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9826B1 - 단위 블럭을 구비한 저류조 - Google Patents

단위 블럭을 구비한 저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826B1
KR102229826B1 KR1020190063857A KR20190063857A KR102229826B1 KR 102229826 B1 KR102229826 B1 KR 102229826B1 KR 1020190063857 A KR1020190063857 A KR 1020190063857A KR 20190063857 A KR20190063857 A KR 20190063857A KR 102229826 B1 KR102229826 B1 KR 102229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unit blocks
tension member
coupl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7455A (ko
Inventor
심낙훈
Original Assignee
심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낙훈 filed Critical 심낙훈
Priority to KR1020190063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826B1/ko
Publication of KR20200137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Abstract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에 내부는 빈 공간을 가지고 육면을 이루는 벽체 가운데 적어도 서로 접하는 2개의 벽체에 형성된 연결구멍을 통해 빈 공간은 외부와 통하도록 개방되며, 직육면체의 서로 직각인 3축 방향 가운데 적어도 2개 축 방향으로 벽체에 선형 긴장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용 홀을 가지며, 홀을 통해 단위 블럭을 관통하는 긴장재가 서로 만나지 않고 어긋난 위치가 되도록 홀의 위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 블럭과, 이 단위 블럭 복수개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저류조로서, 3축 방향 가운데 적어도 1개의 축 방향으로 각각 3개 이상 배열되는 복수 개의 단위 블럭과, 적어도 1개의 축 방향으로 3개 이상의 배열된 단위 블럭의 결합용 홀들로서 일직선상에 있는 결합용 홀들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긴장재와, 이 긴장재에 결합되어 단위 블럭과 결합된 상태로 이 긴장재에 텐션을 주는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저류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단위 블럭을 구비한 저류조{storage facility having unit block}
본 발명은 저류조 및 저류조를 형성하기 위한 단위 블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 등 일시적 급증에 대비하여 침수를 방지하기 위해 물이 하천 등으로 배출되기 전에 물을 가두어 저장할 수 있는 저류조로서 복수의 단위블럭을 입체적으로 쌓아 임의의 크기로 쉽게 형성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저류조 및 이에 적합한 저류조용 단위 블럭에 관한 것이다.
경제발전과 도시화에 맞물려 불투수 포장지면이 증대되면서, 호우시에 빗물의 지반 침투가 차단된 채 하수도나 하천으로 일시에 유입됨으로써 지하수가 감소하고, 집중호우시 빗물이 저지대로 유입되어 수해가 발생하는 문제점들이 지적되어 왔다. 또한, 지반에 침투하는 빗물의 양이 감소하면서 지하수가 고갈되고, 빗물의 하천 유입량이 줄어들어 수질이 악화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빗물을 일단 지반에 매립된 저류조에 저장하여 하천으로의 유출량을 조정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저류조는 대개 우수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므로 우수저류조를 칭하는 경우가 통상적이다. 이러한 우수저류조는 유수(遊水)기능을 위해 사용될 뿐아니라 땅의 보수(保水)기능 회복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지중 매설형 저류조는 그 전체를 현장타설 콘크리트에 의해 구축하거나, 상자형의 프리캐스트 박스(Precast Box) 혹은 단위 블럭을 병렬로 근접시켜 늘어 놓거나, 간격을 두고 늘어 놓고 사이에 슬래브를 얹어 구축할 수 있다.
그런데, 단위 블럭을 이용하여 축조된 우수저류조는 한정된 부지 내에서 대량의 우수를 저류하기 위해 저류조 내의 벽을 적게 할 필요가 있다는 관점에서 볼 때 그 내부에 벽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므로 비효율적이고, 저류조(槽) 내에 빗물과 함께 유입해 바닥부에 쌓인 토사를 제거하기 위한 충분한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워, 유지·관리면에서 효율성이 상당히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우수저류조 축조에 따른 공기(工期)를 줄일 수 있어서 도로와 같은 기존 시설에 사후적으로 저류조를 만들 필요가 있는 경우, 작업기간 동안 주변의 주민생활과 교통흐름에 방해가 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에 의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런 단위 블럭을 쌓는 방식의 조립 작업은 다른 것에 비해 빠르고 간단하게 할 수 있다고 하지만 실제로 블럭을 쌓을 때 인접한 블럭끼리만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따라서 블럭 수가 늘어날수록 그에 따른 작업도 많아지게 된다.
또한, 인접한 블럭끼리만 연결하는 경우, 전체적인 일체성과 결합강도는 충분히 확보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체적인 일체성과 결합강도를 확보하기 좋은 구성이 요청되며 블럭의 숫자가 늘어도 인접 블럭을 연결하는 것보다 전체적 조립을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저류조 구성이 있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843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3177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037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3421호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박스(Precast Box) 혹은 단위 블럭을 병렬로 근접시켜 늘어 놓는 형태의 저류조를 형성함에 있어서 조립의 신속성과 용이성에 더하여 전체적인 일체성과 결합강도를 확보하기 좋은 구성을 가진 저류조 및 이에 적합한 단위 블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위 블럭의 숫자가 늘어도 인접 블럭끼리 연결하는 것보다 전체적 조립을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저류조 및 이에 적합한 단위 블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저류조용 단위 블럭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에 내부는 빈 공간을 가지고 육면을 이루는 벽체 가운데 적어도 서로 접하는 2개의 벽체는 빈 공간과 통하는 연결구멍을 통해 개방되며, 직육면체의 서로 직각인 3축 방향(직교좌표계의 3축 방향) 가운데 적어도 2축 방향으로 벽체에 선형 긴장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용 홀을 가지며, 홀을 통해 단위 블럭을 관통하는 긴장재가 서로 만나지 않고 어긋난 위치가 되도록 홀의 위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3축 방향 모두에 대해 복수의 단위 블럭이 배열되어 저류조가 형성되도록 하는 경우의 단위 블럭에서는 적어도 서로 접하는 3개의 벽체는 빈 공간과 통하는 연결구멍을 통해 개방되며, 3축 방향으로 벽체에 선형 긴장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그리고 서로 어긋난 위치가 되도록 위치가 선정된 결합용 홀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단위 블럭은 반드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플라스틱과 같은 경량의 기계적 강도를 가지고 물과 접촉시에도 부식이 잘 일어나지 않는 재질을 몰드를 이용한 사출 등의 방식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저류조는 본 발명의 단위 블럭 복수개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저류조로서, 3축 방향 가운데 적어도 1개의 축 방향으로 각각 3개 이상 배열되는 복수 개의 단위 블럭과, 적어도 1개의 축 방향으로 3개 이상의 배열된 단위 블럭의 결합용 홀들로서 일직선상에 있는 결합용 홀들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긴장재와,
이 긴장재에 결합되어 상기 단위 블럭과 결합된 상태로 이 긴장재에 텐션을 주는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저류조에서 단위 블럭과 단위 블럭 사이의 틈으로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위 블럭 사이에는 가스켓이 구비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한 축방향으로 배열된 단위 블럭 사이의 가스켓에는 그 축방향으로 볼 때 단위 블럭의 벽체에 형성된 결합용 홀 및 연결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 홀 및 대응구멍이 미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저류조에서 단위 블럭들은 모두 같이 3축 방향 6면 벽체가 모두 연결구멍을 가지고, 저류조의 표면에 드러나는 단위 블럭들의 벽체의 연결구멍은 결합용 홀 외에는 폐쇄된 가스켓이나 별도 차폐패널을 덧대어 저류조에서 물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긴장재를 통해 서로 연결된 단위 블럭들은 이들 단위 블럭들을 기준으로 긴장재의 적어도 양 측에 체결되는 결합부재에 의해 서로 밀착되어 일체를 이루도록 고정되며, 결합부재를 죄어 긴장재에 포스트 텐션을 가하면 서로 연결된 단위 블럭으로 이루어진 저류조의 일체화된 부분에 텐션에 의한 기계적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스켓이 개재되는 경우는 결합부재를 죄어 긴장재에 텐션을 가하면 단위 블럭에 인접된 가스켓이 압착되어 단위 블럭 사이의 누수 방지의 효과도 거둘 수 있다.
이때, 가능한 경우, 이들 단위 블럭 사이의 중간 영역에서도 결합부재를 긴장재에 설치, 체결하여 양측의 결합부재에 걸리는 힘을 나누도록 배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긴장재는 표면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 나선을 가진 강봉 혹은 강선으로 이루어지고, 단위 블럭의 결합용 홀 주변은 긴장재에 결합되는 너트 등 결합부재의 두께를 감안하여 벽체를 이루는 주변 평면보다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위 블럭을 이용하여 저류조를 형성하기 위해, 먼저, 현장 지반을 단위 블럭이 놓일 수 있도록 평편하게 하는 기초시공을 실시하고, 단위 블럭을 필요한 크기를 이루도록 지반에 두께 방향, 폭 방향 및 길이 방향 가운데 적어도 두 방향으로 3개 이상 연속되게 배치하면서 이들 방향으로 배치되는 단위 블럭의 결합용 홀이 선형 긴장재에 의해 관통되고 결합부재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위 블럭을 병렬로 근접시켜 늘어 놓는 형태의 저류조를 형성함에 있어서 조립의 신속성과 용이성에 더하여 전체적인 일체성과 결합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위 블럭의 숫자가 늘어도 인접 블럭끼리 연결하는 것보다 저류조의 전체적 조립 및 완성을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위 블럭을 적절한 크기와 갯수로 각 방향으로 배열하여 주변 공간에 맞는 크기나 형태, 구조에 가장 적합한 형태로 융통성 있게 저류조를 형성할 수 있고, 이에 소요되는 물자와 노력, 시간을 절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1a 및 도1b는 본 발명의 단위 블럭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2a 및 도2b는 본 발명의 단위 블럭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3은 도2a, 도2b에 도시된 단위 블럭을 평면상에서 2차원적으로 배열하고 긴장재로 결합하여 저류조를 조립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높이 혹은 두께 방향으로 복수의 단위 블럭이 배열되도록 하기 위해 긴장재의 일 측을 기초 볼트처럼 지반에 설치하고, 그 위쪽으로 단위 블럭을 쌓아 결합시키는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5는 3축 방향 가운데 1 방향인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긴장봉에 길이 방향 결합용 홀을 이용하여 복수의 단위 블럭을 꿰어 단위 블럭 열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6은 지중에 단위 블럭을 입체적으로 쌓아 저류조를 형성하고 주변에 흙을 메우기 전에 방수포 등을 감싸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a, 도1b에 도시된 단위 블럭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위 블럭(10)은 저류조를 이룰 때 연속적으로 쌓이고 결합될 때 자체로서 큰 하중을 받을 수 있으며 기계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여기서는 내부의 철근 구조를 가지는 철근 콘크리트의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대략 속이 비어 내부 공간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는 3축 모든 방향으로의 복수 단위 블럭의 배열로 입체적 저류조를 형성하기에 적한한 실시예로서, 서로 수직한 3축 방향의 6면 벽체 각각의 중앙에는 인접한 단위 블럭끼리의 내부 공간을 연결시킬 수 있는 연결구멍(12, 14, 16)이 형성된다. 여기서 연결구멍은 4각형으로 형성되지만 원형이나 8각형 혹은 기타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상하 두께(a) 방향으로 긴장재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하 벽체는 결합용 홀(11)을 가진다. 또한, 단위 블럭의 4방 측면 벽체는 길이(c) 방향 및 너비(b) 방향으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긴장재를 위한 결합용 홀(15, 13)을 가진다. 이들 결합용 홀(11, 13, 15)의 내측면은 슬리브 형태로 단순하게 매끈한 것일 수도 있지만 너트와 같은 나선구조를 가질 수 있다.
홀 내측에 이런 슬리브면이나 나선구조면을 설치하기 위해 단위 블럭을 가령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만들 때 거푸집에 철근 구조를 설치하면서 철근 구조에 철사 등으로 슬리브관이나 나선관을 해당 위치에 함께 위치시키고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길이(c) 방향의 결합용 홀(15)은 복수 개가 서로 너비(b)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며, 두께(a) 방향으로도 일정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길이 방향과 수직한 두 측면에서 결합용 홀(15)은 행렬 형태로 배치됨을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너비(b) 방향의 결합용 홀도 복수 개가 서로 길이(c)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며, 두께(a) 방향으로도 일정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너비 방향과 수직한 두 측면에서 결합용 홀(13)은 행렬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단, 여기서는 너비 방향의 결합용 홀은 두께 방향으로 하나만 형성되어 2*1 행렬을 이룬다.
그리고, 길이(c) 방향의 결합용 홀(15)과 너비 방향의 결합용 홀(13) 및 두께 방향의 결합용 홀(11)은 단위 블럭(10) 내부 공간에서 서로 수직하게 어긋난 위치에 있어서 서로 만나거나 겹치지 않도록 형성된다. 물론, 단위 블럭 내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이루는 철근 등의 배치도 이들과 겹치지 않도록 한다.
이들 결합용 홀(11, 13, 15)의 단위 블럭(10)에서의 위치와 설치 간격, 구경 크기는 여기에 결합될 장비나 대상 실험체를 놓기 위한 시설의 특성, 인가되는 하중이나 횡력 등에 따라 적절하게 디자인될 수 있다.
도2a, 도2b에 도시된 단위 블럭(10')은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구성에서 앞선 실시예의 단위 블럭과 공통점을 가진다. 단, 단위 블럭과 달리 두께 방향으로 누적 없이 평면 방향으로 확장 배열하여 저류조를 형성하기에 적합한 단위 블럭으로 상하를 제외한 4방 측면에 연결구멍(14, 16) 및 결합용 홀(13, 15)을 가진다.
또한, 단위 블럭의 저면에는 길이 방향과 수직한 두 측면을 연결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저면홈(17)이 있고, 따라서 단위 블럭의 하부는 저면홈(17)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두 다리부분에 의해 기초 혹은 지면과 닿게 된다. 두 다리부분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하중이 걸리므로 철근 콘크리트로 단위 블럭을 형성하는 경우, 이 부분에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주변과의 관계에서 충분한 철근 배근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의 단위 블럭들은 자체도 외부 충격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고 내부에 저장되는 다양의 물의 수압과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형성할 때 견고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긴장재가 삽입되는 결합용 홀(11, 13, 15) 주변부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홀의 입구 부분이 쉽게 훼손되지 않도록 보강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앞서도 잠깐 언급하였듯이 결합용 홀(11, 13,15)은 단위 블럭을 제작할 때 콘크리트 타설 전에 이들 홀 위치에 금속 재질 등의 원형 파이프 자체를 설치하고 별도 제거작업 없이 그 내부 공간을 홀로 형성하는 방식으로 만들 수 있다. 이런 경우, 원형 파이프 내측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면 홀에 나선을 형성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그 외에도 원통형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 양생 후 제거하여 만들 수도 있다.
단위 블럭의 벽체 두께, 모서리에 해당하는 기둥부분 폭은 필요에 맞게 결정할 수 있으며, 전체의 크기나 무게의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본 발명의 목적과 특성을 고려할 때 다루기 쉽고, 제작 장소에서 설치 장소로 통상의 트럭이나 트레일러와 같은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이동하기 쉬운 크기, 형태 및 무게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은 도2a, 도2b의 단위 블럭으로 저류조를 만들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먼저 긴장재의 일종으로서 긴장봉(25)을 준비하고 일 측부터 단위 블럭을 결합용 홀(15)을 이용하여 하나씩 꿰어가면서 조립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길이 방향으로 긴장봉(25)을 따라 단위 블럭을 꿰어 하나의 줄(열)을 만들고, 폭방향으로 바로 인접한 위치에 마찬가지로 길이 방향으로 긴장봉(25)을 따라 단위 블럭을 꿰어 다른 줄을 하나씩 혹은 여러 개의 줄을 동시적으로 만들어 전체적으로 2차원 평면적으로 조립된 저류조를 이루게 된다.
이때, 여러 줄을 만들면서 각 줄의 단위 블럭이 횡으로도 정렬이 되면 너비 방향으로 정렬된 일 군의 단위 블럭에 대해서도 정렬된 상태로 너비 방향의 결합용 홀(13)을 통해 긴장봉(23)을 통과시키고, 긴장봉(23)의 양단에는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설치하여 조임으로써 각 단위 블럭 행에 대해 포스트텐션을 인가할 수 있고, 각 단위 블럭 줄이 횡방향으로 견고하게 결합하여 전체 저류조를 만들도록 할 수 있다.
즉, 도3은 필요한 너비를 이룰 수 있도록 3개 이상 복수 개의 단위 블럭(10) 줄(열)을 만들고, 그 상태에서 행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단위 블럭에 대해 너비 방향으로 복수의 긴장봉(23)을 꿰어 결합시키고, 너비 방향 긴장봉(23)의 양 단에 너트와 같은 결합부재(미도시)를 결합시켜 죔으로써 텐션이 걸리도록 하면서 결과적으로 일체화된 저류조 일 부분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다.
통상, 긴장봉의 길이는 저류조에서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인가 혹은 너비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인가에 따라 저류조의 길이나 너비를 고려하여 적정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여러 길이를 준비하여 가장 적합한 길이의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4는 도3과 비슷한 실시예에서 일축 방향으로 주안점을 두어 가령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긴장봉(25)에 길이 방향 결합용 홀을 이용하여 복수의 단위 블럭을 꿰어 단위 블럭 열을 형성한 상태의 일 단면을 나타낸다.
여기서는 길이 방향 긴장봉(25)은 여기서는 원형 강봉으로 하고 표면 전체에 걸쳐 혹은 단위 블럭의 길이를 주기로 일정 구간씩 나사산이 설치되도록 하였다. 또한, 단위 블럭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두 측벽의 외측면의 결합용 홀 주변부에는 표면에서 일정한 깊이로 제거된 오목한 부분(36)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길이 방향으로 열을 이루도록 하나의 단위 블럭을 추가할 때마다.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 혹은 결합부재(35)를 긴장봉의 표면 나사산에 체결하고 죄어 각각의 단위 블럭이 단단히 고정되면서 긴장봉(25)이 강하게 인장되도록 하였다. 체결부재는 완전히 조여지면 측면의 오목한 부분(36)에 완전히 들어가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단위 블럭들 사이에 결합부재로 인한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하였다.
긴장봉(25)이 복수의 단위 블럭(10)을 관통하는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긴장봉 양 단부에 체결된 결합부재(35)의 죔 정도를 조절하게 되면 긴장봉(25)은 대형 구조물의 휨이나 처짐을 방지하는 포스트텐션용 강선과 비슷한 역할을 할 수 있고, 다소 작용 방식의 차이는 있지만 단위 블럭 내부의 철근과 같이 저류조 전체에 걸쳐 기계적 강도를 높이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단, 여기서는 길이 방향 양단의 단위 블럭(10")은 길이 방향의 한 쪽 외측 벽체에 연결구멍이 형성되지 않아 저류조 외측면을 폐쇄하여 물이 저류조 밖으로 새지 않도록 한 것을 사용한다. 물론 일단 연결구멍을 가진 단위 블럭(10)을 사용하고 저류조 외측면을 형성하는 부분에서는 이 연결구멍을 차폐패널과 같은 다른 차폐물로 막는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앞선 도3의 실시예에서는 단위 블럭 사이의 누수를 방지하는 가스켓을 생략한 상태로 도시하고 있지만 여기서는 단위 블럭 사이에 가스켓을 표현하고 있다.
한편, 여기서는 도시되지 않지만 긴장재가 통과하는 결합용 홀을 통한 누수를 보다 잘 방지하기 위해 단위 블럭마다 오목한 부분을 이용하여 결합부재를 긴장봉에 결합시킬 때 와셔 사용 위치에 가스켓 기능을 가진 와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는 방향을 바꾸어 단위 블럭을 두께 방향 혹은 높이 방향으로 복수개 쌓아 배열시키는 형태를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는 먼저 바닥면에 기초 볼트(21a)를 겸한 긴장봉(21)을 설치하고 긴장봉과 결합용 홀(11)을 맞추어 단위 블럭을 긴장재에 한층씩 결합시켜 간다. 저면과 단위 블럭 사이에는 누수 방지를 위한 가스켓(40)을 설치하고 있다. 필요한 층수만큼 단위 블럭이 쌓이면 긴장재의 상단에 너트와 같은 결합부재를 체결하고 죄어 긴장재에 긴장력이 인가되고 이로써 단위 블럭에 압축력으로 인한 기계적 강도 강화가 이루어지게 한다.
기초 볼트를 겸한 긴장재를 사용하는 대신 일반 긴장재를 사용하고 단위 블럭으로 도2a, 도2b와 같이 저면 벽체에 단차부인 저면홈(17)을 가지는 단위 블럭을 사용하면서 단차부를 이용하여 긴장재의 하단에 너트와 같은 결합부재를 체결하여 긴장재를 고정하고 텐션 인가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단위 블럭을 위로 쌓는 것은 도4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단위 블럭을 길이 방향으로 배열하여 긴장재와 결합부재로 결합시킬 때 사용하는 것과 같은 구성요소나 방식이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공통 부분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의 도 3, 4, 5를 참조하면 단위 블럭을 3축 방향으로 배열하고 결합하여 임의의 크기 및 형태를 가진 저류조를 설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6은 이상 실시예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단위 블럭으로 저류조를 형성한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로 하부에 저류조를 형성한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저류조가 형성된 상태에서 그 주변 구조물을 일부 분해하고 펼쳐 내부 구조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한 부분적 분해사시도이다. 단, 여기서는 저류조를 형성하는 단위 블럭의 연결구멍이 사각형 대신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6을 참조하면, 가령, 먼저 지반을 파내어 저류조(121) 설치 공간을 확보하고, 설치 공간의 저면을 평평하게 하며, 기초 콘크리트 등의 시공을 한 후 앞서 도5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방식으로 두께 방향 긴장재를 설치하고 단위 블럭의 결합용 홀에 맞추어 단위 블럭을 복수층 쌓는다. 두께 방향 긴장재는 저면 상에 2차원 평면으로 확장 배열될 단위 블럭의 결합용 홀 위치를 고려하여 형성하므로 일단 두께 방향으로 쌓인 층마다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배열된 단위 블럭의 4방 측면의 결합용 홀을 이용하여 긴장재를 관통 설치하고, 긴장재의 단부에 결합부재를 체결하면서 결합부재를 죄어 긴장력을 도입하고, 이런 방식으로 입체적 저류조(121) 전체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는 저류조 설치 전에 설치 공간의 저면 차수 시트(125)를 설치하는 차수 시트 설치 단계가 먼저 이루어진다. 차수 시트(125)도 저류조(121)와 함께 물이 저류하는 구분된 공간을 지중에 형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구분된 저류 공간 형성을 위해 차수 시트(125)는 저류 공간의 측면과 상면에도 설치될 수 있다.
위에 도로가 복구되면 저류조를 이루는 단위 블럭은 저장된 물이나 저류조 자체하중뿐 아니라 도로 및 차량의 하중을 함게 견뎌야 할 수 있으므로 그에 맞는 기계적 강도를 이루도록 하며, 이를 위해 단위 블럭의 재질이나 형태, 구조는 예상되는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단위 블럭에 걸리는 하중을 분산, 완화하기 위해 차수 시트 외측으로 지중에 차수 및 구조보강용 판넬(127)이 연결 설치될 수도 있다. 이들 부분도 본 발명의 저류조와 같은 저류 공간을 확보하는 역할과, 저류 공간을 주변과 구분하고 저수가 쉽게 주변으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단위 블록 등과 함께 소화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차수 및 구조보강용 판넬과 차수 시트, 저류조를 덮기 위한 마감 단계가 이루어진다. 이는 도로의 사용을 위해 저류조 주변 주변 공간을 토석(3) 등으로 메우고 아스팔트나 시멘트 등 포장재로 도로(1)를 포장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저류조로 우수나 기타 저수를 보내는 우수 네트워크 등이 개시되지 않지만 이런 구조는 기존의 저류조와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는 한정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일 뿐 본원 발명은 이들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을 토대로 다양한 변경이나 응용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례나 응용예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도로 3: 토석
10, 10', 10": 단위 블럭 11, 13, 15: 결합용 홀(hole)
12, 14, 16: 연결구멍 17: 저면홈
21, 23, 25: 긴장봉 35: 결합부재
36: 오목한 부분 40: 가스켓
121: 저류조 125: 차수시트
127: 차수 및 구조보강용 판넬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를 가지며,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고 상기 직육면체의 육면을 이루는 벽체 가운데 적어도 서로 접하는 3개의 벽체는 상기 빈 공간과 통하는 연결구멍을 가져 상기 빈 공간을 외부로 개방되도록 하며, 상기 직육면체의 서로 직각인 3축 방향으로 벽체에 긴장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용 홀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용 홀은 상기 결합용 홀을 관통하는 긴장재가 서로 만나지 않고 어긋난 위치가 되도록 위치되는 단위 블럭 복수개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저류조로서,
    상기 3축 방향 가운데 적어도 1개의 축 방향으로 각각 3개 이상 배열되는 복수 개의 단위 블럭과,
    상기 적어도 1개의 축 방향으로 3개 이상의 배열된 상기 단위 블럭의 상기 결합용 홀들 가운데 적어도 3개의 단위 블럭의 일 직선상으로 위치하는 상기 결합용 홀들을 모두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긴장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장재에 결합되어 상기 단위 블럭과 결합된 상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장재에 텐션을 주는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블럭들 사이의 틈으로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단위 블럭들 사이에 설치되는 가스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블럭은 철근콘크리트나 플라스틱 재질로 몰드 성형을 통해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장재를 통해 서로 연결된 상기 단위 블럭들은 상기 긴장재의 적어도 양 측에 나사 체결되는 상기 결합부재의 적어도 일 측을 죔으로써 서로 밀착되어 일체를 이루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
KR1020190063857A 2019-05-30 2019-05-30 단위 블럭을 구비한 저류조 KR102229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857A KR102229826B1 (ko) 2019-05-30 2019-05-30 단위 블럭을 구비한 저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857A KR102229826B1 (ko) 2019-05-30 2019-05-30 단위 블럭을 구비한 저류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455A KR20200137455A (ko) 2020-12-09
KR102229826B1 true KR102229826B1 (ko) 2021-03-19

Family

ID=73786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857A KR102229826B1 (ko) 2019-05-30 2019-05-30 단위 블럭을 구비한 저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8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675B1 (ko) * 2010-01-08 2010-10-01 한국피씨콘크리트암거공업협동조합 친환경 조립식 우수 저류조
KR101120477B1 (ko) * 2011-03-25 2012-02-29 최승선 복수층의 빗물저류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1820A (ja) * 1995-10-19 1997-04-28 Abe Kogyosho:Kk 地下貯留槽
KR100731773B1 (ko) 2006-09-15 2007-06-22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감량구조의 저류블록을 구비한 우수 저류조
KR101248434B1 (ko) 2012-10-30 2013-04-02 (주) 효창이엔지 강연선 설치구, 이를 이용한 강연선 설치방법 및 조립식 우수저류조의 블록간 결합구조
KR101230370B1 (ko) 2012-12-21 2013-02-06 (주)세원이엔지 일체화 구조를 갖는 저류조용 피씨 구조물
KR101673421B1 (ko) 2014-11-21 2016-11-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우수용 배수관로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675B1 (ko) * 2010-01-08 2010-10-01 한국피씨콘크리트암거공업협동조합 친환경 조립식 우수 저류조
KR101120477B1 (ko) * 2011-03-25 2012-02-29 최승선 복수층의 빗물저류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455A (ko) 202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42758B (zh) 用於管理地表面下方水流之模組及總成
US9388561B2 (en) Modular construction mol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s and structures
GB2138057A (en) Method of building strengthened, embanked foundation
KR10122366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관개용수로 및 이 시공방법
US20120020746A1 (en) Modular block
KR100663793B1 (ko)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101013235B1 (ko) 우수저류조의 제조방법
JP2002242157A (ja) タイヤ型枠被覆ブロック
KR102229826B1 (ko) 단위 블럭을 구비한 저류조
KR101176937B1 (ko) 지하 매립형 조립식 저류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677431B1 (ko) 대용량 콘크리트 옹벽
RU2379424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фундаментной плиты рам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KR100462236B1 (ko) 구조물 외벽용 패널, 이를 이용한 구조물 지하외벽조립구조 및 구조물지하외벽 시공공법
JP6240625B2 (ja) 擁壁、造成地及び造成地の造成方法
KR101219459B1 (ko) 시공성 및 생산성이 개선된 저류조용 피씨 구조물
JP2611940B2 (ja) 暗渠形組立式水路
US4591297A (en) Method of building strengthened, embanked foundation
KR101074267B1 (ko) 마대를 이용한 가변 일체형 옹벽
KR200450476Y1 (ko) 저수블록 및 이를 이용한 우수 저류조
JP5938234B2 (ja) 上下二槽型の貯水槽構成用の外壁支柱部材及びそれを用いる上下二槽型の貯水槽並びに貯水槽の構築方法
JP2003020658A (ja) 構造体
KR102547009B1 (ko) 유실 방지 돌망태 구조 및 시공방법
JPH0757954B2 (ja) 定着部一体型ジオテキスタイ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急勾配盛土
KR102637537B1 (ko) 벽체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694681B1 (ko) 저류 조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