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520B1 -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 - Google Patents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520B1
KR102047520B1 KR1020190007780A KR20190007780A KR102047520B1 KR 102047520 B1 KR102047520 B1 KR 102047520B1 KR 1020190007780 A KR1020190007780 A KR 1020190007780A KR 20190007780 A KR20190007780 A KR 20190007780A KR 102047520 B1 KR102047520 B1 KR 102047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 surface
bundle
coupled
base support
retain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7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춘아
김순정
Original Assignee
(주)서진보강기술공사
(주)도경종합건설
(주)경림조경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진보강기술공사, (주)도경종합건설, (주)경림조경건설 filed Critical (주)서진보강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190007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5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1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은 절토면에 의한 압력 또는 절토면을 따라 발생되는 외력에 저항하여 절토면에 분포된 흙, 바위, 나무 등이 절토면을 벗어나 유실되지 않도록 하되, 배수력을 증가시키고, 지반의 흔들림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은 적층지지부, 베이스지지부 및 밀림방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Concrete Retaining Wall Reinforced with Soft Earth}
본 발명은 절토면에 의한 압력 또는 절토면을 따라 발생되는 외력에 저항하여 절토면에 분포된 흙, 바위, 나무 등이 절토면을 벗어나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산지에 인접한 도로를 확장하거나 산지를 가로지르는 터널을 시공할 때에는 그 확장한 도로나 가로지른 터널의 측면에 절토면이 형성된다. 도로 절개지라고도 일컬어지는 절토면은 경사진 하단부에 낙석방지책 내지 콘크리트 옹벽이 설치된다.
낙석방지책 및 콘크리트 옹벽 등의 절토면 보강용 구조물은 절토면의 일부가 무너져 내리거나 절토면의 경사를 따라 빗물이 흐르면, 그 절토면의 일부를 지지하거나 빗물을 배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 콘크리트 옹벽은, 절토면의 압력 또는 절토면을 따라 발생되는 외력에 대해 큰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각종 도로에 많이 활용되는 추세이다.
종래의 콘크리트 옹벽은 절토면의 바닥면과 수직한 위치에 복수의 패널이 배치되고, 그 패널들의 하부에 베이스 블럭이 결합된 형태를 이루었다. 또한 종래의 콘크리트 옹벽은 복수의 패널 중 상부에 위치한 패널과 그 하부에 위치한 패널이 각기 다른 돌출부와 삽입부로 결합되었으며, 상하부에 위치하여 상호 결합된 패널의 돌출부 및 삽입부 틈새로 빗물이 배수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콘크리트 옹벽은 돌출부의 양면이 삽입부의 입구쪽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이므로, 그 밀착된 부분이 오히려 기밀을 유지하는 기능을 하게 되어, 돌출부의 선단과 삽입부의 바닥 사이 공간인 배수홈으로 물이 새어 들지 않아 배수성이 상당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콘크리트 옹벽은 지진 등의 자연재해로 인해 지반이 흔들릴 경우, 베이스 블럭만으로는 그 지진으로 인해 발생되는 흔들림에 저항하기 어렵다는 구조적인 단점이 있었다.
(1) KR 등록특허공보 제10-0997727호(2010.12.01.) (2) KR 등록특허공보 제10-1609249호(2016.04.06.) (3) KR 등록특허공보 제10-1680229호(2016.11.28.) (4) KR 등록특허공보 제10-1821606호(2018.01.2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절토면에 의한 압력 또는 절토면을 따라 발생되는 외력에 저항하여 절토면에 분포된 흙, 바위, 나무 등이 절토면을 벗어나 유실되지 않도록 하되, 배수력을 증가시키고, 지반의 흔들림에 대응하기 위한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은 복수의 적층지지부, 복수의 베이스지지부 및 복수의 밀림방지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상기 적층지지부는 절토면의 경사진 하단부에 적층된다. 복수의 상기 베이스지지부는 복수의 상기 적층지지부 중 하부에 위치한 상기 적층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절토면의 하단부에 고정된다. 복수의 상기 밀림방지부는 복수의 상기 베이스지지부 외측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절토면의 경사진 하단부를 향하는 사선방향으로 일부 삽입된 복수의 사선고정대 상부 각각에 결합되며, 상기 절토면에 의한 압력 및 상기 절토면을 따라 발생되는 외력이 상기 적층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지지부에 가해지면, 상기 베이스지지부가 상기 압력 및 상기 외력에 의해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적층지지부는 제 1 패널 및 제 2 패널을 포함한다. 제 1 패널은 상기 적층지지부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패널은 상기 적층지지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패널의 중심축에서 어긋나게 결합되며, 상기 제 1 패널과 결합되는 일측의 둘레방향을 따라 제 1 배수홈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지지부는 상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배수홈과 연결되는 제 2 배수홈이 형성되고, 측면에서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 2 배수홈과 연결되는 제 3 배수홈이 형성된다. 상기 밀림방지부는 제 1 및 제 2 위치조정뭉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위치조정뭉치는 상기 사선고정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지지부를 상기 절토면의 하단부에 고정시킨다. 상기 제 2 위치조정뭉치는 상기 제 1 위치조정뭉치가 배치된 상기 사선고정대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사선고정대의 상부에 삽입 결합하고, 일측 단부가 상기 제 1 위치조정뭉치에 끼움고정되어 상기 베이스지지부에 가해지는 상기 압력 및 상기 외력을 저항한다.
상기 제 1 패널은 중심부에 몰탈 충진구가 형성되고, 상기 몰탈 충진구의 입구에 형성된 걸림턱을 갖는 안착면에 몰탈주입구 및 배기구가 관통형성된 커버패널이 결합된다.
상기 적층지지부의 저면과 상기 베이스지지부의 상면에는, 각각 고정핀이 공유되어 삽입되도록 상호 일치되는 제 1 및 제 2 고정핀 삽입홈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 1 위치조정뭉치는 상기 베이스지지부에 접촉하는 면에서 돌출방향으로 상면이 하방으로 기울어진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위치조정뭉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 형상으로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하여 제 1 이동홀이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사선고정대가 상기 절토면의 경사진 하단부 상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면, 장공 형상의 제 1 이동홀을 관통하여 상기 사선고정대가 삽입 결합하고, 제 1 이동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사선고정대를 위치시켜 상기 베이스지지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 1 위치조정뭉치는 상면에 상기 제 1 이동홀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복수개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 중 하나에 상기 제 2 위치조정뭉치의 일측 단부가 끼움고정된다.
상기 제 2 위치조정뭉치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돌출턱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이 상기 끼움홈 중 하나에 끼움 결합하고, 상기 직사각형 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제 2 이동홀이 형성되고, 상기 사선 고정대는 상기 제 1 이동홀과 상기 제 2 이동홀을 관통하여 결합하고, 상기 제 1 위치조정뭉치와 상기 제 2 위치조정뭉치를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사선고정대에 풀림방지용 체결수단이 결합하여 상기 사선고정대를 고정하여 상기 베이스지지부에 발생되는 상기 압력 및 상기 외력에 저항하여 상기 베이스지지부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은 절토면의 바닥면과 수직한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패널이 각기 틈을 형성함으로써, 절토면에 의한 압력 또는 절토면을 따라 발생되는 외력에 저항하여 절토면에 분포된 흙, 바위, 나무 등이 절토면을 벗어나 유실되지 않도록 하되, 배수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은 복수의 패널을 떠받치는 베이스 지지부를 견고히 지지함으로써, 절토면에 의한 압력 또는 절토면을 따라 발생되는 외력에 저항하여 절토면에 분포된 흙, 바위, 나무 등이 절토면을 벗어나 유실되지 않도록 하되, 지진으로 인한 지반의 흔들림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표현된 적층지지부 및 베이스지지부의 결합 관계를 표현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표현된 결합형 패널의 배면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표현된 적층지지부의 구조를 표현하는 육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표현된 밀림방지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표현된 제 2 위치조정뭉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의 배수흐름을 표현하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게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벽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 상에 있어서 층과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해 과장된 것이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상부 및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 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 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작동, 구성요소, 부분품 및 이들이 조합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작동, 구성요소, 부분품 및 이들이 조합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미리 배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표현된 적층지지부 및 베이스지지부의 결합 관계를 표현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표현된 결합형 패널의 배면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표현된 적층지지부의 구조를 표현하는 육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표현된 밀림방지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표현된 제 2 위치조정뭉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의 배수흐름을 표현하는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10)은 절토면에 의한 압력 또는 절토면을 따라 발생되는 외력에 저항하여 절토면에 분포된 흙, 바위, 나무 등이 절토면을 벗어나 유실되지 않도록 하되, 배수력을 증가시키고, 지반의 흔들림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10)은 복수의 적층지지부(100), 복수의 베이스지지부(200) 및 복수의 밀림방지부(300)를 포함한다.
먼저, 적층지지부(100)는 절토면의 경사진 하단부에 옹벽을 형성하게끔 적층된다. 이러한 적층지지부(100)는 제 1 패널(110) 및 제 2 패널(120)을 포함한다.
제 1 패널(110)은 적층지지부(100)의 전방에 배치된다. 또한 제 1 패널(110)은 중심부에 몰탈 충진구(111)가 형성되고, 그 몰탈 충진구(111)의 입구에 형성된 걸림턱을 갖는 안착면(113)에 몰탈 주입구(도면부호 생략) 및 배기구(도면부호 생략)가 관통형성된 커버패널(500)이 결합된다. 아울러, 제 1 패널(110)은 베이스지지부(200)와 각각 고정핀(400)을 공유하는 제 1 고정핀 삽입홈(112)이 형성된다.
제 2 패널(120)은 적층지지부(100)의 후방, 즉 절토면을 향하는 방향에 배치되어 제 1 패널(110)의 중심축에서 어긋나게 결합된다. 다시 말해, 제 2 패널(120)은 제 1 패널(110)과 서로의 중심축이 어긋나도록 결합되어 그 어긋난 공간만큼 틈새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2 패널(120)은 제 1 패널(110)과 결합되는 일측의 둘레방향에 제 1 배수홈이 형성됨으로써, 제 1 패널(110) 및 제 2 패널(120) 간의 어긋난 공간만큼의 틈새와 더불어 배수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패널(120)은 수평고정대 체결홈(122)과 제 1 유입구(123)가 더 형성된다. 수평고정대 체결홈(122)은 제 2 패널(120)에 결합된 제 1 패널(110)의 몰탈 충진구(111)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여기서 수평고정대 체결홈(122)은 절토면의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천공홀에 수평고정대의 일측 일부가 삽입되면, 그 수평고정대의 타측 일부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지지하여 몰탈 충진구(111)까지 돌출되게끔 한다. 제 1 유입구(123)는 제 2 패널(120)의 상부에서 제 1 배수홈(121)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유입구(123)는 절토면이 위치한 방향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이 제 1 배수홈(121)으로 흘러들어가도록 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적층지지부(100)는 절토면 하단부 경계의 길이만큼 복수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지지부(200)는 복수의 적층지지부(100) 중 하부에 위치한 적층지지부(100)에 결합되어 절토면의 하단부 경계에 고정된다. 이러한 베이스지지부(200)는 마이크로파일 체결홀(210), 제 2 배수홈(220), 제 3 배수홈(230), 제 2 고정핀 삽입홈(240) 및 제 2 유입구(250)를 포함한다.
마이크로파일 체결홀(210)은 베이스지지부(200)의 상면에서 그 저면까지 관통 형성된다. 마이크로파일 체결홀(210)은 내부에 마이크로파일이 삽입되는 동시에 절토면 하단부 경계에 깊숙히 관통삽입되어 베이스지지부(200)가 그 절토면 하단부 경계에 고정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제 2 배수홈(220)은 베이스지지부(200) 상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배수홈(121)과 연결되게 형성된다. 즉, 제 2 배수홈(220)은 제 1 유입구(123) 및 제 1 배수홈(121)을 통과하는 빗물을 베이스지지부(200)를 통과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제 3 배수홈(230)은 베이스지지부(200)의 측면에서 전방을 향하도록 제 2 배수홈(220)과 연결되게 형성된다. 즉, 제 3 배수홈(230)은 제 1 유입구(123), 제 1 배수홈(121) 및 제 2 배수홈(220)을 지나는 빗물이 베이스지지부(200)를 연달아 통과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제 2 고정핀 삽입홈(240)은 베이스지지부(200)의 상부면에서 제 1 패널(110)의 제 1 고정핀 삽입홈(112)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즉, 제 2 고정핀 삽입홈(240)은 제 1 고정핀 삽입홈(112)으로 삽입된 고정핀(400)의 돌출된 부분이 마저 삽입되게끔 함으로써, 베이스지지부(200)가 적층지지부(100)와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제 2 유입구(250)는 베이스지지부(200)의 상부에서 제 2 배수홈(220)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 2 유입구(250)는 절토면이 위치한 방향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이 제 2 배수홈(220) 및 제 3 배수홈(230)으로 흘러들어가도록 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밀림방지부(300)는 복수의 베이스지지부(200) 외측방향에 위치하고, 절토면의 경사진 하단부를 향하는 사선방향으로 일부 삽입된 복수의 사선고정대(600) 상부 각각에 결합된다. 사선고정대(600)는 도 6에 개시된 바와 같이 L자 형상의 로드로 형성되고, 직선 부분 상부에는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가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사선고정대(600)는 꺾여진 하단부 및 이에 연결되는 직선부분의 일부가 절토면에 삽입되고, 직선부분이 밀림방지부(300)에 삽입되어 밀림방지부(300)를 지지하므로, 밀림방지부(300)는 절토면에 의한 압력 및 그 절토면을 따라 발생되는 외력이 적층지지부(100) 및 베이스지지부(200)에 가해지면, 베이스지지부(200)가 그 압력 및 외력에 의해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절토면에 의한 압력이란, 절토면으로부터 흘러내리는 흙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절토면을 따라 발생되는 외력이란, 호우시, 절토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나 낙석, 그리고 지진으로 인한 흔들림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밀림방지부(300)는 베이스지지부(200)를 효과적응로 지지하기 위해 제 1 위치조정뭉치(310) 및 제 2 위치조정뭉치(320)를 포함한다.
제 1 위치조정뭉치(310)는 중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사선고정대(600)의 상부에 배치되어 베이스지지부(200)를 절토면의 하단부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제 1 위치조정뭉치(310)는 제 1 이동홀(311) 및 복수의 끼움홈(312)을 포함한다.
제 1 위치조정뭉치(31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 측면이 베이스지지부(200)에 접촉하고 바닥면이 절토면 상에 배치된다. 제 1 위치조정뭉치(310)는 베이스지지부(200)에 접촉하는 면에서 돌출방향으로 상면이 하방으로 기울어진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돌출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으로 상면의 중심부에 제 1 이동홀(311)이 관통하여 형성되고, 제1 이동홀(311)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면에 복수개의 끼움홈(312)이 형성된다. 제 1 이동홀(311)을 관통하여 사선고정대(600)가 결합한다.
복수의 사선고정대(600)가 절토면의 경사진 하단부 상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면, 제 1 위치조정뭉치(310)가 베이스지지부(200)의 위치에 대응하여 그 베이스지지부(200)에 결합되도록, 제 1 위치조정뭉치(310)의 설치 위치를 조정한다.
제 1 이동홀(311)에 삽입된 사선고정대(600)의 위치 및 사선고정대(600)에 배치된 제 1 위치조정뭉치(310)의 위치에 대응하여 복수의 끼움홈(312) 중 하나에 제 2 위치조정뭉치(320)의 일측 단부가 끼움 고정되어 제 2 위치조정뭉치(320)를 지지한다.
제 2 위치조정뭉치(320)는 제 1 위치조정뭉치(310)가 배치된 사선고정대(600)의 위치에 대응하여 사선고정대(600)의 상부에 삽입 결합하고, 일측 단부가 제 1 위치조정뭉치(310)에 끼움 고정되어 제 1 위치조정뭉치(310)과 사선고정대(600)를 고정하여 베이스지지부(200)에 가해지는 압력 및 외력을 저항한다. 이러한 제 2 위치조정뭉치(320)는 제 2 이동홀(321) 및 돌출턱(322)을 포함한다.
제 2 위치조정뭉치(320)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일측 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돌출턱(322)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제 2 이동홀(321)이 형성된다. 제 2 위치조정뭉치(320)는 제 1 위치조정뭉치(310) 상면에 길이 방향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결합한다. 제 2 이동홀(321)은 사선고정대(600)의 직경에 상응하는 크기의 홀이 서로 연결되도록 제 2 위치조정뭉치(320)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굴곡진 형태로 형성된다.또한 제 2 이동홀(321)은 사선고정대(600)에 배치된 제 1 이동홀(311)의 위치에 따라 제 2 위치조정뭉치(320)의 일측 단부가 끼움홈(312)에 끼움고정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특히 제 2 이동홀(321)은 길이방향의 내측면이 굴곡진 형태의 굴곡면(321a)이 형성되어 제 2 이동홀(321)의 어느 한 위치에 삽입된 사선고정대(600)의 상부가 절토면의 압력 내지 절토면을 따라 발생되는 외력에 저항하여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돌출턱(322)은 제 2 위치조정뭉치(320)의 일측 단부가 하방으로 절곡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돌출턱(322)은 끼움홈(312)에 끼움고정되어 사선고정대(600)와 제 1 위치조정뭉치(320)를 고정 결합하여 베이스지지부(200)에 발생되는 압력 및 외력에 저항하여 베이스지지부(2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지지부(200)는 절토면에 의한 압력 내지 절토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외력에도 더욱 견고히 제자리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바닥에 일부 삽입된 사선고정대(600)의 상부에 제 1 위치조정뭉치(310)가 배치되고, 이때 제 1 위치조정뭉치(310)를 통해 노출된 사선고정대(600)의 상부가 제 2 이동홀(321)에 삽입되며, 풀림방지용 체결수단을 이용해 사선고정대(600)와 제 1 위치조정뭉치(310) 및 제 2 위치조정뭉치(320)가 체결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의 사용 상태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9를 더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10)은 도로의 확장시 산이나 언덕 등의 지형이 절토면(S)으로 깎이면, 그 절토면(S)의 경사진 하단부에 복수의 적층지지부(100)가 적층되고, 그 적층지지부(100)의 하부에 복수의 베이스지지부(200)가 자리잡는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10)은 절토면에 발생되는 여러가지 압력들을 효과적으로 지탱하기 위해 베이스지지부(200)의 외측방향에 밀림방지부(300)가 설치될 수 있다. 밀림방지부(300)는 절토면(S)의 경사진 하단부를 향하는 사선방향으로 일부 삽입된 사선고정대(600)의 위치에 따라 유기적으로 베이스지지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적층지지부(100)는 절토면(S)의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천공홀에 수평고정대(700)의 일측 일부가 삽입되면, 그 수평고정대(700)의 타측 일부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절토면(S)의 천공홀의 입구 부분에는 그라우팅 호스(710)가 설치되어 수평고정대(700)의 외주연을 시멘트로 압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10)은 적층지지부(100)가 수평고정대(700)과 결합되어 절토면(S)의 경사진 하단부에 배치되고, 베이스지지부(200)가 밀림방지부(300)에 의해 지지되어 적층지지부(100)의 하단부를 떠받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
100 : 적층지지부
110 : 제 1 패널
111 : 몰탈 충진구
112 : 제 1 고정핀 삽입홈
113 : 안착면
120 : 제 2 패널
121 : 제 1 배수홈
122 : 수평고정대 체결홈
123 : 제 1 유입구
200 : 베이스지지부
210 : 마이크로파일 체결홀
220 : 제 2 배수홈
230 : 제 3 배수홈
240 : 제 2 고정핀 삽입홈
250 : 제 2 유입구
300 : 밀림방지부
310 : 제 1 위치조정뭉치
311 : 제 1 이동홀
312 : 끼움홈
320 : 제 2 위치조정뭉치
321 : 제 2 이동홀
321a : 굴곡면
322 : 돌출턱
400 : 고정핀
500 : 커버패널
600 : 사선고정대
700 : 수평고정대
710 : 그라우팅 호스
S : 절토면

Claims (5)

  1. 절토면의 경사진 하단부에 적층되는 복수의 적층지지부;
    복수의 상기 적층지지부 중 하부에 위치한 상기 적층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절토면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베이스지지부; 및
    복수의 상기 베이스지지부 외측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절토면의 경사진 하단부를 향하는 사선방향으로 일부 삽입된 복수의 사선고정대 상부 각각에 결합되며, 상기 절토면에 의한 압력 및 상기 절토면을 따라 발생되는 외력이 상기 적층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지지부에 가해지면, 상기 베이스지지부가 상기 압력 및 상기 외력에 의해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밀림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층지지부는,
    상기 적층지지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 1 패널; 및
    상기 적층지지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패널의 중심축에서 어긋나게 결합되며, 상기 제 1 패널과 결합되는 일측의 둘레방향을 따라 제 1 배수홈이 형성되는 제 2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지지부는,
    상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배수홈과 연결되는 제 2 배수홈이 형성되고, 측면에서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제 2 배수홈과 연결되는 제 3 배수홈이 형성되며,
    상기 밀림방지부는,
    상기 사선고정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지지부를 상기 절토면의 하단부에 고정시키는 제 1 위치조정뭉치; 및
    상기 제 1 위치조정뭉치가 배치된 상기 사선고정대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사선고정대의 상부에 결합하고, 일측 단부가 상기 제 1 위치조정뭉치에 끼움고정되어 상기 제 1 위치조정뭉치와 상기 사선고정대를 결합하는 제 2 위치조정뭉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위치조정뭉치는 상기 베이스지지부에 접촉하는 면에서 돌출방향으로 상면이 하방으로 기울어진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위치조정뭉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 형상으로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하여 제 1 이동홀이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사선고정대가 상기 절토면의 경사진 하단부 상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면, 장공 형상의 제 1 이동홀을 관통하여 상기 사선고정대가 삽입 결합하고, 제 1 이동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사선고정대를 위치시켜 상기 베이스지지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 1 위치조정뭉치는 상면에 상기 제 1 이동홀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복수개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 중 하나에 상기 제 2 위치조정뭉치의 일측 단부가 끼움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은,
    중심부에 몰탈 충진구가 형성되고,
    상기 몰탈 충진구의 입구에 형성된 걸림턱을 갖는 안착면에 몰탈 주입구 및 배기구가 관통형성된 커버패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층지지부의 저면과 상기 베이스지지부의 상면에는, 각각 고정핀이 공유되어 삽입되도록 상호 일치되는 제 1 및 제 2 고정핀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치조정뭉치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돌출턱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이 상기 끼움홈 중 하나에 끼움 결합하고, 상기 직사각형 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제 2 이동홀이 형성되고,
    상기 사선 고정대는 상기 제 1 이동홀과 상기 제 2 이동홀을 관통하여 결합하고, 상기 제 1 위치조정뭉치와 상기 제 2 위치조정뭉치를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사선고정대에 풀림방지용 체결수단이 결합하여 상기 사선고정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
KR1020190007780A 2019-01-21 2019-01-21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 KR102047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780A KR102047520B1 (ko) 2019-01-21 2019-01-21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780A KR102047520B1 (ko) 2019-01-21 2019-01-21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520B1 true KR102047520B1 (ko) 2019-12-02

Family

ID=68847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780A KR102047520B1 (ko) 2019-01-21 2019-01-21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5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724B1 (ko) 2021-10-26 2021-12-28 주식회사 대흥이앤씨 패널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3682A (ja) * 2006-11-29 2008-06-12 Nishi Nippon Spc Kk 盛土構造物の構築方法
KR100997727B1 (ko) 2008-04-11 2010-12-01 최승희 절토부 옹벽 시공구조 및 설치방법
KR101023660B1 (ko) * 2009-01-29 2011-03-25 심석래 앵커와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51318B1 (ko) * 2012-03-05 2012-06-08 김희준 셋 앵커 형태의 락볼트 및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
KR101609249B1 (ko) 2014-05-23 2016-04-06 (주)주성엔지니어링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사면보강벽 및 그 공법
KR101680229B1 (ko) 2016-02-02 2016-11-28 덴버코리아이엔씨 주식회사 절토면 보강용 자연 암반 패널식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785677B1 (ko) * 2017-04-15 2017-10-17 류근호 프리캐스트 경사패널을 이용한 절토부 옹벽 시공방법
KR101821606B1 (ko) 2017-04-06 2018-01-25 김만기 사면의 계단식 절토부 옹벽 구조물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3682A (ja) * 2006-11-29 2008-06-12 Nishi Nippon Spc Kk 盛土構造物の構築方法
KR100997727B1 (ko) 2008-04-11 2010-12-01 최승희 절토부 옹벽 시공구조 및 설치방법
KR101023660B1 (ko) * 2009-01-29 2011-03-25 심석래 앵커와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51318B1 (ko) * 2012-03-05 2012-06-08 김희준 셋 앵커 형태의 락볼트 및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
KR101609249B1 (ko) 2014-05-23 2016-04-06 (주)주성엔지니어링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사면보강벽 및 그 공법
KR101680229B1 (ko) 2016-02-02 2016-11-28 덴버코리아이엔씨 주식회사 절토면 보강용 자연 암반 패널식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821606B1 (ko) 2017-04-06 2018-01-25 김만기 사면의 계단식 절토부 옹벽 구조물 시공방법
KR101785677B1 (ko) * 2017-04-15 2017-10-17 류근호 프리캐스트 경사패널을 이용한 절토부 옹벽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724B1 (ko) 2021-10-26 2021-12-28 주식회사 대흥이앤씨 패널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204B1 (ko) 옹벽용 연결장치
CN102852231A (zh) 梁贯通型接合部的柱梁接合构造
KR101378793B1 (ko) 나사 조립식 마감캡을 갖는 절토부 패널옹벽
ES2219897T3 (es) Construccion modular de paredes.
KR102047520B1 (ko)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
KR20150098535A (ko) 조립식 옹벽블록과 블록조립 부속물.
US20200103072A1 (en) Anchors and methods for anchoring an underground storage tank
KR102135594B1 (ko)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KR101869060B1 (ko) 블록을 이용한 옹벽
KR101042240B1 (ko)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
KR101855458B1 (ko) 복합파일
KR101822412B1 (ko) 적층이 가능한 배면보강 판넬옹벽 및 배면보강 판넬옹벽 시공방법
KR101473704B1 (ko) 스프링 결합형 소일네일
KR20060089367A (ko) 연결식 옹벽축조용 블록
KR102391702B1 (ko) 흙막이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벽구조체
KR102191389B1 (ko) 보강토 옹벽 설치용 바 연결장치
KR101633729B1 (ko) 옹벽 구조
KR101697871B1 (ko) 배수재 연결용 소켓
KR100386406B1 (ko)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축조방법
KR100592117B1 (ko) 건축공사용 흙막이 옹벽구조
KR20160115276A (ko) 앵커를 이용한 2열 흙막이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87146Y1 (ko) 연결식 옹벽축조용 블록
KR20050099067A (ko) 흙막이 구조물의 앵커 지지체 및 이를 구비한 띠장
KR100650166B1 (ko) 벽면 녹화용(壁面 綠化用) 클램프
KR102363602B1 (ko) 히치 락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