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249B1 -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사면보강벽 및 그 공법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사면보강벽 및 그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249B1
KR101609249B1 KR1020140062066A KR20140062066A KR101609249B1 KR 101609249 B1 KR101609249 B1 KR 101609249B1 KR 1020140062066 A KR1020140062066 A KR 1020140062066A KR 20140062066 A KR20140062066 A KR 20140062066A KR 101609249 B1 KR101609249 B1 KR 101609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helf
slope
precas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2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5659A (ko
Inventor
박용석
Original Assignee
(주)주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주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주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062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249B1/ko
Publication of KR20150135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사면보강벽 및 그 공법에 관한 것으로, 기초부(10)는 설치위치의 사면하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반부는 바닥 지반에 평행하게 타설되고 후반부는 사면 경사각에 대해 이루는 각도 θ1 이 85°내지 90°로 타설되고, 벽체부(20)는 상기 기초부(10)의 후반부 상면에 프리캐스트 벽판들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사면 경사각에 대해 이루는 각도 θ2가 0°내지 10°로 좌우로 연결조립되여 형성된다. 프리캐스트(Precast)벽판(21)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수직 철근 조립체(30)가 기초부(10)에 일정간격마다 상방으로 사면 경사각과 평행한 각으로 길게 노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벽체부(20)의 상단부에서 벽체연결용 수직철근 조립체(30)에 일체로 연결되고, 선반부(40)는 선반용 수평철근 조립체(50)에 콘크리트 타설하여 상기 기초부(10)의 후반부에 평행하게 성형되어 사면지반의 절토면(200)내에 매설정착되는 선반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1층 벽체부(20)의 위로 상기 벽체부(20)와 다수의 수직 철근 조립체(30)및 선반부(40)가 다수의 층으로 반복형성되어 토압에 대한 저항성을 더욱 증가시키고, 되메우기 토사의 량이 50% 이하로 소요되어 경제적인 효과와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사면보강벽 및 그 공법{slope retaing wall using precast concrete and method therefore}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사면보강벽 및 그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사용하여 다수의 층으로 경사면을 따라 기울어지게 사면 보강벽을 축조하여 되메우기 토사의 량을 감소시켜 경제적인 효과와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사면보강벽 및 그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토압력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못하게 만든 벽체로, 땅깎기 또는 흙 쌓기를 한 비탈면이 흙의 압력으로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한 벽체를 말한다.
이런 옹벽은 시공지역의 토사를 절토하거나 또는 산간지역의 계곡부 및 낮은 지역을 메우기 위해 철근 및 패널 등으로 거푸집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그 배면에 토사 및 쇄석을 채워 축조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러한 철근콘크리트의 옹벽은 성형 및 양생 등으로 인하여 비용 및 공기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역학적 허용응력의 확보가 용이하지 않을 경우도 있다.
한편, 근래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외관상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게 되는 블록형 옹벽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블록형 옹벽구조는 옹벽이 상호 결합 됨에 있어서, 상호 간의 결합력을 높여 주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없는 것에 의하여 구조물이 불안정한 상태를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블록형 옹벽은 중량감이 없으며 블록형 옹벽 간의 상하·좌우 결합이 약하고 불안정하여 수평 토압을 견디기 어려움으로써 전체적인 경사벽 축성은 거의 불가능하므로, 계단벽 형태의 축성으로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사면 안정화를 위하여 공사현장에서 옹벽용 PC 벽판을 현장제품으로 제작하여 선반식 옹벽을 설치하는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084615 호(2008.04.17. 등록)로 "피씨벽판을 이용한 선반식 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을 제안한 바 있다.
이 선특허 피씨벽판을 이용한 선반식 옹벽 및 그의 시공방법의 기술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위치의 사면 하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바닥 지반 내 매설된 기초콘크리트판(1a)과 상기 기초콘크리트판 내에 정착되어 일정간격마다 상측으로 벽체연결용 수직철근 조립체들이 길게 노출되게 형성되는 기초부(1)와, 상기 기초부의 상면에 PC 벽판들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좌우로 연결 조립되는 벽체부(2)와, 상기 벽체부의 일정 위치에서 벽체연결용 수직철근 조립체에 일체로 연결되는 선반용 수평철근 조립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성형된 선반부(9)가 사면 지반 내 매설 정착되는 선반식 옹벽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2)는 좌우측 모서리면에 각각 돌출턱과 끼움홈이 형성되고 전면이 평탄한 판체(3)와, 상기 판체(3)의 후면 좌우 양단 부근에 각각 위치하면서 서로 대칭을 이루어 상하로 세워지는 지지벽(6a)(6b)및 측방 돌출부(7a)(7b)를 형성한 콘크리트 PC 벽판(2A,2B)들을 조립 연결하면서 좌우 인접 PC 벽판들과의 연결부 사이에서 컬럼(26 8)을 형성하여 상기 기초부(1)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선반부(9)는 일측단이 PC 벽판(2A, 2B)들 간의 연결부 사이에 형성된 컬럼(8)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벽체부(2)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피씨벽판을 이용한 선반식 옹벽구조는, 상기 피씨벽판이 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됨으로써 피씨벽판과 절토면 사이에 되메우기 작업시에 되메우는 토사의 량이 불필요하게 많이 소요되고, 되메우는 토사의 량이 많이 소요됨에 따라 되메우기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도 많이 소요되어 공사기간의 증가요인으로 작용하고, 수직으로 세워지는 피씨벽판에 의해 시공의 효율성 저하를 초래하며, 경제적으로도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한국등록특허 제10-0824713호(2008.04.17. 등록) [특허문헌 2]한국등록특허 제10-1084615호(2011.11.11. 등록) [특허문헌 3]한국등록특허 제10-1254145호(2013.04.08.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사용하여 다수의 층으로 경사면을 따라 기울어지게 사면 보강벽을 축조하여 되메우기 토사의 량을 감소시켜 경제적인 효과와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사면보강벽 및 그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씨벽판의 좌우 양단 위치에 지지기둥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조인트 부분에서의 지지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피씨벽판의 현장 제작의 용이성과 함께 설치 시공의 용이성을 도모하고, 또한 피씨벽판의 양단부 위치에 고정단을 형성함으로써 피씨벽판의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사면보강벽 및 그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사면 보강벽은, 사면 하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반부는 바닥 지반에 평행하게 타설되고 후반부는 경사진 절토면에 대해 이루는 유사한 각도로 기울어져 타설되는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의 후반부 상면에 다수의 프리캐스트(Precast)벽판들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좌우로 연결조립되는 벽체부와; 상기 기초부에 일정간격마다 상방으로 사면 경사각과 평행한 각으로 길게 노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프리캐스트(Precast)벽판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수직 철근 조립체와; 상기 벽체부의 상단부에서 벽체연결용 수직철근 조립체에 일체로 연결되는 선반용 수평철근 조립체에 콘크리트 타설하여 사면지반 내에 매설정착되는 선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층 사면보강 벽체부와, 상기 제1층 사면보강 벽체부의 위로 상기 벽체부와 다수의 수직 철근 조립체 및 선반부가 다수의 층으로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기초부의 후반부는 사면 경사각에 대해 상기 경사진 절토면에 대해 이루는 각도가 θ1 이 85°내지 90°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기초부의 후반부 상면에 프리캐스트 벽판들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경사진 절토면에 대해 이루는 각도 θ2가 0°내지 10°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선반부의 윗면 경사각은 상기 기초부 후반부의 윗면의 경사각과 동일한 θ2의 각으로 설정하여 상기 선반부의 윗면과 상기 기초부의 후반부의 윗면이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사면 보강방법은(a)지반에 터파기를 수행하고, 거푸집을 설치하여 사면 하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반부는 바닥 지반에 평행하게 타설되고 후반부는 경사진 절토면에 대해 이루는 각도 θ1 이 85°내지 90°로 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부를 형성하는 단계와;(b)상기 기초부의 후반부에 다수의 프리캐스트(Precast)벽판을 세워 조립설치하고 상기 프리캐스트 벽판의 좌우 양측단에 철근 조립체를 세워 기둥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다수의 프리캐스트 벽판으로 구성되는 벽체부를 형성하는 단계와;(c)상기 벽체부와 절토면 사이의 배면부에 토사를 채우고 다짐하여 되메우기 공사를 시공하고, 상기 되메우기 부분의 윗면에 2층 선반부를 형성하고, 상기 기초부 앞에 토사를 덮어 성토하는 단계와;(d)상기 2층 선반부의 윗면에 2층을 형성하는 다수의 프리캐스트 벽판을 세워 조립설치하고 상기 2층 프리캐스트 벽판의 좌우 양측단에 철근 조립체를 세워 2층 기둥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2층 벽체부를 형성하는 단계와;(e)상기 2층 벽체부의 배면부에 토사를 채우고 다짐하여 되메우기하고, 3층 선반부를 상기 단계(c)의 2층 선반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형성하는 단계와;(f)상기 3층 선반부가 완성되면 상기 단계(e)에서 설명한 2층 벽체부를 시공하는 공정과 마찬가지로 3층 이상의 벽체부도 동일한 공정으로 시공하며, 설계된 층수까지 벽체부가 완성되면 최상층의 벽체부와 그 최상층의 배면부에 토사로 되메우기 하여 사면 보강벽을 완성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사용하여 다수의 층으로 경사면을 따라 기울어지게 사면 보강벽을 축조하여 지반을 터파기하고, 그 안에 최하단의 옹벽을 일정 깊이로 삽입한 후 앞뒤를 채움으로써 토압에 대한 저항성을 더욱 증가시키고, 되메우기 토사의 량이 50% 이하로 소요되어 경제적인 효과와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피씨벽판을 이용한 선반식 옹벽을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사면 보강벽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사면 보강벽의 제1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종단면도,
도 4a 내지 도 4d에 본 발명에 의한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사면 보강벽의 공정 중 기초부 제작공정을 나타내는 시공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사면 보강벽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본 발명에 의한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사면 보강벽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3에 본 발명에 의한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사면 보강벽의 제1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종단면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사면 보강벽(100)은 설치위치의 사면하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반부(前半部)는 바닥 지반에 평행하게 타설되고 후반부(後半部)는 사면 경사각에 대해 이루는 각도 θ1 이 85°내지 90°로 타설되는 기초부(10)와; 상기 기초부(10)의 후반부 상면에 프리캐스트(Precast)벽판(21)들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사면 경사각에 대해 이루는 각도 θ2가 0°내지 10°로 좌우로 연결조립되는 벽체부(20)와; 상기 기초부(10)에 일정간격마다 상방으로 사면 경사각과 평행한 각으로 길게 노출되게 형성되어 프리캐스트(Precast)벽판(21)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수직 철근 조립체(30)와; 상기 벽체부(20)의 상단부에서 벽체연결용 수직철근 조립체(30)에 일체로 연결되는 선반용 수평철근 조립체(50)에 콘크리트 타설하여 상기 기초부(10)의 후반부에 평행하게 성형되어 사면지반(200)내에 매설정착되는 선반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층 벽체부(20)의 위로 상기 벽체부(20)와 다수의 수직 철근 조립체(30)및 선반부(40)가 다수의 층으로 반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기초부(10)는 설치위치의 사면 하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반부(11)는 바닥 지반에 평행하게 타설되고 후반부(12)는 사면 경사각에 대해 85°내지 수직으로 타설되어 후반부(12)의 상면 경사에 설치되는 벽체부(20)를 지지한다.
벽체부(20)는 상기 기초부(10)의 후반부 상면에 다수의 프리캐스트(Precast)벽판(21)들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경사면(200)에 대해 0° 내지 10°이하의 각을 이루면서 좌우로 연결조립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도 3b에 도시된 종래의 기술에 의해 벽체부를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는 사면 보강벽에 비해 되메우기 토사의 량이 50% 이하로 소요되어 경제적인 효과와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a 내지 도 4f에 본 발명에 의한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사면 보강벽의 공정 중 기초부 제작공정을 나타내는 시공도가 도시된다.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 보강벽(100)을 시공하려는 경계선을 따라 절토부를 절취하여 경사진 절토면(200)을 형성하고, 지반(210)에 터파기를 수행함과 동시에 터파기 공간에 버림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거푸집을 설치하여 사면 하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반부(11)는 바닥 지반에 평행하게 타설되고 후반부(12)는 경사진 절토면(200)에 대해 이루는 각도 θ1 이 85°내지 90°로 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부(10)를 형성하고 상기 기초부(10)에 철근 조립체(30)를 세워 설치한다(단계 S1).
상기 기초부(10)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기초부(10)의 후반부(12)에 크레인 등의 장비(300)를 사용하여 다수의 프리캐스트(Precast)벽판(21)을 병렬로 세워 조립설치하고 상기 프리캐스트(Precast)벽판(21)과 프리캐스트(Precast)벽판(21)의 사이 좌우 양측단에 철근 조립체(30)를 세워 기둥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다.
이때 상기 기초부(10)의 후반부(12)는 경사진 절토면(200)에 대해 85°내지 90°각도를 이루고 있으므로 상기 기초부(10)의 후반부(12)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상기 프리캐스트(Precast)벽판(21)들로 구성되는 벽체부(20)는 경사진 절토면(200)과 거의 평행하거나 10°이하의 각도를 이루므로 상기 벽체부(20)는 경사진 절토면(200)사이에 채워지는 되메우기 토사(210)의 량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수직 벽체부에 비해 50% 이상의 절감효과를 가져온다.
그리고 벽체부(20)의 배면부에 드레인 보드를 부착하고 상기 크레인 등의 장비(300)를 사용하여 벽체부(20)와 절토면(200)사이의 배면부에 토사를 채우고 다짐하여 되메우기 공사를 시공하고, 기초부(10)앞에 토사(15)를 덮어 성토한다(단계 S2).
상기 단계 S2에서 벽체부(20)와 절토면(200)사이의 배면부에 토사를 채우고 다짐하여 되메우기 공사가 완료되면 되메우기 부분의 윗면에 2층 선반부(40)를 시공하기 위해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을 조립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2층 선반부(40)를 형성한다(단계 S3).
여기서 2층 선반부(40)에 시공되는 프리캐스트(Precast)벽판(21)들을 지지하는 기둥을 설치하기 위한 철근 조립체(30)를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용 철근을 일정 길이 돌출시켜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상기 2층 선반부(40)의 윗면 경사각은 상기 기초부(10)후반부(12)의 윗면의 경사각과 동일한 θ2의 각으로 설정하여 상기 선반부(40)의 윗면과 후반부(12)의 윗면이 평행하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2층 선반부(40)의 윗면에 세워지는 2층의 프리캐스트(Precast)벽(21)에 의해 가해지는 중량이 상기 기초부(10)후반부(12)의 윗면에 수직으로 전달되어 지지되게 한다.
2층 선반부(40)가 완성되면 상기 단계 S2에서 상기 기초부(10)의 후반부(12)에 다수의 프리캐스트(Precast)벽판(21)을 세워 조립설치하고 상기 프리캐스트(Precast)벽판(21)을 지지하는 철근 조립체(30)를 세워 기둥부 콘크리트를 설치하는 공정과 동일하게 다수의 프리캐스트(Precast)벽판(21)과 기둥부 콘크리트를 설치한다.
즉, 2층 선반부(40a)의 윗면에 크레인 등의 장비(300)를 이용하여 2층을 형성하는 다수의 프리캐스트(Precast)벽판(21b)을 세워 조립설치하고 상기 2층 프리캐스트(Precast)벽판(21b)의 좌우 양측단에 철근 조립체(30b)를 세워 2층 기둥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다.
이때도 1층 벽체부(20a)와 마찬가지로 2층 벽체부(20b)도 경사진 절토면(200)과 거의 평행하거나 10°이하의 각도를 이루므로 상기 2층 벽체부(20b)도 경사진 절토면(200)사이에 채워지는 되메우기 토사(210)의 량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수직 벽체부에 비해 50% 이상의 절감효과를 가져온다.
2층 벽체부(20b)의 배면부에도 드레인 보드를 부착하고 상기 크레인 등의 장비(300)를 사용하여 2층 벽체부(20b)와 절토면(200)사이의 배면부에 토사를 채우고 다짐하여 되메우기 공사를 시공하고, 3층 선반부(40c)를 단계 S3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형성한다(단계 S4).
3층 선반부(40c)가 완성되면 상기 단계 S4에서 설명한 2층 벽체부(20b)를 시공하는 공정과 마찬가지로 3층 이상의 벽체부(20c)도 동일한 공정으로 시공하며, 설계된 층수까지 벽체부(20)가 완성되면 최상층의 벽체부(20)와 그 최상층의 배면부에 토사로 되메우기 하여 사면 보강벽(100)을 완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을 형성하는 기술사상에 대한 것인 한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기초부 11: 전반부
12: 후반부 20: 벽체부
21: 프리캐스트(Precast)벽체 30: 철근 조립체
40: 선반부 50: 선반용 수평철근 조립체
100: 사면 보강벽 200: 절토면

Claims (5)

  1. 전반부는 경사진 절토면 하단부의 바닥 지반에 평행하게 타설되고 후반부는 경사진 절토면에 대해 85°~ 90°의 각도(θ1)로 기울어져 타설되는 기초부;
    다수의 프리캐스트 벽판들이 상기 기초부의 후반부의 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좌우로 연결조립되는 벽체부;
    상기 기초부에 일정 간격으로 상방으로 설치되며, 상기 경사진 절토면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프리캐스트벽판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수직 철근 조립체; 및
    상기 다수의 수직 철근 조립체와 연결되는 선반용 수평 철근 조립체에 콘크리트 타설하여 상기 벽체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후반부가 바닥 지반과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전반부는 상부 공간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선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초부 및 상기 선반부는 그 형태는 동일하며, 상기 전반부의 면에 대해 상기 후반부의 면은 일정한 각도 기울어져 있으며,
    상기 선반부의 전반부의 상부 방향으로 상기 벽체부, 상기 다수의 수직 철근 조립체 및 상기 선반부가 반복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사면 보강벽.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의 후반부 상면에 프리캐스트 벽판들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경사진 절토면에 대해 이루는 각도 θ2가 0°내지 10°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사면 보강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부의 윗면 경사각은 상기 기초부 후반부의 윗면의 경사각과 동일한 θ2의 각으로 설정하여 상기 선반부의 윗면과 상기 기초부의 후반부의 윗면이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사면 보강벽.
  5. (a) 지반에 터파기를 수행하고, 거푸집을 설치하여 사면 하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반부는 바닥 지반에 평행하게 타설되고 후반부는 경사진 절토면에 대해 이루는 각도 θ1 이 85°내지 90°로 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부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기초부의 후반부에 다수의 프리캐스트(Precast)벽판을 세워 조립설치하고 상기 프리캐스트 벽판의 좌우 양측단에 철근 조립체를 세워 기둥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다수의 프리캐스트 벽판으로 구성되는 벽체부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벽체부와 절토면 사이의 배면부에 토사를 채우고 다짐하여 되메우기 공사를 시공하고, 후반부의 면은 상기 되메우기 부분의 윗면과 수평이 되도록 하고 전반부의 면은 상부 공간을 향하도록 선반부를 설치하고, 상기 기초부 앞에 토사를 덮어 성토하는 단계;
    (d) 상기 선반부의 윗면에 2층을 형성하는 다수의 프리캐스트 벽판을 세워 조립설치하고 상기 2층을 형성하는 다수의 프리캐스트 벽판의 좌우 양측단에 철근 조립체를 세워 2층 기둥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2층 벽체부를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2층 벽체부의 배면부에 토사를 채우고 다짐하여 되메우기한 후, 3층 선반부를 상기 단계(c)의 공정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형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3층 선반부가 완성되면 상기 단계(e)에서 설명한 2층 벽체부를 시공하는 공정과 마찬가지로 3층 이상의 벽체부도 동일한 공정으로 시공하며, 설계된 층수까지 벽체부가 완성되면 최상층의 벽체부와 그 최상층의 배면부에 토사로 되메우기 하여 사면 보강벽을 완성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사면 보강방법.
KR1020140062066A 2014-05-23 2014-05-23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사면보강벽 및 그 공법 KR101609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066A KR101609249B1 (ko) 2014-05-23 2014-05-23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사면보강벽 및 그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066A KR101609249B1 (ko) 2014-05-23 2014-05-23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사면보강벽 및 그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659A KR20150135659A (ko) 2015-12-03
KR101609249B1 true KR101609249B1 (ko) 2016-04-06

Family

ID=54871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066A KR101609249B1 (ko) 2014-05-23 2014-05-23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사면보강벽 및 그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2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520B1 (ko) 2019-01-21 2019-12-02 (주)서진보강기술공사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56622B2 (en) 2016-03-30 2018-01-02 Robert Gordon McIntosh Retaining wall system, method of supporting same, and kit for use in constructing same
CA183952S (en) 2018-10-05 2019-08-12 Rocky Mountain Stone Works Ltd Block for a retaining wall
CN109267578B (zh) * 2018-11-09 2023-12-08 北京城建五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斜面素混凝土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4571A (ja) * 1999-01-18 2000-07-25 Sankyo Block:Kk 擁壁構築法
KR101306626B1 (ko) * 2013-03-04 2013-09-11 기찬토건(주) 블럭을 이용한 옹벽 및 그 축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4571A (ja) * 1999-01-18 2000-07-25 Sankyo Block:Kk 擁壁構築法
KR101306626B1 (ko) * 2013-03-04 2013-09-11 기찬토건(주) 블럭을 이용한 옹벽 및 그 축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520B1 (ko) 2019-01-21 2019-12-02 (주)서진보강기술공사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659A (ko) 2015-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4900B1 (en) Prefabricated concrete wall system
EP1002911A2 (en) Modular concrete building system
US20110131892A1 (en) Green Precast Mold
KR101609249B1 (ko)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사면보강벽 및 그 공법
US8153046B2 (en) Wall forming system
US8827235B1 (en) Concrete form for building foundation construction with form insert creating recessed sections
US5226276A (en) Free standing wall construction, a method of constructing same, and a precast elongated construction member
KR20130006420A (ko) 신설 지하 구조물의 시공 방법
US7165916B2 (en) Method of on-site construction of concrete column and panel fence system
KR10127854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 매립형 피씨 월 및 상기 피씨 월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KR101668521B1 (ko) 다층 건축물의 지하층 콘크리트의 시공방법
US20090217613A1 (en) Wall Element
KR101327785B1 (ko) 건물의 코어부 역타시공방법
CN107761759B (zh) 一种l型混凝土挡墙
CN115807561A (zh) 超高页岩清水砖镂空装饰花墙的连接加固构造及其工法
CN105756377A (zh) 一种泳池及其施工方法
KR20110042160A (ko) 건축용 석재블록 및 그 조적방법
KR100531180B1 (ko) 표면에 자연석이 매입된 판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옹벽블록 및 그 제조 방법
CN211228589U (zh) 支挡结构
KR20160006305A (ko) 옹벽블록 및 그를 이용한 건축물시공방법
KR101457070B1 (ko) 피씨 구조물용 인버티드 리브 슬래브
CN112411616A (zh) 扶壁式挡墙
JP2005023777A (ja) 強化化粧パネル
KR101925956B1 (ko) 벽체 시공용 블록 및 중공형 판재 기둥을 이용한 코너 연결구조
KR101361116B1 (ko) 담장 삽입형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