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8787A - 건축용 중공블록 및 그를 이용한 블록 벽체구조 - Google Patents

건축용 중공블록 및 그를 이용한 블록 벽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8787A
KR20030028787A KR1020030011148A KR20030011148A KR20030028787A KR 20030028787 A KR20030028787 A KR 20030028787A KR 1020030011148 A KR1020030011148 A KR 1020030011148A KR 20030011148 A KR20030011148 A KR 20030011148A KR 20030028787 A KR20030028787 A KR 20030028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hollow
building
block wall
wall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1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1013B1 (ko
Inventor
홍건영
Original Assignee
홍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건영 filed Critical 홍건영
Priority to KR1020030011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1013B1/ko
Publication of KR20030028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8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1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10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18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32Undercut connections, e.g. using undercut tongues and grooves
    • E04B2002/0234Angular dov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몰탈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블록 벽체를 축조하므로서 시공성을 증대할 수 있는 건축용 중공(中空) 블록(Block) 및 그를 이용한 블록 벽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중공 블록들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돌부와 홈부를 서로 결합하여 적층한 블록 벽체와, 상기 중공 블록의 중공부에 삽입하여 상하 적층되는 중공 블록들을 서로 결속하는 결속 핀과, 상기 결속 핀에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수직공 및 수평공을 통하여 상기 블록 벽체를 보강하는 수직 보강재 및 수평 보강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중공블록 및 그를 이용한 블록 벽체구조{Mid-air Block for Building and Block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몰탈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블록 벽체를 축조하므로서 시공성을 증대할 수 있는 건축용 중공(中空) 블록(Block) 및 그를 이용한 블록 벽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공 블록은 전후면이 편평하게 형성되고, 그 상하면에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양 측면에는 반원형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블록으로 블록 벽체를 축조할 할 경우에, 상하 좌우 블록 사이에 반드시 몰탈을 사용하여 축조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중공부 속으로 철근을 삽입하여 벽체를 보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시공되는 종래의 블록은 몰탈을 사용하여 축조하므로서, 공사에 많은 제약을 받게 되는 문제가 있다. 즉, 몰탈은 어느 정도 경화되는 시간이 필요하므로 벽체를 어느 정도 쌓은 후, 몰탈이 경화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므로 벽체를 하루 3단 내지 4단 이상을 쌓을 수 없다. 또한, 몰탈에는 수분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추운 겨울철에는 몰탈이 얼 수 있기 때문에 공사를 진행할 수 없다. 더욱이 몰탈을 사용하게 되면 모래, 시멘트, 물 등의 재료를 현장으로 반입하고 혼합하는 불편이 수반될 뿐만 아니라, 블록 벽체를 쌓는 블록 기능공 등이 필요하므로 여러면에서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몰탈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블록 벽체를 시공할 수 있으며, 특별한 기술이 없는 사람도 손쉽게 시공할 수 있는 건축용 중공 블록 및 그를 이용한 블록 벽체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중공블록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A-A선 단면도,
도3은 도1의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중공블록을 사용하여 축조한 블록 벽체구조의 정면도,
도5는 도4의 "A"부 확대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벽체구조에 사용되는 결속 핀의 예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벽체구조에 사용되는 결속 핀의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중공 블록(Block), 11:블록 몸체부,
12:중공부, 13:돌부,
14:홈부, 13a:삽입홈,
20:블록 벽체, 30:결속 핀(Pin) ,
31:수직공, 32:수평공,
40:수직 보강재, 40' :수평 보강재,
L1,L2:중공부 전후측 연장선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축용 중공 블록은, 블록 몸체부의 상면에 돌부를 형성하고, 블록 몸체부의 하면에는 상기 돌부의 형상이 결합될 수 있도록 홈부를 형성하되, 상기 돌부 및 홈부를 중공부의 전후측 연장선상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용 중공 블록은,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돌부에 블록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배근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용 중공 블록은,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중공부는 상부가 넓고 하부는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축용 중공블록을 이용한 블록 벽체구조는 중공 블록들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돌부와 홈부를 서로 결합하여 적층한 블록 벽체와, 상기 중공 블록의 중공부에 삽입하여 상하 적층되는 중공 블록들을 서로 결속하는 결속 핀과, 상기 결속 핀에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수직공 및 수평공을 통하여 상기 블록 벽체를 보강하는 수직 보강재 및 수평 보강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하는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중공블록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3은 도1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중공블록은 도면에서와 같이, 가운데 중공부(12)를 형성하고 양 측면에 반원형 홈을 형성하는 건축용 중공블록에 있어서, 블록 몸체부(11)의 상면에 돌부(13)를 형성하고, 블록 몸체부(11)의 하면에는 상기 돌부(13)의 형상이 결합될 수 있도록 홈부(14)를 형성하되, 상기 돌부(13) 및 홈부(14)를 상기 중공부(12)의 전후측 연장선상(L1)(L2) 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돌부(13)와 홈부(14)는 중공부(12)의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형성하고 있으나, 그 갯수는 블록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그 형태나 모양도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돌부(13)와 홈부(14)는 중공부(12)의 전후측 연장선상(L1)(L2) 내에 형성하므로써 전단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도3참조).
상기 돌부(13)에는 블록 몸체부(11)의 길이방향으로 수평 보강재(40' )를 배치할 수 있도록 배근홈(13a)을 형성하고 있다(도5참조). 또한, 상기 중공부(12)는 결속 핀(Pin)(30)을 용이하게 결속할 수 있도록 상부가 넓고 하부는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5참조).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중공 블록(10)의 상면에 후방쪽으로 철근 결속용 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철근 결속용 홈은 중공부(12)에서 시작하여 중공 블록(10)의 배면까지 형성된다. 이는 블록 벽체 시공시 결속용 철근을 중공 블록(10)에 결속시켜 블록 벽체의 후방으로 연장시켜 지반 등에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때 결속용 철근은 중공부(12)에 결속되는 결속 핀(30)에 결속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중공 블록(10)은 양 측면을 전측 또는 후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블록 벽체 시공시 블록 벽체의 코너(Corner) 구간 또는 곡선 구간을 유용하게 축조하기 위한 것이다.
도4 내지 도7은 상기한 블록을 사용하여 블록 벽체를 시공한 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블록 벽체구조는 중공 블록(10)들의 각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돌부(13)와 홈부(14)를 서로 결합하여 적층한 블록 벽체(20)와, 상기 중공 블록(10)의 중공부(12)에 삽입하여 상하 적층되는 중공 블록(10)들을 서로 결속하는 결속 핀(30)과, 상기 결속 핀(30)에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수직공(31) 및 수평공(32)을 통하여 상기 블록 벽체(20)를 보강하는 수직 보강재(40) 및 수평 보강재(40')를 포함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블록 벽체구조는 상하 중공 블록(10)들 간에는 돌부(13)와 홈부(14)로 결합함과 동시에, 중공부(12)를 통하여 결속 핀(30)으로 결속하고 있다. 이 때 결속 핀(30)에 형성된 수직공(31) 및 수평공(32)을 통하여 수직 보강재(40)와 수평 보강재(40')를 보강하고 있다.
블록 벽체(20)는 상하 중공 블록(10)들이 서로 어긋나게 적층되므로, 하부의 중공 블록 좌우측에 각각 상부의 중공 블록이 1개씩 적층된다. 이 때 상하 중공 블록(10)들의 돌부(13)와 홈부(14)가 서로 맞게 결합되도록 중공 블록(10)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결속 핀(30)의 하부는, 하부에 설치되는 중공 블록(10)의 중공부(12)에 결속되고, 그 결속 핀(30)의 상부는, 상부에 설치되는 2개의 좌우측 중공 블록(10) 사이, 즉 블록의 측면에 형성된 반원형 홈이 합쳐져서 이루어진 중공부(12a)에 결속된다(도5참조).
결속 핀(30)은 중공부(12)의 형상에 따라 그 형태와 모양이 바뀔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부가 작고 가운데가 크게 형성된 오뚜기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수직공(31)과 수평공(32)은 서로 엇갈리게 형성하고 있다.(도7참조). 수평 보강재(40' )는 중공 블록(10)의 돌부(13)에 형성된 배근홈(13a)을 통과하면서 배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중공 블록의 상하면에 각각 형성된 돌부와 홈부를 결합하여 축조하며, 상하 블록을 결속 핀으로 결속함과 동시에 결속 핀에 형성된 수직공 및 수평공을 통하여 수직 보강재 및 수평 보강재를 보강하므로써, 몰탈을 사용하지 않고도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블록 기능공이 아닌 사람도 손쉽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중공부(12)를 형성하는 건축용 중공블록에 있어서,
    블록 몸체부(11)의 상면에 돌부(13)를 형성하고, 블록 몸체부(11)의 하면에는 상기 돌부(13)의 형상이 결합될 수 있도록 홈부(14)를 형성하되, 상기 돌부(13) 및 홈부(14)는 중공부(12)의 전후측 연장선상(L1)(L2)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중공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부(13)에 블록 몸체부(11)의 길이방향으로 배근홈(13a)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중공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12)는 상부가 넓고 하부는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중공블록.
  4. 중공 블록(10)들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돌부(13)와 홈부(14)를 서로 결합하여 적층한 블록 벽체(20)와,
    상기 중공 블록(10)의 중공부(12)에 삽입하여 상하 적층되는 중공 블록(10)들을 서로 결속하는 결속 핀(30)과,
    상기 결속 핀(30)에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수직공(31) 및 수평공(32)을 통하여 상기 블록 벽체(20)을 보강하는 수직 보강재(40) 및 수평 보강재(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중공블록을 이용한 블록 벽체구조.
KR1020030011148A 2003-02-21 2003-02-21 건축용 중공블록 및 그를 이용한 블록 벽체구조 KR100541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148A KR100541013B1 (ko) 2003-02-21 2003-02-21 건축용 중공블록 및 그를 이용한 블록 벽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148A KR100541013B1 (ko) 2003-02-21 2003-02-21 건축용 중공블록 및 그를 이용한 블록 벽체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607U Division KR200314012Y1 (ko) 2003-02-25 2003-02-25 건축용 중공블록 및 그를 이용한 블록 벽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787A true KR20030028787A (ko) 2003-04-10
KR100541013B1 KR100541013B1 (ko) 2006-01-10

Family

ID=29578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1148A KR100541013B1 (ko) 2003-02-21 2003-02-21 건축용 중공블록 및 그를 이용한 블록 벽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10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779B1 (ko) * 2007-09-28 2009-05-2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조적식 벽돌
WO2020013557A1 (ko) * 2018-07-09 2020-01-16 김미르 와이어 내진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CN113338484A (zh) * 2021-05-18 2021-09-03 宝业湖北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用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06588A (zh) * 2014-01-20 2014-05-21 大连正锐建筑节能股份有限公司 一种空心砌模以及用该空心砌模砌筑的自保温墙体
KR102469967B1 (ko) * 2021-07-16 2022-11-23 김교원 벽체용 기초부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779B1 (ko) * 2007-09-28 2009-05-2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조적식 벽돌
WO2020013557A1 (ko) * 2018-07-09 2020-01-16 김미르 와이어 내진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00005775A (ko) * 2018-07-09 2020-01-17 김미르 와이어 내진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CN112654754A (zh) * 2018-07-09 2021-04-13 金米鲁 钢丝耐震积木砖及其施工方法
CN112654754B (zh) * 2018-07-09 2022-05-27 金米鲁 钢丝耐震积木砖及其施工方法
CN113338484A (zh) * 2021-05-18 2021-09-03 宝业湖北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用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1013B1 (ko) 2006-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500103A (ja) 型枠装置
KR102229817B1 (ko)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토목 및 건축 벽체 건설용 속빈 레고형 콘크리트 블록 성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속빈 레고형 콘크리트 블록
KR101397432B1 (ko) 보강토 옹벽 패널
KR100541013B1 (ko) 건축용 중공블록 및 그를 이용한 블록 벽체구조
KR200314012Y1 (ko) 건축용 중공블록 및 그를 이용한 블록 벽체구조
CN201062392Y (zh) 联锁式混凝土空心砌块
DE60021803D1 (de) Haube eines Bewehrungsanschlusskastens und Bewehrungsanschlusskasten mit einer solchen Haube
KR200227273Y1 (ko) 벽돌
KR100674504B1 (ko) 벽돌
KR20060032808A (ko) 기계적 착탈 결합구조를 가진 중공단면의 평면 및 곡면형섬유강화 복합소재 패널과, 그 커넥터
KR102047837B1 (ko) 결속력 강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적층시공방법
KR200273590Y1 (ko) 보강토 옹벽용 블록의 결합구조
CN110016977A (zh) 一种预制混凝土构件
CN213296979U (zh) 玻璃纤维增强混凝土板无缝拼接结构及具有其的建筑物
KR200265956Y1 (ko) 외장용벽돌
KR200167843Y1 (ko) 옹벽축조용 블록
KR102495375B1 (ko) 습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JP2001107442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この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からコンクリート構築物を構築する工法
JPH0432404Y2 (ko)
KR100649127B1 (ko) 표면부재-배근부재 복합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JPH0336328A (ja) 擁壁構法
MXPA03005260A (es) Sistema para la construccion de muros a base de block o tabicones.
JPH0247442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積重ね固定構造
JP3515968B2 (ja) 角筒状構築物
KR100518931B1 (ko) 옹벽시공용 철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