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477B1 - 복수층의 빗물저류조 - Google Patents

복수층의 빗물저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477B1
KR101120477B1 KR1020110027206A KR20110027206A KR101120477B1 KR 101120477 B1 KR101120477 B1 KR 101120477B1 KR 1020110027206 A KR1020110027206 A KR 1020110027206A KR 20110027206 A KR20110027206 A KR 20110027206A KR 101120477 B1 KR101120477 B1 KR 101120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lock
block
storage
slab
rain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갑중
최승선
Original Assignee
최승선
(주)에코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선, (주)에코닉스 filed Critical 최승선
Priority to KR1020110027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04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층으로 겹겹이 쌓을 수 있어 동일면적에서 보다 큰용량의 빗물저장공간을 제공하는 복수층의 빗물저류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도록 복수개의 수직기둥과 수평보 및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 슬라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저류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부 저류블록군과, 상기 상부 저류블록의 하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도록 복수개의 수직기둥과 수평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저류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간 저류블록군 및 상기 중간 저류블록의 하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빛물이 저장되는 단위 공간을 형성하도록 복수개의 수직기둥과 수평보 및 하면을 형성하는 하면 슬라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저류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부 저류블록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층의 빗물저류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복수층의 빗물저류조{Storage Block for Rainwater Storage Tank}
본 발명은 빗물을 일시적으로 저류하여 필요시 방출하는 빗물저류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복수층으로 겹겹이 쌓을 수 있어 동일면적에서 보다 큰용량의 빗물저장공간을 제공하는 복수층의 빗물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물의 증가나 지표의 포장율의 상승에 따라서 호우시에 빗물이 지하로 침투함이 없이 하수도나 하천으로 곧바로 유입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또, 강수량에 따라 하수도나 하천으로 유입되는 유량이 허용량을 초과하게 되면 홍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 다른 한편, 지중에 침투되는 수량이 적어지면 지하수량이 부족해지고, 이는 가뭄은 물론 갈수기에 하천이 말라 수질이 약화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하여, 최근에는 빗물을 저류하여 필요시 하천으로 유출시킬 수 있는 빗물저류조 등이 설치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빗물저류조는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는 방법과 기 제작된 콘크리트 저류블록들을 현장에서 조립하여 시공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상기 콘크리트를 현장에서 타설하여 시공하는 방법은 공사시간이 길어지고 공사비도 증가하는 한편 안전사고의 발생확율이 높아 기 제작된 PC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조립시공하는 방법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PC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빗물저류조의 일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빗물저류조(50)는 지하에 매립되며, 도 2에 도시된 저류블록(10)이 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저류블록(10)은 사각형태의 상면 슬라브(12)와 하면 슬라브(14)의 각 모서리에 기둥(16)들이 각각 직립 제공되며, 상기 기둥(16)들에 의해 네 개의 면에 개구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16)들의 상부 및 하부에 다수의 너트 안치홈이 형성되고 내측에 형성되는 관통공들이 각각 형성되는 한편, 커플 가이드 핀(13)이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홈들이 외부면에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저류블록(10)들은 각 기둥(16)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볼트(미도시)가 결합되어 서로 체결 고정되어 빗물저류조(50)를 이루며, 빗물저류조의 외측 둘레에 구비된 저류블록(10)에는 도 3에 도시된 패널(15)이 결합되어 외측벽을 이루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빗물이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부분에는 도 4에 도시된 홀(19)이 형성된 패널(15)이 결합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빗물저류조는 단층으로만 제작될 수 있어 일정한 규모의 저류용량을 갖기 위해서는 일정한 면적의 지하공간이 필요한데, 최근에는 지하공간의 개발 또한 확대되고 있어 충분한 저류용량에 필요한 지하공간의 면적의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동일한 면적에 보다 큰 저류용량을 제공하는 빗물저류조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저류블록들은 기둥을 체결하는 방식이므로, 수밀이 이루어져야 할 상면 슬라브(12) 및 하면 슬라브(14)와 상기 기둥(16)이 체결되는 지점이 이격되므로, 수밀이 이루어지는 지점과 가압하는 지점이 떨어져 있어 수밀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저류블록들은 외측벽을 이루는 블록에는 패널(15)이 결합되어 외측벽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패널(15)의 결합작업을 추가로 필요로하고 패널(15)과 기둥(16)의 접합부 수밀효과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일한 면적의 지하공간에 보다 큰 저류용량을 제공하기 위한 빗물저류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수밀이 이루어지는 지점과 가압하는 지점이 동일하여 수밀효과가 더욱 향상된 빗물저류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또한, 저류블록을 복수층으로 결합하기 위한 상하블록 결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나 이상의 수직기둥과 수평보 및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 슬라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저류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부 저류블록군과, 상기 상부 저류블록의 하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나 이상의 수직기둥과 수평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저류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중간 저류블록군 및 상기 중간 저류블록의 하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빛물이 저장되는 단위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나 이상의 수직기둥과 수평보 및 하면을 형성하는 하면 슬라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저류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부 저류블록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층의 빗물저류조가 개시된다.
상기 상부 저류블록군은,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나 이상의 수직기둥과 수평보로 이루어지며, 육면중 상면에는 상면 슬라브가 구비되며, 어느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에 연접하는 타면에 벽면이 형성되고, 나머지 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상부 저류블록군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상 코너블록과,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나 이상의 수직기둥과 수평보로 이루어지며, 육면중 상면에는 상면 슬라브가 구비되며, 어느 일측면에는 벽면이 형성되고, 나머지 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상부 저류블록군의 측면에 설치되는 상 사이드블록 및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나 이상의 수직기둥과 수평보로 이루어지며, 육면중 상면에는 상면 슬라브가 구비되며, 나머지 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상부 저류블록군의 상 코너블록과 상 사이드 블록이 설치된 나머지 부분에 설치되는 상 미들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상 코너블록과, 상 사이드 블록 및 상 미들블록이 상호 수평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간 저류블록군은,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나 이상의 수직기둥과 수평보로 이루어지며, 어느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에 연접하는 타면에 벽면이 형성되고, 나머지 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중간 저류블록군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중간 코너블록과,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나 이상의 수직기둥과 수평보로 이루어지며, 어느 일측면 벽면이 형성되고, 나머지 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중간 저류블록군의 측면에 설치되는 중간 코너블록 및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나 이상의 수직기둥과 수평보로 이루어지며, 육면이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중간 저류블록군의 중간 코너블록과 중간 사이드 블록이 설치된 나머지 부분에 설치되는 중간 미들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중간 코너블록과, 중간 사이드 블록 및 중간 미들블록이 상호 수평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 저류블록군은,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나 이상의 수직기둥과 수평보로 이루어지며, 육면중 하면에는 하면 슬라브가 구비되며, 어느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에 연접하는 타면에 벽면이 형성되고, 나머지 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하부 저류블록군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하 코너블록과,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나 이상의 수직기둥과 수평보로 이루어지며, 육면중 하면에는 하면 슬라브가 구비되며, 어느 일측면에는 벽면이 형성되고, 나머지 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하부 저류블록군의 측면에 설치되는 하 사이드블록 및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나 이상의 수직기둥과 수평보로 이루어지며, 육면중 하면에는 하면 슬라브가 구비되며, 나머지 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하부 저류블록군의 하 코너블록과 하 사이드 블록이 설치된 나머지 부분에 설치되는 하 미들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하 코너블록과, 하 사이드 블록 및 하 미들블록이 상호 수평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호 수평으로 연접된 저류블록의 상기 상면 슬라브와 상면 슬라브간 또는 하면 슬라브와 하면 슬라브에는, 상기 상면 슬라브와 하면 슬라브의 각 측면에 연접되는 다른 저류블록의 상면 슬라브 및 하면 슬라브를 체결하는 제1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제1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공은, 일측 개구부가 상기 상면 슬라브 또는 하면 슬라브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고, 타측 개구부가 상기 일측 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상면 슬라브와 하면 슬라브의 각 측면에 연접되는 다른 저류블록의 상면 슬라브 및 하면 슬라브의 측면에 형성되어 내부통로가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제1결합공에 삽입되는 인장강선 및 상기 상면 슬라브 또는 하면 슬라브 및 이와 인접되는 다른 저류블록의 상면 슬라브 및 하면 슬라브에 압착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인장강선을 상면 슬라브 또는 하면 슬라브에 지지시키는 강선고정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호 연접된 상기 저류블록의 수평보와 수평보에는, 상기 수평보의 측면에 연접되는 다른 저류블록의 수평보를 체결하는 제2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제2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제2결합공에 삽입되는 인장강선 및 상기 저류블록의 수평보 및 이와 연접되는 다른 저류블록의 수평보에에 압착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인장강선을 수평보에 지지시키는 강선고정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제2결합공에 삽입되는 직선의 볼트와 상기 볼트의 수평보 외측으로 돌출된 끝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볼트와 수평보를 고정시키는 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저류블록 중, 상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의 하측면 또는 상기 저류블록의 하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의 상측면 중 어느 일측은 돌출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저류블록 중, 상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의 하측면 및 상기 저류블록의 하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의 상측면에 홈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저류블록 중, 상호 상하로 연접한 저류블럭간에 수평을조절하기 위한 수평조절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조절장치는, 상기 저류블록 중, 상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의 하측면 또는 상기 저류블록의 하층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의 상측면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내산파이프와, 상기 내산파이프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내산파이프에 치합되면서 내산파이프를 관통하는 높이조절볼트 및 상기 내산파이프가 구비된 맞은편 에 구비되어 상기 내산파이프를 관통한 높이조절볼트의 끝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볼트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볼트 지지대에 의해 끝단이 지지되는 높이조절볼트에 의해 상측에 위치된 저류블록이 지지되어 지지되는 부분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조절장치는, 상기 저류블록의 수평보에 구비되며, 하나의 저류블록의 복수개소에 구비되어 상기 저류블록의 수평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류블록 중, 상호 상하로 연접한 저류블럭간을 고정하는 상하결합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결합장치는, 상기 저류블록 중 상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의 하측면 또는 상기 저류블록의 하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의 상측면 중 어느 일측의 상호 결합면에 구비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인서트 너트, 외주면 일부에 상기 인서트 너트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 너트에 삽입체결되며, 상기 인서트 너트가 구비된 저류블록의 맞은편 저류블록 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형성되는 고정앵커 및 상기 인서트 너트가 구비된 저류블록의 맞은편 저류블록에 상기 고정앵커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앵커 삽입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고정앵커가 상기 인서트 너트에 체결된 후, 상기 상측의 저류블록이 하측에 저류블록에 결합되면서 상기 고정앵커의 돌출된 부분이 상기 앵커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상호 상하로 연접한 저류블록간을 고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하결합장치는, 상기 저류블록 중 상측에 위치된 저류블록과 하측에 위치된 저류블록을 체결하는 제3고정부재 및, 상기 제3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제3결합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결합공은, 일측 개구부가 상기 상측 저류블록 또는 하측 저류블록의 측면에 형성되고, 타측 개구부가 상기 일측 개구부가 형성된 상측 저류블록의 하측면 또는 하측 저류블록의 상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측 저류블록과 하측 저류블록이 상하로 결합되었을 때 상기 상측 저류블록의 하측면과 하측 저류블록의 상측면에 형성된 개구부들이 상호 연통되어 내부통로가 만곡되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3고정부재는, 상기 제3결합공의 곡률에 따라 휘어지게 형성된 볼트와, 상기 제3결합공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볼트의 양 단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상측 저류블록과 하측 저류블록을 압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나 이상의 수직기둥과 수평보 및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 슬라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저류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부 저류블록군 및 상기 상부 저류블록의 하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빛물이 저장되는 단위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나 이상의 수직기둥과 수평보 및 하면을 형성하는 하면 슬라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저류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부 저류블록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층의 빗물저류조가 제공된다.
상기 상부 저류블록군은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나 이상의 수직기둥과 수평보로 이루어지며, 육면중 상면에는 상면 슬라브가 구비되며, 어느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에 연접하는 타면에 벽면이 형성되고, 나머지 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상부 저류블록군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상 코너블록,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나 이상의 수직기둥과 수평보로 이루어지며, 육면중 상면에는 상면 슬라브가 구비되며, 어느 일측면에는 벽면이 형성되고, 나머지 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상부 저류블록군의 측면에 설치되는 상 사이드블록 및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나 이상의 수직기둥과 수평보로 이루어지며, 육면중 상면에는 상면 슬라브가 구비되며, 나머지 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상부 저류블록군의 상 코너블록과 상 사이드 블록이 설치된 나머지 부분에 설치되는 상 미들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상 코너블록과, 상 사이드 블록 및 상 미들블록이 상호 수평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 저류블록군은,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도록 복수개의 수직기둥과 수평보로 이루어지며, 육면중 하면에는 하면 슬라브가 구비되며, 어느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에 연접하는 타면에 벽면이 형성되고, 나머지 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하부 저류블록군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하 코너블록,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도록 복수개의 수직기둥과 수평보로 이루어지며, 육면중 하면에는 하면 슬라브가 구비되며, 어느 일측면에는 벽면이 형성되고, 나머지 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하부 저류블록군의 측면에 설치되는 하 사이드블록 및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도록 복수개의 수직기둥과 수평보로 이루어지며, 육면중 하면에는 하면 슬라브가 구비되며, 나머지 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하부 저류블록군의 상 코너블록과 상 사이드 블록이 설치된 나머지 부분에 설치되는 하 미들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하 코너블록과, 하 사이드 블록 및 하 미들블록이 상호 수평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호 수평으로 연접된 저류블록의 상기 상면 슬라브와 상면 슬라브간 또는 하면 슬라브와 하면 슬라브에는, 상기 상면 슬라브와 하면 슬라브의 각 측면에 연접되는 다른 저류블록의 상면 슬라브 및 하면 슬라브를 체결하는 제1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제1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공은, 일측 개구부가 상기 상면 슬라브 또는 하면 슬라브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고, 타측 개구부가 상기 일측 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상면 슬라브와 하면 슬라브의 각 측면에 연접되는 다른 저류블록의 상면 슬라브 및 하면 슬라브의 측면에 형성되어 내부통로가 만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제1결합공에 삽입되는 인장강선, 상기 상면 슬라브 또는 하면 슬라브 및 이와 인접되는 다른 저류블록의 상면 슬라브 및 하면 슬라브에 압착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인장강선을 상면 슬라브 또는 하면 슬라브에 지지시키는 강선고정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저류블록 중, 상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의 하측면 또는 상기 저류블록의 하층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의 상측면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내산파이프, 상기 내산파이프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내산파이프에 치합되면서 내산파이프를 관통하는 높이조절볼트 및 상기 내산파이프가 구비된 맞은편에 구비되어 상기 내산파이프를 관통한 높이조절볼트의 끝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볼트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볼트 지지대에 의해 끝단이 지지되는 높이조절볼트에 의해 상측에 위치된 저류블록이 지지되어 지지되는 부분의 높이가 조절되어 저류블록의 수평이 조절되는 수평조절장치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류블록 중 상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의 하측면 또는 상기 저류블록의 하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의 상측면 중 어느 일측의 상호 결합면에 구비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인서트 너트, 외주면 일부에 상기 인서트 너트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 너트에 삽입체결되며, 상기 인서트 너트가 구비된 저류블록의 맞은편 저류블록 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형성되는 고정앵커 및 상기 인서트 너트가 구비된 저류블록의 맞은편 저류블록에 상기 고정앵커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앵커 삽입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고정앵커가 상기 인서트 너트에 체결된 후, 상기 상측의 저류블록이 하측에 저류블록에 결합되면서 상기 고정앵커의 돌출된 부분이 상기 앵커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상호 상하로 연접한 저류블록간을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상하결합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저류블록 중 상측에 위치된 저류블록과 하측에 위치된 저류블록을 체결하는 제3고정부재 및, 상기 제3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제3결합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결합공은, 일측 개구부가 상기 상측 저류블록 또는 하측 저류블록의 측면에 형성되고, 타측 개구부가 상기 일측 개구부가 형성된 상측 저류블록의 하측면 또는 하측 저류블록의 상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측 저류블록과 하측 저류블록이 상하로 결합되었을 때 상기 상측 저류블록의 하측면과 하측 저류블록의 상측면에 형성된 개구부들이 상호 연통되어 내부통로가 만곡되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3고정부재는, 상기 제3결합공의 곡률에 따라 휘어지게 형성된 볼트와, 상기 제3결합공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볼트의 양 단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상호 상하로 연접한 저류블록간을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상하결합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복수층의 빗물저류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빗물저류조가 복수층으로 조립되므로, 동일면적의 지하공간에서도 보다 큰 저류용량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각 저류블록간의 수평조절이 수평조절장치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큰 규모의 빗물저류조를 조립 설치하여도 각 저류블록간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어 빗물저류조의 내구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셋째, 제1결합공 및 제1고정부재와 제2결합공 및 제2고정부재로서 체결되는 지점과 수밀이 이루어지는 지점이 일치되므로 압착력이 높아져 수밀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상부저류블록과 하부저류블록의 연결부가 수평조절장치에 의하여 일체화 되는 효과가 있어 수밀 성을 증대시킨다.
다섯째, 블록의 모양이 정형화 되어 최소한의 저류블록 종류로 규모에 관계없이 저류블록의 축조가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빗물저류조의 일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은 도 1의 빗물저류조를 이루는 저류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저류블록에 결합되는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저류블록에 결합되는 홀이 형성된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빗물저류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상 코너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5의 상 사이드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5의 상 미들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5의 중간 코너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5의 중간 사이드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5의 중간 미들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5의 하 코너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5의 하 사이드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5의 하 미들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도 5의 빗물저류조를 이루는 저류블록의 상면 슬라브들이 상호 체결된 부위의 일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도 5의 빗물저류조를 이루는 저류블록의 상면 슬라브들이 상호 체결된 부위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제1고정부재의 인장강선 및 강선 고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도 5의 빗물저류조를 이루는 저류블록의 수평보 들이 상호 체결된 부위의 일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9는 도 5의 빗물저류조를 이루는 저류블록의 수직기둥들이 상호 결합된 부위의 일 형태 및 수평조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0은 도 5의 빗물저류조를 이루는 저류블록의 수직기둥들이 상호 결합된 부위의 다른 형태 및 수평조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1은 도 5의 빗물저류조를 이루는 저류블록 중 상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과 하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을 상호 고정시키는 상하결합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2는 도 5의 빗물저류조를 이루는 저류블록 중 상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과 하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을 상호 고정시키는 상하결합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3은 도 5의 빗물저류조를 이루는 저류블록 중 배수공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24는 도 23의 배수공에 장착되는 접속관 및 관로와 필터 수용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5는 도 24의 접속관에 결합되는 덮개부를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
도 26은 도 5의 빗물저류조를 이루는 저류블록 중 점검구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층의 빗물저류조(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빗물저류조'라 칭하기로 함: 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저류블록군(110)과 중간 저류블록군(120) 및 하부 저류블록군(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 저류블록군(11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빗물저류조(100)의 상측부를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내부에 빛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나 이상의 수직기둥(102)과 수평보(104) 및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 슬라브(1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저류블록(101)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류블록(101)이란, 상기 빗물저류조(100)를 이루는 한 단위의 블록을 뜻하는 용어이며, 상기 단위 저류공간은 상기 하나의 저류블록(101)이 형성하는 빗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뜻하기로 한다.
또한, 본 빗물저류조(100)를 이루는 저류블록(101)들은 모두 동일한 외형 크기를 가지도록 규격화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류블록(101)들이 구성되어 상기한 상부 저류블록군(110) 내지 하부 저류블록군(130)이 조합되는 것이며, 상기 단위 저류공간을 가진 저류블록(101)들이 결합되어 빗물저류조(100) 전체의 저류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 저류블록군(11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코너블록(111)과 상 사이드블록(113) 및 상 미들블록(1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 코너블록(111)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저류블록군(110)의 모서리에 위치되는 구성요소이며,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나의 수직기둥(102)과 하측에 2개의 수평보(10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육면중 상면에는 상면 슬라브(117)가 일체로 형성되며, 수평방향의 옆측면도 어느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에 연접하는 타측면에 벽면(119)이 일체로 형성되며, 나머지 측면 및 하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상 사이드블록(113)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저류블록군(110)의 외측면에 위치되는 구성요소이며,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도록 두 개의 수직기둥(102)과 하측에 3개의 수평보(10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육면중 상면에는 상면 슬라브(117)가 일체로 형성되며, 수평방향의 옆측면도 어느 일측면에 벽면(119)이 일체로 형성되고, 나머지 측면 및 하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상 미들블록(115)은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저류블록군(110)의 내측에 위치되는 구성요소이며,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도록 4개의 수직기둥(102)과 하측에 4개의 수평보(10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육면중 상면에는 일체로 상면 슬라브(117)가 형성되며, 나머지 측면 및 하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상 코너블록(111)과 상 사이드블록(113) 및 상 미들블록(115)이 상호 수평결합하여 상기 상부 저류블록군(110)이 조합되는 것이다.
상기 중간 저류블록군(120)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저류블록군(110)의 하측 또는 후술하는 하부 저류블록군(13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빗물저류조(100)의 중간층를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나 이상의 수직기둥(102)과 수평보(1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저류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간 저류블록군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코너블록(121)과 중간 사이드블록(123) 및 중간 미들블록(1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간 코너블록(121)은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저류블록군(120)의 모서리에 위치되는 구성요소이며,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형성하도록 하나의 수직기둥(102)과 상측과 하측에 각각 두개씩의 수평보(10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수평방향 옆측면중 어느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에 연접하는 타측면에 벽면(127)이 일체로 형성되며, 나머지 측면 및 상면과 하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중간 사이드블록(123)은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저류블록군(120)의 외측면에 위치되는 구성요소이며,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형성하도록 두 개의 수직기둥(102)과 상측과 하측에 각각 3개씩의 수평보(10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수평방향 옆측면중 어느 일측면에 일체로 벽면(127)이 형성되며, 나머지 측면 및 상면과 하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중간 미들블록(125)은 도 5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저류블록군(120)의 내측에 위치되는 구성요소이며,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형성하도록 4개의 수직기둥(102)과 상측과 하측에 각각 4개씩의 수평보(10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모든 측면 및 상면과 하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중간 코너블록(121)과 중간 사이드블록(123) 및 중간 미들블록(125)이 상호 수평결합하여 상기 중간 저류블록군(120)이 조합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 저류블록군(130)은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빗물저류조(100)의 하부층를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나 이상의 수직기둥(102)과 수평보(104) 및 하면을 형성하는 하면 슬라브(1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저류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 저류블록군(130)은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 코너블록(131)과 하 사이드블록(133) 및 하 미들블록(1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 코너블록(131)은 도 5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저류블록군(130)의 모서리에 위치되는 구성요소이며,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나의 수직기둥(102)과 상측에 구비되는 2개의 수평보(10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육면중 하면에는 하면 슬라브(137)가 일체로 형성되며, 옆측면도 어느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에 연접하는 타측면에 벽면(139)이 일체로 형성되며, 나머지 측면 및 상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하 사이드블록(133)은 도 5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 저류블록군(120)의 하측에 위치되는 하부 저류블록군(130)의 외측면에 위치되는 구성요소이며,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도록 두 개의 수직기둥(102)과 상측에 구비되는 3개의 수평보(10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육면중 하면에는 하면 슬라브(137)가 일체로 형성되며, 수평방향 옆측면은 어느 일측면에 벽면(139)이 일체로 형성되고, 나머지 측면 및 상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하 미들블록(135)은 도 5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저류블록군(130)의 내측에 위치되는 구성요소이며,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도록 4개의 수직기둥(102)과 상측에 구비되는 4개의 수평보(10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육면중 하면에는 하면 슬라브(137)가 형성되며, 나머지 측면 및 상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하 코너블록(131)과 하 사이드블록(133) 및 하 미들블록(135)이 상호 수평결합하여 상기 하부 저류블록군(130)이 조합되는 것이다.
즉, 상부 저류블록군(110)의 하측에 중간 저류블록군(120)이 구비되고, 상기 중간 저류블록군(120)의 하측에 상기 하부 저류블록군(130)이 구비되어 복수층의 빗물저류조(100)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때, 설치하고자 하는 빗물저류조(100)의 저류용량에 따라 상기 중간 저류블록군(120)은 다수층이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저류블록(101)간에 수평결합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저류블록(101) 중, 상면 슬라브(117) 또는 하면 슬라브(137)가 형성된 상부 저류블록군(110)과 하부 저류블록군을 이루는 저류블록(101)들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공(140)과 제1고정부재(150)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결합공(140)과 제1고정부재(150)가 상면 슬라브(117)에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이는 하부 저류블록군(130)을 이루는 저류블록의 하면 슬라브(137)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저류블록군(110)을 이루는 상 코너블록(111), 상 사이드블록(113), 상 미들블록(115) 등의 저류블록을 '상 저류블록'이라 표현하기로 한다.
상기 제1결합공(140) 및 제1고정부재(150)는 상기 상 저류블록의 상면 슬라브(117)의 각 측면에 연접되는 다른 상 저류블록의 상면 슬라브(117)를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결합공(14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 저류블록의 상면 슬라브(117)의 상면 또는 하면에 일측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면 슬라브의 측면에 타측 개구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결합공(140)은 상기 상면 슬라브(117) 내에서 굴곡되거나 절곡되거나 또는 사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면 슬라브(117)의 각 면에 하나 이상 복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면 슬라브(117)의 측면에 형성된 제1결합공(140)의 개구부는 상기 상 저류블록의 측면에 연접되는 다른 저류블록의 상면 슬라브(117)의 측면에 형성된 제1결합공(140)의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15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볼트(151)와 너트(1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곡볼트(151)는 상기 제1결합공(140)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결합공(140)의 곡률에 맞게 휘어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곡볼트(151)는 서로 맞닿아 연통된 제1결합공(140)에 삽입되어 일측 상 저류블록과 타측 상 저류블록의 상면 슬라브(117)에 걸쳐 삽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곡볼트(151)의 양단은 상기 일측 상 저류블록과 타측 상 저류블록의 상면 슬라브(117)의 외측으로 약간 돌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너트(152)는 상기 곡볼트(151)의 돌출된 양단에 체결되어 상기 상 저류블록들을 체결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150)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강선(156) 및 강선고정장치(157)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인장강선(156)은 와이어 로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비교적 자유롭게 휘어짐이 가능하여 상기 제1결합공(140)이 만곡되거나 절곡되거나 사선인 것에 상관없이 삽입 가능하다.
상기 강선고정장치(157)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158)과 지지탭(159)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소켓(158)은 상기 인장강선(156)의 양 끝단에 각각 체결되어 고정되며, 내주면에 상기 인장강선(156)이 삽입되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그 외주면은 인장강선(156)의 끝단을 향할수록 지름이 넓어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켓(158)의 고정홀 내주면에는 상기 인장강선(156)과의 고정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탭(159)은 상기 상면 슬라브(117))의 표면에 지지되며, 상기 소켓(158)이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중공은 상기 소켓(158)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인장강선(156)의 끝단을 향할수록 지름이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지지탭(159)의 내주면의 최소지름은 상기 소켓의 최소지름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켓(158)은 장착의 편의성을 위하여 고정홀의 축방향과 평행하도록 2조각 이상으로 분할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공(140)에 삽입된 인장강선(156)이 당겨져 긴장된 후, 상기 인장강선(156)의 양 단에 상기 소켓(158)을 결합시키고, 상기 지지탭(159)을 상기 소켓(158)과 상면 슬라브(117) 또는 하면 슬라브(120)의 사이에 위치시키면 상기 인장강선(156)의 장력에 의해 상기 소켓(185)이 상기 지지탭(159)측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지지탭(159)의 테이퍼진 중공에 의해 상기 소켓(158)의 외주면이 압착되어 상기 소켓과 상기 인장강선(156)의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공(140) 및 제1고정부재(150)를 이용한 결합방법은 상기 하부 저류블록군(130)을 이루는 하 코너블록(131), 하 사이드블록(133), 하 미들블록(135)의 하면 슬라브(137) 간의 수평 결합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면 슬라브(117) 또는 하면 슬라브(137) 간의 결합이 아닌 상기 저류블록들의 상호 연접된 수평보(104)간의 수평결합은 제2결합공(160) 및 제2고정부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결합공(160)은 도 6 내지 도 14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저류블록의 수평보(104)의 측면을 직선으로 관통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는 상기 일측 저류블록의 수평보(104)와 연접된 타측 저류블록의 수평보(104)에 형성된 제2결합공(160)과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부재는 전술한 제1고정부재(150)와 유사하게 직선형의 볼트 및 너트 또는, 인장강선(156)과 강선고정장치(157)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볼트와 너트 및 인장강선과 강선고정장치는 전술한 제1고정부재(150)의 설명으로서 갈음하기로 한다.
또한, 도 6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류블록(101)의 다른 저류블록(101)과 연접하는 수직기둥(102), 수평보(104), 상면 슬라브(117) 및 하면 슬라브(137)의 측면등의 결합면에는 상기 저류블록들의 상호 결합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핀(17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일측 저류블록에 가이드 핀(170)이 구비되고, 이 저류블록의 측면과 결합되는 다른 저류블록의 해당위치에 상기 가이드 핀(170)이 삽입되는 가이드 홀(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 6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류블록(101)의 다른 저류블록(101)과 연접하는 수직기둥(102), 수평보(104), 상면 슬라브(117) 및 하면 슬라브(137)의 측면 또는 상면 또는 하면에는 수밀을 위한 지수재(180)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저류블록(101)간에 상하 수직결합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호 상하로 적층된 저류블록 중, 상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의 하측을 이루는 수평보 또는 벽면의 하측면이 하측에 구비되는 저류블록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돌출부(192)가 형성되고, 상기 저류블록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을 지지하는 다른 저류블록의 상측을 이루는 수평보 또는 벽면의 상측면에는 상기 돌출부(192)가 수용되는 홈부(194)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돌출부(192)가 하측의 저류블록에서 상측을 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홈부(194)가 상측의 저류블록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의 하측면과, 상기 하측면에 연접하는 하측에 위치된 저류블록의 상측면에 모두 홈부(194)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상측의 저류블록과 하측의 저류블록이 연접되는 지점에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수축 모르타르(196)가 주입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무수축 모르타르(196)와 함께 또는 단독으로 수밀을 위한 지수 고무링(198)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무수축 모르타르(196) 및 지수고무링(198)이 상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의 자중에 의해 압착되어 수밀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무수축 모르타르(196)의 부착력에 의하여 상기 상측의 저류블록과 하측의 저류블록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무수축 모르타르(196)는 상측의 저류블록과 하측의 저류블록이 결합되기 전 하측의 저류블록의 홈부(194)에 미리 주입된 후 결합 후 굳히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의 저류블록과 하측의 저류블록 모두에 홈부(194)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측의 저류블록과 하측의 저류블록이 결합한 후에 상기 홈부(194)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부에 주입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무수측 모르타르(196)의 주입은 호스(미도시)등의 별도의 기구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무수축 모르타르(196)의 주입을 위해 저류블록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홈부(194)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내측까지 연통되는 별도의 주입공(미도시)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무수축 모르타르(196)가 상측의 저류블록과 하측의 저류블록 사이에 위치된 후 굳어지면 상기 무수축 모르타르(196)의 부착력에 의해 상기 상측의 저류블록과 하측의 저류블릭이 부착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저류블록(101)들은 복수개가 상호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며, 바닥면이 고르지 못한 지중에 매설되므로 상기 저류블록 단독 또는 저류블록간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수평조절장치(210)가 구비된다.
상기 수평조절장치(210)는 도 19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로 적층된 저류블록에 구비되어 하측 저류블록에 지지된 상측 저류블록의 수평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평조절장치(210)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산파이프(212)와 높이조절볼트(214) 및 볼트 지지대(2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산파이프(212)는, 상기 저류블록 중, 상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의 하측면 또는 상기 저류블록의 하층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이 상측면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볼트(214)는, 상기 내산파이프(212)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내산파이프(212)에 치합되면서 상기 내산파이프(212)를 관통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볼트지지대(216)는, 상기 내산파이프(212)가 구비된 맞은편에 구비되어 상기 내산파이프(212)를 관통한 높이조절볼트(214)의 끝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상기 내산파이프(212)가 상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볼트지지대(216)가 상기 내산파이프(212)가 형성된 저류블록의 하측에 연접되는 저류블록(101)의 상측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와는 반대로, 상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의 하측에 볼트지지대(216)가 설치되고, 하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의 상측에 내산파이브(212)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산파이브(212)는 상측에 위치된 저류블록의 하측에, 좀 더 자세하게는 하측의 수평보(104)에 삽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지지대(216)는 하측에 위치된 저류블록의 상측 수평보에 삽설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내산파이브(212)와 볼트지지대(216)가 상호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상기 내산파이브(212)를 관통한 높이조절볼트(214)의 끝단이 상기 볼트지지대(216)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높이조절볼트(214)가 상기 상측에 위치된 저류블록을 상측으로 지지하면서 들어올리게 되어 상측에 위치된 저류블록의 높이 또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높이조절볼트(214)를 좌/우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높이조절볼트(214) 끝단의 돌출량을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측에 위치된 저류블록의 각도 또는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수평조절장치(210)는 하나의 저류블록당 복수개가 구비되어 저류블록(101)의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저류블록당 적어도 3개가 각 수평보에 구비되는 것이 좋으나, 수평방향 측면 중 2면이 벽면으로 형성된 상 코너블록(111), 중간 코너블록(121), 하 코너블록(131)등에는 2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수평조절장치(210)를 통해, 각 저류블록(101) 각각의 수평은 물론 상호 인접한 저류블록간의 높이차이를 조절할 수도 있으므로 빗물저류조(100) 전체의 수평을 조절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빗물저류조(100)의 크기가 크지 않아 각 저류블록(101)간의 수평을 조절할 필요가 크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수평조절장치(210)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저류블록 중 상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과 하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을 상호 결합고정시키는 상하결합장치(2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결합장치(280)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 너트(282)와 고정앵커(284) 및 앵커 삽입홈(286)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서트 너트(282)는 상기 저류블록 중 상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의 하측면 또는 상기 저류블록의 하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의 상측면 중 어느 일측면에 구비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앵커(284)는 외주면 일부에 상기 인서트 너트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 너트(282)에 체결되며, 상기 인서트 너트(282)가 구비된 저류블록의 맞은편 저류블록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앵커 삽입홈(286)은 상기 인서트 너트(282)가 구비된 저류블록의 맞은편 저류블록에 상기 고정앵커(284)의 돌출된 부분이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상기 인서트 너트(282)가 상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의 하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앵커 삽입홈(286)이 상기 인서트 너트(282)가 구비된 저류블록의 하측에 연접되는 저류블록의 상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와는 반대로, 상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의 하측면에 앵커 삽입홈(286)이 형성되고, 하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의 상측면에 인서트 너트(282)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서트 너트(282)는 상측에 위치된 저류블록의 하측면, 즉, 하측에 위치된 저류블록과 연접되는 하측면에 인서트 너트(282)가 매립 설치된다. 상기 인서트 너트(282)는 일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인서트 너트(282)의 개구된 측은 상기 저류블록의 하측면과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앵커(284)는 원형의 막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외주면 일부분에 상기 인서트 너트(282)의 내주면 나사산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서트 너트(28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하측에 위치된 저류블록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다.
상기 앵커 삽입홈(286)은 상기 인서트 너트(282)가 구비된 저류블록의 맞은편 저류블록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앵커(284)의 인서트 너트(282)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1의 예와 같이, 상기 인서트 너트(282)는 상측 저류블록의 하측면에 형성된 돌출부(192)에 매립되고, 상기 앵커 삽입홈(286)은 하측 저류블록의 상측면에 형성된 홈부(194)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측 저류블록과 하측 저류블록의 결합시, 상기 상측 저류블록의 인서트 너트(282)에 상기 고정앵커(284)를 체결한 후 상기 고정앵커(284)의 인서트 너트(282)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상기 앵커 삽입홈(286)에 삽입되도록 위치를 정렬하여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상측 저류블록과 하측 저류블록의 결합부위 사이에는 무수축 모르타르(196) 및 지수고무링(198)이 타설 및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수축 모르타르(196)는 상기 상측 저류블록과 하측 저류블록의 결합 전 타설될 수도 있으며, 결합 후 주입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무수측 모르타르(196)의 주입은 호스(미도시)등의 별도의 기구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무수축 모르타르(196)의 주입을 위해 저류블록의 외측으로부터 타설공간까지 연통되는 별도의 주입공(미도시)을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무수축 모르타르(196)가 굳으면서 상기 고정앵커(284)를 고정시켜 상측의 저류블록과 하측의 저류블록이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하결합장치(280)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결합공(281)과 제3고정부재(28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상하결합장치(280)는 상기 저류블록 중 상측에 위치된 저류블록과 하측에 위치된 저류블록을 체결하는 제3고정부재(283) 및, 상기 제3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제3결합공(28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결합공(281)은 일측 개구부가 상기 상측 저류블록 또는 하측 저류블록의 측면에 형성되고, 타측 개구부가 상기 일측 개구부가 형성된 상측 저류블록의 하측면 또는 하측 저류블록의 상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측 저류블록과 하측 저류블록이 상하로 결합되었을 때 상기 상측 저류블록의 하측면과 하측 저류블록의 상측면에 형성된 개구부들이 상호 연통되어 내부통로가 만곡되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3결합공(281)은 저류블록의 수직기둥(102) 또는 측벽(119, 127, 139)에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3고정부재(283)는, 상기 제3결합공(281)의 곡률에 따라 휘어지게 형성된 볼트(285)와, 상기 제3결합공(281)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볼트(285)의 상기 제3결합공(281)외측에 노출된 양 단에 체결되는 너트(287)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상측 저류블록과 하측 저류블록을 압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3결합공(281)의 저류블록 측면에 형성되는 개구부는 상기 빗물저류조의 외측을 향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내측을 향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빗물저류조(100)를 구성하는 저류블록(101)중에는 외부의 빗물을 내부의 저류공간으로 유입시키거나, 내부의 저류공간에 저류된 빗물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배수공(222)이 형성된 저류블록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수공(222)이 형성된 저류블록(101)을 배수공 블록(220)이라 부르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배수공(222)에는 관로(240)와 접속관(230) 및 필터 수용부(25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관(230)은 상기 배수공(222)에 매설되어 상기 저류블록(101)에 일체로 장착되며, 상기 빗물저류조(10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의 저류블록(101)의 외부를 향하는 측에 관로(240)가 결합되고, 상기 관통구의 저류블록(101)의 내부를 향하는 측에는 필터 수용부(250) 또는 덮개부(26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속관(230)의 관로(240)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상기 관로(240)의 외주면과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1결합부(232)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관(230)의 필터 수용부(250) 또는 덮개부(260)와 결합되는 부분에는 상기 필터 수용부(250) 또는 덮개부(260)의 외주면과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2결합부(234)가 형성된다.
상기 관로(240)는 물이 흐르는 통로이며, 상기 접속관(230)의 제1결합부(232)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 관로(240)의 길이는 상기 저류블록(101)의 벽체의 두께에 따라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로(240)는 상기 접속관(230)의 제1결합부(232)와 체결되는 부분에는 플랜지(242)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242)에는 수밀을 위한 실링(244)등이 구비된다.
상기 필터 수용부(250)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252)와, 상기 필터(252)가 수용되는 필터 챔버(254)와, 상기 필터 챔버(254)에 수용된 필터(252)가 탈거되지 않도록 고정하며 상기 관로(240)와 상기 필터 챔버(254)가 연통되어 물이 통과되도록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커버(25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필터 수용부(250)의 제2결합부(234)와 체결되는 부분에 수밀을 위한 패킹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256)는 필터(252)의 교환을 위하여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로(24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상기 관통구를 거쳐 상기 필터(252)에서 여과된 후 빗물저류조(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또는 반대로 빗물저류조(100) 내부의 물이 상기 필터(252)에서 여과된 후에 상기 관통구를 거쳐 배수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커버(256)의 관통구를 향하는 측 중앙부에는 고리(258)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리(258)는 상기 관로(240)와 상기 접속관(230) 및 상기 필터 수용부(250)를 거푸집 등에 장착할 때 상기 고리(258)에 철사 등을 걸어 외부에서 잡아당기면서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부(260)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수용부(250)와 유사하게 상기 접속관(230)의 제2결합부(234)에 결합되나, 물을 통과시키는 필터 수용부(250)와는 다르게 상기 접속관(230)의 관통구를 폐쇄하여 물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밀폐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덮개부(260)는 사용하지 않는 배수공을 막기 위한 용도로 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빗물저류조(100)를 구성하는 저류블록 중 일부는 상기 빗물저류조(100) 내부의 점검 및 청소를 위해 점검자 및 작업자가 출입하는 점검구 블록(27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점검구 블록(270)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빗물저류조의 상면을 이루는 상부 저류블록군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개로 적용되며 상기 저류블록의 상면 슬라브(117)에 점검구(27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한 점검구 블록(270)의 점검구에는 지표면까지 연장되는 연직구체블록(미도시)가 결합되어 점검자가 상기 점검구 블록(270)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빗물저류조 101: 저류블록
102: 수직기둥 104: 수평보
110: 상부저류블록군 111: 상코너블록
113: 상사이드블록 115: 상미들블록
117: 상면슬라브 119: 벽
120: 중간저류블록군 121: 중간코너블록
123: 중간사이드블록 125: 중간미들블록
127: 벽 130: 하부저류블록군
131: 하코너블록 133: 하사이드블록
135: 하미들블록 137: 하면슬라브
139: 벽 140: 제1결합공
150: 제1고정부재 151: 볼트
152: 너트 156: 인장강선
157: 강선고정장치 158: 소켓
159: 지지탭 160: 제2결합공
170: 가이드 핀 180: 지수재
192: 돌출부 194: 홈부
196: 무수축 모르타르 198: 지수고무링
210: 수평조절장치 212: 내산파이프
214: 높이조절볼트 220: 배수공블록
222: 배수공 230: 접속관
232: 제1결합부 234: 제2결합부
240: 관로 242: 플랜지
244: 실링 250: 필터수용부
252: 필터 254: 필터 챔버
256: 커버 260: 덮개부
270: 점검구블록 272: 점검구
280: 상하결합장치 281: 제3결합공
282: 인서트 너트 283: 제3고정부재
284: 고정앵커 285: 볼트
286: 앵커삽입홈 287: 너트

Claims (24)

  1.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나 이상의 수직기둥과 수평보 및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 슬라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저류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부 저류블록군;
    상기 상부 저류블록의 하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나 이상의 수직기둥과 수평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저류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중간 저류블록군;
    상기 중간 저류블록의 하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빛물이 저장되는 단위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나 이상의 수직기둥과 수평보 및 하면을 형성하는 하면 슬라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저류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부 저류블록군; 및
    상기 저류블록 중, 상호 상하로 연접한 저류블럭간을 고정하는 상하결합장치;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하결합장치는,
    상기 저류블록 중 상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의 하측면 또는 상기 저류블록의 하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의 상측면 중 어느 일측의 상호 결합면에 구비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인서트 너트;
    외주면 일부에 상기 인서트 너트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 너트에 삽입체결되며, 상기 인서트 너트가 구비된 저류블록의 맞은편 저류블록 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형성되는 고정앵커;
    상기 인서트 너트가 구비된 저류블록의 맞은편 저류블록에 상기 고정앵커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앵커 삽입홈;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고정앵커가 상기 인서트 너트에 체결된 후, 상기 상측의 저류블록이 하측에 저류블록에 결합되면서 상기 고정앵커의 돌출된 부분이 상기 앵커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상호 상하로 연접한 저류블록간을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층의 빗물저류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저류블록군은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나 이상의 수직기둥과 수평보로 이루어지며, 육면중 상면에는 상면 슬라브가 구비되며, 어느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에 연접하는 타면에 벽면이 형성되고, 나머지 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상부 저류블록군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상 코너블록;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나 이상의 수직기둥과 수평보로 이루어지며, 육면중 상면에는 상면 슬라브가 구비되며, 어느 일측면에는 벽면이 형성되고, 나머지 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상부 저류블록군의 측면에 설치되는 상 사이드블록;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나 이상의 수직기둥과 수평보로 이루어지며, 육면중 상면에는 상면 슬라브가 구비되며, 나머지 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상부 저류블록군의 상 코너블록과 상 사이드 블록이 설치된 나머지 부분에 설치되는 상 미들블록;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상 코너블록과, 상 사이드 블록 및 상 미들블록이 상호 수평결합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층의 빗물저류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저류블록군은,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나 이상의 수직기둥과 수평보로 이루어지며, 어느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에 연접하는 타면에 벽면이 형성되고, 나머지 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중간 저류블록군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중간 코너블록;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나 이상의 수직기둥과 수평보로 이루어지며, 어느 일측면 벽면이 형성되고, 나머지 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중간 저류블록군의 측면에 설치되는 중간 사이드블록;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나 이상의수직기둥과 수평보로 이루어지며, 육면이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중간 저류블록군의 중간 코너블록과 중간 사이 블록이 설치된 나머지 부분에 설치되는 중간 미들블록;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중간 코너블록과, 중간 사이드 블록 및 중간 미들블록이 상호 수평결합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층의 빗물저류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저류블록군은,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나 이상의 수직기둥과 수평보로 이루어지며, 육면중 하면에는 하면 슬라브가 구비되며, 어느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에 연접하는 타면에 벽면이 형성되고, 나머지 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하부 저류블록군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하 코너블록;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나 이상의 수직기둥과 수평보로 이루어지며, 육면중 하면에는 하면 슬라브가 구비되며, 어느 일측면에는 벽면이 형성되고, 나머지 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하부 저류블록군의 측면에 설치되는 하 사이드블록;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나 이상의 수직기둥과 수평보로 이루어지며, 육면중 하면에는 하면 슬라브가 구비되며, 나머지 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하부 저류블록군의 상 코너블록과 상 사이드 블록이 설치된 나머지 부분에 설치되는 하 미들블록;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하 코너블록과, 하 사이드 블록 및 하 미들블록이 상호 수평결합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층의 빗물저류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서,
    상호 수평으로 연접된 저류블록의 상기 상면 슬라브와 상면 슬라브간 또는 하면 슬라브와 하면 슬라브에는,
    상기 상면 슬라브와 하면 슬라브의 각 측면에 연접되는 다른 저류블록의 상면 슬라브 및 하면 슬라브를 체결하는 제1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제1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공은,
    일측 개구부가 상기 상면 슬라브 또는 하면 슬라브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고, 타측 개구부가 상기 일측 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상면 슬라브와 하면 슬라브의 각 측면에 연접되는 다른 저류블록의 상면 슬라브 및 하면 슬라브의 측면에 형성되어 내부통로가 만곡되게 형성되는 복수층의 빗물저류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제1결합공에 삽입되는 인장강선;
    상기 상면 슬라브 또는 하면 슬라브 및 이와 인접되는 다른 저류블록의 상면 슬라브 및 하면 슬라브에 압착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인장강선을 상면 슬라브 또는 하면 슬라브에 지지시키는 강선고정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층의 빗물저류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제1결합공의 곡률에 따라 휘어지게 형성된 볼트;
    상기 제1결합공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볼트의 양단에 체결되는 너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상면 슬라브 또는 하면 슬라브 및 이와 인접되는 다른 저류블록의 상면 슬라브 및 하면 슬라브에 압착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층의 빗물저류조.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호 연접된 상기 저류블록의 수평보와 수평보에는,
    상기 수평보의 측면에 연접되는 다른 저류블록의 수평보를 체결하는 제2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제2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제2결합공에 삽입되는 인장강선;
    상기 저류블록의 수평보 및 이와 연접되는 다른 저류블록의 수평보에에 압착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인장강선을 수평보에 지지시키는 강선고정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층의 빗물저류조.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연접된 상기 저류블록의 수평보와 수평보에는,
    상기 수평보의 측면에 연접되는 다른 저류블록의 수평보를 체결하는 제2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직선형의 제2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제2결합공에 삽입되는 직선의 볼트;
    상기 볼트의 수평보 외측으로 돌출된 끝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볼트와 수평보를 고정시키는 너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층의 빗물저류조.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블록 중, 상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의 하측면 또는 상기 저류블록의 하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의 상측면 중 어느 일측은 돌출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홈부가 형성되는 복수층의 빗물저류조.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블록 중, 상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의 하측면 및 상기 저류블록의 하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의 상측면에 홈부가 형성되는 복수층의 빗물저류조.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블록 중, 상호 상하로 연접한 저류블럭간에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수평조절장치가 더 구비되는 복수층의 빗물저류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조절장치는,
    상기 저류블록 중, 상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의 하측면 또는 상기 저류블록의 하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의 상측면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내산파이프;
    상기 내산파이프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내산파이프에 치합되면서 내산파이프를 관통하는 높이조절볼트;
    상기 내산파이프가 구비된 맞은편에 구비되어 상기 내산파이프를 관통한 높이조절볼트의 끝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볼트 지지대;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볼트 지지대에 의해 끝단이 지지되는 높이조절볼트에 의해 상측에 위치된 저류블록이 지지되어 지지되는 부분의 높이가 조절되는 복수층의 빗물저류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조절장치는,
    상기 저류블록의 수평보에 구비되며,
    하나의 저류블록의 복수개소에 구비되어 상기 저류블록의 수평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복수층의 빗물저류조.
  15. 삭제
  16. 삭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결합장치는,
    상기 저류블록 중 상측에 위치된 저류블록과 하측에 위치된 저류블록을 체결하는 제3고정부재 및, 상기 제3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제3결합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결합공은,
    일측 개구부가 상기 상측 저류블록 또는 하측 저류블록의 측면에 형성되고, 타측 개구부가 상기 일측 개구부가 형성된 상측 저류블록의 하측면 또는 하측 저류블록의 상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측 저류블록과 하측 저류블록이 상하로 결합되었을 때 상기 상측 저류블록의 하측면과 하측 저류블록의 상측면에 형성된 개구부들이 상호 연통되어 내부통로가 만곡되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3고정부재는,
    상기 제3결합공의 곡률에 따라 휘어지게 형성된 볼트와, 상기 제3결합공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볼트의 양 단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상측 저류블록과 하측 저류블록을 압착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층의 빗물저류조.
  18.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나 이상의 수직기둥과 수평보 및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 슬라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저류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부 저류블록군;
    상기 상부 저류블록의 하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빛물이 저장되는 단위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나 이상의 수직기둥과 수평보 및 하면을 형성하는 하면 슬라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저류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부 저류블록군; 및
    상기 저류블록 중, 상호 상하로 연접한 저류블럭간을 고정하는 상하결합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하결합장치는,
    상기 저류블록 중 상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의 하측면 또는 상기 저류블록의 하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의 상측면 중 어느 일측의 상호 결합면에 구비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인서트 너트;
    외주면 일부에 상기 인서트 너트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 너트에 삽입체결되며, 상기 인서트 너트가 구비된 저류블록의 맞은편 저류블록 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형성되는 고정앵커;
    상기 인서트 너트가 구비된 저류블록의 맞은편 저류블록에 상기 고정앵커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앵커 삽입홈;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고정앵커가 상기 인서트 너트에 체결된 후, 상기 상측의 저류블록이 하측에 저류블록에 결합되면서 상기 고정앵커의 돌출된 부분이 상기 앵커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상호 상하로 연접한 저류블록간을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층의 빗물저류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저류블록군은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나 이상의 수직기둥과 수평보로 이루어지며, 육면중 상면에는 상면 슬라브가 구비되며, 어느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에 연접하는 타면에 벽면이 형성되고, 나머지 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상부 저류블록군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상 코너블록;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나 이상의 수직기둥과 수평보로 이루어지며, 육면중 상면에는 상면 슬라브가 구비되며, 어느 일측면에는 벽면이 형성되고, 나머지 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상부 저류블록군의 측면에 설치되는 상 사이드블록;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나 이상의 수직기둥과 수평보로 이루어지며, 육면중 상면에는 상면 슬라브가 구비되며, 나머지 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상부 저류블록군의 상 코너블록과 상 사이드 블록이 설치된 나머지 부분에 설치되는 상 미들블록;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상 코너블록과, 상 사이드 블록 및 상 미들블록이 상호 수평결합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층의 빗물저류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저류블록군은,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나이상의 수직기둥과 수평보로 이루어지며, 육면중 하면에는 하면 슬라브가 구비되며, 어느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에 연접하는 타면에 벽면이 형성되고, 나머지 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하부 저류블록군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하 코너블록;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나이상의 수직기둥과 수평보로 이루어지며, 육면중 하면에는 하면 슬라브가 구비되며, 어느 일측면에는 벽면이 형성되고, 나머지 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하부 저류블록군의 측면에 설치되는 하 사이드블록;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단위 저류공간을 형성하며,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도록 하나이상의 수직기둥과 수평보로 이루어지며, 육면중 하면에는 하면 슬라브가 구비되며, 나머지 면은 개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하부 저류블록군의 상 코너블록과 상 사이드 블록이 설치된 나머지 부분에 설치되는 하 미들블록;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하 코너블록과, 하 사이드 블록 및 하 미들블록이 상호 수평결합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층의 빗물저류조.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호 수평으로 연접된 저류블록의 상기 상면 슬라브와 상면 슬라브간 또는 하면 슬라브와 하면 슬라브에는,
    상기 상면 슬라브와 하면 슬라브의 각 측면에 연접되는 다른 저류블록의 상면 슬라브 및 하면 슬라브를 체결하는 제1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제1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공은,
    일측 개구부가 상기 상면 슬라브 또는 하면 슬라브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고, 타측 개구부가 상기 일측 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상면 슬라브와 하면 슬라브의 각 측면에 연접되는 다른 저류블록의 상면 슬라브 및 하면 슬라브의 측면에 형성되어 내부통로가 만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제1결합공에 삽입되는 인장강선;
    상기 상면 슬라브 또는 하면 슬라브 및 이와 인접되는 다른 저류블록의 상면 슬라브 및 하면 슬라브에 압착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인장강선을 상면 슬라브 또는 하면 슬라브에 지지시키는 강선고정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층의 빗물저류조.
  22.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블록 중, 상측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의 하측면 또는 상기 저류블록의 하층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의 상측면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내산파이프;
    상기 내산파이프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내산파이프에 치합되면서 내산파이프를 관통하는 높이조절볼트;
    상기 내산파이프가 구비된 맞은편에 구비되어 상기 내산파이프를 관통한 높이조절볼트의 끝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볼트 지지대;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볼트 지지대에 의해 끝단이 지지되는 높이조절볼트에 의해 상측에 위치된 저류블록이 지지되어 지지되는 부분의 높이가 조절되어 저류블록의 수평이 조절되는 수평조절장치를 더 포함하는 복수층의 빗물저류조.
  23. 삭제
  24.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결합장치는,
    상기 저류블록 중 상측에 위치된 저류블록과 하측에 위치된 저류블록을 체결하는 제3고정부재 및, 상기 제3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제3결합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결합공은,
    일측 개구부가 상기 상측 저류블록 또는 하측 저류블록의 측면에 형성되고, 타측 개구부가 상기 일측 개구부가 형성된 상측 저류블록의 하측면 또는 하측 저류블록의 상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측 저류블록과 하측 저류블록이 상하로 결합되었을 때 상기 상측 저류블록의 하측면과 하측 저류블록의 상측면에 형성된 개구부들이 상호 연통되어 내부통로가 만곡되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3고정부재는,
    상기 제3결합공의 곡률에 따라 휘어지게 형성된 볼트와, 상기 제3결합공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볼트의 양 단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상호 상하로 연접한 저류블록간을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층의 빗물저류조.
KR1020110027206A 2011-03-25 2011-03-25 복수층의 빗물저류조 KR101120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206A KR101120477B1 (ko) 2011-03-25 2011-03-25 복수층의 빗물저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206A KR101120477B1 (ko) 2011-03-25 2011-03-25 복수층의 빗물저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0477B1 true KR101120477B1 (ko) 2012-02-29

Family

ID=45840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206A KR101120477B1 (ko) 2011-03-25 2011-03-25 복수층의 빗물저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047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410B1 (ko) 2013-02-20 2013-05-07 주식회사 수엔테크 터널형 저류블록을 이용한 저류조
KR101323649B1 (ko) * 2012-05-07 2013-11-05 (주)승영기술공사 우수 통로가 형성된 조립식 저류조
KR101392518B1 (ko) * 2013-09-05 2014-05-07 한대규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
KR101894576B1 (ko) 2017-10-31 2018-09-04 김성호 조립식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빗물 저류조
KR101914691B1 (ko) * 2017-03-21 2018-12-28 성수복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00137455A (ko) * 2019-05-30 2020-12-09 심낙훈 단위 블럭을 구비한 저류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742B1 (ko) * 2004-09-02 2005-04-27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우수 저류조
KR100663793B1 (ko) * 2005-08-30 2007-01-02 한승희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742B1 (ko) * 2004-09-02 2005-04-27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우수 저류조
KR100663793B1 (ko) * 2005-08-30 2007-01-02 한승희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649B1 (ko) * 2012-05-07 2013-11-05 (주)승영기술공사 우수 통로가 형성된 조립식 저류조
KR101260410B1 (ko) 2013-02-20 2013-05-07 주식회사 수엔테크 터널형 저류블록을 이용한 저류조
KR101392518B1 (ko) * 2013-09-05 2014-05-07 한대규 건축물용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
KR101914691B1 (ko) * 2017-03-21 2018-12-28 성수복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94576B1 (ko) 2017-10-31 2018-09-04 김성호 조립식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빗물 저류조
KR20200137455A (ko) * 2019-05-30 2020-12-09 심낙훈 단위 블럭을 구비한 저류조
KR102229826B1 (ko) * 2019-05-30 2021-03-19 심낙훈 단위 블럭을 구비한 저류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0477B1 (ko) 복수층의 빗물저류조
JP4444366B1 (ja) 水貯留施設、水貯留施設の施工方法、水貯留施設の水平方向耐荷重向上方法および骨格ブロックの水平方向ずれ防止方法
RU2550124C2 (ru) Ветровая 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и сегмент башни ветровой энергет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и
KR100994805B1 (ko) 복합저류장치
KR100710920B1 (ko) 지하수 배수장치
KR100485742B1 (ko) 우수 저류조
KR100663793B1 (ko)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100973158B1 (ko) 조립식 우수 저장시설
KR100988806B1 (ko) 조립형 우수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JP2015134988A (ja) 貯水槽
KR10127854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 매립형 피씨 월 및 상기 피씨 월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KR20100130795A (ko) 지하 매립식 저류조
KR101774952B1 (ko) 친환경 우수저류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KR100969552B1 (ko) 지하수위 조절 집배수장치
KR101204036B1 (ko) 부재조립형 pc 빗물저류조
KR101230370B1 (ko) 일체화 구조를 갖는 저류조용 피씨 구조물
KR20110094992A (ko) 현장조립식 상수도 맨홀 구조
KR101217437B1 (ko) 구조물 축조용 블록, 부재강결장치 및 그를 이용하여 축조된 빗물저류조
KR100802994B1 (ko) 대형 우수 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06326B1 (ko) 일체형 앵커가 매설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KR20100000979A (ko) 이탈방지 및 안정성과 조립성을 향상한 맨홀
KR101039621B1 (ko) 우수저장조의 저류블록
KR101411989B1 (ko) 조립식 빗물저류조용 단위모듈 및 이를 이용한 빗물저류조 시공방법
KR101248434B1 (ko) 강연선 설치구, 이를 이용한 강연선 설치방법 및 조립식 우수저류조의 블록간 결합구조
KR101099777B1 (ko) 조립식 빗물 저류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