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9419A - 내진 무몰타르 조립식 블록 시스템 및 벽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내진 무몰타르 조립식 블록 시스템 및 벽체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9419A
KR20130029419A KR1020130014750A KR20130014750A KR20130029419A KR 20130029419 A KR20130029419 A KR 20130029419A KR 1020130014750 A KR1020130014750 A KR 1020130014750A KR 20130014750 A KR20130014750 A KR 20130014750A KR 20130029419 A KR20130029419 A KR 20130029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wall
horizontal
blocks
earthqu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4920B1 (ko
Inventor
김여일
Original Assignee
김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여일 filed Critical 김여일
Priority to KR1020130014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4920B1/ko
Publication of KR20130029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42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 E04B2/44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E04B2/46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56Special feature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67Building elements with the appearance of several br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내진 블록 시스템 및 벽체시공에 관한 발명으로, 블록의 좌측 및 우측면에 각각 한쌍의 돌출부와 요입홈을 형성시켜, 이 블록이 시멘트 몰타르나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서로 맞물리게 되도록 하여 블록과 블록 사이의 결합력을 높이고,
아울러 벽체설치의 목적에 적합한 수직엇갈려쌓기나 수평엇갈려쌓기 등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벽체의 전후면에 작용하는 수평적 횡전단력에 대한 저항력을 크게 증대시켜 더욱 안정되고 견고한 벽체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블록 시스템은 별도의 몰타르 또는 와이어메쉬 등을 사용하여 결합시킬 필요 없이, 단순 조립방식만으로도 벽체시공이 가능하며,
아울러 줄눈넣기와 같은 후행 작업과정을 생략하여 공사기간을 단축시킴으로써, 공사효율 및 경제성을 극대화하여 시공비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블록의 종류가 단순히 기본블록(10)과 보조블록(20) 두가지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블록의 제조 설비 비용이 저렴한 동시에 양산이 가능하여 블록의 제조 및 보급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의 많은 장점을 지닌 블록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내진 무몰타르 조립식 블록 시스템 및 벽체 시공방법{EARTHQUAKE-PROOF MORTARLESS INTERLOCKING MODULAR BLOCK SYSTEM AND WALL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건축용 내진 무몰타르 조립식 블록 시스템 및 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체적인 외형은
Figure pat00001
형태의 두개의 블록이 서로 1/2 길이만큼 엇갈려 하나로 합쳐진 "
Figure pat00002
"자 모양의
Figure pat00003
형태로 형성된 블록으로써,
블록의 좌측면에는
Figure pat00004
모양의 좌돌출부(16)와 좌요입홈(17)이 형성되고, 블록의 우측면에는 블록의 좌측면에 형성시킨 좌돌출부(16) 및 좌요입홈(17)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Figure pat00005
모양의 우요입홈(18)과 우돌출부(19)가 형성되어, 블록의 좌, 우측에 설치되는 블록의 요입홈과 돌출부가 서로 결합 되도록 구성시켜 놓음으로써,
별도의 추가적인 시멘트 몰타르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본 발명의 블록을 조립하여 벽체를 시공함으로써, 시공성 및 경제성을 극대화시키며,
또한 블럭이 "
Figure pat00006
"자 형태의 2중으로 형성되어 벽체의 전후면에 걸쳐 서로 엇갈려 맞물린 형태로 놓이면서 블록과 블록간의 수평적 결합력을 강화시키고,
아울러 벽체의 코너부위나 분기되는 부위에 대한 블록의 결합방향 바꾸어 쌓기 방식을 제공하거나 수직 또는 수평 엇갈려 쌓기 방식 등의 설치 시공방법을 제공하여, 이웃하고 있는 블록과 블록간의 수직적 결합력을 강화시킴은 물론, 벽체와 벽체간의 결합력을 더욱 강화시킴으로써,
갑자기 강풍이 불거나 지진이 발생하는 등의 급작스러운 외부의 환경변화에도 설치된 벽체가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구성된 특징을 지닌 내진 무몰타르 조립식 블록 시스템 및 벽체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그동안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건축물이나 구조물의 설계시 지진에 대한 영향은 크게 고려되지 않고 설계되고 시공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전 세계적으로 지진에 의한 대참사로 인하여 건축물이나 구조물에 대한 내진성이 대두하고 있다. 아울러 우리나라의 설계기준에서도 특정 구조물에 대하여는 내진성을 요건으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벽체는 매끈한 표면을 가지고, 직육면체로 구성되는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블록을 지그재그 형태의 다단으로 쌓아 올리면서 그 사이 사이에 시멘트 몰타르 등으로 메워 각 블록들을 결합시킨다.
이렇게 결합되는 벽체의 양측 단부는 기둥에 시멘트 몰타르의 부착력에 의해 결합되는 바,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벽체의 경우에는 단지 시멘트 몰타르의 부착력에 의해서만 블록들이 지지가 되므로, 블록과 콘크리트의 접합 면이 전단응력 및 휨 인장응력에 대하여 매우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벽체가 2열로 배치된 경우, 벽체에 굽힘 모멘트가 작용하면 앞열과 뒷열 사이에 전단응력이 작용하고, 콘크리트는 전단에 취약한 재료이므로, 앞열과 뒷열이 분리되기 쉽다. 따라서 지진이 발생한 경우 지진파에 의해 수평방향 진동과 수직방향 진동이 발생하고, 종래 기술에 의한 벽체는 수평방향 진동에 의해 각 층 사이의 블록 및 벽체의 각 열이 분리되기 쉽고 수직방향진동에 의해 블록과 콘크리트와 분리되기 쉬워, 쉽게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시멘트 블록을 사용하여 벽체를 시공할 경우, 벽체는 기둥과 시멘트 몰타르에 의해서만 결합되므로 강풍이나 지반 침하 등으로 인하여 벽체의 측면이 기둥과 분리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와이어 메쉬를 설치하거나 추가적인 몰타르 보강 작업을 거쳐야 하며, 아울러 상하 및 좌우측의 블록과 어그러져 돌출되거나 함몰되는 부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와 상당한 기술이 요구되는바, 이와 같은 작업은 일반인이 수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전문기능공을 통해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인건비 및 자재비의 증가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더욱이, 몰타르 작업 및 후행 시공인 줄눈작업 등과 같이 신속한 시공을 저해하는 작업공정이 존재하므로 작업속도를 향상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전체적인 공기를 단축시키기 매우 어렵고, 이로 인해 작업효율 및 경제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 사이에 구조적인 맞물림이 형성되도록 하여, 블록간의 접착 및 결속을 위한 시멘트 몰타르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블록간의 자체적인 결속구조를 이용한 단순 조립방식에 의한 설치만으로도, 강풍이 불거나 지반 침하 등의 강한 물리적인 외부의 충격에도 잘 견디어낼 수 있는 내진 블록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진 등으로 인하여 벽체에 단 차가 유발되어 발생하는 수평적/수직적 전단응력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내진 벽체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벽체와 벽체 사이의 연결부위나 벽체와 이를 지지하는 기둥 사이에 구조적인 맞물림이 발생하도록 하여 더욱 튼튼한 내진 벽체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블록의 좌측 및 우측면에 각각 한쌍의 돌출부와 요입홈을 형성시켜, 이 블록의 좌, 우측에 설치되는 블록의 요입홈과 돌출부가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시켜 놓아 서로 이웃하고 있는 블록과 블록간의 수평적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벽체 시공방법에 있어서, 수평적 엇갈려 쌓기나 수직적 엇갈려 쌓기 방식을 제공하여 서로 이웃하고 있는 블록과 블록간의 수평적/수직적 결합력을 강화시켜 줌으로써,
갑자기 강풍이 불거나 지진이 발생하는 등의 급작스러운 외부의 환경변화에도 설치된 벽체가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구성된 내진 무몰타르 조립식 블록 시스템 및 벽체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블록간의 상하좌우측 결합은 물론, 블록 자체의 전후방측 결속력 강화 구조로 형성되어있을 뿐만 아니라, 벽체와 벽체간의 연결부위나 벽체와 기둥간의 특별한 결합시공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강풍이나 지진으로 발생되는 수평 또는 수직으로 작용하는 전단력이나 인장력에 대하여 매우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튼튼한 벽체의 설치가 가능하며,
벽체의 구성을 이루는 부재가 단 2-3가지 형태로 이루어져 생산성 및 시공성이 매우 양호하여 공기단축으로 인한 경제적 비용 절감이 매우 크며,
블록간의 구조적 맞물림이 형성되어, 저절로 블록간의 평탄성이 유지되며, 시멘트 몰타르 등을 이용한 블록간의 결속작업이나 줄눈작업이 필요치 않게 되어, 전문적인 기술자를 필요로 하지도 않으며 공사기간 또한 훨씬 짧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블록으로 시공된 벽체는 조립식으로 설치되어 있는바, 철거시 해체하여 재활용 설치가 가능하여 쓰레기 감량으로 자연보호에 일조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블록 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하프 블록 및 와이드 블록 세트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대형 블록 세트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본블록세트의 결합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벽체설치 시공방법 및 순서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블록 세트를 이용한 벽체 시공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수평엇갈려쌓기 벽체 시공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블록 세트를 이용한 수평엇갈려쌓기 벽체 시공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수직엇갈려쌓기 벽체 시공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블록 세트를 이용한 수직엇갈려쌓기 벽체 시공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블록 세트를 이용하여 창틀이 있는 벽체의 시공설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블록 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내외벽체의 축조구성의 가장 기본요소인 기본블록(10)과 보조블록(20)을 나타낸 것인바, 기본블록(10)은 전체적인 외관은 "
Figure pat00007
"자 형태의 모양으로, 실제로는
Figure pat00008
형태의 모양을 지닌 블록 2장을 블록 길이의 절반 가량을 서로 엇갈려 합쳐놓은
Figure pat00009
형태의 모양을 지닌 블록으로써,
블록의 좌측면에는
Figure pat00010
모양의 좌돌출부(16)와 좌요입홈(17)을 형성시키고, 블록의 우측면에는 블록의 좌측면에 형성시킨 좌돌출부(16) 및 좌요입홈(17)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Figure pat00011
모양의 우요입홈(18)과 우돌출부(19)를 형성시켜 놓음으로써, 벽체 시공시 블록의 좌우면에 별도의 시멘트 몰타르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블록의 좌우측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요입부가 블록의 좌우측에 놓여지는 이웃 블록과 서로 강력한 수평적 결합이 이루어져, 벽체의 전후방으로 가해지는 수평적 횡전단력에 대한 저항력이 매우 커질 뿐만 아니라,
아울러 2개의 블록이 서로 엇갈려 하나로 합쳐진 모양의 "
Figure pat00012
"자 형태의 블록이 좌우측의 블록과 서로 엇갈려 2중적인 강력한 수평적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종래의 기존 블록을 이용한 2중으로 시공된 벽체라 할지라도, 앞열과 뒷열이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갑작스러운 강풍이나 지진에 의한 수평적 횡전단력에 매우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의 블록을 이용하여 시공된 벽체는 블록 자체가 이미 앞열과 뒷열이 서로 엇갈려 강력한 결합이 이루어져 있는 상태에서, 서로 이웃하고 있는 좌우측의 블록과도 매우 강력하게 결합되는 안정된 구조로 인하여, 벽체의 전후방으로 가해지는 수평적 전단력에 대한 저항강도를 훨씬 증대시켜 매우 튼튼한 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보조블록(20)은 직각으로 꺾여 이어지는 코너부위나 "T"자 또는 "+"자 형태의 분기가 이루어지는 부위에 사용되는 블록으로써, 보조블록(20)의 전체적인 외관은 "ㄱ"자 형태의 모양으로, 실제로는 상기 기본블록(10)의 우측면에 형성 되어있는
Figure pat00013
모양의 우요입홈(18)과 우돌출부(19)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Figure pat00014
모양의 좌돌출부(26)와 좌요입홈(27)을 형성시키고, 보조블록(20)의 우측면에는 돌출부 및 요입홈이 전혀 없는 평평한 상태로
Figure pat00015
형태의 모양을 지닌 블록으로써,
벽체 시공시 하단에 설치되어있는 보조블록(20)의 방향과 직각으로 다르게 위치시켜 설치함으로써, 코너부위나 분기부위에 형성되는 모서리에서 연결되는 벽체와 벽체간의 결속력을 강화시켜주어 벽체간에 틈이 벌어지거나 벽체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아울러 코너부위나 분기부위가 울퉁불퉁하지도 않으며, 깨끗하고 평탄한 마무리를 갖춘 벽체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프 블록 및 와이드 블록 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하프기본블록(30)이나 하프보조블록(31)은 블록의 높이(H)를 절반으로 축소시켜 형성된 블록으로써,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체의 기초1단 설치시에 기본블럭(10)과 하프기본블록(30)을 교대로 설치함으로써, 좌우에 위치한 블록과 수직으로 엇갈려 쌓기 벽체를 이루어, 벽체의 수평적 횡전단력에 대하여 더욱 강한 유지력이 형성되는 벽체를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하프기본블록(30)이나 하프보조블록(31)은 벽체의 최 상층부 마무리용으로 사용되는 블록일 뿐만 아니라, 벽체의 중간지점에 설치되는 창틀이나 출입문틀의 상하단부나 좌우측에 위치하는 블록의 마무리용으로도 사용되는 블록이며,
와이드기본블록(32)이나 와이드보조블록(33)은 기본블록(10)이나 보조블록(20)의 폭(W)을 중공부 간의 늘어난 거리만큼 확장시켜 형성된 블록으로써, 수평엇갈려쌓기 방식의 벽체설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대형 블록 세트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대형기본블록(34) 및 대형보조블록(35)은 기본블록(10)이나 보조블록(20)의 폭(W)을 추가한 중공부 간의 늘어난 거리만큼 확장시켜 형성된 블록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초대형기본블록(36) 및 초대형보조블록(37)은 기본블록(10)이나 보조블록(20)의 폭(W) 및 두께(T) 모두를 추가한 중공부 간의 늘어난 거리만큼 확장시켜 형성된 대형 블록으로써, 고층빌딩의 저층부 벽체에 사용하거나, 또는 옹벽이나 전쟁지역의 캠프 막사 등의 매우 튼튼한 건축 구조물의 하부 벽체용 시공에 적합한 블록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본 블록 세트의 결합상태와 중공부 형성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블록B와 블록D사이에 위치한 블록C를 중심으로 블록간의 결합상태를 보면 블록C의 좌측부에 형성된 돌출부 C16과 요입부 C17은 블록B의 우측부에 형성된 요입부 B18 및 돌출부 B19와 각각 결합되며,
마찬가지로 블록C의 우측부에 형성된 요입부 C18과 돌출부 C19는 블록D의 좌측부에 형성된 돌출부 D16 및 요입부 D17 와 각각 결합됨으로써, 갑작스러운 강풍이 불거나 지진 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블록C의 전후방측으로 작용하는 수평적 횡전단력의 힘 F1 또는 F2에 대하여 매우 강력한 저항강도를 유지시킨다.
또한 중공부에 있어서, 블록A, B, C, D, E 내에 형성시킨 모든 중공부의 크기나 모양은 일정하여야 하며, 결합시 이웃하고 있는 각 중공부(예를 들면, b1, b2, b3와 a3 그리고 c1, c2, c3와 b4 등등)의 중심점은 반드시 정사각형(점선으로 표시)의 모서리에 위치하도록 배열시킴으로써,
상단층과 하단층에 쌓인 블록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놓여진 방향이 90도씩 서로 다르게 쌓여진 벽체의 경우에도, 최상단층 블록의 중공부로부터 최하단층 블록의 중공부까지 막힘이 없이 관통되도록 한다.
따라서 벽체의 코너부위나 분기부위에서 내하중력이나 내횡력의 강화가 필요한 경우에, 벽체 시공시 블록의 중공부에 시멘트 몰타르나 철근을 삽입시켜 주거나, 벽체시공을 마친 다음에 최상단층 블록의 중공부로부터 최하단층 블록의 중공부까지 철강이나 합성수지 등의 파이프를 삽입시킴으로써, 더욱 강한 벽체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벽체설치 시공방법 및 순서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한문의 밭전(田)자 형태의 벽체설치 시공방법을 예시한 바, 각 단계의 코너부위나 분기지점부위의 "ㄱ"자 형태의 보조블록(20)이 놓여진 방향이 기존 아래 단계에 놓여있는 보조블록(20)의 방향과 직각으로 서로 다르게 배치함으로써, 서로 수직으로 설치되는 벽체면의 코너부위나 분기지점부위의 보조블록(20)이 이웃하고 있는 벽체와 교대로 번갈아서 맞물리게 되어 더욱 강한 내횡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코너부위는 물론 "T"자나 "+"자 형태의 교차부위를 필요로 하는 벽체의 경우에는, 제 1단계부터 4단계까지의 설치방법을 계속 반복하여 벽체설치를 하도록 하는 바, 각 코너부위나 교차부위에 사용되는 "ㄱ"자 형태의 보조블록(20)의 개수를 증감시키거나 놓이는 위치를 변경시킴과 동시에 각층마다 놓여지는 블록의 접속방향이 90도씩 변하도록 함으로써, 각 단마다 서로 이웃하고 있는 다른 벽체의 기본블록(10)과 교대로 번갈아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벽체면의 교차부위가 더욱 강한 내횡력을 유지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블록 세트를 이용한 벽체 시공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한문의 밭전(田)자 형태의 벽체시공이 가능함은 어떠한 형태의 벽체시공이라도 설치가 가능함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수평엇갈려쌓기 벽체 시공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기초1단의 좌측코너에 보조블록(20)이 우측의 기본블록(10)과 맞물리도록 위치시킨 다음에, 기본블록(10)을 계속 결합배치시켜 놓으며,
그 윗단의 상층2단 좌측코너부위의 대형보조블록(35)의 놓이는 방향은 기초1단의 보조블록(20)이 놓여진 방향과는 달리 시계반대방향으로 90도 돌려놓아 좌측벽체의 기본블록(10)과 맞물리도록 하며, 그 우측에 또 하나의 대형보조블록(35)의 돌출부 및 요입홈이 우측의 기본블록(10)과 맞물리도록 배치시킨 다음에 기본블록(10)을 계속 결합 배치하여 놓으며, 다음 상층3단부터는 기초1단과 상층2단을 계속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수평엇갈려쌓기 벽체가 설치되는바,
상단측 블록이 하단측의 블록과 서로 엇갈려 쌓이는 형태를 지니게 됨으로써, 종래의 일반 블록의 엇갈려쌓기와 비슷한 형태로 더욱 강화된 수평적/수직적 결속력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지닌다.
도 8은 본 발명의 블록 세트를 이용한 수평엇갈려쌓기 벽체 시공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종래의 일반 블록의 엇갈려쌓기와 비슷한 형태로 설치됨으로써, 수직으로 움직이는 지진 등에 더욱 강력히 대처할 수 있는 벽체를 제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수직엇갈려쌓기 벽체 시공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기초1단의 좌측코너부위에는 보조블록(20)이 우측의 기본블록(10)과 맞물리도록 위치시킨 다음에 하프기본블록(30)과 기본블록(10)을 계속 번갈아 배치시켜 놓으며,
그 윗단의 상층2단 좌측코너부위에 위치하는 보조블록(20)이 놓여지는 방향은 기초1단의 보조블록(20)이 놓여진 방향과는 달리 시계반대방향으로 90도 돌려놓아 좌측벽체의 기본블록(10)과 맞물리도록 하며,
그 우측으로 보조블록(20)의 돌출부 및 요입홈이 우측으로 향하도록 배치시킨 다음에, 기본블록(10)을 기초1단에 배치된 기본블록(10)의 사이사이에 끼워서 하프기본블록(30)들의 바로 위에 배치시키며,
다음 상층3단 좌측코너부위에 위치하는 보조블록(20)이 놓여지는 방향은 기초1단의 보조블록(20)이 놓여진 방향과 똑같이 우측벽체의 기본블록(10)과 맞물리도록 하고, 상층2단에서 배치시켜 놓은 기본블록(10)의 사이사이에 끼워 놓도록 하며,
다음 상층4단부터는 상층2단과 상층3단의 배치방법을 계속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수직엇갈려쌓기 벽체가 설치되는바,
좌우측에 위치하는 블록과 서로 엇갈려 쌓이는 형태를 지니게 됨으로써, 기본블록(10)의 좌우측 돌출부와 요입부가 좌우측에 각각 이웃하는 상하측블록과 반반씩 분산 결속되어, 더욱 강력한 수평적 결속력을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수직엇갈려쌓기 벽체시공 방법은 수평적 결속력 뿐만 아니라 수직적 결속력이 매우 강하여, 옹벽이나 절개지의 경사면 등의 벽체설치에도 적합할 뿐만 아니라, 설치된 벽체가 블록 자체의 수평적/수직적 결합력에 의하여 매우 양호한 평탄성을 유지하며,
도 10은 본 발명의 블록 세트를 이용한 수직엇갈려쌓기 벽체 시공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8에 제시된 수직평행쌓기 방식과 더불어 수직엇갈려쌓기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좌우측에 놓여 있는 블록간의 결속력을 높여 줄 뿐만 아니라, 상하측 블록과의 결속력도 높여주어, 더욱 강력한 수평적/수직적 결속력을 지닌 벽체를 제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블록 세트를 이용하여 창틀이 있는 벽체의 시공설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벽체의 중간에 창문을 설치하기 위한 창틀(60)을 설치하기 위하여 창틀(60)의 하단부 높이까지 기본블록(10)을 쌓고 비어있는 반쪽공간은 하프기본블록(30)으로 마감시키고, 창틀(60)의 좌측과 우측에 창틀(60)의 높이만큼 기본블록(10)을 쌓은 다음에, 이를 각각 보조블록(20)(회색으로 표시함)으로 마감시켜 창틀(60)이 들어갈 공간을 확보한 다음에, 직사각형태의 철강 파이프나 각목으로 만든 창틀(60)을 끼워넣고 좌우벽체와 고정시킨 후, 창틀(60)의 상단부는 창틀(60)의 하단부와 마찬가지로 좌우측의 블록과 연결지어 하프기본블록(30)을 이용하여 엇갈려쌓기로 마감하도록 함으로써, 창문뿐만 아니라 출입문 등 사각으로 이루어진 시설물을 매우 깨끗하고 반듯한 마감으로 설치할 수 있는 벽체를 제공한다.
본 블록은 자체적인 결합시스템에 의한 우수한 결합력에 의한 안전성과 블록간의 들쑥날쑥이 없는 자체적인 평탄성 유지라는 탁월한 장점을 지닌 블록 시스템으로서, 숙련된 전문 기능공이 아닌 일반인 누구라도 별도의 시멘트 몰타르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비교적 손쉬운 방법으로 짧은 기간 내에 매우 튼튼한 벽체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바,
특히 태풍이나 지진 등이 자주 발생하는 재난지역이나, 매우 튼튼한 건축 구조물을 필요로 하는 군시설물이나 관공서, 학교, 종교시설물 등의 벽체시공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자체적인 결합시스템에 의한 우수한 결합력과 평탄성의 장점을 살려, 해안 방파제나 경사 절개지 등의 보강벽체로 사용될 수 있는 등의 다목적 블록 시스템으로서, 전반적인 건축산업의 발전에 기여하는 바가 매우 클 것으로 전망됨.
10: 기본블록 11: 중공부
12: 상부면 13: 하부면
14: 후방면 15: 전방면
16: 좌돌출부 17: 좌요입부
18: 우요입부 19: 우돌출부
20: 보조블록 21: 중공부
22: 상부면 23: 하부면
24: 후방면 25: 전방면
26: 좌돌출부 27: 좌요입부
28: 우측면
30: 하프기본블록 31: 하프보조블록
32: 와이드기본블록 33: 와이드보조블록
34: 대형기본블록 35: 대형보조블록
36: 초대형기본블록 37: 초대형보조블록
40: 세로홈기본블록 41: 중공부
42,43: 세로홈 44: 베벨면
50: 세로홈보조블록 51: 중공부
52,53: 세로홈 54: 베벨면

Claims (1)

  1. 건축용 블록 시스템에 있어서,
    블록의 좌측면에 좌돌출부(16)와 좌요입홈(17)을
    Figure pat00016
    모양으로 형성시키고, 블록의 우측면에는 블록의 좌측면에 형성시킨 좌돌출부(16) 및 좌요입홈(17)에 대응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고안된 우요입홈(18)과 우돌출부(19)를
    Figure pat00017
    모양으로 형성시켜 구성된
    Figure pat00018
    형태의 모양을 지닌 기본블록(10)과,
    상기 기본블록(1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형성시킨 돌출부 및 요입홈을 제거하여 블록의 한쪽 면에는 요철이 전혀 없는 평평한 상태로 형성시킨
    Figure pat00019
    또는
    Figure pat00020
    형태의 모양을 지닌 보조블록(20)과,
    또한, 상기 기본블록(10)의 높이(H)를 1/2로 줄인 하프기본블록(30)으로 구성된 건축용 블록을 이용하여,
    벽체 시공시, 수평적 자동정렬뿐만 아니라 수직적 자동정렬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비숙련 초보자도 매우 쉽고 빠른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며,
    아울러, 수평/수직적 엇갈려 쌓기 시공방법을 제시하여 벽체 전체의 수평적 결속력뿐만 아니라, 수직적 결속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무몰타르 조립식 블록 시스템 및 벽체 시공방법.
KR1020130014750A 2013-02-11 2013-02-11 내진 무몰타르 조립식 블록 시스템 및 벽체 시공방법 KR101264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750A KR101264920B1 (ko) 2013-02-11 2013-02-11 내진 무몰타르 조립식 블록 시스템 및 벽체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750A KR101264920B1 (ko) 2013-02-11 2013-02-11 내진 무몰타르 조립식 블록 시스템 및 벽체 시공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748A Division KR20120020254A (ko) 2010-08-30 2010-08-30 내진 무몰타르 조립식 블록 시스템 및 벽체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419A true KR20130029419A (ko) 2013-03-22
KR101264920B1 KR101264920B1 (ko) 2013-05-15

Family

ID=48179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750A KR101264920B1 (ko) 2013-02-11 2013-02-11 내진 무몰타르 조립식 블록 시스템 및 벽체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49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87537A (zh) * 2018-05-30 2018-09-04 常州工程职业技术学院 特殊砌块结构及使用其的卡口拼装组合式砌体墙
KR102279984B1 (ko) * 2020-12-21 2021-07-20 정규완 조립식 블록
KR102567471B1 (ko) * 2023-02-28 2023-08-16 송무섭 조립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792B1 (ko) 2016-12-08 2019-12-11 김종인 다면 결합이 가능한 내진 블록 시스템 및 축조 방법
KR102086904B1 (ko) 2018-02-26 2020-03-09 (주)장성산업 내진 다면 블록 및 그를 이용한 내진 다면 블록 시스템
KR102135594B1 (ko) 2019-04-11 2020-08-26 주식회사 에코탑플러스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5Y1 (ko) 2004-12-21 2005-11-02 이원식 건축용 조립식 벽돌 세트
KR100511594B1 (ko) 2005-01-19 2005-09-02 주식회사 형제케이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티형 결속 블록 결합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87537A (zh) * 2018-05-30 2018-09-04 常州工程职业技术学院 特殊砌块结构及使用其的卡口拼装组合式砌体墙
KR102279984B1 (ko) * 2020-12-21 2021-07-20 정규완 조립식 블록
KR102567471B1 (ko) * 2023-02-28 2023-08-16 송무섭 조립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4920B1 (ko) 201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4920B1 (ko) 내진 무몰타르 조립식 블록 시스템 및 벽체 시공방법
KR20120020254A (ko) 내진 무몰타르 조립식 블록 시스템 및 벽체 시공방법
Arya et al. Guidelines for earthquake resistant non-engineered construction
US9677267B2 (en) Construction blocks and systems
JP2016520168A (ja) 石材、洪水ダム及び洪水ダムの製造方法
WO2012083391A1 (en) Grid modules and method for interlocking grids
US20150132535A1 (en) Sandwich panel, method of building such a sandwich panel, a core of such a sandwich panel, and a building built of a plurality of such sandwich panels
RU2605468C2 (ru) Модульная система сборных строительных деталей заводско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US20220251829A1 (en) Modular construction including fire-suppressing gasket
AU2013293648A1 (en) Waffle box building technology
CN100587212C (zh) 砌体-钢筋混凝土筒体结构及其施工方法
JP4976938B2 (ja) 耐震補強構造
KR101841485B1 (ko) 전통문양벽돌쌓기 구조 및 전통문양 시공 구조
CN210857493U (zh) 一种可替换式节能建筑结构
EP1592851B1 (en) Brick system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connective king-slots, for complete construction works and decoration
KR20200005819A (ko) 건축용 내진 무몰타르 조립식 중공블록
KR20190115571A (ko) 건축물의 내벽 건축을 위한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
JPH09235801A (ja) ブロック組積構造の架梁工法
KR20200020560A (ko) 내진용 벽체블록
Moles et al. Local building cultures for sustainable & resilient habitats-Examples of local good practices and technical solutions
JP5433035B2 (ja) 耐震補強構造
KR102389585B1 (ko) 내진 및 경량 구조를 갖는 한옥지붕 기와
KR100935305B1 (ko) 건축물 기초 바닥층의 전단강도 보강용 합성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결합방법
US20220178137A1 (en) Masonry block anchor system
JP3157976U (ja) 空洞部穴埋め施工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