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8905A -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8905A
KR20140008905A KR1020120076551A KR20120076551A KR20140008905A KR 20140008905 A KR20140008905 A KR 20140008905A KR 1020120076551 A KR1020120076551 A KR 1020120076551A KR 20120076551 A KR20120076551 A KR 20120076551A KR 20140008905 A KR20140008905 A KR 20140008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ior
interior
cell block
support
s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6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1959B1 (ko
Inventor
이병화
Original Assignee
이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화 filed Critical 이병화
Priority to KR1020120076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959B1/ko
Priority to PCT/KR2012/009229 priority patent/WO2014010788A1/ko
Publication of KR20140008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6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 E04B1/161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slabs, both being partially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35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attached to the inner faces of th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002/867Corner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002/8676Wall end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한 단위의 모듈러 셀 블록이 전체 건축물에서 차지하는 각각의 고유 기능과 역할에 맞게 공장에서 사전에 정밀 설계, 제작하여, 현장에서 마무리 시공만으로 건축물이 완성되도록 하는 모듈러 셀 블록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Description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A modular cell block through the integration of interior and exterior finishing material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ing modular cell blocks}
본 발명은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외장재가 일체로 구비된 모듈러 셀 블록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모듈러 셀 블록의 조립으로 다양한 용도의 건축물을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면서 모듈러 셀블록의 조립만으로도 내/외부 인테리어가 가능해지도록 하는 모듈러 셀블록과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골조, 전기배선, 벽체 등 건축자재의 각 부분을 규격화시켜 공장에서 제작한 뒤, 현장에서는 조립, 마무리 시공을 수행하는 일명 모듈러(Modular) 건축 내지 공장화건축이 주목을 받고 있다.
모듈러 건축은 공장에서 전체 공정의 70~80% 상당을 수행하고, 현장에서는 지붕, 외벽 및 인테리어 마감시공을 수행하므로 공기를 50% 이상 단축시켜 원가가 절감되고, 건축자재의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보다 친환경적이고 고품질 저비용의 합리적인 건축공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모듈러 건축은 당초 기대와는 달리 공정단축으로 인한 원가절감의 개선효과가 크지 않고 현장시공에 또 다른 어려움이 발생하고, 특히 공산품처럼 대량생산을 위해 표준화를 시킨 공장제 제품이다 보니, 디자인에는 명백한 한계가 있게 되어, 인간의 감성과 현대인의 다양한 취향을 충족시키지 못하여, 오히려 내외장재 및 인테리어 시공에 더 많은 비용과 시간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인은 모듈러 건축의 합리적 장점을 최대화시키는 동시에 인간의 감성과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모듈러 건축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인의 모듈러 셀 블록과 모듈러 셀 블록 건축물시공방법은, 모듈러 셀(Modular Cell)의 개념에서 유추해볼 수 있다. 모듈러 셀(Modular Cell)이라는 용어는, 세포조직 형태로 구성된 공간에 소규모의 작업인원이 투입되어 조립은 물론 검사, 수리, 포장까지 한곳에서 모두 끝낼 수 있는 생산방식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모듈러 셀 블록은, 블록 한 단위가 마치 유기체에서 하나의 세포 조직과 같은 형태이며 기능을 수행한다. 즉 한 단위의 모듈러 셀 블록은 전체 건축물에서 차지하는 각각의 고유 기능과 역할에 맞게 공장에서 사전에 정밀하게 설계되고 제작되어서, 현장에서 셀 블록의 조립만으로 마무리 시공까지 동시에 이루어져 건축물을 완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건축공법을 개발하기까지, 본 발명인은 지금까지 기존의 건축공법과 비교하여 혁신적인 공기단축 내지 공정개선을 위한 기술개발을 부단히 수행해왔었다. 기존의 기초, 벽체, 지붕, 천장의 4개 부문의 공정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 대한민국등록특허 10-0792243(구조용 복합 경량 패널), 10-0956741호(구조용 복합 경량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 및 그 시공 방법)를 개발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137603호에서는 기초 상에 지붕을 조립한 후 지붕을 인양시키고 인양된 지붕과 기초 사이에 벽체를 조립한 후 벽체 상에 지붕을 안착시키는 건축물 시공방법과 이를 위한 지붕인양장치를 제시한 바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외장재가 일체화된 모듈러 셀 블록을 제공하여 한 단위의 모듈러 셀 블록이 전체 건축물에서 차지하는 각각의 고유 기능과 역할에 맞게 공장에서 사전에 정밀 설계, 제작하여, 현장에서 셀 블록의 조립만으로 마무리 시공까지 동시에 이루어져 건축물이 완성되도록 하는 모듈러 셀 블록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내장재와 내장재 지지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장재측 부재와 외장재와 외장재 지지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장재측 부재를 이격되게 결합한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 블록을 제공함으로써, 벽면, 지붕, 기둥과 같은 다양한 건축물에 적용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별도의 내/외장 마감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고 거푸집 시공과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되어 시공기간과 공정 및 부품을 대폭 감소시키는 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내/외장재와 내/외장재 지지체 및 연결구로 구성되는 셀 블록을 상하좌우로 자유롭게 조립하여 다양한 형상과 무늬로 디자인화시켜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내장재 측 부재와 외장재 측 부재의 결합시 간격 조절이 용이하여 현장 시공성을 크게 개선하는 데 있다.
그리고 상기 셀 블록의 지지체 내부에 전선 또는 설비용 파이프가 삽입되는 전기 또는 설비배관을 일체로 설치하고 그 단부의 벽면을 개방형성하여 전기 또는 설비배관 작업을 현장에서 별도로 수행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며, 셀블록에 가구, 전자제품 등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홈을 형성하여 건축물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목재, 단열재, 금속, 석재, 플라스틱, 유리강화섬유(FRP) 중에서 택일된 판 상의 내장재 지지체, 상기 내장재 지지체와 접하도록 구비되며 건축물 내부를 장식 마감하는 내장재, 상기 내장재에 구비되어 내장재 지지체를 관통하는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장재 측 부재; 목재, 단열재, 금속, 석재, 플라스틱 중에서 택일된 판 상의 외장재 지지체, 상기 외장재 지지체와 접하도록 구비되며 건축물 외부를 장식 마감하는 외장재, 상기 외장재에 구비되어 외장재 지지체를 관통하는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장재 측 부재; 상기 내장재 측 부재와 외장재 측 부재를 이격되게 결합하는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으로, 상기 셀블록의 내/외부 지지체에는 상/하 또는 좌/우 결합을 위한 요철이 형성되어 조립에 의하여 다양한 건축물을 형성하면서 다양한 인테리어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셀블록에는 전자제품, 가구 등의 시설물이 빌트인 시공되는 삽입홈이 더 형성되어 공간활용도가 향상되고, 상기 내/외장재 지지체의 내부에는 전기 또는 설비 배관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이들 배관이 셀블록 조립 후 관통공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셀블록에 상/하 끼움 결합되는 설비 배관이 블록단위로 일체로 삽입됨으로써 현장에서 별도의 배관설비공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내장재 지지체와 외장재 지지체의 결합방법을 살펴보면, 상기 내장재 지지체와 외장재 지지체가 단열재인 경우 상기 단열재질의 내/외장재 지지체와 일체로 형성된 단열재질 브릿지로 연결되고, 연결구를 직접 체결수단으로 체결하거나, 연결구를 연결하도록 별도로 성형된 이음구로 결합하며, 상기 연결구 및 연결구와 이음구간 결합은 길이조절수단에 의하여 그 길이가 조절된다.
상기 연결구는 내장재 또는 외장재의 성형과정에서 인서트 성형되거나 조립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구는 일측에 헤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내장재 또는 외장재에는 연결구의 헤드부가 매립되는 매립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의 종단에는 내/외장재 지지체와 접하도록 고정부재를 더 체결하여 내/외장재 지지체의 결합이 견고하게 내/외장재에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셀블록 내부에 철근, 철골을 고정하기 위하여 셀블록을 형성하는 연결구, 이음구 또는 단열재질 브릿지에는 철근 또는 철골 또는 철근과 철골 고정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공장에서 상기한 셀블록을 설계도에 따라 원하는 모양으로 제작한 후, 이를 현장에서 조립하되, 필요에 따라 철근이나 철골이 셀블록 내부에 배치되도록 하여, 벽체, 지붕, 기둥, 담을 포함하는 건축물을 시공하는 시공방법에 있는 것으로, 상기 셀블록 내부에는 콘크리트모르타르, 모래 등의 충진제가 충진될 수 있다.
이러한 셀블록으로 조립된 건축물은 셀 블록을 상하좌우로 자유롭게 조립하여 다양한 형상과 무늬로 디자인화시켜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셀블록의 생산과정에서 조립시 하나의 벽화를 완성할 수 있도록 표면을 해당 벽화의 해당 위치에 맞는 그림으로 도장하거나 표면의 재질을 다르게 하여 생산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셀블록은 내장재와 외장재가 일체로 구비된 것이나, 기둥과 같이 내부장식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내장재 측 부재는 외장재 측 부재와 결합시 수평 및 수직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체가 내장재 역할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내장재와 외장재가 단열재 등의 지지체와 함께 구비된 셀블록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셀블록의 조립으로 거푸집을 형성함과 아울러 조립공정만으로 내/외장까지 마감된 완성된 벽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벽체형성 후 내/외장재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과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어 시공기간과 공정 및 부품이 대폭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셀블록의 내장재 측 부재와 외장재 측 부재를 이격되도록 서로 결합하면서 그 결합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서, 내장재 측 부재와 외장재 측 부재는 상호 견고하게 조립될 뿐 아니라 결합부재의 결합위치 조절로 콘크리트 모르타르 타설 공간의 치수도 조정할 수 있어서 시공성이 매우 우수하다.
아울러, 내/외장재와 단열재 등의 지지체가 함께 구비되고 필요한 경우 그 내부로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시공되며, 셀블록들이 요철구조로 상호 정밀하게 결합되므로 틈이 발생하지 않아 단열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내/외장재에 의하여 전기 및 설비배관을 지지체인 단열재에 일체로 매설할 수가 있고 이로 인하여 이들 배관설치를 위한 별도의 시공과정이 요구되지 않는데, 이는 내/외장재가 콘크리트 모르타르 타설시 압력을 지탱해주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셀블록을 이용하는 경우 원하는 벽체 형상과 무늬에 따라 원하는 내/외장재를 갖는 셀블록을 서로 조립하면 되므로, 다양한 형상과 무늬의 벽면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건축물의 디자인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단순한 요철구조의 조립만으로 벽체의 시공이 가능하게 되고 공장에서 정확하게 제조되므로 종래 수평을 맞추기 위하여 전문가가 요구되는 작업에서 전문가가 없이도 작업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고, 시공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셀블록의 조립만으로 다양한 구조물, 예를 들면, 벽체, 지붕, 기둥, 담 등을 시공할 수 있고, 상기한 셀블록의 내부에 철골 또는 철강을 구비함으로써 콘크리트 모르타르의 타설 없이도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붕의 경우에는 내/외기를 차단하기 위한 공극이 셀블록에 의하여 형성되고, 배기구 또한 별도의 형성과정 없이 셀블록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형성되므로, 시공이 용이하고 단열특성이 우수한 건축물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셀블록 구성요소 일부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셀 블록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셀 블록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셀블록에서 배관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내장재를 제외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 셀블록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배관단위체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연결구와 고정부재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연결구 체결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이음구와 연결구 체결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연결구와 내/외장재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T'자형 셀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ㄱ'자형 셀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셀블록에 빌트인용 삽입홈 형성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 셀블록의 내/외장재들 간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0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시공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시공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시공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에 따른 2층 주택 시공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8 내지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파고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담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2 내지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을 위하여 다른 외장재를 사용하는 셀블록 조립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5는 본 발명의 셀블록에 의하여 형성된 화장실 공간을 나타내는 도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I. 셀블록
1. 일자형 셀블록
본 발명에 따른 셀블록은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구(10a)에 의하여 내장재(20)와 내장재 지지체(30a)가 서로 면접하게 설치된 내장재 측 부재(40)와, 연결구(10b)에 외장재(50)와 외장재 지지체(30b)가 서로 면접하게 설치된 외장재 측 부재(60)와 상기 내/외장재측 부재(40)(60)를 이격되게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장재는 구비되지 않고 내장재 지지체(30a)만을 포함하는 내장재 측 부재(40)와, 연결구(10b)에 외장재(50)와 외장재 지지체(30b)가 서로 면접하게 설치된 외장재 측 부재(60) 및 상기 내/외장재측 부재(40)(60)를 이격되게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내장재(20)와 외장재(50)는 통상의 건축물 시공과정에서 사용되는 것은 어떠한 것이든 사용이 가능하며, 그 예로는 목재, 석고, 대리석, 금속, 플라스틱, FRP 등이다.
그리고, 상기 내장재 및 외장재 지지체(30a)(30b) 역시 목재, 단열재, 금속, 석재, 플라스틱, FRP 중에서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한 내장재 및 외장재 지지체(30a)(30b)는 블록이 조립될 수 있도록 상/하단부와 좌/우측 단부에 서로 맞물리는 한 쌍의 요철(32a)(32b)(34a)(34b)구조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내장재 또는 외장재 지지체(30a)(30b)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 또는 수도관이나 상/하수관 등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전기 또는 설비 배관(70)이 삽입되는 관통공(36)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36) 종단에는 벽체의 내측 혹은 외측을 향해서 개방된 작업홈(37)이 형성되어, 상기 작업홈(37) 내부로 콘센트(미도시)를 설치하거나, 수도 등의 설비배관을 외부로 노출하여 공간 내/외부에 설치되는 수도 등과 연결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내장재 지지체(30a)에 상기 관통공(36) 및 작업홈(37)을 형성한 것을 예로서 살펴본다.
한편, 상기 내장재 지지체(30a)의 관통공(36) 내부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체결가능하도록 종단에 요철구조를 가지는 전기배관 또는 설비배관의 단위체(이하 배관 단위체라 함)(72)를 삽입한다.
상기에서 배관 단위체(72)는 전선 또는 상/하수용 파이프가 배선될 수 있는 긴 설비배관을 셀블록 크기에 맞도록 공장에서 제조되어, 현장시공시 요철구조가 형성된 양측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10a)(10b)는 수지 혹은 금속으로 제작되어 내/외장재(20)(50)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수개가 내/외장재(50)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충분한 결합강도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그 사이로 철골(1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구(10a)(10b)의 종단에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외장재 지지체(30a)(30b)와 접하도록 연결구(10a)(10b)에 체결되는 고정부재(8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연결구(10a)(10b)와 고정부재(80)는 체결돌기(12)와 걸림턱(82), 나사결합, 체결공과 볼트 또는 피스의 결합 등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되어 내/외장재(20)(50)와 내/외장재 지지체(30a)(30b)가 긴밀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연결구(10a)(10b)의 일 예로 본 발명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형의 막대 모양으로 형성하여 종단에 길이방향으로 절개구(11)를 형성하여 텐션을 갖도록 하고, 종단 양측부는 다수개의 체결 돌기(12)를 배열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80)는 상기 연결구(10a)(10b)가 삽입되는 체결공(84)이 천공되어, 상기 체결돌기(12) 외장재측으로 고정부재(80)를 끼우는 과정에서 체결돌기(12)측에 고정부재(80)가 위치되는 경우 절개구(11)에 의한 탄성으로 고정부재(80)가 내장재측으로 이동가능하게 되고, 체결돌기(12)에 고정부재(80)의 체결공(84)을 형성하는 걸림턱(82)이 맞물리면서 내/외장재 지지체(30a)(30b)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내장재 측 부재(40)와 외장재 측 부재(60)를 결합하는 결합부재의 일 예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외장재 지지체(30a)(30b)와 동일재질의 단열재질 브릿지(38) 이거나,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구(10a)(10b)를 직접 체결부재로 체결하거나,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구(10a)(10b)들을 연결하는 이음구(90)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한다.
상기에서 단열재질 브릿지(38)로 연결되는 구조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거푸집 겸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단열 콘크리트 폼(insulatin concrete form)에 상기 연결구(10a)가 일체로 구비된 내/외장재(20)(50)를 설치함으로써, 내장재 측 부재(40)와 외장재 측 부재(60)가 단열재질 브릿지(38)에 의하여 서로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10a)(10b)를 체결부재(15)(16)(17)(18)로 직접 연결하는 경우는, 연결구(10a)(10b)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다수개의 체결공(15)을 천공하고, 상기 체결공(15)으로 볼트 또는 피스 등의 체결수단(16)을 체결하여 결합하거나,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구(10a)(10b)를 통형으로 형성하여 일측에는 스프링을 매개로 설치된 체결돌기(17)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상기 체결돌기(17)가 삽입되는 체결공 또는 체결홈(18)을 형성하여 결합할 수도 있으며, 이들은 결합위치에 따라 그 간격이 조절되므로 상기 체결공(15), 체결수단(16), 체결돌기(17)와 체결공 또는 체결홈(18)이 간격조절수단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가 연결구(10a)(10b)를 연결하는 이음구(90)인 경우, 상기 이음구(90)와 상기 연결구(10a)(10b)의 연결구조는 상기 연결구(10a)(10b) 끼리의 결합구조와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체결돌기(12)와 맞물리는 걸림턱(92)이 양측 내주면에 형성되도록 하여 체결할 수도 있으며, 상기한 체결돌기(12)와 걸림턱(92)이 간격조절구의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연결구(10a)(10b), 이음구(90) 또는 단열재질 브릿지(38)에는 철근고정홈(10c)(90a)(38a), 또는 철골고정홈(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음구에만 도시함)(90b) 또는 철근과 철골고정홈이 모두 형성된다.
그리고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셀블록에서 상기 연결구(10a)(10b)에는 일측에 헤드부(H)가 구비되어 상기 내장재(20) 또는 외장재(50)를 관통하여 헤드부(H)가 내장재(20) 또는 외장재(50)에 매립되게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연결구(10a) 또는 연결구(10b)는 내장재(20) 또는 외장재(50)의 성형과정에서 몰드에 성형재료와 함께 인서트 성형될 수 있고, 내/외장재(20)(50)에 매립부(20a)(50a)를 형성하여 매립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내장재(20) 또는 외장재(50)는 이중구조로 형성되어, 이중구조의 일측은 판형 구조체(20b)(50b)로서 연결구(10a)(10b)가 관통되어 매립되는 매립부(20a)(50a)가 형성되고, 타측은 장식 기능을 갖는 장식재(20c)(50c)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접착제,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체결되는데, 내장재의 경우 장식재(20c)는 난연 또는 불연재질로 형성된다.
2. ' T' 자형,'ㄱ'형 셀블록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셀블록(100)은 그 설치위치에 따라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자형,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T'자형,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ㄱ'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T'자형의 경우 내장재 측 부재(40)들끼리도 서로 체결된다.
3. 삽입홈을 형성하는 셀블록
상기 셀블록(100) 또는 그 조립체에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제품 가구 등의 빌트인(built-in) 시설물(130)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홈(140)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40)은 내장재 측 부재(40)를 해당 삽입홈(140)의 치수에 맞게 재단하여 형성함으로써,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장재 지지체(30b)가 시설물(130)의 설치 전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140)에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하는 삽입홈(140) 치수에 따라 내장재 측 부재(40)를 재단한 후 해당 삽입홈(140) 위치에 마감을 위하여 내장재 측으로 돌출된 패널(140a)을 설치하여 도 16의 외부지지체(30b)를 포함한 셀블록(100)의 내부가 외부로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삽입홈(140)에 시설물(130)을 빌트인하여 고정하기 위해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셀블록(100)이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여야하므로 삽입홈(140)측 단부에 배치된 내장재 지지체(30a)와 내장재(20)에는 'ㄷ'형 몰딩(140b)이 씌워져서 상기 시설물(130)과 몰딩(140b)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체결하여 시설물(130)을 벽체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내장재(20)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중구조로 형성된 경우, 상기 몰딩(140b)은 내장재측 판형 구조체(20b)와 내부지지체(30a)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4. 기타 셀블록
또한, 상기한 셀블록(100)은 조립을 위하여 내장재(20)와 외장재(50)의 단부가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좌/우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하여 조립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셀블록은 그 크기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으나, 조립을 위하여 가로, 세로 치수를 일정배율로 형성하는데, 예를 들면, 세로 치수는 10cm, 20cm 30cm와 같이 10cm단위로 형성하여 조립시 30cm 셀블록을 설치할 경우 그 옆에는 필요에 따라 10cm 셀블록 3개를 설치하거나, 20cm와 10cm 셀블록을 설치하여 치수를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외장재와 내장재 또는 지지체는 셀블록의 크기에 따라 각각 하나, 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외장재를 30cm치수로 형성하는 경우 지지체는 10cm짜리 3개를 배치할 수도 있고, 30cm짜리 하나를 배치할 수도 있으며, 10cm와 20cm짜리를 배치할 수도 있다.
II . 셀블록을 이용한 시공방법
이와 같이 형성된 셀블록(100)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과정을 하기에서 살펴본다.
1. 제 1실시예 (콘크리트 모르타르 타설)
우선,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축물 시공위치에 지면을 평탄하게 하는 등의 기초(200)를 시공하는 기초시공 과정을 수행하는데, 상기 기초시공과정에서 토대를 기초와 동시에 시공하거나 기초를 시공한 후 그 상부에 별도로 토대를 시공한다.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0-0055246호에서도 건축물의 기초를 시공하는 방법이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이 후, 상기한 토대 상에 'C'형강으로 구성된 철골 혹은 철근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상기 수직으로 설치된 철골 혹은 철근을 중심으로 상기 셀블록(100)을 설계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조립하며, 상기 셀블록(100) 조립 과정에서 매 셀블록(100) 층마다 수평으로 철근(110)을 배근하는데, 상기 철근(110)은 철근 고정홈(10c)(90a)(38a)에 끼워넣어 고정하며, 이러한 철골, 철근 고정으로 본 발명의 셀블록(100)은 내부에 콘크리트 모르타르 등의 충진제가 충진되지 않아도 그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셀블록(100) 조립 과정에서 셀블록(100)은 설계도에 따라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는데, 그 예로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관(70)이 삽입되어야 하는 위치에는 관통공(36)이 형성된 셀블록(100)을 상기 관통공(36)이 동심 상에 위치되도록 배치하여 조립한 후 그 내부로 배관(70)을 삽입할 수도 있고, 배관 단위체(72)가 일체로 삽입된 셀블록(100)의 경우에는 해당 위치로 셀블록(100)을 조립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모서리에는 모서리 형상에 따라 'ㄱ'형 혹은 'T'형 셀블록을 배치한다.
이 후 상기한 셀블록(100)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미도시)를 타설하여 벽체(300)를 완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벽체(300)의 상부에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붕(400)을 벽체(300)와 체결하여 시공하는데, 상기 지붕은 벽체(300) 시공과정에 삽입된 철골(120)의 상부와 지붕(400)을 서로 결합하여 시공하며, 상기한 지붕(400)은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상에서 완성한 형태의 지붕(400)을 제작하여 상기 벽체(300) 상부에 조립할 수도 있고,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벽체(300) 상부에 보(410), 트러스(420) 등을 설치하여 벽체(300) 상부에서 직접 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건축물의 시공과정에서 천장(500)은 지붕시공 후 별도로 시공할 수도 있고, 벽체(300)의 시공과정에서 셀블록(100)을 조립한 후 천장(500)에는 천장 형성용 거푸집을 설치하고, 천장 형성용 거푸집과 셀블록(100)의 상단부를 하나의 연결된 거푸집을 형성하도록 벽체의 셀블록(100)을 형성하는 내장재 또는 외장재가 천장 형성용 거푸집과 단부가 연결되도록 하여 천장과 벽면을 동시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로 타설할 수도 있다.
2. 제 2실시예
제 2실시예로는 벽체(300)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하지 않는 경우와 지붕(400)을 본 발명의 셀블록(100)으로 시공하는 예를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기초(200)위에 토대(210)를 설치하고, 상기 토대(210)에 철골(120)을 다수개 배치하되, 상기한 철골(120)은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대(210)와 용접 혹은 볼트와 결합하면서 셀블록(100)의 철골고정홈(90b)에 끼워질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한다.
이와 같이 '철골(120)을 배치한 후 상기 셀블록(100)을 조립하면서 철골(120)은 철골고정홈(90b)으로 끼우고, 매 셀블록(100) 층마다 철근(미도시)을 철근고정홈(10c)(90a)(38a)에 끼워넣으면서 적층한다.
이러한 적층에 의하여 벽체(300)가 완성되면, 지붕형성용 철골(410)로 만든 트러스건축물에 상기 셀블록(100)을 끼워넣어서 조립하는데, 이때에도 상기 지붕형성용 철골(410)을 철골고정홈에 끼워넣음으로써 셀블록(100)의 위치를 고정한다.
이때, 상기한 셀블록(100)의 외장재는 지붕용 내/외장재를 사용하며, 각 셀블록(100)의 단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외장재의 하단부를 외부지지체의 단부보다 길게 형성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셀블록(100)의 조립이 완성되면 지붕의 꼭대기부분에는 상기 셀블록의 내부와 연결되는 공기홀(422)이 형성된 지붕마루(420)를 설치하고, 셀블록의 측면에는 지붕용 내/외장재(430)로 커버하여 지붕을 완성한다.
이와 같이 지붕이 완성되면 지붕을 지상으로부터 들어올려서 상기 벽체의 철골(120)과 지붕형성용 철골(410)을 용접 또는 체결로 연결한다.
한편, 상기한 지붕은 지상에서 완전하게 시공되어 들어올려져서 벽체와 체결될 수도 있고, 벽체 상부에서 조립으로 완성될 수도 있다.
도 26에서 (b)는 (a)의 지붕마루부분 확대도이다.
3. 제 3실시예
제 3실시예는 벽체(300)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하기 위한 2층 주택의 실시예로써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1 및 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기초(200)위에 토대(210)를 설치하고, 상기 토대(210)에 철골(120)을 다수개 배치하고 상기 셀블록(100)을 조립하여 1층 벽체를 완성하고, 1층 벽체 상부에는 천장 형성용 거푸집(170)을 설치하며, 2층 역시 1층 시공과 마찬가지로 1층의 벽체를 형성하는 철골(120)에 2층 형성용 철골(120)을 연결하는데, 이러한 연결을 위하여 1층 형성용 철골(120)의 상부종단에는 수평으로 보(180)를 설치하고, 상기 보(180)상에 2층 형성용 철골(120)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2층 형성용 철골(120)에 셀블록(100)을 설치하는데,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셀블록(100)의 내장재 측 부재(40)의 하단부는 상기 천장 형성용 거푸집(170)에 배치된 철근의 상단부와 이격되도록 배치하여, 콘크리트 모르타르 타설시에 벽체의 콘크리트모르타르와 천장 형성용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성형되도록 한다.
이러한 1층과 2층의 벽체 시공 완성 후 지붕을 시공하여 건축물을 완성한다.
이때, 상기 철골(120)은 단독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한 복수개의 철골(120)을 보강재(125)로 서로 연결하여 강도를 보강하는데, 상기 보강재(125)는 철골(120)에 지그재그모양으로 체결된다. 이와 같은 보강재(125)가 결합될 경우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하지 않더라도 셀블록(100)이 좌/우 및 상/하로 완벽하게 고정되고, 벽체가 수평 및 수직하중을 견딜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벽체(300) 시공 중 상기 삽입홈(140)이 형성된 셀블록(100)을 이용하여 가구 등의 시설물(130)이 빌트인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4. 제 4실시예
제 4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셀블록을 이용하여 파고라를 형성하는 것을 도 28을 예로서 살펴본다.
상기 파고라의 기둥은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ㄱ'형 셀블록(100) 4개를 조립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기둥 두께에 따라 도 30과 같이 일자형 셀블록(100) 2개를 교차 조립하여 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셀블록(100)의 내장재 측 부재는 내장재가 구비되지 않고 내장재 지지체에 연결구가 직접 설치될 수도 있고, 내장재 지지체가 단열재질인 경우 단열재질 브릿지를 통하여 외장재 측 부재와 체결될 수도 있고, 내장재 지지체가 합판일 경우 상기 내장재 지지체에 연결구가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5. 제 5실시예
제 5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셀블록(100)을 조립하여 담을 시공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셀블록(100)을 조립함으로써 담이 형성되며, 이때 셀블록(100)은 내장재와 외장재를 모두 벽돌로 형성하거나, 원하는 무늬에 따라 서로 다른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6. 제 6실시예
도 32 내지 34를 통해 본 발명의 셀블록(100)을 이용한 다양한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 32는 본발명의 셀블록(100)의 내장재 측 부재는 동일하나 외장재측 부재를 변형하여 벽체(300)에 다양한 디자인 내지 무늬를 형성한 실시예이다. 이를 위해서 공장에서는 설계도에 따라 외장재를 특수하게 제작하여 현장에서는 간편히 시공하여 마무리하게 된다.
도 33은 외장재 혹은 내장재측 부재를 변형하여 기하학적 형상으로 벽화를 형성한 실시예이다. 이를 위해서 공장에서는 설계도에 따라 각 셀블록마다 특정 디자인 및 형상으로 인쇄 또는 도장하여 제작하고, 현장시공시 셀블록의 조립에 의하여 외장재 혹은 내장재에 하나의 벽화가 형성되도록 현장에서 정해진 순서에 따라 해당 위치에 맞게 조립 시공한다. 이러한 조립을 위하여 셀블록 생산과정에서 각 셀블록에는 조립위치를 표시하는 표시구가 부착될 수 있다.
도 34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셀블록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한 실시예이다. 전체 건축물의 벽체 일부는 본 발명의 셀블록(100)으로 형성하고, 다른 부분은 공지의 벽체 형성방법(콘크리트 모르타르 타설, 블록 또는 벽돌조적, 목재 또는 금속 조립)으로 형성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한 실시예이다. 도 34에서 벽돌 혹은 목재무늬로 형성된 부분이 본 발명의 셀블록을 사용한 부분이다.
7. 제 7실시예
제 7실시예는 배관설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6에 나타내는 셀블록의 조립으로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관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공정 없이 한 번의 시공으로 배관을 설치할 수 있게 되는데, 도 35의 벽체에서 돌출된 붉은색과 초록색은 이후 수도 등과 연결되는 배관(P)의 단부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서 콘크리트 모르타르 외에 모래, 자갈과 같이 건축물을 지지할 수 있는 충진제는 어떠한 것이든 사용가능하다.
10a, 10b : 연결구 20 : 내장재
30a,30b : 지지체 40 : 내장재 측 부재
50 : 외장재 60 : 외장재 측 부재
90 : 이음구 100 : 셀블록
200 : 기초 300 : 벽체
400 : 지붕 500 : 천장

Claims (27)

  1. 건축물 내부를 장식 마감하는 내장재(20), 상기 내장재를 지지하는 내장재 지지체(30a), 상기 내장재 지지체를 내장재와 결합하는 연결구(10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장재 측 부재(40);
    건축물 외부를 장식 마감하는 외장재(50), 상기 외장재를 지지하는 외장재 지지체(30b), 상기 외장재 지지체를 외장재와 결합하는 연결구(1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장재 측 부재(60);
    상기 내장재 측 부재(40)와 외장재 측 부재(60)를 이격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재 측 부재(40)와 외장재 측 부재(60)는 연결구(10a)와 연결구(10b)를 직접 체결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재 측 부재(40)와 외장재 측 부재(60)는 복수개의 연결구(10a)(10b)를 연결하는 이음구(90)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재 지지체(30a)와 외장재 지지체(30b)가 단열재인 경우, 상기 단열재질의 내/외장재 지지체(30a)(30b)와 일체로 형성된 단열재질 브릿지(38)로 상기 내장재 측 부재(40)와 외장재 측 부재(6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0a)(10b)의 종단에는 내/외장재 지지체(30a)(30b)와 접하도록 연결구(10a)(10b)에 체결되는 고정부재(8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
  6. 제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재 측 부재(40)와 외장재 측 부재(60)는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되어 결합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재 지지체(30a) 또는 외장재 지지체(30b)의 내부에는 전기 또는 설비 배관(70)이 삽입되는 관통공(36)이 형성되고, 상기 전기 또는 설비 배관(70)의 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일면이 개방된 작업홈(3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일체형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재 지지체(30a) 또는 외장재 지지체(30b)의 내부에는 전기 또는 설비 배관(70)이 삽입되는 관통공(36)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36)에는 종단에 요철구조를 가지는 전기배관 또는 설비배관의 단위체(72)가 삽입되며, 상기 전기 또는 설비 배관(70)의 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일면이 개방된 작업홈(3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일체형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장재 지지체(30a)(30b)는 상하단부 또는 좌우 단부 또는 상하좌우 단부에 상호 체결을 위해 서로 맞물리는 요철(32a)(34a)(32b)(34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장측 부재 내부에는 철골 또는 철근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재(20) 또는 외장재(50)는 이중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재 측 부재(40)에는 시설물(130)이 빌트인되는 삽입홈(1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140)을 형성하는 내장재 지지체(30a)와 내장재(20)에는 'ㄷ'형 몰딩(140b)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
  14. 목재, 단열재, 금속, 석재, 플라스틱, 유리 강화 섬유 중에서 택일되어 셀블록의 내측을 지지하는 내장재 지지체(30a)를 포함하는 내장재측 부재(40);
    건축물 외부를 장식 마감하는 외장재(50), 상기 외장재(50)를 지지하는 외장재 지지체(30b), 상기 외장재(50)에 구비되어 외장재 지지체(30b)를 외장재(50)와 결합하는 연결구(1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장재 측 부재(60);
    상기 내장재 측 부재(40)와 외장재 측 부재(60)를 이격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재 측 부재(40)와 외장재 측 부재(60)는 내장재 지지체(30a)에 구비된 연결구(10a)와 외장재 측 부재(60)의 연결구(10b)를 직접 체결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재 측 부재(40)와 외장재 측 부재(60)는 내장재 지지체(30a)에 구비된 연결구(10a)와 외장재 측 부재(60)의 연결구(10b)를 연결하는 이음구(90)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재 지지체(30a)와 외장재 지지체(30b)가 단열재인 경우, 상기 단열재질의 내/외장재 지지체(30a)(30b)와 일체로 형성된 단열재질 브릿지(38)로 상기 내장재 측 부재(40)와 외장재 측 부재(6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장재 지지체(30a)(30b)는 상하단부 또는 좌우 단부 또는 상하좌우 단부에 상호 체결을 위해 서로 맞물리는 요철(32a)(34a)(32b)(34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
  19. 제 15항 또는 1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0a)(10b)에는 고정부재(80)가 내/외장재 지지체(30a)(30b)와 접하도록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
  20. 설계도면에 따라, 건축물 내부를 장식 마감하는 내장재(20), 상기 내장재를 지지하는 내장재 지지체(30a), 상기 내장재 지지체를 내장재와 결합하는 연결구(10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장재 측 부재(40); 건축물 외부를 장식 마감하는 외장재(50), 상기 외장재를 지지하는 외장재 지지체(30b), 상기 외장재 지지체를 외장재와 결합하는 연결구(1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장재 측 부재(60); 및 상기 내장재 측 부재와 외장재 측 부재를 이격되게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셀블록(100)을 공장에서 제작하는 과정,
    건설현장의 기초 시공 과정,
    상기 기초 시공 과정 후, 상기 셀블록(100) 내부에 철근(110) 또는 철골(120) 또는 철근 및 철골을 고정홈에 고정설치하면서 벽체(300) 형상에 따라 셀블록을 조립하는 벽체 시공 과정,
    상기한 벽체 시공 후 벽체(300)의 상부에 지붕(400)을 시공하는 지붕 시공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21. 설계도면에 따라, 건축물 내부를 장식 마감하는 내장재(20), 상기 내장재를 지지하는 내장재 지지체(30a), 상기 내장재 지지체를 내장재와 결합하는 연결구(10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장재 측 부재(40); 건축물 외부를 장식 마감하는 외장재(50), 상기 외장재를 지지하는 외장재 지지체(30b), 상기 외장재 지지체를 외장재와 결합하는 연결구(1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장재 측 부재(60); 및 상기 내장재 측 부재와 외장재 측 부재를 이격되게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셀블록(100)을 공장에서 제작하는 과정,
    철골로 지붕트러스를 제작하는 과정,
    지붕트러스를 구성하는 철골을 중심으로 상하로 상기 셀블록(100)을 끼워서 조립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지붕을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22. 셀블록의 내측을 지지하는 내장재 지지체(30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장재 측 부재(40); 건축물 외부를 장식 마감하는 외장재(50), 상기 외장재를 지지하는 외장재 지지체(30b), 상기 외장재 지지체를 외장재와 결합하는 연결구(1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장재 측 부재(60); 및 상기 내장재 측 부재와 외장재 측 부재를 이격되게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셀블록(100)을 공장에서 제작하는 과정,
    상기 셀블록(100)을 밀폐구조를 갖도록 조립하여 기둥을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23. 설계도면에 따라, 건축물 내부를 장식 마감하는 내장재(20), 상기 내장재를 지지하는 내장재 지지체(30a), 상기 내장재 지지체를 내장재와 결합하는 연결구(10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장재 측 부재(40); 건축물 외부를 장식 마감하는 외장재(50), 상기 외장재를 지지하는 외장재 지지체(30b), 상기 외장재 지지체를 외장재와 결합하는 연결구(1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장재 측 부재(60); 및 상기 내장재 측 부재와 외장재 측 부재를 이격되게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셀블록(100)을 공장에서 제작하는 과정,
    상기 셀블록(100)을 복수개의 결합부재가 직각이 되도록 조립하여 기둥을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24. 설계도면에 따라, 건축물 내부를 장식 마감하는 내장재(20), 상기 내장재를 지지하는 내장재 지지체(30a), 상기 내장재 지지체를 내장재와 결합하는 연결구(10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장재 측 부재(40); 건축물 외부를 장식 마감하는 외장재(50), 상기 외장재를 지지하는 외장재 지지체(30b), 상기 외장재 지지체를 외장재와 결합하는 연결구(1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장재 측 부재(60); 및 상기 내장재 측 부재와 외장재 측 부재를 이격되게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셀블록(100)을 공장에서 제작하는 과정,
    상기 셀블록(100)을 조립하여 담을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25. 제 19항 내지 24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설계도면에 따라 상기 셀블록의 내장재측 부재 또는 외장재측 부재에 특정 디자인 또는 무늬를 형성하고, 시공시 현장에서 해당 디자인 또는 무늬가 완성되도록 해당 위치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26. 제 19항 내지 24항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설계도면에 따라 시공과정에서 셀블록(100)으로 건축물의 전체 또는 일부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27. 제 19 내지 20항, 제 22 내지 24항에 있어서, 상기 셀블록(100)으로 조립 구성된 건축물의 셀블록(100) 내부에 충진제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20120076551A 2012-07-13 2012-07-13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1361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551A KR101361959B1 (ko) 2012-07-13 2012-07-13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PCT/KR2012/009229 WO2014010788A1 (ko) 2012-07-13 2012-11-05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551A KR101361959B1 (ko) 2012-07-13 2012-07-13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905A true KR20140008905A (ko) 2014-01-22
KR101361959B1 KR101361959B1 (ko) 2014-02-11

Family

ID=49916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6551A KR101361959B1 (ko) 2012-07-13 2012-07-13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61959B1 (ko)
WO (1) WO20140107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7506A (ko) * 2019-08-08 2021-02-17 이승구 조적벽돌 결합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410B1 (ko) * 2015-06-08 2017-02-27 주식회사 이지아이비스 단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870046B1 (ko) * 2016-11-29 2018-06-22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합성연결유닛을 이용한 구조 및 단열 기능 일체형 외벽패널 및 이의 제작 방법
CN107268871B (zh) * 2017-08-18 2019-05-24 江西煜烁建筑工程有限公司 高强度建筑体用的宽度可调式砌块
US11686112B2 (en) 2018-07-03 2023-06-27 Fef Group Pty Ltd Formwork wall panel and formwork assembly
KR20240056099A (ko) 2022-10-21 2024-04-30 서우주 건축 구조물의 모듈화 벽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319B1 (ko) * 2000-06-15 2003-03-10 김형주 보온단열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KR200375853Y1 (ko) * 2004-11-24 2005-03-03 주식회사 광스틸 전기배선이 매립설치된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
KR100898755B1 (ko) * 2007-07-24 2009-05-25 주현철 목재구조 건축용 벽체블럭
KR100966578B1 (ko) 2008-03-24 2010-06-29 김재락 단열재가 부착된 조립식 벽체 블록
KR20110064762A (ko) * 2009-12-09 2011-06-15 아이케이 주식회사 모듈러 공법용 내력벽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7506A (ko) * 2019-08-08 2021-02-17 이승구 조적벽돌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1959B1 (ko) 2014-02-11
WO2014010788A1 (ko) 201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1959B1 (ko)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EP1971727B1 (en) Construction of buildings
US8893450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making a building block for mortar-free construction
US20020005021A1 (en) Pre-cast concrete panels for construction of a building
KR101182536B1 (ko) 용도와 기능에 맞는 표면재와 구조용 철근을 적용하고 조립식 구조를 갖는 더블월 피씨패널
CN101368428B (zh) 一种预制件房屋及其建筑方法
KR10138920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와 모듈러 유닛을 이용한 중고층 주거용 건축물의 시공방법
US20080216445A1 (en) Monolithic Buildings and Construction Technology
CN108222270B (zh) 装配式房屋的装配施工建造方法
US20120291383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making a building block for mortar-free construction
CN111927248B (zh) 整体预制外挂飘窗、连接节点及制造方法
US20070039265A1 (en) Prefabricated masonry covered structural wall panel
KR20060127632A (ko) 멀티리브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슬래브구조체
AU2011241464A1 (en) A method of forming a structural element and a method of building a structure
EA023316B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мпактных строительных модулей
KR101370163B1 (ko) 콘크리트주택 시공방법
CN111927249B (zh) 整体预制内嵌飘窗、连接节点及制造方法
KR101326008B1 (ko) 주택시공용 콘크리트 구조체
CN110593397A (zh) 一种多层装配式板式建筑
KR100648010B1 (ko) 건물 벽체용 대형 블럭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벽체의 시공방법
CN106638978B (zh) 装配式pc预制承重墙板结合轻型钢骨架的节点结构
KR20110042160A (ko) 건축용 석재블록 및 그 조적방법
KR100622018B1 (ko) 건축물의 구축방법 및 이로부터 구축된 건축물
KR101776783B1 (ko) 건축 시공용 일체형 모듈블록
RU2803346C1 (ru)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элементов для сборки строительного модуля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