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020B1 - 전면 돌출부 블럭을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 - Google Patents

전면 돌출부 블럭을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020B1
KR102292020B1 KR1020210009900A KR20210009900A KR102292020B1 KR 102292020 B1 KR102292020 B1 KR 102292020B1 KR 1020210009900 A KR1020210009900 A KR 1020210009900A KR 20210009900 A KR20210009900 A KR 20210009900A KR 102292020 B1 KR102292020 B1 KR 102292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block
receiving
retaining wall
earth re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영
최성민
Original Assignee
최성영
최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영, 최성민 filed Critical 최성영
Priority to KR1020210009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0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28Shapes rectang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에 전면이 돌출된 부분이 포함되게 함으로써 입체감을 주는 동시에 필요한 강도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보강토 옹벽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보강토 옹벽으로서, 돌출부 블럭과, 상기 돌출부 블럭의 양측에 설치되는 수용부 블럭을 축조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부 블럭은, 돌출부 전방부와, 상기 돌출부 전방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돌출부 후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부 후방부에는 양측으로 돌출되는 날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 블럭은, 상기 돌출부 전방부의 두께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수용부 전방부와, 상기 수용부 전방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수용부 후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부 전방부 후면은 상기 돌출부 후방부의 날개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서는 평평한 보강토 옹벽에 입체감을 부여하기 위해 별도의 모양 등의 작업이 없어도 단순히 보강토 옹벽을 형성하기 위해 돌출부 블럭과 수용부 블럭을 축조하는 작업만으로 자연적으로 입체감을 부여하는 작용효과를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전면 돌출부 블럭을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REINFORCED WALL WITH INCLUDING FRONT PROTRUDED BLOCK}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강토 옹벽에 전면이 돌출된 보강토 블럭을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에 대한 것이다.
기존의 콘크리트로 구성된 블록식 보강토 블록은 일반적으로 상하부의 돌출된 전단키 또는 핀으로만 결합되었으며 적재시 수직, 수평이 일직선 선형에 따라 일괄적으로 시공하였다.
따라서, 보강토 옹벽 전체가 평면으로 형성되어 모양이 단조로운 단점이 존재하고 있었다.
이를 해소하려는 목적으로 문양 또는 별도의 표시를 하기 위해서는 옹벽 전면을 평면으로 보고 별도의 색상블록으로 표현하여 입체감이 없어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68397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강토 옹벽에 전면이 돌출된 부분이 포함되게 함으로써 입체감을 주는 동시에 필요한 강도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보강토 옹벽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강토 옹벽으로서, 돌출부 블럭과, 상기 돌출부 블럭의 양측에 설치되는 수용부 블럭을 축조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부 블럭은, 돌출부 전방부와, 상기 돌출부 전방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돌출부 후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부 후방부에는 양측으로 돌출되는 날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 블럭은, 상기 돌출부 전방부의 두께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수용부 전방부와, 상기 수용부 전방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수용부 후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부 전방부 후면은 상기 돌출부 후방부의 날개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면 돌출부 블럭을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에서, 상기 날개부는 평평하게 형성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의 후방에 형성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부의 전방부의 후면은 상기 평면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 후방부는 상기 경사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역 경사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면 돌출부 블럭을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에서, 상기 평면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전방부의 후면에는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면 돌출부 블럭을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에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수용부의 전방부의 후면에서 내측으로 가면서 제1수용홈, 제2수용홈, 및 제3수용홈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면 돌출부 블럭을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에서, 상기 돌출부 블럭과 수용부 블럭을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하는 경우,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2수용홈에 삽입되고, 상기 돌출부 블럭과 수용부 블럭을 내측으로 오목하게 설치하는 경우,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1수용홈에 삽입되며, 상기 돌출부 블럭과 수용부 블럭을 볼록하게 형성하는 경우,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3수용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면 돌출부 블럭을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에서, 상기 돌출부 블럭과 상기 수용부 블럭을 형성하는 시멘트 소재의 색상을 달리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면 돌출부 블럭을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에서, 상기 돌출부 블럭은 백시멘트 또는 포틀랜드 시멘트에 칼라 안료를 배합하여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 블럭은 무색의 포틀랜드 시멘트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서는 평평한 보강토 옹벽에 입체감을 부여하기 위해 별도의 모양 등의 작업이 없어도 단순히 보강토 옹벽을 형성하기 위해 돌출부 블럭과 수용부 블럭을 축조하는 작업만으로 자연적으로 입체감을 부여하는 작용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원 발명에서 돌출부 블럭의 전면이 보강토 옹벽의 전면에서 돌출되는 효과는 보강토 옹벽을 평평하게 시공하는 경우는 물론 오목하게 시공하거나 볼록하게 시공하는 경우에도 모두 보강토 옹벽의 입체감을 살리는 작용효과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을 가진다.
게다가, 돌출부 블럭을 백시멘트 또는 포틀랜드 시멘트에 칼라 안료를 배합하여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 블럭은 무색의 포틀랜드 시멘트로 형성하는 경우 양자의 색감 차이에 의해 보강토 옹벽의 입체감이 더욱 부각되어 보강토 옹벽의 밋밋한 느낌을 해소해 주는 작용효과가 더욱 배가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은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에서 돌출부 블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에서 수용부 블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을 오목하게 형성한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을 볼록하게 형성한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에서 칼라 안료가 포함된 돌출부 블럭을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은 돌출부 블럭(100)과, 상기 돌출부 블럭(100)의 양측에 형성되는 수용부 블럭(200)으로 이루어진다.
돌출부 블럭(100)은 돌출부 전방부(110)와, 상기 돌출부 전방부(110)의 후방에 형성되는 돌출부 후방부(120)로 이루어진다.
돌출부 전방부(11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110a)은 평평한 형상을 가지며 측면(110b)는 수직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후방 양측에는 돌출부 전단키(111)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 후방부(120)는 횡방향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날개부(121)가 형성되며 날개부(121)의 전면은 평면부(121a)로 형성되며 후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부(121b)로 형성되고, 각 평면부(121a)의 상면에는 돌기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 블럭(100)은 백시멘트에 칼라안료를 섞어서 형성하거나 포틀랜드 시멘트에 칼라 안료를 혼합하여 제작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용부 블럭(200)은 수용부 전방부(210)와, 상기 수용부 전방부(210)의 후방에 형성되는 수방부 후방부(220)로 이루어진다.
수용부 전방부(210)의 전면(210a)에는 필요에 따라 무늬나 모양을 형성할 수 있으며 측면(210b)은 후방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수용부 전방부(210)의 측면(210b)의 경사는, 보강토 옹벽(10)을 볼록하게 형성하는 경우, 돌출부 블럭(100)의 돌기부(122)는 수용부 블럭(200)의 제3수용홈(212c)에 위치하게 될 때, 돌출부 블럭(100)의 전방부(110)의 측면(110b)과 면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 전단키(211)를 기준으로 하는 수용부 전방부(210)의 두께는 돌출부 전단키(111)를 기준으로 하는 돌출부 전방부(11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된다.
수용부 전방부(210)의 후면(212)에는 폭방향 내측으로 수용부 후방부(220)를 기준으로 양측에 제1,2,3 수용홈(212a,212b,212c)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 전방부(210)의 후면에서 가장 외측에서 내측으로 제1수용홈(212a), 제2수용홈(212b), 제3수용홈(212c)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수용홈(212a) 및 제2수용홈(212b)은 수용부 전방부(210)의 후면(212)에 오목하게 홈이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3수용홈(212c)은 수용부 전방부(210)의 후면(212)의 내측과 수용부 후방부(220)와의 연결부에 형성된다.
제1,2,3 수용홈(212a,212b,212c)는 각각 돌기부(12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수용부 후방부(220)는 돌출부 후방부(120)에 형성된 돌출부(121)의 경사부(121b)를 수용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역 경사부(221)의 형태로 형성된다.
수용부 블럭(200)은 무색의 포틀랜드 시멘트로 형성됨으로써 돌출부 블럭(100)과 서로 색상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돌출부 블럭과 수용부 블럭으로 형성되는 보강토 옹벽(10)에 대해 설명한다.
보강토 옹벽(10)을 평면으로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 블럭(100)의 전단키(111)와 수용부 블럭(200)의 전단키(211)가 수평하게 위치된다.
이 경우, 돌출부 블럭(100)의 돌기부(122)는 수용부 블럭(200)의 제2수용홈(212b)에 위치하게 된다.
돌출부 블럭(100)의 전방부(110)의 두께가 수용부 블럭(200)의 전방부(21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보강토 옹벽의 전면에서 돌출부 블럭(100)의 전방부(110)의 전면(110a)이 수용부 블럭(200)의 전방부(210)의 전면(210a) 보다 돌출되게 된다.
따라서, 전면이 단순 평면으로 형성되어 밋밋한 보강토 옹벽(10)에 입체감을 부여하는 작용효과를 가지게 된다.
즉, 본원 발명에서는 보강토 옹벽 형성을 위해 기본적으로 수행되는 보강토 블럭의 축조작업을 돌출부 블럭과 수용부 블럭으로 수행함으로써 별도의 모양 형성작업이나 입체와 작업없이 자연적으로 보강토 옹벽의 전면에 입체감을 부여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평평한 보강토 옹벽에 입체감을 부여하기 위해 별도의 모양 형성이나 입체화 작업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노력 및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한편, 보강토 옹벽(10)을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강토 옹벽(10)을 오목하게 형성하는 경우, 돌출부 블럭(100)의 돌기부(122)는 수용부 블럭(200)의 제1수용홈(212a)에 위치하게 되며, 수용부 블럭(200)의 전방부(210)의 내측 모서리가 돌출부 블럭(100)의 전방부(110)의 측면(110b)에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수용부 블럭(200)의 전방부(210)의 전면(210a)의 내측 모서리가 돌출부 블럭(100)의 전방부(110)의 전면(110a)이 아닌 측면(110b)에 접촉하게 되므로 여전히 돌출부 블럭(100)의 전방부(110)의 전면(110a)이 수용부 블럭(200)의 전방부(210)의 전면(210a) 보다 돌출되어 입체감을 부여하는 작용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한편, 보강토 옹벽(10)을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강토 옹벽(10)을 볼록하게 형성하는 경우, 돌출부 블럭(100)의 돌기부(122)는 수용부 블럭(200)의 제3수용홈(212c)에 위치하게 되며, 수용부 블럭(200)의 전방부(210)의 측면(210b)이 돌출부 블럭(100)의 전방부(110)의 측면(110b)과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여전히 수용부 블럭(200)의 전방부(210)의 내측 모서리가 돌출부 블럭(100)의 전방부(110)의 전면(110a)보다 후방에 위치하므로 돌출부 블럭(100)의 전방부(110)의 전면(110a)이 수용부 블럭(200)의 전방부(210)의 전면(210a) 보다 돌출되어 입체감을 부여하는 작용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에서 돌출부 블럭의 전면이 보강토 옹벽의 전면에서 돌출되는 효과는 보강토 옹벽을 평평하게 시공하는 경우는 물론 오목하게 시공하거나 볼록하게 시공하는 경우에도 모두 보강토 옹벽의 입체감을 살리는 작용효과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 블럭(100)을 백시멘트나 포틀랜드 시멘트를 소재로 하면서 칼라안료를 혼합하고, 수용부 블럭(200)은 무색의 포틀랜드 시멘트 등으로 형성하는 경우 양자간의 색감이 대비되어 입체감을 더욱 배가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인 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는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유사한 범위 기술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100 : 돌출부 블럭 200 : 수용부 블럭

Claims (7)

  1. 보강토 옹벽으로서,
    돌출부 블럭과,
    상기 돌출부 블럭의 양측에 설치되는 수용부 블럭을 축조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부 블럭은,
    돌출부 전방부와, 상기 돌출부 전방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돌출부 후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부 후방부에는 양측으로 돌출되는 날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 블럭은,
    상기 돌출부 전방부의 두께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수용부 전방부와,
    상기 수용부 전방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수용부 후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부 전방부 후면은 상기 돌출부 후방부의 날개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는 평평하게 형성되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의 후방에 형성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부의 전방부의 후면은 상기 평면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 후방부는 상기 경사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역 경사부로 형성되며,
    상기 평면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전방부의 후면에는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수용부의 전방부의 후면에서 내측으로 가면서 제1수용홈, 제2수용홈, 및 제3수용홈이 순차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돌출부 블럭과 수용부 블럭을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하는 경우,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2수용홈에 삽입되고,
    상기 돌출부 블럭과 수용부 블럭을 내측으로 오목하게 설치하는 경우,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1수용홈에 삽입되며,
    상기 돌출부 블럭과 수용부 블럭을 볼록하게 형성하는 경우,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3수용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돌출부 블럭을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블럭과 상기 수용부 블럭을 형성하는 시멘트 소재의 색상을 달리하여 이루어지는 전면 돌출부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7.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블럭은 백시멘트 또는 포틀랜드 시멘트에 칼라 안료를 배합하여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 블럭은 무색의 포틀랜드 시멘트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 돌출부 블럭을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
KR1020210009900A 2021-01-25 2021-01-25 전면 돌출부 블럭을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 KR102292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900A KR102292020B1 (ko) 2021-01-25 2021-01-25 전면 돌출부 블럭을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900A KR102292020B1 (ko) 2021-01-25 2021-01-25 전면 돌출부 블럭을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020B1 true KR102292020B1 (ko) 2021-08-20

Family

ID=77466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900A KR102292020B1 (ko) 2021-01-25 2021-01-25 전면 돌출부 블럭을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0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972B1 (ko) 2005-06-10 2007-02-15 김목치 블록식 보강토 옹벽
KR100764135B1 (ko) * 2007-04-03 2007-10-08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 방법
KR101331840B1 (ko) * 2013-06-14 2013-11-20 (주)영신콘크리트산업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KR20160148120A (ko) * 2015-06-15 2016-12-26 유한회사 삼원콘크리트 시공이 편리한 식생용 조립식 옹벽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972B1 (ko) 2005-06-10 2007-02-15 김목치 블록식 보강토 옹벽
KR100764135B1 (ko) * 2007-04-03 2007-10-08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 방법
KR101331840B1 (ko) * 2013-06-14 2013-11-20 (주)영신콘크리트산업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KR20160148120A (ko) * 2015-06-15 2016-12-26 유한회사 삼원콘크리트 시공이 편리한 식생용 조립식 옹벽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0701A (en) Corner system for log cabin siding
NO831505L (no) Byggeblokk
KR102292020B1 (ko) 전면 돌출부 블럭을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
DK1255899T3 (da) Stabelbart konstruktionspanel
KR20180113106A (ko)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
ATE88787T1 (de) Kunststofffliese zur bekleidung von gebaeudeterrassen.
GB399024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construction of floors, walls, panelling and the like
CN208068540U (zh) 蒸压加气混凝土板生产系统及蒸压加气混凝土板
KR20210148588A (ko) 전면 대리석 장식패널 조립 및 교체가 가능한 보강토 옹벽블럭
JP7128095B2 (ja) 建築板、および施工構造
ITTO960108U1 (it) Pietra da costruzione in particolare per la costruzione di muri di sostegno.
KR102312065B1 (ko) 천연 대리석 및 2종류의 다른 원자재가 결합된 전면부재를 연결핀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보강토 블럭
KR102139025B1 (ko) 유도 크랙 보강토 블럭을 축조하여 형성된 유도 크랙 보강토 옹벽
GB2045308A (en) A Building Block
KR102119106B1 (ko) 노출 콘크리트 벽체 줄눈 형성 장치
CN218323924U (zh) 一种建筑工程用便于组合安装的建筑模板
GB1485060A (en) Construction assembly and method including interlocking blocks
ES2201884B1 (es) Pieza para formacion de escalones.
US2209730A (en) Concrete block and building brick
KR200273590Y1 (ko) 보강토 옹벽용 블록의 결합구조
GB1188624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all Construction
JP2023043645A (ja) 建築板
US1772057A (en) Wall construction and hollow blocks therefor
KR101412471B1 (ko) 세로줄눈 일체형 점토블록
JPH025026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