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279B1 -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279B1
KR102060279B1 KR1020190073830A KR20190073830A KR102060279B1 KR 102060279 B1 KR102060279 B1 KR 102060279B1 KR 1020190073830 A KR1020190073830 A KR 1020190073830A KR 20190073830 A KR20190073830 A KR 20190073830A KR 102060279 B1 KR102060279 B1 KR 102060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block
joining
fastening
bolt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신
Original Assignee
박준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신 filed Critical 박준신
Priority to KR1020190073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2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23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the supporting structure consisting of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측이 개방된 'ㅁ'자 형상의 콘크리트체로 형성되는 바디블럭부 및 바디블럭부의 개방된 양측을 밀폐하는 제1 벽체부와 제2 벽체부를 형성하는 벽체부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에 있어서, 주택 또는 건축물을 시공하는 지면에 기초바닥을 배치하고, 기초바닥의 상부에 제1 내지 제n개 중 제1개의 바디블럭부를 안착시키는 제1 공정과 제1개의 바디블럭부의 상부에 제2개 내지 제n개의 바디블럭부를 적층시키는 제2 공정과 제1개의 바디블럭부의 측면에 제2 내지 제n개의 바디블럭부를 접합시키는 제3 공정 및 제3 공정 후, 바디블럭부의 양측을 벽체부로 밀폐하여 실내공간을 형성시키는 제4 공정을 포함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HOUSING STRUCTURE}
본 발명은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블럭으로 이루어진 PC(Precast Concrete) 구조체를 형성하는 바디블럭부의 상부 및 다른 바디블럭부의 하부를 결합하고, 측면방향으로 접합시킨 후, 개방된 바디블럭부의 양측을 벽체부로 밀폐하여 주택을 조립 시공함으로써, 구조체의 결합력이 견고하여 내구성이 향상되고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건물 등의 시공은, 먼저 건축하고자 하는 지면을 파내어 터잡기 공사를 진행한 다음, 터잡기 공사가 이루어진 공간에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지반을 구축한 후, 구축된 지반에 건축하고자 하는 주택이나 건물의 구조에 따라 내부에 철근이 배근된 내, 외측 거푸집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내, 외측 거푸집이 설치되면, 설치된 내, 외측 거푸집의 내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본적인 벽체를 시공하며, 벽체시공이 이루어진 후에는 타설된 콘크리트의 충분한 양생시간을 거치게 되고 콘크리트의 양생이 이루어지고 나면, 다시 시공된 벽체의 천정슬라브를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설치 공사를 진행하며 천정슬라브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과정을 거쳐 기본적인 주택이나 건물의 구조를 완성한다.
또한, 기본적인 건물의 구조가 완성되면 벽돌 등과 같은 내외장재를 이용하여 건물의 내벽면과 외벽면을 마감하고, 기타 전기배선이나 수도배관 등을 시공한 다음 주택을 완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시공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주택 또는 건물의 시공은, 예를 들어 내, 외측 거푸집을 설치하거나 또는 내, 외측 거푸집의 내부에 철근을 배근하거나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또는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하기 때문에 주택시공기간이 오래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로서, 등록특허 10-1356781호인 공기단축을 위한 주택의 벽체틀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이 안출된 바 있다.
이는 하부층과 상부층으로 나누어지는 다층으로 구성된 주택의 벽체틀 제작방법에서, 내측거푸집과 외측거푸집을 조립하고 내, 외측 거푸집 외면에 일정간격마다 가로, 세로방향으로 보강재를 설치하는 제1단계, 내측거푸집과 외측거푸집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제2단계, 내측거푸집과 외측거푸집 사이에 간격재를 설치하는 제3단계 및 전체적으로 일측이 개방된 ㄷ자형의 형태를 가지면서 이 개방된 부위가 내, 외측거푸집 상단에 씌워져 내, 외측거푸집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연결강을 설치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4단계의 연결강은 일측이 개방된 ㄷ자형의 형태 대신에 ㄴ자 형태의 단면으로 구성된 머리부와 머리부의 단부에서 직교 연장되는 몸체부가 결합된 부재 한 쌍이 소정 이격되어 서로 대칭되게 마주보는 형태로 구성되되, 머리부는 수직부분에 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양중구멍과 다수 개의 제1볼트홈이 형성되며 몸체부는 상부에 제2볼트홈이 구성되고 제2볼트홈 아래방향으로 내측에 일정높이마다 갈고리 형태의 걸림고리가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내, 외측거푸집을 보강재 및 보강판으로 보강하여 견고하게 구성하고 내, 외측 거푸집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 연결강을 이용함으로써 크레인으로 쉽게 들어올려 계획된 위치에 이동시킨 후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주택이 시공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내, 외측거푸집을 먼저 설치한 다음 내, 외측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주택을 시공하기 때문에, 거푸집 설치작업에 따른 인건비용의 부담과 함께 작업시간이 추가된다.
또한,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시간에 따른 공사기간의 지연은 물론 주택을 다층으로 시공하기 위해서는 양생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에 내, 외측 거푸집을 재 설치하고 다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진행해야 하는 공정에 의해 주택시공기간이 길어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56781호(2014.01.20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062627호(2008.07.03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각각의 블럭으로 이루어진 PC(Precast Concrete) 구조체를 형성하는 바디블럭부의 상부 및 다른 바디블럭부의 하부를 결합하고, 측면방향으로 접합시킨 후, 개방된 바디블럭부의 양측을 벽체부로 밀폐하여 주택을 조립시공함으로써, 구조체의 결합력이 견고하여 내구성이 향상되고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양측이 개방된 'ㅁ'자 형상의 콘크리트체로 형성되는 바디블럭부 및 상기 바디블럭부의 개방된 양측을 밀폐하는 제1 벽체부와 제2 벽체부를 형성하는 벽체부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에 있어서,
주택 또는 건축물을 시공하는 지면에 기초바닥을 배치하고, 상기 기초바닥의 상부에 제1 내지 제n개 중 제1개의 바디블럭부를 안착시키는 제1 공정,
상기 제1개의 바디블럭부의 상부에 제2개 내지 제n개의 바디블럭부를 적층시키는 제2 공정,
상기 제1개의 바디블럭부의 측면에 상기 제2 내지 제n개의 바디블럭부를 접합시키는 제3 공정 및
상기 제3 공정 후, 상기 바디블럭부의 양측을 상기 벽체부로 밀폐하여 실내공간을 형성시키는 제4 공정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정은 상기 제1개의 바디블럭부의 상부 외면에 형성된 체결돌기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개의 바디불럭부의 하부 외면에 형성된 체결홈부를 안착하여 결합시키는 적층단계, 상기 제2 개의 바디블럭부의 하부 내면에 형성된 수용홈의 일면에 베이스판을 배치하고, 상기 베이스판을 통과하여 상기 수용홈과 상기 체결홈부에 연통하는 홀에 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체결돌기부의 내부에 매립된 너트와 결합시키는 체결단계 및 상기 체결단계 후, 상기 제2 개의 바디블럭부의 하부 내면에 노출된 상기 볼트를 폐쇄시키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마감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 공정은 상기 제1개의 바디블럭부의 개방된 일측에 형성된 접합돌기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개의 바디블럭부의 개방된 타측에 형성된 접합홈부를 밀착하여 접합시키는 접합단계, 상기 접합돌기부 및 상기 접합홈부에 형성된 접합홀에 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접합돌기부의 내부에 매립된 너트와 결합시키는 접합체결단계 및 상기 접합체결단계 후, 상기 바디블럭부의 내측면에 노출된 상기 볼트를 폐쇄시키도록 마감시키는 접합마감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4 공정은 제1 내지 제n개 중 어느 하나의 바디블럭부의 개방된 일측에 형성된 상기 접합돌기부에 상기 제1 벽체부를 밀착시키는 제1 밀착단계, 상기 접합돌기부에 형성된 접합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벽체부에 형성된 홀에 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접합돌기부의 내부에 매립된 너트와 결합시키는 제1 체결단계, 제1 내지 제n개 중 어느 하나의 바디블럭부의 개방된 타측에 형성된 상기 접합홈부에 상기 제2 벽체부를 밀착시키는 제2 밀착단계 및 상기 접합홈부에 형성된 접합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벽체부에 형성된 홀에 볼트를 삽입하되, 상기 제2 벽체부의 내측에서 상기 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접합홈부에 매립된 너트와 결합시키는 제2 체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시공방법은 건축물을 구성하는 천정, 바닥, 벽체를 하나의 콘크리트 바디블럭부로 형성하도록 제조하는 공장에서 양산하고, 이를 건설현장에서 상하 적층 및 측면방향으로 연속적인 결합이 가능하여 주택이나 건축물의 시공시간을 단축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시공방법은 바디블럭부의 상하 적층 및 측면방향으로 접합 결합 시, 내부에 베이스판 및 너트를 매립시킴으로써, 현장에서 볼트를 구비하여 너트에 나선 결합시키는 작업으로 편리하고 용이하게 제1 내지 제n개의 바디블럭부를 조립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시공방법은 공정의 단순화로 주택시공의 단순화와 함께 공사기간을 단축함에도 견고한 주택 조립이 가능하여 내구성이 형상된 조립식 주택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시공방법의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제2 공정 내지 제4 공정의 개념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를 단면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제2 공정의 마감단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B 및 C를 단면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벽체부를 밀착하기 위해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를 다양하게 적층 및 접합시킨 개념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시공방법의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제2 공정 내지 제4 공정의 개념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를 단면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제2 공정의 마감단계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B 및 C를 단면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벽체부를 밀착하기 위해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를 다양하게 적층 및 접합시킨 개념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시공방법은 제1 공정(S10), 제2 공정(S20), 제3 공정(S30) 및 제4 공정(S4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시공방법은 양측이 개방된 'ㅁ'자 형상의 콘크리트체로 형성되는 바디블럭부(100) 및 바디블럭부의 개방된 양측을 밀폐하는 제1 벽체(210)부와 제2 벽체부(220)를 형성하는 벽체부(200)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10)에 있어서, 주택 또는 건축물을 시공하는 지면에 기초바닥을 배치하고, 기초바닥의 상부에 제1 내지 제n개 중 제1개의 바디블럭부를 안착시키는 제1 공정(S10), 제1개의 바디블럭부의 상부에 제2개 내지 제n개의 바디블럭부를 적층시키는 제2 공정(S20), 제1개의 바디블럭부의 측면에 제2 내지 제n개의 바디블럭부를 접합시키는 제3 공정(S30) 및 제3 공정 후, 바디블럭부의 양측을 벽체부로 밀폐하여 실내공간을 형성시키는 제4 공정(S40)을 포함한다.
제1 공정(S10)은 주택 또는 건축물을 시공하는 지면에 기초바닥을 배치하고, 기초바닥의 상부에 제1 내지 제n개 중 제1개의 바디블럭부(100)를 안착시키는 공정이다.
여기서, 바디블럭부(100)는 주택이나 건축물의 건설현장에서 양산하는 것이 아니라, 콘크리트 단위체를 제조하는 공장에서 미리 양산하였다가 해당 건설현장으로 이송한 후 적층 또는 접합하여 시공하기 위한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10)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공정(S10)은 제1 내기 제n개의 바디블럭부(100)를 주택 또는 건축물을 시공하는 현장에서 조립이 가능하고, 바디블럭부(100)를 미리 조립하여 실내공간을 확보한 상태로 기초바닥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후술하는 제2 공정(S20) 내지 제4 공정(S40)을 생략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 공정(S20)은 제1개의 바디블럭부(100)의 상부에 제2개 내지 제n개의 바디블럭부(100)를 적층시키는 공정이다.
이를 위해, 제2 공정(S20)은 적층단계(S21), 체결단계(S22) 및 마감단계(S23)를 포함한다.
적층단계(S21)는 제1개의 바디블럭부(100)의 상부 외면에 형성된 체결돌기부(110)에 대응하여 제2 개의 바디불럭부의 하부 외면에 형성된 체결홈부(120)를 안착하여 결합시키는 공정이다.
이때, 체결돌기부(110)는 바디블럭부(100)의 상부 외면으로부터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돌출되고, 체결홈부(120)는 체결돌기부(110)에 대응하여 바디블럭부(100)하부 외면에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체결돌기부(110) 및 체결홈부(120)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가 되도록 바디블럭부(100)를 적층시키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체결단계(S22)는 제2 개의 바디블럭부(100)의 하부 내면에 형성된 수용홈(101)의 일면에 베이스판(102)을 배치하고, 베이스판(102)을 통과하여 수용홈(101)과 체결홈부(120)에 연통하는 홀(103)에 볼트(104)를 삽입하여 체결돌기부(110)의 내부에 매립된 너트(105)와 결합시키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체결단계(S22)는 바디블럭부(100)의 상부방향 내부에 너트(105)를 배치하고, 너트(105)의 일측에 수용홈(101)의 일면에 배치된 베이스판(102)과 동일한 베이스판(102)을 배치한 상태로 제조한다. 이로 인해, 복수개의 바디블럭부(100)를 적층 시, 외부에서 볼트(104)를 삽입하여 너트(105)에 나선결합 시키는 것이다.
또한, 볼트가 바디블럭부(100)의 내부에 배치된 너트와 나선 결합 후, 수용홈(101)의 일면에 노출된 볼트(104)에 너트를 결합시켜 결합력을 견고하게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마감단계(S23)는 체결단계(S22) 후, 제2 개의 바디블럭부(100)의 하부 내면에 노출된 볼트를 폐쇄시키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단계이다.
이러한 마감단계(S23)는 복수개의 바디블럭부(100)가 적층뿐만 아니라 측면방향으로 접합 결합되어 실내공간을 형성 시, 실내 바닥을 평탄하게 하는 작업이다.
이로 인해, 볼트는 콘크리트 바닥에 매립되어 상하 적층된 바디블럭부(100)의 결합력을 더욱 견고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3 공정(S30)은 제1개의 바디블럭부(100)의 측면에 제2 내지 제n개의 바디블럭부(100)를 접합시키는 공정이다.
이를 위해, 제3 공정(S30)은 접합단계(S31), 접합체결단계(S32) 및 접합마감단계(S33)를 포함한다.
접합단계(S31)는 제1개의 바디블럭부(100)의 개방된 일측에 형성된 접합돌기부(130)에 대응하여 제2 개의 바디블럭부(100)의 개방된 타측에 형성된 접합홈부(140)를 밀착하여 접합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접합돌기부(130)는 바디블럭부(100)의 일측 테두리 단부면을 따라 돌출하되, 바디블럭부(100)의 상면 및 하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한다. 그리고 바디블럭부(100)의 양측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돌출하여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돌출된다.
또한, 접합홈부(140)는 타측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되, 바디블럭부(110)의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돌출되어 바디블럭부(100)의 타측을 홈 형상으로 형성시킨다.
이와 같이, 접합단계(S31)는 접합돌기부(130)의 양측 외면이 접합홈부(140)의 양측 내면이 서로 마주보고 접촉하게 하여 제1 내지 제n개의 바디블럭부(100)를 측면방향으로 접합 시키는 단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접합체결단계(S32)는 접합돌기부(130) 및 접합홈부(140)에 형성된 접합홀(103')에 볼트(104)를 삽입하여 접합돌기부(130)의 내부에 매립된 너트(105)와 결합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접합체결단계(S32)는 전술한 체결단계(S22)의 공정과 동일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접합마감단계(S33)는 접합체결단계(S32) 후, 바디블럭부(100)의 내측면에 노출된 볼트(104)를 폐쇄시키도록 마감시키는 단계이다.
다시 설명하면, 접합마감단계(S33)는 접합돌기부(130) 및 접합홈부(140)를 접합시키고 견고한 결합력을 위해 볼트(104)를 접합홀(103')의 내부로 삽입시킨 후, 바디블럭부(100)의 내측으로 돌출된 볼트(104)를 콘크리트 또는 벽지마감을 위한 합판으로 부착하여 실내벽을 형성시키기 위한 단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4 공정(S40)은 제3 공정(S30) 후, 바디블럭부(100)의 양측을 벽체부(200)로 밀폐하여 실내공간을 형성시키는 공정이다.
즉, 제4 공정(S40)은 제1 내지 제n개의 바디블럭부(100)를 적증 및 접합하여 내부에 주택의 공간을 형성시키되, 개방된 양측을 밀폐하여 실내공간을 형성 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4 공정(S40)은 제1 밀착단계(S41), 제1 체결단계(S42), 제2 밀착단계(S43) 및 제2 체결단계(S44)를 포함한다.
제1 밀착단계(S41)는 제1 내지 제n개 중 어느 하나의 바디블럭부(100)의 개방된 일측에 형성된 접합돌기부(130)에 제1 벽체부(210)를 밀착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1 벽체부(210)는 플레이트 형상의 콘크리트체로 형성되고, 플레이트의 양측이 일방향으로 절곡 돌출되어 접합돌기부(130)의 양측외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제1 벽체부(210)는 일면으로부터 바디블럭부(100)의 개방된 일측의 크기에 대응하여 돌출된 부분이 접합돌기부(13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제1 체결단계(S42)는 접합돌기부(130)에 형성된 접합홀(103')에 대응하여 제1 벽체부(210)에 형성된 홀에 볼트(104)를 삽입하여 접합돌기부(130)의 내부에 매립된 너트(105)와 결합시키는 단계이다.
이로 인해, 제1 벽체부(210)는 접합돌기부(130)에 견고하게 접합 결합되어 바디블럭부(100)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한다.
제2 밀착단계(S43)는 제1 내지 제n개 중 어느 하나의 바디블럭부(100)의 개방된 타측에 형성된 접합홈부(140)에 제2 벽체부(220)를 밀착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2 벽체부(220)는 플레이트 형상의 콘크리트체로 형성되고, 플레이트의 양측이 내측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플레이트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접합홈부(140)에 밀착된다.
즉, 제2 벽체부(220)는 플레이트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돌기의 테두리부분이 접합홈부(140)에 둘러싸이도록 밀착되어 바디블럭부(100)의 타측을 밀폐한다.
제2 체결단계(S44)는 접합홈부(140)에 형성된 접합홀(103')에 대응하여 제2 벽체부(220)에 형성된 홀에 볼트(104)를 삽입하되, 제2 벽체부(220)의 내측에서 볼트를 삽입하여 접합홈부(140)에 매립된 너트(105)와 결합시키는 단계이다.
이로 인해, 제2 벽체부(220)는 접함홈부(140)에 견고하게 접합 결합되어 바디블럭부(100)의 개방된 타측을 폐쇄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시공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블럭부(100)를 다양하게 적층 및 접합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다양한 외관을 형성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시공방법은 제1 공정(S10)후, 제3 공정(S30)을 먼저 시공하고 제2 공정(S20)을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여기 명세서의 내용 및 도면에서는 제2 공정(S20), 제3 공정(S30)의 순서로 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작업현장의 환경에 적합하게 공정의 순서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
100 : 바디블럭부
101 : 수용홈
102 : 베이스판
103 : 홀
103' : 접합홀
104 : 볼트
105 : 너트
110 : 체결돌기부
120 : 체결홈부
130 : 접합돌기부
140 : 접합홈부
200 : 벽체부
210 : 제1 벽체부
220 : 제2 벽체부
S10 : 제1 공정
S20 : 제2 공정
S21 : 적층단계
S22 : 체결단계
S23 : 마감단계
S30 : 제3 공정
S31 : 접합단계
S32 : 접합체결단계
S33 : 접합마감단계
S40 : 제4 공정
S41 : 제1 밀착단계
S42 : 제1 체결단계
S43 : 제2 밀착단계
S44 : 제2 체결단계

Claims (4)

  1. 양측이 개방된 'ㅁ'자 형상의 콘크리트체로 형성되는 바디블럭부 및 상기 바디블럭부의 개방된 양측을 밀폐하는 제1 벽체부와 제2 벽체부를 형성하는 벽체부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에 있어서,
    주택 또는 건축물을 시공하는 지면에 기초바닥을 배치하고, 상기 기초바닥의 상부에 제1 내지 제n개 중 제1개의 바디블럭부를 안착시키는 제1 공정;
    상기 제1개의 바디블럭부의 상부에 제2개 내지 제n개의 바디블럭부를 적층시키는 제2 공정;
    상기 제1개의 바디블럭부의 측면에 상기 제2 내지 제n개의 바디블럭부를 접합시키는 제3 공정; 및
    상기 제3 공정 후, 상기 바디블럭부의 양측을 상기 벽체부로 밀폐하여 실내공간을 형성시키는 제4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공정은
    상기 제1개의 바디블럭부의 상부 외면에 형성된 체결돌기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개의 바디블럭부의 하부 외면에 형성된 체결홈부를 안착하여 결합시키는 적층단계;
    상기 제2 개의 바디블럭부의 하부 내면에 형성된 수용홈의 일면에 베이스판을 배치하고, 상기 베이스판을 통과하여 상기 수용홈과 상기 체결홈부에 연통하는 홀에 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체결돌기부의 내부에 매립된 너트와 결합시키는 체결단계; 및
    상기 체결단계 후, 상기 제2 개의 바디블럭부의 하부 내면에 노출된 상기 볼트를 폐쇄시키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마감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공정은
    상기 제1개의 바디블럭부의 개방된 일측에 형성된 접합돌기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개의 바디블럭부의 개방된 타측에 형성된 접합홈부를 밀착하여 접합시키는 접합단계;
    상기 접합돌기부 및 상기 접합홈부에 형성된 접합홀에 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접합돌기부의 내부에 매립된 너트와 결합시키는 접합체결단계; 및
    상기 접합체결단계 후, 상기 바디블럭부의 내측면에 노출된 상기 볼트를 폐쇄시키도록 마감시키는 접합마감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공정은
    제1 내지 제n개 중 어느 하나의 바디블럭부의 개방된 일측에 형성된 상기 접합돌기부에 상기 제1 벽체부를 밀착시키는 제1 밀착단계;
    상기 접합돌기부에 형성된 접합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벽체부에 형성된 홀에 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접합돌기부의 내부에 매립된 너트와 결합시키는 제1 체결단계;
    제1 내지 제n개 중 어느 하나의 바디블럭부의 개방된 타측에 형성된 상기 접합홈부에 상기 제2 벽체부를 밀착시키는 제2 밀착단계; 및
    상기 접합홈부에 형성된 접합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벽체부에 형성된 홀에 볼트를 삽입하되, 상기 제2 벽체부의 내측에서 상기 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접합홈부에 매립된 너트와 결합시키는 제2 체결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20190073830A 2019-06-21 2019-06-21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2060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830A KR102060279B1 (ko) 2019-06-21 2019-06-21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830A KR102060279B1 (ko) 2019-06-21 2019-06-21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0279B1 true KR102060279B1 (ko) 2019-12-27

Family

ID=69062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830A KR102060279B1 (ko) 2019-06-21 2019-06-21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27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558A (ko) * 2002-06-28 2004-01-07 주식회사 케이티 수직 조립형 프리캐스트 구조물
KR20080062627A (ko) 2006-12-29 2008-07-03 마루이데아 주식회사 조립식 주택의 시공 방법
KR101356781B1 (ko) 2013-03-25 2014-01-27 음국배 공기단축을 위한 주택의 벽체틀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70163B1 (ko) * 2013-08-23 2014-03-04 박준신 콘크리트주택 시공방법
KR101392518B1 (ko) * 2013-09-05 2014-05-07 한대규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
KR101410602B1 (ko) * 2014-03-12 2014-06-20 박준신 콘크리트 주택의 단위체 구조물 적층 시공방법
KR20140097752A (ko) * 2013-01-30 2014-08-07 주식회사 돔앤큐브 조립식 돔 구조물의 하부 지지부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558A (ko) * 2002-06-28 2004-01-07 주식회사 케이티 수직 조립형 프리캐스트 구조물
KR20080062627A (ko) 2006-12-29 2008-07-03 마루이데아 주식회사 조립식 주택의 시공 방법
KR20140097752A (ko) * 2013-01-30 2014-08-07 주식회사 돔앤큐브 조립식 돔 구조물의 하부 지지부재
KR101356781B1 (ko) 2013-03-25 2014-01-27 음국배 공기단축을 위한 주택의 벽체틀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70163B1 (ko) * 2013-08-23 2014-03-04 박준신 콘크리트주택 시공방법
KR101392518B1 (ko) * 2013-09-05 2014-05-07 한대규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
KR101410602B1 (ko) * 2014-03-12 2014-06-20 박준신 콘크리트 주택의 단위체 구조물 적층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9233A (en) Prefabricated concrete basement and process for constructing the same
KR101177916B1 (ko) 돔형 구조물
KR101798537B1 (ko) 레고형 pc하우스 시공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KR101410602B1 (ko) 콘크리트 주택의 단위체 구조물 적층 시공방법
KR101647784B1 (ko) 레고형 pc 하우스
KR20100106259A (ko) 노후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구조물을 위하여 피씨부재를 활용한 리모델링 내진보강 접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리모델링 시공 방법
JP6277532B2 (ja) 柱及び梁のつなぎ合わせのための独立基本構造物
JP5061804B2 (ja) 一対のフルpc部材の接合構造
KR20170050513A (ko) 콘크리트 충전형 기둥과 십자형 연결재를 이용한 유닛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060279B1 (ko)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1370163B1 (ko) 콘크리트주택 시공방법
KR101942316B1 (ko) 철근콘크리트 프레임의 내진 보강용 pc 벽 패널, pc 벽 패널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내진 보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060278B1 (ko)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
KR101464073B1 (ko) 거푸집 없이 시공되는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KR101542717B1 (ko) 단위체 콘크리트 구조물 주택 시공방법
KR102174760B1 (ko) 암거주택용 지붕 구조체
KR102157721B1 (ko)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
KR101026077B1 (ko)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
KR101326008B1 (ko) 주택시공용 콘크리트 구조체
US20180044918A1 (en) Pre-fabricated structures and methods
KR20190046336A (ko) 샌드위치 피씨-월 및 그 제조방법
KR0151541B1 (ko) 아파트용 조립식 경비실의 시공방법
KR102376382B1 (ko) 기둥 및 보의 맞춤연결을 위한 독립기본구조물
KR101361116B1 (ko) 담장 삽입형 지지장치
KR100213803B1 (ko) 조립식콘크리트지하실, 이지하실을 축조하는 방법과 이 지하실을 구비한주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