metallic construction forming system
JP2004251006A (ja) * 2003-02-20 2004-09-09 Yuken Kogyo:Kk 樹脂製型枠形成体及び同樹脂製型枠形成体に用いるセパレーター並びに同樹脂製型枠形成体の連結構造
CN2651361Y (zh) * 2003-09-10 2004-10-27 张进荣 可回收使用的建筑塑料模板
ITPD20030295A1 (it) * 2003-12-03 2005-06-04 Geoplast Srl Ora Geoplast Spa Cassero modulare riutilizzabile con nervature migliorate.
JP2005171673A (ja) * 2003-12-12 2005-06-30 Shimizu Corp プラスチック型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025267B2 (en) * 2004-05-24 2011-09-27 Srb Construction Technologies Pty. Ltd. Concrete sideform system
CN100594281C (zh) 2004-12-23 2010-03-17 伯纳德·麦克纳马拉 模板组件中使用的模板壁、模板壁连接装置以及模板组件
CN200985643Y (zh) * 2006-03-09 2007-12-05 赵中南 大模板防错平快速组装连接结构
US7914228B2 (en) * 2006-05-17 2011-03-29 Antonio Rapaz Multi-purpose construction module
MY168491A (en) * 2006-11-15 2018-11-09 Wendy Yong A system of formwork and connecting means
JP4912204B2 (ja) 2007-04-16 2012-04-11 アイカ工業株式会社 多層プリント配線板
CL2007003214A1 (es) 2007-11-07 2008-04-18 Resiplac S A Panel para formar encofrados que tiene una estructura tubular y seccion rectangular, que comprende dos placas unidas entre si mediante tabiques intermedios.
CN201169912Y (zh) * 2007-12-17 2008-12-24 江苏双良复合材料有限公司 建筑用框架结构复合材料平面模板单元
AT10946U1 (de) * 2008-09-03 2010-01-15 Doka Ind Gmbh Betonschalung
US20140302277A1 (en) * 2008-10-08 2014-10-09 Makers B.V. Panel and Use of Such a Panel As A Scaffolding Board or a Building Panel
DE102009036647A1 (de) 2009-08-07 2011-02-17 Hofin Gmbh Betonierungs-Schaltafel
DE202009010716U1 (de) * 2009-08-07 2009-11-19 Hofin Gmbh Betonierungs-Schaltafel
CO6290099A1 (es) 2009-12-10 2011-06-20 Pimiento Efrain Rojas Sistema de encofrado metalico graduable para estructuras en concreto
DE102011016120B4 (de) * 2011-04-05 2013-05-29 Redima Ag Schalhautbefestigung einer Schalhaut eines Betonschalelements
DE102011007431A1 (de) * 2011-04-14 2012-10-18 Hofin Gmbh Plattenartiges Lastaufnahmeelement für Betonierungsschalungen oder für Gerüste im Bauwesen,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dieses Lastaufnahmeelements
EP2540933A1 (de) * 2011-06-29 2013-01-02 Hofin GmbH Plattenartiges Betonierungs-Schalhautelement
CN202689527U (zh) * 2012-05-23 2013-01-23 广州毅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塑料平面模板
CN202559739U (zh) * 2012-05-25 2012-11-28 浙江凯雄科技有限公司 建筑模板之间的连接卡扣
CN202611229U (zh) * 2012-06-01 2012-12-19 浙江天晟建材集团有限公司 模块式工程塑料模板
KR101279379B1 (ko) * 2013-03-21 2013-07-15 박해영 콘크리트포장도로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6318A (ja) * 1998-05-26 1999-12-07 Dainippon Ink & Chem Inc 合成樹脂製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
KR200426196Y1 (ko) * 2006-06-27 2006-09-19 (주)케이.와이건설 거푸집용 패널
EP2530214A1 (en) * 2011-05-30 2012-12-05 FPK Lightweight Technologies, S. Coop. Formwork panel consisting of two semi-panels
CA2917566A1 (en) * 2013-07-10 2015-01-15 Polytech Gmbh Formwork panel for concrete-work shuttering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9866B1 (ko) * 2022-09-05 2023-07-26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프리캐스트 구조물 하면거푸집, 이를 이용한 철근 조립 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02768A (ja) 2020-01-09
SG10201707754VA (en) 2017-11-29
US10465397B2 (en) 2019-11-05
SG11201600117WA (en) 2016-02-26
US20160244984A1 (en) 2016-08-25
KR20200096260A (ko) 2020-08-11
EA202090051A2 (ru) 2020-04-30
CL2016000012A1 (es) 2016-09-30
CN113700291A (zh) 2021-11-26
EP3176348A1 (de) 2017-06-07
ZA201800305B (en) 2019-07-31
EP3176348B1 (de) 2019-12-18
EP3327219A1 (de) 2018-05-30
MX2016000096A (es) 2016-08-03
ES2730107T3 (es) 2019-11-08
US20200063450A1 (en) 2020-02-27
TR201908569T4 (tr) 2019-07-22
MA38756A1 (fr) 2016-12-30
CA2917566A1 (en) 2015-01-15
RS59630B1 (sr) 2020-01-31
PL3173546T3 (pl) 2019-11-29
AR115912A2 (es) 2021-03-10
KR102129560B1 (ko) 2020-07-03
JP2016532026A (ja) 2016-10-13
CN113700291B (zh) 2024-01-05
CN105452580B (zh) 2021-12-03
IL272984A (en) 2020-04-30
AU2014289215B2 (en) 2018-03-22
AU2018204338A1 (en) 2018-07-05
ES2778626T3 (es) 2020-08-11
ES2759581T3 (es) 2020-05-11
ES2680939T3 (es) 2018-09-11
EP3176347B1 (de) 2020-02-26
PL3019678T3 (pl) 2018-11-30
AR115911A2 (es) 2021-03-10
EA034756B1 (ru) 2020-03-17
DK3176347T3 (da) 2020-05-25
JP6574765B2 (ja) 2019-09-11
BR112016000321B1 (pt) 2022-03-08
EP3173546A1 (de) 2017-05-31
ZA201800304B (en) 2019-07-31
EP3173546B1 (de) 2019-03-13
JP6956151B2 (ja) 2021-10-27
CN105452580A (zh) 2016-03-30
PH12016502613A1 (en) 2020-03-09
US10890001B2 (en) 2021-01-12
WO2015004188A1 (de) 2015-01-15
SA516370381B1 (ar) 2022-09-20
AU2014289215A1 (en) 2016-02-04
HUE051324T2 (hu) 2021-03-01
PE20160422A1 (es) 2016-05-13
IL272984B (en) 2021-08-31
MY196236A (en) 2023-03-24
EP3019678A1 (de) 2016-05-18
DE102013107303A1 (de) 2015-01-15
AU2018204337A1 (en) 2018-07-05
IL272985A (en) 2020-04-30
IL272985B (en) 2021-08-31
EP3176347A1 (de) 2017-06-07
AU2018204337B2 (en) 2020-04-02
ZA201600044B (en) 2022-03-30
EA201690190A1 (ru) 2016-05-31
EA202090050A3 (ru) 2020-07-31
HRP20181040T1 (hr) 2018-09-07
EA202090050A2 (ru) 2020-04-30
EP3019678B1 (de) 2018-04-25
EP3327219B1 (de) 2019-09-04
NZ715417A (en) 2019-08-30
SG10201707749PA (en) 2017-10-30
IL243316A0 (en) 2016-02-29
AU2018204338B2 (en) 2020-03-12
TR201810172T4 (tr) 2018-08-27
EA202090051A3 (ru) 2020-07-31
MA38756B1 (fr) 2017-09-29
MX367877B (es) 2019-09-10
AR096853A1 (es) 2016-02-03
CA2917566C (en) 2020-11-03
BR112016000321A2 (ko) 2017-07-25
KR20200096259A (ko) 2020-08-11
HRP20191035T1 (hr) 201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1897A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거푸집 패널
KR100468282B1 (ko) 분할가능한 스페이서 부재를 사용한 성형체 이어맞춤식 콘크리트 형틀을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그 제조 방법 및 형틀 재료
JP6415963B2 (ja) 型枠パネル用支持材、及びコンクリート壁体の構築構造
US9381671B2 (en) Form liner with backer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