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204B1 - 옹벽용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옹벽용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204B1
KR101699204B1 KR1020160031310A KR20160031310A KR101699204B1 KR 101699204 B1 KR101699204 B1 KR 101699204B1 KR 1020160031310 A KR1020160031310 A KR 1020160031310A KR 20160031310 A KR20160031310 A KR 20160031310A KR 101699204 B1 KR101699204 B1 KR 101699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receiving
retaining wall
moving memb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학봉
Original Assignee
공학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학봉 filed Critical 공학봉
Priority to KR1020160031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2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4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we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 전면블록과 후방에 설치되는 보강재인 소일 네일(soil nail을 연결하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옹벽 축조과정에서 절토 사면(지반)에 보강재인 네일(nail)을 네일링(Nailing) 하기 위해 시공된 천공위치와 설계상의 천공위치가 상이하여 네일의 설치 오차 발생시 그 설치 오차를 흡수하도록 함으로써, 전면블록과 소일 네일의 연결불량과 연결강도 저하를 예방하는 옹벽 전면블록과 소일 네일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전면블록을 상호 연결하도록 횡 철근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횡 철근과 직교하여 종 방향으로 설치되는 종 철근의 일단 부분을 수용하는 제2 수용부를 구비하는 제1 연결구와, 상기 제1 연결구와 간격을 두고 후방 측에 설치되고 일 측에는 이동 부재가 구비되고 타 일 측에는 상기 이동 부재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 일단에는 네일의 일단 부분을 수용,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구비되는 제2 연결구를 포함하는 옹벽용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는 절토부 사면에 시공한 천공위치가 설계상의 천공위치와 다른 경우 네일의 설치 오차를 용이하게 흡수하도록 타원형태 또는 갈고리 형태의 장공(長空)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구의 이동 부재와 고정 부재는 연결수단에 의해 결합 되고 상기 이동 부재는 연결수단을 중심으로 좌, 우로 자유롭게 회전각을 조절하거나 상, 하로 회전각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이동 부재가 네일의 설치 오차를 흡수하도록 좌, 우로 회전시 이에 연동하여 좌, 우로 유동하면서 횡 철근의 좌, 우 유격을 흡수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옹벽용 연결장치{Couplings for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옹벽용 전블록과 후방에 설치되는 보강재인 소일 네일(soil nail을 연결하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옹벽 축조과정에서 절토 사면(지반)에 보강재인 네일(nail)을 네일링(Nailing) 하기 위해 시공된 천공위치와 설계상의 천공위치가 상이하여 네일의 설치 오차 발생시 그 설치 오차를 흡수하도록 함으로써, 전면블록과 소일 네일의 연결불량과 연결강도 저하를 예방하는 옹벽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제방, 도로, 아파트 단지, 기타 비탈면의 보강이 필요한 절토부 사면(절토 지반)에는 토 압력(土壓力)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못하게 하는 벽체(壁體)인 블록식 옹벽(retaining wall)이 시공된다.
이러한 블록식 옹벽은 천공기를 이용하여 절토부(절토 지반)에 여러 개의 천공을 형성하고, 상기 천공에 보강재인 네일을 소일 네일링 공법(Soil Nailing Method : 흙속에 보강재를 삽입하여 안정을 도모하는 지반보강공법의 하나로 보강재를 프리스트레싱 없이 촘촘한 간격으로 원지반에 삽입하여 원지반 자체의 전체적인 전단강도를 증대시키고 공사 도중이나 공사가 끝난 뒤에 예상되는 지반의 변위를 가능한 억제하는 역타(Top Down)식 절토면 보강토 공법이다. 사면보강과 굴착면에 대한 유연한 지반보강공법으로 유럽과 미국 등지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으로 설치한 후, 상기 소일 네일과 소정 거리를 두고 전방에 축조되는 전방블록을 횡 철근과 종 철근 및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연결한 후, 전면블록과 절토면 사이 공간에 보강토를 채워 다짐으로써 붕괴를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옹벽 전면블록과 소일 네일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는 네일을 절토부 사면에 네일링(Nailing) 하기 위해 시공된 천공위치와 설계상의 천공위치가 상이할 경우 그 설치 오차를 용이하고 원활하게 흡수할 수 없기 때문에 전면블록과 소일 네일의 연결 각도가 틀어져 요구되는 연결강도를 구현하지 못해 부실시공과 하자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네일링(Nailing) 하기 위해 시공된 천공위치와 설계상의 천공위치가 상이할 경우 천공작업을 다시 해야 하거나, 전면블록과 소일 네일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를 설치 오차를 흡수하도록 재제작함에 따라 구성이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연결작업시간이 오래 걸려 공사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19488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네일을 설치하기 위해 절토부 사면에 형성한 천공위치와 설계상의 천공위치가 상이하더라도 간단한 구성으로 좌, 우 방향으로 이동을 자유롭게 하여 네일의 설치 오차를 용이하고 원활하게 흡수하도록 함으로써, 전면블록과 소일 네일의 연결강도 저하를 예방하고 구조적인 안전성을 향상하는 옹벽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블록을 상호 연결하도록 횡 철근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횡 철근과 직교하여 종 방향으로 설치되는 종 철근의 일단 부분을 수용하는 제2 수용부를 구비하는 제1 연결구와, 상기 제1 연결구와 간격을 두고 후방 측에 설치되고 일 측에는 이동 부재가 구비되고 타 일 측에는 상기 이동 부재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 일단에는 네일의 일단 부분을 수용,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구비되는 제2 연결구를 포함하는 옹벽용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는 절토부 사면에 시공한 천공위치가 설계상의 천공위치와 다른 경우 네일의 설치 오차를 용이하게 흡수하도록 타원형태 또는 갈고리 형태의 장공(長空)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구의 이동 부재와 고정 부재는 연결수단에 의해 결합 되고 상기 이동 부재는 연결수단을 중심으로 좌, 우로 자유롭게 회전각을 조절하거나 상, 하로 회전각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이동 부재가 네일의 설치 오차를 흡수하도록 좌, 우로 회전시 이에 연동하여 좌, 우로 유동하면서 횡 철근의 좌, 우 유격을 흡수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연결구는 연결수단을 중심으로 좌, 우로 자유롭게 회전각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이동 부재는 수평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고정 부재의 일단 부분은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타 일단 부분은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절토 지반에 형성된 천공위치와 설계상의 천공위치가 상이하여 발생한 네일의 설치 오차를 좌, 우 방향으로 이동을 자유롭게 하여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전면블록과 소일 네일의 연결강도 저하를 방지하여 하자발생과 부실시공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연결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고, 횡 철근 및 종 철근과 결합과 분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여 원가절감과 연결작업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옹벽용 연결장치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연결구의 평면 및 측면 확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종 철근과 횡 철근을 제2 연결구의 이동 부재와 고정 부재에 나사 체결하는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네일 설치를 위해 절토부에 시공된 천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연결구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연결구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연결구의 바람직한 제4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용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전면블록과 네일을 연결한 단품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평면도로서, 이동 부재가 좌, 우로 회전동작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용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전면블록과 네일을 연결한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연결구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로서, 옹벽용 연결장치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도 15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연결구의 이동 부재가 상, 하로 회전동작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옹벽용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연결구(100)와 제2 연결구(200)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연결구(100)는 바람직한 제1 실시 예로서, 병렬로 축조되는 옹벽 전면블록(10)과 전면블록(10)을 상호 연결하도록 횡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횡 철근(300)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110)와, 상기 횡 철근(300)과 직교하여 종 방향으로 설치되는 종 철근(400)의 일단 부분을 수용하는 제2 수용부(12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수용부(110)는 네일(20)의 소일 네일링을 위해 절토부 사면에 시공한 천공(30) 위치가 설계상의 천공(30) 위치와 다른 경우 네일(20)의 설치 오차를 용이하게 흡수하도록 장공(長孔)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절토 사면에 시공된 천공(30) 위치와 설계상의 천공(30) 위치가 일치되지 못하고 소일 네일링된 네일(20)은, 상기 전면블록(10)과 정확한 위치에 연결될 수 없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연결장치(1000)는, 추후 설명할 상기 제2 연결구(200)의 이동 부재(210)를 좌, 우로 자유롭게 회전시켜 회전각을 조절하여 그 설치 오차를 흡수토록 한다.
이때 상기 이동 부재(210)의 회전동작에 연동하도록 연결되는 제1 연결구(100)는 상기 횡 철근(300)을 수용하고 있는 장공(長孔)의 제1 수용부(110)가 횡 철근(300)의 좌, 우 유격을 흡수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이동 부재(210)가 네일(20)의 설치 오차를 흡수하도록 좌, 우로 회전시 이에 연동하여 장공(長孔)으로 형성된 제1 수용부(110)가 좌, 우로 유동하면서 횡 철근(300)의 좌, 우 유격을 용이하게 흡수하게 된다.
또, 상기 제2 수용부(120)는 종 철근(400)을 직접 수용, 결합하거나 추후 설명할 웨지(122b)를 갖는 캡(122)을 통해 수용,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연결구(100)의 하부 측으로 제1 수용부(110)가 형성되고, 상부 측으로는 제2 수용부(120)가 형성되나, 필요에 따라 상기 제1 수용부(110)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용부(120)가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수용부(110)와 제2 수용부(120)는 상호 동일한 높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수용부(110)에 수용되는 횡 철근(300)은 좌, 우로 유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용부(120)에 수용되는 종 철근(400)은 일단 부분에 수나사(410)가 형성되어 너트(420)에 의해 고정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제1 연결구(100)는 횡 철근(300), 종 철근(400) 및 상기 제2 연결구(200)와 함께 옹벽 전면블록(10)과 네일(20)의 연결시, 네일(20)의 설치 오차를 흡수함으로써, 옹벽 시공시 발생하는 전면블록(10)과 네일(20)의 연결 하자와 부실시공을 예방하고, 연결강도 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구(200)는 상기 제1 연결구(100)와 간격을 두고 후방 측에 설치되고, 일 측에 상기 종 철근(400)의 타 일단 부분을 수용, 고정하는 이동 부재(210)가 구비되며, 타 일 측에는 상기 이동 부재(210)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 일단에는 절토 지반에 설치된 네일(20)의 일단 부분을 수용, 고정하는 고정 부재(220)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 부재(210)는 일단 내면에 암나사(211)가 형성되고 타 단은 결합구멍(2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부재(210)의 암나사(211)에는 외면에 수나사(213a)를 형성하고 내면에는 종 철근(400)을 수용 고정하기 위한 웨지(wedge : 쐐기)(213b)를 갖는 캡(213)이 나사 결합 된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이동 부재(210)는, 캡(213)의 웨지(213b) 내로 상기 종 철근(400)을 삽입한 후, 캡(213)의 수나사(213a)를 상기 이동 부재(210)의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211)와 체결함으로써 상기 종 철근(400)이 웨지(213b)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게 한다.
또, 상기 고정 부재(220)는 일단 내면에 암나사(221)가 형성되고 타 단으로는 연결수단(230)과 함께 상기 이동 부재(21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구멍(22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수단(230)은 이동 부재(210)의 회전각을 자유롭게 조절 가능한 힌지(hinge) 또는 볼트 및 너트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암나사(221)에는 외면에 수나사(223a)를 형성하고 내면에는 네일(20)을 수용 고정하기 위한 웨지(wedge : 쐐기)(223b)를 갖는 캡(223)이 나사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고정 부재(220)는, 캡(223)의 웨지(223b) 내로 상기 네일(20)의 일단을 삽입한 후, 캡(223)의 수나사(223a)를 상기 고정 부재(220)의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221)와 체결함으로써, 상기 네일(20)이 웨지(223b)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 부재(210)와 고정 부재(220)는 캡(213),(223과 웨지(213b),(223b)를 통해 종 철근(400)과 네일(20)을 연결토록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신속하고 편리하며 견고한 고정 상태를 이룰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 철근(400)과 네일(20)의 각 단부에 수나사(410),(21)를 가공하여 상기 이동 부재(210)와 고정 부재(220)의 암나사(211),(221)와 직접 견고하게 체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부재(210)는 상기 종 철근(400)을 수평 상태로 연결하도록 수평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고정 부재(220)는 절토 지반에 경사지게 설치된 네일(20)과 원활하고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일단 부분은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타 일단 부분은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일정한 경사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상기 네일(20)과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전면블록(10)을, 상호 유기적으로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 상기 이동 부재(210)는 연결수단(230)을 통해 자유롭게 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절토부 옹벽 시공시 발생할 수 있는 네일(20)의 설치 오차를 원활하게 흡수하여 구조적인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이동 부재(210)와 고정 부재(220)는 연결수단(230)에 의해 결합 되고 상기 연결수단(230)을 중심으로 이동 부재(210)가 좌, 우로 자유롭게 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절토 사면에 시공한 천공(30) 위치가 설계상의 천공(30) 위치와 일치하지 않은 상태로 소일네일링된 네일(20)과 전면블록(10)의 연결시 정확한 위치에 연결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옹벽 시공시 발생하는 설치 오차를 흡수하여 구조적인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블록(10)은 개략 상면 중간 부분에 횡 방향으로 상기 횡 철근(300)을 견고하게 수용하기 위한 깊이를 갖는 철근 수용 홈(11)이 형성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연결구(100)의 제2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는 상기 제1 수용부(110)를 갈고리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횡 철근의 결합과 분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여 작업성 향상과 취급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수용부(110)를 갈고리 형태로 형성하여 횡 철근(300)의 결합과 분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한다는 점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들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1 연결구(100)와 동일하다.
또,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연결구(100)의 제3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는 상기 제1 수용부(110)를 갈고리 형태로 형성함과 동시에 제2 수용부(120)를 일단 면 내부에 암나사(121)를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121)에는 수나사(122a)를 외면에 형성하고 내면에는 종 철근(400)을 수용 고정하기 위한 웨지(wedge : 쐐기)(122b)를 갖는 캡(122)을 나사 결합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횡 철근(300)과 종 철근(400)의 결합과 분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여 작업성 향상과 취급의 편리성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연결구(100)는 제1 수용부(110)와 제2 수용부(120)를 상, 하로 높이를 달리하도록 배치하거나, 좌, 우로 높이가 동일하도록 병렬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연결구(100)의 제4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는 상기 제1 수용부(110)를 타원형태로 형성함과 동시에 제2 수용부(120)의 일단 면 내부에 암나사(121)를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121)에는 수나사(122a)를 외면에 형성하고 내면에는 종 철근(400)을 수용 고정하기 위한 웨지(wedge : 쐐기)(122b)를 갖는 캡(122)을 나사 결합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횡 철근(300)과 종 철근(400)의 결합과 분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여 작업성 향상과 취급의 편리성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연결구(100)는 제1 수용부(110)와 제2 수용부(120)를 상, 하로 높이를 달리하도록 배치하거나, 좌, 우로 높이가 동일하도록 병렬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용 연결장치(1000)를 이용하여 전면블록(10)과 소일 네일(20)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연결구(100)의 제1 수용부(110)에 횡 철근(300)을 횡 방향으로 끼워 결합하고, 제2 수용부(120)에는 종 철근(400)의 일단을 종 방향으로 끼워 결합한다.
다음, 상기 제1 연결구(100)의 제1 수용부(110)에 끼워져 결합 되어 있는 횡 철근(300)을 옹벽의 전면(표면)을 형성하는 전면블록(10)의 철근 수용 홈(11)으로 삽입한다.
이때, 상기 제1 연결구(110)는 병렬로 축조되는 전면블록(10)과 전면블록(1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12)으로 위치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종 철근(400)의 타 일단 부분을 제2 연결구(200)의 이동 부재(210)와 결합하고, 고정 부재(220)의 웨지(wedge : 쐐기)(223b)를 갖는 캡(223)과 절토 지반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굴착 시공된 천공(30)을 통해 소일네일링되어 있는 네일(20)의 돌출 단부를 결합한다.
여기서, 절토 사면에 시공된 천공(30) 위치와 설계상의 천공(30) 위치가 일치되지 못하고 소일 네일링된 네일(20)일 경우, 상기 네일(20)과 종 철근(400), 횡 철근(300) 및 전면블록(10)의 연결을 정확한 위치에 연결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이동 부재(210)를 연결수단(230)을 중심으로 좌, 우로 회전시켜 회전각을 조절하여 상호 정확한 위치에 연결토록 한다.
이때, 상기 이동 부재(210)가 연결수단(230)을 중심으로 좌, 우로 회전동작시, 상기 횡 철근(300)을 수용하고 있는 장공(長孔)의 제1 수용부(110)가 횡 철근(300)의 유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옹벽 시공시 발생하는 설치 오차를 원활하고 용이하게 흡수하여 상기 전면블록(10)과 횡 철근(300), 종 철근(400) 및 네일(20)을 상호 유기적으로 신속하고 견고하게 결합하여 구조적인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따른 제2 연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는 상기 제2 연결구(200)의 이동 부재(210)가 연결수단(230)을 기준으로 상, 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절토 사면에 시공된 천공(30) 위치와 설계상의 천공(30) 위치가 일치되지 못하고 소일 네일링된 네일(20)일 경우, 상기 네일(20)과 종 철근(400), 횡 철근(300) 및 전면블록(10)의 연결을 정확한 위치에 연결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이동 부재(210)를 연결수단(230)을 중심으로 상, 하로 회전시켜 상호 정확한 위치에 연결토록 한다.
즉, 상기 이동 부재(210)와 고정 부재(220)의 결합구멍(212),(222)을 횡 방향으로 관통 형성하고 연결수단(230)을 횡 방향으로 삽입, 체결하여 상기 이동 부재(210)가 연결수단(230)을 기준으로 상, 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절토 사면에 시공된 천공(30) 위치와 설계상의 천공(30) 위치가 일치되지 못하고 소일 네일링된 네일(20)이라 하더라도 상기 이동 부재(210)를 연결수단(230)을 중심으로 상, 하로 회전시켜 상기 네일(20)과 전면블록(10)의 연결을 정확한 위치에 연결토록 한다.
이때, 상기 이동 부재(210)가 연결수단(230)을 기준으로 상, 하로 회전함에 따라 네일(20)의 상, 하 유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옹벽 시공시 발생하는 네일(20)의 상, 하 설치 오차를 원활하고 용이하게 흡수하여 상기 전면블록(10)과 횡 철근(300), 종 철근(400) 및 네일(20)을 상호 유기적으로 신속하고 견고하게 결합하여 구조적인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 연결구(200)의 이동 부재(210)를 상, 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함으로써, 네일(20)의 상, 하 설치 오차를 원활하고 용이하게 흡수하게 한다는 점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들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2 연결구(200)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0 : 옹벽용 연결장치 100 : 제1 연결구
110 : 제1 수용부 120 : 제2 수용부
121 : 암나사 122 : 캡
122a : 수나사 122b : 웨지(wedge : 쐐기)
200 : 제2 연결구 210 : 이동 부재
211 : 암나사 212 : 결합구멍
213 : 캡 213a : 수나사
213b : 웨지(wedge : 쐐기) 220 : 고정 부재
221 : 암나사 222 : 결합구멍
223 : 캡 223a : 수나사
223b : 웨지(wedge : 쐐기) 230 : 연결수단
300 : 횡 철근 400 : 종 철근
410 : 수나사 420 : 너트
10 : 전면블록 11 : 철근 수용부
12 : 공간 20 : 네일(nail)
30 : 천공

Claims (7)

  1. 삭제
  2. 전면블록을 상호 연결하도록 횡 철근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횡 철근과 직교하여 종 방향으로 설치되는 종 철근의 일단 부분을 수용하는 제2 수용부를 구비하는 제1 연결구와, 상기 제1 연결구와 간격을 두고 후방 측에 설치되고 일 측에는 이동 부재가 구비되고 타 일 측에는 상기 이동 부재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 일단에는 네일의 일단 부분을 수용,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구비되는 제2 연결구를 포함하는 옹벽용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는 절토부 사면에 시공한 천공위치가 설계상의 천공위치와 다른 경우 네일의 설치 오차를 용이하게 흡수하도록 타원형태 또는 갈고리 형태의 장공(長空)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구의 이동 부재와 고정 부재는 연결수단에 의해 결합 되고 상기 이동 부재는 연결수단을 중심으로 좌, 우로 자유롭게 회전각을 조절하거나 상, 하로 회전각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이동 부재가 네일의 설치 오차를 흡수하도록 좌, 우로 회전시 이에 연동하여 좌, 우로 유동하면서 횡 철근의 좌, 우 유격을 흡수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연결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구는 연결수단을 중심으로 좌, 우로 자유롭게 회전각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이동 부재는 수평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고정 부재의 일단 부분은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타 일단 부분은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연결장치.
KR1020160031310A 2016-03-16 2016-03-16 옹벽용 연결장치 KR101699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310A KR101699204B1 (ko) 2016-03-16 2016-03-16 옹벽용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310A KR101699204B1 (ko) 2016-03-16 2016-03-16 옹벽용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9204B1 true KR101699204B1 (ko) 2017-01-23

Family

ID=57989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310A KR101699204B1 (ko) 2016-03-16 2016-03-16 옹벽용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20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320B1 (ko) * 2020-02-17 2020-06-03 더베스트테크 주식회사 발파석 옹벽 구조 및 옹벽 축조 방법
KR20200102052A (ko) * 2019-02-21 2020-08-31 이양석 보강토 옹벽 설치용 바 연결장치
KR102182223B1 (ko) * 2019-08-01 2020-11-24 김기형 네일 각도 및 네일 길이가 일체형으로 조절 가능한 절토부옹벽 연결장치 및 그 연결방법
KR102182218B1 (ko) * 2019-08-01 2020-11-24 김기형 네일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절토부옹벽 연결장치 및 그 연결방법
WO2022050463A1 (ko) * 2020-09-03 2022-03-10 이양운 원터치 철근 커플러
US20220220692A1 (en) * 2021-01-08 2022-07-14 Earth Wall Products, Llc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mse) retaining wall employing round rods with spaced pullout inhibiting structures
KR20220161795A (ko) * 2021-05-31 2022-12-07 홍우기술산업(주) 보강토 옹벽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4294A (ko) * 2006-03-17 2007-09-20 홍건영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
KR100851356B1 (ko) * 2007-12-20 2008-08-08 이근선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072527B1 (ko) * 2010-07-30 2011-10-12 주식회사 브룸 강연선 지중앵커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KR101419488B1 (ko) 2013-01-22 2014-07-14 주식회사 이앤앤이 옹벽 연결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4294A (ko) * 2006-03-17 2007-09-20 홍건영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
KR100851356B1 (ko) * 2007-12-20 2008-08-08 이근선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072527B1 (ko) * 2010-07-30 2011-10-12 주식회사 브룸 강연선 지중앵커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KR101419488B1 (ko) 2013-01-22 2014-07-14 주식회사 이앤앤이 옹벽 연결 구조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052A (ko) * 2019-02-21 2020-08-31 이양석 보강토 옹벽 설치용 바 연결장치
KR102191389B1 (ko) * 2019-02-21 2020-12-15 이양석 보강토 옹벽 설치용 바 연결장치
KR102182223B1 (ko) * 2019-08-01 2020-11-24 김기형 네일 각도 및 네일 길이가 일체형으로 조절 가능한 절토부옹벽 연결장치 및 그 연결방법
KR102182218B1 (ko) * 2019-08-01 2020-11-24 김기형 네일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절토부옹벽 연결장치 및 그 연결방법
KR102118320B1 (ko) * 2020-02-17 2020-06-03 더베스트테크 주식회사 발파석 옹벽 구조 및 옹벽 축조 방법
WO2022050463A1 (ko) * 2020-09-03 2022-03-10 이양운 원터치 철근 커플러
US20220220692A1 (en) * 2021-01-08 2022-07-14 Earth Wall Products, Llc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mse) retaining wall employing round rods with spaced pullout inhibiting structures
KR20220161795A (ko) * 2021-05-31 2022-12-07 홍우기술산업(주) 보강토 옹벽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511387B1 (ko) * 2021-05-31 2023-03-17 홍우기술산업(주) 보강토 옹벽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204B1 (ko) 옹벽용 연결장치
KR101214139B1 (ko) 클램프를 이용한 단면증설 내진보강구조 및 단면증설 내진보강공법
ES2219897T3 (es) Construccion modular de paredes.
CA2988166A1 (en)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beams of formwork for floor slabs
KR101255027B1 (ko) 프리캐스트 라멘형 암거박스
KR20150098535A (ko) 조립식 옹벽블록과 블록조립 부속물.
KR102139869B1 (ko) 시스템 비계
KR101194682B1 (ko) 간격조절이 용이한 판넬결합용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모듈
US4151975A (en) Panel junction assembly
KR101694526B1 (ko) 블록을 이용한 옹벽
CN209741861U (zh) 一种土建基坑防渗水侧向隔水帷幕地下连续墙
KR20150119571A (ko) Pc 부재 결합용 오차 흡수 조인트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pc부재 결합방법
KR102047520B1 (ko) 절토면 보강용 콘크리트 옹벽 구조물
KR102037513B1 (ko) 흙막이 구조물용 띠장과 버팀보의 체결구조
KR101042240B1 (ko)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
KR102197519B1 (ko) 철근 연결 구조 및 철근 연결 장치
KR102182223B1 (ko) 네일 각도 및 네일 길이가 일체형으로 조절 가능한 절토부옹벽 연결장치 및 그 연결방법
JP2015214802A (ja) 支柱支持ブロック
KR102182218B1 (ko) 네일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절토부옹벽 연결장치 및 그 연결방법
JP4666687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構築用の連結器
KR102191389B1 (ko) 보강토 옹벽 설치용 바 연결장치
KR101516777B1 (ko) 흙막이 벽체와 띠장을 결합하는 구조체
KR200482742Y1 (ko) 옹벽용 블록
KR101838682B1 (ko) 옹벽 및 옹벽용 체결 장치
KR101839681B1 (ko) 건축용 조적식 블록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