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3106A -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 - Google Patents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13106A KR20180113106A KR1020170044369A KR20170044369A KR20180113106A KR 20180113106 A KR20180113106 A KR 20180113106A KR 1020170044369 A KR1020170044369 A KR 1020170044369A KR 20170044369 A KR20170044369 A KR 20170044369A KR 20180113106 A KR20180113106 A KR 201801131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retaining wall
- planar
- blocks
- step blo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11398 Portland ce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abstract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90 scarr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이 평면인 제1 단차 블록의 조립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이 돌출된 제1 단차 블록의 조립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이 평면인 제2 단차 블록의 조립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이 돌출된 제2 단차 블록의 조립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차형 블록의 전면 모서리 부분에 경사부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평면형 블록의 전면 모서리 부분에 라운드, 경사부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이 평면인 제1 단차 블록과 제2 단차 블록 및 평면형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면이 돌출된 제1 단차 블록과 제2 단차 블록 및 평면형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한 전면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면이 돌출된 제1 단차 블록과 제2 단차 블록 및 평면형 블록을 이용하여 모서리 또는 돌출 면을 갖는 옹벽을 축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11 : 제1 단차 블록 111a, 112a : 높은 단
111b, 112b : 낮은 단 112 : 제2 단차 블록
120 : 평면형 블록 121 : 제1 평면 블록
122 : 제2 평면 블록 123 : 마감블록
200 : 옹벽 h : 핀 결합구멍
p : 연결핀
Claims (10)
-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에 있어서,
일 측에 결합을 위한 높은 단이 형성되고, 타 측에는 결합을 위한 낮은 단이 형성된 제1 단차 블록과, 중앙에 결합을 위한 높은 단이 형성되고, 상기 높은 단의 양측으로는 결합을 위한 낮은 단이 형성되는 제2 단차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단차형 블록과;
상기 제1 단차 블록과 제2 단차 블록 사이에 위치하도록 결합 되는 제1 평면 블록과 제2 평면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평면형 블록;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 블록과 제2 단차 블록은 높은 단과 낮은 단의 전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높은 단의 전면이 상기 낮은 단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 블록과 제2 단차 블록의 상, 하면 일 측에는 각 블록을 견고하게 결합, 연결하기 위한 연결핀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핀 결합구멍이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 블록 또는 제2 단차 블록은 옹벽 축조시, 어느 하나는 성형 제작시와 같이 높은 단과 낮은 단이 상면에 위치하도록 바로 안착시키고, 다른 하나는 높은 단과 낮은 단이 밑면에 위치하도록 뒤집어 2개의 블록이 상호 마주하도록 하여 각 블록의 높은 단이 낮은 단과 상호 엇갈리도록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 블록과 제2 단차 블록은 중간을 기준으로 전방 부분은 백시멘트(white cement)로 형성되고 후방 부분은 포틀랜드 시멘트(Portland cement)에 의해 하나의 블록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전방 부분은 색상(color) 안료를 혼합한 백시멘트(white cement)에 의해 형성되고 후방 부분은 포틀랜드 시멘트(Portland cement)에 의해 하나의 블록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중간을 기준으로 전방 부분은 색상(color) 안료를 혼합한 포틀랜드 시멘트(Portland cement)로 형성되고 후방 부분은 포틀랜드 시멘트(Portland cement)에 의해 하나의 블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형 블록과 평면형 블록은 모서리는 라운드 또는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전면은 불규칙한 요철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형 블록은 제1 단차 블록만으로 조립되거나, 제2 단차 블록만으로 조립되거나 또는 제1 단차 블록과 제2 단차 블록이 혼합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면 블록은, 상기 제2 평면 블록에 비해 좌, 우 폭이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평면 블록은 제1 평면 블록에 비해 좌, 우 폭이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면 블록은 좌, 우 폭이 상기 단차형 블록의 핀 결합구멍과 동일한 축을 이루도록 핀 결합구멍이 3개로 형성되거나, 또는 좌, 우 폭이 상기 단차형 블록의 핀 결합구멍과 동일한 축을 이루도록 핀 결합구멍이 2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평면 블록은 좌, 우 폭이 상기 단차형 블록의 낮은 단의 폭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길이는 단차형 블록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4369A KR102088083B1 (ko) | 2017-04-05 | 2017-04-05 |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으로 이루어진 보강토 옹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4369A KR102088083B1 (ko) | 2017-04-05 | 2017-04-05 |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으로 이루어진 보강토 옹벽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3106A true KR20180113106A (ko) | 2018-10-15 |
KR102088083B1 KR102088083B1 (ko) | 2020-03-11 |
Family
ID=63866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44369A Active KR102088083B1 (ko) | 2017-04-05 | 2017-04-05 |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으로 이루어진 보강토 옹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8083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52272A (zh) * | 2020-10-31 | 2021-01-22 | 扬州大学 | 俄罗斯方块系列空心生态砖及其应用方法 |
KR102581114B1 (ko) * | 2022-04-04 | 2023-09-20 | 이양석 | 다양한 형태의 축조가 가능한 성벽형 보강토 블럭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4921A (ko) * | 2000-09-27 | 2002-04-03 | 김철수 | 옹벽용 블록 |
JP2004027696A (ja) * | 2002-06-27 | 2004-01-29 | Takuo Yukimoto | 水辺の保全ブロックおよびその敷設方法 |
KR20050117877A (ko) | 2004-06-11 | 2005-12-15 | 이정수 |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 축조된 조립식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
KR20070029313A (ko) * | 2005-09-09 | 2007-03-14 | 김선희 | 블럭식 보강토 옹벽의 구축 구조 |
KR100810912B1 (ko) * | 2006-12-21 | 2008-03-10 | 주식회사 태성 | 옹벽축조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
JP2008537512A (ja) * | 2005-01-13 | 2008-09-18 | ネス インベン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メーソンリブロックおよび重なる面を有するメーソンリブロックを作成する方法 |
KR20100116474A (ko) * | 2009-04-22 | 2010-11-01 | 나라앤텍 주식회사 | 성벽 이미지 연출이 가능한 축조블록과 축조구조 |
KR20120055315A (ko) * | 2010-11-23 | 2012-05-31 | 김정섭 |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 |
-
2017
- 2017-04-05 KR KR1020170044369A patent/KR10208808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4921A (ko) * | 2000-09-27 | 2002-04-03 | 김철수 | 옹벽용 블록 |
JP2004027696A (ja) * | 2002-06-27 | 2004-01-29 | Takuo Yukimoto | 水辺の保全ブロックおよびその敷設方法 |
KR20050117877A (ko) | 2004-06-11 | 2005-12-15 | 이정수 |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 축조된 조립식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
JP2008537512A (ja) * | 2005-01-13 | 2008-09-18 | ネス インベン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メーソンリブロックおよび重なる面を有するメーソンリブロックを作成する方法 |
KR20070029313A (ko) * | 2005-09-09 | 2007-03-14 | 김선희 | 블럭식 보강토 옹벽의 구축 구조 |
KR100810912B1 (ko) * | 2006-12-21 | 2008-03-10 | 주식회사 태성 | 옹벽축조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
KR20100116474A (ko) * | 2009-04-22 | 2010-11-01 | 나라앤텍 주식회사 | 성벽 이미지 연출이 가능한 축조블록과 축조구조 |
KR20120055315A (ko) * | 2010-11-23 | 2012-05-31 | 김정섭 |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52272A (zh) * | 2020-10-31 | 2021-01-22 | 扬州大学 | 俄罗斯方块系列空心生态砖及其应用方法 |
KR102581114B1 (ko) * | 2022-04-04 | 2023-09-20 | 이양석 | 다양한 형태의 축조가 가능한 성벽형 보강토 블럭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88083B1 (ko) | 2020-03-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74067B2 (en) | Irregular tessellated building units | |
US9267260B2 (en) | Slant wall block and wall section including same | |
US20110293873A1 (en) | Irregular tessellated building units | |
US20080295440A1 (en) | Building component | |
KR20180113106A (ko) |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 | |
US6145266A (en) | Vertical and horizontal belt masonry system | |
KR101116393B1 (ko) | 보강토 옹벽용 블럭 | |
JP2002013226A (ja) | ブロック体 | |
JP2008156912A (ja) | 組立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組立物。 | |
JP3872683B2 (ja) | 組積用ブロ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組積方法 | |
CN108979146A (zh) | 建筑模板的对接连接件以及建筑模板的对接连接方法 | |
JPH075141Y2 (ja) | 建築用パネル | |
KR102292020B1 (ko) | 전면 돌출부 블럭을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 | |
JP7128095B2 (ja) | 建築板、および施工構造 | |
KR200200938Y1 (ko) | 콘크리트 시공용 패널 | |
JP3930016B2 (ja) | 建築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 |
CN218843076U (zh) | 通过销键连接的端板 | |
CN210049527U (zh) | 一种鱼骨形拼接地板的安装结构 | |
KR100674504B1 (ko) | 벽돌 | |
KR102312065B1 (ko) | 천연 대리석 및 2종류의 다른 원자재가 결합된 전면부재를 연결핀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보강토 블럭 | |
JP7224177B2 (ja) | 壁板材の連結構造及びその連結構造に用いられる壁板材 | |
KR200376797Y1 (ko) | 축조블럭 | |
JP2002206310A (ja) | タイル付き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0354114Y1 (ko) | 친환경적 보강토 옹벽 블록 | |
KR20160004542A (ko) | 곡선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벽돌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3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