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471B1 - 조립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 Google Patents

조립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471B1
KR102567471B1 KR1020230026714A KR20230026714A KR102567471B1 KR 102567471 B1 KR102567471 B1 KR 102567471B1 KR 1020230026714 A KR1020230026714 A KR 1020230026714A KR 20230026714 A KR20230026714 A KR 20230026714A KR 102567471 B1 KR102567471 B1 KR 102567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orner
straight
block
plat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6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맹섭
송무섭
Original Assignee
송무섭
송맹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무섭, 송맹섭 filed Critical 송무섭
Priority to KR1020230026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4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4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18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26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s and grooves next to each other on the en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28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s next to each other on one end surface and grooves next to each other on opposite end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체결수단이 없이 블록들을 조립식으로 연결하여 벽체를 형성할 수 있고, 내측과 외측 벽체의 블록들이 서로 상하 및 좌우로 어긋나게 조립되어 벽체가 전후좌우의 외력이나 횡력에 대하여 지지강도가 크게 향상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조립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A prefabricated fitting block and a wall using the block}
본 발명은 조립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체결수단이 없이 블록들을 조립식으로 연결하여 벽체를 형성할 수 있고, 내측과 외측 벽체의 블록들이 서로 상하 및 좌우로 어긋나게 조립되어 벽체가 전후좌우의 외력이나 횡력에 대하여 지지강도가 크게 향상되는 것이 특징인 조립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은, 외장용으로 창호부위를 제외한 외부 노출부분 및 내부 구획부분이 벽체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내부 또는 외부의 벽체는 콘크리트 블록과 시멘트 몰탈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을 시멘트 몰탈에 의해 조적하여 수직벽체를 형성하는 방법은 시멘트 몰탈에 의해 숙련된 노동력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완공된 건물의 자체 하중이 높기 때문에 기초 공사를 초기부터 확실히 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건축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벽체가 기둥과 시멘트 몰타르에 의해서만 결합되므로 강풍이나 지반 침하 등으로 인하여 벽체의 측면이 기둥과 분리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와이어 메쉬를 설치하거나 추가적인 몰타르 보강 작업을 거쳐야 하며, 아울러 상하 및 좌우측의 블록과 어그러져 돌출되거나 함몰되는 부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와 상당한 기술이 요구되는바, 이와 같은 작업은 일반인이 수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전문기능공을 통해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인건비 및 자재비의 증가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으로 이루어진 벽체는 단순히 접착제 역할을 하는 시멘트 몰탈에 의한 상하 블록간의 평면적인 부착을 통한 조적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블록간의 결속력이 취약하고 벽체가 유연성을 가지지 못하여 강한 충격이나 횡압력 등에 취약하여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내진성능을 구비하지 못하여 건축 구조물에 수직 및 수평 진동이 전달될 경우, 블록 간 연결이 분리되어 벽체가 쉽게 파괴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기존에도 조립식으로 시공될 수 있도록 측면에 요철부를 갖는 조립식 건축용 벽체 블록이 알려지고 있으나, 이는 단순한 요철부의 끼움 결합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작은 횡방향의 외력에는 어느 정도 대응할 수 있으나 외력이 커질 경우 결합부위의 파손이 쉬워 지진 등의 다양한 방향에서의 외력에 충분히 대응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492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80982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체결수단이나 시멘트 몰탈의 사용이 없이 블록들을 적층하여 벽체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블록들간의 결속력이 강하여 벽체에 가해지는 모든 방향의 횡 압력에 대한 지지강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어 건축물 전체의 강도 및 내진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조립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체결수단이 없이 조립식으로 연결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조립식 블록들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일자 벽체(400) 또는 기역자 벽체(500)를 포함하고,
일자 벽체(400)는 외측 벽체(410)와 내측 벽체(420)를 포함하며,
기역자 벽체(500)는 외측 기역자 벽체(510)와 내측 기역자 벽체(520)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들은 끼움블록(100), 단분리용 끼움블록(150), 일자 벽체 코너블록(200), 단분리용 일자 벽체 코너블록(250), 기역자 코너블록(300), 단분리용 기역자 코너블록(350)을 포함하고,
상기 내외측 일자 벽체(410, 420)의 블록들이 서로 상하 및 좌우로 어긋나게 조립되거나 또는 상기 내외측 기역자 벽체(510, 520)의 블록들이 서로 상하 및 좌우로 어긋나게 조립되어,
상기 벽체(400, 500)가 전후좌우의 외력에 대하여 지지강도가 크게 향상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끼움블록(100)은 직사각형 형상의 몸체부(110) 및 몸체부(110) 일측에 돌출되는 돌출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10)는 정면에 평면인 판체 정면(111-1)과 배면에 평면인 판체 배면(111-2)을 구비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판체(111)와, 판체(111)의 판체 배면(111-2)에 형성되는 결합돌기(112)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120)는 판체 배면(111-2) 중간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판체 배면(111-2)에서 수직으로 돌출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측벽들(121)과, 상기 측벽들(121)을 연결하도록 측벽들(121) 사이에 판체(111)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연결벽(122)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120)의 측벽(121)과 연결벽(122)이 접하는 모서리에는 측벽(121)보다 돌출되는 두께를 가지는 플랜지(125)가 형성되고,
플랜지(125)와 판체 배면(111-2) 사이에는 다른 블록들의 플랜지와 체결되는 체결홈(126)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20)의 연결벽(122)에는 다른 블록들의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요홈(123)들이 형성되어 다른 블록들의 결합돌기들과 결합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일자 벽체 코너블록(200)은 직사각형 형상의 일자코너 몸체부(210) 및 일자코너 몸체부(210) 일측에 돌출되는 일자코너 돌출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일자코너 몸체부(210)는 정면에 평면인 일자코너 판체 정면(211-1)과 배면에 평면인 일자코너 판체 배면(211-2)을 구비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일자코너 판체(211)와, 일자코너 판체 배면(211-2)에 형성되는 일자코너 결합돌기(212)를 포함하며,
일자코너 돌출부(220)는 일자코너 판체 배면(211-2)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일자코너 판체 배면(211-2)에서 수직으로 돌출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일자코너 측벽들(221)과, 상기 일자코너 측벽들(221)을 연결하도록 일자코너 측벽들(221) 사이에 일자코너 판체(211)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일자코너 연결벽(222)을 포함하고,
상기 일자코너 돌출부(220)의 일자코너 측벽(221)과 일자코너 연결벽(222)이 접하는 모서리에는 일자코너 측벽(221)보다 돌출되는 두께를 가지는 일자코너 플랜지(225)가 형성되고,
일자코너 플랜지(225)와 일자코너 판체 배면(211-2) 사이에는 다른 블록들의 플랜지와 체결되는 일자코너 체결홈(226)이 형성되며,
상기 일자코너 돌출부(120)의 일자코너 연결벽(222)에는 다른 블록들의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일자코너 요홈(223)이 형성되어 다른 블록들의 결합돌기들과 결합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기역자 코너블록(300)은 직사각형 형상의 기역자 코너 몸체부(310) 및 기역자 코너 몸체부(310) 일측에 돌출되는 기역자 코너 돌출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기역자 코너 몸체부(310)는 정면에 평면인 기역자 코너 판체 정면(311-1)과 배면에 평면인 기역자 코너판체 배면(311-2)을 구비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기역자 코너 판체(311)와, 기역자 코너 판체 배면(311-2)에 형성되는 기역자코너 결합돌기(312)를 포함하며,
기역자 코너 돌출부(320)는 기역자 코너 판체 배면(311-2)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기역자 코너 판체 배면(311-2)에서 수직으로 돌출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기역자 코너 외측벽(321-1) 및 기역자 코너 내측벽(321-2)과, 상기 기역자 코너 외측벽(321-1) 및 기역자 코너 내측벽(321-2)을 연결하도록 기역자 코너 측벽들(321-1, 321-2) 사이에 기역자 코너 판체(311)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기역자 코너 연결벽(322)을 포함하고,
상기 기역자 코너 외측벽(321-1)과 기역자 코너 연결벽(322)이 접하는 모서리에는 연결벽(322)보다 돌출되는 두께를 가지는 외측벽 플랜지(325-1)가 형성되고,
상기 기역자 코너 내측벽(321-2)과 기역자 코너 연결벽(322)이 접하는 모서리에는 기역자 코너 내측벽(321-2)보다 돌출되는 두께를 가지는 내측벽 플랜지(325-2)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기역자 코너 외측벽(321-1) 및 기역자 코너 내측벽(321-2)을 연결하는 기역자 코너 연결벽(322)에는 돌출벽(328)이 형성되고 돌출벽(328)에 돌출벽 결합돌기(329)가 형성되며,
돌출벽 결합돌기(329)와 외측벽 플랜지(325-1) 사이에 다른 블록의 플랜지가 결합되는 연결벽 체결홈(326-1)이 형성되고,
돌출벽 결합돌기(329)는 연결벽 체결홈(326-1)과 접하도록 돌출벽(328)에 배치되며,
내측벽 플랜지(325-2)와 기역자 코너 판체 배면(311-2) 사이에는 다른 블록들의 플랜지와 체결되는 내측벽 체결홈(326-2)이 형성되고, 기역자 코너 결합돌기(312)는 내측벽 체결홈(326-2)과 접하도록 기역자 코너 판체 배면(311-2)에 배치되고,
또한 기역자 코너 외측벽(321-1)에는 외측벽 요홈(323-1)이 형성되고,
연결벽(22)에서 돌출벽(328)과 내측벽 플랜지(325-2) 사이에는 연결벽 요홈(323-2)이 형성되며,
기역자 코너 돌출부(320)는 기역자 코너 외측벽(321-1) 및 기역자 코너 내측벽(321-2) 사이에 이들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격벽(327)이 형성되고, 기역자 코너 외측벽(321-1)과 격벽(327) 사이에 외측 통공(324-1)이 형성되며, 기역자 코너 내측벽(321-2)과 격벽(327) 사이에 내측 통공(324-2)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단분리용 끼움블록(150), 단분리용 일자 벽체 코너블록(250) 및 단분리용 기역자 코너블록(350)의 높이는 각각 끼움블록(100), 일자 벽체 코너블록(200) 및 기역자 코너블록(300)의 높이의 절반이고,
일자 벽체 코너블록(200) 및 단분리용 일자 벽체 코너블록(250)의 길이는 끼움블록(100), 단분리용 끼움블록(150), 기역자 코너블록(300) 및 단분리용 기역자 코너블록(350)의 길이의 절반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조립식 블록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일자 벽체(400)가 일자 벽체(400)조립 단계들에 의해 형성되며,
일자 벽체(400) 조립 단계는,
단계 1) 복수의 끼움블록(100)들을 2단으로 적층하여 일자 벽체(400)의 외측 벽체(410)를 형성하는 단계;
단계 2) 외측 벽체(410)에서 기둥이나 다른 벽체와 접하는 측단부의 최하단에 단분리용 일자 벽체 코너블록(250)을 외측 벽체(410)의 끼움블록(100)과 결합하여 내측 벽체의 측단부 최하단을 형성하는 단계;
단계 3) 내측 벽체(410)의 측단부 최하단의 단분리용 일자 벽체 코너블록(250)의 일측에 단분리용 끼움블록(150)들을 길이방향으로 외측 벽체(410)의 최하단 끼움블록(100)에 결합시켜 내측 벽체(420)의 최하단을 형성하는 단계;
단계 4) 내측 벽체의 최하단의 단분리용 일자 벽체 코너블록(250) 상측에 일자 벽체 코너블록(200)을 적층한 후 외측 벽체(410)의 끼움블록(100)에 결합하고, 그 옆에 끼움블록(100)들을 수평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외측 벽체(410)의 끼움블록(100)에 결합시켜 내측 벽체(420)의 2번째 단을 형성하는 단계;
단계 5) 외측 벽체(410)의 2번째 단의 끼움블록(100)들 상측에 끼움블록(100)을 적층하여 외측 벽체(410)의 3번째 단을 형성하는 단계;
단계 6) 내측 벽체(420)의 2번째 단 상측에 단계 4와 같이 일자 벽체 코너블록(200)을 적층한 후 외측 벽체(410)의 끼움블록(100)에 결합하고, 그 옆에 끼움블록(100)들을 수평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외측 벽체(410)의 끼움블록(100)에 결합시켜 내측 벽체(420)의 3번째 단을 형성하는 단계;
단계 7) 단계 5, 6을 반복하여 블록들이 다단으로 적층되는 내외측 일자 벽체(400)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조립식 블록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기역자 벽체(500)가 기역자 벽체(500) 조립 단계들에 의해 형성되며,
기역자 벽체(500) 조립 단계는,
단계 1) 일자 벽체(400) 중 기역자 벽체(500)가 형성될 위치에서 일자 벽체(400)의 외측 벽체(410)에 배치된 끼움블록(100)에 기역자 벽체 코너블록(300)을 서로 직각이 되도록 결합시켜 기역자 외측 벽체(510) 중 기역자 코너를 형성하는 단계;
단계 2) 기역자 외측 벽체(510)의 기역자 코너의 기역자 벽체 코너블록(300)과 밀착 접촉하도록 끼움블록(100)을 기역자 외측 벽체(510) 길이방향으로 배치하여 기역자 외측 벽체(510)의 최하단을 형성하는 단계;
단계 3) 단분리용 끼움블록(150)을 기역자 외측 벽체(510)의 최하단의 끼움블록(100) 및 기역자 벽체 코너블록(300) 사이에 형성된 삽입공간에 삽입하여 기역자 내측 벽체(520)의 최하단을 형성하는 단계;
단계 4) 기역자 외측 벽체(510)의 최하단 상부에 단계 1, 2를 반복 수행하여 기역자 외측 벽체(510)의 2단을 형성하는 단계;
단계 5) 끼움블록(100)을 기역자 외측 벽체(510)의 2단의 끼움블록(100) 및 기역자 벽체 코너블록(300) 사이에 형성된 삽입공간에 삽입하여 기역자 내측 벽체(520)의 2단을 형성하는 단계;
단계 6) 단계 4, 5를 반복 수행하여 기역자 외측 벽체(510)의 단을 먼저 적층한 후 기역자 내측 벽체(520)의 단을 적층하여 복수의 단을 구비하는 기역자 벽체(500)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별도의 체결수단이나 시멘트 몰탈의 사용이 없이 블록들을 적층하여 벽체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시멘트 몰탈 작업으로 인한 노동력 및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블록들간의 결속력이 강하여 벽체에 가해지는 모든 방향의 횡 압력에 대한 지지강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어 건축물 전체의 강도 및 내진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끼움블록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끼움블록 및 단분리용 끼움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자 벽체 코너블록 및 단분리용 일자 벽체 코너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역자 코너블록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일자 벽체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기역자 벽체의 내측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기역자 벽체의 외측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끼움블록(100)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다. 끼움블록(100)은 직사각형 형상의 몸체부(110) 및 몸체부(110) 일측에 돌출되는 돌출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10)는 정면에 평면인 판체 정면(111-1)과 배면에 평면인 판체 배면(111-2)을 구비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판체(111)와, 판체(111)의 판체 배면(111-2)에 형성되는 결합돌기(112)를 포함한다.
또한 돌출부(120)는 판체(111)의 판체 배면(111-2) 중간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판체 배면(111-2)에서 수직으로 돌출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측벽들(121)과, 상기 측벽들(121)을 연결하도록 측벽들(121) 사이에 판체(111)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연결벽(12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돌출부(120)의 측벽(121)과 연결벽(122)가 접하는 모서리에는 측벽(121)보다 돌출되는 두께를 가지는 플랜지(125)가 형성되고, 플랜지(125)와 판체 배면(111-2) 사이에는 다른 블록들의 플랜지와 체결되는 체결홈(12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120)의 연결벽(122)에는 다른 블록들의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요홈(123)이 형성되어 다른 블록들의 결합돌기들과 결합한다.
본 발명에서 결합돌기(112)는 체결홈(126)과 접하도록 판체 배면(111-2)에 배치되어 다른 블록들의 요홈과 결합함으로써 체결홈(126)에 체결되는 다른 블록들의 플랜지가 전후좌우의 외력이나 횡력에 대해 이탈하지 않아 벽체의 지지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0)는 좌우측의 측벽(121)과 연결벽(122)에 의해 형성되는 통공(124)이 내부에 형성되어 일체형 블록(100)의 중량을 감소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끼움블록(100) 및 단분리용 끼움블록(150)을 도시한 도면이다.
끼움블록(100) 및 단분리용 끼움블록(150)은 동일한 구성 및 형상을 가지고, 다만 단분리용 끼움블록(150)의 높이는 끼움블록(100)의 높이의 절반이다. 예를 들어 끼움블록(100)의 높이가 200mm라면 단분리용 끼움블록(150)의 높이는 100mm이다.
본 발명은 끼움블록(100) 및 단분리용 끼움블록(150)을 이용하여 외측 벽체(410)와 내측 벽체(420)를 서로 별도의 체결수단이 없이 조립식으로 연결하여 벽체를 형성할 수 있으면서, 끼움블록(100)의 높이의 절반인 단분리용 끼움블록(150)을 이용하여 내측 벽체와 외측 벽체의 블록들이 서로 상하로 반 블록씩 차이가 나도록 어긋나게 조립되어 벽체가 전후좌우의 외력이나 횡력에 대하여 지지강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자 벽체 코너블록(200) 및 단분리용 일자 벽체 코너블록(250)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자 벽체 코너블록(200)은 직사각형 형상의 일자코너 몸체부(210) 및 일자코너 몸체부(210) 일측에 돌출되는 일자코너 돌출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일자코너 몸체부(210)는 정면에 평면인 일자코너 판체 정면(211-1)과 배면에 평면인 일자코너 판체 배면(211-2)을 구비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일자코너 판체(211)와, 일자코너 판체 배면(211-2)에 형성되는 일자코너 결합돌기(212)를 포함한다.
또한 일자코너 돌출부(220)는 일자코너 판체 배면(211-2)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일자코너 판체 배면(211-2)에서 수직으로 돌출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일자코너 측벽들(221)과, 상기 일자코너 측벽들(221)을 연결하도록 일자코너 측벽들(221) 사이에 일자코너 판체(211)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일자코너 연결벽(22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일자코너 돌출부(220)의 일자코너 측벽(221)과 일자코너 연결벽(222)이 접하는 모서리에는 일자코너 측벽(221)보다 돌출되는 두께를 가지는 일자코너 플랜지(225)가 형성되고, 일자코너 플랜지(225)와 일자코너 판체 배면(211-2) 사이에는 다른 블록들의 플랜지와 체결되는 일자코너 체결홈(22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일자코너 돌출부(120)의 일자코너 연결벽(222)에는 다른 블록들의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일자코너 요홈(223)이 형성되어 다른 블록들의 결합돌기들과 결합한다.
본 발명에서 일자코너 결합돌기(212)는 일자코너 체결홈(226)과 접하도록 일자코너 판체 배면(211-2)에 배치되어 다른 블록들의 요홈과 결합함으로써 일자코너 체결홈(226)에 체결되는 다른 블록들의 플랜지가 전후좌우의 외력이나 횡력에 대해 이탈하지 않아 벽체의 지지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자코너 돌출부(220)는 좌우측의 일자코너 측벽(221)과 일자코너 연결벽(222)에 의해 형성되는 일자코너 통공(224)이 내부에 형성되어 일자 벽체 코너블록(200)의 중량을 감소시킨다.
단분리용 일자 벽체 코너블록(250)은 일자 벽체 코너블록(200)과 구성 및 형상이 동일하고, 다만 단분리용 일자 벽체 코너블록(250)의 높이는 일자 벽체 코너블록(200) 높이의 절반이다.
또한 일자 벽체 코너블록(200) 및 단분리용 일자 벽체 코너블록(250)의 길이는 끼움블록(100) 및 단분리용 끼움블록(150) 길이의 절반이다.
예를 들어, 끼움블록(100) 및 단분리용 끼움블록(150) 길이가 400mm이면, 일자 벽체 코너블록(200) 및 단분리용 일자 벽체 코너블록(250) 길이가 200mm이다.
본 발명에서 일자 벽체 코너블록(200) 및 단분리용 일자 벽체 코너블록(250)은 일자 벽체(400)에서 기둥이나 다른 벽체와 접하는 내측 벽체(420)의 단부측에 배치되며, 일자 벽체 코너블록(200) 및 단분리용 일자 벽체 코너블록(250)의 길이가 끼움블록(100) 및 단분리용 끼움블록(150)의 절반이므로 내측 벽체(420)와 외측 벽체(410)의 블록들이 서로 좌우로 반 블록씩 차이가 나도록 어긋나게 조립되어 벽체가 전후좌우의 외력이나 횡력에 대하여 지지강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역자 코너블록(300)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기역자 코너블록(300)은 직사각형 형상의 기역자 코너 몸체부(310) 및 기역자 코너 몸체부(310) 일측에 돌출되는 기역자 코너 돌출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기역자 코너 몸체부(310)는 정면에 평면인 기역자 코너 판체 정면(311-1)과 배면에 평면인 기역자 코너판체 배면(311-2)을 구비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기역자 코너 판체(311)와, 기역자 코너 판체 배면(311-2)에 형성되는 기역자코너 결합돌기(312)를 포함한다.
또한 기역자 코너 돌출부(320)는 기역자 코너 판체 배면(311-2)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기역자 코너 판체 배면(311-2)에서 수직으로 돌출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기역자 코너 외측벽(321-1) 및 기역자 코너 내측벽(321-2)과, 상기 기역자 코너 외측벽(321-1) 및 기역자 코너 내측벽(321-2)을 연결하도록 기역자 코너 측벽들(321-1, 321-2) 사이에 기역자 코너 판체(311)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기역자 코너 연결벽(32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역자 코너 외측벽(321-1)과 기역자 코너 연결벽(322)이 접하는 모서리에는 연결벽(322)보다 돌출되는 두께를 가지는 외측벽 플랜지(325-1)가 형성되고,
상기 기역자 코너 내측벽(321-2)과 기역자 코너 연결벽(322)이 접하는 모서리에는 기역자 코너 내측벽(321-2)보다 돌출되는 두께를 가지는 내측벽 플랜지(325-2)가 형성된다.
또한 기역자 코너 외측벽(321-1) 및 기역자 코너 내측벽(321-2)을 연결하는 기역자 코너 연결벽(322)에는 돌출벽(328)이 형성되고, 돌출벽(328)에 돌출벽 결합돌기(329)가 형성되며, 돌출벽 결합돌기(329)와 외측벽 플랜지(325-1) 사이에 다른 블록의 플랜지가 결합되는 연결벽 체결홈(326-1)이 형성되고, 돌출벽 결합돌기(329)는 연결벽 체결홈(326-1)과 접하도록 돌출벽(328)에 배치된다.
또한 내측벽 플랜지(325-2)와 기역자 코너 판체 배면(311-2) 사이에는 다른 블록들의 플랜지와 체결되는 내측벽 체결홈(326-2)이 형성되고, 기역자 코너 결합돌기(312)는 내측벽 체결홈(326-2)과 접하도록 기역자 코너 판체 배면(311-2)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돌출벽 결합돌기(329)가 연결벽 체결홈(326-1)과 접하도록 돌출벽(328)에 배치되고, 기역자 코너 결합돌기(312)가 내측벽 체결홈(326-2)과 접하도록 기역자 코너 판체 배면(311-2)에 배치되어 다른 블록들의 요홈과 결합함으로써 연결벽 체결홈(326-1) 및 내측벽 체결홈(326-2)에 체결되는 다른 블록들의 플랜지가 전후좌우의 외력이나 횡력에 대해 이탈하지 않아 벽체의 지지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역자 코너 외측벽(321-1)에는 외측벽 요홈(323-1)이 형성되고 연결벽(22)에서 돌출벽(328)과 내측벽 플랜지(325-2) 사이에는 연결벽 요홈(323-2)이 형성되어 다른 블록의 결합돌기와 체결된다.
또한 기역자 코너 돌출부(320)는 기역자 코너 외측벽(321-1) 및 기역자 코너 내측벽(321-2) 사이에 이들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격벽(327)이 형성되고, 기역자 코너 외측벽(321-1)과 격벽(327) 사이에 외측 통공(324-1)이 형성되며, 기역자 코너 내측벽(321-2)과 격벽(327) 사이에 내측 통공(324-2)이 형성되어, 기역자 벽체 코너블록(300)의 중량을 감소시킨다.
기역자 벽체 코너블록(300)은 일자 벽체(400)와 서로 수직으로 만나는 기역자 벽체(500)에서 일자 벽체(400)와 기역자 벽체(500)에 의해 형성되는 기역자 코너에 사용되고, 일자 벽체(400)와 기역자 벽체(500)를 기역자 코너에서 서로 결합시켜 외력에 대한 벽체 강성을 향상시킨다.
단분리용 기역자 벽체 코너블록(350)은 기역자 벽체 코너블록(300)과 구성 및 형상이 동일하고, 다만 단분리용 기역자 벽체 코너블록(350)의 높이는 일자 벽체 코너블록(200) 높이의 절반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블록들을 이용한 일자 벽체(400)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일자 벽체(400)는 외측 벽체(410)와 내측 벽체(420)의 끼움블록들(100, 150, 200, 250)이 별도의 체결수단이 없이 조립식으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조립식 블록들을 이용하여 일자 벽체(400)를 형성하는 일자 벽체(400) 조립 단계는 다음과 같다.
단계 1) 먼저 복수의 끼움블록(100)들을 2단으로 적층하여 일자 벽체(400)의 외측 벽체(410)를 형성한다.
단계 2) 외측 벽체(410)에서 기둥이나 다른 벽체와 접하는 측단부의 최하단에 단분리용 일자 벽체 코너블록(250)을 외측 벽체(410)의 끼움블록(100)과 결합하여 내측 벽체의 측단부 최하단을 형성한다.
이때 내측 벽체(420)의 단분리용 일자 벽체 코너블록(250)의 배면이 외측 벽체(410)의 끼움블록(100)의 배면과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단분리용 일자 벽체 코너블록(250)의 일자코너 돌출부(220)의 플랜지(225)를 외측 벽체(410)의 끼움블록(100)의 체결홈(126)과 결합시키고 일자코너 결합돌기(212)를 외측 벽체(410)의 끼움블록(100)의 요홈(123)에 삽입시킨다.
단계 3) 내측 벽체(410)의 측단부 최하단의 단분리용 일자 벽체 코너블록(250)의 일측에 단분리용 끼움블록(150)들을 길이방향으로 외측 벽체(410)의 최하단 끼움블록(100)에 결합시켜 내측 벽체(420)의 최하단을 형성한다.
이때 단분리용 일자 벽체 코너블록(250)의 길이가 단분리용 끼움블록(150)의 길이의 절반이므로 내측 벽체의 단분리용 끼움블록(150)들은 외측 벽체의 끼움블록(100)들과 수평 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반 블록씩 어긋나게 조립된다.
또한 단분리용 끼움블록(150)을 배면이 외측 벽체(410)의 끼움블록(100)의 배면과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단분리용 끼움블록(150)의 돌출부(120)의 플랜지(125)를 외측 벽체(410)의 끼움블록(100)의 체결홈(126)과 결합시키고 결합돌기(112)를 외측 벽체(410)의 끼움블록(100)의 요홈(123)에 삽입시킨다.
단계 4) 내측 벽체의 최하단의 단분리용 일자 벽체 코너블록(250) 상측에 일자 벽체 코너블록(200)을 적층한 후 외측 벽체(410)의 끼움블록(100)에 결합하고, 그 옆에 끼움블록(100)들을 수평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외측 벽체(410)의 끼움블록(100)에 결합시켜 내측 벽체(420)의 2번째 단을 형성한다.
단계 5) 외측 벽체(410)의 2번째 단의 끼움블록(100)들 상측에 끼움블록(100)을 적층하여 외측 벽체(410)의 3번째 단을 형성한다.
단계 6) 내측 벽체(420)의 2번째 단 상측에 단계 4와 같이 일자 벽체 코너블록(200)을 적층한 후 외측 벽체(410)의 끼움블록(100)에 결합하고, 그 옆에 끼움블록(100)들을 수평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외측 벽체(410)의 끼움블록(100)에 결합시켜 내측 벽체(420)의 3번째 단을 형성한다.
단계 7) 단계 5, 6을 반복하여 블록들이 다단으로 적층되는 내외측 일자 벽체(400)를 형성한다.
상기 단계 4)에서 내측 벽체(420)의 블록들을 외측 벽체(410)의 끼움블록(100)과 조립 체결하여 최하단의 위에 위치하는 내측 벽체의 2번째 단을 형성하는 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 4-1) 내측 벽체(420)의 일자 벽체 코너블록(200)들의 배면이 외측 벽체(410)의 끼움블록(100)의 배면과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다음에 내측 벽체(420)의 일자 벽체 코너블록(200)에서 일자코너 돌출부(220)의 플랜지(225)를 외측 벽체(410)의 끼움블록(100)의 체결홈(126)과 삽입시키고 일자코너 결합돌기(212)를 외측 벽체(410)의 끼움블록(100)의 요홈(123)에 삽입시킨다.
단계 4-2) 또한 조립된 일자 벽체 코너블록(200) 옆에 내측 벽체(420)의 끼움블록(100)을 위치시키고 외측 벽체(410)의 끼움블록(100)들의 배면과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다음에 내측 벽체(420)의 끼움블록(100)에서 돌출부(120)의 플랜지(125)를 외측 벽체(410)의 끼움블록(100)의 체결홈(126)과 결합시키고 결합돌기(112)를 외측 벽체(410)의 끼움블록(100)의 요홈(123)에 삽입시킨다.
단계 4-3) 다음에 조립된 끼움블록(100) 옆에 내측 벽체(420)의 끼움블록(100)을 위치시키고 외측 벽체(410)의 끼움블록(100)들의 배면과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내측 벽체(420)의 끼움블록(100)에서 돌출부(120)의 플랜지(125)를 외측 벽체(410)의 끼움블록(100)의 체결홈(126)과 삽입시키고 결합돌기(112)를 외측 벽체(410)의 끼움블록(100)의 요홈(123)에 삽입시킨다.
이와 같이 단계 4-1 내지 단계 4-3을 반복하여 내측 벽체(420)의 끼움블록(100)들을 외측 벽체(410)의 끼움블록(100)과 조립 체결하여 한 단의 내측 벽체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일자 벽체 코너블록(200) 및 단분리용 일자 벽체 코너블록(250)의 길이가 끼움블록(100) 및 단분리용 끼움블록(150)의 절반이므로, 이와 같이 조립된 내측 벽체(410)의 끼움블록(100) 및 단분리용 끼움블록(150)들은 외측 벽체(410)의 끼움블록(100)들과 서로 좌우나 길이방향으로 반 블록씩 차이가 나도록 어긋나게 조립된다.
또한 단분리용 끼움블록(150) 및 단분리용 일자 벽체 코너블록(250)의 높이가 끼움블록(100) 및 일자 벽체 코너블록(200)의 절반이므로,
이와 같이 조립된 내측 벽체(410)의 끼움블록(100), 단분리용 끼움블록(150), 일자 벽체 코너블록(200) 및 단분리용 일자 벽체 코너블록(250)들은 외측 벽체(410)의 끼움블록(100)들과 서로 상하나 높이 방향으로 반 블록씩 차이가 나도록 어긋나게 조립된다.
이와 같이 내측 벽체(420)와 외측 벽체(410)의 조립식 블록들이 서로 상하 및 좌우로 어긋나게 조립되어 벽체가 전후좌우의 외력이나 횡력에 대하여 지지강도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기역자 벽체의 내측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기역자 벽체의 외측 사시도이다.
기역자 벽체 코너블록(300)은 일자 벽체(400)와 서로 수직으로 만나는 기역자 벽체(500) 중 기역자 외측벽체(510)의 기역자 코너에 사용되고, 일자 벽체(400)의 외측 벽체(410)와 기역자 벽체(500)의 기역자 외측벽체(510)를 기역자 코너에서 서로 결합시켜 외력에 대한 벽체 강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서 조립식 블록들을 이용하여 기역자 벽체(500)를 형성하는 기역자 벽체(500) 조립 단계는 다음과 같다.
단계 1) 먼저 일자 벽체(400) 중 기역자 벽체(500)가 형성될 위치에서 일자 벽체(400)의 외측 벽체(410)에 배치된 끼움블록(100)에 기역자 벽체 코너블록(300)을 서로 직각이 되도록 결합시켜 기역자 외측 벽체(510) 중 기역자 코너를 형성한다.
단계 1)에서 기역자 벽체 코너블록(300)이 외측 벽체(410)의 끼움블록(100)과 결합되는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외측 벽체(410)의 끼움블록(100)과 기역자 벽체 코너블록(300)을 서로 직각이 되도록 배치한 후,
기역자 벽체 코너블록(300)의 외측벽 플랜지(325-1)을 끼움블록(100)의 체결홈(126)에 삽입하고 끼움블록(100)의 플랜지(125)를 기역자 벽체 코너블록(300)의 연결벽 체결홈(326-1)에 삽입하며,
또한 끼움블록(100)의 결합돌기(112)를 기역자 벽체 코너블록(300)의 외측벽(323-1)에 결합하고 기역자 벽체 코너블록(300)의 돌출벽 결합돌기(329)를 끼움블록(100)의 요홈(123)에 결합한다.
단계 2) 기역자 외측 벽체(510)의 기역자 코너의 기역자 벽체 코너블록(300)과 밀착 접촉하도록 끼움블록(100)을 기역자 외측 벽체(510) 길이방향으로 배치하여 기역자 외측 벽체(510)의 최하단을 형성한다.
이때 끼움블록(100)의 판체(111)와 기역자 벽체 코너블록(300)의 판체(311)는 측면이 서로 밀착되게 접촉하며, 끼움블록(100)과 기역자 벽체 코너블록(300)은 물리적으로 결합되지 않으며, 끼움블록(100)의 돌출부(120)의 측벽(121)과 기역자 벽체 코너블록(300)의 기역자 코너 내측벽(321-2) 사이에는 기역자 내측 벽체(520)를 형성할 끼움블록(100)의 돌출부(120)가 삽입될 삽입공간이 형성된다.
단계 3) 다음에는 단분리용 끼움블록(150)을 기역자 외측 벽체(510) 의 최하단의 끼움블록(100) 및 기역자 벽체 코너블록(300) 사이에 형성된 삽입공간에 삽입하여 기역자 내측 벽체(520)의 최하단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단분리용 끼움블록(150)의 돌출부(120)에서 일측 플랜지(125)는 기역자 벽체 코너블록(300)의 내측벽 체결홈(326-2)에 결합되고
단분리용 끼움블록(150)의 돌출부(120)에서 타측 플랜지(125)는 끼움블록(100)의 체결홈(126)에 결합되며,
단분리용 끼움블록(150)의 돌출부(120)에서 일측 요홈(123)에는 기역자 벽체 코너블록(300)의 기역자 코너 결합돌기(312)가 삽입되고,
단분리용 끼움블록(150)의 돌출부(120)에서 타측 요홈(123)에는 끼움블록(100)의 결합돌기(112)가 삽입된다.
단계 4) 다음에 기역자 외측 벽체(510)의 최하단 상부에 단계 1, 2를 반복 수행하여 기역자 외측 벽체(510)의 2단을 형성한다.
단계 5) 다음에는 끼움블록(100)을 기역자 외측 벽체(510)의 2단의 끼움블록(100) 및 기역자 벽체 코너블록(300) 사이에 형성된 삽입공간에 삽입하여 기역자 내측 벽체(520)의 2단을 형성한다.
단계 6) 단계 4, 5를 반복 수행함으로써 기역자 외측 벽체(510)의 단을 먼저 적층한 후 기역자 내측 벽체(520)의 단을 적층하여 복수의 단을 구비하는 기역자 벽체(500)를 형성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조립된 기역자 벽체(500)는 높이 방향으로는 내외측의 블록들이 반 블록씩 높이 차이가 나도록 조립되고, 길이 방향으로는 반 블록씩 길이 차이가 나도록 조립되므로, 기역자 벽체(500)가 전후좌우 횡력이나 외력에 대하여 지지강성이 증가되는 효과를 갖는다.
위와 같이 조립된 기역자 벽체(500)에 일자 벽체(400)를 연속하여 형성하는 경우에는 기역자 벽체(500)가 이미 수평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반 블록씩 어긋나 있으므로 코너 블록(200, 250)을 제외하고 끼움블록(100, 150)만을 사용하여 일자 벽체(400)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조립용 블록들은 실내외용으로 사용되고, 칸막이용, 장식용, 장난감용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용도에 따라 콘크리트, 황토, 점토, 세라믹, 목재, 에코 스톤, 플라스틱 합성수지, 플라스틱 복합소재 등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100: 끼움블록 110: 몸체부
111: 판체 111-1: 판체 정면
111-2: 판체 배면 112: 결합돌기
120: 돌출부 121: 측벽
122: 연결벽 123: 요홈
124: 통공 125: 플랜지
126: 체결홈
150: 단분리용 끼움블록
200: 일자 벽체 코너블록
210: 일자 코너 몸체부
211: 일자 코너 판체 211-1: 일자 코너판체 정면
211-2: 일자 코너 판체 배면 212: 일자 코너 결합돌기
220: 일자 코너 돌출부 221: 일자 코너 측벽
222: 일자 코너 연결벽 223: 일자 코너 요홈
224: 일자 코너 통공 225: 일자 코너 플랜지
226: 일자 코너 체결홈
250: 단분리용 일자 벽체 코너블록
300: 기역자 벽체 코너블록
310: 기역자 코너 몸체부
311: 기역자 코너 판체 311-1: 기역자 코너판체 정면
311-2: 기역자 코너 판체 배면 312: 기역자 코너 결합돌기
320: 기역자 코너 돌출부
321-1: 기역자 코너 외측벽 321-2: 기역자 코너 내측벽
322: 기역자 코너 연결벽
323-1: 외측벽 요홈 323-2: 연결벽 요홈
324-1: 외측 통공 324-2: 내측 통공
325-1: 외측벽 플랜지 325-2: 내측벽 플랜지
326-1: 외측벽 체결홈 326-2: 내측벽 체결홈
327: 격벽 328: 돌출벽
329: 돌출벽 결합돌기
350: 단분리용 기역자 벽체 코너블록
400: 일자 벽체
410: 외측 벽체 420: 내측 벽체
500: 기역자 벽체
510: 기역자 외측 벽체 520: 기역자 내측 벽체

Claims (8)

  1. 별도의 체결수단이 없이 조립식으로 연결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조립식 블록들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일자 벽체(400) 또는 기역자 벽체(500)를 포함하고,
    일자 벽체(400)는 외측 벽체(410)와 내측 벽체(420)를 포함하며,
    기역자 벽체(500)는 외측 기역자 벽체(510)와 내측 기역자 벽체(520)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들은 끼움블록(100), 단분리용 끼움블록(150), 일자 벽체 코너블록(200), 단분리용 일자 벽체 코너블록(250), 기역자 코너블록(300), 단분리용 기역자 코너블록(350)을 포함하고,
    상기 내외측 일자 벽체(410, 420)의 블록들이 서로 상하 및 좌우로 어긋나게 조립되거나 또는 상기 내외측 기역자 벽체(510, 520)의 블록들이 서로 상하 및 좌우로 어긋나게 조립되어,
    상기 벽체(400, 500)가 전후좌우의 외력에 대하여 지지강도가 크게 향상되며,
    일자 벽체 코너블록(200)은 직사각형 형상의 일자코너 몸체부(210) 및 일자코너 몸체부(210) 일측에 돌출되는 일자코너 돌출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일자코너 몸체부(210)는 정면에 평면인 일자코너 판체 정면(211-1)과 배면에 평면인 일자코너 판체 배면(211-2)을 구비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일자코너 판체(211)와, 일자코너 판체 배면(211-2)에 형성되는 일자코너 결합돌기(212)를 포함하며,
    일자코너 돌출부(220)는 일자코너 판체 배면(211-2)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일자코너 판체 배면(211-2)에서 수직으로 돌출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일자코너 측벽들(221)과, 상기 일자코너 측벽들(221)을 연결하도록 일자코너 측벽들(221) 사이에 일자코너 판체(211)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일자코너 연결벽(222)을 포함하고,
    상기 일자코너 돌출부(220)의 일자코너 측벽(221)과 일자코너 연결벽(222)이 접하는 모서리에는 일자코너 측벽(221)보다 돌출되는 두께를 가지는 일자코너 플랜지(225)가 형성되고,
    일자코너 플랜지(225)와 일자코너 판체 배면(211-2) 사이에는 다른 블록들의 플랜지와 체결되는 일자코너 체결홈(226)이 형성되며,
    상기 일자코너 돌출부(120)의 일자코너 연결벽(222)에는 다른 블록들의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일자코너 요홈(223)이 형성되어 다른 블록들의 결합돌기들과 결합하는 것이 특징인, 조립식 블록.
  2. 청구항 1에 있어서,
    끼움블록(100)은 직사각형 형상의 몸체부(110) 및 몸체부(110) 일측에 돌출되는 돌출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10)는 정면에 평면인 판체 정면(111-1)과 배면에 평면인 판체 배면(111-2)을 구비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판체(111)와, 판체(111)의 판체 배면(111-2)에 형성되는 결합돌기(112)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120)는 판체 배면(111-2) 중간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판체 배면(111-2)에서 수직으로 돌출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측벽들(121)과, 상기 측벽들(121)을 연결하도록 측벽들(121) 사이에 판체(111)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연결벽(122)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120)의 측벽(121)과 연결벽(122)이 접하는 모서리에는 측벽(121)보다 돌출되는 두께를 가지는 플랜지(125)가 형성되고,
    플랜지(125)와 판체 배면(111-2) 사이에는 다른 블록들의 플랜지와 체결되는 체결홈(126)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20)의 연결벽(122)에는 다른 블록들의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요홈(123)들이 형성되어 다른 블록들의 결합돌기들과 결합하는 것이 특징인, 조립식 블록.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기역자 코너블록(300)은 직사각형 형상의 기역자 코너 몸체부(310) 및 기역자 코너 몸체부(310) 일측에 돌출되는 기역자 코너 돌출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기역자 코너 몸체부(310)는 정면에 평면인 기역자 코너 판체 정면(311-1)과 배면에 평면인 기역자 코너판체 배면(311-2)을 구비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기역자 코너 판체(311)와, 기역자 코너 판체 배면(311-2)에 형성되는 기역자코너 결합돌기(312)를 포함하며,

    기역자 코너 돌출부(320)는 기역자 코너 판체 배면(311-2)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기역자 코너 판체 배면(311-2)에서 수직으로 돌출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기역자 코너 외측벽(321-1) 및 기역자 코너 내측벽(321-2)과, 상기 기역자 코너 외측벽(321-1) 및 기역자 코너 내측벽(321-2)을 연결하도록 기역자 코너 측벽들(321-1, 321-2) 사이에 기역자 코너 판체(311)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기역자 코너 연결벽(322)을 포함하고,

    상기 기역자 코너 외측벽(321-1)과 기역자 코너 연결벽(322)이 접하는 모서리에는 연결벽(322)보다 돌출되는 두께를 가지는 외측벽 플랜지(325-1)가 형성되고,
    상기 기역자 코너 내측벽(321-2)과 기역자 코너 연결벽(322)이 접하는 모서리에는 기역자 코너 내측벽(321-2)보다 돌출되는 두께를 가지는 내측벽 플랜지(325-2)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 조립식 블록.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역자 코너 외측벽(321-1) 및 기역자 코너 내측벽(321-2)을 연결하는 기역자 코너 연결벽(322)에는 돌출벽(328)이 형성되고 돌출벽(328)에 돌출벽 결합돌기(329)가 형성되며,
    돌출벽 결합돌기(329)와 외측벽 플랜지(325-1) 사이에 다른 블록의 플랜지가 결합되는 연결벽 체결홈(326-1)이 형성되고,
    돌출벽 결합돌기(329)는 연결벽 체결홈(326-1)과 접하도록 돌출벽(328)에 배치되며,

    내측벽 플랜지(325-2)와 기역자 코너 판체 배면(311-2) 사이에는 다른 블록들의 플랜지와 체결되는 내측벽 체결홈(326-2)이 형성되고, 기역자 코너 결합돌기(312)는 내측벽 체결홈(326-2)과 접하도록 기역자 코너 판체 배면(311-2)에 배치되고,

    또한 기역자 코너 외측벽(321-1)에는 외측벽 요홈(323-1)이 형성되고,
    연결벽(22)에서 돌출벽(328)과 내측벽 플랜지(325-2) 사이에는 연결벽 요홈(323-2)이 형성되며,

    기역자 코너 돌출부(320)는 기역자 코너 외측벽(321-1) 및 기역자 코너 내측벽(321-2) 사이에 이들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격벽(327)이 형성되고, 기역자 코너 외측벽(321-1)과 격벽(327) 사이에 외측 통공(324-1)이 형성되며, 기역자 코너 내측벽(321-2)과 격벽(327) 사이에 내측 통공(324-2)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 조립식 블록.
  6. 청구항 5에 있어서,
    단분리용 끼움블록(150), 단분리용 일자 벽체 코너블록(250) 및 단분리용 기역자 코너블록(350)의 높이는 각각 끼움블록(100), 일자 벽체 코너블록(200) 및 기역자 코너블록(300)의 높이의 절반이고,
    일자 벽체 코너블록(200) 및 단분리용 일자 벽체 코너블록(250)의 길이는 끼움블록(100), 단분리용 끼움블록(150), 기역자 코너블록(300) 및 단분리용 기역자 코너블록(350)의 길이의 절반인 것이 특징인, 조립식 블록.
  7. 삭제
  8. 삭제
KR1020230026714A 2023-02-28 2023-02-28 조립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KR102567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6714A KR102567471B1 (ko) 2023-02-28 2023-02-28 조립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6714A KR102567471B1 (ko) 2023-02-28 2023-02-28 조립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7471B1 true KR102567471B1 (ko) 2023-08-16

Family

ID=87848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6714A KR102567471B1 (ko) 2023-02-28 2023-02-28 조립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47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5Y1 (ko) * 2004-12-21 2005-11-02 이원식 건축용 조립식 벽돌 세트
KR20130029419A (ko) * 2013-02-11 2013-03-22 김여일 내진 무몰타르 조립식 블록 시스템 및 벽체 시공방법
KR101518020B1 (ko) * 2014-03-20 2015-05-06 주식회사 알프엘이디 건축용 부재
KR20170051628A (ko) * 2015-10-29 2017-05-12 주식회사 돔앤돔 다이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KR102280982B1 (ko) 2019-10-23 2021-07-23 최현석 레고형 건축 블록, 레고형 건축 블록 모듈, 레고형 건축 블록 시스템 및 축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5Y1 (ko) * 2004-12-21 2005-11-02 이원식 건축용 조립식 벽돌 세트
KR20130029419A (ko) * 2013-02-11 2013-03-22 김여일 내진 무몰타르 조립식 블록 시스템 및 벽체 시공방법
KR101264920B1 (ko) 2013-02-11 2013-05-15 김여일 내진 무몰타르 조립식 블록 시스템 및 벽체 시공방법
KR101518020B1 (ko) * 2014-03-20 2015-05-06 주식회사 알프엘이디 건축용 부재
KR20170051628A (ko) * 2015-10-29 2017-05-12 주식회사 돔앤돔 다이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KR102280982B1 (ko) 2019-10-23 2021-07-23 최현석 레고형 건축 블록, 레고형 건축 블록 모듈, 레고형 건축 블록 시스템 및 축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2872B1 (ko) 유리블럭패널과그구성방법및이에사용되는연결구
US4967528A (en) Construction block
US3254464A (en) Hollow building module of corrugated polyurethane foam sections with elongated edge members
US6691485B1 (en) Universal modular building block and a method and structures based on the use of the aforementioned block
US5259161A (en) Vertical and horizontal reinforcement and spacing guide for panels constructed of blocks
WO2008094566A2 (en) Wall panel system
US20040020147A1 (en) Sandwich wall construction and dwelling
JP6336682B2 (ja) 壁構造物用建築ブロック
KR20120020254A (ko) 내진 무몰타르 조립식 블록 시스템 및 벽체 시공방법
KR101264920B1 (ko) 내진 무몰타르 조립식 블록 시스템 및 벽체 시공방법
US1597167A (en) Building construction
KR102567471B1 (ko) 조립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US6330775B1 (en) Prefabricated building wall structure
EP2894270A1 (en) Interlocking modular element for construction of structures and furniture.
JPS62502129A (ja) 建造物組立用モジュラ−プレカ−スト建築要素
KR102086904B1 (ko) 내진 다면 블록 및 그를 이용한 내진 다면 블록 시스템
KR20010091455A (ko) 벽체용 패널의 접합구조 및 조립시공방법
US20220136234A1 (en) Cross-laminated timber (clt) panel connection
CN107268837B (zh) 一种装配式膨石墙板及其组合安装方法
JPH11256726A (ja) 壁パネル
KR101830357B1 (ko) 벽체 시공용 블록을 이용한 코너 연결구조
KR100236544B1 (ko) 목조주택 건축공법
CA1182973A (en) Structural panel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in house construction
KR100990560B1 (ko)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KR102476406B1 (ko) 타일 설치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