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601A - 배수 기능을 갖는 보강토 옹벽 - Google Patents

배수 기능을 갖는 보강토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1601A
KR20180021601A KR1020160106373A KR20160106373A KR20180021601A KR 20180021601 A KR20180021601 A KR 20180021601A KR 1020160106373 A KR1020160106373 A KR 1020160106373A KR 20160106373 A KR20160106373 A KR 20160106373A KR 20180021601 A KR20180021601 A KR 20180021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pair
soil
coupling
reinforc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관
정준성
Original Assignee
(유)우석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우석건설 filed Critical (유)우석건설
Priority to KR1020160106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1601A/ko
Publication of KR20180021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6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기능을 갖는 보강토 옹벽은 절토부에 타설된 보강토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보강토의 전면 측에 설치되어 보강토를 지지하는 보강 블록; 상기 보강 블록이 수평 방향으로 복수 개가 결합되며 배치되어 상기 보강토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보강 블록의 양측 면에 각각 교번되게 형성되는 제1 결합수단; 상기 보강 블록이 수직 방향으로 복수 개가 적층되어 결합 배치되며 상기 보강토를 보강하며 보강토에서 발생하는 지표수를 보강 블록의 양 측면으로 배수할 수 있도록 상기 보강 블록의 상하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수 기능을 갖는 보강토 옹벽{RETAINING WALL HAVING A DRAINING FUNTION}
본 발명은 배수 기능을 갖는 보강토 옹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강토를 지지하는 보강 블록의 양측으로 보강토에서 발생하는 지표수를 배수하여 보강토의 침하를 방지하며, 보강 블록의 안정성을 확보할 있는 배수 기능을 갖는 보강토 옹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강토 옹벽은 토압력에 저항하여 보강토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벽체 구조물로서, 아파트 단지조성과 사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시공, 교량교대 날개벽 시공과 그밖에 수로공사 등에 시공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보강토 옹벽은 보강토의 뒤 채움 흙에 인장력이 크고 마찰력이 좋은 보강 블럭을 수평으로 삽입하여 흙의 횡방향 변위를 억제함으로써 토사의 안정을 기하도록 한 것으로, 보강토의 전면을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보강 블럭의 후면에는 부직포만으로 배수를 유도하므로 보강토에서 발생하는 지표수의 배수효율이 떨어짐은 물론 지속되는 지표수의 유입에 따른 흙다짐으로 채워진 옹벽 후면의 지반이 침하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보강토의 전면부에 설치된 보강 블록의 전면으로 지표수가 배출되어 보강 블록이 보강토의 압력에 의해 붕괴되는 등의 안전 사고가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046786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보강 블록의 상하면에 제2 결합수단을 형성하여, 보강토에서 발생하는 지표수를 보강 블록의 양 측면으로 배수하여 보강토에서 발생하는 지표수의 배수효율을 높여 지표수의 유입에 따른 보강토의 지반 침하와 보강 블록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배수 기능을 갖는 보강토 옹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기능을 갖는 보강토 옹벽은 절토부에 타설된 보강토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보강토의 전면 측에 설치되어 보강토를 지지하는 보강 블록; 상기 보강 블록이 수평 방향으로 복수 개가 결합되며 배치되어 상기 보강토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보강 블록의 양측 면에 각각 교번되게 형성되는 제1 결합수단; 상기 보강 블록이 수직 방향으로 복수 개가 적층되어 결합 배치되며 상기 보강토를 보강하며 보강토에서 발생하는 지표수를 보강 블록의 양 측면으로 배수할 수 있도록 상기 보강 블록의 상하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결합 수단은 한 쌍의 보강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보강 블록의 양측 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홈; 및 상기 한 쌍의 보강 블록 중 어느 하나의 양측 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한 쌍의 보강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보강 블록의 양측 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결합수단은 상기 보강 블록의 상면에 적층되는 보강 블록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보강 블록의 상면 양측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중앙에는 하부로 함몰된 구획홈에 의해서 양측으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턱; 상기 보강 블록의 하면 양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양측을 구획하며, 상기 구획홈에 결합되는 구획턱과 상기 결합턱에 결합되어, 상기 보강 블록을 수직 방향으로 상호 결합시키는 한 쌍의 결합홈; 및 상기 한 쌍의 결합홈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각각 함몰되어 일측이 개구되어 이루어지는 한 쌍의 공간부; 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턱과 결합홈은 상호 결합되어 보강토에서 발생하는 지표수를 배출 할 수 있는 한 쌍의 배수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로는 상기 한 쌍의 결합턱이 상기 한 쌍의 결합홈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공간부의 일측을 폐쇄하여 상기 보강토에서 발생되는 지표수가 배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로의 후면에는 상기 보강토에 길이 방향으로 매설되어 보강토에서 발생하는 지표수를 상기 배수로를 통해 배수할 수 있도록 배수관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관 외주면에는 상기 보강토에서 발생하는 지표수를 상기 배수로를 통해 배수 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타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기능을 갖는 보강토 옹벽은 보강 블록의 상하면에 제2 결합수단을 형성하여, 보강토에서 발생하는 지표수를 보강 블록의 양 측면으로 배수하여 보강토에서 발생하는 지표수의 배수효율을 높여 지표수에 의해 발생하는 지반 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표수에 의해 발생되는 보강 블록의 붕괴를 방지하여 보강 블록의 붕괴에 따른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기능을 갖는 보강토 옹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기능을 갖는 보강토 옹벽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수 기능을 갖는 보강토 옹벽(100)은 토압력에 저항하여 보강토(10)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벽체 구조물로서, 아파트 단지조성과 사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시공, 교량교대 날개벽 시공과 그밖에 수로공사 등에 시공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배수 기능을 갖는 보강토 옹벽(100)은 보강 블록(110), 제1 결합수단(110), 제2 결합수단(120) 및 배수로(140)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 기능을 갖는 보강토 옹벽(100)은 보강 블록(110)이 보강토(10)의 전면에 수직과 수평 방향으로 복수개가 결합되어 설치되어 토압력에 의해 보강토(10)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보강 블록(110)은 절토부에 타설된 보강토(10)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보강토(10)의 전면 측에 설치되어 보강토(10)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1 결합수단(120)은 보강 블록(110)이 수평 방향으로 복수 개가 결합되며 배치되어 보강토(10)를 보강하기 위하여 한 쌍의 보강 블록의 양측 면에 각각 교번되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결합수단(120)은 결합홈(121), 결합턱(122)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홈(121)은 한 쌍의 보강 블록(110) 중 어느 하나의 보강 블록(110)의 양측 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턱(122)은 한 쌍의 보강 블록(110) 중 어느 하나의 양측 면에 형성된 결합홈(121)에 대응되도록 한 쌍의 보강 블록(110) 중 어느 하나의 보강 블록(110)의 양측 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결합홈(121)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결합수단(130)은 보강 블록(110)이 수직 방향으로 복수 개가 적층되어 결합 배치되며 보강토(10)를 보강하며 보강토(10)에서 발생하는 지표수를 보강 블록(110)의 양 측면으로 배수할 수 있도록 보강 블록의 상하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결합수단(130)은 결합턱(131), 결합홈(132), 공간부(133)를 형성한다.
상기 결합턱(131)은 보강 블록(110)의 상면에 적층되는 보강 블록(11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보강 블록(110)의 상면 양측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중앙에는 하부로 함몰된 구획홈(131a)에 의해서 양측으로 구획되어 한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31)은 보강 블록(110)의 하면 양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양측을 구획하며, 구획홈(131a)에 결합되는 구획턱(132a)이 형성되어 결합턱(131)에 결합되어, 보강 블록(110)을 수직 방향으로 상호 결합시키며, 구획턱(132a)에 의해 구획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133)는 한 쌍의 결합홈(132)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각각 함몰되어 일측이 개구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배수로(140)는 결합턱(131)과 결합홈(132)이 상호 결합되어 보강토(10)에서 발생하는 지표수를 배출 할 수 있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수로(140)는 한 쌍의 결합턱(131)이 한 쌍의 결합홈(132)에 각각 결합되어 한 쌍의 공간부(133)의 일측을 폐쇄하여 보강토(10)에서 발생되는 지표수가 배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배수로(140)는 일측이 개구된 공간부(133)의 일측을 결합턱(131)이 폐쇄하여 지표수가 배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로(140)는 각각의 보강 블록(110)의 상 하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루어져 보강 블록(110)이 수평방향으로 결합 시 보강 블록(110)의 양 측면으로 연장되어 지표수가 보강 블록(110)의 양 측면으로 배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수로(110)의 후면에는 보강토(10)에 길이 방향으로 매설되어 보강토(10)에서 발생하는 지표수를 상기 배수로(140)를 통해 배수할 수 있도록 배수관(200)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관(200)의 외주면에는 보강토(10)에서 발생하는 지표수를 상기 배수로를 통해 배수 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타공(210)이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기능을 갖는 배수 기능을 갖는 보강토 옹벽(100)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배수 기능을 갖는 보강토 옹벽(100)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절토부에 타설된 보강토(10)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보강토(10)의 전면 측에 설치되어 보강토(10)를 지지하도록 보강 블록(110)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보강 블록(110)은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 보강토(10)의 전면에 설치된다.
즉, 상기 보강 블록(110)은 제1 결합수단(120)의 결합홈(121)과 결합턱(122)을 통해서 상호 결합되어 수평 방향으로 복수 개가 보강토(10)의 전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 블록(110)은 제2 결합수단(130)의 한 쌍의 결합턱(131)과 한 쌍의 결함홈(132)이 상호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복수 개가 보강토(10)의 전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 결합수단(130)의 공간부(133)는 한 쌍의 결합턱(131)이 한 쌍의 결합홈(132)에 각각 결합되어 한 쌍의 공간부(133)의 일측을 폐쇄하여 보강토(10)에서 발생되는 지표수가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로(140)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배수로(140)는 일측이 개구된 공간부(133)의 일측을 결합턱(131)이 폐쇄하여 지표수가 배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보강토(10)에서 발생하는 지표수를 보강 블록(110)의 양측으로 배수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로(110)의 후면에는 보강토(10)에 길이 방향으로 매설되어 보강토(10)에서 발생하는 지표수를 상기 배수로(140)를 통해 배수할 수 있도록 배수관(200)이 결합되어, 보강토(10)에서 발생하는 지표수를 배수로(140)로 공급하여 배수로(140)를 통해서 보강 블록(110)의 양측으로 배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배수관(200)의 외주면에는 보강토(10)에서 발생하는 지표수를 상기 배수로(140)를 통해 배수 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타공(210)이 형성되어 보강토(10)에서 발생하는 지표수를 원활하게 배수로(140)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수관(200)에는 보강토(10)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설치되어 배수관(200)에서 배수되는 지표수의 일부를 지면 측으로 배수 할 수 있는 별도의 드레인관(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지금 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따른 배수 기능을 갖는 보강토 옹벽(100)은 보강 블록(110)의 상하면에 제2 결합수단(130)을 형성하여, 보강토(10)에서 발생하는 지표수를 보강 블록(110)의 양 측면으로 배수하여 보강토(10)에서 발생하는 지표수의 배수효율을 높여 지표수에 의해 발생하는 지반 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표수에 의해 발생되는 보강 블록(110)의 붕괴를 방지하여 보강 블록(110)의 붕괴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 : 보강토 100: 배수 기능을 갖는 보강토 옹벽
110: 보강 블록 120: 제1 결합수단
121: 결합홈 122: 결합턱
130: 제2 결합수단 131: 결합턱
131a: 구획홈 132: 결함홈
132a: 구획턱 133: 공간부
140: 배수로 200: 배수관
210: 타공

Claims (6)

  1. 절토부에 타설된 보강토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보강토의 전면 측에 설치되어 보강토를 지지하는 보강 블록;
    상기 보강 블록이 수평 방향으로 복수 개가 결합되며 배치되어 상기 보강토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보강 블록의 양측 면에 각각 교번되게 형성되는 제1 결합수단;
    상기 보강 블록이 수직 방향으로 복수 개가 적층되어 결합 배치되며 상기 보강토를 보강하며 보강토에서 발생하는 지표수를 보강 블록의 양 측면으로 배수할 수 있도록 상기 보강 블록의 상하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수단;
    을 포함하는 배수 기능을 갖는 보강토 옹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수단은
    한 쌍의 보강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보강 블록의 양측 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홈; 및
    상기 한 쌍의 보강 블록 중 어느 하나의 양측 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한 쌍의 보강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보강 블록의 양측 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턱;
    을 포함하는 배수 기능을 갖는 보강토 옹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수단은
    상기 보강 블록의 상면에 적층되는 보강 블록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보강 블록의 상면 양측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중앙에는 하부로 함몰된 구획홈에 의해서 양측으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턱;
    상기 보강 블록의 하면 양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양측을 구획하며, 상기 구획홈에 결합되는 구획턱과 상기 결합턱에 결합되어, 상기 보강 블록을 수직 방향으로 상호 결합시키는 한 쌍의 결합홈; 및
    상기 한 쌍의 결합홈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각각 함몰되어 일측이 개구되어 이루어지는 한 쌍의 공간부;
    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턱과 결합홈은 상호 결합되어 보강토에서 발생하는 지표수를 배출 할 수 있는 한 쌍의 배수로를 형성하는 배수 기능을 갖는 보강토 옹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는
    상기 한 쌍의 결합턱이 상기 한 쌍의 결합홈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공간부의 일측을 폐쇄하여 상기 보강토에서 발생되는 지표수가 배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배수 기능을 갖는 보강토 옹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의 후면에는
    상기 보강토에 길이 방향으로 매설되어 보강토에서 발생하는 지표수를 상기 배수로를 통해 배수할 수 있도록 배수관이 결합되는 배수 기능을 갖는 보강토 옹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 외주면에는
    상기 보강토에서 발생하는 지표수를 상기 배수로를 통해 배수 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타공이 형성되는 배수 기능을 갖는 보강토 옹벽.
KR1020160106373A 2016-08-22 2016-08-22 배수 기능을 갖는 보강토 옹벽 KR201800216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373A KR20180021601A (ko) 2016-08-22 2016-08-22 배수 기능을 갖는 보강토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373A KR20180021601A (ko) 2016-08-22 2016-08-22 배수 기능을 갖는 보강토 옹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601A true KR20180021601A (ko) 2018-03-05

Family

ID=61726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373A KR20180021601A (ko) 2016-08-22 2016-08-22 배수 기능을 갖는 보강토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160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689B1 (ko) 2019-03-27 2019-11-27 주식회사 제이디 엔지니어링 뛰어난 배수성과 구조 안정성 및 시공성을 갖는 옹벽축조 구조물 및 그의 축조시공방법
KR20200115005A (ko) 2019-10-23 2020-10-07 김규진 옹벽축조 구조물 및 그의 축조시공방법
KR102571120B1 (ko) * 2023-03-03 2023-08-25 주식회사명가건축사사무소 블록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689B1 (ko) 2019-03-27 2019-11-27 주식회사 제이디 엔지니어링 뛰어난 배수성과 구조 안정성 및 시공성을 갖는 옹벽축조 구조물 및 그의 축조시공방법
KR20200115005A (ko) 2019-10-23 2020-10-07 김규진 옹벽축조 구조물 및 그의 축조시공방법
KR102571120B1 (ko) * 2023-03-03 2023-08-25 주식회사명가건축사사무소 블록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5742B1 (ko) 우수 저류조
KR20180021601A (ko) 배수 기능을 갖는 보강토 옹벽
KR20110034255A (ko) 원형 phc말뚝을 이용한 집수구가 구비된 옹벽 및 그 시공공법
KR20150047172A (ko) 우수 저장공간이 구비된 투수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1651646B1 (ko) 강판 결속형 흙막이 차수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가시설 흙막이 공법
KR100610563B1 (ko) 건축물의 기초공사용 토류판 구조
KR20170136420A (ko) 말뚝을 이용한 옹벽
KR101789450B1 (ko) 겹침 말뚝벽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881577B1 (ko) 강재와 콘크리트로 보강된 중공형 말뚝을 활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JP2003193494A (ja) 地下中空構造物の施工方法とその地下中空構造物
KR100442048B1 (ko)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 및 이와 연설되는 유공관으로시공되는 옹벽
KR101774865B1 (ko) 누수방지 및 단열 성능이 개선된 피씨 더블 월
KR102207475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신축이음 장치
JP6198593B2 (ja) 雨水処理システム
KR101733560B1 (ko) 조립식 팽창형 옹벽블럭
KR101204058B1 (ko) 지중 차수벽 형성용 강관
KR102517949B1 (ko) 사장형 철근 겹이음 박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연속벽체 시공방법
JP4274898B2 (ja) 地下水流動保全工法
KR101352429B1 (ko) 파형 강판 세그먼트를 이용한 방수형 가설 흙막이 공법
KR101653722B1 (ko) 조립식 원심력 배수로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638597B1 (ko) 물끊기 홈을 적용한 누수차단용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102371284B1 (ko) 시공성이 향상된 지하 연속벽체,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행철근망 조립체
KR100999410B1 (ko) 유공 성형보와 조립식 슬리브를 사용한 조립식 띠장 및그를 이용하여 지하 옹벽의 연속시공이 가능한 지하 구조물시공방법
JP6774104B2 (ja) マンホールへの台付管の連結構造およびマンホールへの台付管の連結方法
KR101089664B1 (ko) 유도배수관 및 유도배수관을 이용한 조인트 누수 방지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44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324

Effective date: 2018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