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1659A - 목재블록벽체 - Google Patents
목재블록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31659A KR20190131659A KR1020180056289A KR20180056289A KR20190131659A KR 20190131659 A KR20190131659 A KR 20190131659A KR 1020180056289 A KR1020180056289 A KR 1020180056289A KR 20180056289 A KR20180056289 A KR 20180056289A KR 20190131659 A KR20190131659 A KR 201901316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wall
- wood block
- panel portion
- base member
- assemb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28—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 E04B2/30—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 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28—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 E04B2/40—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the walls being characterised by fillings in all cavities in order to form a wall constru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28—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s next to each other on one end surface and grooves next to each other on opposite end surfac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56—Special feature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89—Building elements with holes filled with insulat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블록벽체에 관한 것으로, 목재블록벽체의 외측에 구비되는 조립패널부의 조립패널의 상하단에 단턱이 형성되어 조립패널간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조립패널의 단턱 및 외측 및 내측패널부간에 형성되는 단차에 의해 목재블록벽체가 보다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하여 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목재블록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목재블록벽체에 있어서, 서로 일정거리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전후면에 설치되는 조립패널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립패널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외측에 설치되는 내측패널부와, 이 내측패널부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패널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목재블록벽체에 있어서, 서로 일정거리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전후면에 설치되는 조립패널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립패널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외측에 설치되는 내측패널부와, 이 내측패널부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패널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목재블록벽체에 관한 것으로, 목재블록벽체의 외측에 구비되는 조립패널부의 조립패널의 상하단에 단턱이 형성되어 조립패널간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조립패널의 단턱 및 외측 및 내측패널부간에 형성되는 단차에 의해 목재블록벽체가 보다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하여 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목재블록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로 실내 벽면은, 콘크리트 골조 뼈대 표면에 미장 또는 바탕칠을 한 후 도배지를 이용하여 시공하거나, 각목을 이용하여 일정한 규격으로 간격을 유지하고 각목과 각목 사이 내부에 단열재를 충진한 후 그위에 합판 내지는 석고보드를 이용하여 벽 표면을 만든 후 그위에 도배 내지는 시트지접착, 무늬목입히기, 타일 부착, 황토페인트칠하기 등으로 시공을 하고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내 벽면 시공방법은 시공 시에도 여러 번거로운 공정이 실시되며 시공 또한 일정한 기능을 가진자라야만 전문적인 시공을 할 수 있었다.
한편, 종래에 벽체를 구성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201821호에는 조립식단열벽패널에 대한 기술이 개제되어 있는데, 그 구성은 보강용 판에 장착된 보온재의 폴리우레탄 폼과, 상기 폴리우레탄 폼에 접착된 마감재를 포함하여 일체로 규격화된 패널을 형성하여 서로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보강용 판에 보온재인 폴리우레탄 폼과 마감재가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일정한 규격으로 제작되어 조립할 수 있도록 되었기 때문에 현장에서 미숙련자라도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으나, 건물의 내, 외벽에 별도로 설치된 기둥 및 지주에 시공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목재블록벽체의 외측 및 내측패널부간에 형성되는 단차에 의해 목재블록벽체가 보다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하여 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목재블록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측 및 내측패널부가 다단으로 구성되는 조립패널로 이루어지고, 조립패널의 상하단에 단턱이 형성되어 조립패널간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목재블록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목재블록벽체의 내측에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베이스부재가 구비되어 베이스부재 사이의 공간부에 단열재가 충진되어 단열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목재블록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목재블록벽체의 베이스부재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전선이나 배관 등을 벽체의 내측에 수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목재블록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목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작 및 시공이 용이하고 목재의 다양한 질감으로 인해 미려한 외관을 표현할 수 있는 목재블록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목재블록벽체에 있어서, 서로 일정거리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전후면에 설치되는 조립패널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립패널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외측에 설치되는 내측패널부와, 이 내측패널부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패널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재의 사이는 단열재가 충진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는 측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내측패널부 및 외측패널부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설치되어 단차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측패널부 및 외측패널부는 너비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설치되어 단차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내측패널부의 양측 단부는 각 베이스부재의 외측 단부와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측패널부의 일측 단부는 일측 베이스부재의 외측 단부와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외측패널부의 타측 단부는 타측 베이스부재의 외측 단부와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내측패널부 및 외측패널부는 다단으로 설치되는 조립패널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립패널은 상단부 및 하단부에 서로 대응되도록 단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목재블록벽체의 외측 및 내측패널부간에 형성되는 단차에 의해 목재블록벽체가 보다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하여 벽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측 및 내측패널부가 다단으로 구성되는 조립패널로 이루어지고, 조립패널의 상하단에 단턱이 형성되어 조립패널간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목재블록벽체의 내측에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베이스부재가 구비되어 베이스부재 사이의 공간부에 단열재가 충진되어 단열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목재블록벽체의 베이스부재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전선이나 배관 등을 벽체의 내측에 수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목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작 및 시공이 용이하고 목재의 다양한 질감으로 인해 미려한 외관을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블록벽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블록벽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블록벽체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블록벽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블록벽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블록벽체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블록벽체의 조립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블록벽체의 다른 설치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블록벽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블록벽체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블록벽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블록벽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블록벽체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블록벽체의 조립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블록벽체의 다른 설치예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블록벽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블록벽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블록벽체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블록벽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블록벽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블록벽체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블록벽체의 조립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블록벽체의 다른 설치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목재블록벽체의 외측에 구비되는 조립패널부의 외측 및 내측패널부간에 형성되는 단차에 의해 목재블록벽체가 보다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하여 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목재블록벽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목재블록벽체(100)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베이스부재(110)와,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전후면에 설치되는 조립패널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베이스부재(110)는 서로 이격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져 이격된 사이에 공간부(112)가 형성되며, 공간부(112)에는 단열재가 충진되어 단열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110)는 중앙부에 관통공(114)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공(114)을 통해 전선 또는 배관 등이 목재블록벽체(100)의 내부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조립패널부(120)는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전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외측에 설치되는 내측패널부(122)와, 상기 내측패널부(122)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패널부(12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내측패널부(122)와 외측패널부(124)는 서로 단차가 형성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내측패널부(122) 및 외측패널부(124)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설치되어 도 2의 (a) 및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패널부(122) 및 외측패널부(124)간에 상하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목재블록벽체(100)를 적층하여 조립할 때, 내측패널부(122) 및 외측패널부(124)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가 이웃한 목재블록벽체(100)의 단차와 서로 대응되어 각 목재블록벽체(100)가 서로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조립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내측패널부(122) 및 외측패널부(124)는 너비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설치되어 도 2의 (b) 및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패널부(122) 및 외측패널부(124)간에 너비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목재블록벽체(100)의 조립 시 측면에 이웃한 목재블록벽체(100)가 단차에 의해 서로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목재블록벽체(100)의 조립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목재블록벽체(100)에 의해 이루어지는 벽면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목재블록벽체(100)는 도 3, 도 6 및 도 8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순하게 가로방향, 세로방향으로 적층하거나, 서로 엇갈리게 적층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적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되는 내측패널부(122) 및 외측패널부(124)간에 단차가 형성되는 방향은 도 2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면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5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되는 내측패널부(122) 및 외측패널부(124)간에 단차가 형성되는 정도는 전후면이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조립패널부(120)의 내측패널부(122) 및 외측패널부(124)는 다단으로 설치되는 조립패널(126)로 이루어지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립패널(126)은 상단부 및 하단부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단턱부(128a,128b)가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목재블록벽체(100)를 형성할 때 조립패널(126) 간에 상기 단턱부(128a,128b)가 서로 맞물리게 되어 견고하게 조립패널부(120)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내측패널부(122) 및 외측패널부(124)는 하나의 조립패널(126)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다단으로 구성되는 조립패널(126)의 표면의 거칠기를 달리 하거나, 목재의 종류에 따른 질감을 달리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패턴 및 외관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재블록벽체(100)를 서로 적층하여 조립할 때, 조립패널부(120)의 최상단 또는 최하단에 위치한 조립패널(126)의 단턱부(128a,128b)가 이웃한 목재블록벽체(100)의 조립패널(126)의 단턱부(128a,128b)와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각 목재블록벽체(100) 간에 보다 견고한 조립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벽체(100)에 의하면, 목재블록벽체(100)의 외측 및 내측패널부(122,124)간에 형성되는 단차에 의해 목재블록벽체(100)가 보다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하여 벽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측 및 내측패널부(122,124)가 다단으로 구성되는 조립패널(126)로 이루어지고, 조립패널(126)의 상하단에 단턱이 형성되어 조립패널(126)간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목재블록벽체(100)의 내측에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베이스부재(110)가 구비되어 베이스부재(110) 사이의 공간부(112)에 단열재가 충진되어 단열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목재블록벽체(100)의 베이스부재(110)에 관통공(114)이 형성되어 전선이나 배관 등을 벽체의 내측에 수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목재블록벽체에 관한 것으로, 목재블록벽체의 외측에 구비되는 조립패널부의 조립패널의 상하단에 단턱이 형성되어 조립패널간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조립패널의 단턱 및 외측 및 내측패널부간에 형성되는 단차에 의해 목재블록벽체가 보다 견고하게 조립되도록 하여 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목재블록벽체에 관한 것이다.
100: 목재블록벽체
110: 베이스부재
112: 공간부 114: 관통공
120: 조립패널부 122: 내측패널부
124: 외측패널부 126: 조립패널
128a,128b: 단턱부
112: 공간부 114: 관통공
120: 조립패널부 122: 내측패널부
124: 외측패널부 126: 조립패널
128a,128b: 단턱부
Claims (8)
- 목재블록벽체에 있어서,
서로 일정거리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전후면에 설치되는 조립패널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립패널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외측에 설치되는 내측패널부와, 이 내측패널부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패널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블록벽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사이는 단열재가 충진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블록벽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측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블록벽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패널부 및 외측패널부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설치되어 단차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블록벽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패널부 및 외측패널부는 너비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설치되어 단차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블록벽체.
-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패널부의 양측 단부는 각 베이스부재의 외측 단부와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블록벽체.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패널부의 일측 단부는 일측 베이스부재의 외측 단부와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외측패널부의 타측 단부는 타측 베이스부재의 외측 단부와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블록벽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패널부 및 외측패널부는 다단으로 설치되는 조립패널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립패널은 상단부 및 하단부에 서로 대응되도록 단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블록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6289A KR102277884B1 (ko) | 2018-05-17 | 2018-05-17 | 목재블록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6289A KR102277884B1 (ko) | 2018-05-17 | 2018-05-17 | 목재블록벽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1659A true KR20190131659A (ko) | 2019-11-27 |
KR102277884B1 KR102277884B1 (ko) | 2021-07-15 |
Family
ID=68729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6289A KR102277884B1 (ko) | 2018-05-17 | 2018-05-17 | 목재블록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7788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9710B1 (ko) * | 2020-07-20 | 2021-04-13 | 정은희 | 조립식 목조 건축물용 우레탄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지붕 또는 벽체 형성방법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1821Y1 (ko) | 1998-04-17 | 2000-11-01 | 김경일 | 조립식단열벽패널 |
KR200246525Y1 (ko) | 2001-06-29 | 2001-10-17 | 류재원 | 단열블록 |
KR20060025321A (ko) * | 2004-09-16 | 2006-03-21 | 윤상희 | 집성목벽돌을 이용한 조립식 판넬 |
KR20090010751A (ko) * | 2007-07-24 | 2009-01-30 | 주현철 | 목재구조 건축용 벽체블럭 |
KR20090057677A (ko) * | 2007-12-03 | 2009-06-08 | 김선욱 | 거푸집 겸용 벽돌 및 이를 이용한 벽면 시공방법 |
KR20100127519A (ko) * | 2009-05-26 | 2010-12-06 | 김선욱 | 거푸집 겸용 벽돌 |
-
2018
- 2018-05-17 KR KR1020180056289A patent/KR10227788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1821Y1 (ko) | 1998-04-17 | 2000-11-01 | 김경일 | 조립식단열벽패널 |
KR200246525Y1 (ko) | 2001-06-29 | 2001-10-17 | 류재원 | 단열블록 |
KR20060025321A (ko) * | 2004-09-16 | 2006-03-21 | 윤상희 | 집성목벽돌을 이용한 조립식 판넬 |
KR20090010751A (ko) * | 2007-07-24 | 2009-01-30 | 주현철 | 목재구조 건축용 벽체블럭 |
KR20090057677A (ko) * | 2007-12-03 | 2009-06-08 | 김선욱 | 거푸집 겸용 벽돌 및 이를 이용한 벽면 시공방법 |
KR20100127519A (ko) * | 2009-05-26 | 2010-12-06 | 김선욱 | 거푸집 겸용 벽돌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9710B1 (ko) * | 2020-07-20 | 2021-04-13 | 정은희 | 조립식 목조 건축물용 우레탄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지붕 또는 벽체 형성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77884B1 (ko) | 2021-07-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77916B1 (ko) | 돔형 구조물 | |
US9874014B2 (en) | Metal to Frame Structural Insulated Panel (M2SIP) | |
JP7016132B2 (ja) | 連結式建設用ブロック | |
JP2010528203A (ja) | 建築用軽量断熱ブロック及びその施工方法 | |
KR102108621B1 (ko) | 단열블록을 거푸집 대신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틀 및 이의 설치방법 | |
AU2014366090A1 (en) | Precast modular concrete wall panel, system thereof, and method of construction | |
US1946560A (en) | Building unit | |
KR20190131659A (ko) | 목재블록벽체 | |
KR20090088479A (ko) | 샌드위치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 벽체 | |
KR102174760B1 (ko) | 암거주택용 지붕 구조체 | |
KR20120000702A (ko) | 경량 성형재를 구비한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 |
KR101351439B1 (ko) | 조립식 벽체블록 | |
FI60900B (fi) | Huskonstruktion | |
KR100784494B1 (ko) | 건축용 경량 단열블록 | |
KR20090005500U (ko) | 경량 칸막이용 벽체 구조 | |
WO2018235081A1 (en) | INSULATING CONCRETE FORMWORK | |
KR20130051403A (ko) |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 |
JP5616158B2 (ja) | 巾木および巾木の施工方法 | |
US20130167473A1 (en) | Prefabricated structural wall system | |
KR101925956B1 (ko) | 벽체 시공용 블록 및 중공형 판재 기둥을 이용한 코너 연결구조 | |
KR101140629B1 (ko) | 건축물의 방음과 단열이 가능한 타일 적층식 단열구조물 | |
KR20090132717A (ko) | 벽체용 칸막이 및 그 시공방법 | |
KR101830357B1 (ko) | 벽체 시공용 블록을 이용한 코너 연결구조 | |
KR102699474B1 (ko) | 블록 적층식 거푸집 | |
KR200415136Y1 (ko) | 건축용 블럭 조립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