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904B1 - 내진 다면 블록 및 그를 이용한 내진 다면 블록 시스템 - Google Patents

내진 다면 블록 및 그를 이용한 내진 다면 블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904B1
KR102086904B1 KR1020180023066A KR20180023066A KR102086904B1 KR 102086904 B1 KR102086904 B1 KR 102086904B1 KR 1020180023066 A KR1020180023066 A KR 1020180023066A KR 20180023066 A KR20180023066 A KR 20180023066A KR 102086904 B1 KR102086904 B1 KR 102086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block
main body
earthquak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2554A (ko
Inventor
최경영
Original Assignee
(주)장성산업
주식회사 웨스텍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장성산업, 주식회사 웨스텍글로벌 filed Critical (주)장성산업
Priority to KR1020180023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904B1/ko
Priority to PCT/KR2018/002685 priority patent/WO2019164046A1/ko
Publication of KR20190102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08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18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28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s next to each other on one end surface and grooves next to each other on opposite en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52Dovetail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 다면 블록 및 그를 이용한 내진 다면 블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다면 블록은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으로의 단면이 다각형인 본체부(Body Part), 상기 본체부의 제 1 측면(First Side Surface)에상기제 1 방향으로 함몰되는 제 1 홈부(First Groove Part) 및 상기 제 1 측면에 형성되는 제 2 홈부(Second Groove Part) 또는 돌출부(Protrud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홈부는 입구에서의 폭이 하부에서의 폭보다 더 작을 수 있다.

Description

내진 다면 블록 및 그를 이용한 내진 다면 블록 시스템{ANTI-EARTHQUAKE POLYHEDRAL BLOCK AND ANTI-EARTHQUAKE POLYHEDRAL BLOCK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진 다면 블록 및 그를 이용한 내진 다면 블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세하게는, 블록에 형성된 소정 형상의 홈 및/또는 돌출부를 이용하여 블록들을 결합함으로써, 지진 등의 충격에도 블록들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내진 다면 블록 및 그를 이용한 내진 다면 블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 지구적인 환경변화와 잦은 지진 발생으로 건물이나 옹벽이 무너져 내려 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피해를 가져 오고 있어 건축물의 내진 설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이나 옹벽은 블록을 쌓아올릴 때 사이사이에 모르타르를 발라 시공하게 되는데, 지진이 발생하면 이들 블록 사이의 몰탈이 부서져 쉽게 분리되어 무너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진 무몰타르 조립식 블록 시스템 및 벽체 시공방법"(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10-2012-0020254호, 도 1참조)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두 개의 블록에 각각 한쌍의 돌출부와 홈을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블록을 결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단순히 블록 사이의 결합만을 구현한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블록들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블록 관련 기술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관계로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특허문헌 1 - 한국 등록 특허 제10-1264920호 특허문헌 2 -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5520호 특허문헌 3 -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2-0020254호 특허문헌 4 -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6-0017377호
본 발명은 지진 등에 의해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블록들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내진 다면 블록 및 그를 이용한 내진 다면 블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다면 블록은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으로의 단면이 다각형인 본체부(Body Part), 상기 본체부의 제 1 측면(First Side Surface)에상기 제 1 방향으로 함몰되는 제 1 홈부(First Groove Part) 및 상기 제 1 측면에 형성되는 제 2 홈부(Second Groove Part) 또는 돌출부(Protrud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홈부는 입구에서의 폭이 하부에서의 폭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홈부는 인접하는 다른 블록에 형성된 돌출부에 대응되거나, 상기 돌출부는 인접하는 다른 블록에 형성된 제 2 홈부에 대응되고, 상기 제 2 홈부는 입구에서의 폭이 하부에서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홈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 1 측면에 대항되는 제 2 측면(Second Side Surface)에더 형성되고, 상기 제 2 홈부는 상기 제 1 측면에 상기 제 1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제 2 측면에 상기 제 1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면에서 상기 제 1 홈부는 두 개의 상기 제 2 홈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면에서 상기 제 1 홈부는 두 개의 상기 돌출부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제 1 홈부의 길이는 상기 제 2 홈부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가장자리부(Edge Part)의 높이는 다른 부분보다 더 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홈부 및 상기 제 2 홈부의 깊이는 상기 가장자리부의 깊이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다면 블록 시스템은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으로의 단면이 다각형인 본체부(Body Part)를 포함하는 제 1 블록(First Block)과 제 2 블록(Second Block) 및 상기 제 1 블록과 상기 제 2 블록을 연결하는 연결부(Connection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블록과 상기 제 2 블록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블록과 상기 제 2 블록은 제 1 측면(First Side Surface)과상기 제 1 측면에 대항되는 제 2 측면(Second Surface)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블록의 상기 제 2 측면은 상기 제 2 블록의 상기 제 1 측면과 마주보고, 상기 제 2 블록의 상기 제 1 측면에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함몰되는 제 1 홈부(First Groove Part) 및 제 2 홈부(Second Groove Part)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블록의 상기 제 2 측면에는 상기 제 1 홈부 및 상기 제 2 홈부에 대응되는 돌출부(Protruding Part)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홈부는 입구에서의 폭이 하부에서의 폭보다 더 작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블록의 상기 제 2 측면에 형성된 상기 제 1 홈부와 상기 제 2 블록의 상기 제 1 측면에 형성된 상기 제 1 홈부에 공통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블록의 상기 제 2 측면에 형성된 상기 제 1 홈부에 대응되는 제 1 부분(First Part), 기 제 2 블록의 상기 제 1 측면에 형성된 상기 제 1 홈부에 대응되는 제 2 부분(Second Part) 및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을 연결하는 제 3 부분(Third Part)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부분의 최대폭은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의 최대폭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블록 및 상기 제 2 블록의 상기 본체부의 가장자리부(Edge Part)의 높이는 다른 부분보다 더 낮고, 상기 가장자리부에 배치되는 미장부(Plastering Pa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장부는 상기 제 1 홈부, 제 2 홈부 및 상기 돌출부를 가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다면 블록 및 그를 이용한 내진 다면 블록 시스템은 인접하는 블록들에 각각 홈을 형성하고, 소정의 매개물을 형성된 홈에 삽입함으로써 지진 등에 의해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블록들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내진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블록에 형성된 홈, 돌출부 및 소정의 매개물을 이용하여 블록들을 적층함으로써, 내진 성능을 향상시키면서도 블록의 적층 공정이 쉽고 단순하며, 적층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다면 블록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다면 블록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내진 다면 블록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다면 블록 및 그를 이용한 내진 다면 블록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다면 블록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 1 방향(First Direction)과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정의한 것으로, 블록(10)들의 적층 패턴과는 관련이 없을 수 있다.
제 1 방향은 수직(Vertical Direction)이라 하고, 제 2 방향은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방향(제 1 방향)은 높이 방향(Z)을 의미할 수 있고, 수평방향(제 2 방향)은 가로 방향(X)과 세로 방향(Y)을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다면 블록(10)은 본체부(Body Part, 100), 제 1 홈부(First Groove Part, 110), 제 2 홈부(Second Groove Part, 120) 및 돌출부(Protruding Part, 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제 1 방향(수직방향(Z))으로 연장되며, 제 1 방향(Z)과 수직하는 제 2 방향(수평방향(X, Y))으로의 단면이 다각형일 수 있다. 본 문서에서는, 본체부(100)의 단면이 사각형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본체부(100)의 단면은 삼각형, 사각형, 팔각형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시공의 용이성 및 단순성, 구조적 안정성 등을 고려할 때, 본체부(100)의 단면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체부(100)의 중앙에는 제 1 방향(Z)으로 본체부(100)를 관통하는 홀(Hole, 1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150)은 생략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제 1 홈부(110)는 본체부(100)의 제 1 측면(First Side Surface, S1) 및 제 1 측면(S1)에 대항되는 제 2 측면(Second Side Surface, S2)에 제 1 방향(Z)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본체부(100)가 사각형인 경우, 제 1 홈부(110)는 본체부(100)의 제 1 측면(S1)과 제 2 측면(S2)과 인접하는 제 3 측면(Third Side Surface, S3) 및 제 3 측면(S3)에 대항되는 제 4 측면(Fourth Side Surface, S4)에도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문서에서는 본체부(100)의 하나의 측면에 1개의 제 1 홈부(110)가 형성되는 경우만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면이 사각형인 본체부(10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복수의 제 1 홈부(110)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제 1 홈부(110)에는 인접하는 블록(10)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미도시)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홈부(120)는 적어도 본체부(100)의 제 1 측면(S1)에 제 1 방향(Z)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본체부(100)가 사각형인 경우, 제 2 홈부(120)는 본체부(100)의 제 3 측면(S3)에도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돌출부(130)는 적어도 본체부(100)의 제 2 측면(S2)에 제 1 방향(Z)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본체부(100)가 사각형인 경우, 돌출부(130)는 본체부(100)의 제 4 측면(S4)에도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돌출부(130)는 제 2 홈부(120)에 대응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임의의 블록(10)의 돌출부(130)는 인접하는 다른 블록(10)의 제 2 홈부(120)에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히 하도록 한다.
이처럼, 본체부(100)의 제 1 측면(S1)과 제 3 측면(S3)에는 제 1 홈부(110)와 제 2 홈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측면(S1) 및 제 3 측면(S3)에서는 두 개의 제 2 홈부(120)의 사이에 제 1 홈부(110)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의 제 2 측면(S2)과 제 4 측면(S4)에는 제 1 홈부(110)와 돌출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측면(S2) 및 제 4 측면(S4)에서는 두 개의 돌출부(130)의 사이에 제 1 홈부(110)가 위치할 수 있다.
도 2의 (B)와 같이, 제 2 홈부(120)와 돌출부(130)는 서로 대응되는 것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블록(10)들을 정렬(Align)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홈부(120)와 돌출부(130)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아도 관계없다.
아울러, 돌출부(130)가 제 2 홈부(120)에 끼워지기 때문에 제 2 홈부(120)는 입구에서의 폭(W3)이 하부(W4)에서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돌출부(130)는 머리부분(부호 미지정)에서의 폭이 하부부분(부호 미지정)에서 폭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제 1 홈부(110)는 인접하는 두 개의 블록(10)을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해 소정의 연결부(미도시)를 수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제 1 홈부(110)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아울러, 도 2의 (A)와 같이, 지진 등의 충격에 의해 연결부가 제 1 홈부(1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홈부(110)는 입구에서의 폭(W1)이 하부에서의 폭(W2)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제 1 홈부(110)의 깊이(H1)는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충분히 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홈부(110)의 깊이(H1)는 제 2 홈부(120)의 깊이(H2)보다 더 깊을 수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제 1 방향(Z)으로 제 1 홈부(110)의 길이(L1)는 제 2 홈부(120)의 길이(L2)보다 더 짧을 수 있다.
제 1 방향(Z)으로 제 1 홈부(110)의 일측 끝단은 개방(Open)되고, 타측 끝단은 폐쇄(Closed)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액체상태 혹은 유동성이 있는 접착 재질을 제 1 홈부(110)에 주입하여 인접하는 두 개의 블록(10)을 연결/고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히 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를 살펴보면, 본체부(100)의 가장자리부(Edge Part, 140)의 높이는 다른 부분(160)보다 더 낮을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본체부(100)의 테두리에는 높이 단차가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보면, 본체부(100)의 중앙에 홀(150)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본체부(100)의 벽(Wall)은 외측벽(170)과 내측벽(16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내측벽(160)은 외측벽(170)에 비해 제 1 방향(Z)으로 소정 거리 더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측벽(170)의 상부면(가장자리부(140))은 내측벽(160)의 상부면보다 높이가 더 낮을 수 있다.
도 4와 같이, 제 1 홈부(110) 및 제 2 홈부(120)는 본체부(100)의 가장자리부(140)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 홈부(110)의 깊이(H1) 및 제 2 홈부(120)의 깊이(H2)는 가장자리부의 깊이(H3)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소정의 미장부(미도시)가 가장자리부(140)에 배치되는 경우, 미장부가 제 1 홈부(110) 및 제 2 홈부(120)를 가릴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히 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10)의 단면의 일례를 살펴보면 도 6과 같다.
도 6을 살펴보면, 본체부(100)의 제 1 측면(S1)에서 제 2 방향(X 또는 Y)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제 2 홈부(120) 사이의 간격(G1)은 제 1 측면(S1)의 제 1 끝단(First End, E1)과 인접하는 제 2 홈부(120) 사이의 간격(G2) 및 제 1 측면(S1)의 제 2 끝단(Second End, E2)과 인접하는 제 2 홈부(120) 사이의 간격(G3)의 대략 2배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동일하다는 것의 의미는 오차범위 내에서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의 제 2 측면(S2)에서 제 2 방향(X 또는 Y)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돌출부(130) 사이의 간격(G4)은 제 2 측면(S2)의 제 1 끝단(E1)과 인접하는 돌출부(130) 사이의 간격(G5) 및 제 2 측면(S2)의 제 2 끝단(E2)과 인접하는 돌출부(130) 사이의 간격(G6)의 2배와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30) 간의 간격(G4) 및 제 2 홈부(120) 간의 간격(G1)은 본체부(100)의 제 3 측면(S3) 및 제 4 측면(S4)에서도 유사 혹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블록(10)들을 서로 엇갈리게 적층하는 경우에도 제 2 홈부(120)와 돌출부(130)가 대응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히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진 다면 블록(10)을 이용하여 형성한 내진 다면 블록 시스템에 대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다면 블록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7을 살펴보면, 복수의 블록(10, 10A, 10B, 10C, 10D)을 제 1 방향(X 또는 Y)으로 적층하여 내진 다면 블록 시스템(10S)을 형성할 수 있다.
내진 다면 블록 시스템(10S)은 벽체(Wall Structure)라고 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블록(10A)과 제 2 블록(10B)은 가로방향(X)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 3 블록(10C)은 세로 방향(Y)으로 제 1 블록(10A)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 4 블록(10D)은 세로 방향(Y)으로 제 2 블록(10B)과 나란하고 가로 방향(X)으로 제 3 블록(10C)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블록(10A)의 제 2 측면(S2)이 제 2 블록(10B)의 제 1 측면(S1)과 마주보고, 제 3 블록(10C)의 제 2 측면(S2)이 제 4 블록(10D)의 제 1 측면(S1)과 마주보고, 제 1 블록(10A)의 제 3 측면(S3)이 제 3 블록(10C)의 제 4 측면(S4)과 마주보고, 제 2 블록(10B)의 제 3 측면(S3)이 제 4 블록(10D)의 제 4 측면(S4)과 마주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인접하는 두 개의 블록의 사이에서, 도 8과 같은, 연결부(200)가 제 1 홈부(110)에 공통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200)가 인접하는 두 개의 블록을 연결할 수 있다.
도 8을 살펴보면, 연결부(200)는 제 1 부분(First Part, 210), 제 2 부분(Second Part, 220) 및 제 1 부분(210)과 제 2 부분(220)을 연결하는 제 3 부분(Third Part, 2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부분(230)의 최대폭(K3)은 제 1 부분(210)의 최대폭(K1) 및 제 2 부분(220)의 최대폭(K2)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 1 부분(210)과 제 2 부분(2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부분(230)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이다.
연결부(200)는 충분히 강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부(200)는 나무 재질, 플라스틱 재질, 금속 재질, 콘크리트 재질, 수지 재질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연결부(200)가 두 개의 블록(제 1 블록(10A)과 제 2 블록(10B))의 제 1 홈부(110)에 공통삽입된 상태가 도 9에 개시되어 있다.
도 9를 살펴보면, 연결부(200)의 제 1 부분(210)은 제 1 블록(10A)의 제 2 측면(S2)에 형성된 제 1 홈부(110)에 대응되고, 제 2 부분(220)은 제 2 블록(10B)의 제 1 측면(S1)에 형성된 제 1 홈부(110)에 대응될 수 있다.
연결부(200)의 제 3 부분(230)은 제 1 블록(10A)과 제 2 블록(10B)의 사이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진 등에 의해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연결부(200)에 의해 제 1 블록(10A)과 제 2 블록(10B)이 수평방향(제 2 방향(X 또는 Y))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내진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 블록(10A)과 제 2 블록(10B)을 수평방향(제 2 방향(X 또는 Y))으로 나란하게 배치한 이후, 연결부(200)를 수직방향(제 1 방향(Z))으로 제 1 블록(10A)의 제 1 홈부(110)와 제 2 블록(10B)의 제 1 홈부(110)에 공통삽입하는 방법으로 제 1 블록(10A)과 제 2 블록(10B)을 충분히 단단하게 연결할 수 있어서 적층공정의 난이도를 낮추고 적층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연결부(200)를 별도로 제작한 이후에 인접하는 두 개의 블록의 제 1 홈부(110)에 공통삽입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르타르(Mortar) 등의 유동성을 갖는 접착성 물질을 인접하는 두 개의 블록의 제 1 홈부(110)에 주입하고, 이후 주입한 물질을 건조(경화)시킴으로써 인접하는 두 개의 블록을 단단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접착성 물질이 건조(경화)된 상태가 연결부(200)에 대응될 수 있다.
인접하는 두 개의 블록의 사이에는 미장부(Plastering Part, 30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의 경우와 같이, 제 1 블록(10A)과 제 2 블록(10B)의 사이, 제 1 블록(10A)과 제 3 블록(10C)의 사이, 제 2 블록(10B)과 제 4 블록(10D)의 사이, 제 3 블록(10C)과 제 4 블록(10D)의 사이 영역에 미장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미장부(300)는 인접하는 두 개의 블록의 가장자리부(140)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의 경우와 같이, 미장부(300)는 제 1 블록(10A)의 가장자리부(140)와 제 2 블록(10B)의 가장자리부(140)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장부(300)는 제 1 블록(10A)의 가장자리부(140)와 제 2 블록(10B)의 가장자리부(140)를 가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미장부(300)는 제 1 블록(10A)과 제 2 블록(10B)의 제 1 홈부(110), 제 2 홈부(120) 및 돌출부(130)를 가릴 수 있어서,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미장부(300)는 시트(Sheet) 형태, 판(Plate)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장부(300)가 시트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시트 형태의 미장부(300)를 인접하는 두 개의 블록의 사이 영역에서 가장자리부(140)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미장부(300)는 실리콘 페이스트(Paste) 등 유동성을 갖는 물질을 가장자리부(140)에 도포하는 방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복수의 블록(10)들을 바둑판 형태로 배치/적층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다면 블록 시스템(10S)에서는, 도 12 내지 도 13의 경우와 같이, 세 개의 블록(10)이 삼각형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의 경우와 같이, 제 1 블록(10A)은 세로 방향(Y)으로 제 3 블록(10C) 및 제 4 블록(10D)과 공통중첩할 수 있다.
앞선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제 2 홈부(120)와 돌출부(130)를 위치시키면, 제 1 블록(10A)의 제 3 측면(S3)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홈부(120)와 제 3 블록(10C)의 제 4 측면(S4)에 위치하는 돌출부(130)가 대응되고, 제 1 블록(10A)의 제 3 측면(S3)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홈부(120)와 제 4 블록(10D)의 제 4 측면(S4)에 위치하는 돌출부(130)가 대응될 수 있다.
도 12을 살펴보면, 제 1 블록(10A)은 가로 방향(X)으로 제 3 블록(10C) 및 제 4 블록(10D)과 공통중첩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내진 다면 블록(10)은 다양한 패턴으로 적층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또 다른 형태의 내진 다면 블록(10)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내진 다면 블록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복수개의 내진 다면 블록(10)이 하나의 단일 마더 블록(Mother Block)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마더 블록에 포함된 각각의 블록 부분을 단위 블록(Unit Block)이라 칭할 수 있다. 각각의 단위 블록은 도 13의 이전에 설명한 각각의 블록(10)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의 경우와 같이, 마더 블록(10M)은 제 1 단위 블록(10a), 제 2 단위 블록(10b) 및 제 3 단위 블록(10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마더 블록(10M)은 하나의 블록(10)의 3배 크기일 수 있다.
마더 블록(10M)에서 제 1 단위 블록(10a)과 제 2 단위 블록(10b) 사이의 벽의 두께(T3) 및 제 2 단위 블록(10b)과 제 3 단위 블록(10c) 사이의 벽의 두께(T4)는 마더 블록(10M)의 최외곽 벽의 두께(T1, T2)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마더 블록(10M)을 이용하면 보다 다양한 형태의 내진 다면 블록 시스템(10S)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5의 경우와 같이, 제 1 마더 블록(10MA)의 상부에 제 1 블록(10A)과 제 2 블록(10B)을 이격시켜 위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1 블록(10A)과 제 2 블록(10B)의 사이에는 빈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후, 제 1 블록(10A)과 제 2 블록(10B)의 상부에 제 2 마더 블록(10MB)을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마더 블록(10M)과 블록(10)을 배치하게 되면, 내진 다면 블록 시스템(10S)의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마더 블록(10M)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더 블록(10M)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Bar) 형태를 갖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 16의 경우와 같이, 꺽여진 형상('L' 형상)을 갖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시스템(10S)을 보다 다양한 패턴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블록(10)의 소정 면에서 제 1 홈부(110), 제 2 홈부(120) 및/또는 돌출부(130)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7 경우와 같이, 블록(10)의 제 2 면(S2)에서 제 1 홈부(110)와 돌출부(130)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블록(10)의 제 2 면(S2)이 블록 시스템(10S)의 최외곽 면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해당될 수 있다.
또는, 도 18의 경우와 같이, 블록(10)의 제 2 면(S2) 및 제 4 면(S4)에서 제 1 홈부(110)와 돌출부(130)를 생략할 수 있다.
또는, 도 19의 경우와 같이, 블록(10)의 제 2 면(S2)에서 제 1 홈부(110)와 돌출부(130)를 생략하고, 제 1 면(S1)에서 제 1 홈부(110)와 제 2 홈부(120)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블록(10)은 블록 시스템(10S)에서 제 1 면(S1)과 제 2 면(S2)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는, 도 20의 경우와 같이, 블록(10)의 제 2 면(S2) 및 제 4 면(S4)에서 제 1 홈부(110)와 돌출부(130)를 생략하고, 제 1 면(S1)에서 제 1 홈부(110)와 제 2 홈부(120)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블록(10)의 제 1 면(S1) 및 제 3 면(S3)에서 제 1 홈부(110)와 제 2 홈부(120)가 생략되고, 제 2 면(S2)에서 제 1 홈부(110)와 돌출부(130)가 생략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블록(10)의 제 4 면(S4)에만 제 1 홈부(110)와 돌출부(130)가 위치할 수 있다.
이처럼 블록(10)의 적어도 하나의 면을 매끈하게 마감하면 블록 시스템(10S)의 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마더 블록(10M)에서도 일부영역에서 제 1 홈부(110), 제 2 홈부(120) 및/또는 돌출부(130)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1의 경우와 같이, 제 1 단위 블록(10a), 제 2 단위 블록(10b) 및 제 3 단위 블록(10c)로 이루어진 마더 블록(10M)의 제 3 면(S3)의 제 2 단위 블록(10b)에 해당되는 영역에서 제 1 홈부(110)와 제 2 홈부(120)가 생략될 수 있다.
이처럼, 적어도 하나의 면이 매끈하게 마감된 블록(10) 및/또는 마더 블록(10M)을 사용하면 도 22와 같은 블록 시스템(10S)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2를 살펴보면, 블록 시스템(10S)에서 제 1, 2 블록(10A, 10B)과 제 1, 2 마더 블록(10MA, 10MB)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매끈하게 처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도 23과 같이 블록(10)에서 홀(150)을 생략할 수 있다.
이러한 홀(150)이 생략된 타입의 블록(10)과 홀(150)을 포함하는 타입의 블록(10)을 조합하면 더욱 다양한 디자인으로 블록 시스템(10S)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제 1 방향(수직방향(Z))으로 연장되며, 제 1 방향(Z)과 수직하는 제 2 방향(수평방향(X, Y))으로의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다각형이 사각형인 경우 제 1 측면(S1), 제 4 측면(S4), 제 2 측면(S2), 제 3 측면(S3)이 제 2 방향(수평방향(X, Y))으로의 단면 상에서 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제 1 방향(Z)으로 관통하는 홀(Hole, 150)이 형성되는 본체부(100);
    본체부(100)의 제 1 측면(First Side Surface, S1) 및 제 1 측면(S1)에 대항되는 제 2 측면(Second Side Surface, S2)에 제 1 방향(Z)으로 형성되며, 본체부(100)가 사각형인 경우, 본체부(100)의 제 1 측면(S1)과 제 2 측면(S2)과 인접하는 제 3 측면(Third Side Surface, S3) 및 제 3 측면(S3)에 대항되는 제 4 측면(Fourth Side Surface, S4)에도 형성되는 제 1 홈부(110);
    적어도 본체부(100)의 제 1 측면(S1)에 제 1 방향(Z)으로 형성되며, 본체부(100)가 사각형인 경우, 제 2 홈부(120)는 본체부(100)의 제 3 측면(S3)에도 형성되는 제 2 홈부(120); 및
    적어도 본체부(100)의 제 2 측면(S2)에 제 1 방향(Z)으로 형성되며, 본체부(100)가 사각형인 경우, 본체부(100)의 제 4 측면(S4)에도 형성되며, 다른 블록의 제 2 홈부(12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130); 를 포함하며,
    본체부(100)의 제 1 측면(S1)과 제 3 측면(S3)에는 제 1 홈부(110)와 제 2 홈부(120)가 형성되는 경우, 제 1 측면(S1) 및 제 3 측면(S3)에서는 두 개의 제 2 홈부(120)의 사이에 제 1 홈부(110)가 위치하며, 본체부(100)의 제 2 측면(S2)과 제 4 측면(S4)에는 제 1 홈부(110)와 돌출부(130)가 형성되는 경우, 제 2 측면(S2) 및 제 4 측면(S4)에서는 두 개의 돌출부(130)의 사이에 제 1 홈부(110)가 위치하며,
    돌출부(130)가 제 2 홈부(120)에 끼워지기 때문에 제 2 홈부(120)는 입구에서의 폭(W3)이 하부(W4)에서의 폭보다 크며, 돌출부(130)는 머리부분에서의 폭이 하부부분에서 폭보다 더 작으며,
    제 1 홈부(110)는, 인접하는 두 개의 블록(10)을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연결부를 수용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제 1 홈부(110)의 크기를 제 2 홈부(120)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며,
    충격에 의해 연결부가 제 1 홈부(1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홈부(110)는 입구에서의 폭(W1)이 하부에서의 폭(W2)보다 더 작으며,
    제 1 홈부(110)의 깊이(H1)는 제 2 홈부(120)의 깊이(H2)보다 더 깊으며,
    제 1 방향(Z)으로 제 1 홈부(110)의 길이(L1)는 제 2 홈부(120)의 길이(L2)보다 더 짧으며, 제 1 방향(Z)으로 제 1 홈부(110)의 일측 끝단은 개방(Open)되고, 타측 끝단은 폐쇄(Closed)된 형태로 형성되어, 접착 재질을 제 1 홈부(110)에 주입하여 인접하는 두 개의 블록(10)을 연결 및 고정하도록 하며, 본체부(100)의 가장자리부(Edge Part, 140)의 높이는 다른 부분(160)보다 더 낮게 형성되어 본체부(100)의 테두리에는 높이 단차가 마련되며,
    본체부(100)의 벽(Wall)은 외측벽(170)과 내측벽(160)으로 구분되어 내측벽(160)은 외측벽(170)에 비해 제 1 방향(Z)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가 더 연장되어, 외측벽(170)의 상부면(가장자리부(140))은 내측벽(160)의 상부면보다 높이가 더 낮게 형성된 상태에서 제 1 홈부(110) 및 제 2 홈부(120)는 본체부(100)의 가장자리부(140)에 형성되며, 제 1 홈부(110)의 깊이(H1) 및 제 2 홈부(120)의 깊이(H2)는 가장자리부의 깊이(H3)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다면 블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23066A 2018-02-26 2018-02-26 내진 다면 블록 및 그를 이용한 내진 다면 블록 시스템 KR102086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066A KR102086904B1 (ko) 2018-02-26 2018-02-26 내진 다면 블록 및 그를 이용한 내진 다면 블록 시스템
PCT/KR2018/002685 WO2019164046A1 (ko) 2018-02-26 2018-03-07 내진 다면 블록 및 그를 이용한 내진 다면 블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066A KR102086904B1 (ko) 2018-02-26 2018-02-26 내진 다면 블록 및 그를 이용한 내진 다면 블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554A KR20190102554A (ko) 2019-09-04
KR102086904B1 true KR102086904B1 (ko) 2020-03-09

Family

ID=67687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066A KR102086904B1 (ko) 2018-02-26 2018-02-26 내진 다면 블록 및 그를 이용한 내진 다면 블록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86904B1 (ko)
WO (1) WO20191640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506B1 (ko) * 2020-09-01 2022-03-17 엘림 주식회사 전단키를 구비한 pc블록 내진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564283B1 (ko) * 2022-12-05 2023-08-07 박정식 지오그리드가 제외된 구성을 갖는 옹벽 블록 구조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106Y1 (ko) * 2002-05-27 2002-08-21 윤민호 건축용 블록
KR101104079B1 (ko) * 2011-03-07 2012-01-11 원상윤 친환경 건축 블록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3157B2 (ja) * 1991-03-06 1997-02-19 忍 矢野 壁部形成材
AU2003901351A0 (en) * 2003-03-24 2003-04-03 Judi Collier Composite building block having moisture barrier and insulation element
CN101443520A (zh) * 2006-05-10 2009-05-27 贝内科技私人有限公司 一种改进的混凝土空心砌块
KR200425520Y1 (ko) 2006-06-13 2006-09-13 최경동 블록식 보강토 옹벽용 연결구조
KR20120020254A (ko) 2010-08-30 2012-03-08 김여일 내진 무몰타르 조립식 블록 시스템 및 벽체 시공방법
KR101347155B1 (ko) * 2011-09-26 2014-01-03 박정득 건축용 목재블록
KR101264920B1 (ko) 2013-02-11 2013-05-15 김여일 내진 무몰타르 조립식 블록 시스템 및 벽체 시공방법
KR101742722B1 (ko) 2014-08-05 2017-06-02 홍지기술산업주식회사 내진 옹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내진 옹벽 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106Y1 (ko) * 2002-05-27 2002-08-21 윤민호 건축용 블록
KR101104079B1 (ko) * 2011-03-07 2012-01-11 원상윤 친환경 건축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64046A1 (ko) 2019-08-29
KR20190102554A (ko)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755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formwork for a concrete slab
KR102086904B1 (ko) 내진 다면 블록 및 그를 이용한 내진 다면 블록 시스템
CN208329589U (zh) 拼接式建筑模板和板体
KR101264920B1 (ko) 내진 무몰타르 조립식 블록 시스템 및 벽체 시공방법
WO2006012230A2 (en) Interlocking blocks for construction
KR101170692B1 (ko) 벽면 구축용 블록
KR101431749B1 (ko)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
JP2009102940A (ja) 耐震壁
KR101399198B1 (ko) 조립용 단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
WO2018016227A1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1901240B1 (ko) 건축물용 조립식 거푸집 패널
KR101135970B1 (ko) 매립형 단자함체의 확장틀 구조
CN212224400U (zh) 用于装配式施工的砌块
KR102047837B1 (ko) 결속력 강화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적층시공방법
US9206598B2 (en) Construction block lock
KR102054792B1 (ko) 다면 결합이 가능한 내진 블록 시스템 및 축조 방법
JP2002013226A (ja) ブロック体
KR102042748B1 (ko) 내진블록과 벽면 어셈블리
KR101156568B1 (ko) 벽체축조방법
KR20080054662A (ko) 다각블럭을 이용한 수직벽체
KR101925956B1 (ko) 벽체 시공용 블록 및 중공형 판재 기둥을 이용한 코너 연결구조
KR102567471B1 (ko) 조립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KR20200020560A (ko) 내진용 벽체블록
KR102090080B1 (ko) 와이어 내진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54074B1 (ko) 단열성, 차수성, 시공성이 개선된 쪽매형 벽돌 및 그 벽돌을 이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