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7677A - 거푸집 겸용 벽돌 및 이를 이용한 벽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거푸집 겸용 벽돌 및 이를 이용한 벽면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7677A
KR20090057677A KR1020070124363A KR20070124363A KR20090057677A KR 20090057677 A KR20090057677 A KR 20090057677A KR 1020070124363 A KR1020070124363 A KR 1020070124363A KR 20070124363 A KR20070124363 A KR 20070124363A KR 20090057677 A KR20090057677 A KR 20090057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air
brick
formwork
bri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4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3477B1 (ko
Inventor
김선욱
Original Assignee
김선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욱 filed Critical 김선욱
Priority to KR1020070124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477B1/ko
Priority to PCT/KR2008/007115 priority patent/WO2009072795A2/en
Publication of KR20090057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7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35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attached to the inner faces of th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28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 E04B2/30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 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42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 E04B2/54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the walls being characterised by fillings in all cavities in order to form a wall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08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of trapezoidal sha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13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of round sha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3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rabbets, e.g. step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거푸집 겸용 벽돌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판 형태의 한쌍의 벽면부와, 이 한쌍의 벽면부 사이에서 양 벽면부를 연결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결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벽돌은 흙을 초벌구이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쌍의 벽면부의 적어도 한쪽 바깥면은 유약처리됨으로써 타일과 같은 효과를 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벽면을 형성할 곳에 본 발명의 거푸집 겸용 벽돌들을 일렬로 한 줄 또는 그 이상의 줄을 쌓은 후에 벽돌 안에 형성되는 공간에 흙을 주입하고, 흙이 굳으면 다시 그 위에 벽돌들을 쌓아서 다시 흙을 주입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벽면을 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거푸집을 만들 필요가 없어서 시공하기 간편하고, 벽돌과 벽돌 사이에 시멘트 등의 접착재료를 사용하여 접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정이 간단하고 접착부위가 드러나지 않고 벽면에 문양을 표시하거나 다양한 색채를 입힐 수 있으므로 외관상으로도 보기 좋은 벽면 형성이 가능하다.
벽돌, 거푸집, 흙벽, 황토, 타일, 벽면, 시공

Description

거푸집 겸용 벽돌 및 이를 이용한 벽면 시공방법 {Brick usable as a mold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wal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벽면 시공을 위한 벽돌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벽돌을 거푸집으로 사용하여 벽면을 시공할 수 있는 거푸집 겸용 벽돌 및 이를 이용한 벽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벽돌을 사용하여 벽을 형성할 때에는 벽돌과 벽돌 사이에 시멘트 등을 이용하여 벽돌들을 서로 접착시키는 형태로 벽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은 시공방법에 따르면 벽돌과 벽돌 사이에 시멘트가 일정 두께로 드러나게 되어 미관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다.
한편, 미관을 좋게 하기 위하여 벽면에 타일을 붙이는 경우도 많은데, 타일을 붙이는 공정 및 타일 자체의 가격으로 인하여 원가가 많이 들게 된다. 또한, 일부 타일이 갈라지거나 떨어져 나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미관에도 좋지 않고 유지보수 비용도 많이 소요된다.
한편, 황토가 건강에 좋으므로 황토를 사용한 집이 많이 만들어지고 있다. 이 경우에도 황토를 벽돌처럼 만들고 이 벽돌들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이어붙임으로 써 벽을 형성하거나, 거푸집을 만들어서 여기에 황토를 넣고 굳힘으로써 벽을 형성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시공이 어렵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시공하기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고 유지보수 비용이 적게 드는 벽면 시공용 거푸집 겸용 벽돌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거푸집 겸용 벽돌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판 형태의 한쌍의 벽면부와, 이 한쌍의 벽면부 사이에서 양 벽면부를 연결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결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벽돌 또는 적어도 상기 한쌍의 벽면부는 흙을 초벌구이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쌍의 벽면부의 적어도 한쪽 바깥면은 유약처리됨으로써 타일과 같은 효과를 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한쌍의 벽면부는 각각 제1의 사각판과, 이 제1의 사각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제2사각판을 일부 어긋나게 붙여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한쌍의 벽면부는 접하는 다른 벽돌과의 위치고정을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이 고정수단은 벽면부의 상하좌우면에 형성된 돌기 또는 이 돌기에 대응되는 함몰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는 한쌍의 벽면부를 이어주는 봉 형태일 수 있다. 봉은 단면이 원,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한쌍의 벽면부의 적어도 한쪽 바깥면에는 문양 또는 다양한 색깔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거푸집 겸용 벽돌을 사용한 벽면 시공방법은, 벽면을 형성할 곳에 상기 거푸집 겸용 벽돌들을 상기 한쌍의 벽면부의 측면이 다른 벽돌의 상기 한쌍의 벽면부의 측면에 각각 접하도록 일렬로 한 줄 또는 그 이상의 줄을 쌓는 제1단계와, 쌓여진 벽돌의 상기 한쌍의 벽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흙을 주입하는 제2단계와, 주입된 흙이 어느 정도 굳으면 맨위의 벽돌들의 위에 상기 거푸집 겸용 벽돌을 일렬로 다시 한 줄 또는 그 이상의 줄을 쌓은 제3단계와, 원하는 높이가 될 때까지 제2단계와 제3단계를 반복하는 제4단계를 구비한다.
한편, 한쌍의 벽면부는 접하는 다른 벽돌과의 위치고정을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벽면이 접하는 기둥 또는 바닥의 상기 벽돌의 고정수단이 닿는 부위에는 고정수단에 대응되는 수단을 형성하여 벽돌을 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고정수단은 벽면부의 상하좌우면에 형성된 돌기 또는 이 돌기에 대응되는 함몰부이며, 기둥 또는 바닥에는 이 돌기에 대응되는 함몰부 또는 상기 함몰부에 대응되는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거푸집 겸용 벽돌은 벽돌을 쌓은 후에 그 빈 공간에 흙이나 시멘트 등을 채우므로 별도의 거푸집을 만들 필요가 없어서 시공하기 간편하다. 또한, 벽돌과 벽돌 사이에 시멘트 등의 접착재료를 사용하여 접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정이 간단하고 접착부위가 드러나지 않고 벽면에 문양을 표시하거나 다양한 색채를 입힐 수 있으므로 외관상으로도 보기 좋은 벽면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서는 초벌구이를 한 벽돌을 사용하여 쌓은 후에 내부에 흙을 채워서 굳히므로 견고한 벽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한쪽면 또는 양쪽면에 유약을 발라서 타일 효과를 내는 경우에는 타일이 벗겨질 염려가 없으므로 유지보수 비용이 적게 든다. 또한, 벽돌 사이에 채워넣는 흙에 건강에 좋은 숯, 원적외선 재료, 쑥 등을 섞어서 시공이 가능하므로 건강에 좋은 건물의 시공이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겸용 벽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겸용 벽돌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거푸집 겸용 벽돌의 상면도이다.
본 발명의 거푸집 겸용 벽돌(10)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판 형태의 한쌍의 벽면부(11, 12)와, 이 한쌍의 벽면부(11, 12) 사이에서 양 벽면부를 연결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결부(13a, 13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한쌍의 벽면부는 각각 제1의 사각판(11a, 12a)과, 이 제1의 사각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제2사각판(11b, 12b)을 일부 어긋나게 붙여서 형성된다. 이때, 제1사각판과 제2사각판은 도 1 및 도 2의 (a), 도 3의 (a)에서와 같이 양 벽면부(11, 12)에서 제1사각판(11a,12a)과 제2사각판(11b, 12b)이 같은 순서로 부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도 2의 (b), 도 3의 (b)에서와 같이 제1사각판(11a,12a)과 제2사각판(11b, 12b)이 거울 대칭이 되도록 부착될 수도 있다.
제1의 사각판(11a, 12a)과 제2사각판(11b, 12b)이 일부 어긋나게 붙여져서 벽면부(11,12)를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벽돌(10)을 일렬로 여러 층을 적층할 때 서로 간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게 되어, 벽돌의 적층이 간편해지고 똑바로 적층할 수 있으며 적층 후에 벽돌 간에 단단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13a, 13b)는 한쌍의 벽면부(11, 12)를 이어주는 봉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봉은 단면이 원,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의 봉의 수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이 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연결부는 두 벽면부(11,12)의 바닥 사이에 연결된, 관통공이 형성된 판 형태로 구현되거나,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거푸집 겸용 벽돌(10) 또는 적어도 한쌍의 벽면부(11,12)는 흙을 초벌구이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쌍의 벽면부(11,12)의 적어도 한쪽 바깥면(A)은 유약처리됨으로써 타일과 같은 효과를 낼 수도 있다. 흙을 초벌구이하여 형성된 벽돌은 벽을 구성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단단하면서도 공기가 드나들 수 있어서, 거푸집 겸용 벽돌(10)에 흙이나 시멘트 등을 채워넣었을 때 이들이 쉽게 굳을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황토 등에 원적외선 재료나 숯 등의 건강에 유익한 재료를 섞어서 채워넣었을 때에 이들 재료의 성분이 유약이 칠해지지 않은 벽면 쪽으로 방출될 수 있으므로, 건강에 도움이 되는 벽을 만들 수 있다.
또한, 한쌍의 벽면부의 적어도 한쪽 바깥면에 문양 또는 다양한 색깔을 그린 후에 유약을 바르고 초벌구이를 함으로써, 벽면의 바깥을 다양하게 장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을 시공하는 경우에 벽면부의 한쪽 바깥면에 불경을 써넣거나 불 화의 부분 부분을 그려 놓아서 전체 벽면이 하나의 불경을 형성하거나 탱화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도 2의 (b)에 대응되는 벽돌을 사용하는 벽면 시공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벽면을 형성할 곳에 거푸집 겸용 벽돌(10a)을 한쌍의 벽면부의 측면이 다른 벽돌의 상기 한쌍의 벽면부의 측면에 각각 접하도록 일렬로 쌓는다(a). 이때, 도면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벽면이 접하는 바닥(20)에 벽돌(10a)의 아래쪽 돌출부위에 대응되는 곳에 돌출부위에 대응되는 홈을 파서 벽돌(10a)을 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벽돌이 접하는 기둥에도 벽돌(10a)의 측면 돌출부위에 대응되는 곳에 돌출부위에 대응되는 홈을 파서 벽돌(10a)을 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한층으로 배열된 벽돌의 빈 공간에 황토 또는 시멘트 등의 충전재(30)를 주입한다(b). 시간이 지나서 주입된 충전재(30)가 어느 정도 굳으면 다시 맨위의 벽돌들(10a)의 위에 거푸집 겸용 벽돌(10b)을 일렬로 쌓고(c), 다시 충전재를 채워넣는다(d). 이러한 단계를 벽면이 원하는 높이가 될 때까지 반복함으로써 벽을 세울 수 있다.
한편, 도 4의 예에서는 한 층을 쌓을 때마다 충전재를 주입하였지만, 몇개의 층을 쌓을 때마다 충전재를 주입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의 방법에 따라 벽면이 시공되는 도중의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시공의 편리성 및 시공된 벽면의 견고성을 위하여 벽면이 세워지는 바닥면과 천정면 사이 또는 기둥과 기둥 사이에 몇 개의 봉을 연결한 후에 벽돌을 쌓을 수도 있다. 즉, 벽돌의 연결부와 바로 옆 벽돌의 연결부 사이에 봉이 지나가도록 봉을 연결하거나, 벽돌의 연결부와 바로 아래 벽돌의 연결부 사이에 봉이 지나가도록 봉을 연결한 후에 벽돌을 쌓아나가면, 벽돌을 쌓는 동안에 벽면이 무너질 우려를 줄일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거푸집 겸용 벽돌에서 한쪽 벽면부의 가운데가 분리되어 두개의 작은 벽면부(12,12')로 구성된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거푸집 겸용 벽돌은 사용되는 벽면의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즉, 전원콘센트나 전화콘센트 등의 설치, 조명기구의 설치 등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벽면부의 해당 부위에 구멍을 내거나 해당 부위를 제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겸용 벽돌로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사시도, (d)는 이를 사용하여 시공한 벽면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제1사각판(11a,12a)과 제2사각판(11b,12b)이 도 1의 실시예와는 다른 형태로 어긋나게 배치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즉, 도 7에서는 제1사각판과 제2사각판이 대략 X표를 구성하도록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도 7의 (d)와 같은 형태의 벽면을 세울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도 7의 벽면부의 양 측면에는 돌기 또는 그에 대응되는 함몰부를 형성하여 인접 벽돌과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벽면부를 두 장의 사각판이 어긋나게 붙여진 형태로 구성하지 않고 하나의 판으로 구성하되, 양 측면 및 상하면에 인접 벽돌과의 위치 고정을 위한 고정 수단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고정수단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벽면부의 상하좌우면에 형성된 돌기(C) 또는 이 돌기(C)에 대응되는 함몰부(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벽면부의 각 변에 돌출부(C) 또는 그에 대응되는 함몰부(B)를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같은 경우에 벽돌이 접하는 바닥 또는 기둥에는 돌출부(C)에 대응되는 함몰부를 마련하거나, 함몰부(B)에 대응되는 돌출부를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돌출부 및 함몰부의 수도 하나 이상을 마련할 수 있다.
또는, 도 10에서와 같이 돌출부만을 구비한 벽돌(10')과 함몰부만을 구비한 벽돌(10'')을 구워서 이들을 번갈아 가면서 배열하여 벽면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벽면부(11,12)가 사각형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벽돌은 도 11에 도시한 것처럼 다양한 형태의 벽면부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벽면부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벽면 시공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d)와 (e), (f)는 콘센트를 형성할 부위에 사용할 수 있으며, 대들보와 만나는 부위에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겸용 벽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겸용 벽돌의 측면도로서, (a)는 도 1의 실시예에 대응되는 측면도이고 (b)는 도 1의 벽돌에서 약간 변형된 벽돌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거푸집 겸용 벽돌의 상면도로서, (a)는 도 2의 (a)에 대응되는 벽돌의 상면도이고 (b)는 도 2의 (b)에 대응되는 벽돌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에 대응되는 벽돌을 사용하는 벽면 시공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벽면 시공방법의 시공도중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거푸집 겸용 벽돌에서 한쪽 벽면부의 가운데가 분리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겸용 벽돌로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사시도, (d)는 이를 사용하여 시공한 벽면의 정면도이다.
도 8은 고정수단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형태의 고정수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또 다른 형태의 고정수단을 갖는 거푸집 겸용 벽돌을 사용하여 시공한 벽면의 예이다.
도 11은 벽면부의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Claims (12)

  1.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판 형태의 한쌍의 벽면부와,
    상기 한쌍의 벽면부 사이에서 양 벽면부를 연결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결부를 구비하는 거푸집 겸용 벽돌.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한쌍의 벽면부는 흙을 초벌구이하여 형성된 것인 거푸집 겸용 벽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벽면부의 적어도 한쪽 바깥면은 유약처리된 것인 거푸집 겸용 벽돌.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벽면부는 각각
    제1의 사각판과, 상기 제1의 사각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제2사각판을 일부 어긋나게 붙여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겸용 벽돌.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벽면부는 접하는 다른 벽돌과의 위치고정을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겸용 벽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벽면부의 상하좌우면에 형성된 돌기 또는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함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겸용 벽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한쌍의 벽면부를 이어주는 봉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겸용 벽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벽면부의 적어도 한쪽 바깥면에는 문양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겸용 벽돌.
  9.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판 형태의 한쌍의 벽면부와, 상기 한쌍의 벽면부 사이에서 양 벽면부를 연결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결부를 구비하는 거푸집 겸용 벽돌을 사용한 벽면 시공방법으로서,
    벽면을 형성할 곳에 상기 거푸집 겸용 벽돌들을 상기 한쌍의 벽면부의 측면이 다른 벽돌의 상기 한쌍의 벽면부의 측면에 각각 접하도록 일렬로 한 줄 또는 그 이상의 줄을 쌓는 제1단계와,
    상기 쌓여진 벽돌의 상기 한쌍의 벽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흙을 주입하는 제2단계와,
    주입된 흙이 어느 정도 굳으면 맨위의 벽돌들의 위에 상기 거푸집 겸용 벽돌을 일렬로 다시 한 줄 또는 그 이상의 줄을 쌓은 제3단계와,
    원하는 높이가 될 때까지 제2단계와 제3단계를 반복하는 제4단계
    를 구비하는 벽면 시공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한쌍의 벽면부는 흙을 초벌구이하여 형성된 것인 벽면 시공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벽면부는 접하는 다른 벽돌과의 위치고정을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벽면이 접하는 기둥 또는 바닥의 상기 벽돌의 고정수단이 닿는 부위에는 상기 고정수단에 대응되는 수단을 형성하여 벽돌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시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벽면부의 상하좌우면에 형성된 돌기 또는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함몰부이며, 상기 기둥 또는 바닥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함몰부 또는 상기 함몰부에 대응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시공방법.
KR1020070124363A 2007-12-03 2007-12-03 거푸집 겸용 벽돌 및 이를 이용한 벽면 시공방법 KR100953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363A KR100953477B1 (ko) 2007-12-03 2007-12-03 거푸집 겸용 벽돌 및 이를 이용한 벽면 시공방법
PCT/KR2008/007115 WO2009072795A2 (en) 2007-12-03 2008-12-03 Brick usable as a mold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wall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363A KR100953477B1 (ko) 2007-12-03 2007-12-03 거푸집 겸용 벽돌 및 이를 이용한 벽면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7677A true KR20090057677A (ko) 2009-06-08
KR100953477B1 KR100953477B1 (ko) 2010-04-16

Family

ID=40718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4363A KR100953477B1 (ko) 2007-12-03 2007-12-03 거푸집 겸용 벽돌 및 이를 이용한 벽면 시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53477B1 (ko)
WO (1) WO2009072795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3526A2 (en) * 2010-04-02 2011-10-06 Romeo Ilarian Ciuperca Insulated concrete form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190131659A (ko) * 2018-05-17 2019-11-27 홍진기 목재블록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55584B2 (en) 2011-09-28 2013-10-15 Romeo Ilarian Ciuperca Precast concrete structures, precast tilt-up concrete 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8756890B2 (en) 2011-09-28 2014-06-24 Romeo Ilarian Ciuperca Insulated concrete form and method of using same
AU2012336298B2 (en) 2011-11-11 2014-10-30 Romeo Ilarian Ciuperca Concrete mix composition, mortar mix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and curing concrete or mortar and concrete or mortar objects and structures
US9458637B2 (en) 2012-09-25 2016-10-04 Romeo Ilarian Ciuperca Composite insulated plywood, insulated plywood concrete form and method of curing concrete using same
US8877329B2 (en) 2012-09-25 2014-11-04 Romeo Ilarian Ciuperca High performance, highly energy efficient precast composite insulated concrete panels
US8636941B1 (en) 2012-09-25 2014-01-28 Romeo Ilarian Ciuperca Methods of making concrete runways, roads, highways and slabs on grade
US8532815B1 (en) 2012-09-25 2013-09-10 Romeo Ilarian Ciuperca Method for electronic temperature controlled curing of concrete and accelerating concrete maturity or equivalent age of concrete structures and objects
US10220542B2 (en) 2013-05-13 2019-03-05 Romeo Ilarian Ciuperca Insulated concrete battery mold, insulated passive concrete curing system, accelerated concrete c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US10065339B2 (en) 2013-05-13 2018-09-04 Romeo Ilarian Ciuperca Removable composite insulated concrete form, insulated precast concrete table and method of accelerating concrete curing using same
WO2015035409A2 (en) 2013-09-09 2015-03-12 Ciuperca Romeo Llarian Insulated concrete slip form and method of accelerating concrete curing using same
ES2579441B1 (es) * 2014-10-24 2017-08-01 Silvia Cristina GARCÍA MORENO Cajón de madera para ejecución de muros rellenos de tierra cruda apisonada
KR101769452B1 (ko) * 2015-05-27 2017-08-18 삼표피앤씨 주식회사 더블 월 피씨들 사이의 결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8947A (en) * 1986-11-13 1987-10-13 Mckay Harry Concrete wall form tie system
KR0180982B1 (ko) * 1995-12-29 1999-04-01 김윤동 모자이크벽화 시공방법
DE29606867U1 (de) * 1996-04-16 1996-07-25 Reusing Dieter Wandsystem für Gebäudewände mit Schalungselementen, die variabel kombinierbar sind
JPH1181524A (ja) 1997-09-04 1999-03-26 Asahi Chem Ind Co Ltd 壁構成部材及び前記壁構成部材を用いた壁構造
KR100427910B1 (ko) * 2001-04-24 2004-04-27 이종은 목조벽돌로 건물 벽을 시공하는 방법
KR100732603B1 (ko) 2006-02-08 2007-06-27 김성모 건물 벽체용 형틀 블럭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3526A2 (en) * 2010-04-02 2011-10-06 Romeo Ilarian Ciuperca Insulated concrete form and method of using same
WO2011123526A3 (en) * 2010-04-02 2012-02-23 Romeo Ilarian Ciuperca Insulated concrete form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190131659A (ko) * 2018-05-17 2019-11-27 홍진기 목재블록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72795A2 (en) 2009-06-11
KR100953477B1 (ko) 2010-04-16
WO2009072795A3 (en) 200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3477B1 (ko) 거푸집 겸용 벽돌 및 이를 이용한 벽면 시공방법
US7007436B1 (en) Snap-in-place building block
US8887466B2 (en) System for constructing walls using blocks equipped with coupling means
KR20090063052A (ko) 건축용 블록과,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 및 벽면 조적방법
JP5955010B2 (ja) 建築基礎工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立ち上がりブロック
US20110247289A1 (en) Building Block Having The Appearance of Wood Shake
KR20140008905A (ko)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1609249B1 (ko)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사면보강벽 및 그 공법
US20090217613A1 (en) Wall Element
KR101779878B1 (ko) 조립식 벽돌 건식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101518020B1 (ko) 건축용 부재
KR200443596Y1 (ko) 조적식 황토벽돌의 구조
WO2005080707A1 (en) Apparatus for spacing building blocks
US20150091207A1 (en) Center insulated concrete form
CN105298041A (zh) 一种户外楼梯
KR200485126Y1 (ko) 고강도 악세스 플로워
JP5033478B2 (ja) 型枠パネル、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及びそれを用いた構造物、構造物の施工方法
RU41038U1 (ru) Блок для безрастворной кладки
EP2138645A2 (en) Building brick
KR200415090Y1 (ko) 무줄눈 벽면 일체화 스플릿 블록
JP3099001U (ja) 安定積載が可能なレンガ構造
JPS61179955A (ja) タイルの支持体を有する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を利用した壁面
KR101925956B1 (ko) 벽체 시공용 블록 및 중공형 판재 기둥을 이용한 코너 연결구조
AU2010100977A4 (en) A set of retaining wall blocks
KR20190094804A (ko) 일체형 혼합블록 제조방법 및 제조형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