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4804A - 일체형 혼합블록 제조방법 및 제조형틀 - Google Patents

일체형 혼합블록 제조방법 및 제조형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4804A
KR20190094804A KR1020180014384A KR20180014384A KR20190094804A KR 20190094804 A KR20190094804 A KR 20190094804A KR 1020180014384 A KR1020180014384 A KR 1020180014384A KR 20180014384 A KR20180014384 A KR 20180014384A KR 20190094804 A KR20190094804 A KR 20190094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ixing block
mold
manufacturing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은
Original Assignee
김형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은 filed Critical 김형은
Priority to KR1020180014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4804A/ko
Publication of KR20190094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8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 B28B1/16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for producing 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8Treating surfaces of moulds, cores, or mandrels to prevent sti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s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혼합블록 제조방법 및 제조형틀에 관한 것으로서, 황토벽돌, 인조벽돌, 자갈, 타일 및 석재 등과 같은 재료를 하나하나 쌓거나 붙이지 않고 하나의 일체형 블록으로 제조하여 시공이 용이한 일체형 혼합블록 제조방법 및 제조형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체형 혼합블록 제조방법은, 형틀 바닥에 이형분말체를 도포한 후 상기 이형분말체 상부에 복수의 블록표면체를 적층하여 상기 블록표면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체형 혼합블록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체형 혼합블록 제조방법 및 제조형틀{Manufacturing method of monolithic block and mold for manufacturing monolithic block}
본 발명은 일체형 혼합블록 제조방법 및 제조형틀에 관한 것으로서, 황토벽돌, 인조벽돌, 자갈, 타일 및 석재 등과 같은 재료를 하나하나 쌓거나 붙이지 않고 하나의 일체형 블록으로 제조하여 시공이 용이한 일체형 혼합블록 제조방법 및 제조형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골조를 이루는 외벽과 내벽은 단열 및 방습 또는 건물의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시멘트 블록이나 벽돌을 조적하여 시공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07857호에는 종래의 주택의 조적식 외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석재를 이용한 외벽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석재 조적상태를 보인 분리사시도이다.
종래의 조적식 외벽 시공방법은, 기초 콘크리트 위에 벽돌 등을 조적하여 벽체를 형성함에 있어서, 일정 크기의 돌블록(1) 양측의 상,하홈(11)에 끼워지는 핀(2)을 관통시킨 스페이서(3)로 가로 줄눈돌기(B)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돌블록(1) 상부 양측의 수직홈(12a) 외측으로 요홈(12b)을 형성한 안착홈(12)에 꺾쇠핀(4)을 끼워 세로 줄눈돌기(B) 간격은 유지하면서 외벽(7)을 형성한 후, 에폭시(5)를 충전하고 외벽으로부터 줄눈돌기(B)에 실리콘(6)으로 코킹처리한 후, 일정 간격을 두고 안쪽에 ALC블록(8)을 조적하여 내벽(9)을 형성하되, 테크플레이트(D)를 이용하여 콘크리트(240) 슬라브를 형성한다.
이러한 종래의 조적식 외벽 시공방법은 블록을 수작업으로 하나하나씩 쌓아 올려야 하기 때문에 시공이 불편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37788호에는 벽돌조적용 트랙보드 및 그것을 이용한 벽돌조적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도 3은 종래의 벽돌조적용 트랙보드를 이용하여 벽돌을 쌓아 올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종래의 벽돌조적용 트랙보드는, 정해진 크기와 두께를 갖는 육면체 형상의 보드 표면에 수평방향으로 향하는 다수개의 벽돌부착홈(34)이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각 벽돌부착홈(34)의 아래쪽에는 벽돌부착홈에 부착되는 벽돌(36)의 하단면을 받쳐주는 벽돌지지턱(38)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비숙련공이라 하더라도 신속하고 완벽하게 벽돌을 조적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벽돌을 하나하나 수작업으로 조적하여야 하고 상술한 벽돌조적용 트랙보드를 추가적으로 구매 및 시공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황토벽돌, 인조벽돌, 자갈, 타일 및 석재 등과 같은 재료를 하나하나 쌓거나 붙이지 않고 하나의 일체형 블록으로 제조하여 건축물, 구조물 등의 시공이 용이한 일체형 혼합블록 제조방법 및 제조형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체형 혼합블록 제조방법은, 형틀 바닥에 이형분말체를 도포한 후 상기 이형분말체 상부에 복수의 블록표면체를 적층하여 상기 블록표면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체형 혼합블록을 제조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체형 혼합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일체형 혼합블록 제조형틀은, 일체형 혼합블록을 제조하기 위하여 콘크리트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둘러싸는 벽면부에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에는 복수의 줄눈돌기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줄눈돌기에 의해 상기 일체형 혼합블록의 전면에 그림 또는 도형 또는 무늬가 나타난다.
본 발명의 일체형 혼합블록 제조방법 및 제조형틀은 황토벽돌, 인조벽돌, 자갈, 타일 및 석재 등과 같은 재료를 하나의 일체형 블록으로 제조하여 황토벽돌, 인조벽돌, 자갈, 타일 및 석재 등과 같은 재료를 하나하나 쌓거나 붙이지 않고 일체형 블록을 이용함으로써 이러한 복수의 일체형 블록을 연결하여 쉽게 벽 등의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석재를 이용한 외벽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석재 조적상태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벽돌조적용 트랙보드를 이용하여 벽돌을 쌓아 올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형분말체 도포단계 및 블록표면체(자갈) 적층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삽입단계 및 콘크리트 충전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일체형 혼합블록(자갈)을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일체형 혼합블록을 연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혼합블록 제조형틀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복수의 일체형 혼합블록을 연결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형분말체 도포단계 및 블록표면체(벽돌) 적층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조를 갖는 벽돌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일체형 혼합블록(벽돌)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일체형 혼합블록(자갈)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이하,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혼합블록 제조방법 및 제조형틀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혼합블록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틀(100) 바닥에 정량의 이형분말체(210)를 도포한다. 이형분말체(210)는 흙, 모래, 석회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이형분말체(210)는 말라도 굳지 않으며 쉽게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형틀(100) 내부에 도포되어 있는 이형분말체(210) 상부에 블록표면체(220)를 적층한다. 블록표면체(220)는 일반 벽돌, 황토 벽돌, 타일 및 천연 자갈, 분수 자갈, 석재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블록표면체(220)는 일체형 혼합블록의 제조완료 후 일체형 혼합블록의 표면(전면)으로 노출된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틀(100) 및 형틀(100) 내부 수용공간을 관통하도록 철근(230)을 삽입한다.
그리고 형틀(100) 내부에 콘크리트(240)를 충전한 후, 콘크리트(240) 양생이 완료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틀(100)을 해체하고 이형분말체(210)를 제거한다. 이형분말체(210)는 물을 분사하여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수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콘크리트를 형틀(100)의 수용공간에 넣으면 골재, 모래 물 속에 포함된 14.7%의 시멘트 물이 먼저 블록표면체(220)를 덮어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벽돌, 석재, 자갈 등과 같은 블록표면체(200)를 형틀(100)에 넣고 블록표면체(200)가 표면으로 노출되도록 일체형 혼합블록(300)을 만들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이형분말체(210)는 콘크리트 속에 있는 시멘트에 의해 블록표면체(200)가 완전히 덮히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형틀(100) 바닥에 먼저 넣는다. 이러한 이형분말체(210)는 분말 형태로 넣거나 또는 흙, 석회 등을 반죽하여 넣는다.
이형분말체(210)를 형틀(100)에 먼저 넣고 콘크리트(240)를 넣어 일체형 혼합블록(300)을 만들면, 이형분말체(210)가 콘크리트(240)에 포함되어 있는 시멘트 물이 바닥부(100a)에 먼저 도착하여 블록표면체(200)를 덮어 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말 또는 반죽 형태의 흙, 석회 등은 콘크리트(240)에 포함되어 있는 시멘트 물이 침투할 수 없고 제거하기 쉽다.
이와 같이 제조된 일체형 혼합블록(300)은 전면부(310)와 배면부(320)로 구분할 수 있다. 전면부(310)는 블록표면체(220)가 전방으로 노출되고, 배면부(320)는 전면부(310)의 후방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배면부(320)에 철근(230)이 관통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배면부(320)는 전면부(310)와 연결되는 부분의 면적이 전면부(310)의 전면 면적보다 작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일체형 혼합블록(300)을 연결할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전면부(310)가 서로 접촉하도록 나란히 위치하면 두 개의 서로 다른 배면부(320) 사이에 충전공간(A)이 형성된다. 그리고 배면부(320)를 각각 관통하여 돌출되는 철근(230)을 서로 연결하고, 충전공간(A)으로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건물의 벽 등을 쉽게 제작할 수 있다. 도 8은 복수의 일체형 혼합블록(300)을 연결한 구조물로서 건물의 벽 등이 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혼합블록 제조형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체형 혼합블록 제조형틀은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00a) 및 네 벽면부(100b)로 이루어져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수용공간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형분말체(210), 블록표면체(220) 및 콘크리트(240)가 수용된다.
그리고 네 벽면부(100b)의 내측에는 각각 바닥부(100a)로부터 이격되는 돌출부(110)가 장착된다. 이러한 돌출부(110)에 의해 수용공간은 상부 공간이 하부 공간보다 좁게 형성된다. 또한, 돌출부(110)에 의해 일체형 혼합블록(300)의 배면부(320) 주위에 충전공간(A)이 형성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0)에 의해 배면부(320)와 배면부(320) 사이에 충전공간(A)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돌출부(110)는 철판으로 이루어진 벽면부(100b)에 용접하여 부착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든 두 개의 벽면부(100b-1)에 형성되는 돌출부(110)의 크기와 서로 마주보는 다른 두 개의 벽면부(100b-2)에 형성되는 돌출부(110)의 크기가 다르다. 도 8(b)에서는 벽면부를 구분하기 위하여 100b-1과 100b-2로 표시하였다. 이에 따라 두 개의 벽면부(100b-1)를 먼저 바닥부(100a)에 결합시킨 후, 나머지 두 개의 벽면부(100b-2)를 바닥부(100a)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네 벽면부(100b)는 서로 볼트로 연결하여 일체형 혼합블록 제조형틀(100)을 완성한다.
그리고 벽면부(100b)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으로 철근(230)을 삽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삽입공(120)이 형성된다. 삽입공(120)을 통해 철근(230)을 배면부(320)를 교차하여 관통하도록 삽입할 수 있다.
한편, 블록표면체(220)로서 벽돌, 타일, 석재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때, 이러한 블록표면체(220)가 바닥부(100a)에 정렬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00a)에는 복수의 줄눈돌기(B)가 돌출형성된다.
복수의 줄눈돌기(B)는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줄눈돌기(B) 사이에 벽돌, 석재 등의 블록표면체(220)를 배치하여 블록표면체(220)를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형틀(100) 제거 후, 줄눈돌기(B)에 의해 형성된 공간인 블록표면체(220)와 블록표면체(220) 사이로 콘크리트(240)가 삽입되어 복수의 블록표면체(220)를 서로 접착시킨다. 즉 벽돌과 벽돌 사이 또는 석재와 석재 사이에 콘크리트(240)가 삽입되어 서로 접착시킨다.
그리고 블록표면체(220)로서 벽돌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벽돌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작된 별돌은 후방에 특수한 결합구조가 형성됨으로써 콘크리트(240)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석재에 앵커볼트를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결합구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한편, 줄눈돌기(B)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줄눈돌기(B)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줄눈돌기(B) 사이에 블록표면체(220)를 채워넣음으로써, 일체형 혼합블록(300)의 전면에 줄눈돌기(B) 및 석재, 자갈 등과 같은 블록표면체(220)에 의한 그림 또는 도형 또는 무늬가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일체형 혼합블록(벽돌)의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형태로 복수의 일체형 혼합블록을 연결하여 벽 등의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혼합블록 제조방법 및 제조형틀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형틀, 100a : 바닥부, 100b : 벽면부, 110 : 돌출부, 120 : 삽입공,
210 : 이형분말체, 220 : 블록표면체, 230 : 철근, 240 : 콘크리트,
300 : 일체형 혼합블록, 310 : 전면부, 320 : 배면부,

Claims (4)

  1. 형틀 바닥에 이형분말체를 도포한 후 상기 이형분말체 상부에 복수의 블록표면체를 적층하여 상기 블록표면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일체형 혼합블록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혼합블록 제조방법.
  2. 일체형 혼합블록을 제조하기 위하여 콘크리트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둘러싸는 벽면부에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혼합블록 제조형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에는 복수의 줄눈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혼합블록 제조형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줄눈돌기에 의해 상기 일체형 혼합블록의 전면에 그림 또는 도형 또는 무늬가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혼합블록 제조형틀.
KR1020180014384A 2018-02-06 2018-02-06 일체형 혼합블록 제조방법 및 제조형틀 KR201900948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384A KR20190094804A (ko) 2018-02-06 2018-02-06 일체형 혼합블록 제조방법 및 제조형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384A KR20190094804A (ko) 2018-02-06 2018-02-06 일체형 혼합블록 제조방법 및 제조형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804A true KR20190094804A (ko) 2019-08-14

Family

ID=67622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384A KR20190094804A (ko) 2018-02-06 2018-02-06 일체형 혼합블록 제조방법 및 제조형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480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7057B1 (ko) 건축용 블록
US4774793A (en) Glass block panel construction and device for use in same
US8601758B2 (en) Interlocking construction blocks
US9068351B1 (en) Interlocking construction blocks
KR100907112B1 (ko) 건축용 프리캐스트 블록
US20080057801A1 (en) Block wall construction system including use of clip retainers
US20060117699A1 (en) Building block
BR112014020957A2 (pt) sistema modular pré-fabricado em concreto armado para construção de edifícios
KR100304861B1 (ko) 건축용단열프리캐스트콘크리트판넬
US20090217613A1 (en) Wall Element
KR101779878B1 (ko) 조립식 벽돌 건식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20190094804A (ko) 일체형 혼합블록 제조방법 및 제조형틀
CZ2011646A3 (cs) Stavebnicový systém pro presnou výstavbu
CN108661206A (zh) 二次结构砌筑墙体自隔声保温构造及其施工方法
WO2007136287A1 (en) Construction elements and mounting procedures
US2711096A (en) Building block construction
KR100653259B1 (ko) 모르타르레스 중공 콘크리트 블록
KR200443596Y1 (ko) 조적식 황토벽돌의 구조
KR100650017B1 (ko) 에스아이비공법 건축물 시공방법
RU2270302C1 (ru) Комплект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и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стен здания сооружения
CN218405907U (zh) 一种新型建筑结构
KR20020037637A (ko) 조립식 콘크리트블록 및 황토 패널 제조 방법
KR200243188Y1 (ko) 스티로폼이 내재된 벽돌
JP2002201757A (ja) 化粧板ブロック及びその構造体
RU2431023C2 (ru) Облегченный изоляционный строительный бло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