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968A -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 - Google Patents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6968A
KR20200086968A KR1020190003407A KR20190003407A KR20200086968A KR 20200086968 A KR20200086968 A KR 20200086968A KR 1020190003407 A KR1020190003407 A KR 1020190003407A KR 20190003407 A KR20190003407 A KR 20190003407A KR 20200086968 A KR20200086968 A KR 20200086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wall panel
ceiling
support
righ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7757B1 (ko
Inventor
박중언
Original Assignee
박중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중언 filed Critical 박중언
Priority to KR1020190003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757B1/ko
Publication of KR20200086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46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the supporting structure consisting of other specified material, e.g.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04B1/61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protrusions on the one frontal surface co-operating with recesses in the other frontal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패널과 패널 간의 결합 구조를 최적화하여 구조가 매우 간단하면서도 구조적으로 결합력이 획기적으로 극대화될 수 있는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이 개시된다.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은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 판넬; 상기 바닥 판넬과 마주하며 천장면을 형성하는 천장 판넬; 상기 바닥 판넬과 천장 판넬의 사이를 지지하며, 각각 좌측면과 우측면을 형성하는 좌측벽 판넬 및 우측벽 판넬; 상기 바닥 판넬과 천장 판넬의 사이를 지지하며, 각각 전방면과 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벽 판넬 및 후방벽 판넬; 상기 바닥 판넬과 좌측벽 판넬의 사이, 바닥 판넬과 우측벽 판넬의 사이, 천장 판넬과 좌측벽 판넬의 사이, 천장 판넬과 우측벽 판넬의 사이를 연결하는 모서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벽 판넬과 후방벽 판넬의 내측면에는 전방과 후방을 향해 각각 돌출 연장된 지지 기둥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 판넬, 천장 판넬, 좌측벽 판넬 및 우측벽 판넬과 각 판넬의 사이에 결합된 모서리 부재에는 상기 지지 기둥부를 삽입시키는 지지 홈부가 요입 형성된다.

Description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HOUSING ASSEMBLY OF BLOCK TYPE MODULE}
본 발명은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소재를 이용하여 가벼우면서 견고한 조립식 건물 구조를 제공하는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 주택은 소형으로 이루어지고 이동이 편리하도록 만들어진다. 컨테이너는 무역 항로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운송 수단으로서, 각 나라를 연결하는 항구에는 수출 물품들을 가득 실은 많은 양의 컨테이너가 적재되어 있다. 최근에는, 폐 컨테이너를 건축 소재로 활용하는 컨테이너 조립 주택이 상용화되고 있다.
상기 컨테이너 조립 주택은 건물의 폭, 길이 및 높이 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고, 모든 구성이 일체로 형성되어 조립, 설치 및 분해가 쉽지 않으며, 큰 중량을 가져 설치 장소의 제약을 받는 단점이 있었다.
선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5266호(2009.07.06)에는 간이 건물의 폭과 길이 및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조립식 건물이 개시된바 있다.
하지만, 선 출원된 문헌은 패널과 패널 간의 연결 구조가 복잡하고 많은 양의 패널이 요구되기 때문에 제조 단가가 높고 생산성이 저하되며 시공 기일도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조립 주택은 결합 구조가 견고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5266호(2009.07.06)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최소한의 패널 개수로 시공이 가능하고 가벼우며 매우 견고할 뿐 아니라 시공 기일이 짧아 생산성이 향상되는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패널과 패널 간의 결합 구조를 최적화하여 구조가 매우 간단하면서도 구조적으로 결합력이 획기적으로 극대화될 수 있는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은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 판넬; 상기 바닥 판넬과 마주하며 천장면을 형성하는 천장 판넬; 상기 바닥 판넬과 천장 판넬의 사이를 지지하며, 각각 좌측면과 우측면을 형성하는 좌측벽 판넬 및 우측벽 판넬; 상기 바닥 판넬과 천장 판넬의 사이를 지지하며, 각각 전방면과 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벽 판넬 및 후방벽 판넬; 상기 바닥 판넬과 좌측벽 판넬의 사이, 바닥 판넬과 우측벽 판넬의 사이, 천장 판넬과 좌측벽 판넬의 사이, 천장 판넬과 우측벽 판넬의 사이를 연결하는 모서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벽 판넬과 후방벽 판넬의 내측면에는 전방과 후방을 향해 각각 돌출 연장된 지지 기둥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 판넬, 천장 판넬, 좌측벽 판넬 및 우측벽 판넬과 각 판넬의 사이에 결합된 모서리 부재에는 상기 지지 기둥부를 삽입시키는 지지 홈부가 요입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은 최소한의 패널 개수로 시공이 가능하고 가벼우며 매우 견고할 뿐 아니라 시공 기일이 짧아 생산성이 향상되며, 패널과 패널 간의 결합 구조를 최적화하여 구조가 매우 간단하면서도 구조적으로 결합력이 획기적으로 극대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분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방벽 판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D-D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A-A선을 따른 부분 절단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E"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도 1의 B-B선을 따른 부분 절단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F"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서리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서리 부재의 측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9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 판넬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의 C-C선을 따른 부분 절단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G"를 확대 도시한 것이고,
도 16은 도 15의 측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100)은 전체적으로 대략 6면체 형상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각 모서리가 라운드진 형태의 직육면체 형상이다.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100)은 바닥 판넬(110)과, 천장 판넬(120)과, 좌측벽 판넬(130) 및 우측벽 판넬(140)과, 전방벽 판넬(150) 및 후방벽 판넬(160)과, 모서리 부재(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의 폭 방향이 전후 방향이며, 길이 방향이 횡 방향이고, 높이 방향이 종 방향이다. 본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방향은 각 구성 간의 결합 관계를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본 실시 예에서 설명된 방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닥 판넬(110)과, 천장 판넬(120)과, 좌측벽 판넬(130) 및 우측벽 판넬(140)과, 전방벽 판넬(150) 및 후방벽 판넬(160)은 모두 두께가 비교적 얇고 평평한 판(Plate) 형상이며, 섬유강화플라스틱(FRP:Fiber Reinforced Plastics)으로 이루어진다. 모서리 부재(200)는 두께가 비교적 얇고 유선형의 판 형상이며,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100)에는 윈도우(101) 및 도어(102)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바닥 판넬(110)은 바닥면을 형성하며, 천장 판넬(120)은 바닥 판넬(110)과 마주하며 천장면을 형성한다. 좌측벽 판넬(130)은 바닥 판넬(110)과 천장 판넬(120)의 사이를 지지하며, 좌측면을 형성한다. 우측벽 판넬(140)은 바닥 판넬(110)과 천장 판넬(120)의 사이를 지지하며, 우측면을 형성한다. 전방벽 판넬(150)은 바닥 판넬(110)과 천장 판넬(120)의 사이를 지지하며, 전방면을 형성한다. 후방벽 판넬(160)은 바닥 판넬(110)과 천장 판넬(120)의 사이를 지지하며, 후방면을 형성한다.
모서리 부재(200)는 바닥 판넬(110)과 좌측벽 판넬(130)의 사이, 바닥 판넬(110)과 우측벽 판넬(140)의 사이, 천장 판넬(120)과 좌측벽 판넬(130)의 사이, 천장 판넬(120)과 우측벽 판넬(130)의 사이를 연결한다. 모서리 부재(200)는 외측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빗물 등이 원활히 하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외적인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닥 판넬(110), 천장 판넬(120), 좌측벽 판넬(130) 및 우측벽 판넬(140)과 각 판넬의 사이에 결합된 모서리 부재(200)에는 지지 홈부(500)가 요입 형성된다. 지지 홈부(500)는 후술할 지지 기둥부(600)를 삽입시킨다. 지지 홈부(500)는 바닥 판넬(110), 천장 판넬(120), 좌측벽 판넬(130) 및 우측벽 판넬(140), 모서리 부재(200)에 각각 형성되며, 폭 방향으로 전방과 후방에 각각 요입 형성된다.
전방벽 판넬(150)과 후방벽 판넬(160)의 내측면에는 전방과 후방을 향해 각각 돌출 연장된 지지 기둥부(600)가 형성된다. 지지 기둥부(600)는 지지 홈부(500)에 삽입된다. 전방벽 판넬(150)의 내측면(151)에 형성된 지지 기둥부(600)는 바닥 판넬(110), 천장 판넬(120), 좌측벽 판넬(130) 및 우측벽 판넬(140), 모서리 부재(200)의 전방에 형성된 지지 홈부(500)에 삽입된다. 후방벽 판넬(160)의 내측면에 형성된 지지 기둥부(600)는 바닥 판넬(110), 천장 판넬(120), 좌측벽 판넬(130) 및 우측벽 판넬(140), 모서리 부재(200)의 후방에 형성된 지지 홈부(500)에 삽입된다.
지지 홈부(500)는 바닥 판넬(110), 좌측벽 판넬(130), 천장 판넬(120) 및 우측벽 판넬(140), 모서리 부재(200)의 전방면과 후방면에 요입 형성되며, 지지 기둥부(600)는 지지 홈부(500)에 대응되게 전방벽 판넬(150)과 후방벽 판넬(160)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된다.
지지 기둥부(600)는 바닥 판넬(110), 좌측벽 판넬(130), 천장 판넬(120) 및 우측벽 판넬(140), 모서리 부재(200)에 형성된 지지 홈부(500)에 삽입됨에 따라, 폭 방향으로 지지 기둥부(600)와 지지 홈부(500)가 서로 체결되어 구속된다. 이와 동시에, 지지 기둥부(600)가 지지 홈부(500)에 삽입됨에 따라, 바닥 판넬(110), 좌측벽 판넬(130), 천장 판넬(120) 및 우측벽 판넬(140), 모서리 부재(200)는 길이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응집되어 구속된다.
6개의 면으로 이루어진 바닥 판넬(110), 천장 판넬(120), 좌측벽 판넬(130) 및 우측벽 판넬(140), 전방벽 판넬(150) 및 후방벽 판넬(160)은 최소한의 판넬의 개수(6개)로 육면체 형상의 단위 블럭을 만들 수 있고, 각 판넬들 간의 조립이 간단한 구조로 견고한 고정 구조를 갖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전술한 선행기술의 조립 구조와 비교하여 큰 장점을 갖는다. 즉, 복수개의 단위 판넬들을 적층하여 1개의 면을 구성하고 다시 복수개의 단위 판넬들을 적층하여 다른 1개의 면을 구성하여 6개의 면을 형성하는 선행기술의 조립 구조에 비해, 본 실시 예의 조립 구조는 6개의 판넬로 지지 기둥부(600)와 지지 홈부(500)의 결합 구조를 통해 견고하고 간단한 조립 구조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지지 기둥부(600)와 지지 홈부(500)의 결합 구조는 6개의 각 판넬들이 섬유강화플라스틱(FRP:Fiber Reinforced Plastics)으로 이루어져 구현 가능하다. FRP는 매우 가벼울 뿐 아니라 구조적인 강도가 매우 우수하여 휨 등의 변형에 매우 안정적이다. 따라서, 1~2명의 작업자가 간단한 운반 도구 등을 이용하여 각 판넬을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며, 작업 시간도 크게 줄일 수 있다.
지지 기둥부(600)와 지지 홈부(500)의 결합 구조는 판넬이 금속이나 다른 합성수지 또는 그 밖의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적용하기 힘들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와 같이 FRP 재질로 이루어진 판넬들 간의 결합 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FRP로 이루어진 지지 기둥부와 지지 홈부의 결합 구조는 폭 방향, 길이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서로 견고히 고정되게 하며, 지지 기둥부(600)가 기둥 역할을 하여 휨 등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지지 기둥부(600)는 판넬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되, 판넬의 측면(155)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판넬의 테두리 및 판넬의 측면은 전방벽 판넬(150) 및 후방벽 판넬(160)의 테두리 및 측면을 의미한다. 지지 기둥부(600)는 지지 홈부(500)와 마주하는 면에 경사진 접촉면(601)이 형성되어, 지지 기둥부(600)가 단부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 기둥부(600)와 지지 홈부(500)의 결합 구조는 전방벽 판넬(150)과 우측벽 판넬(140) 간의 결합 구조를 예로 든 것이다. 전방벽 판넬(150)과 바닥판 판넬(110) 간의 결합, 전방벽 판넬(150)과 좌측벽 판넬(130) 간의 결합, 전방벽 판넬(150)과 천장 판넬(120) 간의 결합, 전방벽 판넬(150)과 모서리 부재(200) 간의 결합도 동일하다. 아울러, 바닥 판넬(110), 좌측벽 판넬(130), 천장 판넬(120) 및 우측벽 판넬(140), 모서리 부재(200)과 후방벽 판넬(160) 간의 결합 구조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방벽 판넬(150)과 우측벽 판넬(140), 천장 판넬(120) 및 우측벽 판넬(140)과 천장 판넬(120) 사이를 연결하는 모서리 부재(200)들 간의 결합 구조를 일 예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지지 기둥부(600)는 전방벽 판넬(150)의 측면(155)에서 이격 부위(602)만큼 떨어진 곳에 형성된다. 지지 홈부(500)는 폭 방향으로 우측벽 판넬(140)의 단부(505)에서 요입되게 형성된다. 폭 방향으로 지지 기둥부(600)의 단부는 폭 방향으로 지지 홈부(500)의 바닥면(502)에 밀착 결합되며, 우측벽 판넬(140)의 폭 방향 단부(505)는 전방벽 판넬(150)의 이격 부위(602)에 밀착 결합된다.
이 경우, 지지 기둥부(600)는 지지 홈부(500)와 마주하는 면에 접촉면(601)이 형성되고 지지 홈부(500)에도 상기 접촉면(601)에 대응되는 접촉면이 형성된 구성을 통해, 지지 기둥부(600)가 지지 홈부(500)에 삽입시 폭 방향으로의 구속력을 증대시켜 전방벽 판넬(150)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아울러, 지지 기둥부(600)는 그 자체로 조립 주택의 기둥 역할을 하며, 지지 기둥부(600)가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구조적인 강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 기둥부(600)의 내측면과 판넬의 내측면이 이루는 각도(a)는 90°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지지 기둥부(600)는 전방벽 판넬(150)에서 외측으로 벌어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전방벽 판넬(150)이 바닥 판넬(110), 좌측벽 판넬(130), 천장 판넬(120) 및 우측벽 판넬(140), 모서리 부재(200)로 이루어진 조립체에 결합될 때, 지지 기둥부(600)가 지지 홈부(500)에 삽입되면서 내측으로 소정 각도 탄성 변형되면서 압착 결합되고, 결합된 후에는 지지 기둥부(600)가 외측으로 벌어지려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지지 홈부(500)와의 결합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전방벽 판넬(150)의 측면(155)은 폭 방향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전방벽 판넬(150)의 측면(155)과 전방벽 판넬(150)의 내측면(151)이 이루는 각도(b)는 90°보다 크게 이루어진다. 한편, 후방벽 판넬의 측면은 폭 방향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빗물 등이 원활히 하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전방벽 판넬(150)과 천장 판넬(120)도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전방벽 판넬(150)과 후측벽 판넬(140)의 결합 구조와 동일하게 결합이 이루어진다.
바닥 판넬(110), 천장 판넬(120), 좌측벽 판넬(130) 및 우측벽 판넬(140)에는 각각 길이 방향 양단부에 제1 단차부(700)가 구비된다. 이 경우, 각 판넬의 길이 방향은 도 1에 도시된 "길이 방향"이거나 "높이 방향"일 수 있다. 즉, 바닥 판넬(110) 및 천장 판넬(120)의 길이 방향은 도 1의 "길이 방향"과 동일 방향이며, 좌측벽 판넬(130)과 우측벽 판넬(140)의 길이 방향은 도 1의 "높이 방향"과 동일 방향이다.
제1 단차부(700)는 바닥 판넬(110), 천장 판넬(120), 좌측벽 판넬(130) 및 우측벽 판넬(140)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서 돌출 연장된다. 제1 단차부(700)에는 제1 경사면(710)이 형성된다. 제1 경사면(710)은 제1 단차부(700)의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모서리 부재(200)에는 제2 단차부(220)가 구비된다. 제2 단차부(220)는 모서리 부재(200)의 몸체(210)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형성되어 마주하는 판넬의 제1 단차부(700)에 결합된다. 제2 단차부(220)에는 제1 경사면(710)에 대응되는 제2 경사면(225)이 형성된다. 모서리 부재(200)에는 폭방향 돌출부(230)가 구비된다. 폭방향 돌출부(230)는 폭 방향으로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모서리 부재(200)의 양단에 지지 홈부(500)를 형성하도록 돌출된다.
지지 홈부(500)는 바닥 판넬(110), 좌측벽 판넬(130), 천장 판넬(120) 및 우측벽 판넬(140)과 각 판넬 사이에 연결된 모서리 부재(200)를 따라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아울러, 전방벽 판넬(150) 및 후방벽 판넬(160)에 형성되는 지지 기둥부(600)도 지지 홈부(500)에 대응되게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폭방향 돌출부(230)는 지지 기둥부(600)와 마주하는 면에 제3 경사면(223)이 형성된다. 폭방향 돌출부(230)는 폭 방향 단부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폭 방향으로 제2 단차부(220)와 폭방향 돌출부(230)의 경계에 제4 경사면(221)이 형성된다. 즉, 제2 단차부(220)는 제4 경사면(221)을 기준으로 폭이 커지다가 폭 방향으로 제2 단차부(220)의 단부(222)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단차부(700)는 폭 방향으로 천장 판넬(120)의 단부에서 일정 거리(h)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제1 단차부(700)는 폭 방향으로 단부에 제4 경사면(221)에 대응되는 제5 경사면(721)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 11, 도 13,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 기둥부(600)가 경사진 접촉면(601)을 통해 지지 홈부(500)에 삽입되고, 제1 단차부(700)는 제1 경사면(710)이 형성되어 모서리 부재(200)의 제2 경사면(225)이 형성된 제2 단차부(220)와 결합된다. 아울러, 제4 경사면(221)이 제5 경사면(721)에 맞물려 접촉됨에 따라, 전방벽 판넬(150), 천장 판넬(120) 및 모서리 부재(200)는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서로 완벽하게 구속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의 구성이 가능하고 조립성이 현저히 개선되며, 구조적으로도 매우 안정적이므로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
110: 바닥 판넬 120: 천장 판넬
130: 좌측벽 판넬 140: 우측벽 판넬
150: 전방벽 판넬 160: 후방벽 판넬
200: 모서리 부재 220: 제2 단차부
221 제4 경사면 223: 제3 경사면
225: 제2 경사면 230: 폭방향 돌출부
500: 지지 홈부 600: 지지 기둥부
601: 접촉면 700: 제1 단차부
710: 제1 경사면 721: 제5 경사면

Claims (5)

  1.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 판넬(110);
    상기 바닥 판넬(110)과 마주하며 천장면을 형성하는 천장 판넬(120);
    상기 바닥 판넬(110)과 천장 판넬(120)의 사이를 지지하며, 각각 좌측면과 우측면을 형성하는 좌측벽 판넬(130) 및 우측벽 판넬(140);
    상기 바닥 판넬(110)과 천장 판넬(120)의 사이를 지지하며, 각각 전방면과 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벽 판넬(150) 및 후방벽 판넬(160);
    상기 바닥 판넬(110)과 좌측벽 판넬(130)의 사이, 바닥 판넬(110)과 우측벽 판넬(140)의 사이, 천장 판넬(120)과 좌측벽 판넬(130)의 사이, 천장 판넬(120)과 우측벽 판넬(130)의 사이를 연결하는 모서리 부재(200)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벽 판넬(150)과 후방벽 판넬(160)의 내측면에는 전방과 후방을 향해 각각 돌출 연장된 지지 기둥부(600)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 판넬(110), 천장 판넬(120), 좌측벽 판넬(130) 및 우측벽 판넬(140)과 각 판넬의 사이에 결합된 모서리 부재(200)에는 상기 지지 기둥부(600)를 삽입시키는 지지 홈부(500)가 요입 형성되는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둥부(600)는, 판넬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되 판넬의 측면(155)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지지 홈부(500)와 마주하는 면에 경사진 접촉면(601)이 형성되어 지지 기둥부(600)가 단부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 기둥부(600)의 내측면과 판넬의 내측면이 이루는 각도(a)가 90°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판넬(110), 천장 판넬(120), 좌측벽 판넬(130) 및 우측벽 판넬(140)에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양단부에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제1 경사면(710)이 형성된 제1 단차부(700)가 구비되고,
    상기 모서리 부재(200)는,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형성되어 마주하는 판넬의 제1 단차부(700)에 결합되도록 제1 경사면(710)에 대응되는 제2 경사면(225)이 형성된 제2 단차부(220)가 구비되는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부재(200)는, 폭 방향으로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모서리 부재(200)의 양단에 상기 지지 홈부(500)를 형성하도록 돌출된 폭방향 돌출부(230)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 홈부(500)는 바닥 판넬(110), 좌측벽 판넬(130), 천장 판넬(120) 및 우측벽 판넬(140)과 각 판넬 사이에 연결된 모서리 부재(200)를 따라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 돌출부(230)는 지지 기둥부(600)와 마주하는 면에 제3 경사면(223)이 형성되어 폭 방향 단부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도록 구성되고,
    폭 방향으로 상기 제2 단차부(220)와 폭방향 돌출부(230)의 경계에 제4 경사면(221)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단차부(700)는 폭 방향으로 판넬의 단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되, 폭 방향으로 단부에 상기 제4 경사면(221)에 대응되는 제5 경사면(7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
KR1020190003407A 2019-01-10 2019-01-10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 KR102227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407A KR102227757B1 (ko) 2019-01-10 2019-01-10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407A KR102227757B1 (ko) 2019-01-10 2019-01-10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968A true KR20200086968A (ko) 2020-07-20
KR102227757B1 KR102227757B1 (ko) 2021-03-12

Family

ID=71831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407A KR102227757B1 (ko) 2019-01-10 2019-01-10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7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266Y1 (ko) 2009-03-30 2009-07-14 이대화 조립식 건물의 구조
KR101026077B1 (ko) * 2010-09-16 2011-03-31 (주)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
KR20130024101A (ko) * 2011-08-30 2013-03-08 박치형 큐브구조 건축물의 조립식 시공 방법
KR101265140B1 (ko) * 2011-10-27 2013-05-24 문근환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조립용 패널 프레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266Y1 (ko) 2009-03-30 2009-07-14 이대화 조립식 건물의 구조
KR101026077B1 (ko) * 2010-09-16 2011-03-31 (주)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
KR20130024101A (ko) * 2011-08-30 2013-03-08 박치형 큐브구조 건축물의 조립식 시공 방법
KR101265140B1 (ko) * 2011-10-27 2013-05-24 문근환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조립용 패널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7757B1 (ko) 2021-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5634B2 (en) Plastic expandable utility shed
US6892497B2 (en) Plastic panel enclosure system
US6185878B1 (en) Modular panel construction system
US8381468B2 (en) Modular building structure
US7155865B2 (en) Prefabricated housing structure
KR101409772B1 (ko) 조립식 수납함
KR100300753B1 (ko) 선반 또는 수납장용 조립식 프레임 부재세트
KR102221604B1 (ko) 커튼월 및 이의 생산 방법
KR101841156B1 (ko) 조립식 다단 수납장
KR20200086968A (ko)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
CN107143032B (zh) 一种易于安装的集装箱及集装箱式活动房
KR20200090272A (ko)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
KR100822320B1 (ko) 판유리 양면 적재용 조립식 박스
KR100510083B1 (ko) 납골함 안치단
KR100620363B1 (ko) 중공단면의 조립식 복합소재 패널용 코너 커넥터 및 이를이용한 구조물
KR101844991B1 (ko) 모듈패널형 컨테이너
US20050144859A1 (en) Construction kit
KR200377456Y1 (ko) 중공단면의 조립식 복합소재 패널용 코너 커넥터 및 이를이용한 구조물
CN220010826U (zh) 侧开门箱角柱和集装箱
KR102136835B1 (ko) 조립식 가변상자
CN217129077U (zh) 一种组合式集装箱
KR200490323Y1 (ko) 복층패널 이음연결용 프레임
CN204112498U (zh) 叠梁的单向自锁式抗剪切力连接器
JP6830709B1 (ja) ログハウス
US20240175260A1 (en) Partition Wall with Two-Piece Colum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