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871B1 - 배수재 연결용 소켓 - Google Patents

배수재 연결용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871B1
KR101697871B1 KR1020150125500A KR20150125500A KR101697871B1 KR 101697871 B1 KR101697871 B1 KR 101697871B1 KR 1020150125500 A KR1020150125500 A KR 1020150125500A KR 20150125500 A KR20150125500 A KR 20150125500A KR 101697871 B1 KR101697871 B1 KR 101697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drainage
present
receiving groove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5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진화
배승환
Original Assignee
허옥이
배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옥이, 배승환 filed Critical 허옥이
Priority to KR1020150125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8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02D3/103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by installing wick drains or sand ba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02D31/025Draining membranes, sheets or fabric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ith dimp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배수재 연결용 소켓은, 유체를 내부에 수용하여 배수하는 다수 배수재의 교차부위를 수용하는 제1몸체 및 제2몸체와,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 일측에 함몰되어 각각 배수재를 수용하는 제1수용홈 및 제2수용홈과,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결합부와,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일정한 이격 거리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수재 연결용 소켓{A Socket for connecting drain board}
본 발명은 배수재 연결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 배수재를 교차하도록 겹쳐 연결함으로써 다수 방향으로 배수가 가능하도록 한 배수재 연결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 배수재가 교차된 부위를 내부에 수용하되 외측 방향의 유출을 차단함으로써 배수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 배수재 연결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지지부를 구비하여 토압에 의한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수재 연결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 결합부를 구비하여 배수재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배수재 연결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공사의 지층이 지중수를 함유한 연약지반인 경우에는 먼저 그 토양의 지중수를 배출시키고 지반을 압밀침하 시킨 후 기초공사를 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연약지반의 공사단계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지중수를 배출하도록 할 수 있는데,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자갈과 모래를 지층에 깔고 이를 성토함으로써 지층의 지중수를 빼내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드레인 보드라고 불리우는 배수재를 이용하여 지층의 지중수를 배출하는 기술이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드레인 보드는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는 다양한 형상의 드레인 보드가 시판되고 있으며, 재질적인 측면에서 모래보다 많이 저렴하고, 성능적인 측면에서도 효율이 높아 건설현장에서 많이 채택되고 있다.
이러한 드레인 보드는 먼저 수직배수라하여, 지층에 수직배수재를 복수개 삽입하고, 토양의 무게에 의해 올라오는 지중수를 상부로 배출토록 하는 기술이 이용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이러한 수직배수재와 함께 수평배수재가 설치되어 수직배수로부터 올라온 지중수를 수평으로 이동시켜 집수정으로 모으거나 측구 배수로로 배출시키는 기술이 소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16123호에는 드레인보드와 PDD관을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소켓을 구비한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소켓은 드레인보드를 통해 유동하는 지중수를 PDD관과 연통시켜 안내하긴 하나 다수의 드레인보드 사이를 연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소켓은 관형상을 가지고 드레인보드를 끼움 결합하기 위한 홀을 천공한 것으로, 소켓을 연결하기 위한 또 다른 소켓을 필요로 하므로 드레인보드를 따라 안내된 지중수의 유동 방향을 제어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시공시 연결 공정이 난해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 배수재를 교차하도록 겹쳐 연결함으로써 다수 방향으로 배수가 가능하도록 한 배수재 연결용 소켓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 배수재가 교차된 부위를 내부에 수용하되 외측 방향의 유출을 차단함으로써 배수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 배수재 연결용 소켓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에 지지부를 구비하여 토압에 의한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수재 연결용 소켓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 결합부를 구비하여 배수재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배수재 연결용 소켓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배수재 연결용 소켓은, 유체를 내부에 수용하여 배수하는 다수 배수재의 교차부위를 수용하는 제1몸체 및 제2몸체와,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 일측에 함몰되어 각각 배수재를 수용하는 제1수용홈 및 제2수용홈과,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결합부와,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일정한 이격 거리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 내부에 수용된 배수재는 일부가 천공되어 천공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수용홈과 제2수용홈은 수용되는 배수재의 두께와 대응하는 깊이로 함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제1몸체와 제2몸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다수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제1몸체 또는 제2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천공홀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제1수용홈과 제2수용홈의 함몰 깊이의 합과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는 내식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재 연결용 소켓에서는, 다수 배수재를 교차하도록 겹쳐 연결함으로써 다수 방향으로 배수가 가능하며, 다수 배수재가 교차된 부위를 내부에 수용하되 외측 방향의 유출을 차단하게 되므로 배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지지부를 구비하여 토압에 의한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급격한 배수능 저하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다수 결합부를 구비하여 배수재와 소켓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배수재 연결용 소켓에 다수의 배수재가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보인 실시예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배수재 연결용 소켓을 이용하여 연결되어질 배수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배수재 연결용 소켓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배수재 연결용 소켓의 내부 구조를 보인 제1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배수재 연결용 소켓의 내부 구조를 보이기 위해 도 3의 A-A'부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배수재 연결용 소켓의 내부 구조를 보인 제2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배수재 연결용 소켓의 내부 구조를 보이기 위해 도 3의 A-A'부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제2식시예의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배수재 연결용 소켓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배수재 연결용 소켓(이하 '연결용 소켓(100)'이라 칭함)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배수재 연결용 소켓(100)에 다수의 배수재(D)가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보인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배수재 연결용 소켓(100)을 이용하여 연결되어질 배수재(D)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과 같이 연결용 소켓(100)은 다수의 배수재(D)를 교차하도록 적층하고 교차된 부위를 감싸듯이 내부에 수용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유체 즉 지중수를 서로 연결된 배수재(D) 각각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용 소켓(100)은 서로 교차하도록 적층된 다수의 배수재(D)가 서로 분리되거나 상대운동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용 소켓(100)에는 다수의 결합부(110)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110)는 나사 등의 결합부재가 연결용 소켓(100)의 두께 방향으로 삽입 및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가 천공되며, 다수 개로 형성되어 다수의 결합부재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용 소켓(100) 내부에 교차하여 수용된 다수의 배수재(D)는 결합부재의 결합력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되며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전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는 상기 연결용 소켓(100)을 이용하여 연결되어질 배수재(D)의 외관을 보인 것으로, 중앙부에는 천공홀(H)이 형성된다.
상기 천공홀(H)은 연결용 소켓(100)의 상면 또는 하면의 면적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배수재(D)의 내부를 두께 방향으로 완전히 천공한 것으로, 어느 한 쪽을 통해 유동한 유체가 연결용 소켓(100)의 내부로 들어와 경유한 후 나머지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배수재(D)에 천공홀(H)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어느 하나의 배수재(D)를 통해 유동한 유체는 연결용 소켓(100) 내부에서 유동 방향이 변화하지 못하고 그대로 길이 방향으로 배수되는데, 이런 경우 다양한 방향으로 유체의 흐름을 안내할 수 없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연결용 소켓(100) 내부에 위치한 배수재(D)의 일부는 천공되어 천공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천공홀(H)은 다수의 배수재(D)가 겹쳐진 경우 서로 인접한 면은 반드시 천공부가 형성되어야 하나, 연결용 소켓(100)의 내부 천장 및 바닥과 접촉하는 부위는 반드시 천공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연결용 소켓(1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배수재 연결용 소켓(100)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배수재 연결용 소켓(100)의 내부 구조를 보인 제1실시예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배수재 연결용 소켓(100)의 내부 구조를 보이기 위해 도 3의 A-A'부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제1실시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과 같이 상기 연결용 소켓(100)은 크게 제1몸체(120)와 제2몸체(130)로 구성된다.
상기 제1몸체(120)와 제2몸체(130)는 서로 결합하여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몸체(120)와 제2몸체(130)로 구분하였으나, 서로 결합한 상태로 다수의 배수재(D)가 교차한 부위를 감싸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범위 내라면 다양한 형태로 변경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120)와 제2몸체(130) 내부에는 제1수용홈(122)과 제2수용홈(13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수용홈(122)과 제2수용홈(132)은 제1몸체(120)와 제2몸체(13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하나 씩 함몰 형성되되,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하나씩의 배수재(D)를 수용하게 된다.
상기 제1수용홈(122)과 제2수용홈(132)은 각각 수용하게 될 배수재(D)의 두께와 대응하는 깊이만큼 함몰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수재(D)를 통해 제1수용홈(122) 및 제2수용홈(132)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연결용 소켓(100) 외부로 유실되지 않고 다른 배수재(D)를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수용홈(132) 바닥면에는 상방향으로 지지부(15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50)는 제1몸체(120)와 제2몸체(130)가 일정한 이격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제2수용홈(132)과 제1수용홈(122)의 함몰된 깊이의 합과 대응하는 길이만큼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1몸체(120)와 제2몸체(130)가 서로 결합하여 도 3과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지지부(150)의 상면은 제1몸체(120)의 하면과 접촉한 상태(도 5 참조)가 되어 제1몸체(120)의 상면에서 하측방향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50)는 천공홀(H)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과 같이 한 쌍의 배수재(D)가 연결용 소켓(100)에 의해 교차하도록 포개져 결합된 경우, 상기 지지부(150)는 천공홀(H)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배수재(D)가 연결용 소켓(100)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150)의 중앙부에도 결합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10)는 제1몸체(120)에 형성된 결합부(110)와 동일한 직선상에 위치하여 결합부재가 체결되는 곳으로서, 상기 지지부(150)의 중앙부에 함몰되게 구성할 수도 있으며, 제2몸체(130)의 내부 바닥면을 하측 방향으로 천공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결합부재의 체결력에 의해 제1몸체(120)와 제2몸체(130)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휘어지지 않도록 결합부(110) 인근에는 지지부(15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결합부(110)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배수재 연결용 소켓(100)의 내부 구조를 보인 제2실시예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배수재 연결용 소켓(100)의 내부 구조를 보이기 위해 도 3의 A-A'부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제2식시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다른 실시예의 결합부(110)는 서로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도 4의 일 실시예의 경우 제1몸체(120)와 제2몸체(130)의 가장자리를 천공하여 결합부재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반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몸체(120)의 하면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하고, 제2몸체(130)의 상면에는 하측 방향으로 함몰되게 하여 서로 형합될 수 있게 구성하였다.
이런 경우 상기 제1몸체(120)와 제2몸체(130)의 결합력은 보다 더 강화되어 비틀림응력에 효과적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연결용 소켓(100)은 한 쌍의 배수재(D)를 직교하도록 포개어 수용할 수 있게 구성하였으나, 도 8과 같이 3개의 배수재(D)를 교차한 상태로 수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몸체(120)와 제2몸체(130) 중 어느 하나에는 두 개의 배수재(D)를 교차한 상태로 수용 가능하도록 단차진 수용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는 제1몸체(120)와 제2몸체(130) 중 어느 하나에 3개의 배수재(D)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수용홈을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100. 연결용 소켓 110. 결합부
120. 제1몸체 122. 제1수용홈
130. 제2몸체 132. 제2수용홈
150. 지지부 D . 배수재
H . 천공홀

Claims (7)

  1. 유체를 내부에 수용하여 배수하는 다수 배수재의 교차부위를 수용하는 제1몸체 및 제2몸체와,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 일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배수재의 두께 및 폭과 대응하는 크기를 갖도록 함몰되어 각각 배수재를 수용하는 제1수용홈 및 제2수용홈과,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결합부와,
    상기 제1수용홈과 제2수용홈의 함몰된 깊이의 합과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상기 배수재의 교차부위에 천공된 천공홀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 중 어느 하나의 내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일정한 이격 거리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내부로 삽입되는 결합부재가 배수재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천공홀의 내부 및 외부에 다수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가 결합시 내부의 공간은 제1수용홈 및 제2수용홈에 의해 외부와 연통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재 연결용 소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지지부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재 연결용 소켓.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는 내식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재 연결용 소켓.
KR1020150125500A 2015-09-02 2015-09-02 배수재 연결용 소켓 KR101697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500A KR101697871B1 (ko) 2015-09-02 2015-09-02 배수재 연결용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500A KR101697871B1 (ko) 2015-09-02 2015-09-02 배수재 연결용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871B1 true KR101697871B1 (ko) 2017-01-18

Family

ID=57992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500A KR101697871B1 (ko) 2015-09-02 2015-09-02 배수재 연결용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8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782B1 (ko) * 2017-02-28 2018-04-13 배승환 수평배수재의 겹침 시공 방법, 삽입안내부를 구비한 수평배수재 및 수평배수재와 수직배수재의 연결방법
KR102024825B1 (ko) * 2018-09-03 2019-09-24 주식회사 세기엔지니어링 지층수 유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5507A (ja) * 1997-01-17 1998-08-04 Ube Nitto Kasei Co Ltd 繊維強化合成樹脂製管体のジョイント構造
KR20060072986A (ko) * 2004-12-24 2006-06-28 시지이엔씨주식회사 드레인보드 연결판
KR20130010281A (ko) * 2011-07-18 2013-01-28 이진규 수평 드레인 보드용 연결재
KR101261853B1 (ko) * 2012-09-26 2013-05-07 주식회사 윤진 낙석방지망 와이어로프 충격완충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5507A (ja) * 1997-01-17 1998-08-04 Ube Nitto Kasei Co Ltd 繊維強化合成樹脂製管体のジョイント構造
KR20060072986A (ko) * 2004-12-24 2006-06-28 시지이엔씨주식회사 드레인보드 연결판
KR20130010281A (ko) * 2011-07-18 2013-01-28 이진규 수평 드레인 보드용 연결재
KR101261853B1 (ko) * 2012-09-26 2013-05-07 주식회사 윤진 낙석방지망 와이어로프 충격완충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782B1 (ko) * 2017-02-28 2018-04-13 배승환 수평배수재의 겹침 시공 방법, 삽입안내부를 구비한 수평배수재 및 수평배수재와 수직배수재의 연결방법
KR102024825B1 (ko) * 2018-09-03 2019-09-24 주식회사 세기엔지니어링 지층수 유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02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terproofing a basement
US20100206398A1 (en) Water drainage device
KR101697871B1 (ko) 배수재 연결용 소켓
KR101618723B1 (ko) Cip흙막이벽 엄지말뚝용 강관의 보강 지지구조
US20110283641A1 (en) Subflooring water and radon gas channeling system
KR100969552B1 (ko) 지하수위 조절 집배수장치
KR100878716B1 (ko) 연결식 축조식생블록
KR20150001093U (ko) 옹벽용 배수파일
KR20180021601A (ko) 배수 기능을 갖는 보강토 옹벽
KR200389267Y1 (ko) 박스형 흙막이 장치
KR101308822B1 (ko) 식생용 블록 및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25414B1 (ko) 경사면 보강 배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녹화공법
KR102047520B1 (ko)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
KR102191389B1 (ko) 보강토 옹벽 설치용 바 연결장치
KR101192357B1 (ko)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0137053Y1 (ko) 강재 토류판
KR200387146Y1 (ko) 연결식 옹벽축조용 블록
KR101661350B1 (ko) 옹벽블록 조립체
JP6889655B2 (ja) 貯留槽
KR100515791B1 (ko) 건축단지 조경벽면의 사면배수재
JP2019007339A (ja) 雨水マス、及び雨水マスの施工方法
JP5899295B1 (ja) 地盤補強構造、建造物、および地盤補強構造構築方法
JP2014169588A (ja) 貯水槽用壁ユニット
CN108914997A (zh) 一种加筋挡土墙侧向变形测试装置及工作方法
JP5977656B2 (ja) 貯留材およびそれを備えた貯留浸透施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