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839Y1 - 건축용 조립식 판넬 - Google Patents

건축용 조립식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0839Y1
KR200340839Y1 KR20-2003-0035981U KR20030035981U KR200340839Y1 KR 200340839 Y1 KR200340839 Y1 KR 200340839Y1 KR 20030035981 U KR20030035981 U KR 20030035981U KR 200340839 Y1 KR200340839 Y1 KR 2003408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anel body
connector
building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9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하
Original Assignee
이기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하 filed Critical 이기하
Priority to KR20-2003-00359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08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08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08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52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located in the joints of th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35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attached to the inner faces of the forms
    • E04B2/8641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attached to the inner faces of the forms using dovetail-typ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002/8676Wall end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성을 향상시킨 건축용 조립식 판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중공구조를 갖는 판넬몸체의 양단에는 인접되는 판넬을 끼움조립할 수 있게한 끼움돌출부 및 요홈으로 각각 형성되며, 끼움돌출부의 일측에는 이중벽체를 이루게 설치되는 판넬들의 유동됨을 없도록 하기위한 연결구를 끼움고정할 수 있게한 끼움홈을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조립식 판넬{A ASSEMBLING PANEL FOR CONSTRUCTION}
본 고안은 건축용 조립식 판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 혹은 이중벽체를 형성하도록 된 판넬들을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조립식 판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개의 판넬들을 단일 혹은 이중으로 연속되게 배열결합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종래의 판넬들은 그 결합후, 못과 같은 별도의 고정수단을 더 구비하여 추가적인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등의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있을뿐만 아니라, 특히 이중벽체를 형성시에는 단순히 판넬들만을 배열결합할 경우 그 판넬들간의 결합력이 느슨해져서 쉽게 허물어질 우려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단일벽체나 이중벽체를 형성하는 판넬들의 견고한 조립을 숙련된 기술이 없이도 쉽게 할수 있게한 편리성과 판넬조립의 작업성을 향상시킨 건축용 조립식 판넬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축용 판넬에 있어서, 건축용 판넬에 있어서, 양단이 개구된 중공구조를 갖는 소정 면적의 판넬몸체; 상기 판넬몸체의 양측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인접되는 판넬 상호간을 끼움결합할 수 있게한 끼움돌출부 및 요홈으로 된 결합수단; 상기 끼움돌출부 일측에 그 판넬몸체의 전 길이에 걸쳐서 형성된 걸림홈; 및 소정 간격을 두고 대면 배치되어 조립되는 판넬몸체의 각 걸림홈에 양단으로설치된 걸림단부가 끼워지는 상태로 위치되어 그 판넬몸체를 유동됨이 없이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구는 소정 길이를 갖는 평판부와 그 평판부의 양단에 직교하는 상태로 일체 형성되어 상기 걸림단부들을 형성한 수직판부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끼움돌출부의 걸림홈의 반대측에는 걸림턱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판넬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1b는 동도(同圖)의 확대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판넬의 고정에 사용되는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판넬의 시공예를 나타낸 조립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판넬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동도의 확대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100a : 조립식 판넬 110,110a :걸림홈
104 : 보강리브(Rib) 114 : 판넬몸체
106 : 요홈부 120 : 연결구
108,108a : 끼움돌출부 124a,124b : 수직판부
126 : 판상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판넬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1b는 동도(同圖)의 확대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판넬의 고정에 사용되는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조립식 판넬(100)(이하 단지 ‘판넬’이라 약칭한다)은 양단이 개구된 중공부(112)를 갖는 장방형상의 판넬몸체(114)를 구비하고 있다. 그 판넬몸체(114)는 장방형상의 제1측판(102)와 제2측판(102)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보강리브(Rib)(104)들로 일체되게 연결한 구조로 제작됨에 의해 내부로는 보강성을 갖는 중공부(112)가 형성된다.
이러한 중공부(112)를 갖는 상기 판넬몸체(114)의 양단 즉, 도면 1a,1b에서 보아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인접되게 배치되는 판넬몸체(114)를 서로 끼움조립할수 있게 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형성하는 끼움돌출부(108)과 그 끼움돌출부(108)이 끼움결합될 수 있게한 요홈부(10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판넬몸체(114)에 일체로형성된 요홈부(106) 및 끼움돌출부(108)에 의해, 그 판넬몸체(114)는 벽체를 형성하도록 쉽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넬몸체(114)의 끼움돌출부(108)의 일측 즉, 도 1a,1b에서 보아 우측에는 그 판넬몸체(114)의 전(全)길이에 걸쳐서 판넬몸체(114)를 고정함에 필요한 후술하는 연결구(120)을 끼움연결할 수 있게한 걸림홈(110)이 소정길이를 이루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12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평판부(126)와 그 평판부(126)의 양단에 직교하는 상태로 일체 형성되어 걸림단부들을 형성할 수 있게한 수직판부들(124a,124b)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연결구(120)은 도 3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판넬을 사용함에 있어서, 이격배치되어 조립되고, 상기 판넬(100)들의 상호간에 유동됨을 없도록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함이다. 연결구(120)의 길이는 임의로 변형가능하며, 또한 상기에서는 이해를 돕기위해 판넬(100)의 구조를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제로는 경량의 알루미늄 혹은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서 하나의 몸체로 제작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판넬의 시공예를 나타낸 조립단면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판넬 및 연결구를 이용한 벽체의 시공예를 설명한다.
도면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판넬(100)은 판넬몸체(114)들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이격 배치되며, 이 이격된 판넬몸체(114)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 길이에 형성된 걸림홈(110)으로 연결구(120)의 수직판부(124a,124b)에 의해 형성된 걸림단부가 각각 끼워지게 된다. 즉, 상기 요홈부(106)으로는 상기 끼움돌출부(108)가 끼움되게 조립되고, 상기 걸림홈(110)으로는 상기 연결구(120)의 걸림단부가 각각 끼움되게 조립되는 것이다. 그런다음, 이격된 내외측의 상기 판넬몸체(114)들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황토 등과 같은 충진물(130)이 충진되게 되어 이중벽체가 형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충진물(130)이 충진되는 공간은 내외측으로 배치되는 판넬몸체(114)의 간격조절에 따라 임의로 변형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요홈부(106)으로 상기 끼움돌출부(108)를 단순히 맞처셔 끼워넣으면서 나란히 이격배치한후, 이격된 내외측의 걸림홈(106)으로 걸림단부 역시 끼워넣은 다음 충진물(130)만 채우면 됨으로 이중벽체를 쉽고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어서,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물론, 다수개의 판넬(100)들을 나란히 배열겹합하여 단일벽체를 형성할수도 있으며(도면에 미도시), 이 역시 충진물(130)을 채우는 과정을 제외하고는 이중벽체와 같은 방법으로 시공되게 된다.
도 4a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판넬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동도의 확대 측면도이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부호로서 표시하였다. 도 4a와 4b의 판넬(100a)은 판넬몸체(114a)의 일부를 이루는 제1,2측판(102)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끼움돌출부(108a)가 판상의 형태로 이루어진 걸림턱으로 일체 연장되게 형성된 것만이 도 1a와 1b에 표시된 판넬(100)과 다를뿐 그 밖의 구성 즉, 연결구(120) 및 요홈부(106)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의 판넬(100)과 동일하여 별도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건축용 조립식 판넬에 의하면, 판넬들을 차곡차곡 배열하듯이 끼움되게 결합시킴으로 인해 용이하게 벽체를 형성할 수 있어서, 초보자도 쉽게 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공사기간이 단축되어 공사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이중벽체의 형성시 연결구로서 그 판넬상호간을 일체로 결합할 수 있어서 벽체의 내구성을 증진되게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건축용 판넬에 있어서,
    양단이 개구된 중공구조를 갖는 소정 면적의 판넬몸체;
    상기 판넬몸체의 양측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인접되는 판넬 상호간을 끼움결합할 수 있게한 끼움돌출부 및 요홈으로 된 결합수단;
    상기 끼움돌출부 일측에 그 판넬몸체의 전 길이에 걸쳐서 형성된 걸림홈; 및
    소정 간격을 두고 대면 배치되어 조립되는 판넬몸체의 각 걸림홈에 양단으로설치된 걸림단부가 끼워지는 상태로 위치되어 그 판넬몸체를 유동됨이 없이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판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소정 길이를 갖는 평판부와 그 평판부의 양단에 직교하는 상태로 일체 형성되어 상기 걸림단부들을 형성한 수직판부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판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출부의 걸림홈의 반대측에는 걸림턱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판넬.
KR20-2003-0035981U 2003-11-18 2003-11-18 건축용 조립식 판넬 KR2003408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981U KR200340839Y1 (ko) 2003-11-18 2003-11-18 건축용 조립식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981U KR200340839Y1 (ko) 2003-11-18 2003-11-18 건축용 조립식 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0839Y1 true KR200340839Y1 (ko) 2004-02-05

Family

ID=49342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981U KR200340839Y1 (ko) 2003-11-18 2003-11-18 건축용 조립식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083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26024B2 (en) 2006-11-24 2010-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LCD module and liquid crystal imaging means using the same
KR101038756B1 (ko) * 2008-10-14 2011-06-03 송기용 건축용 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보거푸집시스템
KR101117951B1 (ko) * 2009-05-14 2012-04-13 (주)영화 건축용 조립식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1173349B1 (ko) * 2010-02-09 2012-08-10 김성근 건물의 벽면 구조
KR101329053B1 (ko) * 2011-12-28 2013-11-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결구의 조립에 의한 압출성형 내부칸막이 벽체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26024B2 (en) 2006-11-24 2010-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LCD module and liquid crystal imaging means using the same
KR101038756B1 (ko) * 2008-10-14 2011-06-03 송기용 건축용 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보거푸집시스템
KR101117951B1 (ko) * 2009-05-14 2012-04-13 (주)영화 건축용 조립식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1173349B1 (ko) * 2010-02-09 2012-08-10 김성근 건물의 벽면 구조
KR101329053B1 (ko) * 2011-12-28 2013-11-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결구의 조립에 의한 압출성형 내부칸막이 벽체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94516B2 (en) Interconnectable formwork elements
US20080022619A1 (en) Insulating concrete form
SK116298A3 (en) Insulated wall and components therefor
JP5389854B2 (ja) 土台用スペーサ
KR200340839Y1 (ko) 건축용 조립식 판넬
JP4512513B2 (ja) 土台用スペーサ及び土台構造
JP3056137B2 (ja) ブロックの組立用施工部材
KR200418414Y1 (ko) 건축용 칸막이 패널
CZ20011844A3 (cs) Stavební prvek a stavební konstrukce
KR101010353B1 (ko) 건축용 조립식 벽체
GB2285072A (en) Cavity closer
JP3565805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200273590Y1 (ko) 보강토 옹벽용 블록의 결합구조
KR940002643Y1 (ko) 건축용 판넬의 체결부재
JP3381679B2 (ja) 成形出隅柱及びその施工構造
KR100617964B1 (ko) 방습용 및 아트용 벽체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조립체
KR200344628Y1 (ko) 건축용 패널
KR200257673Y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의 연결장치
KR100761988B1 (ko) 조립식 문틀
KR100940584B1 (ko) 패널조립체와 패널조립방법
JP4808576B2 (ja) サッシ
KR100761684B1 (ko) 조립식 문틀 및 그 시공방법
JP4442860B2 (ja) 縦桟と横桟との連結構造
KR200219927Y1 (ko) 천장 모서리 마감재
JP2011026926A (ja) 中空パネル用補強材および壁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