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5775A - 와이어 내진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와이어 내진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5775A
KR20200005775A KR1020180079145A KR20180079145A KR20200005775A KR 20200005775 A KR20200005775 A KR 20200005775A KR 1020180079145 A KR1020180079145 A KR 1020180079145A KR 20180079145 A KR20180079145 A KR 20180079145A KR 20200005775 A KR20200005775 A KR 20200005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lock
hole
block body
seis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0080B1 (ko
Inventor
김미르
Original Assignee
김미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르 filed Critical 김미르
Priority to KR1020180079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080B1/ko
Priority to PCT/KR2019/008399 priority patent/WO2020013557A1/ko
Priority to CN201980046410.0A priority patent/CN112654754B/zh
Publication of KR20200005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45Pegs or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54Tie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내진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구조물의 벽체를 시공함에 있어서 모듈화된 블록을 이용하여 건식공법으로 시공되되, 와이어를 사용하여 시공의 편리성과 안정성을 극대화 시키면서도 미숙련자도 양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고, 내진성능이 우수한 와이어 내진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블록공(110)이 형성되되, 상기 블록공(110)의 하부는 상부의 직경보다 작게 직경이 형성되는 와이어 관통공(121)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관통공(121)의 외측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정핀 삽입공(111)이 형성되는 블록본체(100)로 구성되되, 상기 블록공(110)의 중간부에서부터 하단부까지는 와이어(12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와이어 관통공(121)이 형성되어, 상기 블록본체(100)를 적층할 시 상기 와이어(120)를 상부로 연장하여 각각을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이어 내진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Wire seismic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와이어 내진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구조물의 벽체를 시공함에 있어서 모듈화된 블록을 이용하여 건식공법으로 시공되되, 와이어를 사용하여 시공의 편리성과 안정성을 극대화 시키면서도 미숙련자도 양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고, 내진성능이 우수한 와이어 내진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에서 벽체는 필수적인 구성요소이다.
기존의 벽체는 철근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시공하거나 블록 또는 벽돌을 몰탈을 이용하여 시공하는 습식공법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벽체는 습식공법으로 시공되므로 현장에서의 자재낭비가 많아 공비가 증가하고, 콘크리트 또는 몰탈의 양생시간이 요구되므로 공기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기능공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의 완성도가 차이가 나므로 요구되는 일정 수준이상의 품질관리가 어렵다.
그리고 완성된 벽체가 유연성을 가지지 못해 강한 충격이나 횡압력 등에 취약하여 파손이 빈번하며 근래에 대두되는 내진성능을 구비하기 어렵다.
따라서 미숙련공도 기성제작된 부재를 가지고 빠른 시간 내에 일정수준의 품질을 유지하며 시공할 수 있고 별도의 양생시간이 필요 없어 공기가 줄어드는 벽체구조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94363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구조물의 벽체를 시공함에 있어서 모듈화된 블록을 이용하여 건식공법으로 시공되되, 와이어를 사용하여 시공의 편리성과 안정성을 극대화 시키면서도 미숙련자도 양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고, 내진성능이 우수한 와이어 내진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블록공(110)이 형성되되, 상기 블록공(110)의 하부는 상부의 직경보다 작게 직경이 형성되는 와이어 관통공(121)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관통공(121)의 외측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정핀 삽입공(111)이 형성되는 블록본체(100)로 구성되되, 상기 블록공(110)의 중간부에서부터 하단부까지는 와이어(12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와이어 관통공(121)이 형성되어, 상기 블록본체(100)를 적층할 시 상기 와이어(120)를 상부로 연장하여 각각을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 삽입공(111)에는 고정핀(130)이 삽입되되, 상기 고정핀(130)은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적층되는 상부 블록본체(100)와 하부 블록본체(100)를 서로 연결하여 외부 충격 시 적층된 블록본체(100)가 무너지거나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100) 중 최하단의 블록본체(100)의 와이어 관통공(121)에는 베이스(200)에 세트앵커(140)가 결합되고, 상기 세트앵커(140)의 상부에는 아이너트(141)가 결합되어 상기 아이너트(141)에 와이어(120)가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최하단의 블록본체(100)의 블록공(110)의 측면의 와이어 관통공(121)이 위치되는 부분에는, 상기 아이너트(141)에 와이어(120)의 결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와이어 결속공(10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100)의 상부면에는, 블록본체(100)들을 적층할 시 동일층에 배치되는 블록본체(10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돌기(10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은 상기한 와이어 내진블록을 통해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소정 면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200) 가장자리 영역에 와이어 결속공(102)이 형성되는 블록 본체(100)가 설치되는 단계; 상기 블록 본체(100)의 블록공(110)에 세트앵커(140)를 삽입하여 고정한 뒤 상기 세트앵커(140)의 상부에 아이너트(141)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블록 본체(100)에 와이어 결속공(102)이 없는 블록본체(100)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적층하되, 고정핀 삽입공(111)에 고정핀(130)을 삽입하면서 적층하는 단계; 소정의 높이로 블록본체(100)가 적층되면 블록공(110) 및 와이어 관통공(121)을 관통시켜 와이어(120)를 최하단의 블록본체(100)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삽입된 와이어(120)를 상기 아이너트(141)에 결속하는 단계; 및 상기 와이어(120)를 최상단의 블록본체(100) 및 구조물의 천정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와이어 내진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첫째, 규격화된 블록을 건식으로 시공할 수 있음과 동시에 와이어를 사용하여 시공의 편리성을 극대화 시키면서도 미숙련자도 양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어 벽체시공의 공기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둘째, 와이어를 이용하여 내진블록을 수직방향으로 고정시킴으로 인하여 내진블록이 지진과 같은 미세한 진동을 흡수하면서도 원위치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서 건축물의 안정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모듈화된 블록을 이용하므로 다양한 평면 및 입면의 건물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내부에 횡압력 등의 충격에 대응하도록 탄성이 있는 고정핀이 개재되어 내진성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다섯째, 미숙련자도 손쉽게 소정의 품질로 시공할 수 있어 적용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와이어 내진블록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와이어 내진블록의 최하단의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 와이어 내진블록들이 적층되었을 시 고정핀 삽입공에 고정핀이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5에 도시된 고정핀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 와이어 내진블록들이 적층되고 블록공 내측에 와이어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 와이어 내진블록이 모서리 부분에 결속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 와이어 내진블록의 블록공의 다양한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 와이어 내진블록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본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와이어 내진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와이어 내진블록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와이어 내진블록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와이어 내진블록의 최하단의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 와이어 내진블록들이 적층되었을 시 고정핀 삽입공에 고정핀이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9는 도 5에 도시된 고정핀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 와이어 내진블록들이 적층되고 블록공 내측에 와이어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 와이어 내진블록이 모서리 부분에 결속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 와이어 내진블록의 블록공의 다양한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 와이어 내진블록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 와이어 내진 블록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블록공(110)이 형성되되, 상기 블록공(110)의 하부는 상부의 직경보다 작게 직경이 형성되는 와이어 관통공(121)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관통공(121)의 외측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정핀 삽입공(111)이 형성되는 블록본체(100)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블록공(110)의 중간부에서부터 하단부까지는 와이어(12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와이어 관통공(121)이 형성되어, 상기 블록본체(100)를 적층할 시 상기 와이어(120)를 상부로 연장하여 각각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블록공(110)은 와이어 관통공(121)을 포함하여 서로 연통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되, 와이어 관통공(121)은 블록공(110) 중에서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블록공(1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그 단면의 형상이 ‘T’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와이어(120)는 베이스(200)에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이 될 수 있는데, 일예로서,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본체(100) 중 최하단의 블록본체(100)의 와이어 관통공(121)에는 베이스(200)에 세트앵커(140)가 결합되고, 상기 세트앵커(140)의 상부에는 아이너트(141)가 결합되어 상기 아이너트(141)에 와이어(120)가 결속된다. 보다 아이너트(141)와 와이어(120)의 결속시간의 단축 및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최하단의 블록본체(100)의 블록공(110)의 측면의 와이어 관통공(121)이 위치되는 부분에 와이어 결속공(102)이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 결속공(102)은 최하단 블록본체(100)에만 형성되는 것이며, 그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본체(100)에는 와이어 결속공(102)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아이너트(141)는 블록공(110)중에서 와이어 관통공(121)이 형성되는 경계면 단턱에 접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최하단의 블록 본체(10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핀 삽입공(111)에는 고정핀(130)이 삽입되되, 상기 고정핀(130)은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적층되는 상부 블록본체(100)와 하부 블록본체(100)를 서로 연결하여 외부 충격 즉, 전후좌우 충격 시 적층된 블록본체(100)가 무너지거나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은 고정핀(130)의 형상은 기본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단곡부(131)가 형성되고, 하부에 장곡부(132)가 형성되어 적층되는 블록본체(100)의 고정핀 삽입공(111)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단곡부(131)의 끝단부는 장곡부(132)의 끝단부가 덮도록 형성되며, 상하부의 곡률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탄성을 발휘하게 된다. 또한, 양 곡면부(131, 132)는 외측으로 일정각도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고정핀 삽입공(111)에 고정핀(130)을 삽입하게 되면 외측으로 돌출된 단곡부(131) 및 장곡부(132)의 탄성력(반발력)에 의해 적층되는 블록본체(100)의 고정핀 삽입공(111)에 강력하게 결합되어 상하 블록본체(100)들의 결속력을 높여주게 된다. 여기서 고정핀(130)은 고정핀 삽입공(111) 모두에 삽입되는 것은 아니고, 교번으로 삽입되거나, 둘 내지 셋 정도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 삽입공(111)을 각 변마다 형성한 것은 블록 유통과정에서 고정핀 삽입공(111)이 파손되거나 규모가 작은 구조물의 경우에 굳이 고정핀을 고정핀 삽입공에 모두 삽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핀(130)과 더불어 상기한 와이어(120)를 통해서도 적층되는 블록본체(100)들의 결속력을 높여주기 때문에 이중으로 적층되는 블록본체(100)들의 결속력을 높여주게 된다. 또한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적층된 블록본체(100)들이 흐트러지지 않고 원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고정핀 삽입공(111)에 고정핀 대신에 와이어를 사용하여 상하 블록본체(100)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고정핀(130)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일예로서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U형,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S형,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가 U형이되 개방부가 서로 소정거리를 두고 대향되는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록본체(100)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단턱부(101)가 돌출형성된다. 설명의 편의상 장방향 면의 단턱부를 전후면 단턱부(1011), 단방향 면의 단턱부를 양측면 단턱부(1012)라 명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블록본체(100)를 홑겹으로 쌓을 경우가 아닌 2중으로 쌓을 경우 전후면 단턱부(1011)를 이용하여 각각의 전후면 단턱부(1011)가 사이사이에 전후면 단턱부(1011)를 수용하여 치결합되게 적층을 하게 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 부분을 적층할 시에는 전후면 단턱부(1011)와 양측면 단턱부(1012)가 서로 치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본체(100)를 적층하더라도 전, 후, 좌측 및 우측면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자재로 블록본체(100)를 적층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각 블록 본체(100)가 서로 접하는 부분은 서로 약 5mm 정도의 간격(G)을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서로 접하지 않게 됨으로써 지진과 같은 외력 작용 시, 고정핀과 와이어 작용으로 적층된 블록 본체들이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각자 외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블록 본체(100)들 간의 간격(G)이 있더라도, 단턱부에 의해 벌어진 간격(G)이 막혀져서 외부에서 볼 경우에는 내부를 직접적으로 볼 수 없는 구조가 된다.
또는 도 11과는 달리 도 14와 같이 L형으로 형성한 블록 본체(100)를 이용할 수도 있고, L형 블록 체(100)를 이용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도 15와 같이 블록공이 하나인 블록 본체(100)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모서리 부분, 창틀 연결을 위한 부분, 사이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부분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블록 본체(100)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블록본체(100)의 상부면에는, 블록본체(100)들을 적층할 시 동일층에 배치되는 블록본체(10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돌기(10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지면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돌기(103)를 제거함으로서 동일 층상의 블록본체(100)의 높이를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공(110)의 형상은 사각 또는 원형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내측의 고정핀 삽입공(111)의 개수도 필요에 따라 적당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와이어 내진블록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예로 건물의 벽면 시공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와이어 내진블록을 통해 구조물의 벽면 또는 외형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소정 면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200) 가장자리 영역에 와이어 결속공(102)이 형성되는 블록 본체(100)가 설치되는 단계; 상기 블록 본체(100)의 블록공(110)에 세트앵커(140)를 삽입하여 고정한 뒤 상기 세트앵커(140)의 상부에 아이너트(141)를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블록 본체(100)에 와이어 결속공(102)이 없는 블록본체(100)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적층하되, 고정핀 삽입공(111)에 고정핀(130)을 삽입하면서 적층하는 단계와, 소정의 높이로 블록본체(100)가 적층되면 블록공(110) 및 와이어 관통공(121)을 관통시켜 와이어(120)를 최하단의 블록본체(100)로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삽입된 와이어(120)를 상기 아이너트(141)에 결속하는 단계 및 상기 와이어(120)를 최상단의 블록본체(100) 및 구조물의 천정에 고정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한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작업자는 베이스(200)를 시공한 뒤 상기 베이스(200) 영역의 가장자리에 블록본체(100)를 배치하고, 고정하게 된다. 이때 배치되는 블록본체(100)는 와이어 결속공(102)이 형성된 블록본체(100)로 배치한 뒤 고정하게 된다.
이후 블록본체(100)를 베이스(200)에 일층 설치한 후 블록공(110)에 세트앵커(140) 및 아이너트(141)를 설치하고 블록본체(100)들을 지그재그로 배치되게 적층하게 된다. 이때 블록본체(100)의 적층 높이는 정해져 있기 때문에 와이어(120)의 길이는 블록본체(100)의 적층 높이보다 길게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블록본체(100)를 일층을 쌓은 뒤 세트앵커(140)를 베이스(200)에 삽입한 후 이층이상부터 블록본체(100)를 소정높이 적층하게 된다. 이후 상기 와이어 결속공(102)을 통해 와이어(120)를 최상단 블록본체(100)에서부터 아이너트(141)까지 내리게 된다. 이후 아이너트(141) 결속한 뒤 최상단의 블록본체(100)의 블록공(110) 상부로 배출된 와이어(120)를 잡아당겨 최상단 블록본체(100)의 일측에 또는 도 10의 상부와 같이 천정의 일부분에 모아 고정하게 된다. 이때 구조물의 벽면이 곡면인 경우에도 상기 와이어(120)를 잡아당겨 천정에 고정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벽면이 일정 곡률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블록본체(100)를 적층하면서 고정핀(130)을 고정핀 삽입공(111)에 삽입하고, 그 이후에 와이어(120)를 아이너트(141)에 결속하게 된다. 즉, 와이어(120)는 볼록본체(100)들이 최종적으로 쌓이게 되는 높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와이어의 길이만큼 적층한 뒤 와이어(120)를 아이너트(141)까지 도달시켜 결속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고정핀(130)은 블록본체(100)의 적층과정에서 적층되는 블록본체(100)들이 전후좌우로 움직여서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고, 와이어(120)는 블록본체(100)들이 적층된 이후에 상부에서 잡아당겨 소정의 위치에 고정함으로써 블록본체(100)들의 수직이동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블록본체(100)들은 적층되는데 그 사이사이에 고정핀(130)이 개재되어 전후좌우 운동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와이어(120)에 의해서도 과도한 전후좌우 및 상하 운동이 방지되어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와이어(120)는 공사기간을 단축하게 된다. 기존의 구조물 벽면 시공은 블록을 쌓으면서 일정한 면을 유지하기 위해 코어 등을 개재하여 시공하여야 되기 때문에 공기가 상당히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본 발명과 같이 블록본체(100)들에 와이어(120)를 블록공(110)에 삽입함으로서 시공이 매우 편리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블록본체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이지만, 도 16 및 도 17과 같이 귀퉁이 부분에 빗면 또는 곡률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구조물을 건축하되, 건식으로 시공하므로 공기가 줄어들게 된다. 또한 모듈화된 블록을 이용하므로 다양한 평면 및 입면의 건물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와이어 내진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블록 본체 101 : 단턱부
1011 : 전후면 단턱부 1012 : 양측면 단턱부
102 : 와이어 결속공 103 : 돌기
110 : 블록공 111 : 고정핀 삽입공
120 : 와이어 121 : 와이어 관통공
130 : 고정핀 131 : 단곡부
132 : 장곡부 140 : 세트앵커
141 : 아이너트 200 : 베이스

Claims (6)

  1.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블록공(110)이 형성되되, 상기 블록공(110)의 하부는 상부의 직경보다 작게 직경이 형성되는 와이어 관통공(121)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관통공(121)의 외측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정핀 삽입공(111)이 형성되는 블록본체(100)로 구성되되,
    상기 블록공(110)의 중간부에서부터 하단부까지는 와이어(12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와이어 관통공(121)이 형성되어, 상기 블록본체(100)를 적층할 시 상기 와이어(120)를 상부로 연장하여 각각을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내진블록.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 삽입공(111)에는 고정핀(130) 또는 와이어가 삽입되되,
    상기 고정핀(130)은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적층되는 상부 블록본체(100)와 하부 블록본체(100)를 서로 연결하여 외부 충격 시 적층된 블록본체(100)가 무너지거나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내진블록.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100) 중 최하단의 블록본체(100)의 와이어 관통공(121)에는 베이스(200)에 세트앵커(140)가 결합되고, 상기 세트앵커(140)의 상부에는 아이너트(141)가 결합되어 상기 아이너트(141)에 와이어(120)가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내진블록.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단의 블록본체(100)의 블록공(110)의 측면의 와이어 관통공(121)이 위치되는 부분에는,
    상기 아이너트(141)에 와이어(120)의 결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와이어 결속공(10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내진블록.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100)의 상부면에는,
    블록본체(100)들을 적층할 시 동일층에 배치되는 블록본체(10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돌기(10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내진블록.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 구성의 와이어 내진블록을 통해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소정 면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200) 가장자리 영역에 와이어 결속공(102)이 형성되는 블록 본체(100)가 설치되는 단계;
    상기 블록 본체(100)의 블록공(110)에 세트앵커(140)를 삽입하여 고정한 뒤 상기 세트앵커(140)의 상부에 아이너트(141)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블록 본체(100)에 와이어 결속공(102)이 없는 블록본체(100)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적층하되, 고정핀 삽입공(111)에 고정핀(130)을 삽입하면서 적층하는 단계;
    소정의 높이로 블록본체(100)가 적층되면 블록공(110) 및 와이어 관통공(121)을 관통시켜 와이어(120)를 최하단의 블록본체(100)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삽입된 와이어(120)를 상기 아이너트(141)에 결속하는 단계; 및
    상기 와이어(120)를 최상단의 블록본체(100) 또는 구조물의 천정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내진블록의 시공방법.
KR1020180079145A 2018-07-09 2018-07-09 와이어 내진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90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145A KR102090080B1 (ko) 2018-07-09 2018-07-09 와이어 내진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PCT/KR2019/008399 WO2020013557A1 (ko) 2018-07-09 2019-07-09 와이어 내진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CN201980046410.0A CN112654754B (zh) 2018-07-09 2019-07-09 钢丝耐震积木砖及其施工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145A KR102090080B1 (ko) 2018-07-09 2018-07-09 와이어 내진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775A true KR20200005775A (ko) 2020-01-17
KR102090080B1 KR102090080B1 (ko) 2020-03-17

Family

ID=69143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145A KR102090080B1 (ko) 2018-07-09 2018-07-09 와이어 내진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90080B1 (ko)
CN (1) CN112654754B (ko)
WO (1) WO202001355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5236A (ja) * 1993-02-08 1994-08-23 Seiji Kawaguchi 固定器具の使用によ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壁面の強化工法並びにその固定ピン、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水平連結板、ブロックベースプレート
KR20030028787A (ko) * 2003-02-21 2003-04-10 홍건영 건축용 중공블록 및 그를 이용한 블록 벽체구조
KR101294363B1 (ko) 2011-03-31 2013-08-06 박왕규 건축물 벽체의 조립식 외장구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1351A (ja) * 1996-10-31 1998-05-19 Fuji Kogyo Kk ブロック壁ユニット及び該ユニットを使用したブロック壁の施工方法
US6178714B1 (en) * 1999-07-06 2001-01-30 Robert S. Carney, Jr. Modular temporary building
KR200347574Y1 (ko) * 2004-01-12 2004-04-17 주식회사 진경 조립식 구조용 블럭
KR20060110468A (ko) * 2005-04-20 2006-10-25 김창윤 볼트 결합형 벽체 구조 및 그 건축 방법
CN201137234Y (zh) * 2007-07-13 2008-10-22 邝文达 一种积木砖以及其拼接结构
CN201687121U (zh) * 2010-05-10 2010-12-29 姜建玲 防震节能砖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5236A (ja) * 1993-02-08 1994-08-23 Seiji Kawaguchi 固定器具の使用によ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壁面の強化工法並びにその固定ピン、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水平連結板、ブロックベースプレート
KR20030028787A (ko) * 2003-02-21 2003-04-10 홍건영 건축용 중공블록 및 그를 이용한 블록 벽체구조
KR101294363B1 (ko) 2011-03-31 2013-08-06 박왕규 건축물 벽체의 조립식 외장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0080B1 (ko) 2020-03-17
CN112654754B (zh) 2022-05-27
CN112654754A (zh) 2021-04-13
WO2020013557A1 (ko) 2020-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5485B1 (ko) 내진용 조립식 블록유닛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내진벽체의 시공방법
KR101365487B1 (ko) 내진용 조립식 블록유닛
KR101849530B1 (ko) 옹벽블록 조립형 옹벽 구조물
JP6336682B2 (ja) 壁構造物用建築ブロック
KR200438912Y1 (ko) 내진설계된 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조적용 브라켓 장치
CA2696981A1 (en) Building block system
KR200381301Y1 (ko) 옹벽 축조용 조립식 블록
KR102135594B1 (ko)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JP6989301B2 (ja) パネル積載ユニット
KR20200005775A (ko) 와이어 내진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59726B1 (ko) 공동주택의 조립식 내부 벽체 구조
KR102041892B1 (ko) 조적 안정성과 상호 결합성이 증대된 보강토 옹벽블럭 및 그 옹벽블럭의 제조방법
US20150121786A1 (en) Ventilation units
KR102086904B1 (ko) 내진 다면 블록 및 그를 이용한 내진 다면 블록 시스템
KR100751585B1 (ko) 축조블록의 설치구조
US20070113504A1 (en) Insulated Concrete Form Blocks
KR101135970B1 (ko) 매립형 단자함체의 확장틀 구조
KR101231785B1 (ko) 조립식 블럭
KR102054792B1 (ko) 다면 결합이 가능한 내진 블록 시스템 및 축조 방법
KR200340839Y1 (ko) 건축용 조립식 판넬
KR20060082388A (ko) 옹벽 축조용 조립식 블록
KR101010353B1 (ko) 건축용 조립식 벽체
KR20200020560A (ko) 내진용 벽체블록
KR102069289B1 (ko) 공동주택의 안전도를 향상시킨 내진 설계장치
KR20200038829A (ko) 조립식 벽체블록의 결속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