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518B1 -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518B1
KR101392518B1 KR1020130106602A KR20130106602A KR101392518B1 KR 101392518 B1 KR101392518 B1 KR 101392518B1 KR 1020130106602 A KR1020130106602 A KR 1020130106602A KR 20130106602 A KR20130106602 A KR 20130106602A KR 101392518 B1 KR101392518 B1 KR 101392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block
building block
present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6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대규
Original Assignee
한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대규 filed Critical 한대규
Priority to KR1020130106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5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36Structures movable as a whole, e.g. mobile hom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61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particular arrangement of habitable rooms or their component parts; modular co-ord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프리캐스트(precast) 방식으로 미리 공장에서 제작되고 현장에서는 조립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사기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으며, 건축물의 증축, 축소 내지 확장을 손쉽게 할 수 있으며, 철거시 건축물용 블럭을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어 자원의 낭비 및 철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측벽부, 전방 개구부 및 한 쌍의 좌,우 측방 개구부를 구비하는 건축물용 블럭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구조의 건축물을 축조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건축물용 블럭들을 상호 연결하고 하중에 대한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건축물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BLOCK FOR BUILDING AND PREFABRICATED BUILDING USING BLOCK}
본 발명은 건축물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프리캐스트(precast) 방식으로 미리 공장에서 제작되고 현장에서는 조립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사기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으며, 건축물의 증축, 축소 내지 확장을 손쉽게 할 수 있으며, 철거시 건축물용 블럭을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어 자원의 낭비 및 철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측벽부, 전방 개구부 및 한 쌍의 좌,우 측방 개구부를 구비하는 건축물용 블럭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구조의 건축물을 축조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건축물용 블럭들을 상호 연결하고 하중에 대한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건축물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주택 및 이에 상응하는 각종 건축물은 기초 콘크리트 위에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고, 조적 및 미장 등과 같은 여러 단계의 시공 과정이 소요됨에 따라, 건축 및 공사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됨에 따른 경제적 부담은 물론 공사 기간이 오래 걸리고, 한 번 시공 완료된 후에는 리모델링 및 하자 보수 작업에 어려움이 있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건축비용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공사기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공장에서 규격화하여 미리 제작한 건축모듈을 시공부지로 운송하여 조립하는 조립식 주택이 시공되고 있다.
종래의 조립식 주택은 철재 콘테이너 또는 목재 등을 이용함에 따라, 조립 이음새 부분의 기밀성이 떨어지고, 시공 완료된 건물의 전반적인 강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실질적으로, 콘크리트 철골구조물을 이용하여 주택을 비롯한 각종 건물을 짓는 것이 구조적으로 가장 안정적인 점을 감안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5-0039399(2005.04.29)에는 각 벽체의 연결부에 돌기와 홈을 형성하고, 하부를 기초가 되는 기초하판에 삽입공을 형성하여 하부와 벽체를 서로 끼움된 상태로 고정하는 이동식 콘크리트 조립건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9077호에는 배열된 주춧돌의 상부로 올려지는 블럭 형태로 천장과 외벽과 바닥판으로 구획된 조인트부를 가진 복수 개의 건축물블럭; 건축물의 외측으로 상기 건축물블럭의 바닥판에 연결되어 연장되는 바닥블럭; 상기 천장과 외벽과 바닥판을 형성하는 패널을 통해 상기 건축물블럭과 바닥블럭을 볼트와 너트로 연결하는 조인트플레이트; 및 상기 건축물블럭과 바닥블럭을 연결하는 연결부위 저면 모서리 부위에 위치시키는 콘크리트몰탈 주춧돌;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용면적에 따른 복수 개의 건축물블럭을 서로 조인트플레이트를 통해서 연결하고, 바닥블럭을 연결하며 블럭단위로 건축을 완성하는 조립식 건축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특허 또는 등록특허는 프리캐스트 블럭을 사용하여 건축물을 축조하는 것이지만, 여러 종류의 블럭이 사용되고 다양한 구조의 건축물을 축조하는 데에는 어려움 내지 제한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용 블럭은 프리캐스트(precast) 방식으로 미리 공장에서 제작되고 현장에서는 조립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사기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으며, 건축물의 증축, 축소 내지 확장을 손쉽게 할 수 있는 건축물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철거시 건축물용 블럭을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어 자원의 낭비 및 철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건축물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크기가 다른 기본 블럭과 확장 블럭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구조와 면적을 가진 건축물을 설계할 수 있는 건축물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측벽부, 전방 개구부 및 한 쌍의 좌,우 측방 개구부를 구비하는 건축물용 블럭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구조의 건축물을 축조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건축물용 블럭들을 상호 연결하고 하중에 대한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건축물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블럭은 건축물 바닥을 형성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건축물의 외벽을 형성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에서 연장되어 천정을 형성하는 상판부와, 상기 받침부 및 상판부 각각의 전단부 사이에서 개방된 전방 개구부와, 상기 받침부 및 상판부 각각의 좌우 측단부 사이에서 개방된 한 쌍의 좌,우 측방 개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은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건축물용 블럭은 건축물 바닥을 형성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건축물의 외벽을 형성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에서 연장되어 천정을 형성하는 상판부와; 상기 받침부 및 상판부 각각의 전단부 사이에서 개방된 전방 개구부와; 상기 받침부 및 상판부 각각의 좌우 측단부 사이에서 개방된 한 쌍의 좌,우 측방 개구부;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두개의 이웃하는 상기 건축물용 블럭들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상판부 위에 올려지는 하나의 결합부재에 의해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의 건축물용 블럭의 상기 측벽부, 전방 개구부 및 한 쌍의 좌,우 측방 개구부 중에서 어느 하나는 이웃하는 건축물용 블럭의 상기 측벽부, 전방 개구부 및 한 쌍의 좌,우 측방 개구부 중에서 어느 하나와 이웃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의 상판부 및 받침부는 각각 동일한 면적의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부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연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상판부의 정사각형이 적어도 두개가 결합한 구조의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재의 하면에는 상기 제1연결홈에 끼워지는 제1결합돌부가 형성되어 이웃하는 상기 건축물용 블럭들을 서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의 결합부재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의 하면에는 상기 제2연결홈에 끼워지는 제2결합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은 복수 층의 건축물을 축조하는 경우 하층을 이루는 건축물용 블럭 상에 결합부재가 적층되고, 상기 결합부재 상에 상층을 이루는 건축물용 블럭이 적층되며, 상기 상층을 이루는 건축물용 블럭 상에 결합부재가 다시 적층되는 구조로 축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의 건축물용 블럭은 상기 상판부 및 받침부가 각각 동일한 소정 면적의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기본 블럭과, 상기 기본 블럭의 상판부 및 받침부보다 4배 면적의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상판부 및 받침부로 구성되는 확장 블럭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에 의하면, 건축물용 블럭이 프리캐스트(precast) 방식으로 미리 공장에서 제작되고 현장에서는 조립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사기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으며, 건축물의 증축, 축소 내지 확장을 손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에 의하면, 건축물의 철거시 건축물용 블럭을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어 자원의 낭비 및 철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에 의하면, 크기가 다른 기본 블럭과 확장 블럭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구조와 면적을 가진 건축물을 설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에 의하면, 측벽부, 전방 개구부 및 한 쌍의 좌,우 측방 개구부를 구비하는 건축물용 블럭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구조의 건축물을 축조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건축물용 블럭들을 상호 연결하고 하중에 대한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블럭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내지 단면도들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내지 단면도들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블럭에 결합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평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의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하여 2층 건축물을 형성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블럭 두 개가 나란히 배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블럭들이 조합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의 1층 및 2층을 도시하는 평면도들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의 다른 구조의 1층 및 2층을 도시하는 평면도들이고, 도 7c 및 도 7d는 도 7a 및 도 7b의 배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의 또 다른 구조의 1층 및 2층을 도시하는 평면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설명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블럭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내지 단면도들이다.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블럭(100)은 크게 받침부(110)와, 측벽부(120)와, 상판부(130)와,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블럭(100)은 콘크리트, 목재, EPS, ARC, 황토 등과 같은 다양한 재료로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건축물용 블럭(100)은 프리캐스트(precast) 방식으로 미리 공장에서 제작되고 현장에서는 조립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사기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받침부(110)는 건축물의 바닥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지반에 수평하게 놓이는 정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110)의 하면에는 상기 제2결합돌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돌부(111)는 지반에 형성된 홈 또는 후술할 결합부재의 상면에 형성된 제2연결홈에 끼워져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측벽부(120)는 건축물의 외벽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받침부(110)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상기 상판부(130)는 상기 측벽부(120)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건축물의 천정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상판부(130)는 상기 받침부(110)의 직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받침부(110)와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상판부(130)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연결홈(1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연결홈(131)은 후술할 결합부재(160)의 제1결합돌부(161)가 결합하게 된다.
상기 제1연결홈(131)은 4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제1연결홈(131)은 정사각형의 상판부 모서리를 연결하는 2개의 대각선 상에 각각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건축물용 블럭과 이웃하는 건축물용 블럭이 어느 방향에서 결합하더라도 후술할 결합부재에 형성되는 제1결합돌부들이 체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마찬가지 이유로, 상기 상판부(130)에 제1연결홈(131)이 1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연결홈(131)은 상판부 모서리를 연결하는 2개의 대각선이 교차하는 중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구부는 크게 전방 개구부(141)와, 좌측방 개구부(143), 우측방 개구부(14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전방 개구부(141)는 상기 받침부(110) 및 상판부(130) 각각의 전단부 사이에서 개방된 영역을 의미하고, 좌,우 측방 개구부(141, 143, 145)는 상기 받침부(110) 및 상판부(130) 각각의 좌우 측단부 사이에서 개방된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전방, 좌, 우 측방 개구부(141,143,145) 및 측벽부(12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은 건축물의 실내 내지 출입구, 복도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전방 개구부(141)가 형성되어 보다 다양한 구조의 건축물 설계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내지 단면도들이다.
도 1a 내지 도 2d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160)는 적어도 두개의 이웃하는 상기 건축물용 블럭(100)들은 연결 내지 결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상판부(130) 위에 올려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재(160)는 상기 상판부(130)의 정사각형이 두 개가 결합한 구조의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판부(130)의 정사각형이 3 개 이상 결합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결합부재(160)의 하면에는 상기 제1연결홈(131)에 끼워지는 제1결합돌부(161)가 8개 형성되어 이웃하는 상기 건축물용 블럭들()을 서로 고정한다.(도 3a 참조) 상기 결합부재(160)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연결홈(163), 구체적으로는 상판부(130)에 대응하는 개수(8개)의 제2연결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블럭에 결합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160)는 적어도 두 개의 건축물용 블럭(100)이 이웃하게 배치된 경우 이들의 상판부(130)에 올려져 결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재(160)의 제1결합돌부(161)는 이웃하는 두 개의 건축물용 블럭(100a, 100b)에 형성된 제1연결홈(131a, 131b)과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되어 끼움 결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는 적어도 2개의 건축물용 블럭을 연결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건축물용 블럭이 개구부로 인해 구조적으로 하중에 취약하다는 단점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도시하진 않았으나, 제1결합돌부와 제1연결홈 사이에는 앵커(anchor) 등을 삽입함으로써, 결합력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으며, 앵커를 이용하여 구조물을 결합하는 방식은 이미 공지된 사항에 해당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3c는 본 발명의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하여 2층 건축물을 형성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은 1층은 물론, 다층 구조의 건축물을 축조할 수 있다.
기초공사를 마친 지반 상에 건축물용 블럭(100a,100b)들을 배치한 상태에서 결합부재(160a)를 상판부(130a,130b)들 상에 적층하여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160a) 상에 건축물용 블럭들(100a,100b)을 적층하고 다시 결합부재(160b)를 적층함으로써 2층 건축물을 축조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건축물용 블록과 결합부재를 교대로 적층함으로써, 다층 건축물을 축조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1층을 이루는 건축물용 블럭들(100a,100b)의 받침부(110a,110b)에 형성된 제2결합돌부(111a, 111b)는 지반에 결합되고, 상판부(130b)에 형성된 제1연결홈(131b)에는 제1 결합부재(160a)의 제1결합돌부(161a)가 끼움 결합 또는 앵커를 통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결합부재(160a)의 제2연결홈(163a)에는 2층을 이루는 건축물용 블럭들(100c,100d)의 받침부(110c)에 형성된 제2결합돌부(111d)가 끼움 결합 또는 앵커를 통해 고정되며, 2층을 이루는 건축물용 블럭(100c,100d)의 상판부(130d)에 형성된 제1연결홈(131d)에는 제2 결합부재(160b)의 제1결합돌부(161b)가 결합하게 된다.
이때, 각 층에 배치되는 건축물용 블럭들 사이 또는 블럭과 결합부재 사이 또는 결합부재들 사이에는 몰탈이나 우레탄 폼 등을 이용하여 틈을 메우게 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블럭 두 개가 나란히 배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블럭들이 조합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블럭(100)들은 다양한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이웃하는 건축물용 블럭들이 나란히 배치될 수 있으며, 도 5a 내지 도 5d와 같이, 제1 건축물용 블럭(100a)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 건축물용 블럭(100b)이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된 제1 건축물용 블럭(100a)에 제2 건축물용 블럭(100b)이 1에서 16까지의 경우의 수를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확장하여 3개 이상의 건축물용 블럭들을 조합하는 경우에는 보다 많은 경우의 수를 이용하여 다양한 패턴의 배치를 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의 1층 및 2층을 도시하는 평면도들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의 다른 구조의 1층 및 2층을 도시하는 평면도들이고, 도 7c 및 도 7d는 도 7a 및 도 7b의 배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의 또 다른 구조의 1층 및 2층을 도시하는 평면도들이다.
도 6a 내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은 건축물용 블럭을 조합하여 다양한 구조의 1층과 2층을 축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보다 다양한 구조의 건축물을 축조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크기의 블럭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축물용 블럭은 상기 상판부 및 받침부가 각각 동일한 소정 면적의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기본 블럭(200)과, 상기 기본 블럭(200)의 상판부 및 받침부의 4배 면적의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상판부 및 받침부로 구성되는 확장 블럭(300)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의 경우 2,200×2,200(mm) 크기의 정사각형 받침부 또는 상판부를 가지는 기본 블럭 6개와, 4,400×4,400×200(mm) 크기의 정사각형 받침부 또는 상판부를 가지는 확장 블럭 3개를 조합 배치하여 면적 87.34(m2) 의 1층을 축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은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한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함으로써, 간단하고 편리하게 건축물을 축조할 수 있으며, 재건축시, 예를 들어 건축물의 증축 또는 축소/확장을 손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건축물의 철거시에는 건축물용 블럭을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크기가 다른 기본 블럭과 확장 블럭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구조와 면적을 가진 건축물을 설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공사 기간의 현저한 단축 및 공사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은 측벽부, 전방 개구부 및 한 쌍의 좌,우 측방 개구부를 구비하는 건축물용 블럭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구조의 건축물을 축조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건축물용 블럭들을 상호 연결하고 하중에 대한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건축물용 블럭 110 : 받침부
111 : 제2결합돌부 120 : 측벽부
130 : 상판부 131 : 제1연결홈
140 : 개구부 141 : 전방 개구부
143 : 좌측방 개구부 145 : 우측방 개구부
160 : 결합부재 161 : 제1결합돌부
163 : 제2연결홈 200 : 기본 블럭
300 : 확장 블럭

Claims (7)

  1. 삭제
  2.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용 블럭은,
    건축물 바닥을 형성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건축물의 외벽을 형성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에서 연장되어 천정을 형성하는 상판부와; 상기 받침부 및 상판부 각각의 전단부 사이에서 개방된 전방 개구부와; 상기 받침부 및 상판부 각각의 좌우 측단부 사이에서 개방된 한 쌍의 좌,우 측방 개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 개구부와, 좌,우 측방 개구부는 서로 연통되며,
    적어도 두 개의 이웃하는 상기 건축물용 블럭들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상판부 위에 올려지는 하나의 결합부재에 의해 서로 고정되되,
    상기 상판부 및 받침부는 각각 동일한 면적의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부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연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상판부의 정사각형이 적어도 두 개가 결합한 구조의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재의 하면에는 상기 제1연결홈에 끼워지는 제1결합돌부가 형성되어 이웃하는 상기 건축물용 블럭들을 서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용 블럭의 상기 측벽부, 전방 개구부 및 한 쌍의 좌,우 측방 개구부 중에서 어느 하나는 이웃하는 건축물용 블럭의 상기 측벽부, 전방 개구부 및 한 쌍의 좌,우 측방 개구부 중에서 어느 하나와 이웃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의 하면에는 상기 제2연결홈에 끼워지는 제2결합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
  6. 제5항에 있어서,
    복수 층의 건축물을 축조하는 경우 하층을 이루는 건축물용 블럭 상에 결합부재가 적층되고, 상기 결합부재 상에 상층을 이루는 건축물용 블럭이 적층되며, 상기 상층을 이루는 건축물용 블럭 상에 결합부재가 다시 적층되는 구조로 축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용 블럭은,
    상기 상판부 및 받침부가 각각 동일한 소정 면적의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기본 블럭과,
    상기 기본 블럭의 상판부 및 받침부보다 4배 면적의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상판부 및 받침부로 구성되는 확장 블럭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
KR1020130106602A 2013-09-05 2013-09-05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 KR101392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602A KR101392518B1 (ko) 2013-09-05 2013-09-05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602A KR101392518B1 (ko) 2013-09-05 2013-09-05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2518B1 true KR101392518B1 (ko) 2014-05-07

Family

ID=50893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6602A KR101392518B1 (ko) 2013-09-05 2013-09-05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5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278B1 (ko) * 2019-06-21 2019-12-27 박준신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
KR102060279B1 (ko) * 2019-06-21 2019-12-27 박준신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2157721B1 (ko) * 2019-08-21 2020-09-18 박준신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0477B1 (ko) * 2011-03-25 2012-02-29 최승선 복수층의 빗물저류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0477B1 (ko) * 2011-03-25 2012-02-29 최승선 복수층의 빗물저류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278B1 (ko) * 2019-06-21 2019-12-27 박준신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
KR102060279B1 (ko) * 2019-06-21 2019-12-27 박준신 콘크리트 암거주택용 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2157721B1 (ko) * 2019-08-21 2020-09-18 박준신 암거주택용 벽체의 개구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51864A (en) Interstitial space frame system
WO2016115015A1 (en) Structurally independent frame for component based multi-unit buildings
KR101392518B1 (ko)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
KR100805732B1 (ko) 모듈러 유닛을 이용한 건축물 구조
EP1055036B1 (en) Modular building unit
CN116547432A (zh) 建筑组件、由其形成的建筑物结构及其构造方法
JP2005240358A (ja) ユニット式建物
JP5128313B2 (ja) ユニット式建物
JP5123603B2 (ja) ユニット式建物及びユニット式建物の施工方法
KR102206844B1 (ko) 모듈러 건축물의 단위 모듈 간 결합 구조 및 방법
JP6271061B1 (ja) 箱型パネルセット、及び建築物組立方法
JP2005240359A (ja) ユニット式建物及び建物ユニット
CN111502022A (zh) 模块化拼装房屋墙体楼面结构及其制备拼装方法
JP6816941B2 (ja) 免震建物の基礎構造
JP5501725B2 (ja) ユニット式建物
JP3311323B2 (ja) 柱無しの建物ユニット及びユニット建物
KR100660211B1 (ko) 수직 대공간형 조립식 건축 모듈 및 그 시공방법
WO2007105690A1 (ja) 既設建物の増築方法及びこの方法により増築された建物
JP5362893B2 (ja) ユニット式建物
JP2941893B2 (ja) コンクリート製組立型地下室
JPH05339999A (ja) 壁式工法による部屋ユニット
KR101456836B1 (ko) 거푸집 겸용 건축구조물 내외장용 건축재 및 이를 이용한 건축구조물 시공 방법
JP2936492B2 (ja) コンクリート製組立型地下室およびコンクリート製組立型地下室の施工方法
JP2854168B2 (ja) コンクリート製組立型地下室の躯体構造
JPH09125523A (ja) ユニット式建物の玄関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