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077B1 -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 - Google Patents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077B1
KR101026077B1 KR1020100091291A KR20100091291A KR101026077B1 KR 101026077 B1 KR101026077 B1 KR 101026077B1 KR 1020100091291 A KR1020100091291 A KR 1020100091291A KR 20100091291 A KR20100091291 A KR 20100091291A KR 101026077 B1 KR101026077 B1 KR 101026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urface
panel
resin core
width
surfac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회
최기철
박정연
Original Assignee
(주)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박정연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박정연,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00091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0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077B1/ko
Priority to PCT/KR2011/006852 priority patent/WO2012036505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53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the supporting structure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04B1/614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recesses in both frontal surfaces co-operating with an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에 관한 것으로, 둘레부에 결합용 돌출부가 구비된 복수개의 패널부재와 결합용 돌출부에 대응하는 결합용 홈부가 구비된 패널연결부재A,B와 모서리연결부재A,B 및 귀퉁이연결부재에 의하여 조립식으로 건축물을 시공하는 것이므로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쉽게 시공할 수 있으며, 패널부재와 패널연결부재A,B와 모서리연결부재A,B 및 귀퉁이연결부재가 강질수지제 심재와 이 강질수지제 심재에 접합되는 경량콘크리트 표층체로 구성되어 각 부재가 경량으로서 취급, 운반 및 시공이 간편하게 되고, 단열성과 구조적 강도가 우수한 강질수지제 심재와 경량콘크리트 표층체를 접합한 패널부재와 패널연결부재A,B와 모서리연결부재A,B 및 귀퉁이연결부재를 조립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것이므로 시공된 건축물의 단열성과 구조적 강도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각 부재들이 변질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하게 되며, 강질수지제 심재와 경량콘크리트 표층체를 접합한 패널부재와 패널연결부재A,B와 모서리연결부재A,B 및 귀퉁이연결부재에 의하여 조립식으로 건축물을 시공하는 것이므로 시공 자재가 저렴하고 시공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져 시공 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비자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Prefabricated members for cubic construction}
본 발명은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부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쉽게 시공할 수 있으며, 경량으로서 취급, 운반 및 시공이 간편하게 되며, 단열성과 구조적 강도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변질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한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고, 시공 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어 소비자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축조하는 방법으로 예로부터 사용되고 있는 조적 방법,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방법, 목재를 이용한 방법, 샌드위치 패널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건축물의 축조 방법은 숙련된 작업자에 의해서만 시공될 수 있으며, 시공성이 낮아 건축물을 축조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시공 단가가 높아 건축물 가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공장에서 제작하여 출고되는 콘테이너 하우스나 모듈러 방식으로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콘테이너 하우스는 단열성에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공장 제작 모듈러 구조물은 단가가 높아 소비자의 선호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쉽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량으로서 취급, 운반 및 시공이 간편하게 되는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열성과 구조적 강도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변질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한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는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공 자재가 저렴하고, 시공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져 시공 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큐브구조 건축물의 바닥과 네 벽체 및 천장의 주요 부분을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체형으로 형성된 심재(110)와 한 쌍의 경량콘크리트 표층재(120)를 접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110)의 길이와 폭을 상기 경량콘크리트 표층재(120)의 길이와 폭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기 심재(110)의 둘레부가 상기 경량콘크리트 표층재(120)의 둘레부보다 사방으로 돌출되어 사방에 결합용 돌출부(130)가 형성하도록 구성된 패널부재(100); 상기 복수개의 패널부재(100)를 연결하여 상기 큐브구조 건축물의 바닥과 네 벽체 및 천장을 구성하는 판체를 구성하는 패널연결부재A(200)와 패널연결부재B(300); 상기 바닥과 네 벽체 및 천장이 만나는 모서리부에서 상기 패널부재(100)를 연결하는 모서리 연결부재A(400)와 모서리연결부재B(500); 및 상기 바닥과 네 벽체 및 천장이 만나는 귀퉁이부에서 상기 패널부재(100)를 연결하는 귀퉁이연결부재(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를 제공한다.
상기 패널연결부재A(200), 패널연결부재B(300), 모서리연결부재A(400), 모서리연결부재B(500) 및 귀퉁이연결부재(600)는, 각각 심재(210)(310)(410)(510)(610)와 경량콘크리트 표층재(220)(320)(420)(520)(620)(630)를 접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심재(110)(210)(310)(410)(510)(610)는 구조적 강도와 단열성이 우수한 강질수지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연결부재A(200)는, 각각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체형으로 형성되는 강질수지제 심재(210)와 한 쌍의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220)를 접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210)의 길이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220)의 길이를 상기 패널부재(100)의 경량콘크리트 표층재(120)의 길이와 동일하게 하고,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210)의 폭을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220)의 폭보다 작게 하여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210)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220)의 사이에 상기 패널부재(100)의 결합용 돌출부(130)에 대응하는 결합용 홈부(230)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연결부재B(300)는, 각각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체형으로 형성되는 강질수지제 심재(310)와 한 쌍의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320)를 접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310)의 길이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320)의 길이를 상기 패널연결부재A(200)의 길이와 동일하게 하고,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310)의 폭을 경량콘크리트 표층체(320)의 폭보다 작게 하여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310)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320)의 사이에 상기 패널부재(100)의 결합용 돌출부(130)에 대응하는 결합용 홈부(330)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서리연결부재A(400)는, ㄱ자형 단면을 이루는 강질수지제 심재(410)와 한 쌍의 ㄱ자형 단면의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420)(430)를 접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410)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420)의 길이를 상기 패널부재(100)의 강질수지제 심재(110)와 경량콘크리트 표층체(120)의 길이와 동일하게 하고, 상기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420)의 폭을 상기 패널연결부재A(200)의 경량콘크리트 표층체(220)의 폭과 동일하게 하며,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410)의 폭을 상기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420)의 폭보다 작게 하여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410)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420)의 양단부 사이에 상기 패널부재(100)의 결합용 돌출부(130)에 대응하는 결합용 홈부(441)(442)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서리연결부재B(500)는, ㄱ자형 단면을 이루는 강질수지제 심재(510)와 한 쌍의 ㄱ자형 단면의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520)(530)를 접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520)의 길이 및 폭을 상기 모서리연결부재A(400)의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420)의 폭과 동일하게 하고,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510)의 폭을 상기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520)의 폭보다 작게 하여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510)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520)의 양단부 사이에 상기 패널부재(100)의 결합용 돌출부(130)에 대응하는 결합용 홈부(541)(542)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귀퉁이연결부재(600)는, 사각판체형 수평판부(611)와 상기 수평판부(611)의 인접하는 모서리에서 직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판부(612)를 가지며 수평판부(611)와 수직판부(612)의 귀퉁이에 절취부(613)(614)가 형성된 강질수지제 심재(610)와,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610)의 수평판부(611)의 바깥면에 대응하는 사각판체형 수평판부(621)와 상기 수평판부(621)의 인접하는 모서리에서 직각을 이루며 연장되어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610)의 한 쌍의 수직판부(612)의 바깥면에 대응하는 한 쌍의 수직판부(622)를 가지는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620) 및,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610)의 수평판부(611)의 안쪽면에 대응하는 사각판체형 수평판부(631)와 상기 수평판부(631)의 인접하는 모서리에서 직각을 이루며 연장되어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610)의 수직판부(612)의 안쪽면에 대응하는 한 쌍의 수직판부(632)를 가지는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630)를 포함하며, 상기 귀퉁이연결부재(600)는 바닥측 또는 천장측 귀퉁이에 배치되는 패널부재(100)의 결합용 돌출부(130)의 단부에 대응하는 결합용 홈부(641)와, 네 벽체판체의 귀퉁이에 배치되는 패널부재(100)의 결합용 돌출부(130)의 양단부에 대응하는 한 쌍의 결합용 홈부(642)를 구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열성이 우수한 강질수지제 심재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를 접합한 패널부재와 패널연결부재A,B, 모서리연결부재A,B 및 귀퉁이연결부재로 구성되며, 패널부재에 형성된 결합용 돌출부와 각 연결부재에 형성된 결합용 홈부에 의해 조립하는 것이므로 단열성이 우수하고 제조가 간편하며, 비숙련자라도 쉽게 건축물을 축조할 수 있고,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적 강도가 우수한 강질수지제 심재와 경량콘크리트 표층체를 접합한 것으로서, 경량이면서도 구조적 강도가 높고, 취급 및 시공이 용이하고, 변질되지 않아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에 의한 규브구조 건축물의 구축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패널부재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4는 패널연결부재A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5는 패널연결부재B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6은 모서리연결부재A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7은 모서리연결부재B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귀퉁이연결부재의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10은 패널부재와 패널연결부재A,B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11은 패널부재와 모서리연결부재A,B 및 귀퉁이연결부재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12는 두 개의 벽체와 천장 사이의 귀퉁이에 대한 귀퉁이연결부재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를 사용하여 바닥판체를 조립하는 과정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4는 발명에 의한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를 사용하여 벽체를 조립하는 과정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5는 발명에 의한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를 사용하여 천장판체를 조립하는 과정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다.
본 발명에 의한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큐브구조 건축물의 바닥과 네 벽체 및 천장의 주요 부분을 구성하기 위한 패널부재(100)(도 1 내지 도 3 참조)와; 상기 바닥과 네 벽체 및 천장에서 상기 패널부재(100)를 연결하기 위한 패널연결부재A,B(200)(300)(도 1, 도 2, 도 4 및 도 5 참조)와; 상기 벽체와 벽체, 네 벽체와 천장, 네 벽체와 바닥 사이의 모서리에서 상기 패널부재(100)를 연결하기 위한 모서리연결부재A,B(400)(500)(도 1, 도 2, 도 6 및 도 7 참조); 및 상기 네 벽체와 천장 사이의 귀퉁이와 상기 네 벽체와 바닥 사이의 귀퉁이에서 상기 패널부재(100)를 연결하기 위한 귀퉁이연결부재(600)(도 1, 도 2, 도 8 및 도 9 참조)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부재(100)는 사각판체형 강질수지제 심재(110)와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110)를 사이에 두고 접합되는 한 쌍의 사각판체형 경량콘크리트 표층재(120)를 포함한다.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110)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120)는 수용성 접착제에 의하여 접합된다.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110)와 경량콘크리트 표층재(120)는 각각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110)의 길이와 폭은 상기 경량콘크리트 표층재(120)의 길이와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110)의 둘레부가 상기 경량콘크리트 표층재(120)의 둘레부보다 사방으로 돌출되어 사방에 결합용 돌출부(130)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도시 예에서는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110)를 그 길이와 폭이 동일한 정사각판체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경량콘크리트 표층재(120)를 그 길이와 폭이 동일한 정사각판체형으로 구성하고 있으나,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110)와 경량콘크리트 표층재(120)를 그 길이가 각각 폭보다 긴 직사각형판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결합용 돌출부(130)는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110)와 경량콘크리트 표층재(120)의 길이의 차이와 폭의 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용 돌출부(130)의 돌출거리(P)는 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설계조건에 따라서 달리할 수 있다.
상기 패널연결부재A,B(200)(300)는 사각판체형 강질수지제 심재(210)(310)와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210)(310)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한 쌍의 사각판체형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220)(320)를 포함한다.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210)(310)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220)(320)는 수용성 접착제에 의해 접합된다.
상기 패널연결부재A(200)의 강질수지제 심재(210)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220)는 각각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패널연결부재B(300)의 강질수지제 심재(310)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320)는 각각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210)의 길이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220)의 길이는 상기 패널부재(100)의 경량콘크리트 표층재(120)의 길이와 동일하게 하고,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210)의 폭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220)의 폭보다 작게 하여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210)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220)의 사이에 상기 패널부재(100)의 결합용 돌출부(130)에 대응하는 결합용 홈부(230)가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결합용 홈부(230)의 깊이는 상기 결합용 돌출부(130)의 돌출거리에 대응하는 깊이로 형성된다.
상기 패널연결부재B(300)는 그 강질수지제 심재(310)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320)의 길이만 상기 패널연결부재A(200)보다 짧게 형성하는 것이며, 여타 구성은 상기 패널연결부재A(200)와 동일하다.
즉, 상기 패널연결부재B(300)의 강질수지제 심재(310)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320)의 길이는 상기 패널연결부재A(200)의 강질수지제 심재(210)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220)의 폭에 상당하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310)의 길이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320)의 길이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310)의 폭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32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310)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320)의 사이에 상기 패널부재(100)의 결합용 돌출부(130)에 대응하는 결합용 홈부(330)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310)의 폭은 상기 패널부재(100)의 강질수지제 심재(11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320)의 폭은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310)에 상기 결합용 돌출부(130)의 돌출거리의 2배를 합친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310)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320)의 폭방향 양측에 상기 결합용 돌출부(130)에 대응하는 결합용 홈부(330)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210)의 길이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220)의 길이는 상기 패널부재(100)의 경량콘크리트 표층재(120)의 길이와 동일하게 하고,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310)의 폭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320)의 폭보다 작게 하여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310)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320) 사이에 상기 패널부재(100)의 결합용 돌출부(130)에 대응하는 결합용 홈부(330)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310)의 폭은 상기 패널부재(100)의 강질수지제 심재(110)의 폭보다 작게 형성하며, 상기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320)의 폭은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310)의 폭에 상기 결합용 돌출부(130)의 돌출거리의 2배를 합친 크기로 형성하여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310)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320)의 폭방향 양측에 상기 결합용 돌출부(130)에 대응하는 결합용 홈부(33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모서리연결부재A,B(400)(500)는 ㄱ자형 단면을 이루는 강질수지제 심재(410)(510)와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410)(510)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한 쌍의 ㄱ자형 단면의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420)(430)(520)(530)를 포함한다.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410)(510)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420)(430)(520)(530)는 수용성 접착제로 접합된다.
상기 모서리연결부재A(400)의 강질수지제 심재(410)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420)는 각각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두께를 가지는 ㄱ자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410)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420)(430)의 길이는 상기 패널부재(100)의 강질수지제 심재(110) 및 경량콘크리트 표층체(120)의 길이와 동일하게 하고, 상기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420)의 폭은 상기 패널연결부재A(200)의 폭과 동일하게 하며,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410)의 폭은 상기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420)의 폭보다 작게 하여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410)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420)의 사이에 상기 패널부재(100)의 결합용 돌출부(130)에 대응하는 결합용 홈부(441)(442)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합용 홈부(441)(442)의 깊이는 상기 패널부재(100)의 결합용 돌출부(130)의 돌출거리에 대응하는 깊이로 형성된다.
상기 모서리연결부재B(500)의 강질수지제 심재(510)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520)(530)는 각각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두께를 가지는 ㄱ자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510)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520)(530)의 길이 및 폭은 상기 모서리연결부재A(400)의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420)의 폭과 동일하게 하고,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510)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520)의 폭은 상기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520)의 폭보다 작게 하여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510)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520)(530)의 사이에 상기 패널부재(100)의 결합용 돌출부(130)에 대응하는 결합용 홈부(541)(542)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합용 홈부(541)(542)의 깊이는 상기 패널부재(100)의 결합용 돌출부(130)의 돌출거리에 대응하는 깊이로 형성된다.
상기 귀퉁이연결부재(600)는 사각판체형 수평판부(611)와 상기 수평판부(611)의 인접하는 모서리에서 직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판부(612)를 가지며 수평판부(611)와 수직판부(612)의 귀퉁이에 절취부(613)(614)가 형성된 강질수지제 심재(610)와,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610)의 수평판부(611)의 바깥면에 대응하는 사각판체형 수평판부(621)와 상기 수평판부(621)의 인접하는 모서리에서 직각을 이루며 연장되어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610)의 한 쌍의 수직판부(612)의 바깥면에 대응하는 한 쌍의 수직판부(622)를 가지는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620) 및,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610)의 수평판부(611)의 안쪽면에 대응하는 사각판체형 수평판부(631)와 상기 수평판부(631)의 인접하는 모서리에서 직각을 이루며 연장되어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610)의 수직판부(612)의 안쪽면에 대응하는 한 쌍의 수직판부(632)를 가지는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630)를 포함한다.
상기 귀퉁이연결부재(600)는 바닥측 또는 천장측 귀퉁이에 배치되는 패널부재(100)의 결합용 돌출부(130)의 단부에 대응하는 결합용 홈부(641)와, 네 벽체판체의 귀퉁이에 배치되는 패널부재(100)의 결합용 돌출부(130)의 양단부에 대응하는 한 쌍의 결합용 홈부(642)를 구비한다(도 8 및 도 9 참조).
상기 결합용 홈부(641)는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610)의 수평판부(611)와 한 쌍의 수직판부(612)의 귀퉁이에 형성된 절취부(613)(614)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110)(210)(310)(410)(510)(610)는 구조적 강도가 높음과 아울러 단열성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한다.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110)의 두께와 경량콘크리트 표층재(120)의 두께는 동일하게 구성하고 있으나, 패널부재(100)에 의해 바닥과 벽체 및 천장을 구성하였을 때 구조적 강도와 단열성 등을 고려하여 그 두께를 설계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110)의 길이와 폭을 1000~2000㎜로 하고, 경량콘크리트 표층재(120)의 길이와 폭을 900~1900㎜로 하며,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110)와 경량콘크리트 표층재(120)의 두께를 60~100㎜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연결부재A(200)는 강질수지제 심재(210)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220)의 길이를 900~1900㎜로 하고,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220)의 폭을 200~300㎜로 할 수 있다. 상기 패널연결부재B(300)는 강질수지제 심재(310)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320)의 길이를 200~300㎜로 하고,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320)의 폭을 200~300㎜로 할 수 있다.
상기 모서리연결부재A(400)의 강질수지제 심재(410)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420)의 길이를 900~1900㎜로 하고,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420)의 폭을 200~300㎜로 할 수 있다. 상기 모서리연결부재B(500)는 강질수지제 심재(510)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520)의 길이를 200~300㎜로 하고,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520)의 폭을 200~300㎜로 할 수 있다.
상기 귀퉁이연결부재(600)는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620)의 길이와 폭을 공히 200~300㎜로 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에 의하여 큐브구조 건축물을 구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바닥판체조립단계]
바닥판체조립단계에서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패널부재(100)를 수평상태로 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바닥측에 배치하고 상기 패널연결부재A(200), 패널연결부재B(300), 모서리연결부재A(400), 모서리연결부재B(500), 귀퉁이연결부재(600)에 의해 결합하여 바닥판체를 조립한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평상태로 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바닥측에 배치한 복수개의 패널부재(100) 사이에 상기 패널연결부재A(200)와 패널연결부재B(300)를 배치하여 상기 결합용 돌출부(130)를 상기 결합용 홈부(230)(330)에 삽입하여 접착제로 접합하며, 상기 바닥에 배치된 복수개의 패널부재(100) 중 모서리에 배치되는 패널부재(100)의 바깥쪽 결합용 돌출부(130)를 상기 모서리연결부재A(400)와 모서리연결부재B(500)의 결합용 홈부(431)(531)에 삽입하여 접착제로 접합하고, 상기 바닥에 배치된 복수개의 패널부재(100) 중 귀퉁이에 배치되는 패널부재(100)의 결합용 돌출부(130)의 단부를 하부 귀퉁이에 배치되는 귀퉁이연결부재(600)의 결합용 홈부(641)에 삽입하여 접착제로 접합한다.
또한 상기 패널연결부재A(200)와 패널연결부재B(300)의 접촉면 사이에도 수용성 접착제를 도포하여 이들 패널연결부재A(200)와 패널연결부재B(300)가 서로 접합되도록 한다.
[벽체조립단계]
벽체조립단계에서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패널부재(100)를 수직상태로 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벽체측에 배치하고 상기 패널연결부재A(200), 패널연결부재B(300), 모서리연결부재A(400), 모서리연결부재B(500), 귀퉁이연결부재(600)에 의해 결합하여 네 벽체를 조립한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직상태로 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네 벽체측에 배치한 복수개의 패널부재(100) 사이에 상기 패널연결부재A(200)와 패널연결부재B(300)를 배치하여 상기 결합용 돌출부(130)를 상기 결합용 홈부(230)(330)에 삽입하여 접착제로 접합하며,
상기 복수개의 패널부재(100) 중 하단에 배치되는 패널부재(100)의 하측 결합용 돌출부(130)를 상기 바닥의 모서리에 배치된 모서리연결부재A(400)와 모서리연결부재B(500)의 결합용 홈부(432)(532)에 삽입하여 접착제로 접합하고,
상기 네 벽체에 배치되는 패널부재(100) 중 모서리에 배치되는 패널부재(100)의 바깥쪽 결합용 돌출부(130)를 상기 네 벽체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모서리연결부재A(400)와 모서리연결부재B(500)의 결합용 홈부(441)(442)(541)(542)에 삽입하여 접착제로 접합한다.
또한 상기 모서리연결부재A(400)와 모서리연결부재B(500)의 접촉면 사이에도 수용성 접착제를 도포하여 이들 모서리연결부재A(400)와 모서리연결부재B(500)가 서로 접합되도록 한다.
[천장판체조립단계]
천장판체조립단계에서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패널부재(100)를 수평상태로 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천장측에 배치하고 패널연결부재A(200), 패널연결부재B(300), 모서리연결부재A(400), 모서리연결부재B(500), 귀퉁이연결부재(600)에 의해 결합하여 천장판체를 조립한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평상태로 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천장측에 배치한 복수개의 패널부재(100) 사이에 상기 패널연결부재A(200)와 패널연결부재B(300)를 상기 복수개의 패널부재(100) 사이에 배치하여 상기 결합용 돌출부(130)를 상기 결합용 홈부(230)(330)에 삽입하여 접착제로 접합하고,
상기 네 벽체측에 배치되는 패널부재(100) 중 상단에 배치되는 패널부재(100)의 상측 결합용 돌출부(130)와 천장에 배치되는 패널부재(100) 중 모서리에 배치되는 패널부재(100)의 바깥쪽 결합용 돌출부(130)를 모서리에 배치되는 모서리연결부재A(400)와 모서리연결부재B(500)의 결합용 홈부(441)(442)(541)(542)에 삽입하여 접착제로 접합하며,
상기 천장에 배치되는 패널부재(100) 중 귀퉁이에 배치되는 패널부재(100)의 결합용 돌출부(130)의 단부를 상부 귀퉁이에 배치되는 귀퉁이연결부재(600)의 결합용 홈부(641)에 삽입하여 접착제로 접합하고,
상기 네 벽체에 배치되는 패널부재(100) 중 귀퉁이에 배치되는 패널부재(100)의 결합용 돌출부(130)의 양단부를 상부 귀퉁이에 배치되는 귀퉁이연결부재(600)의 결합용 홈부(642)에 삽입하여 접착제로 접합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패널부재(100)와 패널연결부재A(200) 및 패널연결부재B(300)에 의해 판체를 구성하여 이를 바닥과 네 벽체와 천장에 배치하였을 때, 각 판체들이 인접하는 8개의 귀퉁이 부분에는 상기 패널부재(100)의 결합용 돌출부(130)의 양단부가 노출된 상태로 된다(도 12 참조).
이는 상기 복수개의 패널부재(100)의 강질수지제 심재(110)의 길이나 폭보다 모서리연결부재A(400)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개의 패널부재(100)가 패널연결부재A(200), 패널연결부재B(300), 모서리연결부재A(400) 및 모서리연결부재B(500)에 의해 결합되어 바닥과 네 벽체 및 천장을 구축하기 위한 각 판체들의 귀퉁이 부분이 만나는 귀퉁이 부분에서 보면, 상기 결합용 돌출부(130)의 양단부가 모서리연결부재A(400)의 결합용 홈부(430)에 삽입되지 않고 노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용 돌출부(130)의 양단부가 노출된 바닥판체와 벽체, 벽체와 천장판체의 귀퉁이 부분에 귀퉁이연결부재(600)를 위치시키면, 상기 결합용 돌출부(130)의 양단부가 상기 귀퉁이연결부재(600)의 결합용 홈부(641)(642)에 일치하게 되며, 상기 결합용 돌출부(130)와 결합용 홈부(641)(642)를 접착제로 접합하는 것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출입문이나 창문을 설치할 경우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패널부재(100)를 결합하지 않고 그 부분에 출입문(700)과 창문(800)을 조립할 수 있다.
상기 출입문(700)과 창문(800)을 구성하는 문틀과 창문틀에는 상기 패널부재(100)의 결합용 돌출부(130)와 같이 결합용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고유사상의 범위 내에서 해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패널부재 200 : 패널연결부재A
300 : 패널연결부재B 400 : 모서리연결부재A
500 : 모서리연결부재B 600 : 귀퉁이연결부재

Claims (8)

  1. 큐브구조 건축물의 바닥과 네 벽체 및 천장의 주요 부분을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체형으로 형성된 심재(110)와 한 쌍의 경량콘크리트 표층재(120)를 접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110)의 길이와 폭을 상기 경량콘크리트 표층재(120)의 길이와 폭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기 심재(110)의 둘레부가 상기 경량콘크리트 표층재(120)의 둘레부보다 사방으로 돌출되어 사방에 결합용 돌출부(130)가 형성하도록 구성된 패널부재(100);
    상기 복수개의 패널부재(100)를 연결하여 상기 큐브구조 건축물의 바닥과 네 벽체 및 천장을 구성하는 판체를 구성하는 패널연결부재A(200)와 패널연결부재B(300);
    상기 바닥과 네 벽체 및 천장이 만나는 모서리부에서 상기 패널부재(100)를 연결하는 모서리 연결부재A(400)와 모서리연결부재B(500); 및
    상기 바닥과 네 벽체 및 천장이 만나는 귀퉁이부에서 상기 패널부재(100)를 연결하는 귀퉁이연결부재(600)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연결부재A(200), 패널연결부재B(300), 모서리연결부재A(400), 모서리연결부재B(500) 및 귀퉁이연결부재(600)는,
    각각 심재(210)(310)(410)(510)(610)와 경량콘크리트 표층재(220)(320)(420)(520)(620)(630)를 접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110)(210)(310)(410)(510)(610)는 구조적 강도와 단열성이 우수한 강질수지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연결부재A(200)는,
    각각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체형으로 형성되는 강질수지제 심재(210)와 한 쌍의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220)를 접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210)의 길이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220)의 길이를 상기 패널부재(100)의 경량콘크리트 표층재(120)의 길이와 동일하게 하고,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210)의 폭을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220)의 폭보다 작게 하여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210)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220)의 사이에 상기 패널부재(100)의 결합용 돌출부(130)에 대응하는 결합용 홈부(230)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연결부재B(300)는,
    각각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체형으로 형성되는 강질수지제 심재(310)와 한 쌍의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320)를 접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310)의 길이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320)의 길이를 상기 패널연결부재A(200)의 길이와 동일하게 하고,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310)의 폭을 경량콘크리트 표층체(320)의 폭보다 작게 하여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310)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320)의 사이에 상기 패널부재(100)의 결합용 돌출부(130)에 대응하는 결합용 홈부(330)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연결부재A(400)는,
    ㄱ자형 단면을 이루는 강질수지제 심재(410)와 한 쌍의 ㄱ자형 단면의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420)(430)를 접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410)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420)의 길이를 상기 패널부재(100)의 강질수지제 심재(110)와 경량콘크리트 표층체(120)의 길이와 동일하게 하고, 상기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420)의 폭을 상기 패널연결부재A(200)의 경량콘크리트 표층체(220)의 폭과 동일하게 하며,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410)의 폭을 상기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420)의 폭보다 작게 하여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410)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420)의 양단부 사이에 상기 패널부재(100)의 결합용 돌출부(130)에 대응하는 결합용 홈부(441)(442)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연결부재B(500)는,
    ㄱ자형 단면을 이루는 강질수지제 심재(510)와 한 쌍의 ㄱ자형 단면의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520)(530)를 접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520)의 길이 및 폭을 상기 모서리연결부재A(400)의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420)의 폭과 동일하게 하고,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510)의 폭을 상기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520)의 폭보다 작게 하여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510)와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520)의 양단부 사이에 상기 패널부재(100)의 결합용 돌출부(130)에 대응하는 결합용 홈부(541)(542)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귀퉁이연결부재(600)는,
    사각판체형 수평판부(611)와 상기 수평판부(611)의 인접하는 모서리에서 직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판부(612)를 가지며 수평판부(611)와 수직판부(612)의 귀퉁이에 절취부(613)(614)가 형성된 강질수지제 심재(610)와,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610)의 수평판부(611)의 바깥면에 대응하는 사각판체형 수평판부(621)와 상기 수평판부(621)의 인접하는 모서리에서 직각을 이루며 연장되어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610)의 한 쌍의 수직판부(612)의 바깥면에 대응하는 한 쌍의 수직판부(622)를 가지는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620) 및,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610)의 수평판부(611)의 안쪽면에 대응하는 사각판체형 수평판부(631)와 상기 수평판부(631)의 인접하는 모서리에서 직각을 이루며 연장되어 상기 강질수지제 심재(610)의 수직판부(612)의 안쪽면에 대응하는 한 쌍의 수직판부(632)를 가지는 경량콘크리트제 표층재(630)를 포함하며,
    상기 귀퉁이연결부재(600)는 바닥측 또는 천장측 귀퉁이에 배치되는 패널부재(100)의 결합용 돌출부(130)의 단부에 대응하는 결합용 홈부(641)와, 네 벽체판체의 귀퉁이에 배치되는 패널부재(100)의 결합용 돌출부(130)의 양단부에 대응하는 한 쌍의 결합용 홈부(642)를 구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
KR1020100091291A 2010-09-16 2010-09-16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 KR101026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291A KR101026077B1 (ko) 2010-09-16 2010-09-16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
PCT/KR2011/006852 WO2012036505A2 (ko) 2010-09-16 2011-09-16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식 부재 및 이를 이용한 큐브구조 건축물의 조립식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291A KR101026077B1 (ko) 2010-09-16 2010-09-16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6077B1 true KR101026077B1 (ko) 2011-03-31

Family

ID=43939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291A KR101026077B1 (ko) 2010-09-16 2010-09-16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0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512B1 (ko) * 2011-10-05 2014-03-04 주식회사 레뉴어빌더스 조립식건축물
WO2016104914A1 (ko) * 2014-12-22 2016-06-30 주식회사 손엔 조립식 다면 형성 기구 및 상기 조립식 다면 형성 기구에 포함되는 연결 고정 클립 및 면체
KR20200086968A (ko) * 2019-01-10 2020-07-20 박중언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
KR20210036072A (ko) * 2019-09-25 2021-04-02 (주)서진라이트 플라스틱 지붕판넬과 플라스틱 벽체판넬을 연결하는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2363A (ko) * 1997-12-31 1999-07-26 김준연 조립식건축물 구축용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2363A (ko) * 1997-12-31 1999-07-26 김준연 조립식건축물 구축용 구조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512B1 (ko) * 2011-10-05 2014-03-04 주식회사 레뉴어빌더스 조립식건축물
WO2016104914A1 (ko) * 2014-12-22 2016-06-30 주식회사 손엔 조립식 다면 형성 기구 및 상기 조립식 다면 형성 기구에 포함되는 연결 고정 클립 및 면체
KR20200086968A (ko) * 2019-01-10 2020-07-20 박중언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
KR102227757B1 (ko) * 2019-01-10 2021-03-12 박중언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
KR20210036072A (ko) * 2019-09-25 2021-04-02 (주)서진라이트 플라스틱 지붕판넬과 플라스틱 벽체판넬을 연결하는 방법
KR102259167B1 (ko) 2019-09-25 2021-06-01 (주)서진라이트 플라스틱 지붕판넬과 플라스틱 벽체판넬을 연결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47038A1 (en) Construction system using interlocking panels
EP2898157B1 (en) Building board and method of mounting
WO2006086228A2 (en) Improved structural insulated panel and panel joint
KR101026077B1 (ko)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
KR101369512B1 (ko) 조립식건축물
KR101835354B1 (ko) 콘크리트 충전형 기둥과 십자형 연결재를 이용한 유닛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50100093A (ko) 스티로폼을 이용한 돔 하우스
KR101021514B1 (ko)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식 시공 방법
US20190234061A1 (en) An architectural structure
KR101193352B1 (ko) 조립식 목조 주택용 나무 블록
KR101884846B1 (ko) 샌드위치 패널 및 이의 결합 방법
KR20130024101A (ko) 큐브구조 건축물의 조립식 시공 방법
KR20190017317A (ko) 큐브구조 건축물의 시공방법
KR20130023454A (ko) 큐브구조 건축물의 조립식 시공 방법
KR200462650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건축 구조체
KR102060278B1 (ko)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
KR101830357B1 (ko) 벽체 시공용 블록을 이용한 코너 연결구조
KR101925956B1 (ko) 벽체 시공용 블록 및 중공형 판재 기둥을 이용한 코너 연결구조
KR101784574B1 (ko) 이중창을 결합하기 위해 내구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컨테이너 하우스 제작방법
KR20190131659A (ko) 목재블록벽체
JPH0791863B2 (ja) 建築物の木造骨組構造
JP2006037353A (ja) 基準壁パネルと積層壁パネル
JP3361474B2 (ja) 建築構造要素
KR102060279B1 (ko)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시공방법
KR20180083510A (ko) 단열구조를 갖는 건축용 벽체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