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4805B1 - 복합저류장치 - Google Patents

복합저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4805B1
KR100994805B1 KR1020100019804A KR20100019804A KR100994805B1 KR 100994805 B1 KR100994805 B1 KR 100994805B1 KR 1020100019804 A KR1020100019804 A KR 1020100019804A KR 20100019804 A KR20100019804 A KR 20100019804A KR 100994805 B1 KR100994805 B1 KR 100994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side wall
wall portion
inner fixing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애희
이은숙
Original Assignee
도청산업주식회사
이은숙
김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청산업주식회사, 이은숙, 김애희 filed Critical 도청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9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48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저류조 내부을 기둥부재로 지지하여 내부에 벽을 세우지 않아 유지보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바닥부재, 기둥부재 및 상부부재를 조립식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 타설 콘트리트 구조물에 비해서도 보다 적은 노동력 및 시간으로 시공할 수 있는 복합저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복합저류장치는, 저류조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부와 T형측벽부 및 저류조의 모서리을 형성하는 모서리부를 구비하되, 상기 측벽부, T형측벽부, 모서리부의 하부에는 단턱을 갖는 하부지지부가 형성된 외곽부재와; 외곽부재의 내부에서 일방향으로 설치되며 하부는 바닥에 지지되도록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외곽부재의 하부지지대의 단턱과 동일한 높이의 단턱을 갖는 내부고정부재와; 외곽부재의 하부지지대와 내부고정부재 사이 또는 서로 이웃하는 내부고정부재 사이에 형성된 단턱에 위치하며 저류조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재와; 일단이 내부고정부재 또는 T형측벽부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기둥부재와; 서로 이웃하는 기둥부재 사이에 체결되는 상부고정부재와; 상기 외곽부재와 상부고정부재 사이 또는 상부고정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저류조의 상판을 형성하는 상판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합저류장치{MULTIPURPOSE RESERVOIR APPARATUS}
본 발명은 우수저류조 내부을 기둥부재, 내부고정부재, 상부고정부재로 지지하여 내부에 벽을 세우지 않아 유지보수 할 수 있는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저류조 내부에 별도의 장치를 통해 유입된 물의 흐름을 상하로 순차적으로 흐르도록 하여 우수에 포함된 가볍고 무거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하여 청소를 해야 하는 공간을 한정 시킴으로써 적은 유지비용이 투입 되며, 각각의 부재를 연결하는 방법에 누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방수 및 수밀성 확보가 되었고 바닥부재, 기둥부재 및 상부부재를 조립식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 타설 콘트리트 구조물에 비해서도 보다 적은 노동력 및 시간으로 시공할 수 있는 복합저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하천 유역의 도시화가 급속히 진행됨에 따라 우수의 유출량이 증대하게 되었다. 그로 인한 하천의 단면 부족으로 매년 홍수 시에는 많은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반복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 우수 저류조를 주차장, 운동장, 공원 등의 지하에 매설하여 초기 강우량의 수질 오염을 저감시키고 누수 유출을 억제시켜 재난을 방지하여 수자원을 재활용하여 물 부족 현실에 기여할 수 있는 우수 저류조의 설치가 절실하게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582121호에서는 상면판과 저면판의 각 모서리에 기둥이 형성된 육면체의 저류블록을 다수개가 일직선상으로 반복적으로 배열하여 저류공간을 형성하는 우수저류조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582121호의 우수저류조는 기본구조로서 육면체형상을 갖기 때문에 우수저류조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완성품을 현장으로 이동할 수 없어 현장에서 직접 우수처리조를 제작해야하는 단점과, 함께 우수처리조의 설치를 위해서는 대형 기중기 등이 필요한 문제와 함께 설치시 미세 조절에서도 거대한 무게로 인하여 조절이 어려운 단점 및 저류블록 자체가 육면체형상이기 때문에 우수저류조의 설치후 청소하기 위한 공간을 넓게 형성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38223호에서는 저류조의 측면블록, 스탠드블록, 상판블록 및 하부블록을 조립식으로 형성하여 시공할 수 있는 조립식 우수저류조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38223호는 우수저류조의 내부에 위치하는 스탠드블록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육면체 형상이기 때문에 우수저류조의 설치후 청소 및 유지관리하기 위한 공간을 충분히 넓게 형성하기 어렵고 측면블록, 스탠드블록, 상판블록 및 하부블록을 조립 할 때 시공오차 보정이 어려우며 그로 인해 발생하는 하부 방수문제 해결이 어려운 단점이 여전히 남아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제10-0582121호 대한민국등록특허제10-0938223호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우수저류조 내부을 기둥부재로 지지하여 내부에 벽을 세우지 않아 유지보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복합저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우수저류조 내부를 형성하는 바닥부재, 기둥부재 및 상부부재를 조립식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 타설 콘트리트 구조물에 비해서도 보다 적은 노동력 및 시간으로 시공할 수 있는 복합저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해결과제는 저류조 내부에 별도의 장치를 통해 유입된 물의 흐름을 상하로 순차적으로 흐르도록 하여 우수에 포함된 가볍고 무거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청소를 해야 하는 공간을 한정되게 하여 적은 유지비용을 투입 할 수 있는 복합저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해결과제는 외곽부재 설치시 연속형 강선 정착구를 사용하여 외곽부재 설치시 발생 할 수 있는 정착구 부분의 방수 문제를 제거 할 수 있는 복합저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해결과제는 외곽부재 및 내부고정부재를 일괄로 설치 한 이후에 바닥부재를 설치하여 시공시 발생 할 수 있는 시공오차를 수정 할 수 있는 복한저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해결과제는 바닥부재를 조립하기 전에 기초에 형성된 H빔 상단에 차수시트와 L형강, 밀봉테이프, 볼트를 사용하여 바닥부분에서 발생하는 방수문제를 제거 할 수 있는 복합저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해결과제는 상판부재와 바닥부재를 조립할 때 매립형 다웰바를 사용하여 모든 부재를 PC로 연결 할 수 있는 복합저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해결과제는 기존의 직각으로 조립되는 모서리부분에 대하여 예각 및 둔각의 PC 부재를 사용하여 제공되는 지형에 맞추어 자유롭게 PC부재를 제공하고 연결 할 수 있는 복합저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해결과제는 PC 기둥부재 조립에 콘크리트 또는 철강 재질의 가이드 핀을 삽입하여 기둥을 조립 할 때 발생 할 수 있는 기둥의 전도 문제와 높이 조절 문제를 제거 할 수 있는 복합저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저류장치는, 저류조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부와 T형측벽부 및 저류조의 모서리를 형성하는 모서리부를 구비하되, 상기 측벽부, T형측벽부, 모서리부의 하부에는 단턱을 갖는 하부지지대가 형성된 외곽부재와; 외곽부재의 내부에서 일방향으로 설치되며 하부는 바닥에 지지되도록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외곽부재의 하부지지대의 단턱과 동일한 높이의 단턱을 갖는 내부고정부재와; 외곽부재의 하부지지대와 내부고정부재 사이 또는 서로 이웃하는 내부고정부재 사이에 형성된 단턱에 위치하며 저류조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재와; 일단이 내부고정부재 또는 T형측벽부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기둥부재와; 서로 이웃하는 기둥부재 사이에 체결되는 상부고정부재와; 상기 외곽부재와 상부고정부재 사이 또는 상부고정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저류조의 상판을 형성하는 상판부재;를 구비하는 통상의 복합저류장치에 있어서, 바닥부재는 측벽부, T형측벽부, 모서리부의 하부지지대와 내부고정부재에 형성된 단턱 사이를 덮을 수 있도록 상부면이 넓고 하부면이 좁은 역단턱 모양으로 형성되고, 바닥부재의 측면 단턱부에는 형성된 제1삽입홈, 제1삽입홈의 내부에 위치하는 탄성부, 탄성부의 전면에 위치하며 탄성부의 탄력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는 고정철근 및 고정철근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다수의 고정부재를 구비하며, 하부지지대의 측면과 내부고정부재의 측면에는 고정철근이 체결될 수 있는 제2삽입홈 및 제3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T형측벽부의 하부지지대는 내부고정부재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으면서 내측으로 연장된 제1연결턱이 형성되고, T형측벽부의 상부는 상부고정부재로 연장된 제2연결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하부지지대의 단턱에는 상부측으로 돌출된 제1볼트가 형성되고, 내부고정부재의 단턱에는 상부측으로 돌출된 제3볼트가 형성되고, 바닥부재에는 제1, 3볼트가 관통하는 제1볼트체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바닥부재의 일측면에는 연결철근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이웃하는 바닥부재의 연결철근이 삽입되는 철근연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저류조의 바닥부재와 상판부재 사이에는 하부가 개구된 하단개구부를 갖는 하단유도부와 상부가 개구된 상단개구부를 갖는 상단유도부로 이루어진 유도부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바닥부재의 하부에는 H빔 사이에서 H빔의 높이의 제1건비빔몰탈층과, 제1건비빔몰탈층 상부에 형성된 차수시트와, 차수시트와 바닥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제2건비빔몰탈층, H빔 상부에서 H빔 상부에 위치하는 차수시트의 양 끝단을 상부에 위치하는 압착테이프, 압착테이프의 상부에 위치하며 H빔과 볼트결합되는 L형강재로 이루어진 기초부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저류장치는 종래의 우수저류조와 비교하여 저류조 내부의 유지보수를 위한 공간확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우수저류조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바닥부재, 기둥부재 및 상부부재를 조립식으로 고정할 수 있어 현장 타설 콘트리트 구조물에 비해서도 보다 적은 노동력 및 시간을 절감하여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저류조 내부로 유입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더라도 물이 흐르면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외곽부재 및 내부고정부재를 일괄로 설치 한 이후에 바닥부재를 설치하여 시공시 발생 할 수 있는 시공오차를 수정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직각으로 조립되는 모서리부분에 대하여 예각 및 둔각의 PC 부재를 사용하여 제공되는 지형에 맞추어 자유롭게 PC부재를 제공하고 설치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바닥부재를 조립하기 전에 기초에 형성된 H빔 상단에 차수시트와 L형강, 밀봉테이프, 볼트를 사용하여 바닥부분에서 발생하는 방수문제를 제거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저류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곽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고정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부재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고정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판부재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부재가 구비된 복합저류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초부재를 구비한 복합저류장치의 단면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저류장치는 외곽부재(100), 내부고정부재(200), 기둥부재(300), 상부고정부재(500), 바닥부재(400), 상판부재(600)를 구비한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부재(100)는 저류조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저류조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부(100-1)와, 내부고정부재(200)에 접하는 측면에 놓여지는 T형측벽부(100-2), 저류조의 모서리를 형성하는 모서리부(100-3)를 구비한다. 측벽부(100-1)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측벽이 일방향으로 형성되고, T형측벽부(100-2)는 측벽부(100-1)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측벽과 내측으로 돌출된 보강판이 'T' 자 형태로 형성되며, 모서리부(100-3)는 측벽부(100-1)와 일정한 높이를 갖는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의 측벽이 '
Figure 112010014194194-pat00001
' 또는 '
Figure 112010014194194-pat00002
' 자 형태로 형성된다.
외곽부재(100)인 측벽부(100-1)와 T형측벽부(100-2) 및 모서리부(100-3)의 하부는 바닥에 지지되도록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단턱을 갖는 하부지지대(110)가 형성된다. 측벽부(100-1), T형측벽부(100-2) 및 모서리부(100-3)는 콘 형상의 제1연결부(111)를 사용하여 정밀하고 견고하게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연결부(11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측벽부(100-1), T형측벽부(100-2) 및 모서리부(100-3)의 하부지지대(110) 측면에 각각 제1연결홈(112)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지지대(110)는 설치되는 방향으로 제1관통홀(113)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외곽부재인 측벽부(100-1), T형측벽부(100-2) 및 모서리부(100-3)를 설치한 상태에서 제1관통홀(113)을 따라 강선을 삽입하여 조이면 서로 이웃하는 측벽부(100-1), T형측벽부(100-2) 및 모서리부(100-3) 사이를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지지대(110)의 단턱 상부면에는 상부측으로 돌출된 제1볼트(114)가 형성되고, 제1밀봉씰(115)이 형성되어 바닥부재(400)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T형측벽부(100-2)의 하부지지대(110)는 내부고정부재의 높이를 갖으면서 내측으로 연장된 제1연결턱(116)을 더 구비한다. 이러한 제1연결턱(116)의 상부면에는 기둥부재(300)와 결합할 수 있도록 제2연결부(119)가 삽입되는 제2연결홈(117)이 형성되고, 주위에 제1철근(118)이 형성된다.
측벽부(100-1), T형측벽부(100-2) 및 모서리부(100-3)의 측면에는 상하로 PVC, PE, 고무 등의 탄성을 갖는 압착지수제(120)가 설치된다. 압착지수제(120)는 서로 이웃하는 측벽부(100-1), T형측벽부(100-2) 및 모서리부(100-3)가 강선에 의해 밀착되면 각각의 압착지수제(120)가 압축되면서 각 부재간의 긴밀한 방수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외곽부재(100)의 측벽부(100-1)와 T형측벽부(100-2) 및 모서리부(100-3)의 상부는 상판부재(600)가 놓여지도록 측면으로 돌출된 제1상판지지부(130)가 형성되며 제1상판지지부(130)에는 상판부재(6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2볼트(131)와 방수를 위한 제2밀봉씰(132)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고정부재(500)에 밀착되는 T형측벽부(100-2)는 상부고정부재(500)로 연장된 제2연결턱(133)을 더 구비한다. 이러한 제2연결턱(133)의 양단에 상판부재(600)가 놓여지면서 정확하게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고정부재(200)는 외곽부재(100)의 내부에서 일방향으로 설치되며 하부는 바닥에 지지되도록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외곽부재(100)의 하부지지대(110)와 동일한 높이의 단턱이 형성된다. 내부고정부재(200)의 일측에는 설치되는 방향으로 제2관통홀(201)이 형성된다. 내부고정부재(200)를 T형측벽부(100-2)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제2관통홀(201)을 따라 강선을 삽입하여 조이면 서로 이웃하는 내부고정부재(200) 사이를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내부고정부재(200)의 부재 사이 또는 내부고정부재(200)와 T형측벽부(100-2) 사이는 콘 형상의 제3연결부(202)로 각각 체결될 수 있도록 측면에 제3연결홈(203)이 형성된다.
내부고정부재(200)의 단턱 상부면에는 상부측으로 돌출된 제3볼트(206)와, 제3밀봉씰(207)이 형성되어 바닥부재(400)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내부고정부재(200)의 상부면에는 기둥부재(300)와 제2연결부(119)로 체결될 수 있도록 제4연결홈(204)이 형성되고, 주위에 제2철근(205)이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재(300)는 사각기둥, 팔각기둥 등의 장방형상으로 일단이 내부고정부재(200) 및 T형측벽부(100-2)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부방향으로 연장된다. 특히, 기둥부재(300)는 콘 형상의 제2연결부(119)로 내부고정부재(200) 및 T형측벽부(100-2)와 체결할 수 있도록 하부면에 제5연결홈(301)이 형성되고, T형측벽부의 제1철근(118)과 내부고정부재의 제2철근(205)이 삽입되도록 제1철근삽입홈(302)이 형성된다. 한편, 기둥부재(300)의 일측면에 강관연결고리(303)를 형성되어 기둥부재(300)를 설치한 후에 이웃하는 기둥부재(300) 사이에 강관을 연결하여 기둥부재(30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기둥부재(300)의 상부면은 상부고정부재(500)와 콘 형상의 제4연결부(304)로 각각 체결될 수 있도록 제6연결홈(305)이 형성되고, 주위에 제3철근(306)이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재(400)는 외곽부재(100)의 하부지지대(110)와 내부고정부재(200) 사이 또는 서로 이웃하는 내부고정부재(200) 사이에 위치하며 저류조의 바닥을 형성한다. 바닥부재(400)는 하부지지대(110)와 내부고정부재(200)에 형성된 단턱 사이를 덮을 수 있도록 상부면이 넓고 하부면이 좁은 역단턱 모양의 측면 단턱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서로 이웃하는 바닥부재(400)의 결합을 위하여 바닥부재(400)의 일측면에는 연결철근(401)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이웃하는 바닥부재(400)의 연결철근(401)이 삽입되는 철근연결홈(402)이 형성된다. 이때, 바닥부재(400)는 서로 이웃하는 바닥부재(400) 사이의 방수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양측면에 체결단턱이 형성되며, 체결단턱 사이에는 제4밀봉씰(40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닥부재(400)를 하부지지대(110)의 제1볼트(114)와 내부고정부재(200)의 제3볼트(206)에 고정하기 위하여 제1볼트체결홀(403)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볼트(114)와 제3볼트(206)는 제1볼트체결홀(403)에서 너트로 체결되어 결합된다.
바닥부재(400)와 하부지지대(110), 내부고정부재(200)의 체결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바닥부재(400)의 측면 단턱부에 제1삽입홈(406), 제1삽입홈(406)의 내부에 위치하는 탄성부(407), 탄성부(407)의 전면에 위치하며 탄성부(407)의 탄력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는 고정철근(408) 및 고정철근(408)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409)로 이루어진 다수의 고정부재(405)를 구비한다. 또한, 이러한 고정철근(408)이 체결될 수 있도록 하부지지대(110)의 측면과 내부고정부재(200)의 측면에 제2삽입홈(208) 및 제3삽입홈(12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하부지지대(110), 내부고정부재(200)의 상부에 바닥부재(400)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제어부(409)를 제거하면 탄성부(407)에 의해 고정철근(408)의 일부가 하부지지대의 제2삽입홈(208) 및 내부고정부재의 제3삽입홈(121)으로 삽입되어 측면에서도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407)는 스프링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제어부(409)는 외부로 연장된 끈 등을 이용하여 한번에 제거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고정부재(500)는 서로 이웃하는 기둥부재(300)의 상단 사이에 체결된다. 특히, 상부고정부재(500)는 콘 형상의 제4연결부(304)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부면에 제7연결홈(501)이 형성되고, 기둥부재의 제3철근(306)이 삽입되도록 제2철근삽입홈(502)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고정부재(500)의 상부는 상판부재(600)가 놓여지도록 양측면으로 돌출된 제2상판지지부(503)가 형성되며 제2상판지지부(503)에는 상판부재(6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4볼트(504)와 방수를 위한 제5밀봉씰(505)이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부재(600)는 외곽부재의 제1상판지지부(130)와 상부고정부재의 제2상판지지부(503) 사이 또는 상부고정부재(503) 사이에 위치하며 저류조의 상부외곽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판부재(600)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제1상판지지부(130)의 제2볼트(131)와제2상판지지부(503)의 제4볼트(504)가 관통하는 제2볼트체결홀(601)이 형성하여 설치후 제2볼트(131)와 제4볼트(504)가 제2볼트체결홀(601) 내에서 너트로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류조의 바닥부재(400)와 상판부재(600) 사이에는 유입된 우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유도부재(700)가 더 형성된다. 유도부재는 하단개구부(702)를 갖는 하단유도부(701)와 상단개구부(704)를 갖는 상단유도부(70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유도부재인 하단유도부(701)와 상단유도부(703)가 순차적 설치되면, 저류조로 유입된 우수 속의 이물질 중에 하단유도부(701)에서는 우수에 포함된 가벼운 이물질은 하단개구부(702)를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가벼운 이물질이 더 이상 저류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하단유도부(701)를 통과한 우수에 포함된 무거운 이물질은 다음 단계에 설치된 상단유도부의 상단개구부(703)를 통과하지 못하고 바닥으로 가라않기 때문에 우수에 포함된 무거운 물질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류조에 저장된 우수를 사용할 때에도 깨끗한 우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저류장치의 바닥부재(400)는 콘크리트로 타설된 기초부재(800)의 상부에 위치한다. 기초부재(800)는 H빔을 콘크리트에 상부 약 20mm만 남겨 놓고 매립하여 콘크리트 타설을 하여 형성하며, 바닥부재(400)의 하부에 위치하는 H빔(801) 사이에서 H빔의 높이의 약 10mm로 형성되는 제1건비빔몰탈층(802)과, 제1건비빔몰탈층(802) 상부에 형성된 차수시트(803)와, 차수시트(803)와 바닥부재(400) 사이에 형성되는 제2건비빔몰탈층(804)으로 형성된다. 또한, H빔 상단까지 연장하여 설치된 차수시트(803)의 양 끝단을 H빔 상단에 압착테이프(805)로 부착하고, 다시 차수시트(803) 위에 압착테이프(805)를 부착 후에 그 위에 L형강재(806)를 놓고 H빔과 연결된 볼트를 조여서 방수막 층을 형성한다. 이러한 기초부재에 의하여 저류조에 저장된 우수는 바닥부재(400)를 별도의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완벽하게 밀봉시키지 않아도 저류조 자체의 방수능력을 유지할 수 있어 시공을 빠르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H빔(2)의 상부로 연장되어 가이드 역할을 할 수 도 있는 L형강재(806)로 인해 H빔 상부에 놓여지는 바닥부재(400)의 위치를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다.
100 : 외곽부재, 100-1 : 측벽부, 100-2 : T형측벽부, 100-3 : 모서리부, 110 : 하부지지대, 111 : 제1연결부, 112 : 제1연결홈, 113 : 제1관통홀, 114 : 제1볼트, 115 : 제1밀봉씰, 116 : 제1연결턱, 117 : 제2연결홈, 118 : 제1철근, 119 : 제2연결부, 120 : 압착지수제, 121 : 제3삽입홈, 130 : 제1상판지지부, 131 : 제2볼트, 132 : 제2밀봉씰, 133 : 제2연결턱, 200 : 내부고정부재, 201 : 제2관통홀, 202 : 제3연결부, 203 : 제3연결홈, 204 : 제4연결홈, 205 : 제2철근, 206 : 제3볼트, 207 : 제3밀봉씰, 208 : 제2삽입홈, 300 : 기둥부재, 301 : 제5연결홈, 302 : 제1철근삽입홈, 303 : 강관연결고리, 304 : 제4연결부, 305 : 제6연결홈, 306 : 제3철근, 400 : 바닥부재, 401 : 연결철근, 402 : 철근연결홈, 403 : 제1볼트체결홀, 404 : 제4밀봉씰, 406 : 제1삽입홈, 407 : 탄성부, 408 : 고정철근, 409 : 제어부, 500 : 상부고정부재, 501 : 제7연결홈, 502 : 제2철근삽입홈, 503 : 제2상판지지부, 504 : 제4볼트, 505 : 제5밀봉씰, 600 : 상판부재, 601 : 제2볼트체결홀, 700 : 유도부재, 701 : 하단유도부, 702 : 하단개구부, 703 : 상단유도부, 704 : 상단개구부, 800 : 기초부재, 801 : H빔, 802 : 제1건비빔몰탈층, 803 : 차수시트, 804 : 제2건비빔몰탈층, 805 : 압착테이프, 806 : L형강재

Claims (22)

  1. 저류조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부와 T형측벽부 및 저류조의 모서리를 형성하는 모서리부를 구비하되, 상기 측벽부, T형측벽부, 모서리부의 하부에는 단턱을 갖는 하부지지대가 형성된 외곽부재와; 외곽부재의 내부에서 일방향으로 설치되며 하부는 바닥에 지지되도록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외곽부재의 하부지지대의 단턱과 동일한 높이의 단턱을 갖는 내부고정부재와; 외곽부재의 하부지지대와 내부고정부재 사이 또는 서로 이웃하는 내부고정부재 사이에 형성된 단턱에 위치하며 저류조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재와; 일단이 내부고정부재 또는 T형측벽부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기둥부재와; 서로 이웃하는 기둥부재 사이에 체결되는 상부고정부재와; 상기 외곽부재와 상부고정부재 사이 또는 상부고정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저류조의 상판을 형성하는 상판부재;를 구비하는 통상의 복합저류장치에 있어서,
    바닥부재는 측벽부, T형측벽부, 모서리부의 하부지지대와 내부고정부재에 형성된 단턱 사이를 덮을 수 있도록 상부면이 넓고 하부면이 좁은 역단턱 모양으로 형성되고,
    바닥부재의 측면 단턱부에는 형성된 제1삽입홈, 제1삽입홈의 내부에 위치하는 탄성부, 탄성부의 전면에 위치하며 탄성부의 탄력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는 고정철근 및 고정철근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다수의 고정부재를 구비하며,
    하부지지대의 측면과 내부고정부재의 측면에는 고정철근이 체결될 수 있는 제2삽입홈 및 제3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저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측벽부, T형측벽부, 모서리부의 하부지지대의 측면에 제1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웃하는 제1연결홈은 제1연결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저류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T형측벽부의 하부지지대는 내부고정부재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으면서 내측으로 연장된 제1연결턱이 형성되고, T형측벽부의 상부는 상부고정부재로 연장된 제2연결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저류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T형측벽부의 제1연결턱에는 제2연결홈이 형성되고, 내부고정부재의 상부면에는 제4연결홈이 형성되며, 기둥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제5연결홈에 제2연결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저류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T형측벽부의 제1연결턱에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제1철근이 형성되고, 내부고정부재의 상부면 일측에는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제2철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저류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기둥부재의 하부면에는 제2연결부가 삽입되는 제5연결홈와 제1철근 및 제2철근이 삽입되는 제1철근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저류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기둥부재의 상부면에는 제6연결홈이 형성되며, 상부고정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제7연결홈에 제4연결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저류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내부고정부재와 T형측벽부의 하부지지대는 제3연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이웃하는 내부고정부재와 T형측벽부 사이 또는 내부고정부재 사이의 제3연결홈은 제3연결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저류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지지대의 단턱에는 상부측으로 돌출된 제1볼트가 형성되고, 내부고정부재의 단턱에는 상부측으로 돌출된 제3볼트가 형성되고, 바닥부재에는 제1, 3볼트가 관통하는 제1볼트체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저류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의 일측면에는 연결철근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이웃하는 바닥부재의 연결철근이 삽입되는 철근연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저류장치.
  19. 삭제
  20. 삭제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저류조의 바닥부재와 상판부재 사이에는 하부가 개구된 하단개구부를 갖는 하단유도부와 상부가 개구된 상단개구부를 갖는 상단유도부로 이루어진 유도부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저류장치.
  2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의 하부에는 H빔 사이에서 H빔의 높이의 제1건비빔몰탈층과, 제1건비빔몰탈층 상부에 형성된 차수시트와, 차수시트와 바닥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제2건비빔몰탈층, H빔 상부에서 H빔 상부에 위치하는 차수시트의 양 끝단을 상부에 위치하는 압착테이프, 압착테이프의 상부에 위치하며 H빔과 볼트결합되는 L형강재로 이루어진 기초부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저류장치.
KR1020100019804A 2010-03-05 2010-03-05 복합저류장치 KR100994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804A KR100994805B1 (ko) 2010-03-05 2010-03-05 복합저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804A KR100994805B1 (ko) 2010-03-05 2010-03-05 복합저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4805B1 true KR100994805B1 (ko) 2010-11-17

Family

ID=43409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804A KR100994805B1 (ko) 2010-03-05 2010-03-05 복합저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4805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395B1 (ko) 2011-05-18 2011-08-11 덕산콘크리트(주)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 및 상기 저류조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099777B1 (ko) * 2011-07-20 2011-12-28 주식회사 장호 조립식 빗물 저류시설
KR101176937B1 (ko) 2011-12-20 2012-08-30 장영미 지하 매립형 조립식 저류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183691B1 (ko) * 2012-01-18 2012-09-18 김종준 조립형 우수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204036B1 (ko) * 2012-03-08 2012-11-23 최승선 부재조립형 pc 빗물저류조
KR101226524B1 (ko) 2012-06-11 2013-01-25 김종준 정확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우수 저류장치
KR101248173B1 (ko) * 2012-10-30 2013-04-02 (주) 효창이엔지 조립식 우수저류조의 바닥­기둥­보 결합구조
KR101272001B1 (ko) 2012-05-08 2013-06-05 우동헌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부재 조립에 의한 우수저류조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우수저류조 시공방법
KR101372223B1 (ko) * 2013-11-29 2014-03-11 주식회사 이산 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37791B1 (ko) * 2013-11-19 2014-09-11 주식회사 한길 조립식 저류조 및 그 설치방법
KR102533400B1 (ko) * 2022-08-04 2023-05-16 이상윤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121B1 (ko) 2006-03-17 2006-05-22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우수저류조
KR100802994B1 (ko) 2007-05-25 2008-02-14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대형 우수 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38223B1 (ko) 2009-07-20 2010-01-22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조립식 우수저류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121B1 (ko) 2006-03-17 2006-05-22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우수저류조
KR100802994B1 (ko) 2007-05-25 2008-02-14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대형 우수 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38223B1 (ko) 2009-07-20 2010-01-22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조립식 우수저류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395B1 (ko) 2011-05-18 2011-08-11 덕산콘크리트(주)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 및 상기 저류조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099777B1 (ko) * 2011-07-20 2011-12-28 주식회사 장호 조립식 빗물 저류시설
KR101176937B1 (ko) 2011-12-20 2012-08-30 장영미 지하 매립형 조립식 저류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183691B1 (ko) * 2012-01-18 2012-09-18 김종준 조립형 우수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204036B1 (ko) * 2012-03-08 2012-11-23 최승선 부재조립형 pc 빗물저류조
KR101272001B1 (ko) 2012-05-08 2013-06-05 우동헌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부재 조립에 의한 우수저류조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우수저류조 시공방법
KR101226524B1 (ko) 2012-06-11 2013-01-25 김종준 정확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우수 저류장치
KR101248173B1 (ko) * 2012-10-30 2013-04-02 (주) 효창이엔지 조립식 우수저류조의 바닥­기둥­보 결합구조
KR101437791B1 (ko) * 2013-11-19 2014-09-11 주식회사 한길 조립식 저류조 및 그 설치방법
KR101372223B1 (ko) * 2013-11-29 2014-03-11 주식회사 이산 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33400B1 (ko) * 2022-08-04 2023-05-16 이상윤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4805B1 (ko) 복합저류장치
KR101281070B1 (ko)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143511B1 (ko) 우수저류조
KR101013235B1 (ko) 우수저류조의 제조방법
KR100988806B1 (ko) 조립형 우수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27854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 매립형 피씨 월 및 상기 피씨 월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KR101226524B1 (ko) 정확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우수 저류장치
CN109520749A (zh) 一种模块化试验路面
MX2010010736A (es) Sistema de drenaje, aparato y metodo.
KR100731773B1 (ko) 감량구조의 저류블록을 구비한 우수 저류조
KR101388870B1 (ko)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KR200494594Y1 (ko) 지주 설치용 구조물
KR101259860B1 (ko) 수지재의 조립형 원형수로관 및 그 시공방법
US7632042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forming drainage and trench forming systems
JP6250108B2 (ja) 雨水貯留槽の設置方法
KR102346248B1 (ko) 콘크리트 수돗가 설치 공법
KR101366139B1 (ko) 배수판 조립체
KR101056395B1 (ko)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 및 상기 저류조 구조물의 시공방법
US20180313065A1 (en) Storage tan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KR101277086B1 (ko) 조립식 우수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436563B1 (ko) 우수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224380B1 (ko) 조립식 우수저류조
KR101518433B1 (ko) 부재조립형 빗물 저류조
KR20220122344A (ko)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
KR101939321B1 (ko) 교량용 횡배수관 매설형 선배수 시설의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