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9779B1 - 조적식 벽돌 - Google Patents

조적식 벽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9779B1
KR100899779B1 KR1020070097755A KR20070097755A KR100899779B1 KR 100899779 B1 KR100899779 B1 KR 100899779B1 KR 1020070097755 A KR1020070097755 A KR 1020070097755A KR 20070097755 A KR20070097755 A KR 20070097755A KR 100899779 B1 KR100899779 B1 KR 100899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ck body
brick
reinforcing bar
tube
en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7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2471A (ko
Inventor
이영호
김진구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97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9779B1/ko
Publication of KR20090032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2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E04C1/395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for claustra, fences, planting walls, e.g. sound-absorb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장이나 비내력벽에 이용되는 조적식 벽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직으로 적층되면서 벽체형의 구조물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벽돌체(10); 상기 벽돌체(10)의 폭(W)을 형성하는 상부면(12) 및 하부면(14)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벽돌체(10)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벽돌체(10)의 적층에 의해 수직으로 정렬되는 관통관(20) 및; 상기 관통관(20)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적층된 상기 벽돌체(10)들을 실질적으로 연결하면서 벽돌체(10)들을 결속함으로써, 벽돌체(10)의 횡력을 보강하는 보강근(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벽돌체(10)들이 적층됨에 따라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관통관(20)에 보강근(30)이 삽입되므로, 벽돌체(20)의 수평방향 횡력이 보강근(30)의 자체강성에 의해 보강된다.
조적, 벽돌, 수평, 횡력, 보강

Description

조적식 벽돌 { PILLING TYPE BRICK }
본 발명은 담장이나 비내력벽에 이용되는 조적식 벽돌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으로 적층되는 벽돌체의 일부분을 결속시켜서 벽돌체의 횡력을 보강할 수 있는 조적식 벽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적식 벽돌은 나무나 돌 또는 점토나 시멘트로 만들어진 육면체형태의 사각형 벽돌체가 바닥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한줄씩 적층되면서 수직을 이루는 벽체형 장막을 형성한다. 이러한 조적식 벽돌은 서로 적층된 벽돌체와 벽돌체 사이에 모르터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서로 적층된 벽돌체들은 모르터에 의해 접착되면서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즉, 조적식 벽돌은 복수개의 벽돌체가 모르터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조적식 벽돌은 모르터에 의해 연결되는 벽돌체에 의해 담장이나 비내력벽 또는 외장벽과 같은 수직형태의 장막벽을 형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벽돌은 수직으로 적층되는 벽돌체가 모르터에 의해 접착되면서 벽체를 형성하므로 벽체의 높이를 약 3.5m 이상 조적할 수 없다. 즉, 벽체는 최대 약 3.5m까지만 조적이 가능하다. 만약, 벽체가 3.5m 이상 조적될 경우 벽체는 벽돌체가 하중에 의해 측방으로 이탈됨에 따라 도괴된다. 따라서, 벽체는 3.5m 이상 조적될 수 없다. 즉, 일반적인 벽돌은 3.5m 이상의 높이로 조적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일반적인 벽돌에 의해 형성된 벽체는 건물 천정의 높이가 3.5m 이상일 경우 상단부가 천정(또는 천정의 보)과 이격되면서 상단부 및 천정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즉, 벽체의 상단은 천정에 연결되지 못한다. 이러한 경우, 벽체의 상단 및 천정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의 상단부를 천정에 연결한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일반적인 벽돌은 콘크리트를 주입식으로 공급하는 공급관에 부딪히거나 주입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밀리면서 도괴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벽돌을 이용할 경우 벽체의 상단부에 사실상 콘크리트를 주입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벽돌은 수직으로 적층된 벽돌체가 하중에 의해 중력방향의 수직력은 강하지만 수평방향의 횡력은 취약하므로, 횡방향 지진(종파)이 발생할 경우 대부분 도괴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수직으로 적층되는 벽돌체의 일부분을 일직선으로 연결하여 벽돌체의 수평방향 횡력을 보강할 수 있는 조적식 벽돌체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특히, 수직으로 적층된 벽돌체의 일부분이 강재에 의해 지지되는 조적식 벽돌체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조적식 벽돌은, 담장이나 비내력벽에 이용되는 조적식 벽돌에 있어서, 수직으로 적층되면서 벽체형의 구조물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벽돌체; 상기 벽돌체의 폭을 형성하는 상부면 및 하부면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벽돌체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벽돌체의 적층에 의해 수직으로 정렬되는 관통관 및; 상기 관통관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적층된 상기 벽돌체들을 실질적으로 연결하면서 벽돌체들을 결속함으로써, 벽돌체의 횡력을 보강하는 보강근;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조적식 벽돌은, 벽돌체들이 적층됨에 따라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관통관에 보강근이 삽입되므로, 벽돌체의 횡력이 보강근의 자체강성에 의해 보강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적식 벽돌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적식 벽돌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조적식 벽돌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적식 벽돌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조적식 벽돌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적식 벽돌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벽돌체(10); 관통관(20) 및; 보강근(3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술한 벽돌체(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관통공(10a)이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공(10a)은 벽돌체(10)의 폭(W)을 형성하는 상부면(12)에서부터 하부면(14)까지 관통형성된다. 즉, 관통공(10a)은 벽돌체(10)를 수직으로 관통한다.
다음, 전술한 관통관(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플라스틱이나 금속재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관통관(20)은 전술한 관통공(10a)에 삽입된다. 따라서, 관통관(20)은 벽돌체(10)를 수직으로 관통한다. 즉, 관통관(20)은 벽돌체(10)의 폭(W)을 형성하는 상부면(12) 및 하부면(14)을 수직으로 관통한다.
관통관(20)은 벽돌체(10)의 양생시 벽돌체(10)의 관통공(10a)에 삽입되며, 벽돌체(10)가 경화됨에 따라 벽돌체(10)에 수직으로 고정된다. 물론, 관통관(20)은 벽돌체(10)의 경화가 완료된 후에 관통공(10a)에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관통관(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보강근(30)이 삽입된다. 관통 관(20)은 삽입되는 보강근(30)이 견고하게 삽입되도록 도면상의 확대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돌기(22)가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보강근(30)은 외주면이 돌기(22)에 의해 부분적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보강근(30)은 관통관(20)에 삽이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전술한 돌기(22)는 보강근(30)의 외주면이 원주방향을 따라 가압되면서 걸리도록,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관(20)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관(20)은 벽돌체(10)에 외주면이 걸려서 고정되도록 확대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웨지돌기(24)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웨지돌기(24)는 경화되지 않은 벽돌체(10)에 삽입되어 웨지고정된다. 따라서, 관통관(20)은 벽돌체(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웨지돌기(24)는 역방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구성한 것이 바람직하며, 관통관(20)의 외주면측 사방이 벽돌체(10)에 걸리도록 관통관(2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관통관(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벽돌체(10)의 높이(H)와 대응되는 높이(h)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관통관(20)은 그 높이(h)가 도시된 바와 같이 벽돌체(10)의 높이(H)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약간 높거나 약간 낮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관통관(20)은 확대도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돌체(10)의 상부면(12)으로 상단부(20a)가 돌출되도록 벽돌체(10)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관통관(20)은 상단부(20a)가 벽돌체(10)의 상부면(12)에 돌출됨에 따라, 하단부(20b)가 벽돌체(10)의 하부면(14) 내측에 위치한다. 즉, 하단 부(20b)는 관통공(10a)의 내측에 위치한다. 다시 말하면, 하단부(20b)는 벽돌체(10)의 내부에 위치한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보강근(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형성된 철근이다. 이러한 보강근(30)은 표면이 매끈한 일반 철근 보다는, 외주면이 관통관(20)의 내주면을 부분적으로 가압하면서 밀착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돌출띠가 형성된 이형철근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이형철근으로 보강근(30)을 구성할 경우 보강근(3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띠가 전술한 관통관(20)의 돌기(22) 사이 홈에 걸린다. 따라서, 보강근(30)은 관통관(20)의 내부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벽돌체(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관통관(20)이 마련될 수 있다. 즉, 관통관(20)은 벽돌체(10)에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관(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벽돌체(10)의 양측에 하나씩 대향상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전술한 보강근(30)은 복수개의 관통관(20) 중 어느 하나에만 삽입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양쪽 모두 삽입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벽돌체(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적층되면서 구조물을 형성한다. 그리고, 관통관(20)은 확대도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돌체(10)의 적층으로 인하여 수직으로 정렬된다. 이때, 관통관(20)은 벽돌체(10)의 상부면(12)으로 돌출된 상단부(20a)가 벽돌체(10)의 관통공(10a) 하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관통관(20)의 상단부(20a)는 상부에 적층된 관통관(20)의 하단부(20b)를 지지한다.
이렇게, 관통관(20)의 상단부(20a)가 벽돌체(10)의 관통공(10a)으로 삽입되므로, 수직으로 적층되는 벽돌체(10)는 안정적으로 적층된다. 또한, 관통관(20)의 상단부(20a)가 벽돌체(10)의 상부면(12)으로 돌출되므로, 벽돌체(10)의 상부면(12)에 모르터를 도포할 경우, 모르터가 돌출된 상단부(20a)로 인하여 관통관(20)으로 유입되지 않는다. 즉, 관통관(20)은 상단부(20a)가 돌출되지 않으면 모르터가 유입되어 막힐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관통관(20)은 확대도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20a)의 지름을 하단부(20b)의 지름 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관통관(20)의 상단부(20a)를 구성할 경우, 상단부(20a)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되는 벽돌체(10)에 의해 하단부(20b)에 끼워진다. 따라서, 수직으로 적층되는 벽돌체(10)는 더욱 안정적으로 적층된다.
한편, 보강근(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관(20)에 수직으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수직으로 적층된 복수개의 벽돌체(10)들은 보강근(30)에 끼워진다. 따라서, 벽돌체(10)들은 보강근(30)을 통해 서로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즉, 보강근(30)은 관통관(20)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적층된 벽돌체(10)들을 실질적으로 연결하면서 벽돌체(10)들을 결속한다.
이렇게, 보강근(30)이 벽돌체(10)들을 연결하므로 벽돌체(10)는 수평방향의 횡력이 보강된다. 즉, 벽돌체(10)는 보강근(30)이 수직으로 박힘에 따라 보강근(30)에 의해 횡력이 보강된다. 따라서, 벽돌체(10)는 수평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질 경우 수평방향 외력에 대해 견고하게 대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직으로 보 다 높게 적층될 수 있다. 즉, 벽돌체(10)는 보강근(30)의 의해 수평하중에 견고하게 대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전 보다 높이 적층되면서 벽체의 높이를 보다 높게 형성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벽돌은 보강근(30)으로 인하여 최고 3.5m만 형성할 수 있는 벽체의 높이를 더 높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강근(30)은 3개의 벽돌체(10) 당 1개씩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강근(30)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등간격으로 삽입된다. 물론, 보강근(30)은 2개 또는 4 내지 5개의 벽돌체(10) 당 1개씩 삽입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벽돌체(10)는 도 1에 도시되었던 관통관(20)이 하나로 구성된 벽돌체(10)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벽돌체(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이때, 벽돌체(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최 하단에는 전술한 도 2의 관통관(20)이 복수개로 구성된 것이 적층되고, 상부에는 관통관(20)이 1개로 구성된 것이 적층된다. 물론, 관통관(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근(30)이 관통하도록 연통상태로 적층된다. 즉, 1개 또는 복수개의 관통관(20)이 고정된 벽돌체(10)는 작업특성에 따라 당양한 방법으로 사용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적식 벽돌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조적식 벽돌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적식 벽돌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조적식 벽돌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호 설명>
10 : 벽돌체
10a : 관통공
12 : 상부면
14 : 하부면
20 : 관통관
20a : 상단부
20b : 하단부
22 : 돌기
24 : 웨지돌기
30 : 보강근

Claims (7)

  1. 담장이나 비내력벽에 이용되는 조적식 벽돌로서, 수직으로 적층되면서 벽체형의 구조물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벽돌체(10)와, 상기 벽돌체(10)의 폭(W)을 형성하는 상부면(12) 및 하부면(14)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벽돌체(10)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벽돌체(10)의 적층에 의해 수직으로 정렬되는 관통관(20)과, 상기 관통관(20)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적층된 상기 벽돌체(10)들을 실질적으로 연결하면서 벽돌체(10)들을 결속함으로써 벽돌체(10)의 횡력을 보강하는 보강근(30)을 포함하는 조적식 벽돌에 있어서,
    상기 관통관(20)은,상기 보강근(30)의 외주면이 부분적으로 가압되면서 걸리도록 내주면에 돌출형성된 돌기(22)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22)는,상기 보강근(30)의 외주면이 원주방향을 따라 가압되면서 걸리도록 상기 관통관(20)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관통관(20)은,
    상기 벽돌체(10)에 외주면이 걸려서 고정되도록 외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벽돌체(10)에 삽입되어 웨지고정되는 웨지돌기(24)를 포함하고,
    상기 벽돌체(10)의 적층에 의해 상단부(20a)가 상기 벽돌체(10)의 하부면(14)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벽돌체(10)의 높이(H)에 대응하는 높이(h)를 가지면서 상단부(20a)가 상기 벽돌체(10)의 상부면(12)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단부(20a)가 상기 벽돌체(10)의 하부면(14)에 삽입되면서 상기 하단부(20b)에 끼워지도록 상기 상단부(20a)의 지름이 상기 하단부(20b)의 지름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보강근(30)은, 상기 관통관(20)의 내주면을 외주면이 부분적으로 가압하면서 밀착되도록 외주면에 돌출띠가 형성된 이형철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식 벽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70097755A 2007-09-28 2007-09-28 조적식 벽돌 KR100899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755A KR100899779B1 (ko) 2007-09-28 2007-09-28 조적식 벽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7755A KR100899779B1 (ko) 2007-09-28 2007-09-28 조적식 벽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471A KR20090032471A (ko) 2009-04-01
KR100899779B1 true KR100899779B1 (ko) 2009-05-28

Family

ID=40759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7755A KR100899779B1 (ko) 2007-09-28 2007-09-28 조적식 벽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977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785B1 (ko) * 2011-06-22 2013-02-08 이성근 조립식 블럭
KR101259941B1 (ko) * 2011-11-08 2013-05-02 고려건설 주식회사 건축용 벽돌
WO2016015139A1 (en) * 2014-08-01 2016-02-04 Just Biofiber Corp. Load bearing interlocking structural blocks and modular building system
US10113305B2 (en) 2014-08-01 2018-10-30 Just Biofiber Structural Solutions Corp. Load bearing interlocking structural blocks and tension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967B1 (ko) * 2009-05-22 2010-07-06 주식회사 건보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주거 건축물 벽체의 기능성 목재블록 설치구조
US8667750B2 (en) 2011-08-09 2014-03-11 Tie-Cast Systems, Inc. Masonry reinforcement system
KR102127735B1 (ko) 2017-06-26 2020-06-29 윤인구 내진보강형 칸막이 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20435U (ko) * 1989-05-20 1990-12-13 오배식 벽 돌
KR20030028787A (ko) * 2003-02-21 2003-04-10 홍건영 건축용 중공블록 및 그를 이용한 블록 벽체구조
KR200338696Y1 (ko) 2003-10-31 2004-01-16 홍지기술산업주식회사 블럭 및 그에 사용되는 뚜껑형 돌출부재
KR100860591B1 (ko) 2007-06-19 2008-09-26 삼성물산 주식회사 Pc블럭을 이용한 수직구조물 축조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20435U (ko) * 1989-05-20 1990-12-13 오배식 벽 돌
KR20030028787A (ko) * 2003-02-21 2003-04-10 홍건영 건축용 중공블록 및 그를 이용한 블록 벽체구조
KR200338696Y1 (ko) 2003-10-31 2004-01-16 홍지기술산업주식회사 블럭 및 그에 사용되는 뚜껑형 돌출부재
KR100860591B1 (ko) 2007-06-19 2008-09-26 삼성물산 주식회사 Pc블럭을 이용한 수직구조물 축조공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785B1 (ko) * 2011-06-22 2013-02-08 이성근 조립식 블럭
KR101259941B1 (ko) * 2011-11-08 2013-05-02 고려건설 주식회사 건축용 벽돌
WO2016015139A1 (en) * 2014-08-01 2016-02-04 Just Biofiber Corp. Load bearing interlocking structural blocks and modular building system
WO2016015138A1 (en) * 2014-08-01 2016-02-04 Just Biofiber Corp. Load bearing interlocking structural blocks and modular building system
WO2016015136A1 (en) * 2014-08-01 2016-02-04 Just Biofiber Corp. Load bearing interlocking structural blocks and tensioning system
US10113305B2 (en) 2014-08-01 2018-10-30 Just Biofiber Structural Solutions Corp. Load bearing interlocking structural blocks and tensioning system
EA037767B1 (ru) * 2014-08-01 2021-05-19 Джаст Байофайбер Стракчерал Сольюшнз Корп.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и способ строительства сооружени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2471A (ko) 200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779B1 (ko) 조적식 벽돌
KR100583352B1 (ko) 철골 연결구
KR10127854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 매립형 피씨 월 및 상기 피씨 월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JP6422795B2 (ja) 複合梁及びこれを構成するPCa複合梁部材並びに複合ラーメン構造
US20060179738A1 (en) Lintel
KR101017292B1 (ko) 레벨조정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기둥구조물 시공방법
JP7411749B2 (ja) コンクリート造建物の構築方法
JP6552863B2 (ja) 外壁の増打ち方法
JP4966825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の接合構造
KR20120131034A (ko) 루프이음에 의한 프리캐스트 천정판과 보의 결합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컨테이너 구조물
KR100674504B1 (ko) 벽돌
KR100643638B1 (ko) 철망을 이용한 탑다운 공법용 역타 주입관
KR102621195B1 (ko) 생산성이 향상된 일체형 pc 이중벽 구조물
JP4404263B2 (ja) コンクリート打継ぎ工法
JP5607812B1 (ja) Rc造建物のps後導入方法およびその構造物
CN107542185B (zh) 装配框剪结构弯剪型组合键槽连接结构及装配方法
KR101978748B1 (ko) 충전강성 록킹 압축체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
KR20210072014A (ko) 콘크리트 구조물 형성용의 잔존 형틀
KR20110101746A (ko) 건축용 벽돌
JP4989411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
TWI807974B (zh) 建築結構單元及地下室外牆結構
KR101361116B1 (ko) 담장 삽입형 지지장치
KR102299137B1 (ko) 콘크리트 바닥 시공용 다용도 마감부재
JP2010265692A (ja) 構造体
JP2001220858A (ja) コンクリート補強体及びその組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