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1628A - 다이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 Google Patents
다이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51628A KR20170051628A KR1020150151422A KR20150151422A KR20170051628A KR 20170051628 A KR20170051628 A KR 20170051628A KR 1020150151422 A KR1020150151422 A KR 1020150151422A KR 20150151422 A KR20150151422 A KR 20150151422A KR 20170051628 A KR20170051628 A KR 201700516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e block
- die
- groove
- side portion
- cor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1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other materi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지하공동구 내의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하공동구 내의 결로를 방지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서로 대칭되는 좌측부와 우측부; 및 철근과 콘크리트를 넣을 수 있는 중앙홀을 포함하는 다이블록으로, 상기 좌측부 및 우측부 각각은: 상기 다이블록이 다른 다이블럭과 결합 할 때, 외부를 향하는 밑면, 상기 다이블록이 다른 다이블럭과 결합 할 때, 다른 다이블록과 맞닿게 되는 상면, 및 상기 밑면과 상기 상면 사이에서 상기 상면 및 상기 밑면을 수직하게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은: 상기 측면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밑면에 평행한 제 2 윗면, 상기 제 2 윗면에서 연장되며, 상기 다이블록 내측으로 홈을 형성하는 홈면, 상기 홈면에서 연장되며, 상기 홈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상기 다이블록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면, 및 상기 돌출면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며, 제 2 윗면과 평행한 제 1 윗면을 포함하여, 상기 다이블록의 좌측부 상면은 다른 다이블록의 좌측부의 상면과 맞닿아 결합되고, 상기 다이블록 우측부의 상면는 또 다른 다이블록의 우측부의 상면과 맞닿아 결합되는 다이블록을 제공한다.
서로 대칭되는 좌측부와 우측부; 및 철근과 콘크리트를 넣을 수 있는 중앙홀을 포함하는 다이블록으로, 상기 좌측부 및 우측부 각각은: 상기 다이블록이 다른 다이블럭과 결합 할 때, 외부를 향하는 밑면, 상기 다이블록이 다른 다이블럭과 결합 할 때, 다른 다이블록과 맞닿게 되는 상면, 및 상기 밑면과 상기 상면 사이에서 상기 상면 및 상기 밑면을 수직하게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은: 상기 측면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밑면에 평행한 제 2 윗면, 상기 제 2 윗면에서 연장되며, 상기 다이블록 내측으로 홈을 형성하는 홈면, 상기 홈면에서 연장되며, 상기 홈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상기 다이블록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면, 및 상기 돌출면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며, 제 2 윗면과 평행한 제 1 윗면을 포함하여, 상기 다이블록의 좌측부 상면은 다른 다이블록의 좌측부의 상면과 맞닿아 결합되고, 상기 다이블록 우측부의 상면는 또 다른 다이블록의 우측부의 상면과 맞닿아 결합되는 다이블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실시예는 소형 주택 및 조립식 가옥의 벽면을 만들기 위해 조립식으로 결합하는 DIY(Do It Yourself)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부 벽체만으로는 단열, 방음 및 방습 기능을 극대화시키기 어렵다. 또한, 이러한 건축물의 외부벽체를 구성하는 블록의 경우 일반적으로 시멘트 블록이나 벽돌블록을 주로 사용한다.
다만, 시멘트블록이나 벽돌블록의 경우 무게가 무거우며, 블록의 적층 또는 결합 시에 다른 접착 수단을 이용해야 하므로, 이러한 접착수단을 사용하는 과정은 고도의 전문성을 요하므로 일반인이 스스로 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이러한 블록의 적층을 위해서는 숙련된 기술자들을 통해 진행해야 하므로, 비용 면에서도 공사비용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인건비를 들이지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건축관련 전문적인 지식이 없더라도 누구나 다이블록의 결합으로 소형주택을 지을 수 있는 다이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이러한 블록은 가볍고 단열성이 우수한 네오폴 또는 아이소핑크 같이 가벼운 소재로 레고블럭과 같이 쌓아 올라가는 건축공법으로 단열이 되고, 다이블럭 중앙에 구멍은 철근과 콘크리트를 넣을 수 있어 자연스럽게 수직형 콘크리트 기둥구조물이 형성되어 슬라브 철근과 이어져 튼튼한 철근콘크리트 단열 패시브주택을 간단히 지을 수 있는 다이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서로 대칭되는 좌측부와 우측부; 및 철근과 콘크리트를 넣을 수 있는 중앙홀을 포함하는 다이블록으로, 상기 좌측부 및 우측부 각각은: 상기 다이블록이 다른 다이블럭과 결합 할 때, 외부를 향하는 밑면, 상기 다이블록이 다른 다이블럭과 결합 할 때, 다른 다이블록과 맞닿게 되는 상면, 및 상기 밑면과 상기 상면 사이에서 상기 상면 및 상기 밑면을 수직하게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은: 상기 측면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밑면에 평행한 제 2 윗면, 상기 제 2 윗면에서 연장되며, 상기 다이블록 내측으로 홈을 형성하는 홈면, 상기 홈면에서 연장되며, 상기 홈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상기 다이블록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면, 및 상기 돌출면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며, 제 2 윗면과 평행한 제 1 윗면을 포함하여, 상기 다이블록의 좌측부 상면은 다른 다이블록의 좌측부의 상면과 맞닿아 결합되고, 상기 다이블록 우측부의 상면는 또 다른 다이블록의 우측부의 상면과 맞닿아 결합되는 다이블록을을 제공한다.
또한, 다이블록 복수개를 결합하여 형성되는 구조물의 벽면으로, 상기 다이블록 간의 결합은: 하나의 다이블록의 좌측부와 다른 하나의 다이블록의 좌측부가 맞닿아 결합되고, 상기 하나의 다이블록의 상기 우측부는 또 다른 하나의 다이블록의 우측부와 맞닿아 결합되는 방식으로 복수개의 다이블록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구조물의 벽면을 제공한다.
또한, 다이블록; 상기 다이블록을 상기 우측부와 상기 좌측부로 대칭되도록 절반으로 나눈 하프다이블록; 코너다이블록을 포함하는 구조물로, 상기 다이블록은 하나의 다이블록의 좌측부와 다른 하나의 다이블록의 좌측부가 맞닿아 결합되고, 상기 하나의 다이블록의 우측부는 또 다른 하나의 다이블록의 우측부와 맞닿아 결합되는 방식으로 복수의 다이블록이 결합하여 구조물의 벽면을 형성하고, 상기 코너다이블록은 사각형의 형태로 내부에 코너중앙홀과 외부에 4개의 면을 포함하며, 상기 4개의 면 중 수직하게 이어지는 2개의 코너면에서 상기 구조물의 벽면들과 연결되고, 상기 다이블록과 맞닿는 상기 각각의 코너면은 상기 다이블록 및 상기 하프다이블록과 맞닿으며, 상기 하프다이블록의 상기 하프홀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구조물을 둘러싸는 외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가볍고, 단열이 되는 블록으로 일반인도 용이하게 소형 주택 등을 지을 수 있어 인건비 등의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에 있어서도 별도의 접착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레고 블록과 같이 적층하는 방식으로 결합방법이 간단하고, 중앙에는 구멍을 통해 철근과 콘크리트를 넣을 수 있어 자연스럽게 수직형 콘크리트 기둥구조물이 형성되어 슬라브 철근과 이어져 튼튼한 철근콘크리트 단열 패시브주택을 간단히 지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블록의 정면도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이블록의 정면도이다.
도 2의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이블록의 정면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다이블록의 정면도이다.
도 3의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프다이블록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블록의 좌측부 간의 결합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개의 다이블록이 결합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개의 다이블록이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다이블록이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다이블록이 적층되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다이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8의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너다이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a)의 코너다이블록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블록이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b)의 코너다이블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블록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블록이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블록, 코너다이블록 및 결합블록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외벽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블록, 코너다이블록 및 결합블록을 이용하여 이용하여 구조물의 사방을 둘러싸는 외벽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블록의 정면도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이블록의 정면도이다.
도 2의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이블록의 정면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다이블록의 정면도이다.
도 3의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프다이블록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블록의 좌측부 간의 결합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개의 다이블록이 결합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개의 다이블록이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다이블록이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다이블록이 적층되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너다이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8의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너다이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a)의 코너다이블록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블록이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b)의 코너다이블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블록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블록이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블록, 코너다이블록 및 결합블록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외벽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블록, 코너다이블록 및 결합블록을 이용하여 이용하여 구조물의 사방을 둘러싸는 외벽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ⅰ), ⅱ),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다이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블록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다이블록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다이블록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블록의 좌측부 간의 결합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을 바탕으로 다이블록의 형상, 크기 및 소재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이블록(100)은 일반수요자들이 간단히 소형주택 등을 지을 수 있게 하기 위해, 무게가 가벼워 운반 및 이용의 편의성이 높은 동시에 구조물의 단열성을 확보할 수 있는 네오폴(Neopor) 또는 아이소핑크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이블록(100)은 중앙홀(130), 좌측부(110) 및 우측부(120)를 포함하며, 좌측부(110)와 우측부(120)는 서로 대칭된다. 좌측부(110)와 우측부(120)는 설명의 편의상 구분되는 것이고, 일반적으로 다이블록(100)은 좌측부(110)와 우측부(120)가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또한, 좌측부(110)와 우측부(120)는 다이블록(100)의 밑면(210)을 아래로 두었을 때, 좌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좌측부(110)로 하고, 우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우측부(120)로 한다. 이러한, 좌측부(110)와 우측부(120)는 설명의 편의상 구분한 것으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중앙홀(130)은 다이블록 중앙에 위치한 홀로써, 철근과 콘크리트를 넣을 수 있으며, 중앙홀(130) 내부에 철근(540;도 5참조)과 콘크리트(550;도 5참조)를 넣으면 자연스럽게 수직형 콘크리트 기둥구조물이 형성되어 슬라브 철근과 이어질수 있다.
중앙홀(130)은 다이블록 내부에서 철근과 콘크리트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태는 도 1 과 같이 모서리부분이 만곡된 사각형의 형태이거나 도 2의 (a)와 같이 넓적한 반원형태일 수 있다. 또한, 도 2의 (b)와 같이 동일한 크기의 사다리꼴 2개의 윗변을 서로포개어 놓은 것과 같은 형태일 수도 있다.
다이블록(100)의 좌측부(110)와 우측부(120)는 각각 밑면(210), 측면(220) 및 상면(230)을 포함한다. 상면(230)은 제 1 윗면(270) 및 제 2 윗면(240)을 포함하고, 제 1 윗면(270)과 제 2 윗면(240) 사이에 돌출면(260) 및 홈면(250)을 더 포함한다.
밑면(201)은 다이블록들이 결합했을 때, 외부를 향하는 면으로 구조물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을 향하는 면이다. 좌측부(110)의 밑면(210)과 우측부(120)의 밑면(210)은 일단에서 서로 이어지고, 타단에서는 수직하게 절곡되어 측면(220)으로 연장된다.
좌측부(110)의 밑면(210)과 우측부(120)의 밑면(210)이 만나는 지점에서 사각홈(2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각홈(280)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블록(100) 내측으로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홈이다.
다이블록의 소재는 네오폴(Neopor) 또는 아이소핑크와 같은 스티로폼 소재로써, 스티로폼에 못을 박을 수 없어 다이블록(100)의 사각홈(280)에 목상구조재를 끼워서 마감재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측면(220)의 경우 상면(230)의 제 2 윗면(240)과 밑면(210)을 수직하게 연결하는 면이다. 측면의 길이는 밑면(210)에서부터 제 2 윗면(240)까지의 수직한 길이(m)와 같으며, 밑면(210)에서부터 제 2 윗면(240)까지의 수직한 길이(m)는 밑면의 길이(b)와의 관계에서 사이의 길이에 해당한다.
제 2 윗면(240)의 일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측면(220)과 연결되고, 타단은 홈면(250)으로 이어진다. 홈면(250)은 부채꼴 형상으로 다이블록(100) 내측으로 형성된다.
홈면(250)은 제 1 홈면(252), 제 2 홈면(256) 및 제 1 원호면(254)을 포함하며, 제 1 홈면(252) 및 제2 홈면(256)은 직선면이고, 제 1 원호면(254)은 곡선면이다. 제 1 홈면(252)의 일단에서는 제 2 윗면(240)과 연결되고, 타단에서는 제 1 원호면(254)과 연결된다.
제 1 홈면(252)은 제 2 윗면(240)에서 다이블록(100)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며, 제 2 윗면(240)과 제 1 홈면(252)이 형성하는 각도(θ1)는 70°~90°정도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다이블록(100)들이 서로 결합되었을 때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 1 원호면(254)은 제 1 홈면(252)의 타단에서 제 2 윗면(240)과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다이블록의 내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며, 제 1 윗면(270)과 제 2 윗면(240)의 중간의 위치에서 측면(220)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 2 홈면(256)으로 연장된다.
제 2 홈면(256)은 제 2 윗면(240)과 평행하게 형성된 면으로, 동일한 다이블록들이 서로 결합하기 위해 제 2 홈면(256)에서 제 2 윗면(240)으로 수직한 길이(c) 제 2 홈면(256)에서 제 1 윗면(270)으로 수직한 길이(c’)와 동일하다.
홈면(250)와 돌출면(260)는 서로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두개의 다이블록이 결합될 때, 하나의 다이블록의 돌출면(260)이 다른하나의 다이블록의 홈면(250)에 맞닿게 된다. 돌출면(260)는 제 1 돌출면(262), 제 2 돌출면(266) 및 제 2 원호면(264)을 포함하며, 제 1 돌출면(262)과 제 2 돌출면(266)은 직선면이고, 제 2 원호면(264)은 곡선면이다.
제 1 돌출면(262)은 제 2 홈면(256)과 동일한 면이다. 제 2 원호면(264)은 제 1 돌출면(262)의 타단에서 절곡되어 다이블록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며, 제 1 원호면(254)과 동일한 길이 및 곡률을 갖는다. 제 2 돌출면(266)은 제 2 원호면(264)에서 밑면(210) 방향으로 절곡되며, 제 1 홈면(252)과 평행한 면으로, 제 1 윗면(270)과 만나 (θ2) 각도를 형성한다.
제 2 돌출면(266)과 제 1 윗면(270)이 형성하는 각도(θ2)도는 70°~90°정도로 함이 바람직하고, 이는 다이블록간 결합되었을 때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 1 윗면(270)과 제 2 윗면(240)이 평행한 면이고, 제 1 홈면(252)과 제 2 돌출면(266)이 평행한 면이므로, 제 2 윗면(240)과 제 1 홈면(252)이 형성하는 각(θ1)과 제 2 돌출면(266)과 제 1 윗면(270)이 형성하는 각(θ2)은 동일하다. 이는 2개 이상의 동일한 다이블록(100)들이 서로 결합되게 하기 위함이다.
제 1 윗면(270)은 제 2 윗면(240) 및 밑면(210)과 평행한 면으로, 제 1 윗면(270)의 길이(d)는 제 2 윗면(240)의 길이(f)와 동일하고, 밑면(210)에서부터 제 1 윗면(270)까지의 수직한 거리(n)는 밑면(210)의 길이(b)와의 관계에서 사이의 길이에 해당한다.
다이블록(100)의 좌측부(110)와 우측부(120)는 대칭되면서 서로 이어져 있으므로 좌측부(110)의 제 1 윗면은 우측부(120)의 제 1 윗면으로 이어지고, 좌측부(110) 밑면은 우측부(120)의 밑면으로 이어진다.
또한, 밑면(210)에서부터 제 1 윗면(270)까지의 수직한 거리(n)와 밑면(210)에서부터 제 2 윗면(240)까지의 수직한 거리(m)의 합은 밑면의 길이(b)와 동일하므로(m + n = b), 도 4에서와 같이 2개의 다이블록(100)이 결합되었을 때, 결합된 하나의 다이블록의 밑면(210)에서 결합된 다른 하나의 다이블록의 밑면(210)까지 수직 거리(h)는 밑면의 길이(b)와 같아 정사각형을 이룬다.
다이블록은 일반적으로 좌측부(110)와 우측부(120)가 결합된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좌측부(110)와 우측부(120)가 나뉘어진 형태인 하프다이블록(300)의 사용도 가능하다. 다이블록(100)이 코너다이블록(800; 도 8 참조)과 결합되는 부분에서는 도 3과 같은 하프다이블록(300)의 사용이 필요하다.
이렇게 다이블록(100)을 절반으로 나눈 하프다이블록(300)은 절단된 단면인 중앙면(310)과 중앙홀(130)의 절반에 해당하는 하프홀(32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다이블록(100)의 바람직한 크기 비율에 대해 설명한다.
다이블록(100)의 크기의 비율은 우측부의 밑면 또는 좌측부의 밑면의 길이(b)와 벽두께에 해당하는 제 1 다이블록의 밑면(210)에서 제 2 다이블록의 밑면(210)까지의 수직거리(h)의 비율은 1:1의 비율이 된다. 다이블록 간의 연속적인 결합을 위함이다.
반면의 다이블록의 높이(g)는 안정적으로 다이블록을 세우기 위해 다이블록의 밑면의 길이(b)의 1.5배~2배의 길이로 함이 바람직하다. 다이블록의 높이(g)가 밑면의 길이(b)에 비해 너무 높으면, 다이블록이 안정적이지 않게 되고, 다이블록의 높이가 너무 낮으면, 이하에서 설명할 적층되는 다이블록 간의 결합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개의 다이블록이 결합한 상태의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다이블록이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다이블록이 적층되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바탕으로 아래에서는 다이블록 간의 수평적 결합 및 수직적 결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다이블록은 하나의 다이블록 우측부(120) 또는 좌측부(110)의 상부면(230)이 다른 하나의 다이블록 우측부(120) 또는 좌측부(110)의 상부면(230)과 맞닿도록 결합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다이블록(510) 좌측부(110)의 제 1 윗면(270)이 제 2 다이블록(520) 좌측부(110)의 제 2 윗면(240)과 맞닿고, 제 1 다이블록(510) 좌측부(110)의 돌출면(260)이 제 2 다이블록(520) 좌측부(110)의 홈면(250)과 맞닿는다. 또한, 제 1 다이블록(510) 좌측부(110)의 홈면(250)은 제 2 다이블록(520) 좌측부(110)의 돌출면(260)과 제 1 다이블록(510) 좌측부(110)의 제 2 윗면(240)은 제 2 다이블록(520) 좌측부(110)의 제 1 윗면(270)과 맞닿게 된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제 1 다이블록(510) 우측부(120)도 제 3 다이블록(530)과 결합할 수 있으며, 같은 방식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다이블록이 일직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이블록 간의 결합은 구조물의 벽면을 이루게 된다.
다이블록 간 결합시 제 2 윗면(240)과 제 1 홈면(252)이 형성하는 각도(θ1)는 70°~90°이고, 제 2 돌출면(266)과 제 1 윗면(270)이 형성하는 각도(θ2)도는 70°~90°이므로, 다이블록이 서로 결합되면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는다.
다이블록을 결합하는 방식에 있어서, 동일한 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다이블록을 적층하면서 결합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다이블록의 상부측(570)과 제 2 및 제 3 다이블록의 하부측(560)이 맞닿도록 결합한다.
이 경우 다이블록의 상부측(570)은 다이블록 높이의 절반 윗부분으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이블록의 하부측(560)은 다이블록 높이의 절반 아랫부분으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다이블록의 상부측(570) 및 하부측(560) 모두가 제 2 및 제3 다이블록의 상부측(570) 및 하부측(560) 모두와 맞닿게 되면, 다이블록 적층 시 상 하부의 다이블록 간을 접착하거나 고정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 또는 수단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다이블록의 상부측(570)과 다른 하나의 다이블록의 하부측(560)을 맞닿는 방식으로 다이블록을 적층하면, 별도의 접착이나 고정을 위한 장치 등이 없이도 다이블록을 안정적으로 적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적층하면, 도 7과 같이 구조물의 바닥부분과 상단부분에는 구조물의 벽면이 지면과 편평하도록, 적층되어지는 다이블록 높이의 절반의 높이를 가지는 쇼트다이블록(700)이 필요하며, 이러한 쇼트다이블록(700)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벽면의 상부와 하부를 편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다이블록을 적층한 이후 또는 도 5의 (b)와 같이 다이블록(100)을 적층하는 과정에서 중앙홀(130)에 철근 및 콘크리트를 넣어 구조물의 외벽을 더욱 튼튼하게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코너다이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a)의 코너다이블록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블록이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b)의 코너다이블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블록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블록이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이블록 간의 연속적인 결합은 구조물의 일측의 벽면을 형성할 수 있으나, 일측의 벽면과 타측의 벽면이 만나는 가장자리의 절곡되는 부분에서도 계속적으로 다이블록을 이어지도록 하기 위해 코너다이블록(800)을 더 이용할 수 있다.
코너다이블록(800)은 사각형의 형태로 내부에 코너중앙홀(810)을 포함하며, 코너중앙홀(810)은 다이블록(100)의 중앙홀(130)과 유사하게 철근(540)과 콘크리드(550)를 넣어 수직형 콘크리트 기둥구조물을 형성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코너다이블록(800)의 외부는 4개의 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이어지는 제 1 코너면(820a)과 제 2 코너면(820b)에서 다이블록과 맞닿는다.
코너다이블록(800)의 제 1 및 제 2 코너면(820a, 820b) 각각은 다이블록(100)과 하프다이블록(300)에 맞닿게 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다이블록(800)의 제 1 및 제 2 코너면(820a, 820b) 각각에는 다이블록(100)의 측면(220)과 하프다이블록(300)의 중앙면(310)이 맞닿게 된다.
코너다이블록(800)의 경우도 제 1 코너면(820a)과 제 2 코너면(820b)에 코너사각홈(8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사각홈(850)은 다이블록(100)의 사각홈(280)과 동일한 기능을 위해 제 1 코너면(820a)과 제 2 코너면(820b) 각각이 서로 만나지 않는 가장자리에서 사각기둥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이때,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다이블록(800)의 제 1 코너면(820a)과 제 2 코너면(820b)에는 돌출부(830)를 포함할 수 있고, 돌출부(830)는 하프홀(320)에 대응하는 형태 및 크기로 제작되어 서로 결합된다.
반면에,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다이블록(800)과 하프다이블록(300)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코너다이블록(800)의 제 1 코너면(820a)과 제 2 코너면(820b)에 코너다이블록(800) 내측으로 형성된 홈부(840)를 포함할 수 있다.
홈부(840)는 사다리꼴 형태로 제 1 코너면(820a)과 제 2 코너면(820b) 상이 길이가 짧은 사다리꼴의 윗변이 위치하고 보조다이블록(800) 내부에 길이가 긴 사다리꼴의 아랫변이 위치한다.
코너다이블록(800)의 제 1 코너면(820a) 또는 제 2 코너면(820b)과 맞닿는 하프다이블록(300)의 하프홀(320)의 형태도 하프다이블록(300) 내측으로 형성된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며, 길이가 짧은 사다리꼴의 윗변이 중앙면(310)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길이가 긴 사다리꼴의 아랫변이 하프다이블록(300) 내측에 위치한다.
하프다이블록(300)의 하프홀(320)과 코너다이블록(800)의 홈부(840)는 서로 맞닿아 나비모양의 홀을 구성한다.
이 경우 코너다이블록(800)과 하프다이블록(300)을 결합 및 고정하기 위해 결합블록(10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블록(1010)의 형태는 두개의 사다리꼴의 윗변이 겹쳐진 형태로 코너다이블록(800)의 사다리꼴 형태의 홈부(840) 및 하프다이블록(300)의 하프홀(320)의 사다리꼴 형태에 모두 대응하는 형태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이블록(100), 하프다이블록(300) 및 코너다이블록(800)을 이용하여 도 11과 같은 구조물의 외벽을 설치할 수 있고, 나아가, 도 12과 같이 구조물의 전면을 둘러싸는 외벽을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다이블록
110 : 좌측부
120 :우측부 130 : 중앙홀
210 : 밑면 220 : 측면
230 : 상면 300 : 하프다이블록
800 : 코너다이블록 810 : 코너중앙홀
120 :우측부 130 : 중앙홀
210 : 밑면 220 : 측면
230 : 상면 300 : 하프다이블록
800 : 코너다이블록 810 : 코너중앙홀
Claims (17)
- 서로 대칭되는 좌측부와 우측부; 및
철근과 콘크리트를 넣을 수 있는 중앙홀을 포함하는 다이블록으로,
상기 좌측부 및 우측부 각각은:
상기 다이블록이 다른 다이블럭과 결합 할 때, 외부를 향하는 밑면,
상기 다이블록이 다른 다이블럭과 결합 할 때, 다른 다이블록과 맞닿게 되는 상면, 및
상기 밑면과 상기 상면 사이에서 상기 상면 및 상기 밑면을 수직하게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은:
상기 측면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밑면에 평행한 제 2 윗면,
상기 제 2 윗면에서 연장되며, 상기 다이블록 내측으로 홈을 형성하는 홈면,
상기 홈면에서 연장되며, 상기 홈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상기 다이블록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면, 및
상기 돌출면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며, 제 2 윗면과 평행한 제 1 윗면을 포함하여,
상기 다이블록의 좌측부 상면은 다른 다이블록의 좌측부의 상면과 맞닿아 결합되고, 상기 다이블록 우측부의 상면는 또 다른 다이블록의 우측부의 상면과 맞닿아 결합되는 다이블록.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부의 밑면과 상기 우측부의 밑면이 만나는 지점에서 사각홈을 더 포함하는 다이블록.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블록은 네오폴 또는 아이소핑크 소재로 이루어지는 다이블록.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홈면은:
제 1 홈면; 제 2 홈면; 및 제 1 원호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홈면은 상기 제 2 윗면에서 상기 다이블록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직선면이고,
상기 제 1 원호면은 상기 제 1 홈면에서 상기 제 2 윗면과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다이블록 내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고,
상기 제 2 홈면은 상기 제 1 원호면에서 상기 측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직선면으로, 상기 제 2 윗면과 평행하며,
상기 돌출면은:
제 1 돌출면; 제 2 돌출면 및 제 2 원호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출면은 상기 제 2 홈면과 동일한 직선면이며,
상기 제 2 원호면은 상기 제 1 돌출면에서 상기 밑면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다이블록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고,
상기 제 2 돌출면은 상기 제 1 홈면에 평행한 직선면으로, 상기 제 2 원호면에서 상기 다이블록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제 1 윗면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블록.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윗면과 상기 제 1 홈면이 형성하는 각도(θ1)는 70°내지 90°이며, 이러한 각도(θ1)는 상기 제 2 돌출면과 상기 제 1 윗면이 형성하는 각도(θ2)도와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블록.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홀은 모서리부분이 만곡된 사각형의 형태, 넓적한 반원형태 또는 동일한 크기의 사다리꼴 2개의 윗변을 서로 포개어 놓은 것과 같은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블록. - 제 1항 내지 제 7항의 다이블록 복수개를 결합하여 형성되는 구조물의 벽면으로,
상기 다이블록 간의 결합은:
하나의 다이블록의 좌측부와 다른 하나의 다이블록의 좌측부가 맞닿아 결합되고,
상기 하나의 다이블록의 상기 우측부는 또 다른 하나의 다이블록의 우측부와 맞닿아 결합되는 방식으로
복수개의 다이블록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구조물의 벽면.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다이블록의 좌측부와 상기 다른하나의 다이블록의 좌측부가 맞닿는 부분은:
상기 하나의 다이블록 좌측부의 제 1 윗면과 상기 다른 하나의 다이블록의 좌측부의 제 2 윗면;
상기 하나의 다이블록 좌측부의 돌출면과 상기 다른 하나의 다이블록의 좌측부의 홈면;
상기 하나의 다이블록 좌측부의 홈면과 상기 다른 하나의 다이블록의 좌측부의 돌출면; 및
상기 하나의 다이블록 좌측부의 제 2 윗면과 상기 다른 하나의 다이블록의 좌측부의 제 1 윗면에서 맞닿고,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하나의 다이블록의 상기 우측부와 상기 또 다른 하나의 다이블록의 우측부와 맞닿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다이블록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구조물의 벽면.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다이블록의 상부측과 상기 다른 하나의 다이블록 및 상기 또다른 하나의 다이블록의 하부측이 맞닿도록 결합하는 방식으로 복수개의 다이블록을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다이블록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구조물의 벽면.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벽면의 바닥부분과 상단부분이 지면과 편평하도록, 상기 다이블록 높이의 절반 높이를 갖는 쇼트다이블록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벽면.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블록의 상기 중앙홀에 콘크리트와 철근을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벽면. - 제 1항 내지 제 7항의 다이블록;
상기 다이블록을 상기 우측부와 상기 좌측부로 대칭되도록 절반으로 나눈 하프다이블록;
코너다이블록을 포함하는 구조물로,
상기 다이블록은 하나의 다이블록의 좌측부와 다른 하나의 다이블록의 좌측부가 맞닿아 결합되고, 상기 하나의 다이블록의 우측부는 또 다른 하나의 다이블록의 우측부와 맞닿아 결합되는 방식으로 복수의 다이블록이 결합하여 구조물의 벽면을 형성하고,
상기 코너다이블록은 사각형의 형태로 내부에 코너중앙홀과 외부에 4개의 면을 포함하며, 상기 4개의 면 중 수직하게 이어지는 2개의 코너면에서 상기 구조물의 벽면들과 연결되고,
상기 다이블록과 맞닿는 상기 각각의 코너면은 상기 다이블록 및 상기 하프다이블록과 맞닿으며, 상기 하프다이블록의 상기 하프홀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구조물을 둘러싸는 외벽.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블록과 맞닿는 상기 각각의 코너면은 상기 각각의 코너면이 서로 만나지 않는 가장자리에서 사각기둥 형태의 코너사각홈을 더 포함하는 구조물을 둘러싸는 외벽.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다이블록의 하프홀의 형태는 다이블록 내측으로 형성된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고,
상기 다이블록과 맞닿는 상기 각각의 코너면은 돌출부 대신에 코너다이블록 내측으로 형성된 사다리꼴형태의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프홀과 홈부는 서로 맞닿아 나비모양의 홀을 구성하고,
상기 코너다이블록과 상기 하프다이블록을 결합 및 고정하기 위해 결합블록을 더 포함하는 구조물을 둘러싸는 외벽.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을 둘러싸는 외벽의 바닥부분과 상단부분이 지면과 편평하도록, 상기 다이블록 높이의 절반 높이를 갖는 쇼트다이블록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을 둘러싸는 외벽.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블록의 상기 중앙홀과 상기 코너다이블록의 상기 코너중앙홀에 콘크리트와 철근을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을 둘러싸는 외벽.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1422A KR20170051628A (ko) | 2015-10-29 | 2015-10-29 | 다이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1422A KR20170051628A (ko) | 2015-10-29 | 2015-10-29 | 다이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1628A true KR20170051628A (ko) | 2017-05-12 |
Family
ID=58740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51422A KR20170051628A (ko) | 2015-10-29 | 2015-10-29 | 다이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51628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401222A (zh) * | 2017-08-25 | 2017-11-28 | 么恩刚 | 一种房屋建材模块拼装构件 |
CN114412054A (zh) * | 2022-02-24 | 2022-04-29 | 黄道辉 | 高叠合砌块设计方法 |
KR102567471B1 (ko) * | 2023-02-28 | 2023-08-16 | 송무섭 | 조립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
-
2015
- 2015-10-29 KR KR1020150151422A patent/KR20170051628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401222A (zh) * | 2017-08-25 | 2017-11-28 | 么恩刚 | 一种房屋建材模块拼装构件 |
CN114412054A (zh) * | 2022-02-24 | 2022-04-29 | 黄道辉 | 高叠合砌块设计方法 |
KR102567471B1 (ko) * | 2023-02-28 | 2023-08-16 | 송무섭 | 조립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997203B1 (en) | Modular structural system | |
US7703248B2 (en) | Hollow interconnecting panels as lost formwork | |
US8381468B2 (en) | Modular building structure | |
KR101705260B1 (ko) | 모듈러건축물의 코아구조물과 모듈러구조물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101691690B1 (ko) | 벽돌 조적용 연결구 | |
US9021762B1 (en) | Interlocking concrete blocks with trapezoidal shape | |
AU2002328693A1 (en) | Hollow interconnecting panels as lost formwork | |
KR20170051628A (ko) | 다이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 |
WO2018016227A1 (ja) |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 |
KR101026077B1 (ko) |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 | |
TW200422497A (en) | Stacking constructive system wall | |
KR101884846B1 (ko) | 샌드위치 패널 및 이의 결합 방법 | |
KR101307027B1 (ko) | 지지 부재 조립체 | |
CN210658733U (zh) | 一种建筑装配式预制板 | |
KR102060278B1 (ko) |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 | |
KR101409231B1 (ko) | 유닛구조체용 cft 기둥, 유닛구조체용 cft 기둥과 다이아프램을 이용한 철골구조물 | |
JP2008138437A (ja) | 建築用型枠の施工方法、断熱型枠およびアッセンブリタイ | |
US5687530A (en) | Composite building unit | |
JP2016199989A (ja) | 三面連結金具 | |
KR101021514B1 (ko) |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식 시공 방법 | |
JP4831781B2 (ja) | 内外装下地部材兼用型枠断熱パネル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建設工法 | |
US12084858B2 (en) | Concrete form assembly | |
US11668089B2 (en) | Concrete form assembly | |
US12044018B2 (en) | Concrete form assembly | |
US12104375B2 (en) | Concrete form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