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027B1 - 지지 부재 조립체 - Google Patents

지지 부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7027B1
KR101307027B1 KR1020087008972A KR20087008972A KR101307027B1 KR 101307027 B1 KR101307027 B1 KR 101307027B1 KR 1020087008972 A KR1020087008972 A KR 1020087008972A KR 20087008972 A KR20087008972 A KR 20087008972A KR 101307027 B1 KR101307027 B1 KR 101307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member assembly
slots
elongate
stiff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8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7278A (ko
Inventor
위 벵 엔지
게리 도날드 와트
Original Assignee
다인텍 피티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인텍 피티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인텍 피티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57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58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62Cross connections
    • E04B2/765Cross connections with one continuous profile, the perpendicular one being interrup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 E04B2/7809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of single or multiple tubular form
    • E04B2/781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of single or multiple tubular form of substantially rectangular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1/58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 E04B1/583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of substantially rectangular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 Pallet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지지 부재 시스템(100)이 개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100)은 유효 길이를 가진 기다란 지지 부재(102, 103)와, 기다란 지지 부재(102, 103)중 일 단부와 맞물려서 부재의 유효 길이를 연장시키도록 배열된 기다란 부재 맞물림 부분(130, 135)과, 지지체(8, 9)와 맞물리기 위한 기부 부분(110)을 포함한다. 기부 부분(110)은 이 기부 부분(110)을 기다란 부재 맞물림 부분(130, 135)에 또는 기다란 지지 부재(102, 103)에 분리 가능하게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수단(114, 116)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지 부재 조립체{A SUPPORT MEMBER ASSEMBLY}
본 발명은 지지 부재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특히 벽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벽돌과, 콘크리트 블록과 같은 다른 건축 또는 구조 블록으로 축조된 벽은 벽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추가의 지지체가 필요 없이 축조될 수 있는 최대 길이 및 높이를 갖고 있다. 종래에, 벽돌 벽은 벽을 지지하기 위해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양자에서 벽돌 벽을 따라 간격을 두고 콘크리트 지지체를 세움으로써 지지되고 있었다. 벽돌이 콘크리트 지지체에 기계적으로 고정될 필요가 있을 경우, 종래에 금속 로드를 사용하여 실시하고 있으며, 이 금속 로드는 벽돌 벽의 모르타르 조인트에 그리고 콘크리트 지지체에 고정되어 벽돌 벽을 콘크리트 지지체에 고정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의 단점중 하나는, 콘크리트 지지체의 구조 및 사용이 시간을 소비하며 노동력을 낭비한다는 것이다. 콘크리트 지지체를 형성하기 위해서, 콘크리트가 부어지는 체적을 밀폐하기 위한 셔터링(shuttering)을 축조할 필요가 있다. 셔터링은 통상적으로 목재 보드로 축조되며, 셔터링을 축조하기 위해서 목수의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셔터링의 축조 동안에, 벽돌 벽을 콘크리 트 지지체에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금속 로드를 셔터링의 측벽을 통해 삽입하여, 금속 로드가 셔터링 외부로 그리고 콘크리트가 부어지는 셔터링의 내부 체적내로 연장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필요할 때 금속 로드를 굽히고 설치하기 위한 철을 구부리는 사람의 노력이 필요하다.
셔터링이 완료되고 금속 로드가 삽입된 후에, 다음에 콘크리트가 셔터링내로 부어지고, 셔터링이 제거되기 전에 굳게 해야 한다. 셔터링이 제거되는 경우, 금속 로드는 콘크리트에 접착되어 있고, 벽돌 벽은 금속 로드에 의해 콘크리트 지지체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지지체를 이용하는 벽돌 벽을 지지하는 종래의 방법은 시간 소비적이며, 노동력이 비싸며, 벽 자체를 축조하기 위한 벽돌 층에 추가해서 3명의 상이한 숙련공(목수, 구부리는 사람 및 콘크리트를 붇는 사람)의 노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중 적어도 하나를 완화시키고 및/또는 일반 사람들에게 유용한 선택권을 제공하는 지지 부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 부재 조립체에 있어서, 유효 길이(an effective length)를 가진 기다란 지지 부재(an elongate support member)와, 기다란 지지 부재의 일 단부와 결합하도록 배열되어 지지 부재의 유효 길이를 연장시키는 기다란 부재 맞물림 부분과, 기다란 부재 맞물림 부분 또는 기다란 지지 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기부 부분을 포함하는 지지 부재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술한 실시예의 장점은, 조립체의 부품, 즉 기다란 지지 부재, 기다란 부재 맞물림 부분 및 기부 부분이 별개로 제조될 수 있고, 현장에서 조립될 수 있어서 생산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또한, 각 부품은 유사한 부품을 함께 포장할 수 있어서 공간을 감소시키고 운반이 보다 용이하다. 현장에서, 사용자는, 기부 부분이 기다란 부재 맞물림 부분에 또는 기다란 지지 부재에 직접 연결될 것인 가에 대한 디자인 요구조건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결합 수단은 기다란 부재 맞물림 부분에만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기다란 부재 및 기다란 맞물림 부분은 각각 사용시에 지지될 벽의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된 측벽을 구비할 수 있다. 각 측벽은 이 측벽에 타이 부재가 장착될 수 있게 하는 다수의 맞물림 수단을 포함하며, 타이 부재는 지지될 벽과 맞물리도록 측벽으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다수의 맞물림 수단은 기다란 부재 및 기다란 부재 맞물림 부분의 측벽을 따라 별개 위치에 마련되며, 이에 의해 타이 부재의 위치는 조정 가능하다.
맞물림 수단은 기다란 부재 및/또는 기다란 부재 맞물림 부분의 대향 측벽에 마련된다. 선택적으로, 맞물림 수단은 기다란 부재 및/또는 기다란 부재 맞물림 부분의 모든 4개 측벽에 마련된다.
맞물림 수단은 슬롯을 포함하며, 슬롯은 길고, 슬롯은 슬롯의 종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각 슬롯의 개구부는 타이 부재가 측벽상에 장착되게 하며, 타이 부재는 지지될 벽과 맞물리도록 측벽으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을 구비한다.
슬롯은 기다란 지지 부재 및 기다란 지지 부재 맞물림 부분의 종축을 따라 적어도 2개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을 따라 배열되며, 하나의 축을 따르는 슬롯의 개구부는 다른 축을 따르는 슬롯의 개구부에 대향된 방향으로 향해 있으며, 양 개구부의 방향은 기다란 지지 부재 및 기다란 지지 부재 맞물림 부분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바람직하게, 각 슬롯은 슬롯의 개구부의 방향에 대향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오목부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2개의 오목부는 슬롯중 하나의 개구부와 동일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하나의 축을 따르는 슬롯은 다른 축을 따르는 인접한 슬롯으로부터 편향되어 있으며, 그로 인해 슬롯의 개구부는 서로 정렬되지 않다.
바람직하게, 하나의 슬롯의 오목부는 편향에도 불구하고 인접한 슬롯의 오목부와 정렬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각 슬롯의 위치는 기다란 부재 또는 기다란 부재 맞물림 부분을 필요한 길이로 선택적으로 절단하기 위한 가이드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기다란 부재 또는 기다란 부재 맞물림 부분이 절단 가이드에 따라 절단되는 경우, 인접한 슬롯의 정렬된 오목부는 기부 부분의 연결 수단에 의해 결합 가능하도록 배열된다.
바람직하게, 결합 수단은 슬롯의 오목부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배열된 돌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결합 수단은 각각 정렬된 오목부와 결합하도록 배열된 돌기를 포함한다.
돌기는 대체로 L자형 돌기를 형성하도록 각져 있다. 바람직하게, 2개의 돌기 쌍이 있으며, 그중 한쌍이 다른 쌍보다 길다. 하나의 돌기 쌍은 기다란 지지 부재의 하나의 측벽과 결합하도록 배열되어 있으며, 다른 돌기 쌍은 기다란 지지 부재의 대향 측벽과 결합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하나의 돌기 쌍은 기다란 부재 맞물림 부분의 하나의 측벽과 결합하도록 배열되어 있으며, 다른 돌기 쌍은 기다란 부재 맞물림 부분의 대향 측벽과 결합하도록 배열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기부 부분은, 기다란 지지 부재 또는 기다란 부재 맞물림 부분의 측벽에 대해 접촉해서 한 방향을 따르는 이동을 제한하도록 배열된 스토퍼를 포함한다.
기부 부분은 지지 구조체와 맞물리도록 배열되어 있다. 적용에 따라서, 기부 부분은 굽은 가장자리를 포함한다.
기부 부분은 기다란 지지 부재와 맞물리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적용에 있어서, 기부 부분은 기다란 부재중 하나의 측벽에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 부품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지지 부재 맞물림 부분은 기다란 부재의 양 단부와 맞물림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 부재 시스템의 일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스티프너를 갖는 지지 부재 시스템에 의해 지지된 벽돌 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벽 부분이 없는 도 1의 지지 부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수직방향 스티프너의 맞물림 수단의 구조물을 도시하는 것으로 도 2의 영역(A)의 확대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지지 부재 시스템에 사용된 기부 플레이트의 확대 분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의 기부 플레이트가 도 2의 수직방향 스티프너에 어떻게 연결되는 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기부 플레이트가 도 2의 수직방향 스티프너에 어떻게 분리 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가를 도시하는 확대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수평방향 스티프너에 사용하기 위한 측면 기부 플레이트의 확대 분해도이다.
도 8은 다른 벽 구조물을 지지하는데 사용된 본 발명의 지지 부재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특수 사양용의 수직방향 스티프너에 사용하기 위한 코너 기부 플레이트의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타이 부재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7의 측면 기부 플레이트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측면 기부 플레이트 변형예의 적용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타이 부재의 변형예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측면 기부 플레이트 변형예의 다른 적용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 시스템(100)에 의해 지지된 벽(1)의 부품을 도시한 것이다. 지지 부재 시스템(100)은 다수의 기다란 부재(101)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들 다수의 기다란 부재(101)는 기다란 지지 부재 또는 수직방향 스티프너(102)(단지 하나만 도시됨)와, 이 수직방향 스티프너(102)를 상호연결하는 기다란 지지 부재 또는 수평방향 스티프너(103)로서 배열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 스티프너(102)는 벽(1)의 3개 부분(4, 5, 6)을 지지하며, 수직방향 스티프너(102) 및 수평방향 스티프너(103)에 각각 인접한 부분(4, 5, 6)의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가장자리는 스티프너(102, 103)의 측면상에 형성된 맞물림 수단(120)과 맞물림 가능한 다수의 타이(7)[도 1에서 단지 하나의 타이 부재(7)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타이 부재에 맞물리는 벽 부분은 타이 부재를 명료하게 도시하게 위해서 제거되어 있다]에 의해 각 스티프너(102, 103)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수직방향 스티프너(102)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각각은 상부 지지체(8)에 그리고 하부 지지체(9)에 각각 기부 플레이트(11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수평방향 스티프너(103)의 각 단부는 수직방향 스티프너(102)의 측면에 기부 플레이트(11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지지 부재 시스템(100)은 스티프너(102, 103)의 단부와 맞물려서 스티프너의 유효 길이를 연장시키기 위한 슬리브 부재(130, 135) 형태의 기다란 부재 맞물림 부분(130, 135)을 포함한다.
또한, 지지 부재 시스템(100)은 기부 부분을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기부 부분은 도 1의 상부 지지체(8) 또는 하부 지지체(9)와, 또는 측면 기부 플레이트(111)의 경우에 수평방향 스티프너(103)로 사용되는 수직방향 스티프너(102)와 맞물리도록 배치된 기부 플레이트(110, 111)의 형태이다.
기계적인 잠금장치는 기부 플레이트(110)를 통해 삽입되어, 기부 플레이트(110)를 상부 지지체(8)의 하부측 및 하부 지지체(9)의 상부측에 부착시킨다. 바람직하게, 기계적인 잠금장치는 분말작동식 잠금장치이지만, 선택적으로 못, 벽돌쌓기용 못 또는 앵커 볼트와 같은 모든 형태의 적당한 잠금장치일 수 있다. 잠금장치가 분말작동식이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면, 잠금장치용 구멍이 기부 플레이트(110)에 사전에 드릴가공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스티프너(102, 103)의 각각은 사전-용융아연도금 강판(sheets of pre-galvnaized steel)으로 롤-포밍에 의해 제조되며, 강판의 가장자리에 레이저 용접되어 중공 박스 부품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스티프너가 2개의 별개의 사출성형품으로 형성되는 경우 보다 제조 시간을 단축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스티프너(102, 103)는 일반적으로 동일하며, 그에 따라 방향이 어느 쪽이든지 스티프너(102, 103)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벽(1) 및 지지면(8, 9)이 도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도 1의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스티프너는 4개의 측면을 구비하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스티프너(102, 103)의 대향 측벽(102a, 102b, 103a, 103b)중 2개는 다수의 맞물림 수단을 구비하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맞물림 수단은 기다란 슬롯(120)의 형태이며, 이러한 기다란 슬롯(120)은 2개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을 따라 배열되며, 스티프너(102, 103)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슬롯(120)은 슬롯(120)의 중앙 근방에 형성된 각 개구부(121)와, 개구부(121)의 양 측면에 배치되고 개구부(121)에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오목부(122, 123)를 구비한다.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 스티프너의 유효 길이를 연장시키기 위해서, 슬리브 부재(130, 135)가 사용되며, 또한 이 슬리브 부재(130, 135)는 스티프너(102, 103)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전-용융아연도금 강으로 제조된다. 양 슬리브 부재(130, 135)는 동일하며, 그에 따라 수직방향 스티프너(102)에 관련된 것만을 설명한다. 또한, 슬리브 부재(130)는 개구부(132)를 가진 슬롯(131)의 형태의 맞물림 수단(131)과, 기다란 부재(102)의 슬롯(120)과 형상 및 구조가 유사한 오목부(133, 134)를 포함한다. 또한, 스티프너(102)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의 슬리브 부재(130)는 2개의 대향 측벽(130a, 130b)(130a만이 도시됨)상에 형성된 슬롯을 구비한다. 따라서, 슬리브 부재(130)의 단면 주계가 스티프너(102)의 단면 주계보다 작아서, 슬리브 부재(130)는 스티프너(양 단부에서) 내에서 활주 가능하게 수납 가능한 점을 제외하고는, 슬리브 부재(130)는 스티프너(102)와 대체로 구조가 유사하다. 다음에, 스티프너(102)의 유효 길이는 슬리브 부재(130)를 활주시킴으로써 연장되며, 그 결과 필요한 유효 길이에 도달된다.
이제, 슬롯(120, 131)의 구조물을 도 2의 영역(A)의 확대 분해한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간략함을 위해서, 일 예로서 수직방향 스티프너의 슬롯(120)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것은 슬리브 부재(130)의 슬롯(131)에 적용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3 및 도 2를 참조하면, 동일한 수직방향 축을 따르는 스티프너(102)의 슬롯(120)의 각각은 사전규정된 방법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그러나, 하나의 축을 따르는 각 슬롯(120)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다른 축을 따르는 인접한 슬롯(120', 120")으로부터 편향되어 있으며, 그 결과 슬롯(120)의 제 1 및 제 2 오목부(122, 123)는 인접한 각 슬롯(120, 120")의 하나의 오목부와 정렬되어 있다. 특히, 제 1 오목부(122)는 인접한 슬롯(120')의 제 2 오목부(123')와 정렬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오목부 쌍(126)을 형성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또한 슬롯(120)의 제 2 오목부(123)는 슬롯(120")의 제 1 오목부(12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정렬되어 제 2 오목부 쌍(128)을 형성한다. 슬롯(120)을 따르는 오목부(122, 123)의 위치와 슬롯의 길이는 전략적으로 선택되는데, 그 이유는 이후에 설명한다.
도 10은 2개의 돌기부(21)가 그 위에 형성된 평면 부품(20)을 포함하는 타이(7)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21)는 배면방향으로 그리고 평면 부품(20)의 측면 모두로 연장된다. 돌기부(21)는 타이(7)를 스티프너(102)에 부착시키기 위해서 스티프너(102)의 측벽내의 슬롯(120, 120')과 결합하는 개구부(121, 121')를 통해 삽입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슬롯(120, 120')의 길이는, 타이(7)의 이동과, 그에 따라 스티프너(102)에 대한 타이(7)의 위치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돌기부(21)의 길이보다 크다. 타이(7)의 평면 부품(20)은 리브형 부품(23)에 연결되어 있다. 리브형 부품(23)은 리브 형성부(25)를 구비한다. 리브형 부품(23)은 평면 부품(20)과 대략 90°의 각도를 형성하며, 그 결과 돌기부(21)가 슬롯(120, 120')내로 삽입될 때, 타이(7)의 리브형 부품(23)은 스티프너(102)의 측벽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도 13은 타이 부재(7')의 변형예를 도시한 상이한 각도의 도면이다. 또한, 타이 부재(7')는 연장된 부품(23')에 연결된 평면 부품(20)과 대체로 L자형을 이룬다. 또한, 타이 부재(7')는 스티프너(102, 103)의 슬롯(120)에 결합시키기 위한 돌기부(21')를 구비한다. 그러나, 도 10에 도시된 예와 달리, 연장된 부품(23')은 리브 형성부(25)를 구비하지 않는다. 대신에, 연장된 부품(23')상에 관통부(27)가 형성되어 있으며, 본 예에서 관통부(27)는 다른 도면(도 13의 도 A 참조)에서 단어 Stiflex(등록상표)로 형성된다. 이러한 변형예의 타이 부재(7')는, 예를 들면 시멘트 모르타르 대신에 다른 접착제가 사용되는 경우, 벽돌의 층 사이의 조인트가 리브 형성부(25)의 높이 보다 얇게 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이러한 관통부(27)가 존재함으로써 접착제가 타이 부재(7')에 보다 쉽게 접착되게 하며, 그에 따라 타이 부재(7')는 벽에 보다 잘 결합될 수 있다.
다시 기부 플레이트(110)를 설명하면, 도 4에 확대 분해도(도 A, 도 B 및 도 C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방향에서 봄)가 도시되어 있다. 이제 기부 플레이 트(110)가 스티프너(102)에 어떻게 연결되는 가에 대한 설명이 기술된다.
본 예에 있어서, 기부 플레이트(110)는 사전-용융아연도금 강으로 프레스 형성되며, 대체로 평평한 부재(112)와, 실질적으로 2개 쌍의 L자형 각진 돌기(114, 116)의 형태인 연결 수단을 포함하며, 각 쌍은 상이한 길이로 되어 있고, 스티프너(102, 103) 및 슬리브 부재(130, 135)의 폭에 따라 이격되어 있다. 또한, 기부 플레이트(110)는 스토퍼(118a, 118b, 119a, 119b)를 포함하며, 각 스토퍼는 각 각진 돌기(114, 116)의 일 단부에 배치되며, 스토퍼는 2개 쌍의 돌기(114, 116) 사이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돌기(114, 116)의 각 쌍은, 서로 내향되고, 스티프너(102, 103)의 각 측벽(102a, 102b)상에 형성된 인접한 슬롯의 오목부 쌍(126)(또는 128)의 각 오목부에 수납되도록 배치된 대향 돌기부(114a, 114b, 116a, 116b)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5a 내지 도 5d는, 하나의 기부 플레이트(110)가 하나의 스티프너(102)의 단부와 어떻게 결합되는 가를 도시한 것이다(사용시에 필요 없을지라도 단순히 연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일정 각도로 도시되어 있음).
참조로서 도 3의 도면을 이용하고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프너(102)는 현장에서 또는 공장에서 선택적으로 절단되며, 가장자리(102e)로부터 오목부 쌍(128)의 거리는 한쌍의 돌기(114, 116)의 유효 높이로 맞춰진다. 도 5a 내지 도 5d는 단지 하나의 측벽(102a)을 도시한 것이며, 다른 측벽(102b)상의 인접한 슬롯(120)의 오목부 쌍은 또한 도면에 도시된 측벽(102a)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열되어 있다. 우선, 기부 플레이트(110)는 스티프너의 가장자리에 대해서 그리고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프너(102)를 향하는 돌기(114, 116)와 예각으로 유지되며, 기부 플레이트(110)는 방향(X)에서 스티프너(102)를 향해 이동되며, 그 결과 보다 긴 각진 돌기(116)의 돌기부(116a, 116b)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프너(102)의 다른 측벽(102b)의 내부면으로부터 오목부 쌍(128b)(보이지 않는 오목부 쌍에는 첨자 "b"를 추가했다)의 대응하는 오목부내로 활주된다.
돌기부(116a, 116b)가 오목부 쌍(128b)과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면, 또한 방향(X)을 따르는 플레이트(110)의 이동은, 측벽(102b)이 보다 긴 돌기(116)의 단부에 배치된 스토퍼(119a, 119b)에 대해 접촉할 때까지 활주 맞물림에 의해 안내된다. 다음에, 플레이트(110)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프너(102)의 가장자리와 완전 접촉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측벽(102a)은 보다 짧은 돌기(114)의 맞물림 돌기부(114a, 114b)를 지나며, 그에 따라 화살표(Y)의 방향에서 플레이트가 활주됨으로써 측벽(102a, 102b)의 오목부 쌍(128a, 128b)내에 모든 돌기부(114a, 114b, 116a, 116b)가 수납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플레이트(110)는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프너(102)에 적당하게 결합된다. 도 6은 돌기(114, 116)가 각 오목부 쌍(128a, 128b)과 어떻게 결합되는 가를 보다 명확하게 도시하는 것으로 도 5d의 방향(AA)에서 본 도면이다. 이러한 위치에서, 기부 플레이트(110)의 종축에 평행한 축(Z)을 따르는 모든 측방향 활주 이동은 스티프너(102)로부터 플레이트(110)를 분리시키지 않고, 단지 플레이트(110)가 스티프너로부터 들어 올려진다면 측벽(102a)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짧은 돌기(114)를 지나도록 플레이트가 활주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단계를 역으로 행하면 플레이트(110)는 스티프너로부터 분리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특징은, 기부 플레이트(11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스티프너(102)와, 또는 슬리브 부재(130)에 분리 가능하게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하다는 것이다. 기부 플레이트(110)는 슬리브 부재(130) 또는 스티프너(102)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지지 부재 시스템(100)을 조립하는 사용자는, 기부 플레이트(110)가 예를 들면 도 1의 하부 지지체(9)와 같은 하부 지지 구조체에 고정되는 경우와 같이 스티프너(102)에 연결될 때, 기부 플레이트(110)는 수직방향 스티프너(102)의 하부 단부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직접 연결은 필요한 슬리브 부재(130)의 개수를 감소시킨다. 한편, 수직방향 스티프너의 유효 길이가 도 1의 상부 지지체(8)와 같은 상부 지지 구조체를 향해 연장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 기부 플레이트(110)는 슬리브 부재(130)에 연결되며, 슬리브 부재(130)는 수직방향 스티프너(102)의 상부 단부 내에 삽입된다. 이것은 최종 사용자에게 보다 큰 융통성을 제공한다. 기부 플레이트(110)가 슬리브 부재(130)로부터 분리되면, 각 부품이 개별로 제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조성을 개선하기 때문에 제조 관점에서 특히 유리하다. 로지스틱스와 관련하여, 각 부품은 운송을 위해 개별로 포장될 수 있어서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기부 플레이트(110)를 스티프너(102)에 또는 슬리브 부재(130)에 연결하는 가를 선택하는 것은 또한 스티프너가 도 2의 수평방향 스티프너(103)의 경우에 수평방향 배향에 사용되는 경우에 적용된다. 상이한 길이의 스티프너를 주문하는 대신에, 본 시스템은 공통 길이(그에 따라 다루기가 보다 용이함)의 스티프너를 주문 하는 유연성을 제공하며, 각 스티프너의 유효 길이는 필요하다면 슬리브 부재(130)를 사용하여 연장된다. 따라서, 수평방향 스티프너(103)가 충분히 길지 않을 경우(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슬리브 부재(135)는 스티프너의 유효 길이를 연장시키도록 그 내부로 삽입된다. 수평방향 슬리브 부재(135)의 구조물은 "수직방향" 슬리브 부재(130)의 것과 동일하며,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도면부호는 상이하다. 통상적으로, 수평방향 슬리브 부재(135)를 사용하는 것은 스티프너의 일 단부에만 필요하며, 그에 따라 스티프너의 타 단부는 기부 플레이트(11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기부 플레이트(110)가 인접한 수직방향 스티프너에 장착된다면, 기부 플레이트(110)의 변형예인 측면 기부 플레이트(111)가 필요하며, 이것은 기부 플레이트 변형예의 상이한 도면을 갖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측면 기부 플레이트(111)는, 측면 기부 플레이트(111)가 스티프너상의 슬롯(120)의 개구부(121)의 위치에 따라 배열된 4개의 후방 돌기부(117)의 형태인 후방 부착 부품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기부 플레이트(110)와 디자인이 유사하다(그에 따라 유사한 부품은 프라임(')을 갖는 유사한 도면부호로 표시된다). 돌기부(117)는 플레이트(111')의 4개 부품을 펀칭함으로써 형성되어, 플레이트(111') 뒤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돌기부(117)를 형성한다. 이것은 플레이트(111')의 후방면이 스티프너(102)의 측면에 대해 위치되고 그리고 돌기부(117)가 각 개구부(121)를 통해 삽입되어 각 슬롯(120)에 결합되게 함으로써, 플레이트(111')(및 그에 따라 슬리브 부재(135))를 수직방향 스티프너(102)에 부착시키고, 그에 따라 수평방향 스티프너(103)를 수직방향 스티프너(102)에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직방향 기부 플레이트(111)가 한 방향, 즉 보다 짧은 돌기(114')가 상부에 있는 경우에만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지적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향에 있어서, 슬리브 부재(135)(도 2 참조)의 측면(135a)은 스토퍼(118a', 118b')에 대해 접촉하는 반면에, 슬리브 부재(135)의 다른 면(135b)은 보다 긴 길이의 돌기(116')의 길이로 인해서 다른 면(135b)상의 각 오목부와 결합되어 유지된다. 따라서, 기부 플레이트(111)는 슬리브 부재(135)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어 유지된다. 방향이 역전된다면(즉, 보다 긴 돌기(116')가 상부에 있음), 측면(135b)은 보다 짧은 돌기(114')를 지나 활주될 것이며, 그에 따라 이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티프너(102, 103)(그리고 또한 슬리브 부재(130, 135))의 길이는 선택적으로 절단되며, 그 결과 스티프너 또는 슬리브 부재는 기부 플레이트(110, 111)의 돌기와 결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슬롯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티프너(102, 103) 및 슬리브 부재(130)의 슬롯(120, 131)의 배열은 서로 전략적으로 편향되며, 그 결과 인접한 슬롯(120)으로부터의 2개의 대향한 오목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정렬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수직방향 축을 따르는 슬롯(120) 사이의 간격은 100㎜이며, 각 슬롯의 길이는, 스티프너(102, 103) 또는 슬리브 부재(130, 135)가 기부 플레이트(110, 111)에 연결되기에 적당하도록 스티프너(102, 103) 또는 슬리브 부재(130, 135)를 절단하기 위한 가이드로서 이용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도 6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화살표(BB, CC)를 이용하여 표시된 슬롯(120)의 각 단부는 슬리브 부재(130, 135)를 절단하기 위한 표시부로서 작용하며, 절단될 때 절단 가장자리로부터의 오목부 쌍(128)의 거리는 기부 플레이트(110, 111)의 돌기(114, 116, 114', 116')와 맞물리기에 적당할 것이다. 이것은 보다 긴 슬리브 부재(또는 심지어 스티프너)가 주문될 수 있고 그리고 사용자는 슬리브 부재를 적용에 따른 사이즈로 절단하기 때문에 상당한 장점을 제공한다. 주문된 스티프너가 벽을 지지하기에 너무 짧다면(또는 스티프너가 잘못 주문되었다면), 사용자는 보다 긴 슬리브 부재를 특정 프로젝트에 따른 사이즈로 절단할 수 있다. 이것은 지지 부재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보다 큰 유연성을 제공한다.
사용시에, 스티프너(102, 103)는 수직방향 스티프너(102)를 우선 설치함으로써 설치된다. 수직방향 스티프너(102)는 기부 플레이트(110)를 스티프너(102, 103) 또는 슬리브 부재(130, 135)에 삽입함으로써 설치된다. 지지할 벽의 높이에 따라서, 전형적으로 수직방향 스티프너(102)의 길이는 스티프너가 그 내로 끼워맞춰지는 수직방향 갭의 높이보다 명목상 짤게 되도록 선택되며, 이 차이는 슬리브 부재(130)에 의해 보상되어, 슬리브 부재(130) 및 스티프너(102)의 조합체가 하부 지지체(9)로부터 상부 지지체(8)까지 연장되는 것을 보장한다(일 예로서 도 1을 참조).
첫째, 기부 플레이트(110)는 상술한 방법으로 슬리브 부재(130)의 일 단부에 우선 연결된다. 둘째, 상부 기부 플레이트(110)가 연결된 슬리브 부재(130)는 중공의 수직방향 스티프너(102)의 상부 단부내로 삽입된다. 다음에, 수직방향 스티프너(102)의 바닥 단부는 상술한 방법으로 하부 기부 플레이트(110)에 직접 연결된다. 스티프너(102)가 교정 위치에 직립되어 있는 경우에, 잠금장치가 하부 플레이트(110)내의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이동되어, 플레이트(110)(그리고 수직방향 스티프너(102)의 하부 단부)를 하부 지지체(9)에 고정한다. 간극에 따라서, 슬리브 부재(130)는, 상부 기부 플레이트(110)가 상부 지지체(8)와 접촉할 때까지 수직방향 스티프너로부터 후퇴된다. 슬리브 부재(130)의 길이는, 상부 기부 플레이트(110)가 상부 지지체(8)와 접촉할 경우 슬리브 부재(130)의 일부분이 스티프너(102)에 삽입 유지되도록 선택된다. 다시, 상부 기부 플레이트(110)를 상부 지지체(8)에 고정식으로 부착하여 수직방향 스티프너(102)를 교정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잠금장치가 사용된다.
수직방향 스티프너(102)가 설치된 후에, 벽(1)이 축조되며, 타이 부재(7)가 적절한 간격(전형적으로 수직방향으로 매 300 내지 400㎜)으로 장착되어 수직방향 스티프너(102)의 측면상의 슬롯(120)과 맞물리며, 그 결과 리브형 부품(23)은 벽돌의 층 사이에 위치되어 층 사이의 시멘트 모르타르에 의해 유지되는 리브형 부품(23)에 의해 벽(1)에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수평방향 스티프너(103)가 필요한 높이에 하부 부분(4, 5)이 축조되는 경우, 벽돌의 최종 층은 수직방향 스티프너(102)에 인접한 2개의 단부 벽돌을 제외하고 완성된다. 측면 기부 플레이트(111)는 수직방향 스티프너(102)에 연결될 수평방향 스티프너(103)의 일 단부에 삽입되는 반면에, 타 단부는 기부 플레이트(110)에 삽입되는데, 그 이유는 다른 단부는 기둥과 같은 측면 지지 구조체에 연결되기 때문이다. 기부 플레이트(110)는 마찬가지로 상술한 바와 같이 기둥에 체결되는 반면에, 측면 기부 플레이트(111)내의 돌기부(117)는 인접한 수직방향 스티프너(102)의 슬롯(120)내로 삽입되어, 수평방향 스티프너(103)를 벽돌의 최종 층상에 장착한다. 다음에, 각 단부 벽돌이 적층된다. 다음에 수평방향 스티프너(103)상에 벽(1)을 축조하는 것은 수평방향 스티프너(103)상에 벽 부분(6)을 축조함으로써 계속되며, 스티프너(102)의 측벽(102a, 102b) 및/또는 슬리브 부재(130)의 측벽(130a, 130b)을 따라 적당한 간격으로 타이(7)를 삽입하여, 벽돌의 인접한 층 사이를 결합시켜서 벽 부분(6)을 수직방향 스티프너(102)에 고정한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타이 부재(7)가 수평방향 스티프너(103)(및 슬리브 부재(135))의 측벽(103a)상의 슬롯(120)에 유사하게 결합됨으로써, 벽 부분(6)이 축조될 때 벽돌의 인접한 층 사이가 결합된다.
상술한 예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슬리브 부재(130, 135)는 스티프너(102, 103)의 유효 길이를 연장시키는데 사용된다. 슬리브 부재(130, 135)는 각 스티프너(102, 103)내로 완전히 삽입될 필요가 없으며, 이것은 스티프너(102, 103)가 스티프너(102, 103)의 길이보다 긴/짧은 벽 부분을 지지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 자명하다. 이것은 슬리브 부재(130, 135)의 일부분을 스티프너(102, 103)내에 유지시키기 위해서만 필요하며, 각 스티프너 조립체에 대해 필요한 최소 맞물림 부분은 기하학적 및 부하 고려사항을 고려하여 계산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는, 스티프너(102, 103)의 길이가 각 적용을 위해 특별히 제조될 필요가 없는 지지 부재 시스템을 제공하는 장점을 갖고 있다.
도 8은 상이한 벽돌쌓기 벽 구조체(150)를 콘크리트 기둥(160')으로 지지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지지 부재 시스템(100)의 유연성을 도시하는 것이다. 시스템(100)은 시스템의 유연성을 나타내기 용이하도록 슬롯(120), 기부 플레이트(110) 또는 슬리브 부재(130)가 없이 간략하게 도시된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스티프너(102, 103)는 굽은 형상의 둔각 스티프너(15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 박스 구조가 아닌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스티프너(102)가 일 단부 또는 접합 스티프너(153)로서 설치될 경우, 기부 플레이트(110)의 변형예인 코너 기부 플레이트(154)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일 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9는 상이한 각도로부터 본 도면을 포함하고 있다. 돌기(155, 156)는 동일한 사이즈일 수 있지만, 돌기(155, 156)는 기부 플레이트(110)의 돌기(114, 116)와 형상 및 구조가 유사하다. 또한, 스토퍼를 사용할 필요가 없지만, 플레이트(154)는 스토퍼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부(157)에서 굽혀져 있다. 벽 부품(158)을 지지하기 위해 단부 스티프너(153)가 설치될 경우 코너 기부 플레이트(154)가 사용되며, 그 결과 굽혀진 단부(157)는 도 8에 화살표(DD)로 표시한 바와 같이 스티프너(153)의 자유 측면에 대해 접촉한다.
도 11은 측면 기부 플레이트(111)의 변형예(160)의 평면도이다. 변형 측면 기부 플레이트(160)는 측면 기부 플레이트(111)의 돌기(114', 116') 및 스토퍼(118', 119')와 구조가 유사한 돌기(161, 162) 및 스토퍼(163, 164)를 갖고 있다. 또한, 변형 측면 기부 플레이트(160)는 측면 기부 플레이트(111)의 돌기부(117)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후방에 형성된 돌기부(165)를 구비한다. 그러나, (도 11과 도 7의 도 C 사이를 비교함으로써)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변형 플레이트(160)에 있어서 돌기(161, 162)가 플레이트(160)의 중심에서 오프되어 있다는 것이 차이가 있다. 이러한 변형예는 정렬되지 않은 벽 부품을 지지할 경우에 특히 유용하며, 그 일 예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스티프너(102, 103)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간략한 형태로 도시되어 있음).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 스티프너(102)의 하나의 측면은 제 1 벽 센션(170)을 지지하는데 사용되며, 수직방향 스티프너(102)의 다른 측면은 제 2 벽 부품(수평방향 스티프너(103)를 도시하기 위해서 도시하지 않음)을 지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제 1 및 제 2 벽 부품은 서로 편향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플레이트(160)는 수평방향 스티프너(103)를 수직방향 스티프너(102)에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제 2 벽 부품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돌기(161, 162) 및 돌기부(165)의 상대적인 위치가 상이한 적용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14는 변형 측면 기부 플레이트(160)의 다른 적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평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 스티프너(102")의 하나의 측면(102f)은 제 1 벽 부품(170')을 지지하는데 사용되며, 수직방향 스티프너(102")의 다른 측면(102g)은 제 2 벽 부품(수평방향 스티프너(103")를 도시하기 위해서 도시하지 않음)을 지지하도록 배열된다. 그러나, 측면(102g)의 폭은 도면으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수평방향 스티프너(103")의 폭과 일치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수평방향 스티프너(103")는 도 7의 측면 기부 플레이트(111)에 의해 수직방향 스티프너(102")에 장착된다면, 수평방향 스티프너(103")의 측면(103h)은 수직방향 스티프너(102")의 측면(102h)과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 측면 기부 플레이트(160)를 이용하여 상술한 문제점을 완화시키며, 그 결과 결합 후에, 수평방향 스티프너(103")는 수직방향 스티프너(102)의 중심축에서 편향되지만, 측면(103h)은 수직방향 스티프너(102")의 측면(102h)과 일치되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하고자 구성된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스티프너(102, 103) 및 슬리브 부재(130, 135)의 4개 측면중 단지 2개만이 슬롯(120)을 구비한다. 이것은 반드시 그렇게 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다른 2개 측면이 슬롯(120)을 구비하여, 다른 2개 측면이 적용에 따라서 벽을 지지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스티프너(102, 103)의 사이즈 및 치수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도시되었지만 동일할 필요는 없다. 지지할 벽에 따라서, 스티프너(102, 103)의 사이즈 및 치수는 도 8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는 2개의 평행한 축을 따라 배열된 슬롯을 도시하였지만, 추가 축(평행일 필요가 없음)을 따라 배열된 보다 많은 슬롯이 스티프너 또는 슬리브 부재의 측면의 사이즈에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수직방향 스티프너(102)의 측벽(102a)에 장착된 수평방향 스티프너(103)를 도시하였지만, 수평방향 스티프너(103)도 슬리브 부재(130)에 장착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통상적으로 수평방향 스티프너(103)는 슬리브 부재(130)가 아닌 수직방향 스티프너(102)에 보다 유사하게 장착될 지라도 슬리브 부재(130)는 측면 기부 플레이트(111)의 후방 돌기부(117)와 결합시키는 슬롯(120)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기부 플레이트(110)는 스티프너(102, 103)에 또는 슬리브 부재(130, 135)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지만, 기부 플레이트(110)는 단지 슬리브 부재(130, 135)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각 부품이 분리식으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신속한 제조의 장점을 제공하지만, 스티프너에 직접 결합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하지 않는다. 스티프너가 수직방향 배향에 사용되는 경우, 하부 단부는 바람직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종래의 기부 플레이트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슬리브 부재(130)는 슬리브 부재를 양 단부에서 선택적으로 삽입 가능한 것이 바람직할 지라도 수직방향 및/또는 수평방향 스티프너(102, 103)의 일 단부에만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기부 플레이트(110)는 스티프너에만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스티프너(102, 103)내에 삽입 가능하고 그리고 수용 가능한 슬리브 부재(130, 135)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필수적은 아니며, 다른 분리 가능한 부착 기구가 구성된다(예를 들면 스티프너는 슬리브 부재내에 수용 가능하다).
또한, 기부 플레이트(110)는 2개의 짧고 그리고 2개의 긴 돌기를 구비하지만, 스티프너 또는 슬리브 부재의 오목부와의 결합이 돌기 쌍이 사용되는 경우처럼 양호하지 않을 지라도 단지 각각 하나가 충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롯(120, 120', 120")의 정렬된 오목부 쌍(126, 128)의 배향은 서로를 향해 내향으로 향해 있다. 그러나, 오목부 쌍은 외향(슬롯의 개구와 동일한 방향에서)을 향할 수 있지만, 돌기 쌍(114, 116)의 돌기부는 변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자명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오목부 쌍(126, 128)은 정렬되어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은 필수적은 아닌데, 그 이유는 오목부 쌍(126, 128)도 서로 편향될 수 있고 그리고 돌기(114, 116)가 변형될 있도록(즉, 돌기중 하나의 세트가 다른 것보다 높음) 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4개의 돌기부(117)가 측면 기부 플레이트(111, 160)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은 측면 기부 플레이트(111, 160)가 부착되는 수직방향 스티프너(102)의 측면(그리고 슬롯(120)의 구조물)의 치수에 따라 보다 많고/적은 돌기부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기부 플레이트(110)가 슬리브 부재(130, 135) 또는 스티프너(102, 103)에 연결된 후에, 기부 플레이트(110)는 모든 적당한 수단에 의해서 슬리브 부재(130, 135) 또는 스티프너(102, 103)에 고정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충분히 설명하였으며,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영역을 벗어남이 없이 많은 변경이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Claims (32)

  1. 지지 부재 조립체(100)에 있어서,
    유효 길이(an effective length)를 가진 기다란 지지 부재(an elongate support member)(102, 103)와,
    상기 기다란 지지 부재(102, 103)의 일 단부와 결합하도록 배열되어 상기 지지 부재의 유효 길이를 연장시키는 기다란 부재 맞물림 부분(130, 135)과,
    상기 기다란 지지 부재(102, 10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 수단(114, 116, 114', 116')을 포함하는 기부 부분(110)을 포함하며,
    상기 기다란 지지 부재(102, 103)는 상기 기다란 지지 부재(102, 103)의 2개의 대향 측벽(102a, 102b, 103a, 103b)에 슬롯(120, 120', 120")을 포함하며, 각 슬롯(120, 120', 120")은 2개의 오목부(recess)(122, 123)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수단(114, 116, 114', 116')은 상기 슬롯(120, 120', 120")의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122, 123)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배치된 돌기(114, 116, 114', 116')를 포함하는
    지지 부재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114, 116, 114', 116')은 상기 기다란 부재 맞물림 부분(130, 135)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지지 부재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지지 부재(102, 103) 및 상기 기다란 부재 맞물림 부분(130, 135)은 각각 사용시에 지지될 벽(4, 5, 6)의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된 측벽(102a, 102b, 103a, 103b)을 구비하는
    지지 부재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각 측벽(102a, 102b, 103a, 103b)은 타이 부재(a tie member)(7, 7')가 측벽에 장착될 수 있게 하는 슬롯(120, 120', 120")을 포함하며, 상기 타이 부재(7, 7')는 지지될 벽(4, 5, 6)과 맞물리도록 측벽(102a, 102b, 103a, 103b)으로부터 돌출하는 부품(23)을 구비하는
    지지 부재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 부재(7, 7')의 위치가 조정 가능하도록, 상기 슬롯(120, 120', 120")은 상기 기다란 지지 부재(102, 103) 및 상기 기다란 부재 맞물림 부분(130, 135)의 측벽(102a, 102b, 103a, 103b)을 따라 개별 위치(discrete locations)에 마련되는
    지지 부재 조립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120, 120', 120")은 상기 기다란 지지 부재(102, 103)의 대향 측벽(102a, 102b, 103a, 103b)에 마련되는
    지지 부재 조립체.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부재 맞물림 부분(130, 135)의 대향 측벽(130a, 130b)상에 맞물림 부분 슬롯(131)을 더 포함하는
    지지 부재 조립체.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120, 120', 120")은 상기 기다란 지지 부재의 모든 4개 측벽(102a, 102b, 103a, 103b)에 마련되는
    지지 부재 조립체.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부분 슬롯(131)은 상기 기다란 부재 맞물림 부분(130, 135)의 모든 4개 측벽(130a, 130b)에 마련되는
    지지 부재 조립체.
  10. 삭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120, 120', 120") 및 상기 맞물림 부분 슬롯(131)은 길고, 상기 슬롯(120, 120', 120")의 종방향에 수직인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부(121, 121', 132)를 포함하는
    지지 부재 조립체.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120, 120', 120")은 상기 기다란 지지 부재(102, 103) 및 상기 기다란 지지 부재 맞물림 부분(130, 135)의 종축을 따라 적어도 2개의 평행한 축을 따라 배열되며, 하나의 축을 따르는 슬롯(120, 120', 120")의 개구부(121, 121')는 다른 축을 따르는 슬롯(120, 120', 120")의 개구부(121, 121')에 대향된 방향으로 향해 있으며, 양 개구부(121, 121')의 방향은 상기 기다란 지지 부재(102, 103) 및 상기 기다란 지지 부재 맞물림 부분(130, 135)의 종축에 수직인
    지지 부재 조립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120, 120', 120")은 상기 슬롯(120, 120', 120")의 개구부(121, 121')의 방향에 대향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오목부(122, 123, 122", 123')를 포함하는
    지지 부재 조립체.
  15. 제 13 항에 있어서,
    하나의 축을 따르는 상기 슬롯(120, 120', 120")은 다른 축을 따르는 인접한 슬롯(120, 120', 120")으로부터 편향되어 있으며, 그 결과 슬롯(120, 120', 120")의 개구부(121, 121')는 서로 정렬되어 있지 않은
    지지 부재 조립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120)의 상기 오목부(122, 123)는 인접한 슬롯(120', 120")의 오목부(123', 122")와 정렬되어 있는
    지지 부재 조립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각 슬롯(120, 120', 120")의 위치는 상기 기다란 지지 부재(102, 103)를 필요한 길이로 선택적으로 절단하기 위한 가이드로서 사용되는
    지지 부재 조립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지지 부재(102, 103)가 절단 가이드에 따라 절단되는 경우, 인접한 슬롯(120, 120', 120")의 정렬된 오목부(123, 122", 122, 123')는 기부 부분(110)의 결합 수단(114, 116, 114', 116')에 의해 결합 가능하도록 배열되는
    지지 부재 조립체.
  19. 삭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의 상기 돌기(114, 116, 114', 116')는 각각 정렬된 오목부(123, 122", 122, 123')와 결합하도록 배열된
    지지 부재 조립체.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114, 116, 114', 116')는 L자형 돌기를 형성하도록 각을 이룬
    지지 부재 조립체.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114, 116, 114', 116')는 2개의 돌기 쌍을 포함하며, 그 중 하나의 돌기 쌍(116, 116')이 다른 돌기 쌍(114, 114')보다 긴
    지지 부재 조립체.
  23. 제 22 항에 있어서,
    하나의 돌기 쌍(116, 116')은 상기 기다란 지지 부재(102)의 하나의 측벽(102b)과 결합하도록 배열되어 있으며, 다른 돌기 쌍(114, 114')은 상기 기다란 지지 부재(102)의 대향 측벽(102a)과 결합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지지 부재 조립체.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부분(110)은 또한 상기 기다란 부재 맞물림 부분(130, 135)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가능한
    지지 부재 조립체.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부분(110)은, 상기 기다란 지지 부재(102, 103)의 측벽(102, 102b, 103a, 103b, 130a, 130b)에 대해 접촉해서 한 방향을 따르는 이동을 제한하도록 배열된 스토퍼(118a, 118b, 119a, 119b)를 포함하는
    지지 부재 조립체.
  26. 제 1 항 내지 제 9 항, 제 11 항, 제 13 항 내지 제 18 항, 제 20 항 내지 제 23 항 및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부분(110)은 지지체(8, 9)와 맞물리도록 배열되어 있는
    지지 부재 조립체.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부분(11)은 굽혀진 단부(157)를 포함하는
    지지 부재 조립체.
  28. 제 1 항 내지 제 9 항, 제 11 항, 제 13 항 내지 제 18 항, 제 20 항 내지 제 23 항 및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부분(110)은 상기 기다란 지지 부재(102, 103)와 맞물리도록 배열되어 있는
    지지 부재 조립체.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부분(110)은 상기 기다란 지지 부재(102, 103)중 하나의 측벽에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 부품(117, 165)을 구비하는
    지지 부재 조립체.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품은 돌기부(lugs)(117, 165)를 포함하는
    지지 부재 조립체.
  3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제 11 항, 제 13 항 내지 제 18 항, 제 20 항 내지 제 23 항 및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 맞물림 부분(130, 135)은 상기 기다란 지지 부재(102, 103)의 양 단부와 맞물림 가능한
    지지 부재 조립체.
  3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120, 120', 120")은 상기 슬롯(120, 120', 120")의 개구부(121, 121')와 동일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2개의 오목부(122, 123, 122", 123')를 포함하는
    지지 부재 조립체.
KR1020087008972A 2005-09-16 2006-09-12 지지 부재 조립체 KR1013070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200505952-2 2005-09-16
SG200505952-2A SG130956A1 (en) 2005-09-16 2005-09-16 A support member assembly
PCT/SG2006/000266 WO2007032746A1 (en) 2005-09-16 2006-09-12 A support membe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278A KR20080057278A (ko) 2008-06-24
KR101307027B1 true KR101307027B1 (ko) 2013-09-11

Family

ID=37865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8972A KR101307027B1 (ko) 2005-09-16 2006-09-12 지지 부재 조립체

Country Status (27)

Country Link
EP (1) EP1931836B1 (ko)
KR (1) KR101307027B1 (ko)
CN (1) CN101278096B (ko)
AR (1) AR054960A1 (ko)
BR (1) BRPI0616244B1 (ko)
CY (1) CY1117131T1 (ko)
DK (1) DK1931836T3 (ko)
EG (1) EG24989A (ko)
ES (1) ES2550581T3 (ko)
HK (1) HK1118315A1 (ko)
HR (1) HRP20151167T1 (ko)
HU (1) HUE025912T2 (ko)
IL (1) IL190071A (ko)
JO (1) JO3124B1 (ko)
ME (1) ME02263B (ko)
MY (1) MY153661A (ko)
PE (1) PE20080860A1 (ko)
PL (1) PL1931836T3 (ko)
PT (1) PT1931836E (ko)
RS (1) RS54341B1 (ko)
RU (1) RU2412310C2 (ko)
SG (1) SG130956A1 (ko)
SI (1) SI1931836T1 (ko)
TW (1) TWI402401B (ko)
UY (1) UY29792A1 (ko)
WO (1) WO2007032746A1 (ko)
ZA (1) ZA2008032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90751B1 (es) * 2010-09-03 2013-09-30 Talleres Electromecanica Moreno, S.L.U. Mejoras introducidas en la patente de invencion 200800144 relativa a una estructura metalica modular para conformar un hueco de ascensor.
CN103189583A (zh) * 2010-09-24 2013-07-03 仁伊私人有限公司 用于支撑构件总成的负载转移连接器
SG10201508699YA (en) * 2015-10-21 2017-05-30 2Elms Pte Ltd Wall support apparatus and its componen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02308C2 (de) 1986-01-27 1994-06-16 Modersohn Gmbh & Co Kg Wilh Verankerung von Vormauerwerk im Attikabereich
KR20010013649A (ko) * 1997-06-11 2001-02-26 씨디에스 누-스틸 피티와이 엘티디 건물의 구조형성 시스템
KR20010106108A (ko) * 1998-04-27 2001-11-29 추후제출 지지 부재
KR20050018683A (ko) * 2002-05-16 2005-02-23 다인텍 피티이 리미티드 지지용 부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66622A (en) * 1949-09-01 1951-09-04 Cresswell Roll Forming Company Structural member
NO169910C (no) * 1990-11-05 1992-09-02 Starka As Deler til modulvegg
US5274973A (en) * 1991-11-27 1994-01-04 Liang Steve S T Stud spacer and mounting system
CA2089989A1 (en) * 1993-02-19 1994-08-20 Warren Eberschlag Spacer for structural elements
FR2712323B1 (fr) * 1993-11-08 1996-01-05 Hoyez Sa Système de cloisons amovibles à performances acoustiques et au feu perfectionnées.
IT242513Y1 (it) * 1996-02-02 2001-06-14 Gianfranco Zuffetti Montante telescopico per pareti amovibili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02308C2 (de) 1986-01-27 1994-06-16 Modersohn Gmbh & Co Kg Wilh Verankerung von Vormauerwerk im Attikabereich
KR20010013649A (ko) * 1997-06-11 2001-02-26 씨디에스 누-스틸 피티와이 엘티디 건물의 구조형성 시스템
KR20010106108A (ko) * 1998-04-27 2001-11-29 추후제출 지지 부재
KR20050018683A (ko) * 2002-05-16 2005-02-23 다인텍 피티이 리미티드 지지용 부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30956A1 (en) 2007-04-26
HK1118315A1 (en) 2009-02-06
BRPI0616244A2 (pt) 2011-06-14
TWI402401B (zh) 2013-07-21
CN101278096B (zh) 2012-07-18
EP1931836A4 (en) 2012-08-22
RS54341B1 (en) 2016-02-29
UY29792A1 (es) 2007-03-30
IL190071A (en) 2011-12-29
DK1931836T3 (en) 2015-11-09
EP1931836A1 (en) 2008-06-18
PE20080860A1 (es) 2008-09-07
WO2007032746A1 (en) 2007-03-22
JO3124B1 (ar) 2017-09-20
HUE025912T2 (en) 2016-04-28
RU2412310C2 (ru) 2011-02-20
ZA200803282B (en) 2009-08-26
EP1931836B1 (en) 2015-08-05
CY1117131T1 (el) 2017-04-05
AR054960A1 (es) 2007-07-25
SI1931836T1 (sl) 2015-12-31
ES2550581T3 (es) 2015-11-10
RU2008110845A (ru) 2009-10-27
HRP20151167T1 (hr) 2015-12-04
MY153661A (en) 2015-03-13
IL190071A0 (en) 2008-08-07
ME02263B (me) 2016-02-29
KR20080057278A (ko) 2008-06-24
CN101278096A (zh) 2008-10-01
PL1931836T3 (pl) 2016-03-31
EG24989A (en) 2011-04-12
BRPI0616244B1 (pt) 2017-10-17
PT1931836E (pt) 2015-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027401A (ja) 外壁材および支持具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外壁の施工方法
KR20110031583A (ko) 단열재를 이용한 철근콘트리트 이중 단열 영구 거푸집
KR100718801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인코너 폼
KR101307027B1 (ko) 지지 부재 조립체
KR102299680B1 (ko) 갭 마감용 거푸집
US10472822B1 (en) Insulated interlocking superblocks for constructing and supporting structural elements of a building
US11879254B2 (en) Securing member and wall structure
EP3176349B1 (en) Anti-lifting coupling system
US8371082B2 (en) Wall forming system having a furring strip assembly secured to a pair of panels to hold the panels in spaced relation
KR20010106108A (ko) 지지 부재
KR102137171B1 (ko) 보 거푸집 간격유지구용 사이드타이
JP4831781B2 (ja) 内外装下地部材兼用型枠断熱パネル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建設工法
JP6134949B2 (ja) 板張り壁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建物外部構築物
KR102590550B1 (ko) 칸막이벽 내진 보강용 전도방지구
KR200175294Y1 (ko) 옹벽 마감용 패널구조
JP2010077606A (ja) ベタ基礎外周立上り部の型枠取付け金物
JP6835533B2 (ja) 簡易構造物
JP2002339543A (ja) サイディング外壁板取付具
JP2021147808A (ja) 屋外構造物設置用基礎部材
JP4276133B2 (ja) 接合金具、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KR20040048805A (ko) 건축재료용 연결부재 체결구조
KR19990037033U (ko) 옹벽마감용패널구조
JP2007205075A (ja) コンクリート構築物の壁構造及びスリット構造部の固定装置
JP2005120617A (ja) スライド式仮設壁面プレートおよび壁面施工方法
JPH10183839A (ja) 床又は屋根用alcパネルの取付構造及び取付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