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8806B1 - 조립형 우수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조립형 우수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8806B1
KR100988806B1 KR1020100020149A KR20100020149A KR100988806B1 KR 100988806 B1 KR100988806 B1 KR 100988806B1 KR 1020100020149 A KR1020100020149 A KR 1020100020149A KR 20100020149 A KR20100020149 A KR 20100020149A KR 100988806 B1 KR100988806 B1 KR 100988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plate
coupled
wall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청휘
김병기
Original Assignee
김병기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기,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병기
Priority to KR1020100020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88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5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box-shap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외부로 방출시키거나 서서히 지하로 침투시키는 조립형 우수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류조를 구성하는 각 부재가 조립형으로 체결됨으로써 설치 환경에 따른 시공 작업이 용이하고 운송작업이 용이한 조립형 우수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정높이의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를 직립시키기 위해 하단에 구비된 수평부로 이루어지고 저류조 구조체의 외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인접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외벽체; 서로 마주보는 상기 수평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저류조 구조체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하판; 상기 저류조 구조체의 하부면 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부와 평행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부재; 상기 수직부의 상단과 지주부재의 상단 상에 결합되어 저류조 구조체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판; 및 상기 저류조 구조체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외벽체에서 개방된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폐쇄블록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주부재의 하부는 인접하는 하판과 하판, 또는 인접하는 하판과 수평부의 모서리 측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융기부가 서로 합형되어 이루어진 하부기둥결합부에 결합되고, 지주부재의 상부는 인접하는 상판과 상판의 모서리 상부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융기부가 서로 합형되어 이루어진 상부기둥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형 우수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The water-storage tank of assembly typ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본 발명은 우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외부로 방출시키거나 서서히 지하로 침투시키는 조립형 우수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류조를 구성하는 각 부재가 조립형으로 체결됨으로써 설치 환경에 따른 시공 작업이 용이하고 운송작업이 용이한 조립형 우수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증가나 지표의 포장율 상승에 따라서 호우시에 빗물이 지하로 침수되지 않고 하수도나 하천으로 일시에 유입되는 현상이 우기 시에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는 최근 도시발달에 따라 건축물 등 각종 구조물과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주차장 시설 등이 급격히 증가하여 빗물이 우수관로를 통해 하천으로 직접 유출되어 한꺼번에 많은 양의 빗물이 집중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우기 시 하천에서 우수의 유입 허용량을 초과하게 되면 우수에 의해 도로의 침수나 가옥 및 건물의 침수로 이어지는 홍수가 발생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우수의 하천 유입량이 적어지면 하천의 수질이 악화되는 단점과 아울러 지하수 역시 고갈되는 문제점이 있어, 상기한 우수를 지하에 임시로 저장하여 하천으로의 유출량을 조정할 수 있는 저류조가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저류조의 기술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되어 특허 등록된 우수 저류조(특허 등록번호 제0485742호)의 경우 상면판과 저면판의 전후 좌우의 네 모퉁이에 기둥들이 각각 직각으로 직립 제공되며, 상기 기둥들에 의해 네 개의 면에 개구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들의 상부 및 하부에 다수의 너트안치홈이 내측에 형성되는 관통공들이 각각 형성되는 한편, 커플 가이드핀이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홈들이 외부면에 형성되는 본체부용 블록과; 4개의 면들 중에 하나 이상의 면이 폐쇄된 형태를 취하는 것 외에는 상기 본체부용 블록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주변부용 블록과; 조립되었을 때 외측으로 향하는 상기 주변부용 블록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주변부용 블록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나사 부재에 의해 상기 주변부용 블록에 결합되는 슬래브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우수 저류조는 대형 중량물로서, 저류조를 구성하는 본체블록의 형상이 일자형이나 L자형 외벽체로 형성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된 육면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에 따른 1개당 본체블록 자체의 크기 및 부피가 커짐에 따라 시공위치에 정확히 배치하지 않을 경우 크레인을 통해 본체블록의 위치를 수정해야 하는 등 우수 저류조의 시공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본체블록이 정확한 시공위치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본체블록과 인접한 본체블록 간 볼트 조립작업이 제대로 시행할 수 없게 되는 등의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체블록이 대형화되어 있어 부지면적에 제한을 받는 경우 저류조의 높이와 경간을 쉽게 조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저류조의 설계용량에 따라 본체블록의 형틀을 새로이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우수 저류조는 1개당 본체블록의 크기 및 부피가 크기 때문에 이를 매설 시공 현장에 운반하기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며, 차량 1대당 운송물량이 적어 공사현장까지의 운반시간이 길어짐과 아울러 많은 차량이 소요되므로 운반비용 역시 크게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우수 저류조는 육면체로 형성된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형상에 따른 운반의 제한 즉, 운반차의 폭(2.34m)과 높이(2.69m)에 제한을 받아 제한된 중량에 맞게 제작하기 위해서 가로 세로의 길이는 2.3*2.3m로, 각각의 기둥 간의 간격이 1.7m로 제한되기 때문에 이를 보수하기 위해서는 소형청소장비의 회전반경을 충족할 수 없어 인력에 의한 청소만이 가능함에 따라 유지비용의 증가를 초래하는 한편, 교체 및 보수 작업시 내부 형틀의 조립, 해체를 위한 고가의 특수설비가 소요되고, 조립 및 해체에 따른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여 유지보수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우수 저류조는 육면체로 형성된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로 인접하는 본체블록간 모서리 측에 배치되는 기둥들이 중복되어 시공됨에 따라 재료비가 증가하여 제작비용의 동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저류조를 구성하는 각각의 주요 부재를 개별적으로 제작한 후 현장에서 조립하여 저류조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일체로 형성된 육면체형태의 블록 본체에 비해 시공작업이 간편하고 매설 시공을 위한 현장으로의 부재 운반작업이 편리한 조립형 우수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류조를 구성하는 주요 부재가 종래 육면체형태의 본체블록보다 크기 및 부피가 작기 때문에 운반작업에 따른 차량 1대당 적재량을 높일 수 있어 부재 전체의 운반시간 단축 및 운반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조립형 우수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종래 육면체형태의 박스형 블록에 비해 외벽체와 지주부재의 제작이 용이함과 아울러, 각기 제작된 외벽체와 지주부재를 운반차에 그대로 적재시켜 운반하는 등의 운반 제한을 적게 받으면서 상기 외벽체 및 지주부재의 전체 높이를 다양하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많은 양의 우수저류가 필요한 경우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외벽체 및 지주부재의 금형 비용이 종래 육면체형태의 박스형 저류 블록 제작 금형 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제작이 쉽기 때문에 현장높이에 따른 다양한 높이로 제작이 가능하여 현장 적용성이 매우 우수한 우수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종래 육면체형태의 박스형 본체블록에 비해 외벽체와 지주부재, 상판 및 하판이 분할식으로 제작됨에 따라 시공되는 지주부재간의 간격 조정이 가능하여 소형장비에 의한 청소가 가능하고, 설치되는 지주부재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함과 아울러 자재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조립형 우수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높이의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를 직립시키기 위해 하단에 구비된 수평부로 이루어지고 저류조 구조체의 외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인접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외벽체; 서로 마주보는 상기 수평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저류조 구조체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하판; 상기 저류조 구조체의 하부면 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부와 평행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부재; 상기 수직부의 상단과 지주부재의 상단 상에 결합되어 저류조 구조체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판; 및 상기 저류조 구조체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외벽체에서 개방된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폐쇄블록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주부재의 하부는 인접하는 하판과 하판, 또는 인접하는 하판과 수평부의 모서리 측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융기부가 서로 합형되어 이루어진 하부기둥결합부에 결합되고, 지주부재의 상부는 인접하는 상판과 상판의 모서리 상부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융기부가 서로 합형되어 이루어진 상부기둥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기둥결합부는 복수 개의 철근이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주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결합공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주부재는 그 하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공과 연통되도록 주입로가 구비되어 그라우트재를 충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판에 구비되는 융기부는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결합공이 구비되어 상기 지주부재의 상부에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철근이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앵커볼트를 매개로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판과 상기 지주부재의 결합시 상기 상판의 상부로 돌출된 철근과 앵커볼트 사이에 앵커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앵커플레이트는 상기 철근이 삽입되는 체결공이 1×1, 1×2 또는 2×2로 형성된 군 중에서 어느 한 종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앵커플레이트는 상기 체결공을 통하여 상기 철근 측으로 그라우트재를 충진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공과 연결되는 주입로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2 앵커플레이트는 인접하는 상판의 융기부가 서로 합형되는 꼭지점 상에 배치되고, 1×2 앵커플레이트는 인접하는 두 개의 융기부에 동시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벽체, 상판, 하판, 지주부재 및 폐쇄블록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저류조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저류조가 설치될 수 있도록 기초 지반대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기초 지반대의 외곽을 따라 이웃하는 두 측면에 수직부와 수평부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외벽체를 배치하여 저류조 구조체의 외벽 일부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복수 개의 외벽체 수평부와 복수 개의 하판을 각각 연결하여 상기 저류조 구조체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기초 지반대의 외곽을 따라 이웃하는 두 측면에 복수 개의 외벽체를 배치하여 저류조 구조체의 외벽을 완성하는 단계; e) 상기 저류조 구조체의 하부면 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부와 평행하도록 복수 개의 지주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f) 상기 수직부의 상단과 지주부재의 상단 상에 상판을 배치하여 상기 저류조 구조체의 상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g) 상기 저류조 구조체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외벽체에서 개방된 개구부가 밀폐되도록 폐쇄블록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단계는 정밀한 위치와 레벨을 유지할 수 있도록 H형강을 일정 깊이 함몰 배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 및 d) 단계는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외벽체마다 PS강봉을 사용하여 각각 긴장 및 정착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c) 단계는 인접하는 하판과 하판, 또는 인접하는 하판과 수평부의 모서리 측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융기부가 서로 합형되어 상기 지주부재의 하부가 결합되는 하부기둥결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기둥결합부는 복수 개의 철근이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주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결합공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재는 그 하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공과 연통되는 주입로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e) 단계는 인접하는 상판과 상판의 모서리 측에 돌출형성되는 융기부가 서로 합형되어 상기 지주부재의 상부가 결합되는 상부기둥결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판에 구비되는 융기부는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결합공이 구비되어 상기 지주부재의 상부에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철근이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앵커볼트를 매개로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판과 상기 지주부재의 결합시 상기 상판의 상부로 돌출된 철근과 앵커볼트 사이에 앵커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앵커플레이트는 상기 철근이 삽입되는 체결공이 1×1, 1×2 또는 2×2로 형성된 군 중에서 어느 한 종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2 앵커플레이트는 인접하는 상판의 융기부가 서로 합형되는 꼭지점 상에 배치되고, 1×2 앵커플레이트는 인접하는 두 개의 융기부에 동시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저류조의 각 부재가 외벽체, 지주부재, 상판 및 하판으로 구성되어 현장에서 각 부재가 조립되어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시 저류조의 높이와 경간의 확장에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류조를 구성하는 외벽체, 지주부재, 상판 및 하판 등의 부재가 종래 육면체형태의 본체블록보다 크기 및 부피가 작기 때문에 각 부재의 운반작업에 따른 차량 1대당 적재량 및 운송물량이 증가하여 부재 전체의 운반시간 단축과 아울러 운반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지주부재의 상,하부가 상판 및 하판의 결합시 앵커플레이트를 사용하여 복수 개의 부재를 동시에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결합력을 높이고 중량을 균형있게 배분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외벽체와 지주부재, 상판 및 하판이 분할식으로 제작됨에 따라 시공되는 지주부재간의 간격 조정이 가능하여 소형장비에 의한 청소가 가능함으로써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설치되는 지주부재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자재 비용을 줄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조립형 우수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우수 저류조를 일측을 개방시켜 도시한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우수 저류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우수 저류조 중 이웃하는 두 지주부재의 상부와 연결되는 상판을 도시한 저면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우수 저류조 중 지주부재의 상부와 연결되는 상판을 도시한 저면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우수 저류조 중 지주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정면도, A-A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우수 저류조 중 외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우수 저류조 중 하판을 도시한 평면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우수 저류조의 외벽체와 하판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우수 저류조의 상판과 지주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10a~도 10h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우수 저류조에 대한 시공작업을 나타낸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발명의 이해를 돕기위해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었다 하더라도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우수 저류조를 일측을 개방시켜 도시한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우수 저류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우수 저류조 중 이웃하는 두 지주부재의 상부와 연결되는 상판을 도시한 저면도,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우수 저류조 중 지주부재의 상부와 연결되는 상판을 도시한 저면도,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우수 저류조 중 지주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정면도, A-A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우수 저류조 중 외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우수 저류조 중 하판을 도시한 평면도,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우수 저류조의 외벽체와 하판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우수 저류조의 상판과 지주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a~도 10h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우수 저류조에 대한 시공작업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우수 저류조(100)는 지하에 매설 시공되는 저장고로써 우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필요시 방출하기 위한 것으로, 외벽체(120), 하판(130), 지주부재(140), 상판(150) 및 폐쇄블록판(160)을 포함한다.
상기 외벽체(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수 저장을 위해 설치되는 저류조 구조체의 외벽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높이의 외벽을 형성하는 수직부(121)와, 상기 수직부(121)를 직립시키기 위해 하단에 형성된 수평부(122)로 구성되어 대략 "L"자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외벽체(120)는 상기 저류조 구조체의 외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조립형 우수 저류조(100)가 설치되는 시공면(101)의 외곽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가 연속하여 배치되며, 대략 사각형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복수 개의 외벽체(120)는 인접하는 두 개의 외벽체(120)마다 정착구(126)를 통하여 PS강선 매개로 각각 긴장 및 정착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정착구(126)는 수평부(122)와 수직부(121)의 길이 중간 및 상부에 각각 구비되어 인접하는 두 개의 외벽체(120)가 PS강선을 매개로 상,중,하부가 각각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PS강선을 사용하여 이웃하는 두 개의 외벽체(120)를 결합하는 경우 PS강선에 가하는 긴장력은 항상 같은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도록 하중의 증가를 일정하게 하도록 한다.
상기에서 인접하는 두 개의 외벽체(120)간의 결합을 PS강선을 사용하여 긴장시킴으로써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두 개의 외벽체(120)를 서로 접촉시킨 후 연결볼트(미도시)를 매개로 결합시키거나, 연결볼트 결합과 PS강선 결합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등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수직부(121)의 배면에는 상기 외벽체(120)의 시공시 외벽체가 일방향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서포트(미도시)가 결합되는 인서트(미도시)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수직부(121)의 상부단에는 복수 개의 철근(129)이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상판(150)의 일측과 앵커볼트를 매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평부(122)의 상부 모서리측에는 각각 일정높이로 돌출형성되는 융기부(124)가 구비되어 후술할 하판(130)의 상부에 돌출형성되는 융기부(132)와 서로 합형되어 지지부재(140)의 하부가 결합되는 하부기둥결합부(170)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122)에 구비되는 융기부(124)는 수직부(121)의 상부단과 마찬가지로 일정높이로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철근(125)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140)의 하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판(130)은 저류조 구조체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서로 마주보는 외벽체의 수평부(122)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하판(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류조 구조체의 하부면에 복수 개가 서로 접하도록 서로 결합되며, 저류조 구조체의 외벽을 형성하는 외벽체(120)의 수평부(122)와 각각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하판(130)의 상부 모서리 측에는 각각 돌출형성되는 융기부(132)가 구비되며, 인접하는 각각의 융기부(132)가 서로 합형되어 대략 사각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융기부(132)는 이웃하는 융기부(132)와 서로 합형되어 하부기둥결합부(170)를 구성하게 되며, 상술한 것처럼 외벽체(120)의 수평부(122)에 구비되는 융기부(124)와도 서로 합형되도록 함으로써 하부면에 복수 개의 하부기둥결합부(170)가 마련된다.
이러한 하부기둥결합부(170)는 상기 지주부재(140)가 배치되는 위치를 결정하게 됨과 동시에 지주부재(140)의 하부와 결함됨으로써 지주부재(140)가 상기 상판(150)을 받치는 기둥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융기부(132)는 외벽체의 수평부(122)에 구비되는 융기부(124)와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철근(134)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지주부재(140)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이웃하는 하판(130)과 하판(130), 또는 하판(130)과 수평부(122)의 융기부(124,132)가 서로 합형되어 형성되는 하부기둥결합부(170)는 융기부(124,132)에 정착구(126)가 구비되어 PS강선을 사용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결합력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로 합형되어 하부기둥결합부(170)를 형성하는 각각의 융기부(124,132)는 서로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어 지지부재(140)와의 결합시 각각의 융기부(124,132)가 동일한 면적으로 지지부재(140)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지지부재(140)에서 부가되는 하중을 서로 균등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에서 인접하는 하판(130)과 하판(130), 하판(130)과 수평부(122)간의 결합을 PS강선을 사용하여 긴장시킴으로써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하판(130)과 하판(130), 또는 하판(130)과 수평부(122)를 서로 접촉시킨 후 연결볼트(미도시)를 매개로 결합시키거나, 연결볼트 결합과 PS강선 결합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등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지주부재(140)는 인접하는 하판(130)과 하판(130), 또는 인접하는 하판(130)과 수평부(122)에 구비되는 융기부(124,132)가 서로 합형되어 이루어진 하부기둥결합부(170)에 그 하부가 결합됨으로써 저류조 구조체의 하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연장되어 그 상부에 배치되는 상판(150)을 지지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높이를 갖는 수직부재로 구비되며 상부 측에는 상기 상판(150)과 결합되는 복수 개의 철근(146)이 구비되고 그 하부 측에는 상기 하부기둥결합부(170)와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결합공(142)이 일정깊이 함몰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부재(140)는 상기 하부기둥결합부(170)와 대략 동일한 단면적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융기부(124,132)에 돌출 구비되는 복수 개의 철근(125,134)과 서로 대응되는 영역에 결합공(142)이 구비되어 융기부(124,132)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철근(125,134)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주부재(140)는 그 하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서 상기 결합공(142)과 각각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복수 개의 주입로(144)가 구비된다. 이러한 주입로(144)를 통하여 상기 결합공(142)에 삽입된 철근(125,134) 측으로 그라우트재를 충진시킴으로써 상기 지주부재(140)의 하부와 하부기둥결합부(170)와의 결합력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판(150)은 저류조 구조체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서로 마주보는 외벽체의 수직부(121) 사이에 복수 개가 서로 연결되어 배치되며, 일측이 하부기둥결합부(170)에 결합되어 직립되어 설치되는 지주부재(140)의 상단과 결합되고 타측이 외벽체의 수직부(121) 상단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이러한 상판(1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류조 구조체의 상부면에 복수 개가 서로 접하도록 서로 연결되어 결합되며, 일측은 저류조 구조체의 외벽을 형성하는 외벽체(120)의 수직부(121) 상단에 의하여 지지되고 타측은 지지부재(140)의 상단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때, 상기 상판(150)의 모서리 측에는 각각 하부로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융기부(152)가 구비되며, 인접하는 각각의 융기부(152)가 서로 합형되어 대략 사각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융기부(152)는 인접하는 상판(150)에 구비되는 융기부(152)와 서로 합형되어 상부기둥결합부(180)를 구성하게 되며, 상기 상부기둥결합부(180)에 지주부재(140)의 상단이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상판(150)은 저류조 구조체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하판(130)과 대략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어 상판(150)과 인접하는 상판(150)이 연결되어 형성하는 상부기둥결합부(180)가 하판(130)과 인접하는 하판(130)에 의해 형성되는 하부기둥결합부(170)의 연직상방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수직부재인 지주부재(140)가 그 사이에 배치되어 지주부재(140)의 상,하단이 각각 상부기둥결합부(180) 및 하부기둥결합부(17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판(150)의 모서리 측에 구비되는 융기부(152)는 외벽체의 수직부(121) 및 지지부재(140)의 상단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철근(129,146)이 삽입되어 앵커볼트를 매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철근(129,146)과 대응되는 복수 개의 결합공(154)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판(150)과 이웃하는 상판(150)에 구비되어 서로 합형됨으로써 상부기둥결합부(180)를 형성하는 각각의 융기부(152)는 서로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어 지지부재(140)와의 결합시 각각의 융기부(152)가 동일한 면적으로 지지부재(140)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150)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기둥결합부(180)와 지주부재(140) 상단의 결합시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앵커플레이트(191,192,193)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앵커플레이트(191,192,193)는 지주부재(140)의 상단에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철근(146)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194)이 구비되는 대략 사각형상의 판형부재이다.
이러한 앵커플레이트(191,192,193)는 지주부재(140)와 상판(150)의 결합시 융기부(152)에 관통형성된 결합공(154)을 통하여 상부로 돌출된 철근(146)에 삽입된 후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내부에 관통형성되는 체결공(194)의 개수가 여러 종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체결공의 개수가 1×1, 1×2, 2×2로 형성된 세 종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세 종류의 형태로 구비된 앵커플레이트(191,192,193)는 지주부재(140)와 상판(150)의 결합시 각각 정해진 위치에 배치된다. 즉, 2×2 앵커플레이트(191)는 상부기둥결합부(180) 중에서 중앙영역-더욱 자세하게는, 인접하는 상판의 융기부(152)가 서로 합형되는 꼭지점 상에 배치되고, 1×2 앵커플레이트(192)는 상부기둥결합부(180) 중에서 측부 길이 중앙영역-더욱 자세하게는, 인접하는 두 개의 융기부(152)에 동시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다시 말하면, 2×2 앵커플레이트(191)는 인접하는 모든 상판(150)의 일부가 동시에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1×2 앵커플레이트(192)는 이웃하는 두 개의 상판 일부가 동시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1×1 앵커플레이트(193)는 하나의 상판(150)과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일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부재(140)의 상단에 16개의 철근(146)이 일정간격으로 돌출구비되고, 상기 지주부재(140)와 결합되는 각각의 상판(150)에 4개의 결합공(154)을 갖는 융기부(152)가 구비되는 경우, 인접하는 4개의 상판(150) 일측이 서로 합형되어 16개의 결합공(154)을 갖는 상부기둥결합부(180)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16개의 철근은 상부기둥결합부(180)에 구비되는 16개의 결합공(154)에 각각 일대일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2×2 앵커플레이트(191)는 인접하는 4개의 상판과 동시에 접촉되도록 6,7,10,11번 위치에 구비되는 철근(146)과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1×2 앵커플레이트(192)는 인접하는 2개의 상판과 동시에 접촉되도록 2번과 3번, 8번과 12번, 5번과 9번, 14번과 15번 위치에 구비되는 철근(146)이 삽입되도록 배치되며, 1×1 앵커플레이트(193)는 1,4,13,16번 위치에 구비되는 철근(146)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개수와 배치구조를 갖는 세 종류의 앵커플레이트(191,192,193)를 적정위치에 배치하여 지주부재(140)와 상판(150)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조립되는 부분의 체결력을 높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앵커플레이트(191,192,193)는 상기 체결공(194)을 통하여 철근(146)측으로 그라우트재를 충진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공(194)과 연결되는 주입로(195)가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판(150)과 하판(130), 외벽체(120) 및 지주부재(140)로 구성된 저류조 구조체는 시공면(101)의 외곽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외벽체(120) 중에서 각 모서리 측에 설치되는 외벽체(120)의 개방된 부분에 폐쇄블록판(160)을 구비하여 밀폐함으로써 우수가 저장되는 조립형 우수 저류조(100)를 완성하게 된다.
이하에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형 우수 저류조(100)의 시공과정을 도 10a 내지 도 10h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형 우수 저류조(1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기초 지반대를 형성한다.
이러한 기초 지반대를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조립형 우수 저류조(100)가 매설될 수 있도록 지하로 충분한 깊이로 굴삭하며, 굴삭시의 여유폭은 저류조의 설치작업, 인장작업 및 폐쇄블록판(160)의 설치작업시 안정성 및 작업성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결정하도록 한다.
이때, 기초 지반대를 형성하기 위한 굴삭 깊이는 굴삭기준면 이하로 굴삭하지 않도록 유의하며, 굴삭기준면 부근의 굴삭작업은 지반이 교란되지 않도록 신중히 작업한다.
그리고 배수처리가 불량한 상태에서 굴삭을 실시하면 굴삭 효율의 저하와 이토 발생 및 굴삭토의 처리과정에서도 지장이 있게 되므로 드라이워크가 확보될 수 있도록 충분히 고려하여 실시하도록 한다.
이후, 굴삭된 시공면(101)을 평탄하게 다지고 그 위에 잡석이나 모래를 투입하여 기초잡석층(102)을 형성하고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콘크리트층(103)을 형성한다. 이때, 기초잡석층(102)과 기초콘크리트층(103)에 용수가 있으면 쇄석 기초의 다짐 부족이나 타설된 콘크리트의 강도 부족 등의 원인이 되므로 용수를 제거한 후 시공하도록 한다.
견고한 지반이나 보통 지반에 직접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기초콘크리트의 강도는 16Mpa 이상을 표준으로 하고 설계기준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충분하게 양생하도록 한다.
이때, 기초콘크리트층(103)을 타설하는 과정에서 그 상부에 H형강(105)을 배치하여 설치공사 기간을 단축하고 시공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H형강(105)은 기초콘크리트층(103)의 기초면에서 일정높이 올라오도록 설치하여 H형강의 상부단이 저류조의 설치 기준면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H형강은 저류조를 설치했을 때 저류조가 기울어지거나 불안정한 상태가 되지 않도록 주의해서 배치하도록 하며, 설치 기준면으로부터 돌출된 H형강의 높이에 맞추어 부설모르터(104)를 균등하게 깔고 평탄하게 골라 설치 기준면이 수평면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형 우수 저류조(100)가 설치되는 기초단면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잡석층(102)과 H형강의 일부가 매입된 기초콘크리트층(103)을 형성한 후 그 상부에 저류조 구조체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저류조 구조체를 설치하기 위한 기초 지반대를 형성한 후, 도 10b 및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지반대의 외곽을 따라 이웃하는 두 측면에 수직부(121)와 수평부(122)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외벽체(120)를 연속 배치하여 저류조 구조체의 외벽 일부를 형성하도록 한다.
즉, 대략 사각형상으로 설치되는 저류조(100)의 전체 형상에서 'ㄱ'자 형상의 외벽을 이루도록 외벽체(120)를 연속 배치하도록 한다. 이때, 연속하여 배치되는 각각의 외벽체(120)는 이웃하는 두 개의 외벽체(120)마다 PS강선을 사용하여 결합시키며, 결합후 외벽체(120)의 배면에 구비되는 인서트(미도시)를 사용하여 외벽체(120)가 전도되지 않도록 서포트로 지지시킨다.
그리고 'ㄱ'자 형상을 이루도록 외벽체(120)를 연속 배치하여 시공하는 과정에서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연속 배치되는 외벽체(120)간에 직각도가 확보되는지 철저하게 확인하면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ㄱ'자 형상의 외벽 일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복수 개의 외벽체를 가로방향으로 먼저 배치하고 설치된 외벽과 접하도록 세로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외벽체(120)를 세로 방향으로 먼저 설치한 후 직각이 되도록 가로 방향으로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와 같이 저류조 구조체의 외벽을 형성하는 'ㄱ'자 형상의 외벽 일부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설치하고자 하는 저류조의 규모와 형상 등 현장조건에 따라 설치 작업을 시작하는 위치가 변경되지만 설치중에 외벽체의 배열이 계획중심선을 벗어나지 않고 직각도가 확보될 수 있도록 부재간의 치수 등을 확인하면서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속하여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외벽체(120)가 'ㄱ'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외벽의 일부가 형성된 저류조 구조체의 하부면이 형성되어 밀폐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하판(130)이 서로 접하도록 연속하여 배치하며, 외벽체(120)의 수평부(122)와도 서로 접하여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인접하는 하판(130)과 하판(130), 또는 인접하는 하판(130)과 수평부(122)의 모서리 측에 각각 돌출되는 융기부(124,132)가 서로 합형되어 대략 사각형상의 하부기둥결합부(170)를 형성하면서 연결되도록 유의한다.
그리고, 서로 이웃하는 하판(130)과 하판(130), 하판(130)과 수평부(122)는 융기부(124,132) 측에 구비되는 정착구(126)를 통해 PS강선을 사용하여 긴장시킨 후 결합되도록 한다. 특히 하판(130)과 외벽체의 수평부(122)를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기 설치된 'ㄱ'자 형상의 외벽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각각의 외벽체(120)를 확실하게 고정시킨 후 결합시키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상으로 설치되는 저류조 구조체의 외벽을 완성하기 위하여 하판(130)과 외벽체(120)의 수평부(122)가 서로 접하도록 복수 개의 외벽체(120)를 'ㄴ'자 형상으로 배치하도록 하여 저류조 구조체의 외벽과 하부면을 완성하도록 한다.
즉, 도 10b 및 도 10c의 공정에 의해 설치된 외벽체와 대각방향으로 반대편에 동일한 길이로 다수 개의 외벽체(120)를 연속 배치하고 기 설치한 'ㄱ'자 형상의 외벽과 서로 직각도가 확보되는지를 확인하면서 설치하도록 한다.
이때, 이웃하는 하판(130)과 수평부(122)는 융기부(124,132) 측에 구비되는 정착구(126)를 통해 PS강선을 사용하여 긴장시킨 후 결합시키며, 인접하는 하판(130)과 수평부(122)의 모서리 측에 각각 돌출되는 융기부(124,132)가 서로 합형되어 사각형상의 하부기둥결합부(170)를 형성하면서 연결되도록 한다.
이어서, 도 10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정을 통하여 형성된 하부기둥결합부(170) 상에 상기 외벽체(120)의 수직부(121)와 서로 평행하도록 복수 개의 지지부재(140)가 각각 직립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주부재(140)의 수직도는 이후에 설치될 상판(150)의 시공정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데오더라이트 등을 사용하여 최소 2방향의 수직도를 확인하여 저류조 구조체의 하부면과 직립이 되도록 유의하면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지주부재(140)를 하부기둥결합부(170) 상에 배치하여 결합시킨 후 좌,우 방향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지주부재(140)와 하판(130)에 매입되어 있는 인서트(미도시)를 사용하여 서포트로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주부재(140)의 하부와 상기 하부기둥결합부(170)와의 결합은 합형되어 하부기둥결합부(170)를 형성하는 융기부(124,132)에서 상부로 돌출된 복수 개의 철근(125,134)을 상기 지주부재(140)의 하부에 함몰형성된 결합공(142)에 삽입시켜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지주부재(140)의 하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서 상기 결합공(142)과 연통되도록 구비된 주입로(144)를 통하여 그라우트재를 충진시켜 결합공(142)에 삽입된 철근(125,134)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결합력을 높이고 수명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도 10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류조 구조체의 외벽을 형성하는 외벽체(120)의 수직부(121) 상단과 지주부재(140)의 상단 상에 복수 개의 상판(150)을 각각 배치하여 상기 저류조 구조체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한다.
즉, 상판(150)의 일측은 지주부재(140)의 상단에 거치되고 타측은 외벽체(120)의 수직부(121) 상단에 거치되어 외벽체의 수직부나 지주부재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거나, 일측이 지주부재(140)의 상단에 거치되고 타측이 이웃하는 지지부재의 상단에 거체되어 이웃하여 배치되는 양 지주부재(140)의 상단에 의해 상기 상판(150)이 지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상판(150)은 인접하는 상판(150)과 상판(150)의 모서리 측에 하부로 돌출형성되는 융기부(152)가 서로 합형되도록 연결되어 사각형상의 상부기둥결합부(180)가 형성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상판(150)에 구비되는 각각의 융기부(152)에는 지주부재(140)의 상단에 상부로 돌출된 복수 개의 철근(146)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결합공(154)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인접하는 상판(150)과 상판(150)의 융기부(152)가 서로 합형되어 상부기둥결합부(18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상부기둥결합부(180)와 지주부재(140)의 상부단이 서로 면접하게 되고, 지주부재(140)의 상부단에 돌출된 철근(146)이 각각 융기부(152)의 결합공(154)에 삽입된 후 앵커볼트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상판(150)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판(150)과 지주부재(140)의 상부단의 결합시 상판(150)의 상부로 돌출된 철근(146)과 앵커볼트 사이에 1×1, 1×2, 2×2의 형태로 체결공(194)이 형성된 앵커플레이트(191,192,193)를 사용하여 결합시키도록 한다.
즉, 체결공이 2×2로 형성된 앵커플레이트(191)는 상부기둥결합부(180)의 중앙영역 상에 배치하여 합형되는 모든 상판의 일부 영역에 배치되도록 하고, 체결공이 1×2로 형성된 앵커플레이트(192)는 상부기둥결합부(180)의 측면 중앙부 상에 배치하여 이웃하는 두 개의 상판에 동시에 배치되도록 하며, 체결공이 1×1로 형성된 앵커플레이트(193)는 나머지 부분에 배치하여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볼트 결합은 부재 단면의 중앙부에서 양끝단으로 이동하며 1차 조임, 본조임의 순으로 작업하여 마무리하며, 본조임이 끝난 후에는 반드시 모든 볼트가 체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그리고 볼트나 너트에 이물질이 묻어 있는 경우에는 나사산이 마모되어 체결이 안 될 수 있으므로 체결 전에 반드시 볼트와 너트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한다.
상판(150)과 지주부재(140)의 상부단을 결합하는 공정이 끝난 후에는 상기 앵커플레이트(191,192,193)에 구비된 주입로(195)를 통하여 체결공(194)에 그라우트재를 충진시킴으로써 결합공(154) 및 체결공(194)에 삽입되는 철근(146)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도 10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류조 구조체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외벽체(120)에서 개방된 개구부(S)에 폐쇄블록판(160)을 설치하여 저류조 구조체를 완전히 밀폐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조립형 우수 저류조(100)의 매설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그라우트재는 균질한 그라우트재로 결합공(142,154) 및 체결공(194)의 빈틈을 완전하게 충전하여 강재를 충분히 감싸 녹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주입 작업이 끝날 때까지 양호한 유동성과 확실한 충전성을 유지하도록 작은 블리딩율 및 적당한 팽창율을 갖는 것을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저류조를 구성하는 각 부재가 외벽체, 지주부재, 상판 및 하판으로 구성되어 현장에서 각 부재가 조립되어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시 저류조의 높이와 경간의 확장에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류조를 구성하는 외벽체, 지주부재, 상판 및 하판 등의 부재가 종래 육면체형태의 본체블록보다 크기 및 부피가 작기 때문에 각 부재의 운반작업에 따른 차량 1대당 적재량 및 운송물량이 증가하여 부재 전체의 운반시간 단축과 아울러 운반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지주부재의 상,하부가 상판 및 하판의 결합시 앵커플레이트를 사용하여 복수 개의 부재를 동시에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결합력을 높이고 중량을 균형있게 배분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이와 같은 특정구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를 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한 수정 또는 설계변형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함을 미리 밝혀둔다.
100 : 조립형 우수 저류조 101 : 시공면
102 : 기초잡석층 103 : 기초콘크리트층
104 : 부설모르터 105 : H형강
120 : 외벽체
121 : 수직부 122 : 수평부
124 : 융기부 125 : 철근
126 : 정착구 129 : 철근
130 : 하판 132 : 융기부
134 : 철근 140 : 지주부재
142 : 결합공 144 : 주입로
146 :철근 150 : 상판
152 : 융기부 154 : 결합공
160 : 폐쇄블록판 S : 개구부
170 : 하부기둥결합부 180 : 상부기둥결합부
191,192,193 : 앵커플레이트 194 : 체결공
195 : 주입로

Claims (17)

  1. 일정높이의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를 직립시키기 위해 하단에 구비된 수평부로 이루어지고 저류조 구조체의 외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인접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외벽체;
    서로 마주보는 상기 수평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저류조 구조체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하판;
    상기 저류조 구조체의 하부면 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부와 평행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주부재;
    상기 수직부의 상단과 지주부재의 상단 상에 결합되어 저류조 구조체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판; 및
    상기 저류조 구조체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외벽체에서 개방된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폐쇄블록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주부재의 하부는 인접하는 하판과 하판, 또는 인접하는 하판과 수평부의 모서리 측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융기부가 서로 합형되어 이루어진 하부기둥결합부에 결합되고, 지주부재의 상부는 인접하는 상판과 상판의 모서리 상부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융기부가 서로 합형되어 이루어진 상부기둥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우수 저류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둥결합부는 복수 개의 철근이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주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결합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우수 저류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재는 그 하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공과 연통되도록 주입로가 구비되어 그라우트재를 충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우수 저류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 구비되는 융기부는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결합공이 구비되어 상기 지주부재의 상부에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철근이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앵커볼트를 매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우수 저류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상기 지주부재의 결합시 상기 상판의 상부로 돌출된 철근과 앵커볼트 사이에 앵커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앵커플레이트는 상기 철근이 삽입되는 체결공이 1×1, 1×2 또는 2×2로 형성된 군 중에서 어느 한 종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우수 저류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플레이트는 상기 체결공을 통하여 상기 철근 측으로 그라우트재를 충진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공과 연결되는 주입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우수 저류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2×2 앵커플레이트는 인접하는 상판의 융기부가 서로 합형되는 꼭지점 상에 배치되고, 1×2 앵커플레이트는 인접하는 두 개의 융기부에 동시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우수 저류조.
  8. 외벽체, 상판, 하판, 지주부재 및 폐쇄블록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저류조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저류조가 설치될 수 있도록 기초 지반대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기초 지반대의 외곽을 따라 이웃하는 두 측면에 수직부와 수평부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외벽체를 배치하여 저류조 구조체의 외벽 일부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복수 개의 외벽체 수평부와 복수 개의 하판을 각각 연결하여 상기 저류조 구조체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기초 지반대의 외곽을 따라 이웃하는 두 측면에 복수 개의 외벽체를 배치하여 저류조 구조체의 외벽을 완성하는 단계;
    e) 상기 저류조 구조체의 하부면 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부와 평행하도록 복수 개의 지주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f) 상기 수직부의 상단과 지주부재의 상단 상에 상판을 배치하여 상기 저류조 구조체의 상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g) 상기 저류조 구조체의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외벽체에서 개방된 개구부가 밀폐되도록 폐쇄블록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우수 저류조의 시공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정밀한 위치와 레벨을 유지할 수 있도록 H형강을 일정 깊이 함몰 배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우수 저류조의 시공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및 d) 단계는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외벽체마다 PS강봉을 사용하여 각각 긴장 및 정착되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우수 저류조의 시공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인접하는 하판과 하판, 또는 인접하는 하판과 수평부의 모서리 측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융기부가 서로 합형되어 상기 지주부재의 하부가 결합되는 하부기둥결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우수 저류조의 시공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둥결합부는 복수 개의 철근이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주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는 결합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우수 저류조의 시공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그 하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공과 연통되는 주입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우수 저류조의 시공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인접하는 상판과 상판의 모서리 측에 돌출형성되는 융기부가 서로 합형되어 상기 지주부재의 상부가 결합되는 상부기둥결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우수 저류조의 시공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 구비되는 융기부는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결합공이 구비되어 상기 지주부재의 상부에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철근이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앵커볼트를 매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우수 저류조의 시공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지주부재의 결합시 상기 상판의 상부로 돌출된 철근과 앵커볼트 사이에 앵커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앵커플레이트는 상기 철근이 삽입되는 체결공이 1×1, 1×2 또는 2×2로 형성된 군 중에서 어느 한 종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우수 저류조의 시공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2×2 앵커플레이트는 인접하는 상판의 융기부가 서로 합형되는 꼭지점 상에 배치되고, 1×2 앵커플레이트는 인접하는 두 개의 융기부에 동시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우수 저류조의 시공방법.
KR1020100020149A 2010-03-05 2010-03-05 조립형 우수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88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149A KR100988806B1 (ko) 2010-03-05 2010-03-05 조립형 우수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149A KR100988806B1 (ko) 2010-03-05 2010-03-05 조립형 우수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8806B1 true KR100988806B1 (ko) 2010-10-20

Family

ID=43135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149A KR100988806B1 (ko) 2010-03-05 2010-03-05 조립형 우수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880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691B1 (ko) 2012-01-18 2012-09-18 김종준 조립형 우수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204036B1 (ko) * 2012-03-08 2012-11-23 최승선 부재조립형 pc 빗물저류조
KR101407834B1 (ko) 2011-02-25 2014-06-17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레이아웃 설계 방법, 레이아웃 설계 장치, 및 프로그램
KR101437791B1 (ko) 2013-11-19 2014-09-11 주식회사 한길 조립식 저류조 및 그 설치방법
KR101497924B1 (ko) * 2014-06-20 2015-03-03 주식회사 이에스피소재 우수저류조의 우수 침투형 상부 슬래브용 조성물, 상기 우수 침투형 상부 슬래브용 조성물을 이용한 우수저류조 및 상기 우수저류조의 시공방법
KR20160009252A (ko) 2014-07-16 2016-01-26 양흥모 하수관의 대용량 빗물 처리설비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793B1 (ko) 2005-08-30 2007-01-02 한승희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20070074512A (ko) * 2007-06-01 2007-07-12 청호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저류조
KR20090104424A (ko) * 2008-03-31 2009-10-06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조립식 우수 저장시설
KR100938223B1 (ko) 2009-07-20 2010-01-22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조립식 우수저류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793B1 (ko) 2005-08-30 2007-01-02 한승희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20070074512A (ko) * 2007-06-01 2007-07-12 청호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저류조
KR20090104424A (ko) * 2008-03-31 2009-10-06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조립식 우수 저장시설
KR100938223B1 (ko) 2009-07-20 2010-01-22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조립식 우수저류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834B1 (ko) 2011-02-25 2014-06-17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레이아웃 설계 방법, 레이아웃 설계 장치, 및 프로그램
KR101183691B1 (ko) 2012-01-18 2012-09-18 김종준 조립형 우수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204036B1 (ko) * 2012-03-08 2012-11-23 최승선 부재조립형 pc 빗물저류조
KR101437791B1 (ko) 2013-11-19 2014-09-11 주식회사 한길 조립식 저류조 및 그 설치방법
KR101497924B1 (ko) * 2014-06-20 2015-03-03 주식회사 이에스피소재 우수저류조의 우수 침투형 상부 슬래브용 조성물, 상기 우수 침투형 상부 슬래브용 조성물을 이용한 우수저류조 및 상기 우수저류조의 시공방법
KR20160009252A (ko) 2014-07-16 2016-01-26 양흥모 하수관의 대용량 빗물 처리설비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806B1 (ko) 조립형 우수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US8789337B2 (en) Foundation system for bridges and other structures
US8925282B2 (en) Foundation system for bridges and other structures
US9695558B2 (en) Foundation system for bridges and other structures
US20220081868A1 (en) Building Elements For Making Retaining Wall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20100009802A (ko) Pc옹벽패널을 이용한 완전 pc 조립 저류조
KR20170032826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이중벽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183691B1 (ko) 조립형 우수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774952B1 (ko) 친환경 우수저류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KR101204036B1 (ko) 부재조립형 pc 빗물저류조
KR102157763B1 (ko) 앵커패널과 개비온월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US20170247843A1 (en) Foundation system for bridges and other structures
JP2010209514A (ja) 道路用ブロック、道路及び道路拡幅方法
KR100802994B1 (ko) 대형 우수 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9046942A (ja) 擁壁用基礎ブロック
KR102059470B1 (ko) 기초 보강용 다각 팽이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기초 보강 구조물
JP4092284B2 (ja) 雨水地下浸透構造物とその施工方法
KR100823348B1 (ko) 강합성옹벽 시공방법
KR101518433B1 (ko) 부재조립형 빗물 저류조
KR101224380B1 (ko) 조립식 우수저류조
KR101219459B1 (ko) 시공성 및 생산성이 개선된 저류조용 피씨 구조물
JP4834649B2 (ja) 盛土構造物を構築する盛土構造及び盛土構造構成用の擁壁ブロック並びに盛土構造物の構築工法
KR101056395B1 (ko)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 및 상기 저류조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272001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부재 조립에 의한 우수저류조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우수저류조 시공방법
KR100964721B1 (ko) 도로 확장 블록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