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020B1 - 건축용 부재 - Google Patents

건축용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020B1
KR101518020B1 KR1020140032623A KR20140032623A KR101518020B1 KR 101518020 B1 KR101518020 B1 KR 101518020B1 KR 1020140032623 A KR1020140032623 A KR 1020140032623A KR 20140032623 A KR20140032623 A KR 20140032623A KR 101518020 B1 KR101518020 B1 KR 101518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rner
bolt hole
concave portion
tib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프엘이디
김범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프엘이디, 김범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프엘이디
Priority to KR1020140032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0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18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20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filling material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in small channels in, or in grooves between, th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부재에 관한 것으로, 벽체의 코너를 형성하는 코너블록(10)과, 상기 코너블록(10)과 연결되며 길이방향 벽체를 형성하는 다수의 일자블록(20)과, 상기 길이방향 벽체와 수직을 이루는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일자블록(20)과 일자블록(20)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일자블록(20)을 상기 길이방향 벽체에 연결하는 티자블록(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건축기술이 없는 사람도 주택이나 건물 등의 구조물 건축이 가능하게 하여 인건비 감소가 가능하고 건축기간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부재{CONSTRUCTING MEMBER}
본 발명은 건축용 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택이나 건물 등의 구조물을 건축할 때 사용하는 건축용 부재에 관한 것이다.
주택이나 건물 등의 구조물을 건축할 때에는 시공기간의 단축과 함께 내화성 및 내구성 증대를 위해 대부분이 시멘트 벽돌로써 벽체를 시공한다. 시멘트 벽돌은 모래, 자갈 등을 물로 반죽한 다음 압축 성형하여 굳힌 직육면체 형상의 벽돌을 의미한다.
시멘트 벽돌은 벽돌을 쌓은 후 쌓은 벽돌 사이에 몰타르를 매질하고 다시 수평을 맞추어 그 위에 벽돌을 쌓는 방식을 되풀이하면서 벽돌들 상호 간의 접합이 가능하게 한다.
그런데, 시멘트 벽돌은 몰타르의 완전 경화시간을 별도로 할애해야 함에 따른 공사기간 지연의 문제와, 건축기술이 없는 사람의 경우 건축이 어렵고 그에 따른 건축비 및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며, 벽돌과 벽돌 사이에 덧입혀지는 몰타르가 그대로 노출되므로 벽돌을 쌓은 이후 미장 작업을 추가로 요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92712호(명칭:건축용 부재, 등록일자:2002.10.08)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을 위한 벽돌을 블록형태로 제작하여 간단한 조립만으로 건축기술이 없는 사람도 주택이나 건물 등의 구조물 건축이 가능하게 하는 건축용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벽체의 코너를 형성하는 코너블록과, 상기 코너블록과 연결되며 길이방향 벽체를 형성하는 다수의 일자블록과, 상기 길이방향 벽체와 수직을 이루는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일자블록과 일자블록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일자블록을 상기 길이방향 벽체에 연결하는 티자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일자블록은 일자형인 원블록과, 일자형이며 상기 원블록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반도막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코너블록, 상기 일자블록, 상기 티자블록은 상호 연결되는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에 체결되어 상기 코너블록, 상기 일자블록, 상기 티자블록이 상호 연결된 상태를 일체로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코너블록, 상기 일자블록은 일단에 요입부가 형성되고, 반대되는 타단에 상기 요입부에 대응되는 볼록부가 형성되며, 상기 티자블록은 길이방향 일단에 요입부가 형성되고, 반대되는 길이방향 타단에 상기 요입부에 대응되는 볼록부가 형성되며, 상기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돌출된 단부에 상기 요입부 또는 상기 볼록부가 형성되어 상호 연결가능한다.
상기 볼트공은 상기 요입부와 상기 볼록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요입부에 상기 볼록부를 삽입시 서로 연통된다.
상기 코너블록, 상기 일자블록, 상기 티자블록은, 상면에 돌출리브가 형성되고, 저면에 상기 돌출리브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코너블록, 상기 일자블록, 상기 티자블록을 상하로 적층시 적층된 상태가 지지된다.
상기 볼트공은 상기 돌출리브, 상기 안착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리브가 상기 안착부에 지지되면 서로 연통된다.
상기 볼트공에 상기 체결수단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체결공구가 더 구비된다.
상기 코너블록, 상기 일자블록, 상기 티자블록에 상호 연결시 수평을 맞추기 위한 수평레벨이 구비된다.
상기 코너블록, 상기 일자블록, 상기 티자블록은 세라믹 재질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시멘트 벽돌 대신에 코너블록, 일자블록, 티자블록들을 연결하고 체결수단으로 고정하는 간단한 조립만으로 건축기술이 없는 사람도 주택이나 건물 등의 구조물 건축이 가능하게 하므로 인건비 감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몰타르가 생략되므로 건축기간을 단축시키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용 부재인 블록이 세라믹 재료로 형성되므로 반영구적이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재활용이 가능하고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부재를 사용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코너블록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원블록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반도막블록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티자블록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체결수단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체결공구를 보인 도면.
도 8은 도 1의 A-A 단면도.
도 9는 도 1의 B-B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건축용 부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의 코너를 형성하는 코너블록(10)과, 코너블록(10)과 연결되며 길이방향 벽체를 형성하는 다수의 일자블록(20)과, 일자블록(20)과 일자블록(20)의 사이에 연결되어 일자블록(20)을 길이방향 벽체에 수직으로 연결하는 티자블록(50)을 포함한다.
코너블록(10), 일자블록(20), 티자블록(50)은 기존의 시멘트벽돌을 대체하여 상호 연결하고 적층하는 것만으로 건축물의 뼈대인 벽체를 형성한다.
코너블록(10)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자블록(20)은 'ㅡ'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티자블록(50)은 'T'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코너블록(10), 일자블록(20), 티자블록(50)을 통칭하여 블록이라 칭할 수 있다.
일자블록(20)은 원블록(30)과, 원블록(30)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반도막블록(40)을 포함한다. 원블록(30) 및 반도막블록(40)은 길이에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벽체 형성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반도막블록(40)은 원블록(30)의 길이의 대략 절반인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코너블록(10), 원블록(30), 반도막블록(40), 티자블록(50)은 폭 및 두께가 서로 동일하고, 위에서 본 길이 및 형상에만 차이가 있다.
코너블록(10), 원블록(30), 반도막블록(40), 티자블록(50)은 각각 일단에 요입부(a)가 형성되고, 반대되는 타단에 요입부(a)에 대응되는 볼록부(b)가 형성되어 상호 연결가능하다.
요입부(a)는 코너블록(10), 원블록(30), 반도막블록(40), 티자블록(50)의 각 일단이 다른 부분에 비해 더 요입되어 형성되고, 볼록부(b)는 코너블록(10), 원블록(30), 반도막블록(40), 티자블록(50)의 각 타단이 다른 부분에 비해 더 돌출되어 형성된다.
코너블록(10), 원블록(30), 반도막블록(40), 티자블록(50)은 각 요입부(a)에 연결될 블록의 볼록부(b)가 삽입되어 형합되는 방식으로 상호 연결할 수 있다. 각 블록에 형성한 볼록부(b) 및 요입부(a)는 코너블록(10), 원블록(30), 반도막블록(40), 티자블록(50)들을 서로 수평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코너블록(10), 원블록(30), 반도막블록(40), 티자블록(50)은 각각 상면에 돌출리브(c)가 형성되고, 저면에 돌출리브(c)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d)가 형성되어 코너블록(10), 일자블록(20), 티자블록(50)을 상하로 적층시 적층된 상태가 지지될 수 있다.
돌출리브(c)는 코너블록(10), 원블록(30), 반도막블록(40), 티자블록(50)의 각 상면이 다른 상면이 비해 더 돌출되어 형성되고, 안착부(d)는 코너블록(10), 원블록(30), 반도막블록(40), 티자블록(50)의 각 저면이 다른 저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요입되어 형성된다.
코너블록(10), 원블록(30), 반도막블록(40), 티자블록(50)은 상호 연결되는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공(e)이 형성된다. 볼트공(e)에는 각 블록이 상호 연결된 상태를 일체로 고정시키는 체결수단(60)이 체결된다.
체결수단(60)은 각 블록이 상호 연결된 상태를 고정시키고 블록을 쌓아 형성한 벽체의 내력을 증가시키는 역할도 한다.
볼트공(e)은 돌출리브(c)와 안착부(d)의 대응되는 위치에 서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또한, 볼트공(e)은 요입부(a)와 볼록부(b)의 대응되는 위치에 서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코너블록(10), 원블록(30), 반도막블록(40), 티자블록(50)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구멍(f)이 형성된다. 관통구멍(f)은 블록의 경량화와 더불어 각 블록들을 쌓아 형성한 벽체가 횡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한다.
코너블록(10), 원블록(30), 반도막블록(40), 티자블록(50)에는 수평레벨(g)이 구비된다.
수평레벨(g)은 코너블록(10), 원블록(30), 반도막블록(40), 티자블록(50)을 상호 연결시 지반과 각 층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것이다. 블록과 블록을 연결하여 벽체를 형성시 벽체가 건축물의 뼈대가 되는 만큼 각 블록에 구비된 수평레벨(g)을 이용하여 수평을 정확하게 맞추면 벽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잡아주면서 견고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수평레벨(g)은 다양한 종류 및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볼트공(e)에 체결수단(60)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체결공구(70)가 더 구비된다.
코너블록(10), 원블록(30), 반도막블록(40), 티자블록(50)은 각각 세라믹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코너블록(10), 원블록(30), 반도막블록(40), 티자블록(50)은 황토를 구워 형성하거나 나무재질을 깍고 다듬어 형성할 수도 있으나, 세라믹 재질로 각 블록을 형성하면 견고하여 반영구적이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재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코너블록, 원블록, 반도막블록, 티자블록, 체결수단, 체결공구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코너블록(10)은 'ㄱ'자 형상이다. 코너블록(10)은 일단에 요입부(a)가 형성되고, 반대되는 타단에 볼록부(b)가 형성된다. 요입부(a)의 폭 및 두께는 볼록부(b)의 폭 및 두께에 대응된다.
코너블록(10)은 상면에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리브(c)가 형성되고, 저면의 돌출리브(c)와 대응되는 위치에 안착부(d)가 형성된다. 안착부(d)는 코너블록(10)의 저면 일부가 내측으로 요입되어 형성된다. 돌출리브(c)가 돌출된 높이는 안착부(d)가 요입된 높이에 대응된다.
돌출리브(c)에는 상부 볼트공(e1)이 형성되고 코너블록(10)에서 안착부(d)가 형성된 부분에는 하부 볼트공(e2)이 형성된다. 또한, 볼록부(b)에는 관통 볼트공(e3)이 형성되고 코너블록(10)에서 요입부(a)가 형성되는 부분에는 대응 볼트공(e4)이 형성된다.
각 블록에 형성된 볼트공(e)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부 볼트공(e1), 하부 볼트공(e2), 관통 볼트공(e3), 대응 볼트공(e4)으로 구분하였다.
돌출리브(c)가 안착부(d)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부 볼트공(e1)과 하부 볼트공(e2)은 서로 연통되고, 볼록부(b)가 요입부(a)에 삽입된 상태에서 관통 볼트공(e3)과 대응 볼트공(e4)도 서로 연통된다. 각 볼트공(e)의 연통은 각 블록들이 상호 연결된 상태를 체결수단(60)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코너블록(10)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레벨(g)이 형성된다. 또한, 코너블록(10)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구멍(f)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원블록(30)은 'ㅡ'자 형상이다. 원블록(30)은 일단에 요입부(a)가 형성되고 반대되는 타단에 볼록부(b)가 형성되며, 상면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리브(c)가 형성되고 저면 양측 가장자리에는 볼록부(b)가 안착되는 안착부(d)가 형성된다.
돌출리브(c)에 상부 볼트공(e1)이 형성되고 원블록(30)에서 안착부(d)가 형성되는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부 볼트공(e1)이 형성되며, 볼록부(b)에 관통 볼트공(e3)이 형성되고 원블록(30)에서 요입부(a)가 형성되는 가장자리 부분에 대응 볼트공(e4)이 형성됨은 코너블록(10)과 동일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반도막블록(40)은 원블록(30)과 길이에서만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티자블록(50)은 'T'자 형상으로 길이방향의 일단에 요입부(a)가 형성되고 타단에 볼록부(b)가 형성되며, 길이방향과 수직인 단부에 요입부(a) 또는 볼록부(b)가 형성된다.
티자블록(50)은 상면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리브(c)가 형성되고 저면 내측에는 볼록부(b)가 안착되는 안착부(d)가 형성된다.
티자블록(50)은 돌출리브(c)에 상부 볼트공(e1)이 형성되고 티자블록(50)에서 안착부(d)가 형성되는 가장자리 부분에 상부 볼트공(e1)이 형성되며, 볼록부(b)에 관통 볼트공(e3)이 형성되고 티자블록(50)에서 요입부(a)가 형성되는 가장자리 부분에 대응 볼트공(e4)이 형성됨은 다른 블록과 동일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체결수단(60)은 볼트(61)와 와셔(63,65), 너트(67)를 포함한다.
볼트(61)는 돌출리브(c)가 안착부(d)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부 볼트공(e1)과 하부 볼트공(e2)을 관통하여 체결되거나, 볼록부(b)가 요입부(a)에 삽입된 상태에서 관통 볼트공(e3)과 대응 볼트공(e4)을 관통하여 체결된다. 볼트(61)의 단부에는 너트(67)를 체결하여 볼트(61)의 체결력을 높인다. 와셔(63,65)는 볼트(61)의 머리 아래 또는 볼트(61)와 너트(67)의 사이에 배치되어 볼트체결에 의한 압력을 분산하여 각 볼록들을 보호한다.
볼트(61)는 외경이 각 볼트공(e)에 대응되게 다양한 종류가 준비될 수 있다.
각 블록들을 체결수단(60)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것은 수직으로 쌓아지는 각 블록들의 내력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체결공구(70)는 볼트(61)에 결합된 너트(67)를 조일 수 있도록 일측에 너트(67)의 외주면이 삽입되는 삽입홈(71)이 형성되고 반대되는 타측에는 평평한 두드림부(73)가 형성된 랜치와 같은 공구일 수 있다. 두드림부(73)는 각 블록들을 끼워 맞추고 수평을 맞추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건축용 부재를 이용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코너블록에 원블록을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코너블록(10)의 요입부(a)와 원블록(30)의 볼록부(b)를 대응되게 배치하고 코너블록(10)의 요입부(a)에 원블록(30)의 볼록부(b)를 삽입한다. 그러면, 코너블록(10)과 원블록(30)이 연결되고, 코너블록(10)의 요입부(a)의 대응 볼트공(e4), 원블록(30)의 볼록부(b)의 관통 볼트공(e3), 코너블록(10)의 요입부(a)의 대응 볼트공(e4)이 상호 연통된다.
다음으로, 볼트(61)를 준비하고, 상호 연통된 코너블록(10)의 요입부(a)의 대응 배출공(e4), 원블록(30)의 볼록부의 관통 배출공(e3), 코너블록(10)의 요입부(a)의 대응 볼트공(e4)을 순차적으로 관통하게 볼트(61)를 삽입한다.
이때, 볼트(61)의 머리부와 코너블록(10)의 사이에는 와셔(63)를 배치한다.
다음으로, 코너블록(10)의 요입부(a)의 대응 볼트공(e4), 원블록(30)의 볼록부(b)의 관통 볼트공(e3), 코너블록(10)의 요입부(a)의 대응 볼트공(e4)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볼트(61)의 단부에 와셔(65)와 너트(67)를 순차적으로 결합한다. 너트(67)는 체결공구(70)를 사용하여 결합시키므로써 체결력을 높인다. 그러면, 코너블록(10)과 원블록(30)이 연결되고 연결된 상태가 고정된다.
다음으로, 원블록(30)에 반도막블록(40)을 연결하거나 티자블록(50)을 연결할 수 있다. 반도막블록(40)은 길이방향 벽체의 길이를 맞추기 위해 필요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원블록(30)에 반도막블록(40)을 연결하는 방법은 전술한 코너블록(10)에 원블록(30)을 연결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반도막블록(40)과 원블록(30) 사이에 티자블록(50)을 연결할 수 있다.
반도막블록(40)의 볼록부(b)에 티자블록(50)의 요입부(a)를 대응되게 배치하고 티자블록(50)의 반대편 볼록부(b)에는 원블록(30)의 요입부(a)를 대응되게 배치한다.
반도막블록(40)의 볼록부(b)가 티자블록(50)의 요입부(a)에 삽입되게 하고, 티자블록(50)의 볼록부(b)가 원블록(30)의 요입부(a)에 삽입되게 한 후, 각 볼록부(b)와 요입부(a)가 연결된 부위를 체결수단(60)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면 반도막블록(40)과 원블록(30) 사이에 티자블록(50)이 배치되게 연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티자블록(50)에서 나머지 단부의 요입부(a)에 원블록(30) 또는 반도막블록(40)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면 길이방향 벽체와 수직인 벽체를 형성할 수 있다.
도 8에는 도 1의 A-A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도 1의 B-B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블록들은 상하로 적층할 수 있으며, 상하로 적층시 반도막블록(40)의 돌출리브(c)는 상부에 적층되는 반도막블록(40)의 안착부(d)에 위치되고 서로 적층된 상태가 지지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막블록(40)이 적층된 상태는 반도막블록(40)의 돌출리브(c)가 상부에 적층되는 반도막블록(40)의 안착부(d)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부 볼트공(e1), 하부 볼트공(e2), 상부 볼트공(e1)을 관통하여 볼트(61')를 체결하고 볼트(61')의 단부에 너트(67')를 체결하는 것에서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반도막블록(40)의 외면에서 하부 볼트공()이 형성되는 부분은 요입되게 형성되어 볼트(61')의 머리부 및 너트(67')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반도막블록(40)의 외면에서 대응 볼트공(e4)이 형성되는 부분도 요입되게 형성되어 볼트(61)의 머리부 및 너트(67)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코너블록(10), 일자블록(20), 티자블록(50)들을 연결하고 체결수단(60)으로 고정하는 간단한 조립만으로 건축기술이 없는 사람도 주택이나 건물 등의 구조물 건축이 가능하므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들을 조립시 수평레벨(g)에 의해 수평을 맞추기 용이하고, 시멘트 벽돌을 사용할 때와 같이 몰타르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양생 기간을 둘 필요가 없어 건축기간이 단축된다.
또한, 볼록과 블록을 연결하고 적층한 면의 외관이 미려하며 별도의 미장을 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코너블록 20: 일자블록
30: 원블록 40: 반도막블록
50: 티자블록 a: 요입부
b: 볼록부 c: 돌출리브
d: 안착부 e: 볼트공
e1: 상부 볼트공 e2: 하부 볼트공
e3: 관통 볼트공 e4: 대응 볼트공
f: 관통구멍 g: 수평레벨
60: 체결수단 61: 볼트
63,65: 와셔 67: 너트
70: 체결공구 71: 삽입홈
73: 두드림부

Claims (10)

  1. 벽체의 코너를 형성하는 코너블록과;
    상기 코너블록과 연결되며 길이방향 벽체를 형성하는 다수의 일자블록과;
    상기 길이방향 벽체와 수직을 이루는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일자블록과 일자블록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일자블록을 상기 길이방향 벽체에 연결하는 티자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코너블록, 상기 일자블록, 상기 티자블록은 상호 연결되는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에 체결되어 상기 코너블록, 상기 일자블록, 상기 티자블록이 상호 연결된 상태를 일체로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코너블록, 상기 일자블록은
    일단에 요입부가 형성되고, 반대되는 타단에 상기 요입부에 대응되는 볼록부가 형성되며,
    상기 티자블록은 길이방향 일단에 요입부가 형성되고, 반대되는 길이방향 타단에 상기 요입부에 대응되는 볼록부가 형성되며, 상기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돌출된 단부에 상기 요입부 또는 상기 볼록부가 형성되어 상호 연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볼트공은 상기 요입부와 상기 볼록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요입부에 상기 볼록부를 삽입시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자블록은
    일자형인 원블록과,
    일자형이며 상기 원블록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반도막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부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너블록, 상기 일자블록, 상기 티자블록은,
    상면에 돌출리브가 형성되고,
    저면에 상기 돌출리브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코너블록, 상기 일자블록, 상기 티자블록을 상하로 적층시 적층된 상태가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부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볼트공은 상기 돌출리브, 상기 안착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리브가 상기 안착부에 지지되면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부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트공에 상기 체결수단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체결공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부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너블록, 상기 일자블록, 상기 티자블록에 상호 연결시 수평을 맞추기 위한 수평레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부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너블록, 상기 일자블록, 상기 티자블록은 세라믹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부재.
KR1020140032623A 2014-03-20 2014-03-20 건축용 부재 KR101518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623A KR101518020B1 (ko) 2014-03-20 2014-03-20 건축용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623A KR101518020B1 (ko) 2014-03-20 2014-03-20 건축용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8020B1 true KR101518020B1 (ko) 2015-05-06

Family

ID=53393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623A KR101518020B1 (ko) 2014-03-20 2014-03-20 건축용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80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001B1 (ko) * 2019-08-05 2020-04-07 (주)세진플러스 섬유폐기물을 재활용한 거푸집 일체형 단열마감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2249367B1 (ko) * 2020-07-29 2021-05-06 박상민 벽돌 설치 구조
KR102567471B1 (ko) * 2023-02-28 2023-08-16 송무섭 조립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1461Y1 (ko) * 1979-03-12 1980-09-13 유완식 실내장식용 합성수지 벽돌
KR860001983B1 (ko) * 1984-02-03 1986-11-07 송정준 진지구축용 조립식 벽돌과 그의 제조방법
KR20010000103U (ko) * 1999-06-02 2001-01-05 윤성원 조립식 황토벽돌
KR101376232B1 (ko) * 2012-05-02 2014-03-25 클라비스네트웍스 (주) 조립식 건축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1461Y1 (ko) * 1979-03-12 1980-09-13 유완식 실내장식용 합성수지 벽돌
KR860001983B1 (ko) * 1984-02-03 1986-11-07 송정준 진지구축용 조립식 벽돌과 그의 제조방법
KR20010000103U (ko) * 1999-06-02 2001-01-05 윤성원 조립식 황토벽돌
KR101376232B1 (ko) * 2012-05-02 2014-03-25 클라비스네트웍스 (주) 조립식 건축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001B1 (ko) * 2019-08-05 2020-04-07 (주)세진플러스 섬유폐기물을 재활용한 거푸집 일체형 단열마감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2249367B1 (ko) * 2020-07-29 2021-05-06 박상민 벽돌 설치 구조
KR102567471B1 (ko) * 2023-02-28 2023-08-16 송무섭 조립식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5805B2 (en) Wall system with masonry external surface and associated method
US5934037A (en) Building block
KR100953477B1 (ko) 거푸집 겸용 벽돌 및 이를 이용한 벽면 시공방법
KR101177916B1 (ko) 돔형 구조물
US20140083040A1 (en) Insulated wall panel
KR101518020B1 (ko) 건축용 부재
KR101731382B1 (ko) 철근 삽입이 용이한 콘크리트 블록 및 이의 성형장치
HRP20040052A2 (en) The building module and the method of erecting walls of building with the application of the modules
KR101431749B1 (ko)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
US10415236B2 (en) Outer insulation integrated insulating block system easy to dry-finish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by
WO2011036928A1 (ja) 住宅用基礎パネルユニット、住宅用基礎構造及び住宅用基礎形成方法
KR101901240B1 (ko) 건축물용 조립식 거푸집 패널
KR20110042160A (ko) 건축용 석재블록 및 그 조적방법
KR100784494B1 (ko) 건축용 경량 단열블록
EP2990558B1 (en) Wall building system and method for builing said wall system
KR101804757B1 (ko) 줄눈 일체형 조립식 황토 벽돌
KR200374953Y1 (ko) 조적식용 벽돌구조
KR20200001993U (ko) 담장용 블록
KR20160001367A (ko) 전면판이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보강토옹벽용 블록
CN208441341U (zh) 组装式墙板
KR20110101746A (ko) 건축용 벽돌
KR101320697B1 (ko) 거푸집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연결 방법
KR200375683Y1 (ko) 타일 베이스
KR200415136Y1 (ko) 건축용 블럭 조립체
KR20120093685A (ko) 돌출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