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721B1 -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 - Google Patents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721B1
KR102157721B1 KR1020190102302A KR20190102302A KR102157721B1 KR 102157721 B1 KR102157721 B1 KR 102157721B1 KR 1020190102302 A KR1020190102302 A KR 1020190102302A KR 20190102302 A KR20190102302 A KR 20190102302A KR 102157721 B1 KR102157721 B1 KR 102157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onding
body block
fasten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신
Original Assignee
박준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신 filed Critical 박준신
Priority to KR1020190102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7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23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the supporting structure consisting of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측이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된 사각 박스형상의 콘크리트체를 형성하는 바디블럭부와 바디블럭부를 제n개로 구비하여 적층시키기 위해 바디블럭부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적층부와 개방부의 양측을 서로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결합하는 접합부 및 바디블럭부의 일측이 관통하여 홀이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OPENING STRUCTURE OF WALL FOR CULVERT HOUSE}
본 발명은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측이 개방된 사각박스형상의 콘크리트체로 형성된 바디블럭부를 상하방향으로 적층시키고, 바디블럭부의 개방된 양측을 접합시켜 실내가 형성되는 바디블럭부의 일측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개구부에 창문프레임 또는 출입문을 설치할 수 있는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건물 등의 시공은, 먼저 건축하고자 하는 지면을 파내어 터잡기 공사를 진행한 다음, 터잡기 공사가 이루어진 공간에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지반을 구축한 후, 구축된 지반에 건축하고자 하는 주택이나 건물의 구조에 따라 내부에 철근이 배근된 내, 외측 거푸집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내, 외측 거푸집이 설치되면, 설치된 내, 외측 거푸집의 내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본적인 벽체를 시공하며, 벽체시공이 이루어진 후에는 타설된 콘크리트의 충분한 양생시간을 거치게 되고 콘크리트의 양생이 이루어지고 나면, 다시 시공된 벽체의 천정슬라브를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설치 공사를 진행하며 천정슬라브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과정을 거쳐 기본적인 주택이나 건물의 구조를 완성한다.
또한, 기본적인 건물의 구조가 완성되면 벽돌 등과 같은 내외장재를 이용하여 건물의 내벽면과 외벽면을 마감하고, 기타 전기배선이나 수도배관 등을 시공한 다음 주택을 완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시공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주택 또는 건물의 시공은, 예를 들어 내, 외측 거푸집을 설치하거나 또는 내, 외측 거푸집의 내부에 철근을 배근하거나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또는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하기 때문에 주택시공기간이 오래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로서, 등록특허 10-1356781호인 공기단축을 위한 주택의 벽체틀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이 안출된 바 있다.
이는 하부층과 상부층으로 나누어지는 다층으로 구성된 주택의 벽체틀 제작방법에서, 내측거푸집과 외측거푸집을 조립하고 내, 외측 거푸집 외면에 일정간격마다 가로, 세로방향으로 보강재를 설치하는 제1단계, 내측거푸집과 외측거푸집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제2단계, 내측거푸집과 외측거푸집 사이에 간격재를 설치하는 제3단계 및 전체적으로 일측이 개방된 ㄷ자형의 형태를 가지면서 이 개방된 부위가 내, 외측거푸집 상단에 씌워져 내, 외측거푸집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연결강을 설치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4단계의 연결강은 일측이 개방된 ㄷ자형의 형태 대신에 ㄴ자 형태의 단면으로 구성된 머리부와 머리부의 단부에서 직교 연장되는 몸체부가 결합된 부재 한 쌍이 소정 이격되어 서로 대칭되게 마주보는 형태로 구성되되, 머리부는 수직부분에 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양중구멍과 다수 개의 제1볼트홈이 형성되며 몸체부는 상부에 제2볼트홈이 구성되고 제2볼트홈 아래방향으로 내측에 일정높이마다 갈고리 형태의 걸림고리가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내, 외측거푸집을 보강재 및 보강판으로 보강하여 견고하게 구성하고 내, 외측거푸집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 연결강을 이용함으로써 크레인으로 쉽게 들어올려 계획된 위치에 이동시킨 후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주택이 시공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내, 외측거푸집을 먼저 설치한 다음 내, 외측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주택을 시공하기 때문에, 거푸집 설치작업에 따른 인건비용의 부담과 함께 작업시간이 추가된다.
또한,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시간에 따른 공사기간의 지연은 물론 주택을 다층으로 시공하기 위해서는 양생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에 내, 외측 거푸집을 재 설치하고 다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진행해야 하는 공정에 의해 주택시공기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56781호(2014.01.20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062627호(2008.07.03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양측이 개방된 사각박스형상의 콘크리트체로 형성된 바디블럭부를 상하방향으로 적층시키고, 바디블럭부의 개방된 양측을 접합시켜 실내가 형성되는 바디블럭부의 일측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개구부에 창문프레임 또는 출입문을 설치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개구부에 미리 정해진 크기의 창문프레임 또는 출입문의 크기에 대응하여 관통 형성된 홀부에 플랜지가 형성되는 단차부를 형성하고, 창문프레임 또는 출입문이 홀부에 설치 시, 바디블럭부의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양측이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된 사각 박스형상의 콘크리트체를 형성하는 바디블럭부,
상기 바디블럭부를 제n개로 구비하여 적층시키기 위해 상기 바디블럭부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적층부,
상기 개방부의 양측을 서로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결합하는 접합부 및
상기 바디블럭부의 일측이 관통하여 홀이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적층부는 상기 바디블럭부의 상면에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체결돌기부, 상기 바디블럭부의 하부 외면에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부를 수용하는 체결홈부 및 상기 바디블럭부가 상하 적층 시, 상기 체결돌기부 및 상기 체결홈부를 결합시키는 적층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결부는 상기 체결돌기부의 일면으로부터 내부까지 홀이 형성된 제1 체결홀, 상기 제1 체결홀에 연통하고 상기 체결돌기부의 내부에 배치된 제1 베이스판 및 상기 제1 베이스판의 하면에 형성된 너트를 포함하는 너트부, 상기 제1 체결홀에 대응하여 상기 체결홈부를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 제2 체결홀 및 상기 제2 체결홀에 연통하고, 상기 체결홈부의 일면에 형성된 수용홈에 수용되는 제2 베이스판을 통과하여 상기 너트에 나선 결합되는 볼트를 구비하는 볼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부는 상기 너트부와 체결됨으로써, 제n개의 상기 바디블럭부가 상하 적층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상기 바디블럭부의 일측 테두리 내측을 따라 돌출되는 접합돌기부, 상기 접합돌기부에 대응하여 상기 바디블럭부의 타측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어 상기 바디블럭부의 타측을 홈으로 형성시키는 접합홈부 및 상기 바디블럭부의 측면이 서로 연속적으로 배치 시, 상기 접합돌기부 및 상기 접합홈부를 결합시키는 접합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접합체결부는 상기 접합홈부의 일면으로부터 내부까지 형성된 홀과 상기 접합홈부에 접촉하고 상기 홀에 대응하여 타공된 홀이 상기 접합돌기부에 형성된 접합홀, 상기 접합홀에 연통하고 상기 접합홈부의 내부에 배치된 제3 베이스판 및 상기 제3 베이스판의 일면에 형성된 접합너트를 포함하는 접합너트부 및 상기 접합홀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제3 베이스판을 통과하여 상기 접합너트에 나선결합되는 접합볼트를 구비하는 접합볼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볼트부는 상기 접합너트부와 체결됨으로써, 제1 내지 제n개의 바디블럭부가 측면방향으로 접합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바디블럭부의 일측에 미리 정해진 창문프레임의 크기에 대응하여 관통 형성되는 홀부 및 상기 홀부의 내측을 따라 플랜지가 형성되어 단차를 형성하는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창문프레임이 상기 홀부에 설치 시 상기 바디블럭부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는 건축물을 구성하는 천정, 바닥, 벽체를 하나의 콘크리트 바디블럭부로 형성하도록 제조하는 공장에서 양산하고, 이를 건설현장에서 상하 적층 및 측면방향으로 연속적인 결합이 가능하여 주택이나 건축물의 시공시간을 단축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는 미리 정해진 창문프레임 또는 현관문의 크기에 대응하여 홀부가 형성되어 건설현장에서 신속하게 창문프레임 또는 현관문을 작업자가 손쉽게 설치할 수 있어서 시공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홀부의 내측을 따라 단차부가 형성되어 창문프레임 또는 현관문이 바디블럭부의 내부로 돌출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실내의 미관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저면으로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가 접합되고,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의 적층부를 확대하여 단면으로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의 접합부를 확대하여 단면으로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의 개구부에 창문프레임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에 벽체부의 구성이 추가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저면으로 나타낸 저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가 접합되고,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의 적층부를 확대하여 단면으로 나타낸 확대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의 접합부를 확대하여 단면으로 나타낸 확대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의 개구부에 창문프레임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에 벽체부의 구성이 추가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10)는 바디블럭부(100), 적층부(200), 접합부(300) 및 개구부(4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10)는 양측이 개방된 개방부(110)가 형성된 사각 박스형상의 콘크리트체를 형성하는 바디블럭부(100), 바디블럭부를 제n개로 구비하여 적층시키기 위해 바디블럭부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적층부(200), 개방부의 양측을 서로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결합하는 접합부(300) 및 바디블럭부의 일측이 관통하여 홀이 형성된 개구부(400)를 포함한다.
바디블럭부(100)는 양측이 개방된 'ㅁ'자 형상의 콘크리트체로 형성시킬 수 있는 것으로, 주택이나 건축물의 건설현장에서 양산하는 것이 아니라, 콘크리트 단위체를 제조하는 공장에서 미리 양산하였다가 해당 건설현장으로 이송한 후 적층 또는 접합하여 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바디블럭부(100)는 양측이 개방된 개방부(110)가 형성된 사각 박스형상의 콘크리트체를 형성한다.
또한, 바디블럭부(100)는 지면에 시공되어 위치하는 기초바닥의 상면에 안착된다. 따라서, 기초에 안착되는 부분이 하부이고, 하부로부터 수직하게 이격되어 위치하는 부분이 상부인 것이다.
이로 인해, 바디블럭부(100)는 양측이 개방된 개방부(110)를 형성하는 'ㅁ'자 형상의 블록으로 형성되되, 개방부(110)를 제외한 상부 및 하부를 연결하는 부분이 양측 벽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적층부(200)는 바디블럭부(100)를 제n개로 구비하여 적층시키기위해 바디블럭부(100)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적층부(200)는 체결돌기부(210), 체결홈부(220) 및 적층체결부(230)를 포함한다.
체결돌기부(210)는 바디블럭부(100)의 상면에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된다.
즉, 체결돌기부(210)는 바디블럭부(100)의 상부 외측면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면적이 좁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사각박스 형상으로 돌출되되,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된다.
체결홈부(220)는 바디블럭부(100)의 하부 외면에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체결돌기부(210)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즉, 체결홈부(220)는 체결돌기부(210)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배치되는 것으로, 바디블럭부(100)의 하부 외면에 형성된다. 이로 인해, 복수개로 구비되는 바디블럭부(100)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 시, 체결돌기부(210)가 체결홈부(220)에 수용되어 결합력이 증대되는 것이다.
또한, 체결홈부(220)는 체결돌기부(210)에 형성된 경사면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복수개의 바디블럭부(100)를 상하 적층 시, 정교하게 일치 시키지 않더라도, 경사면을 따라 체결돌기부(210)가 수용될 수 있게 해준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적층체결부(230)는 바디블럭부(100)가 상하 적층 시, 체결돌기부(210) 및 체결홈부(22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적층체결부(230)는 제1 체결홀(231), 너트부(232), 제2 체결홀(233) 및 볼트부(234)를 포함한다.
제1 체결홀(231)은 체결돌기부(210)의 일면으로부터 내부까지 홀이 형성된다.
너트부(232)는 제1 체결홀(231)에 연통하고 체결돌기부(210)의 내부에 배치된 제1 베이스판(232a) 및 제1 베이스판(232a)의 하면에 형성된 너트(232b)를 포함한다.
이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베이스판은 너트 및 볼트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각 구성에 따라 명칭이 다르게 기재되어 있으나 역할이 동일하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너트부(232)는 후술하는 볼트부(234)를 구성하는 볼트(234c)와 결합되어 체결돌기부(210) 및 체결홈부(220)의 결합력을 견고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제2 체결홀(233)은 제1 체결홀(231)에 대응하여 체결홈부(220)를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다.
볼트부(234)는 제2 체결홀(233)에 연통하고, 체결홈부(220)의 일면에 형성된 수용홈(234a)에 수용되는 제2 베이스판(234b)을 통과하여 너트(232b)에 나선 결합되는 볼트(234c)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볼트부(234)는 너트부(232)와 체결됨으로써, 제n개의 바디블럭부(100)가 상하 적층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역할을 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접합부(300)는 바디불럭부(100)의 개구부(110)의 양측을 서로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접합부(300)는 접합돌기부(310), 접합홈부(320) 및 접합체결부(330)를 포함한다.
접합돌기부(3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블럭부(100)의 일측 테두리 내측을 따라 돌출된다.
즉, 접합돌기부(310)는 바디블럭부(100)의 일측 테두리 단부면을 따라 돌출하되, 바디블럭부(100)의 상면 및 하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한다. 그리고 바디블럭부(100)의 양측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돌출하여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접합돌기부(310)는 제1 내지 제n개 중 제2개의 바디블럭부(100)의 타측에 형성된 접합홈부(320)와 결합되어 측면방향으로 바디블럭부(100)가 배치될 수 있게 해준다.
특히, 접합돌기부(310)는 바디블럭부(100)의 양측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돌출되어, 접합홈부(320)의 양측 테두리에 수용되어 결합된다.
접합홈부(320)는 접합돌기부(310)에 대응하여 바디블럭부(100)의 타측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어 바디블럭부(100)의 타측을 홈으로 형성시킨다.
즉, 접합홈부(320)는 바디블럭부(100)의 타측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되, 바디블럭부(110)의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돌출되어 바디블럭부(100)의 타측을 홈 형상으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접합홈부(320)는 바디블럭부(100)의 타측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되, 단차지게 형성된다. 이는, 접합돌기부(310)가 접합홈부(320)로 인입되면서 바디블럭부(100)의 내측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실내공간을 확보하고,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이다.
도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접합체결부(330)는 바디블럭부(100)의 측면이 서로 연속적으로 배치 시, 접합돌기부(310) 및 접합홈부(32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접합체결부(330)는 접합홀(331), 접합너트부(332) 및 접합볼트부(333)를 포함한다.
접합홀(331)은 접합홈부(320)의 일면으로부터 내부까지 형성된 홀과 접합홈부(320)에 접촉하고 상기 홀에 대응하여 타공된 홀이 접합돌기부(310)에 형성된다.
다시 설명하면, 접합홀(331)은 접합홈부(320)에 인입되어 서로 접촉하여 결합되는 접합돌기부(310)를 접합홈부(320)와 결합되어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접합홀(331)은 접합홈부(320)의 일면으로부터 내부까지 형성된 홀과 동일한 원의 중심선을 가지도록 접합돌기부(310)의 일면을 관통하는 홀이 형성시키는 것이다.
접합너트부(332)는 접합홀(331)에 연통하고 접합홈부(320)의 내부에 배치된 제3 베이스판(332a) 및 제3 베이스판(332a)의 일면에 형성된 접합너트(332b)를 포함한다.
접합볼트부(333)는 접합홀(331)을 통해 삽입되고, 제3 베이스판(332a)을 통과하여 접합너트(332b)에 나선결합되는 접합볼트(333b)를 구비한다.
이때, 접합볼트부(333)는 접합돌기부(310)의 일면에서 접합홀(331)로 삽입되고, 접합돌기부(310)의 일면에 접합볼트(333b)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접합수용홈(333a)을 형성시키고, 접합수용홈(333a)에 베이스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합볼트부(333)는 접합너트부(332)와 체결됨으로써, 제1 내지 제n개의 바디블럭부(100)가 측면방향으로 접합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게 한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개구부(400)는 바디블럭부(100)의 일측이 관통하여 홀이 형성된다.
이러한 개구부(400)는 홀부(410) 및 단차부(420)를 포함한다.
홀부(410)는 바디블럭부(100)의 일측에 미리 정해진 창문프레임의 크기에 대응하여 관통 형성된다.
또한, 홀부(410)는 여기 명세서의 도면에 창문프레임이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현관문이 구비될 수 있으므로 현관문의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단차부(420)는 홀부(410)의 내측을 따라 플랜지가 형성되어 단차를 형성한다.
즉, 단차부(420)는 창문프레임이 홀부(410)에 설치 시 바디블럭부(100)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설명하면, 단차부(420)는 바디블럭부(100)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홀부(410)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어 플랜지로 형성된다. 그리고 바디블럭부(100)의 외측면에 위치하는 홀부(410)를 통해 설치되는 창문프레임 또는 현관문이 바디블럭부(100)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10)는 벽체부(500)를 더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10)는 바디블럭부(100)의 개방된 개방부(110)의 양측면을 밀폐하여 바디블럭부(100)의 내부를 실내공간으로 형성시키는 벽체부(500)를 더 포함한다.
이를 위해, 벽체부(500)는 제1 벽체부(510) 및 제2 벽체부(520)를 포함한다.
제1 벽체부(510)는 바디블럭부(100)의 일측을 밀폐하는 것으로, 플레이트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플레이트의 양측이 접합돌기부(310)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제2 벽체부(520)는 바디블럭부(100)의 타측을 밀폐하는 것으로, 플레이트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플레이트의 양측이 접합홈부(320)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벽체부(500)는 바디블럭부(100)의 개방부(110) 양측을 폐쇄하여 실내공간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벽체부(500)는 제1 벽체부(510) 및 제2 벽체부(520) 중 어느 하나에 사각홀을 타공하여 사각홀에 창문프레임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
100 : 바디블럭부
110 : 개방부
200 : 적층부
210 : 체결돌기부
220 : 체결홈부
230 : 적층체결부
231 : 제1 체결홈
232 : 너트부
232a : 제1 베이스판
232b : 너트
233 : 제2 체결홈
234 : 볼트부
234a : 수용홈
234b : 제2 베이스판
234c : 볼트
300 : 접합부
310 : 접합돌기부
320 : 접합홈부
330 : 접합체결부
331 : 접합홀
332 : 접합너트부
332a : 제3 베이스판
332b : 접합너트
333 : 접합볼트부
333a : 접합수용홈
333b : 접합볼트
400 : 개구부
410 : 홀부
420 : 단차부
500 : 벽체부
510 : 제1 벽체부
520 : 제2 벽체부

Claims (6)

  1. 양측이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된 사각 박스형상의 콘크리트체를 형성하는 바디블럭부;
    상기 바디블럭부를 제n개로 구비하여 적층시키기 위해 상기 바디블럭부의 상부 및 하부에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체결돌기부와 상기 바디블럭부의 하부 외면에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부를 수용하는 체결홈부 및 상기 바디블럭부가 상하 적층 시, 상기 체결돌기부 및 상기 체결홈부를 결합시키는 적층체결부를 포함하여 형성된 적층부;
    상기 바디블럭부의 일측 테두리 내측을 따라 돌출되는 접합돌기부와 상기 접합돌기부에 대응하여 상기 바디블럭부의 타측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어 상기 바디블럭부의 타측을 홈으로 형성시키는 접합홈부 및 상기 바디블럭부의 측면이 서로 연속적으로 배치 시, 상기 접합돌기부와 상기 접합홈부를 결합시키는 접합체결부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의 양측을 서로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결합하는 접합부; 및
    상기 바디블럭부의 일측이 관통하여 홀이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적층체결부는
    상기 체결돌기부의 일면으로부터 내부까지 홀이 형성된 제1 체결홀;
    상기 제1 체결홀에 연통하고 상기 체결돌기부의 내부에 배치된 제1 베이스판 및 상기 제1 베이스판의 하면에 형성된 너트를 포함하는 너트부;
    상기 제1 체결홀에 대응하여 상기 체결홈부를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 제2 체결홀; 및
    상기 제2 체결홀에 연통하고, 상기 체결홈부의 일면에 형성된 수용홈에 수용되는 제2 베이스판을 통과하여 상기 너트에 나선 결합되는 볼트를 구비하되, 상기 너트부와 체결됨으로써, 제1 내지 제n개의 상기 바디블럭부가 상하 적층되어 일체로 형성되게 하는 볼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바디블럭부의 일측에 미리 정해진 창문프레임의 크기에 대응하여 관통 형성되는 홀부; 및
    상기 홀부의 내측을 따라 플랜지가 형성되어 단차를 형성하는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창문프레임이 상기 홀부에 설치 시 상기 바디블럭부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체결부는
    상기 접합홈부의 일면으로부터 내부까지 형성된 홀과 상기 접합홈부에 접촉하고 상기 홀에 대응하여 타공된 홀이 상기 접합돌기부에 형성된 접합홀;
    상기 접합홀에 연통하고 상기 접합홈부의 내부에 배치된 제3 베이스판 및 상기 제3 베이스판의 일면에 형성된 접합너트를 포함하는 접합너트부; 및
    상기 접합홀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제3 베이스판을 통과하여 상기 접합너트에 나선결합되는 접합볼트를 구비하는 접합볼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볼트부는 상기 접합너트부와 체결됨으로써, 제1 내지 제n개의 바디블럭부가 측면방향으로 접합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
  6. 삭제
KR1020190102302A 2019-08-21 2019-08-21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 KR102157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302A KR102157721B1 (ko) 2019-08-21 2019-08-21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302A KR102157721B1 (ko) 2019-08-21 2019-08-21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721B1 true KR102157721B1 (ko) 2020-09-18

Family

ID=72670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302A KR102157721B1 (ko) 2019-08-21 2019-08-21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7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982B1 (ko) * 2022-12-07 2024-01-04 서금석 Pc 모듈러 조립 주택 및 pc 모듈의 제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558A (ko) * 2002-06-28 2004-01-07 주식회사 케이티 수직 조립형 프리캐스트 구조물
KR20080062627A (ko) 2006-12-29 2008-07-03 마루이데아 주식회사 조립식 주택의 시공 방법
KR101356781B1 (ko) 2013-03-25 2014-01-27 음국배 공기단축을 위한 주택의 벽체틀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92518B1 (ko) * 2013-09-05 2014-05-07 한대규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
KR101410602B1 (ko) * 2014-03-12 2014-06-20 박준신 콘크리트 주택의 단위체 구조물 적층 시공방법
KR20140097752A (ko) * 2013-01-30 2014-08-07 주식회사 돔앤큐브 조립식 돔 구조물의 하부 지지부재
KR101777205B1 (ko) * 2017-06-15 2017-09-11 주식회사 스타빌엔지니어링 창호 및 벽체 사이의 열교차단에 의한 창호단열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열교차단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558A (ko) * 2002-06-28 2004-01-07 주식회사 케이티 수직 조립형 프리캐스트 구조물
KR20080062627A (ko) 2006-12-29 2008-07-03 마루이데아 주식회사 조립식 주택의 시공 방법
KR20140097752A (ko) * 2013-01-30 2014-08-07 주식회사 돔앤큐브 조립식 돔 구조물의 하부 지지부재
KR101356781B1 (ko) 2013-03-25 2014-01-27 음국배 공기단축을 위한 주택의 벽체틀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92518B1 (ko) * 2013-09-05 2014-05-07 한대규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
KR101410602B1 (ko) * 2014-03-12 2014-06-20 박준신 콘크리트 주택의 단위체 구조물 적층 시공방법
KR101777205B1 (ko) * 2017-06-15 2017-09-11 주식회사 스타빌엔지니어링 창호 및 벽체 사이의 열교차단에 의한 창호단열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열교차단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982B1 (ko) * 2022-12-07 2024-01-04 서금석 Pc 모듈러 조립 주택 및 pc 모듈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920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와 모듈러 유닛을 이용한 중고층 주거용 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1798537B1 (ko) 레고형 pc하우스 시공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KR101647784B1 (ko) 레고형 pc 하우스
KR102154095B1 (ko) Pc세그먼트를 이용한 모듈형 조립식 주택 및 그 시공방법
KR101617221B1 (ko) 내진 보강형 증축 리모델링 모듈러유닛의 접합구조 및 접합방법
EP1757750B1 (en) Construction system based on prefabricated plates
KR102157721B1 (ko)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
KR101385558B1 (ko) 하프 슬라브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구조물
KR101968240B1 (ko) 단열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및 단열 콘크리트 구조물
KR101464073B1 (ko) 거푸집 없이 시공되는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KR102060278B1 (ko)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
KR102174760B1 (ko) 암거주택용 지붕 구조체
KR101326008B1 (ko) 주택시공용 콘크리트 구조체
JP5123603B2 (ja) ユニット式建物及びユニット式建物の施工方法
JPH1181336A (ja) 埋込み式コンクリート型枠
KR102344554B1 (ko) 프레임 구조물 체결 구조
KR20140112175A (ko) 형틀 일체형 건축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220157159A (ko) 조립식 무근 슈퍼콘크리트 주택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방법
KR102060279B1 (ko)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시공방법
JP6715480B2 (ja) 建物ユニット及び建物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102429975B1 (ko) 박스형 pc모듈러 구조물
KR102659857B1 (ko) 외벽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그 시공 방법
KR101437083B1 (ko) 조립이 용이한 강구조 건축물 시공방법
KR102620982B1 (ko) Pc 모듈러 조립 주택 및 pc 모듈의 제조방법
KR102249272B1 (ko) 가로모듈형 적층식 프리패브 수장벽체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